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439B1 - Ap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 및 이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 - Google Patents

Ap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 및 이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0439B1
KR101030439B1 KR1020090090852A KR20090090852A KR101030439B1 KR 101030439 B1 KR101030439 B1 KR 101030439B1 KR 1020090090852 A KR1020090090852 A KR 1020090090852A KR 20090090852 A KR20090090852 A KR 20090090852A KR 101030439 B1 KR101030439 B1 KR 101030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data
module
reception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3380A (ko
Inventor
이정용
Original Assignee
(주)엔스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스퍼트 filed Critical (주)엔스퍼트
Priority to KR1020090090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0439B1/ko
Publication of KR20110033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 및 이를 이용한 AP 기능 상태확인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액자가 미리 저장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 또는 음향데이터를 포함하는 앨범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전자액자가 WiMAX망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WiMAX모듈의 송수신감도를 측정한다. 상기 전자액자가 상기 송수신감도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영상데이터에 대한 영상이펙트 처리과정 또는 상기 음향데이터에 대한 음향이펙트 처리과정을 거쳐 상기 영상데이터 또는 음향데이터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이펙트 처리과정은, 상기 영상데이터 블러(Blur) 처리, 경고팝업메시지 출력, 상기 영상데이터의 다른 영상데이터로의 전환처리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음향이펙트 처리과정은, 상기 음향데이터 볼륨(Volume) 크기 감쇄처리일 수 있다.
AP, 전자액자, 변환, 송수신감도

Description

AP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 및 이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Electronic picture frame having AP function and method for confirming AP function stat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액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사용자단말에 대한 AP 기능을 수행하며, AP 기능에 대한 작동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 및 이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하는 사진이나 그림을 소정의 액자의 크기에 맞추어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현상하고, 그 확대 또는 축소된 사진이나 그림을 액자에 넣어 가정, 사무실 등에 진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액자는 한두 장의 사진이나 그림밖에 진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사진이나 그림으로 교환할 경우에는 그 교환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액자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전자액자이다. 전자액자는 복수의 영상데이터가 저장된 기록매체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인출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킨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액자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자액자는 입력부(40), 출력부(60), 입출력포트(70), 제어부(80) 및 외장메모리(90)를 구비한다.
입출력포트(70)에는 출력부(60)에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데이터가 저장된 외장메모리(90)가 삽입된다. 입력부(40)는 사용자로부터 외장메모리(90)에 저장된 영상데이터에 순서를 부여하는 명령을 수신한다. 이때, 순서가 부여된 각각의 영상데이터에는 출력부(60)에 표시될 시간이 함께 부여되며, 입력부(40)는 영상데이터에 부여된 순서명령과 함께 부여된 표시시간을 수신한다. 입력부(40)에 의해 수신된 순서명령, 표시시간 등의 사용자명령은 입력부(40)에 의해 제어부(80)로 송신된다. 제어부(80)는 입력부(4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명령에 따라 영상데이터가 인출될 수 있도록 입출력포트(70)를 제어한다. 입출력포트(70)는 제어부(80)에 의해 제어되며, 사용자명령에 따라 부여된 순서대로 외장메모리(90)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인출하여 제어부(80)에 전송한다. 제어부(80)는 수신한 영상데이터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표시시간에 따라 출력부(60)에 표시시킨다.
그런데, 종래의 전자액자는 제조비용에 비하여 기능이 단순하며, 주로 정적인 영상 내지 정보를 표현하는데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이용되는 분야가 극히 한정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WiMAX와 같은 차세대 무선 광대역 통신기술을 전자액자에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수행되고 있다. 802.16 WiMAX 기술은, 핫 스팟(hot spot)을 중심으로 옥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기술인 WiFi 보다 그 기능 및 범위가 확장된 광역, 옥외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세대 무선 광대역 통신 기술이다. Wi-Fi(802.11b/g)의 커버리지(coverage)는 30 m ~ 200 m 정도이고 전송속도도 4 Mbps 내지 11Mbps에 불과한 반면, WiMAX는 10 Km까지 커버리지를 확대시킬 수 있고 전송속도도 최대 40 Mbps까지 가능하여 상당한 기술적 우위를 갖는 기술이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서는 전자액자가 갖는 집안과 같은 특정 장소의 주로 한 곳에 고정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특성을 이용해 전자액자에 테더링(tethering) 기능을 추가하여 정보기기마다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별도로 다양한 방식의 단말기로 모바일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전자액자에 AP 기능을 부가하기 위한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 및 이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AP 기능이 부가된 전자액자의 출력되는 화면을 통해 전자액자가 AP로 작동되는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 및 이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액자가 다수의 사용자단말 중 특정 사용자단말과의 송수신감도가 낮은 사용자단말로부터 앨범데이터를 수신할 경우 WiMAX망에 연결된 콘텐츠서버를 거쳐 앨범데이터를 수신 가능하도록 하는 AP 기능을 수행 하는 전자액자 및 이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은, 전자액자가, 미리 저장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 또는 음향데이터를 포함하는 앨범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1 단계; 상기 전자액자가, WiMAX망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WiMAX모듈의 송수신감도를 측정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전자액자가, 상기 송수신감도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영상데이터에 대한 영상이펙트 처리과정 또는 상기 음향데이터에 대한 음향이펙트 처리과정을 거쳐 상기 영상데이터 또는 음향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이펙트 처리과정은, 상기 영상데이터 블러(Blur) 처리, 경고팝업메시지 출력, 상기 영상데이터의 다른 영상데이터로의 전환처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음향이펙트 처리과정은, 상기 음향데이터 볼륨(Volume) 크기 감쇄처리일 수 있다.
상기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의 제 2 단계는, 상기 전자액자가, 상기 WiMAX망에 연결된 콘텐츠서버로 주기적인 확인 메 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수신하는 방식에 의해 상기 송수신감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은, 전자액자가, 미리 저장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 또는 음향데이터를 포함하는 앨범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1 단계; 상기 전자액자가, 다수의 사용자단말과 WiFi 통신을 위한 각 송수신채널을 설정하고, 상기 각 송수신채널의 송수신감도를 측정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전자액자가, 상기 각 송수신채널의 송수신감도를 상기 영상데이터가 출력되는 화면 상에 분할하여 출력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의 제 3 단계는, 상기 전자액자가, 상기 송수신채널의 송수신감도가 임계치 이하인 사용자단말이 있는 경우 상기 임계치 이하인 사용자단말에 해당하는 상기 영상데이터 부분에 대해 영상이펙트 처리과정을 거쳐 상기 영상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영상이펙트 처리과정은, 상기 영상데이터 블러(Blur) 처리, 경고팝업메시지 출력, 상기 영상데이터의 다른 영상데이터로의 전환처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은, 전자액자가, WiFi모듈로 다수의 사용자단말 중 제 1 사용자단말로부터 앨범데이터 전송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전자액자가, 상기 앨범데이터 전송요청신호 수신에 따라, 상기 송수신 채널의 송수신감도를 측 정하여 출력하는 제 2 단계; 상기 전자액자가, 상기 송수신채널의 송수신감도가 상기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 1 사용자단말에게 콘텐츠서버로 앨범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알림신호를 전송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1 사용자단말이, WiMAX 통신을 통해 상기 콘텐츠서버로 상기 앨범데이터 및 상기 전자액자의 식별문자를 전송에 따라, 상기 식별문자에 해당하는 상기 전자액자는 상기 콘텐츠서버로부터 상기 앨범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의 제 4 단계는, 상기 전자액자가, 상기 콘텐츠서버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WiMAX모듈의 송수신감도를 측정하고, 상기 WiMAX모듈의 송수신감도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의 제 4 단계는, 상기 전자액자가, 상기 송수신채널의 송수신감도가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상기 제 1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WiFi모듈을 통해 상기 앨범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은, 전자액자가, 외부네트워크인 제 1 데이터망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 1 송수신모듈의 제 1 송수신감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 1 송수신감도가 제 1 임계치 이하인 경우 제 1 영상이펙트를 처리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전자액자가, 홈네크워크인 제 2 데이터망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 2 송수신모듈의 제 2 송수신감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 2 송수신감도가 제 2 임계 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 1 영상이펙트와 구별되는 제 2 영상이펙트를 처리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송수신모듈은, WiMAX모듈, WiBro모듈 중 어느 하나이며, 제 2 송수신모듈은, WiFi모듈, 블루투스모듈, UWB모듈, 지그비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 1 영상이펙트 및 상기 제 2 영상이펙트는, 상기 전자액자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 블러(Blur) 처리, 경고팝업메시지 출력, 상기 영상데이터의 다른 영상데이터로의 전환처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는, WiMAX망을 통해 콘텐츠서버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WiMAX모듈; WiFi 통신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단말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WiFi모듈; 및 미리 저장되거나 상기 WiMAX모듈 또는 상기 WiFi모듈을 통해 수신된 영상데이터 또는 음향데이터를 포함하는 앨범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WiMAX모듈의 송수신감도를 측정하고, 상기 송수신감도가 제 1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영상데이터에 대한 제 1 영상이펙트 처리과정 또는 상기 음향데이터에 대한 음향이펙트 처리과정을 거쳐 상기 영상데이터 또는 상기 음향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영상이펙트 처리과정은, 상기 영상데이터 블러(Blur) 처리, 경고팝업메시지 출력, 상기 영상데이터의 다른 영상데이터로의 전환처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음향이펙트 처리과정은, 상기 음향데이터 볼륨(Volume) 크기 감쇄처리 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사용자단말과 상기 WiFi 통신을 통한 각 송수신채널을 설정하도록 상기 WiFi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각 송수신채널의 송수신감도를 측정한 뒤, 상기 각 송수신채널의 송수신감도를 상기 영상데이터가 출력되는 화면 상에 분할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채널의 송수신감도가 제 2 임계치 이하인 사용자단말이 있는 경우 상기 제 2 임계치 이하인 사용자단말에 해당하는 상기 영상데이터 부분에 대해 제 2 영상이펙트 처리과정을 거쳐 상기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상이펙트 처리과정은, 상기 영상데이터 블러(Blur) 처리, 경고팝업메시지 출력, 상기 영상데이터의 다른 영상데이터로의 전환처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사용자단말 중 제 1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앨범데이터 전송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WiFi모듈의 송수신감도를 측정하고, 상기 WiFi모듈의 상기 송수신감도가 제 3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 1 사용자단말에게 상기 콘텐츠서버로 상기 앨범데이터를 전송 요청하는 알림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WiFi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제 1 사용자단말의 WiMAX 통신을 이용한 상기 콘텐츠서버로 상기 앨범데이터 전송에 따라, 상기 콘텐츠서버로부터 상기 앨범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WiFi모듈의 송수신감도가 상기 제 3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상기 제 1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WiFi 통신을 통해 상기 앨범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는, 외부네트워크인 제 1 데이터망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 1 송수신모듈; 홈네크워크인 제 2 데이터망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 2 송수신모듈; 및 상기 제 1 송수신모듈의 제 1 송수신감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 1 송수신감도가 제 1 임계치 이하인 경우 제 1 영상이펙트를 처리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 2 송수신모듈의 제 2 송수신감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 2 송수신감도가 제 2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 1 영상이펙트와 구별되는 제 2 영상이펙트를 처리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송수신모듈은, WiMAX모듈, WiBro모듈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제 2 송수신모듈은, WiFi모듈, 블루투스모듈, UWB모듈, 지그비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 1 영상이펙트 및 상기 제 2 영상이펙트는 상기 전자액자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 블러(Blur) 처리, 경고팝업메시지 출력, 상기 영상데이터의 다른 영상데이터로의 전환처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 및 이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은 전자액자가 AP로 기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AP 기능이 부가된 전자액자의 출력되는 화면을 통해 전자액자가 AP로 작동되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해, 전자액자가 다수의 사용자단말 중 특정 사용자단말과의 송수신감도가 낮은 사용자단말로부터 앨범데이터를 수신할 경우 WiMAX망에 연결된 콘텐츠서버를 거쳐 앨범데이터를 수신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를 포함하는 전체적인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액자를 포함하는 전체적인 시스템은 전자액자(100), WiMAX망(300), 콘텐츠서버(400) 및 다수의 사용자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액자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다른 부가적인 기능인 AP 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 전자액자(100)를 개시한다.
전자액자(100)는 미리 저장되거나 외부(다수의 사용자단말(500) 또는 유선단말 등)로부터 수신된 앨범데이터를 지정하는 방식 또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앨범데이터는 영상데이터 및 음향데이터를 포함한다.
전자액자(100)는 AP 기능 상태확인을 위한 제 1 선택신호를 WiMAX 통신을 통해 WiMAX망(300)에 대한 송수신감도를 측정한다.
전자액자(100)는 AP 기능 상태확인을 위한 제 2 선택신호를 입력 받고 WiFi 통신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단말(500: 500_1 내지 500_n, n은 자연수)에 대한 송수신감도를 측정한다.
전자액자(100)는 WiMAX망(300)과 다수의 사용자단말(500)에 대한 송수신감도를 화면 위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전자액자(100)는 다수의 사용자단말(500: 500_1 내지 500_n) 중 불특정 단말인 제 1 사용자단말로부터 WiFi 통신을 통해 앨범데이터 전송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제 1 사용자단말에 대한 송수신감도를 측정하여 출력한다.
이때, 전자액자(100)는 송수신감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경우 제 1 사용자단말에게 콘텐츠서버(400)로 앨범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요청한 뒤, 해당 전송에 따라 콘텐츠서버(400)로부터 앨범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WiMAX망(300)은 접근서비스망(Access Service Network, ASN)(기지국(311), ASN게이트웨이(313)) 및 IP망(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접근서비스망(ASN)은 가입자에게 광대역 무선 접속을 제공하는 망의 집합이다. 접근서비스망(ASN)은 기지국(311)과 ASN게이트웨이(313)를 포함하며, 기지 국(311)과 다수의 사용자단말(500)의 연결설정, 망 발견(network discovery), 망 선택(network selection), 무선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지원한다.
기지국(311)은 다수의 사용자단말(500)과 ASN게이트웨이(313)를 연결하고, 무선링크와 유선링크에 적합하도록 신호포맷을 변환하는 등 기지국의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ASN게이트웨이(313)는 세션 이동성 관리(session mobility management), 접근서비스망(ASN) 무선자원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311)과 ASN게이트웨이(313)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장치 또는 독립된 두 개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논리적으로 하나의 장치로 볼 수 있다.
IP망(330)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설 사업자 망으로서 국가 통신 기간 사업자가 관리하고 운용하는 공중망에 접속될 수 있다. 또는 운영자 IP망(330) 자체가 공중망일 수도 있다.
한편, WiMAX망(300)은 접속서비스망(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접속서비스망은 운영자가 제공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 가입자에게 인터넷,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등과 같은 응용 서비스의 연결, 이동 IP(mobile IP)의 홈에이전트(Home Agent), 인증 및 과금 기능, 위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망의 집합이다. WiMAX망(300)은 전자액자(100), 콘텐츠서버(400), 다수의 사용자단말(500), 그리고 그 밖의 시스템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콘텐츠서버(400)는 전자액자(100)와의 WiMAX 통신을 통해 송수신감도를 측정 하기 위한 객체가 된다. 즉, 콘텐츠서버(400)는 전자액자(100)로부터 송수신감도를 확인하기 위한 주기적인 확인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전자액자(100)에 의해 WiMAX망(300)에 대한 송수신감도를 측정하도록 한다.
다수의 사용자단말(500)은 전자액자(100)와의 WiFi 통신을 통해 송수신감도를 측정하기 위한 객체가 된다. 다수의 사용자단말(500)은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100)의 WiFi 통신 영역이 미치는 영역에 위치하는 단말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구성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단말은 LAN 포트를 통해 유선으로 전자액자(10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전자액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자액자(100)는 WiMAX모듈(110), WiFi모듈(120), WAN/LAN모듈(130), 입력부(140), 저장부(150), 출력부(160), 입출력포트(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WiMAX모듈(110)은 건물 밖으로 인터넷 사용반경을 대폭 넓힐 수 있도록 기존의 무선랜(802.11a/b/g) 기술을 보완한 휴대 인터넷 기술을 제공하는 모듈이다. WiMAX모듈(110)은 WiMAX망(300)을 통해 콘텐츠서버(4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WiMAX모듈(110)은 콘텐츠서버(400)와의 연결을 수행하며, 연결된 콘텐츠서버(400)와의 데이터 세션 연결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WiMAX모듈(110)은 콘텐츠서버(400)로부터 WiMAX 통신을 통해 앨범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80)로 전송하며, 필요시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저장부(150)에 저장된 앨범데이터를 콘텐츠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의 편의를 위해 WiMAX모듈(110)로 기재하나, WiMAX모듈(110)은 WiBro모듈과 같이 무선 인터넷을 제공하는 외부네트워크와 연결 가능한 모듈로 대체될 수 있다.
WiFi모듈(120)은 2.4㎓대를 사용하는 무선 LAN 규격(IEEE 802.11b)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 기술을 제공하는 모듈이다. WiFi모듈(120)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을 형성하는 다수의 사용자단말(500: 500_1 내지 500_n, n은 자연수)과 WiFi 통신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WiFi모듈(120)은 다수의 사용자단말(500)과의 연결을 수행하며, 연결된 다수의 사용자단말(500)과의 데이터 세션 연결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WiFi모듈(120)은 다수의 사용자단말(500)로부터 앨범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80)로 전송하며, 필요시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저장부(150)에 저장된 앨범데이터를 다수의 사용자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의 편의를 위해 WiFi모듈(120)로 기재하나, WiFi모듈(120)은 블루투스모듈, UWB모듈, 지그비모듈과 같이 로컬 에어리어(Local Area) 영역에서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모듈로 대체될 수 있다.
입력부(140)는 다수의 입력 키를 포함하며, AP 기능 상태확인을 위한 제 1 선택신호 또는 제 2 선택신호를 입력 받는다. 입력부(140)는 각 입력에 따라 제 1 선택신호 및 제 2 선택신호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저장부(150)는 단말 동작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저장부(15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콘텐츠서버(400) 및/또는 다수의 사용자단말(500)로부터 WiMAX모듈(110) 및/또는 WiFi모듈(120)을 통해 앨범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전자액자(100)에 내장되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NVM)로써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데이터를 계속 유지하며 삭제되지 않으며,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MRAM(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PRAM(Phase-change Random Access memory: 상변화 램), FRAM(Ferroelectric RAM: 강유전체 램)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160)는 영상출력부(161)와 음향출력부(163)를 포함한다. 영상출력부(161)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 및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통상적으로, 영상출력부(161)는 입력부(140)를 통해 입력하는 문자, 그리고 멀티미디어 모듈 실행시 해당 멀티미디어 모듈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영상출력부(161)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앨범데이터에 포함된 영상데이터, 송수신감도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음향출력부(163)는 각종 데이터에 포함된 음향데이터, 버튼 입력시 효과음, 그리고 멀티미디어 모듈 실행시 해당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관련해서 출력되는 음향데이터 등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스피커를 내장한다. 음향출력부(163)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앨범데이터에 포함된 음향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입출력포트(160)는 USB메모리 또는 SD카드와 같은 외장메모리와의 연결을 수행하며, 연결된 외장메모리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즉, 입출력포트(160)는 외장메모리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수신한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40)로부터 입력된 AP 기능 상태확인을 위한 제 1 선택신호에 따라 콘텐츠서버(4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WiMAX모듈(110)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40)로부터 입력된 AP 기능 상태확인을 위한 제 2 선택신호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단말(500: 500_1 내지 500_n, n은 자연수)과 송수신 채널을 설정하고,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WiFi모듈(120)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40)로부터 제 1 또는 제 2 선택신호 수신에 따라 콘텐츠서버(400) 또는 다수의 사용자단말(500)로 송수신감도를 확인하기 위해 주기적인 확인메시지를 전송하도록 WiMAX모듈(110) 또는 WiFi모듈(120)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콘텐츠서버(400) 또는 다수의 무선단말(500)로부터 응답메시지를 수신하도록 WiMAX모듈(110) 또는 WiFi모듈(120)를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응답메시지의 수신을 통해 WiMAX모듈(110) 또는 WIFi모듈(120)의 송수신감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WiMAX모듈(110)의 송수신감도가 제 1 임계치 이하인 경우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50)에 저장된 앨범데이터 중 영상데이터에 대한 제 1 영상이펙트 처리과정을 거쳐 영상출력부(161)로 출력을 하거나, 앨범데이터 중 음 향데이터에 대한 제 1 음향이펙트 처리과정을 거쳐 음향출력부(163)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WiMAX모듈(110)에 대한 송수신감도가 제 1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제 1 영상이펙트 처리과정을 거치지 않고 앨범데이터를 출력부(160)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제 1 영상이펙트 처리과정은, 영상데이터 블러(Blur) 처리, 경고팝업메시지 출력, 영상데이터의 다른 영상데이터로의 전환처리 중 어느 하나이며, 음향이펙트 처리과정은, 음향데이터 볼륨(Volume) 크기 감쇄처리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WiFi모듈(120)에 의해 설정된 다수의 사용자단말(500)로 설정된 각 송수신채널에 대한 송수신감도를 출력부(160) 중 영상출력부(161)의 분할된 화면 위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각 송수신채널의 송수신감도가 제 2 임계치 이하인 사용자단말이 있는 경우 제 2 임계치 이하인 사용자단말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 부분에 대해 제 2 영상이펙트 처리과정을 거쳐 출력부(160)로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제 2 영상이펙트 처리과정은, 영상데이터 블러(Blur) 처리, 경고팝업메시지 출력, 영상데이터의 다른 영상데이터로의 전환처리 등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80)는 다수의 사용자단말(500: 500_1 내지 500_n) 중 제 1 사용자단말로부터 앨범데이터 전송요청신호를 수신하도록 WiFi모듈(120)을 제어한다. 여기서 앨범데이터 전송요청신호는 제 1 사용자단말이 전자액자(100)로 앨범데이터를 전송하겠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제어부(180)는 앨범데이터 전송요청신호 수신에 따라 제 1 사용자단말에 대해 설정된 송수신 채널에 대한 송수신감도를 측정하도록 WiFi모듈(120)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제 1 사용자단말과 관련된 WiFi모듈(120)의 송수신감도를 출력부(160) 중 영상출력부(161)의 화면 위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제어부(180)는 WiFi모듈(120)의 송수신감도가 제 3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WiFi 통신을 통해 전자액자(100)로 앨범데이터를 전송하도록 WiFi모듈(120)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전자액자(100)는 제 1 사용자단말로부터 앨범데이터를 수신하여, 앨범데이터를 출력한다.
한편, 제어부(180)는 WiFi모듈(120)의 송수신감도가 제 3 임계치 이하인 경우, 제 1 사용자단말이 WiMAX 통신 또는 CDMA(WCDMA) 통신을 통해 콘텐츠서버(400)로 앨범데이터 및 전자액자(100)의 전자액자(100)의 식별문자 전송에 따라 콘텐츠서버(400)로부터 앨범데이터를 WiMAX 통신을 통해 수신하도록 WiMAX모듈(110)을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180)는 앨범데이터를 수신하는 WiMAX모듈(110)의 송수신감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때 측정된 WiMAX모듈(110)의 송수신감도 및 앨범데이터를 제어부(160) 중 영상출력부(161)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WAN/LAN모듈(130)은 본 발명의 부가적인 구성요소로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WAN 포트를 구비한 WAN모듈과 내부의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LAN 포트를 구비한 LAN모듈로 형성된다. WAN/LAN모듈(130)은 필요시 WAN 포트로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하고, LAN 포트로 유선단말을 연결함으로써, 유선 AP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전자액자(100)는 저장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된 앨범데이터를 지정하는 방식 또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출력부(160)로 출력한다(S701). 여기서 앨범데이터는 영상데이터 및 음향데이터를 포함한다.
전자액자(100)는 입력부(140)로 AP 기능 상태확인을 위한 제 1 선택신호를 입력 받는다(S703).
전자액자(100)는 제 1 선택신호에 따라 외부네트워크인 WiMAX망(30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WiMAX모듈(100)의 송수신감도를 측정한다(S705).
이 경우 전자액자(100)는 콘텐츠서버(400)로 송수신감도를 확인하기 위해 주기적인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식에 의해 송수신감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전자액자(100)는 측정된 WiMAX모듈(110)의 송수신감도가 제 1 임계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707).
단계(S707)의 판단결과 송수신감도가 제 1 임계치 이하인 경우 전자액자(100)는 앨범데이터 중 영상데이터에 대한 제 1 영상이펙트 처리과정을 거쳐 출력하거나 음향데이터에 대한 제 1 음향이펙트 처리과정을 거쳐 출력한다(S709).
제 1 영상이펙트 처리과정은, 영상데이터의 블러(Blur) 처리, 경고팝업메시 지 출력, 영상데이터의 다른 영상데이터로의 전환처리 등이 될 수 있으며, 제 1 음향이펙트 처리과정은, 음향데이터의 볼륨(Volume) 크기 감쇄처리일 수 있다.
한편, 단계(S707)의 판단결과 송수신감도가 제 1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전자액자(100)는 단계(S709)의 처리과정을 거치지 않고 앨범데이터를 출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전자액자(100)는 저장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된 앨범데이터를 지정하는 방식 또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출력부(160)로 출력한다(S801).
전자액자(100)는 입력부(140)로 AP 기능 상태확인을 위한 제 2 선택신호를 입력 받는다(S803).
전자액자(100)는 다수의 사용자단말(500: 500_1 내지 500_n, n은 자연수)과 WiFi모듈(120)을 통한 각 송수신 채널을 설정한다(S805).
전자액자(100)는 설정된 채널을 통해 현재의 다수의 무선단말(500)과의 송수신채널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주기적인 확인메시지를 전송한다(S807).
전자액자(100)는 다수의 무선단말(500)로부터 응답메시지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WiFi모듈(120)에 의해 설정된 각 송수신채널에 대한 송수신감도를 측정한다(S809).
전자액자(100)는 각 송수신 채널에 대한 송수신감도를 분할된 화면 위에 출력한다(S811). 이 경우 도시되진 않았지만, 전자액자(100)는 분할된 화면 위에 출 력된 각 송수신 채널에 대한 송수신감도가 제 2 임계치 이하인 사용자단말이 있는 경우 해당 분할된 화면 중 해당 사용자단말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 부분에 대해 제 2 영상이펙츠 처리과정을 거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영상이펙트 처리과정은, 영상데이터의 블러(Blur) 처리, 경고팝업메시지 출력, 영상데이터의 다른 영상데이터로의 전환처리 등이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전자액자(100)는 WiFi모듈(120)로 다수의 사용자단말(500: 500_1 내지 500_n) 중 제 1 사용자단말로부터 WiFi모듈(120)을 통해 앨범데이터 전송요청신호를 수신한다(S901). 여기서 앨범데이터 전송요청신호는 제 1 사용자단말이 전자액자(100)로 앨범데이터를 전송하겠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앨범데이터 전송요청신호 수신에 따라 전자액자(100)는 제 1 사용자단말과 WiFi모듈(120)을 통한 송수신 채널을 설정한다(S903).
전자액자(100)는 설정된 채널을 통해 제 1 사용자단말로 송수신채널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주기적인 확인메시지를 전송한다(S905).
전자액자(100)는 제 1 사용자단말로부터 응답메시지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WiFi모듈(120)에 의해 설정된 송수신 채널에 대한 송수신감도를 측정한다(S907).
전자액자(100)는 WiFi모듈(120)에 대한 송수신감도를 화면 위에 출력하고(S909), WiFi모듈에 대한 송수신감도가 제 3 임계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 다(S911).
단계(S911)의 판단결과 WiFi모듈(120)에 대한 송수신감도가 제 3 임계치 이하인 경우, 전자액자(100)는 제 1 사용자단말로 콘텐츠서버(400)로 앨범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알림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 1 사용자단말은 WiMAX 통신을 통해 콘텐츠서버(400)로 앨범데이터 및 전자액자(100)의 식별문자를 전송한다(S913).
앨범데이터 및 식별문자 수신에 따라, 콘텐츠서버(400)는 앨범데이터를 WiMAX 통신을 통해 식별문자에 해당하는 전자액자(100)로 전송한다(S915).
전자액자(100)는 콘텐츠서버(4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WiMAX모듈(110)에 대한 송수신감도를 측정한다(S917).
전자액자(100)는 단계(S909)에서 출력되던 WiFi모듈(120)에 대한 송수신감도 정보를 WiMAX모듈(110)에 대한 송수신감도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한다(S919).
전자액자(100)는 수신된 앨범데이터를 출력한다(S921).
한편, 단계(S911)의 판단결과 WiFi모듈(120)에 대한 송수신감도가 제 3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제 1 사용자단말은 WiFi 통신을 통해 전자액자(100)로 앨범데이터를 전송한다(S923).
이에 따라, 전자액자(100)는 제 1 사용자단말로부터 앨범데이터를 수신하여(S925), 단계(S921)에 의해 앨범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액자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를 포함하는 전체적인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전자액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액자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을 나타내는 블러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액자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을 나타내는 블러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액자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전자액자 110: WiMAX모듈
120: WiFi모듈 140: 저장부
150: 출력부 160: 입출력포트
161: 영상출력부 163: 음향출력부
180: 제어부 300: WiMAX망
400: 콘텐츠서버 500: 다수의 사용자단말

Claims (22)

  1. 전자액자가, 미리 저장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 또는 음향데이터를 포함하는 앨범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1 단계;
    상기 전자액자가, WiMAX망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WiMAX모듈의 송수신감도를 측정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전자액자가, 상기 송수신감도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영상데이터에 대한 영상이펙트 처리과정 또는 상기 음향데이터에 대한 음향이펙트 처리과정을 거쳐 상기 영상데이터 또는 음향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이펙트 처리과정은,
    상기 영상데이터 블러(Blur) 처리, 경고팝업메시지 출력, 상기 영상데이터의 다른 영상데이터로의 전환처리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음향이펙트 처리과정은,
    상기 음향데이터 볼륨(Volume) 크기 감쇄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전자액자가, 상기 WiMAX망에 연결된 콘텐츠서버로 주기적인 확인 메시 지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수신하는 방식에 의해 상기 송수신감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
  4. 전자액자가, 미리 저장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 또는 음향데이터를 포함하는 앨범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1 단계;
    상기 전자액자가, 다수의 사용자단말과 WiFi 통신을 위한 각 송수신채널을 설정하고, 상기 각 송수신채널의 송수신감도를 측정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전자액자가, 상기 각 송수신채널의 송수신감도를 상기 영상데이터가 출력되는 화면 상에 분할하여 출력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전자액자가, 상기 송수신채널의 송수신감도가 임계치 이하인 사용자단말이 있는 경우 상기 임계치 이하인 사용자단말에 해당하는 상기 영상데이터 부분에 대해 영상이펙트 처리과정을 거쳐 상기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이펙트 처리과정은,
    상기 영상데이터 블러(Blur) 처리, 경고팝업메시지 출력, 상기 영상데이터의 다른 영상데이터로의 전환처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
  7. 전자액자가, WiFi모듈로 다수의 사용자단말 중 제 1 사용자단말로부터 앨범데이터 전송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전자액자가, 상기 앨범데이터 전송요청신호 수신에 따라, 상기 송수신 채널의 송수신감도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제 2 단계;
    상기 전자액자가, 상기 송수신채널의 송수신감도가 상기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 1 사용자단말에게 콘텐츠서버로 앨범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알림신호를 전송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1 사용자단말이, WiMAX 통신을 통해 상기 콘텐츠서버로 상기 앨범데이터 및 상기 전자액자의 식별문자를 전송에 따라, 상기 식별문자에 해당하는 상기 전자액자는 상기 콘텐츠서버로부터 상기 앨범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전자액자가, 상기 콘텐츠서버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WiMAX모듈의 송수신감도를 측정하고, 상기 WiMAX모듈의 송수신감도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 확인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전자액자가, 상기 송수신채널의 송수신감도가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상기 제 1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WiFi모듈을 통해 상기 앨범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
  10. 전자액자가, 외부네트워크인 제 1 데이터망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 1 송수신모듈의 제 1 송수신감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 1 송수신감도가 제 1 임계치 이하인 경우 제 1 영상이펙트를 처리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전자액자가, 홈네크워크인 제 2 데이터망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 2 송수신모듈의 제 2 송수신감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 2 송수신감도가 제 2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 1 영상이펙트와 구별되는 제 2 영상이펙트를 처리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수신모듈은, WiMAX모듈, WiBro모듈 중 어느 하나이며,
    제 2 송수신모듈은, WiFi모듈, 블루투스모듈, UWB모듈, 지그비모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상이펙트 및 상기 제 2 영상이펙트는, 상기 전자액자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 블러(Blur) 처리, 경고팝업메시지 출력, 상기 영상데이터의 다른 영상데이터로의 전환처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
  13. WiMAX망을 통해 콘텐츠서버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WiMAX모듈;
    WiFi 통신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단말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WiFi모듈; 및
    미리 저장되거나 상기 WiMAX모듈 또는 상기 WiFi모듈을 통해 수신된 영상데이터 또는 음향데이터를 포함하는 앨범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WiMAX모듈의 송수신감도를 측정하고, 상기 송수신감도가 제 1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영상데이터에 대한 제 1 영상이펙트 처리과정 또는 상기 음향데이터에 대한 음향이펙트 처리과정을 거쳐 상기 영상데이터 또는 상기 음향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상이펙트 처리과정은,
    상기 영상데이터 블러(Blur) 처리, 경고팝업메시지 출력, 상기 영상데이터의 다른 영상데이터로의 전환처리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음향이펙트 처리과정은,
    상기 음향데이터 볼륨(Volume) 크기 감쇄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사용자단말과 상기 WiFi 통신을 통한 각 송수신채널을 설정하도록 상기 WiFi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각 송수신채널의 송수신감도를 측정한 뒤, 상기 각 송수신채널의 송수신감도를 상기 영상데이터가 출력되는 화면 상에 분할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채널의 송수신감도가 제 2 임계치 이하인 사용자단말이 있는 경우 상기 제 2 임계치 이하인 사용자단말에 해당하는 상기 영상데이터 부분에 대해 제 2 영상이펙트 처리과정을 거쳐 상기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상이펙트 처리과정은,
    상기 영상데이터 블러(Blur) 처리, 경고팝업메시지 출력, 상기 영상데이터의 다른 영상데이터로의 전환처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
  18. 제 13 항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사용자단말 중 제 1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앨범데이터 전송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WiFi모듈의 송수신감도를 측정하고, 상기 WiFi모듈의 상기 송수신감도가 제 3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 1 사용자단말에게 상기 콘텐츠서버로 상기 앨범데이터를 전송 요청하는 알림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WiFi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제 1 사용자단말의 WiMAX 통신을 이용한 상기 콘텐츠서버로 상기 앨범데이터 전송에 따라, 상기 콘텐츠서버로부터 상기 앨범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WiFi모듈의 송수신감도가 상기 제 3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상기 제 1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WiFi 통신을 통해 상기 앨범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
  20. 외부네트워크인 제 1 데이터망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 1 송수신모듈;
    홈네크워크인 제 2 데이터망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 2 송수신모듈; 및
    상기 제 1 송수신모듈의 제 1 송수신감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 1 송수신감도가 제 1 임계치 이하인 경우 제 1 영상이펙트를 처리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 2 송수신모듈의 제 2 송수신감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 2 송수신감도가 제 2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 1 영상이펙트와 구별되는 제 2 영상이펙트를 처리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수신모듈은, WiMAX모듈, WiBro모듈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제 2 송수신모듈은, WiFi모듈, 블루투스모듈, UWB모듈, 지그비모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상이펙트 및 상기 제 2 영상이펙트는 상기 전자액자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 블러(Blur) 처리, 경고팝업메시지 출력, 상기 영상데이터의 다른 영상데이터로의 전환처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
KR1020090090852A 2009-09-25 2009-09-25 Ap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 및 이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 KR101030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852A KR101030439B1 (ko) 2009-09-25 2009-09-25 Ap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 및 이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852A KR101030439B1 (ko) 2009-09-25 2009-09-25 Ap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 및 이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380A KR20110033380A (ko) 2011-03-31
KR101030439B1 true KR101030439B1 (ko) 2011-04-22

Family

ID=43937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852A KR101030439B1 (ko) 2009-09-25 2009-09-25 Ap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 및 이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04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968B1 (ko) * 2011-06-17 2017-02-1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단말 및 이동단말의 동작 방법
KR101585927B1 (ko) * 2014-11-24 2016-01-22 주식회사 탱그램팩토리 전자액자 시스템 및 전자액자로의 이미지 콘텐츠 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3298A (ko) * 2006-02-15 2007-08-24 성아시스템즈(주) 전자액자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방법
KR20080052141A (ko) * 2006-12-05 2008-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액자
KR20090028144A (ko) * 2007-09-14 2009-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액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3298A (ko) * 2006-02-15 2007-08-24 성아시스템즈(주) 전자액자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방법
KR20080052141A (ko) * 2006-12-05 2008-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액자
KR20090028144A (ko) * 2007-09-14 2009-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액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380A (ko) 201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16987B (zh) 用于提供集成的装置信息的设备和方法
KR101540475B1 (ko)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시스템
US201702086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evice using bluetooth technology
CN102106175B (zh) 无线网络中用于基于位置服务的方法和装置
CN110769485A (zh) 使目标终端接入无线接入点提供的目标无线网络的方法
US8953572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mobile network shar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EP30850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use of services available via wireless connection
WO2012083825A1 (zh) 物联网与电信网络融合的方法、系统及设备
CN106028266B (zh) 一种信息传输方法、装置及系统
US20160261994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alizing Terminal WIFI Talkback
TW201536099A (zh) 存取點發起的鄰點報告請求
CN103781158A (zh) 无线网络接入方法及接入装置
CN103650574A (zh) 用于自组织无线网络中的管理信息的传送的设备和方法
KR20140112904A (ko) 모바일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
CN101771959A (zh) 即时通信维持方法、系统及装置
CN104968021A (zh) 一种蓝牙共享网络中的带宽控制方法和设备
CN102647802A (zh) 一种无线数据共享的方法及实现共享的终端
KR101030439B1 (ko) Ap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 및 이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
CN111770094B (zh) 无线网络的接入控制方法及相关装置
CN111050377B (zh) 一种移动终端共享网络连接的方法及移动终端
US9326301B2 (en) Group provisioning of wireless stations of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CN116888988A (zh) 实现网络之间的服务广告和服务发现的双连接设备、用户设备及系统
KR101648057B1 (ko) 무선랜 엑세스 포인트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장치를 통한 인터넷 접속 제어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N103987073A (zh) 基于无线协议扩展的控制方法
JP6721958B2 (ja) 集中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