KR102618913B1 -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913B1
KR102618913B1 KR1020220181329A KR20220181329A KR102618913B1 KR 102618913 B1 KR102618913 B1 KR 102618913B1 KR 1020220181329 A KR1020220181329 A KR 1020220181329A KR 20220181329 A KR20220181329 A KR 20220181329A KR 102618913 B1 KR102618913 B1 KR 102618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artificial wetland
flooded
artificial
treat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1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람
고티에 마튜
구르동 레미
최혜선
허상두
강지호
임채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로솔
시르프 상트르 이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로솔, 시르프 상트르 이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로솔
Priority to KR1020220181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9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09Regulation methods for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06Regulation methods for 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4Aerobic processes using trickle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4NH3-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6Total nitrogen (tkN-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ydroponic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습지를 이용하여 오폐수를 처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오폐수를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의 오폐수를 살수 여상에 의하여 전처리하는 생물학적 전처리부; 및 상기 수용부를 거친 오폐수의 질산화-탈질 처리를 위하여 정수식물이 심어지고, 비침수된 상부구역과 침수된 하부구역으로 구성되는 수직흐름형 인공습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CONSTRUCTED WETLAND AND WASTE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공습지를 이용하여 오폐수를 처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인공습지란 수질정화, 생태서식처 확보, 수자원확보 및 홍수제어, 조경 및 레크레이션 기능, 기후조절, 환경교육 등을 목적으로 자연정화 기작을 인위적으로 향상시켜 조성한 습지를 의미한다. 자연습지를 복원하는 습지복원 외에 다양한 목적으로 조성되는 인공습지의 경우, 주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수질정화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공습지는 수문학적 흐름형태에 따라 자유수면흐름 습지(free water surface wetlands, FWS), 수평지하흐름 습지(horizontal subsurfafce flow wetlands, HSSF), 수직지하흐름 습지(vertical flow wetlands, VF) 및 하이브리드 습지(hybrid wetland) 등으로 구분되며, 조성목적과 유입수의 성상 및 이용 가능한 공간 등을 고려하여 단독 또는 상호 연계하여 적용된다.
자연수면흐름 습지는 일반적인 인공습지의 형태로 유입수의 용량이 크고 지속적 유입이 발생할 경우 적용된다. 자유수면흐름 습지는 동식물의 서식처 및 수변공간 제공 등과 같은 긍정적 효과가 있는 반면 지속적인 오염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악취, 해충 및 조류발생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수평지하흐름 습지는 여재로 채워진 공간을 통해 수평으로 물이 흐르는 구조이기에 냄새나 해충발생이 적은 반면 지속적으로 오염물질이 유입될 경우 충진 여재내 공극 폐색 현상이 나타나기에 간헐적 유입이 존재하는 소규모 형태가 타당하다.
수직지하흐름 습지는 여재를 사용하는 측면에서 수평지하흐름 습지와 유사하나, 여재층에 대하여 수직으로 여과시키기 위하여 인공습지 표면 위에서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시스템이다. 일정 시간 간격으로 오폐수를 공급하는 것과 일주일 정도의 주기를 가지고 습지에 휴식기간을 줌으로서 여재층 공극에 산소가 공급되는 통기 원리를 갖고 있다. 따라서 여과 과정에서 질산화 과정이 일어나며, 습지를 부분적으로 침수시킬 시, 하부에 물이 정체후 유출되는 과정에서 탈질화 반응이 일어난다. 이러한 구성으로 오폐수 내에 질소 제거에 매우 효과적이다.
하이브리드 습지는 자연수면흐름 습지, 수평지하흐름 습지, 수직지하흐름 습지의 형태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계하여 운영하는 형태로 정화효율 향상, 악취와 모기서식 등의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넓은 부지가 요구되고, 비용이 크게 발생할 수 있어 마을단위의 소규모 처리에는 부적합하다.
한편, 생활하수나 각종 공장의 오폐수는 그대로 방류되는 경우 심각한 수질 오염을 일으키기 때문에, 자연의 정화능을 유지시킬 수 있는 정도까지 오염물질을 제거한 후 방류하여야 한다. 특히 마을단위 하오폐수는 유기물, 질소, 인 등을 포함하고 있고, 이러한 물질을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방류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마을단위 하오폐수에 포함된 질소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수직지하흐름 습지를 활용하되, 나머지 유기물과 인 등을 제거하기 위한 설비나 장치를 어떻게 적절히 구성하고 조합할 지에 대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마을단위 하오폐수에 포함된 유기물, 질소, 인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방류할 수 있는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다항목 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오폐수의 수질을 측정하고 측정된 값에 따라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제어 및 운영할 수 있는 오폐수처리 시스템 및 오폐수처리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인공습지를 이용하여 오폐수를 처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오폐수를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의 오폐수를 살수 여상에 의하여 전처리하는 생물학적 전처리부; 및
상기 수용부를 거친 오폐수의 질산화-탈질 처리를 위하여 정수식물이 심어지고, 비침수된 상부구역과 침수된 하부구역으로 구성되는 수직흐름형 인공습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고, 물리화학적 탈인산염 처리를 위하여 응집제를 공급하여 오폐수의 인산염을 응집/침전시킬 수 있는 응집제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인산염이 침전되어 형성된 인산염 침전물은 상기 수직흐름형 인공습지로 이송되어 회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수직흐름형 인공습지는,
불투과성 재료의 바닥과 측벽으로 구성된 내부공간에 자갈과 모래 등으로 채워진 필터베드;
상기 필터베드 바닥에 형성되어 오폐수가 이동하는 배수로; 및
상기 배수로에 연결되어 오폐수를 배출하는 오폐수배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수직흐름형 인공습지는,
상기 필터베드의 바닥과 상기 필터베드의 상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오폐수배출장치로부터 이동된 오폐수의 수위를 조절하여 상기 필터베드를 침수 구역 및 비침수 구역으로 구분할 수 있는 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필터베드는,
이웃하는 복수의 셀로 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서로 독립한 오폐수배출장치가 양쪽 외곽의 셀에 각각 형성되며, 각 셀의 오폐수 공급과 오폐수배출장치의 작동을 교대로 진행하는 것-외곽의 셀에 오폐수를 공급할 경우 해당 셀의 오폐수배출장치를 잠그고 반대측 외곽 셀의 오폐수배출장치를 개방하고, 중앙셀에 오폐수를 공급할 경우 양쪽 외각 셀의 오폐수배출장치를 동시에 개방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배출구는,
오버플로우(overflow)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배출구는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수직흐름형 인공습지를 거친 오폐수를 다시 한번 질산화-탈질 처리를 위하여 정수식물이 심어지고, 비침수된 상부구역과 침수된 하부구역으로 구성되는 2차 수직흐름형 인공습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수직흐름형 인공습지를 거친 오폐수를 상기 수용부로 재순환시킬 수 있는 재순환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어 오폐수의 고형물질을 필터링하여 전처리하여 상기 수용부로 이송하는 전처리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수직흐름형 인공습지의 침수된 하부구역의 깊이가 비침수된 상부구역의 깊이보다 같거나 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수직흐름형 인공습지의 침수된 하부구역의 깊이는 상기제2차 수직흐름형 인공습지의 침수된 하부구역의 깊이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오폐수배출장치는,
TN, NH4 +, NO3 -, TP, PO4-P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TP, PO4-P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응집제 공급부로부터 상기 수용부로 공급되는 응집제 투입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TN, NH4 + 및 NO3 -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배출구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수직흐름형 인공습지를 거친 오폐수를 상기 수용부로 재순환시킬 수 있는 재순환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TN, NH4 + 및 NO3 -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재순환라인의 재순환 유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인공습지를 이용하여 오폐수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오폐수를 살수여상에 의하여 생물학적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생물학적 전처리된 오폐수에 물리화학적 탈인산염 처리를 위하여 응집제를 공급하고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교반된 오폐수의 질산화-탈질 처리를 위하여, 정수식물이 심어지고 비침수된 상부구역과 침수된 하부구역으로 구성되는 수직형 인공습지로 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공습지로 공급하는 단계는 교반된 오폐수의 인산염과 입자상 인의 침전물을 포함하는 슬러지를 상부 표면부에서 회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슬러지를 상부 표면부에서 회수하는 공정은,
상기 수직형 인공습지의 비침수된 상부구역에 토양센서가 설치되어 수분, 전기전도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고, 측정값에 따라 상기 비침수된 상부구역에 침전물을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인공습지로 공급되는 단계는,
상기 수직형 인공습지의 비침수된 상부구역에 토양센서가 설치되어 수분, 전기전도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고, 측정값에 따라 여재의 유지관리를 시행하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을 이용하면 마을단위 하오폐수에 포함된 유기물, 질소, 인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방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을 이용하면 다항목 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오폐수의 수질을 측정하고 측정된 값에 따라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제어 및 운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을 이용하면 토양센서를 이용하여 토양의 전기전도도, 수분 등을 측정하고 측정값에 따라 슬러지를 회수하거나 여재를 효율적으로 유지관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습지가 셀로 분리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복수의 셀로 나누어진 필터베드에 오폐수가 교대로 공급되고 배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은 오폐수를 수용하는 수용부(300), 오폐수를 생물학적 전처리하는 생물학적 전처리부(100), 및 질산화-탈질 공정 처리하는 수직흐름형 인공습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300)는 오폐수가 수용되는데, 이때 오폐수는 필요에 따라 전처리 필터부(400)를 통하여 필터링된 오폐수가 공급될 수 있다. 전처리 필터부(400)는 오폐수에 포함된 직경이 일정 직경 이상인 큰 고형물질을 필터링하여 후단 공정 중 배관의 막힘이나 수용부(300) 내 거대 퇴적물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용부(300)에는 복수의 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수용부(300)의 오폐수를 생물학적 전처리부(100)로 이송하는 제1 펌프(310)와 수용부(300)의 오폐수를 수직흐름형 인공습지(200)로 이송하는 제2 펌프(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펌프(310)는 수용부(300)와 생물학적 전처리부(100)를 연결하는 제1 공급라인을 통해 수용부(300)의 오폐수를 생물학적 전처리부(100)로 공급한다.
제2 펌프(320)는 수용부(300)와 수직흐름형 인공습지(200)를 연결하는 제2 공급라인을 통해 수용부(300)의 오폐수를 수직흐름형 인공습지(200)로 공급한다.
고정상 여재(110)에는 미생물이 배양된다. 그리고 고정상 여재(110)의 상부에는 오폐수를 살수하는 살수장치(130)에 배치되어 고정상 여재(110)에 오폐수를 살수하게 된다.
고정상 여재(110)를 이용한 생물학적 전처리부(100)에서는 여재에 부착된 미생물에 오폐수를 살수하여 유기물질을 산화시켜 정화한다. 이때 과도하게 성장된 부착 미생물은 여재로부터 자연 탈리되어 후단에 설치된 침전지에서 고액 분리된다. 이러한 오폐수처리를 통해 BOD의 80% 이하의 제거가 가능하다.
오폐수의 오염물질 중 질소는 질산화-탈질 공정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오폐수에 존재하는 유기성 질소는 암모니아성 질소(NH4+)로 변환되며 호기성 조건에서 질산화 박테리아에 의해 질산염(NO3-)으로 산화되며, 다시 질산염은 무산소 조건에서 탈질 미생물에 의해 가스형태의 질소(N2)로 환원된 후 대기로 배출될 수 있다.
탈질 미생물은 질산염의 산소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하여 유기물을 소비하며, 유기물이 부족한 경우 외부 탄소원을 주입하는 경우도 있다.
오폐수 내 인 제거를 위한 공정으로 물리화학적 제거 방식이 있다.
응집제 공급부(500)는 오폐수 내 인을 물리화학적으로 침전시킬 수 있는 응집제를 저장한다. 응집제는 오폐수에서 인산염을 침전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모든 유형의 약품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응집제는 황산알루미늄, 황산제2철, 황산제3철, 폴리염화알루미늄, 염화제2철, 염화제3철, 등이며, 이외에도 다른 금속염과 석회 같은 약품도 사용될 수 있다.
응집제 공급부(500)는 정량펌프에 의하여 오폐수의 유량 및 처리농도에 따른 약품을 수용부(300)에 정량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생물학적 전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환경 요인 및 오폐수의 특성들이 물리화학적 인 제거 처리효율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특히 응집 침전된 인산염은 특정 조건에서 재용출될 수 있으며, 전체 공정상 인 제거 처리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인 제거 요건에 따라서 고정상 여재(110)에서 전처리된 오폐수가 수직흐름형 인공습지(200) 상부로 직접 유입되거나, 고정상 여재(110)를 통해 전처리된 오폐수에 인 제거용 응집제가 주입된 이후 갈대가 심어진 수직흐름형 인공습지(200) 상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수직흐름형 인공습지(200) 상부로 유입된 오폐수는 갈대 등의 정수식물(A)이 심어진 필터베드(230)를 통과하면서 질산화-탈질 처리가 진행된다.
생물학적 전처리부(100)를 거친 오폐수는 수용부(300)로 다시 돌아온 다음 수직흐름형 인공습지(200)로 공급된다. 이때 수용부(300)와 수직흐름형 인공습지(200)를 연결하는 오폐수 공급라인을 통하여 오폐수가 수용부(300)로부터 수직흐름형 인공습지(200)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은 2차 수직흐름형 인공습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로 수직흐름형 인공습지(200)를 거친 오폐수는 제2 오폐수공급라인(760)을 통하여 2차 수직흐름형 인공습지(700)로 공급되어 오폐수의 질산화-탈질 처리 공정이 추가로 진행될 수 있다.
2차 수직흐름형 인공습지(200)는 1차 수직흐름형 인공습지(200)의 구성과 동일하다. 불투과성 재료의 바닥과 측벽으로 구성된 내부공간에 자갈과 모래 등으로 채워진 필터베드(730), 필터베드(730)바닥에 형성되어 오폐수가 이동하는 배수로(740), 및 배수로(740)에 연결되어 오폐수를 배출하는 오폐수배출장치(750)를 포함하고, 오폐수배출장치(750)에는 높이가 조절되는 배출구(751)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751)의 높이에 맞추어 필터베드(730)는 침수된 하부구역(720) 및 비침수된 상부구역(710)으로 구분된다.
배출구(751)를 통과한 오폐수는 재순환라인(600)에 의하여 수용부(300)로 재순환되거나 자연수계로 방류될 수 있다. 자연수계로 방류되는 경우 별도의 배출라인(620)에 의하여 오폐수가 방류될 수 있다.
수직흐름형 인공습지의 침수된 하부구역의 깊이는 제2차 수직흐름형 인공습지의 침수된 하부구역의 깊이와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 적어도 2개의 단계를 거치며 질산화-탈질 공정을 진행하되, 각 공정의 질산화-탈질 효율을 효과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2차 수직흐름형 인공습지(700)는 1차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1차 수직흐름형 인공습지(200)의 구성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2차 추가 질산화-탈질 공정을 통하여 오폐수에 잔류하는 질소를 추가로 제거할 수 있으며, BOD5 및 TKN 제거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필요에 따란 본 발명은 전처리 필터부(400)를 더 포함할수 있다. 전처리 필터부(400)는 수용부(300)에 연결되어 오폐수를 전처리 하게 된다. 전처리 필터부(400)는 자동 스크리닝 씨브 타입으로 스크루에 의해 이물질이 배출되는 천공된 반원통형 금속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리닝 씨브에 걸러진 고형 폐기물을 스크루를 통해 위쪽으로 배출되지만 필터링된 오폐수는 중력 또는 펌프에 의해 배관을 타고 수용부(300)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은 오폐수를 살수여상에 의하여 생물학적 전처리 하는 단계, 물리화학적 탈인산염 처리 단계, 인공습지에 의한 질산화-탈질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인공습지로 공급되는 단계는 교반된 오폐수의 인산염과 입자상 인의 침전물을 포함하는 슬러지를 상부 표면부에서 회수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슬러지를 상부 표면부에서 회수하는 공정은 수직흐름형 인공습지(200)의 비침수된 상부구역(210)에 토양 센서(211)가 설치되어 수분, 전기전도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고, 측정값에 따라 상기 비침수된 상부구역(210)에 침전물을 회수할 수 있다.
한편, 인공습지로 공급되는 단계는 수직흐름형 인공습지(200)의 비침수된 상부구역에 토양센서(211)가 설치되어 수분, 전기전도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고, 측정값에 따라 여재의 유지관리를 시행하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오폐수의 처리 공정을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수용부(300)에 수용된 오폐수를 펌프를 이용하여 생물학적 전처리 공정으로 이송한다. 이송된 오폐수는 생물학적 전처리 단계를 통해 유기물이 제거될 수 있다. 생물학적 전처리 단계는 오폐수를 고정상 여재(110)의 상부에 살수하여 미생물(박테리아 등) 작용에 의하여 용해성 유기물을 제거하는 것이다.
고정상 여재(110)는 처리될 오폐수의 고정상 미생물 배양을 위한 설비이다. 고정상 여재(110)는 다중 채널 튜브 또는 골판지 형태의 정렬된 라이닝으로 구성되며 교차흐름 방식으로 인해 고농도의 미생물을 부착할 수 있는 넓은 표면적을 가진다.
생물막내 미생물은 생분해 가능한 유기물의 일부를 소비하고 미생물 대사와 합성을 통하여 여재에 고정된다. 생물막이 두꺼워지면 고정상 여재(110)에서 탈리되어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상 여재(110)를 통과하여 생물학적으로 전처리된 오폐수는 배관을 통해 수용부(300)로 이송될 수 있다.
생물학적 전처리 공정을 거쳐 수용부(300)로 이송된 오폐수는 물리화학적 탈인산염 처리 단계를 거치게 된다. 오폐수의 물리화학적 탈인산염 처리는 일반적으로 생물학적 질산화-탈질소 처리 전에 오폐수 또는 정화 슬러지에 인산염을 침전시킬 수 있는 응집제를 주입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응집제를 주입한 다음 오폐수를 교반하여 오폐수에 응집제가 균등하게 분산 및 혼합될 수 있도록 유도될 수 있다.
한편 수용부(300)에는 전처리 필터부(400)를 거친 오폐수와 생물학적 전처리 공정을 거친 오폐수가 혼합되어 있을 수 있다. 수용부(300)의 수위는 전처리 필터부(400)로부터 유입되는 오폐수의 양과 질산화-탈질 처리를 위한 수직흐름형 인공습지(200)의 처리 조건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생물학적 전처리 공정을 거친 오폐수는 질산화-탈질 처리를 위하여 수직흐름형 인공습지(200)로 이송될 수 있다. 이 때, 인공습지로 공급하는 단계는 교반된 오폐수의 인산염과 입자상 인의 침전물을 포함하는 슬러지를 수직흐름형 인공습지(200) 상부 표면부에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수용부(300)의 오폐수는 자연유하 또는 펌프에 의하여 수직흐름형 인공습지(200) 상부 표면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응집 침전된 인 및 미립자 인을 함유하는 슬러지는 갈대 등이 심어진 수직흐름형 인공습지(200)의 표면으로 이동하여 인공습지의 표면을 준설할 때 제거될 수 있다.
이때 수직흐름형 인공습지(200)는, 불투과성 재료의 바닥과 측벽으로 구성된 내부공간에 자갈과 모래 등으로 채워진 필터베드(230), 상기 필터베드(230) 바닥에 형성되어 오폐수가 이동하는 배수로(240), 및 상기 배수로(240)에 연결되어 오폐수를 배출하는 오폐수배출장치(250)를 포함할 수 있다.
오폐수는 갈대 등의 정수식물(A)이 심어진 필터베드(230) 상부 표면에 분무 또는 살포될 수 있다. 분무 또는 살포는 필터베드(230) 상부 표면에 설치된 고정식 또는 이동식 분무/살포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필터베드(230)의 상부 표면에 설치된 분무 노즐(133)은 식물이 무성하게 성장시 사용이 제한적일 수 있다.
이때 오폐수를 침수방식에 의하여 필터베드(230)에 공급할 수 있다. 침수방식에 의한 공급은 갈대 등이 심어진 필터베드(230)에 엇갈리게 배치된 공급용 오리피스에 의해 유입될 수 있다. 공급용 오리피스는 갈대가 심어진 필터베드(230)의 상부 표면 위로 나오는 수직 파이프 형태일 수 있다. 공급 오리피스 주위에 골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위에 자갈을 쌓아 대비할 수 있다.
갈대 같은 정수식물(A)이 식재된 필터베드(230)는 터파기 및 되메우기 과정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베드(230)의 바닥과 측벽은 불투과성 재료로 보호용 토목 섬유에 끼워진 지오멤브레인을 설치하여 미처리된 오폐수가 필터베드(230) 주위나 지하로 침투하여 지반환경 및 지하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필터베드(230)는 바닥에서 상부까지 충진재로 채워진다. 필터베드(230)의 층별 충진재의 입도크기는 상이할 수 있으며 그 입도크기는 바닥에서 상부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층은 직경이 20~60mm 조약돌로 깊이는 10cm 이상이며, 중간 자갈층은 직경이 10~20mm 자갈로 깊이는 20cm 이상이며, 중간 여과층은 직경이 4~10mm 자갈로 깊이는 20cm 이상이며, 상부층은 직경이 2~5mm 자갈과 모래가 혼합된 깊이 30cm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폐수는 갈대 등이 식재된 필터베드(230)를 중력에 의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스며들게 된다. 침투된 오폐수는 필터베드(230) 바닥의 배수로(240)로 이동한 다음 오폐수배출장치(250)에 수집된다.
이때 필터베드(230)는 비침수된 상부구역(210)과 침수된 하부구역(220)으로 나누어질 수 있고, 침수된 하부구역(220)의 깊이와 비침수된 상부구역(210)의 깊이는 오폐수배출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오폐수배출장치(250)는 필터베드(230) 내부에 위치하거나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오폐수배출장치(250)에는 배출구(251)를 포함한다. 배출구(251)의 높이는 필터베드(230)의 바닥과 상부 표면층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필터베드(230)를 통과한 오폐수는 배출구(251)의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필터베드(230) 내부를 채우게 된다. 결국 배출구(251)의 높이에 따라 침수 구역과 비침수 구역의 경계가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출구(251)는 오버플로우 타입으로 형성되고, 높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침수 구역과 비침수 구역의 경계 또한 조절할 수 있다.
비침수된 상부구역(210)에서는 갈대와 같은 정수식물(A)의 뿌리 및 줄기가 성장함에 따라 산소 전달 및 오폐수 침투가 촉진될 수 있다. 갈대의 잎과 줄기 시스템을 통하여 충진여재에 산소가 제공되며 성장하는 갈대의 뿌리와 충진여재의 틈새로 공기가 자유롭게 스며들 수 있는 경로가 만들어진다. 또한 갈대의 뿌리 및 줄기가 성장할 수록 수용부(300)로부터 유입되는 오폐수 중의 부유물질로 인한 필터베드(230) 표면의 폐색현상을 방지하여 오폐수가 지속적으로 하부로 침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침수되지 않은 상부의 비침수 구역은 호기성 조건으로 유지된다. 필터베드(230)의 표면으로 유입된 오폐수의 유기 탄소원은 질소를 고정하는 호기성 미생물 군집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필터베드(230) 표면에 형성된 질소 고정 미생물은 암모니아성 질소를 질산성 질소로 변환시키며 유기 탄소원이 침수된 하부구역(220)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러한 침수된 하부구역(220)은 무산소 조건으로 탈질 미생물은 잔류하는 유기 탄소원을 이용하여 질산성 질소를 탈질시킨다.
탈질반응은 침수된 하부구역(220)의 높이가 비침수된 상부구역(210)의 높이보다 큰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서는 침수된 하부구역(220)의 높이가 비침수된 상부구역(210)보다 1.5 내지 4배 정도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침수된 하부구역(220)에서 탈질반응을 위한 접촉시간이 증가하며 탈질에 필요한 유기탄소원 공급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높이 조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출구(251)의 높이 조절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질산화-탈질 처리를 마치고 오폐수배출장치(250)에 의하여 배출된 오폐수는 자연수계로 방류되거나 재순환라인(600)에 의하여 수용부(300)로 재순환될 수 있다. 처리된 오폐수는 자연유하 또는 펌프를 통해 자연수계로 방류 또는 수용부(300)로 이동될 수 있다. 오폐수의 재순환율은 0~200%로 조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습지의 필터베드가 셀로 분리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복수의 셀로 나누어진 필터베드(230)에 오폐수가 교대로 공급되고 배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따라 수직흐름형 인공습지의 필터베드(230)가 3개의 셀로나누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필터베드(230)가 복수의 셀로 나누어지는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서, 반드시 셀이 3개로 나누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베드(230)는 길이방향의 구획판(C)에 의하여 복수의 셀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획판(C)이 2개로 형성되어 3개 이상의 셀로 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다. 순환 순열에 의하여 하나의 셀에 오폐수가 공급되는 나머지 셀에는 오폐수가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교대로 오폐수공급을 순환시켜 공급되지 않은 셀에 충분한 체류시간이 주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필터베드(230) 표면의 슬러지가 안정화될 수 있다. 또한 각 셀에 오폐수를 교대로 공급하여 셀의 처리 능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공급주기는 예를 들어 일주일 동안 지속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베드(230)는 3개의 셀로 구획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용부(300)로부터 오폐수는 순환 순열에 의하여 교대로 각 셀에 공급될 수 있다. 필터베드(230)가 3개의 셀로 구획된 경우 양쪽 외측으로 위치하는 2개의 셀에는 오폐수배출장치(25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서 검은색으로 색칠된 밸브는 잠금(closed)을 의미하고, 흰색 밸브는 열림(open)을 의미한다.
도 5에는 수용부(300)로부터 오폐수가 왼쪽의 셀에 공급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즉, 오폐수가 가장 왼쪽 셀에만 공급되고, 나머지 중간 셀 및 오른쪽 셀에는 오폐수의 공급이 중단된다. 이 경우 왼쪽 셀의 오폐수배출장치(250)는 잠겨 배출이 제한되고, 오른쪽 오폐수배출장치(250)만이 열려 그쪽으로 오폐수가 배출되게 된다.
왼쪽 셀에 공급된 오폐수는 왼쪽 셀을 상부에서 하부로 침투한 다음, 필터베드(230) 바닥 전반에 걸쳐 형성된 배수로(240)를 타고 오른쪽 셀에 형성된 오폐수배출장치(250)로 이동하게 된다.
오폐수를 공급한 셀의 경우에 이미 셀에 존재하고 있던 오폐수가 공급된 오폐수에 의하여 밀려 배수로(240)를 통해 오폐수배출장치(250)로 이동하게 된다. 하지만, 오폐수를 공급하지 않은 셀의 오폐수는 중력에 의하여 서서히 셀을 침투하여 배수로(240)로 이동하는 것으로서 충분한 체류시간을 갖을 수 있다.
이렇게 일시적으로 오폐수 공급이 중단된 셀에는 오폐수가 충분한 체류시간을 갖고 체류할 수 있게 되어 필터베드(230) 표면의 슬러지가 안정화될 수 있고, 셀의 처리 능력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공급되는 셀에서 먼 쪽의 오폐수배출장치(250)가 열리도록 설정되어 각 셀에서 오폐수가 체류하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서는 중앙의 셀에 오폐수가 공급되고 왼쪽, 오른쪽 양쪽의 셀에는 오폐수 공급이 중단된다. 오폐수가 공급되지 않는 셀은 오폐수의 충분한 체류시간을 확보하게 된다. 한편, 중앙의 셀에 오폐수 공급시 양쪽에 형성된 오폐수배출장치(250)는 열림으로 설정하여 양쪽을 통해 오폐수가 배출될 수 있다.
도 7은 오른쪽 셀에 오폐수가 공급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가장 오른쪽 셀에 오폐수가 공급되면 가장 왼쪽 셀의 오폐수배출장치(250)를 개방하여 그쪽으로 오폐수를 배출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오폐수가 공급되는 셀의 오폐수의 배출은 촉진되는 반면, 오폐수가 공급되지 않는 셀의 오폐수는 천천히 배출되게 된다.
또한 오폐수가 공급되는 셀도 가장 먼 곳의 오폐수배출장치(250)를 통해 배출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최장거리 배수를 유도하여 해당 셀도 탈질용 체류시간을 좀더 많이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질산화-탈질 단계의 운전 및 각 셀의 오폐수 공급은 자동운전이 가능하지만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수동운전할 수 있도록 하여 반자동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셀에서 다른 셀로의 순열 주입은 일반적으로 타이머를 사용하여 일정시간 동안 주입 및 중단을 반복적으로 진행하여 자동 교대 운전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수용부(300)에는 수위센서를 설치하여 질산화-탈질 단계에서 셀별 오폐수의 충분한 공급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 후 운전할 수 있다. 이 수위센서를 이용하여 응집제 공급부(500)의 정량펌프와 응집 교반장치의 운전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오폐수배출장치(250) 내부에 침적형으로 설치 가능한 측정센서(2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정 센서(252)는 오폐수 내의 TN, NH4 +, NO3 -, TP, PO4-P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오폐수 내 DO, pH, ORP 등을 추가로 측정하여 시스템 운영의 보조지표로 활용 가능하다.
오폐수 내의 TN, TP 등을 측정하여 전체 인공습지의 오폐수 처리 수질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오폐수 처리 목표의 TP 값을 설정하고, PO4-P의 측정값에 따라 수용부(300)에 투입되는 응집제 양을 제어할 수 있3다. 이때 수용부의 유량이 함께 고려될 수 있다. 제어부(900)는 측정된 PO4-P 값에 따라 응집제 공급부(500)를 제어하여 수용부(300)에 투입되는 응집제 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오폐수배출장치(250) 내의 오폐수의 NH4 + 값은 낮고 NO3 - 값이 높은 경우 질산화는 진행되었으나, 탈질에 필요한 체류시간 또는 탄소원이 부족한 경우로 판단되어 배출구(751)의 높이를 상승시켜 전체 수직형 인공습지의 침수구역을 함께 상승시킬 수 있다. 침수구역의 상승에 따라 오폐수의 탈질산화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배출구(251)의 높이조절은 측정값에 따라 제어부(900)가 배출구의 높이를 제어하게 된다.
반대로 오폐수배출장치(250) 내의 오폐수의 NH4 + 값은 높고 NO3 - 값이 낮은 경우 질산화 공정이 충분히 진행되지 못한것으로 판단되고, 이에 따라 재순환라인(600)을 통한 재순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측정된 NH4 +, NO3 - 값에 따라 제어부는 재순환라인(600)에 형성된 순환제어펌프(610)를 제어하여 재순환 유량을 조절한다.
수용부(300)로 재순환되는 오폐수의 유량을 증가시키면 생물학적 전처리부(100) 또는 수직흐름형 인공습지(200)로 투입되는 오폐수의 투입량이 증가될수 있고, 재순환에 따른 오폐수의 체류시간이 길어지고 오염물질의 제거율이 증가하게 되어 오폐수의 질산화가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0: 생물학적 전처리부
110: 고정상 여재
200: 수직흐름형 인공습지
210: 비침수된 상부구역
211: 토양 센서
220: 침수된 하부구역
230: 필터베드
240: 배수로
250: 오폐수배출장치
251: 배출구
252: 측정 센서
260: 오폐수 공급라인
300: 수용부
310: 제1 펌프
320: 제2 펌프
400: 전처리 필터부
500: 응집제 공급부
600: 재순환라인
610: 순환제어펌프
620: 배출라인
700: 2차 수직흐름형 인공습지
710: 비침수된 상부구역
720: 침수된 하부구역
730: 필터베드
740: 배수로
750 오폐수배출장치
751: 배출구
A: 정수식물
C: 구획판

Claims (21)

  1. 인공습지를 이용하여 오폐수를 처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오폐수를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의 오폐수를 살수 여상에 의하여 전처리하는 생물학적 전처리부; 및
    상기 수용부를 거친 오폐수의 질산화-탈질 처리를 위하여 정수식물이 심어지고, 비침수된 상부구역과 침수된 하부구역으로 구성되는 수직흐름형 인공습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흐름형 인공습지는,
    불투과성 재료의 바닥과 측벽으로 구성된 내부공간에 자갈과 모래 등으로 채워진 필터베드;
    상기 필터베드 바닥에 형성되어 오폐수가 이동하는 배수로; 및
    상기 배수로에 연결되어 오폐수를 배출하는 오폐수배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흐름형 인공습지는,
    상기 필터베드의 바닥과 상기 필터베드의 상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오폐수배출장치로부터 이동된 오폐수의 수위를 조절하여 상기 필터베드를 침수 구역 및 비침수 구역으로 구분할 수 있는 배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는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고, 물리화학적 탈인산염 처리를 위하여 응집제를 공급하여 오폐수의 인산염을 응집/침전시킬 수 있는 응집제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산염이 침전되어 형성된 인산염 침전물은 상기 수직흐름형 인공습지로 이송되어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베드는,
    이웃하는 복수의 셀로 분할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서로 독립한 오폐수배출장치가 양쪽 외곽의 셀에 각각 형성되며, 각 셀의 오폐수 공급과 오폐수배출장치의 작동을 교대로 진행하는 것-외곽의 셀에 오폐수를 공급할 경우 해당 셀의 오폐수배출장치를 잠그고 반대측 외곽 셀의 오폐수배출장치를 개방하고, 중앙셀에 오폐수를 공급할 경우 양쪽 외각 셀의 오폐수배출장치를 동시에 개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오버플로우(overflow)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흐름형 인공습지를 거친 오폐수를 다시 한번 질산화-탈질 처리를 위하여 정수식물이 심어지고, 비침수된 상부구역과 침수된 하부구역으로 구성되는 2차 수직흐름형 인공습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흐름형 인공습지를 거친 오폐수를 상기 수용부로 재순환시킬 수 있는 재순환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어 오폐수의 고형물질을 필터링하여 전처리하여 상기 수용부로 이송하는 전처리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흐름형 인공습지의 침수된 하부구역의 깊이가 비침수된 상부구역의 깊이보다 같거나 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흐름형 인공습지의 침수된 하부구역의 깊이는 상기 2차 수직흐름형 인공습지의 침수된 하부구역의 깊이와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폐수배출장치는,
    TN, NH4 +, NO3 -, TP, PO4-P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TP, PO4-P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에 따라 응집제 공급부로부터 상기 수용부로 공급되는 응집제 투입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TN, NH4 + 및 NO3 -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배출구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흐름형 인공습지를 거친 오폐수를 상기 수용부로 재순환시킬 수 있는 재순환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TN, NH4 + 및 NO3 -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재순환라인의 재순환 유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19. 인공습지를 이용하여 오폐수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오폐수를 살수여상에 의하여 생물학적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생물학적 전처리된 오폐수에 물리화학적 탈인산염 처리를 위하여 응집제를 공급하고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교반된 오폐수의 질산화-탈질 처리를 위하여, 정수식물이 심어지고 비침수된 상부구역과 침수된 하부구역으로 구성되는 수직형 인공습지로 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공습지로 공급되는 단계는 교반된 오폐수의 인산염과 입자상 인의 침전물을 포함하는 슬러지를 상부 표면부에서 회수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슬러지를 상부 표면부에서 회수하는 공정은,
    상기 수직형 인공습지의 비침수된 상부구역에 토양센서가 설치되어 수분, 전기전도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고, 측정값에 따라 상기 비침수된 상부구역에 침전물을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
  20. 삭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습지로 공급되는 단계는,
    상기 수직형 인공습지의 비침수된 상부구역에 토양센서가 설치되어 수분, 전기전도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고, 측정값에 따라 여재의 유지관리를 시행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
KR1020220181329A 2022-12-22 2022-12-22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 KR102618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1329A KR102618913B1 (ko) 2022-12-22 2022-12-22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1329A KR102618913B1 (ko) 2022-12-22 2022-12-22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8913B1 true KR102618913B1 (ko) 2024-01-02

Family

ID=89511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1329A KR102618913B1 (ko) 2022-12-22 2022-12-22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91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745A (ko) * 1998-06-03 2000-01-15 이호인 인공습지를 이용한 하수처리시스템
KR20090101564A (ko) * 2008-03-24 2009-09-29 주식회사 에코탑 오수처리용 인공습지
KR101030690B1 (ko) * 2011-01-24 2011-04-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 및 방법
KR20120000858A (ko) * 2010-06-28 2012-01-0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하폐수 처리 공정의 규칙기반 실시간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303525B1 (ko) * 2013-03-07 2013-09-03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환경친화형 인공습지 축산폐수 처리시스템
KR102147054B1 (ko) * 2020-01-13 2020-08-25 주식회사 모리트 지능형 하폐수 처리 제어시스템을 위한 멀티 수질측정유닛 및 지능형 하폐수 처리 제어시스템(i-mo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745A (ko) * 1998-06-03 2000-01-15 이호인 인공습지를 이용한 하수처리시스템
KR20090101564A (ko) * 2008-03-24 2009-09-29 주식회사 에코탑 오수처리용 인공습지
KR20120000858A (ko) * 2010-06-28 2012-01-0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하폐수 처리 공정의 규칙기반 실시간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030690B1 (ko) * 2011-01-24 2011-04-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 및 방법
KR101303525B1 (ko) * 2013-03-07 2013-09-03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환경친화형 인공습지 축산폐수 처리시스템
KR102147054B1 (ko) * 2020-01-13 2020-08-25 주식회사 모리트 지능형 하폐수 처리 제어시스템을 위한 멀티 수질측정유닛 및 지능형 하폐수 처리 제어시스템(i-mo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987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urification of agricultural animal waste
US20140061124A1 (en) Effluent treatment process and plant
CN203768124U (zh) 一种用于微污染水处理的生态滤池
KR101241817B1 (ko) 매립장 침출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1030690B1 (ko)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 및 방법
CN103951064A (zh) 一种用于微污染水处理的生态滤池
Kucuk et al. Removal of ammonia from tannery effluents in a reed bed constructed wetland
KR20000072363A (ko) 인공습지를 이용한 자연정화 촉진방법 및 그 장치
KR100561171B1 (ko) 무동력 수로형 인공습지 및 이를 이용한 자연형하천정화공법
CN104961297B (zh) 一种一体化污水生态处理塔
KR100460463B1 (ko) 정원형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Brissaud et al. Infiltration percolation for reclaiming stabilization pond effluents
CN206051786U (zh) 多级生态组合的污水深度处理系统
KR102618913B1 (ko)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
CN204874019U (zh) 生态沟净水系统
Henrich et al. Energy-efficient wastewater reuse–the renaissance of trickling filter technology
KR100561170B1 (ko) 폭기식 인공습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수, 오수,폐수등의 고도 처리 방법
Heal Constructed wetlands for wastewater management
JP2611148B2 (ja) 2系統並列式酸化処理施設
KR200303060Y1 (ko) 인위적인 공기공급식 자연친화형 하수 처리장치
KR200220403Y1 (ko) 반송습지법을 이용한 오수처리장치
CN111943434A (zh) 一种微污染饮用水水源生物生态修复系统及方法
Heinzmann et al. An integrated water management concept to ensure a safe water supply and high drinking water quality on an ecologically sound basis
KR200251872Y1 (ko) 인공습지를 이용한 자연정화 장치
CN110540349A (zh) 一种分散式生活污水处理回用系统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