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2141A - 전자액자 - Google Patents

전자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2141A
KR20080052141A KR1020070027793A KR20070027793A KR20080052141A KR 20080052141 A KR20080052141 A KR 20080052141A KR 1020070027793 A KR1020070027793 A KR 1020070027793A KR 20070027793 A KR20070027793 A KR 20070027793A KR 20080052141 A KR20080052141 A KR 20080052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external
picture frame
fram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7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9719B1 (ko
Inventor
오경석
박태웅
정하재
이준석
김서균
박범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80052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2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7Establishing a secure communication between the client and a peripheral device or smart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1Employing a record carrier using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06F2212/214Solid state disk
    • G06F2212/2146Solid state disk being detachable, e.g.. USB memory

Abstract

본 발명은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전자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디지털 컨텐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저장된 컨텐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메모리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간의 제어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 입력을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하는 전자액자에 있어서, 댁 외부와 쌍방향으로 외부 데이타 컨텐트 또는 외부 제어신호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하는 외부 통신부; 댁내의 다른 전자 장치와 내부 데이타 컨텐트 또는 내부 제어신호의 유선 또는 무선 홈 네트워크 통신을 하는 내부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 또는 내부 제어신호는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외부 또는 내부 데이타 컨텐트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며, 상기 내부 통신부를 통해 홈 네트워크 서버 또는 홈 게이트웨이로서 동작가능한 것을 특징한다.
전자액자, 쌍방향 통신, 홈 네트워크, 원격 제어

Description

전자액자{Electronic picture fr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액자가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하고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액자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3은 촬상부를 이용한 전자액자의 모니터링 기능의 일례를 보여준다.
도 4는 전자액자에 네트워크 모뎀 및 유무선 공유기능이 부가됨에 따른 전자액자의 기능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전자액자와 댁내 홈 네트워크 지원기기와의 통신 및 제어기능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컨텐트를 전자액자에 표시하는 전형적인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7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원격 사용자가 전자액자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쌍방향 통신으로 전달되는 디지털 컨텐트를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 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원격으로 제어도 가능한 전자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액자는 메모리에 다수의 사진, 동영상 등을 저장하고, 그 저장된 파일을 화면에 순차 또는 임의의 순서에 따라 표시하거나 컴퓨터나 디지털 카메라 또는 캠코더 등에 연결하여 이들 장치에서 제공하는 사진 및 동영상을 표시하는 기기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언제 어디서나 통신이 가능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가 제안되고 있으며 이것의 일환으로 가정 내에서 각종 정보를 제공받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홈 네트워크가 속속 실현되고 있다. 홈 네트워크는 가정 내의 정보기기, 통신기기, 정보가전 등이 서로 통신을 하며 인터넷 망 등을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기능은 가정 내 기기의 제어/통신을 수행하며 외부와의 연결에 있어 관문 역할을 수행하는 홈 게이트웨이 또는 홈 서버로서 모뎀(셋톱박스) 및 PC, 휴대폰, 냉장고를 비롯한 가전제품 등이 자신 중심의 서비스 모델과 함께 제시되고 있으나 모두 한계를 갖고 있다.
우선, 모뎀(셋톱박스)은 인터넷과 연결되는 대표적인 기기라는 우위 요소를 가지고 있으나,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에 한계가 있고, TV 및 PC는 항상 작동상태로 유지시켜 두기 힘든 측면이 있으며, 냉장고를 비롯한 가전제품들은 일반적으로 공간 상의 제약이 있다.
반면, 전자액자는 24시간 작동 상태 유지가 가능하고 사용하는 위치의 제약에서 자유로우며 더불어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0인치 내외의 화면 제공) 제공 이라는 측면에서 다른 여타 후보 장치보다도 홈 게이트웨이/홈 서버 장치로서의 우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전자액자는 정지 및 동영상, 음악 등의 표시, 재생 장비로만 사용되고 있을 뿐, 모뎀 및 유무선 공유, 그리고 홈 네트워크 내 장비와의 통신/제어 기능 구현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종래 전자액자는 외부에서 입력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타를 단순히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장치로 그 기능이 제한되어 있을 뿐 쌍방향 통신 기능이 결여되어 있었다.
한편, 종래 홈 네트워크의 서버 기능을 하거나 서버 기능이 부가된 홈 애플리케이션은 댁내에서 사용자가 제어를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입력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자체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사용시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 네트워크 접속 모뎀(셋톱박스) 및 유무선 공유기능을 통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하고, 유무선 통신 기술을 통하여 홈 네트워크 내 장비들과 통신을 수행하고 이러한 장비들을 댁내 및/또는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전자액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부 네트워크나 홈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컨텐트를 전자액자에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외부 네트워크 및 홈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확립한 후, 원격으로 전자액자를 직접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전자액자를 통해 홈 네트워크 장비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디지털 컨텐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저장된 컨텐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메모리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간의 제어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 입력을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하는 전자액자에 있어서, 댁 외부와 쌍방향으로 외부 데이타 컨텐트 또는 외부 제어신호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하는 외부 통신부; 댁내의 다른 전자 장치와 내부 데이타 컨텐트 또는 내부 제어신호의 유선 또는 무선 홈 네트워크 통신을 하는 내부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 또는 내부 제어신호는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외부 또는 내부 데이타 컨텐트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며, 상기 내부 통신부를 통해 홈 네트워크 서버 또는 홈 게이트웨이로서 동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전자액자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통신부는 댁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셋톱박스(모뎀) 및 유무선 공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제어신호는 원격 무선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또는 내부 제어신호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의 촬상을 수행하는 촬상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정보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컨텐트를 재생하는 멀티미디어 재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액자는 댁내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태 정보는 전자액자의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상기 센서부는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시 센서,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 센서, 빛의 명암을 감지하는 광감지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내부 통신부는 USB를 통한 연결 또는 IEEE1394 지원기로의 연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메모리부는 전자액자의 내장 및/또는 외장 메모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컨텐트를 전자액자에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전자액자 내의 외부 통신 수단을 통해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을 확립하는 단계; 유무선 네트워크 방법을 통해 상기 전자액자와 홈 네트워크 장비들 간의 통신을 확립하는 단계; 상기 확립된 외부 네트워크와의 통신 또는 사익 홈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트를 상기 전자액자 내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액자 내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컨텐트를 상기 전자액자의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의 또 다른 측면으로, 원격 사용자가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액자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격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상기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전자액자 내의 외부 통신 수단과 상기 원격 사용자의 단말기와의 통신을 확립하는 단계; 및 원격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통해 제어 명령을 내림으로써 상기 전자액자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용자가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액자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네트워크는 인터넷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액자 내의 외부 통신 수단과 상기 원격 사용자의 단말기와의 통신을 확립하는 단계는 상기 원격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로 상기 전자액자와의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전용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전용 프로그램 상에서 통신할 상대 전자액자를 선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전자액자 내의 외부 통신 수단과 상기 원격 사용자의 단말기와의 통신을 확립하는 단계는 원격 사용자가 단말기로 인터넷 브라우저를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통신할 상대 전자액자의 주소를 입력하여 연결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원격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상기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하는 단계는 상기 원격 사용자의 단말기와 상기 전자액자 간에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격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통해 제어 명령을 내림으로써 전자액자를 제어하는 단계는 센서가 외부 신호를 포착하는 단계; 상기 전 자액자가 상기 원격 사용자에게 메시지 또는 신호를 보내는 단계; 원격 사용자가 전자액자에 제어명령을 주어 전자액자가 촬상 수단을 구동하여 촬상하는 단계; 촬상된 영상을 전자액자 내의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촬상된 영상을 상기 원격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으로, 원격 사용자가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액자를 거쳐 자신의 단말기로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액자와 홈 네트워크 장비들 간의 통신을 확립하는 단계; 원격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상기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하는 단계; 전자액자 내의 외부 통신 수단과 원격 사용자의 단말기와의 통신을 확립하는 단계 및 원격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전자액자에 제어 명령을 내림으로써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전자액자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좀더 상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클라이언트나 운용자,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액자가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하고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개념도를 도시한다. 먼저 댁내에 설치된 전자액자는 내장 혹은 외 장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설치된 컨텐트는 디지털 화일 형태 등을 비롯해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도 가능한다. 저장된 컨텐트는 정지영상인 사진일 수도 있고, 동영상 및 그 외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컨텐트도 가능하다.
전자액자를 통해서 상기의 컨텐트 파일은 다양항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아래 도 2에서 좀더 자세히 설명할 것이지만, 마이크로컨트롤러나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컨트롤러를 갖춘 제어부가 이러한 동작을 제어할 것이다.
전자액자를 통한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고정된 형태의 액자와 다르게 주기적으로 정지 영상을 교체할 수도 있고,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전력 절감 등을 위해 일정 시간대(예를 들면 늦은 밤 시간부터 새벽까지) 디스플레이부만 전원을 오프(off)함으로써 전력의 효율적 사용을 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존의 전자액자의 기능에 부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액자(110)는 자체 일체화된 셋톱박스(모뎀) 및 공유 기능을 통하여 외부의 유무선 인터넷 서비스(130)와 같은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하여 홈 네트워크 장치들에게 유무선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액자(100)는 가정 내에 구축된 홈 네트워크를 통하여 PC, 휴대폰, PDA 등과 같은 정보/통신 기기(150), 냉장고, TV, 세탁기 등의 생활가전/AV(160), CCTV, 방법 장비 등의 방범/안전 장비(170) 및 전력 제어, 가스 제어 등의 전력/가스 제어(180) 등을 제어하거나 이들과 통신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액자의 상세 블럭도이다.
먼저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액자는 제어부(210), 메모리부(220), 디스플레이부(230), 사용자 입력부(240) 및 외부 통신부(260)와 내부 통신부(270)로 구성된다.
제어부(210)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나 마이크로컨트롤러와 같은 제어기능을 가진 칩을 내장한다. 제어부의 기능은 폭넓고 다양하여, 전자액자로서의 디스플레이기 기능 뿐만 아니라 각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를 수행하고, 여러 가지 입출력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와 대화하고 외부로부터 온 제어신호를 처리하게 된다.
메모리부(220)에서는 다양한 입출력 경로를 통해 전달되어온 컨텐트를 저장한다. 상기의 입출력 경로는 외부 통신부(260) 일수도 있고 내부 통신부(270) 일수도 있으며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메모리부(220)에 액세스될 수도 있다.
상기한 내부 통신부(270)는 본 발명에서는 넓게 해석되어야 하는데, 홈 네트워크를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USB 인터페이스나 IEEE1394와 같은 인터페이스도 포함한다. 전자액자(200)는 이러한 다양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컨텐트를 전송하고 수신하게 된다.
상기의 메모리부(220)는 현재 도 2에서 전자액자(200)의 내부에 탑재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USB 등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장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디스플레이부(230)는 본 전자액자(200)의 핵심적인 부분으로서 상기의 메모리부(220)에 있는 컨텐트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장치 부분이다. CRT, LCD, PDP 등 오늘날 사용되는 여러 가지 종류의 디스플레이 형태 뿐 아니라 앞으로 사용 가능한 여하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 모두 채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40)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입력받는 장치이다. 이 사용자 입력부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보통의 개인용 컴퓨터 등에서 사용되는 키보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반드시 개인용 컴퓨터의 키보드 형태와 동일할 필요는 없고 키보드와 같은 자판이 전자액자에 탑재된 형태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키패드 형식도 가능하다. 미관 상 이러한 키보드나 키패드 형태의 사용자 입력부는 서랍 형태와 같이 전자 액자에서 꺼내고 집어 넣을 수 있는 형태일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 입력부(240)는 상기의 키보드 형태가 장치 구성 상 비효율적이라고 생각된다면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 입력부(240)를 위한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면에서 이점이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240)는 전자액자의 별개의 장치로 무선 사용자 입력 장치로 구현할 수도 있다. 즉, 무선 키보드나 리모트 컨트롤러와 같은 원격 제어신호 입력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무선으로 동작하는 이러한 기기의 분실 시 전자액자로의 사용자 입력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으므로, 앞서 기술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을 병행하여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무선 사용자 입력부를 실현하기 위해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 아래의 내부 통신부(270)에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액자(200)가 기존의 전자액자와 차별되는 특징은 외부 통신부(260)와 내부 통신부(270)를 통해 쌍방향 통신을 실현하였다는 것이다.
외부 통신부(260)는 셋톱박스(또는 모뎀, 262)과 유무선 공유부(264)를 포함한다. 이러한 셋톱박스 및 유무선 공유부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오는 신호를 부호화/복호화할 수 있고 다른 장비와 유무선으로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이 외부 통신부(260)를 통해 전자액자(200)는 예를 들면 인터넷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를 액세스할 수 있다. 외부 네트워크와 전자액자(200)는 외부 통신부(260)를 통해 다양한 컨텐트를 주고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액자(200)는 외부 통신부(260)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전자액자를 제어하거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TV, 냉장고 혹은 방범제어 등과 같은 홈 네트워크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외부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폰과 같은 무선 단말기 혹은 PDA와 같은 유무선 단말기를 통해 자신의 댁내에 있는 전자액자를 액세스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곧 있으면 댁내로 들어가는 경우 미리 보일러를 가동시켜 댁내의 온도를 조절하고 싶을 것이다. 보일러 제어 스위치는 이미 홈 네트워크를 통해 홈 서버 혹은 홈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는 전자액자(20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전자액자와의 통신을 통해 보일러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전자액자(200)에 연결된 PC에 저장된 컨 텐트를 외부에서 필요로 할 때가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전자액자를 통해 PC 내부에 있는 컨텐트를 다운로드하여 원격지에서 컨텐트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사용자는 원격지에서 얻게 된 컨텐트를 댁내의 또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댁내의 전자액자(200)로 혹은 전자액자에 연결된 다른 장치로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액자(200)가 홈 서버나 홈 게이트웨이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전자액자 내의 내부 통신부(270)가 그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여야 하는 전제가 우선이다. 내부 통신부(270)는 전자액자(200)가 댁내의 다른 전자 장치와 데이타 컨텐트 또는 제어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홈 네트워크 통신을 할 수 있게 해 준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액자는 필요에 따라 24시간 온(on)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홈 서버나 홈 게이트웨이로서 동작할 수 있는 상당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액자는 홈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댁내 전자장치와의 연결이 가능한데, TV, 냉장고, 세탁기 등의 가전 장치뿐만 아니라, 방범, 전력, 가스 등과 같은 제어장치와의 연결도 가능할 것이다.
물론 홈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전자액자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다수의 전자액자 중 하나의 메인 전자액자와 다수의 서브 전자액자를 서로 홈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하나의 메인 전자액자는 접근성이 높고 사용자가 가장 오래 기거하는 거실에 구비하여 사용의 빈도수를 높 이고, 서브 전자액자는 침실, 별실, 주방 또는 현관 등에 구비하여 홈 네트워크를 통한 제어가 언제 어디서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가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전자액자(200)는 유무선 통신 모듈 및 홈 네트워크 지원 기능을 구비한 가정내 기기들과 UWB, ZigBee, 홈 PNA, PLC 등 다양한 유무선 방법을 통하여 통신하게 되며, 이러한 통신 경로를 통해 홈 네트워크 장비들의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전자액자(200)는 메모리부(220)에 저장된 컨텐트를 재생하는 멀티미디어 재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액자(200)는 도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촬상부(250) 및/또는 센서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80)는 외부 상태를 센싱하여 그 외부 상태 정보를 제어부에 전달하게 되고 제어부는 필요에 따라 그 외부 상태 정보를 메모리부(220)에 저장할 것이다.
센서부(280)는 다양한 외부 상태를 센싱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동작감지, 열 감지, 광 감지 등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전자액자(200)는 이러한 다양한 감지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는 댁내 방범 및 안전에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동작감지 센서는 사용자가 외출 시 온(on) 상태로 놓일 수 있고, 사용자 이외의 동작이 감지되면 방범 활동을 개시할 수 있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 외출 시 이러한 원격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가 인터넷 서비스와 같은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을 확립한 상태라고 가정하자. 원격 사용자는 전자액자와의 통신을 개시하고 이를 통해 댁내의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로부터 범죄자가 침입하면 동작 감지 센서가 작동하게 되고 동작 감지 센서의 작동으로 방범 제어 신호가 제어부(210)로 전달되게 된다. 방범 제어 신호를 받은 제어부(210)는 댁내 범죄자 침입 단문 메시지등과 같은 경고 메시지를 외부 통신부(260)를 통해 댁외에 있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게 된다. 위에서 댁내 범죄자 침입 메시지와 같은 경고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는 상기 외부 통신부(260)를 통해 전자액자 제어부(210)로 하여금 촬상부(250)를 구동하여 댁내에 있는 범죄자의 활동을 촬상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촬상된 정지 영상 내지 동영상은 메모리부(220)를 거쳐 외부 통신부(260)를 통해 다시 댁외의 사용자 단말기에 전달될 수 있고, 사용자는 범죄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이를 공공기관에 전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자액자(200)는 방범적 기능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댁내 안전을 보호하는 기능 및 에너지 절약 기능도 갖출 수 있다. 예를 들면, 열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열 감지 센서는 댁내의 기온이 필요 이상으로 올라간 경우 위의 방범 기능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단계를 통해 댁내의 이상을 댁외 사용자에게 통지하게 되고 사용자는 다시금 촬상부(250)를 통해 댁내의 상태를 살펴 화재 등의 위험에서 보호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보일러를 잘못하여 외출 상태로 셋팅하지 않고 장시간 출타하는 경우, 사용자는 열 감지 센서를 통한 댁내 온도를 모니터링하고 자신의 단말기로 보일러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범 및 안전 기능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액자의 이점은 다른 홈 네트워크 기기와 달리 댁내 다양한 곳에 전자액자가 설치되어 있어 댁내 전반을 센싱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촬상부(250)를 이용한 전자액자의 모니터링 기능의 일례를 도 3에서 보여준다. 도 3에서는 메인 전자액자(310)와 서브 전자액자(320)를 댁내에 설치하고 서브 전자액자가 댁내의 모니터링이 필요한 대상(현재 도 3에서는 330)을 촬상하여 댁내 다른 지점에 있는 사용자가 대상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센서를 이용한 방범 기능을 댁내에서 다른 형태로 구현한 예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여 전자액자 간 화상식 대화도 가능하다.
도 4는 전자액자(200)에 네트워크 모뎀 및 유무선 공유기능이 부가됨에 따른 전자액자의 기능 일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액자(200)는 이더넷 LAN 기기(430)는 물론, 앞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는 USB/IEEE 1394 인터페이스 지원기기(420), PAN 지원기기(440) 등 댁내에서 인터넷(410)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하고자 하는 모든 기기가 외부 네트워크를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시한다.
도 5는 전자액자(200)와 댁내 홈 네트워크 지원기기와의 통신 및 제어기능 일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전자액자(200)는 홈 네트워크 통신 모듈과 지원 기능이 있는 댁내 정보/통신 기기(520), 생활가전/AV(530), 방범/안전/전력/가스 등(540)과의 통신 및 이들의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홈 네트워크가 가능한 장치와 연결된 상태에서 인터넷(510)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와의 액세스도 가능하다.
도 6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컨텐트를 전자액자에 표시하는 전형적인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먼저, 컨텐트를 외부 네트워크나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받기 위해서는 통신이 확립되어야 한다. 전자액자는 외부 통신 수단을 통해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을 확립(S610)한다. 이로써 전자액자는 대표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고, 이러한 인터넷이라는 네트워크 매개를 통해 원격 사용자는 컨텐트를 전자액자에 전송(S630)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원격 사용자는 확립된 통신을 통해 전자액자 내에 저장된 컨텐트를 가져올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이렇게 전송된 컨텐트는 전자액자의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표시(S630)될 수 있을 것이다.
외부 네트워크와 전자액자 간에 안전한 컨텐트 이동 혹은 제어신호의 통신이 보장되기 위해서는 사용자 인증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안전한 통신을 확립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액자는 유무선 네트워크 방법을 통해 홈 네트워크 장치들과도 컨텐트 혹은 제어신호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앞에서의 유무선 네트워크는 다양한 방법으로 확립될 수 있는데, UWB, ZigBee, 홈 PNA 또는 PLC 중 어느 한가지 방법일 수 있다.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일시시예로써, 원격 사용자가 전자액자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먼저 S710부터 S740까지는 외부 네트워크와 전자액자 간의 통신을 확립하는 단계이다. 일단 S710 단계에서 원격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한다. 접속이 이루어지면, S720 단계에서 원격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로 전자액자와의 통신을 확립하기 위해 전용 프로그램을 구동한다. 상기 전용 프로그램에서 원격 사용자는 자신이 통신할 상대 전자액자를 선택하여 자신의 단말기와 원하는 전자액자와의 통신을 확립하게 된다.
만일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가 인터넷이면, 원격 사용자는 다른 방식으로 통신을 확립할 수도 있다. 즉, 자신의 단말기 상에서 인터넷 브라우저를 구동하고,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원하는 전자액자에 할당된 인터넷 주소를 입력하여 자신의 단말기와 전자액자 간의 통신을 확립하는 것이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마치 다른 웹 사이트를 접속하는 것과 같은 단순하고 사용자에게 친숙한 방식으로 전자액자와 통신을 확립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S740과 같이 상대 전자액자와 연결되는 때에 사용자 인증을 통해 통신 확립에 있어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원격 사용자와 전자액자 간에 보안이 확립되는 것은, 컨텐트제어신호의 안전한 이동을 위해서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S750 단계에서는 전자액자에 부착된 외부 센서 등을 통해 화재, 가스 누출, 도난 등의 위험을 감지하면 제어가 필요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원격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즉, 원격 사용자는 전자액자로부터 전자액자에 부착된 카메라와 같은 촬상 수단의 제어 필요성을 감지하게 되고, S760에서 전자액자를 직접, 혹은 전자액자를 통해 카메라와 같은 촬상 수단을 제어하게 된다. 이를 통해 S770에서 감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의 형태로 전자액자는 원격 사용자와의 대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앞에서의 단계 S750에서 원격 사용자는 전자액자를 통한 대화를 위해 카메라와 같은 전자액자의 촬상 수단의 제어 필요 신호를 수신하게 되고, 원격 사용자는 대화를 수락하면서 상기 촬상 수단의 제어(S760)를 수행하게 된다. S770 단계에서 전자액자 사용자와 원격 사용자는 대화를 수행하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원격 사용자는 전자액자를 통해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이 때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는 여러 가지 다양한 장치들이 포함되는데, TV, 냉장고 등의 가전제품을 비롯하여 PC 또는 또 다른 댁내에 설치된 전자액자 같은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댁내 홈 네트워크 장치의 제어는 상기 S750 단계에서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특정 장치의 제어 필요성에 관한 메시지나 신호를 원격 사용자가 수신하게 된다. 원격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홈 네트워크 장치 제어의 필요성이 있으면, 원격 사용자는 S760 단계에서와 같이 원격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원격 제어의 형태는 연결된 홈 네트워크 장치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연결된 장치가 비디오 같은 가전 제품이라면, 원하는 TV 프로그램을 실시간으로 녹화하기 위해 녹화를 수행하도록 제어신호를 원격으로 보낼 수 있을 것이다. 만일 연결된 장치 중 제어하려는 대상이 다른 전자액자라면, 다른 전자액자를 제어하여 해당 전자액자가 있는 공간을 촬상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이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라면 이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남 없이 위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될 것이며, 변화예나 변경예 또는 조절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전자액자에 모뎀 및 유무선 공유기, 홈 네트워크 내 장비와의 유무선 통신 및 제어기능을 부가함으로써 모뎀(셋톱박스), PC, TV, 가전제품 등 기존 홈 게이트웨이 후보들이 갖는 단점을 극복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수단의 하나로서 터치스크린을 채용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홈 네트워크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간편하고 손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인해 노약자와 같은 가전제품 제어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들도 손쉽게 홈 네트워크 장비 및 가전제품 제어에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다수개의 전자액자가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서로 연 동되어 액세스가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가정 내에서 홈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하여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홈 네트워크를 제어할 수 있는 편이성도 제공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Claims (25)

  1. 디지털 컨텐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저장된 컨텐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메모리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간의 제어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 입력을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하는 전자액자에 있어서,
    댁 외부와 쌍방향으로 외부 데이타 컨텐트 또는 외부 제어신호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하는 외부 통신부;
    댁내의 다른 전자 장치와 내부 데이타 컨텐트 또는 내부 제어신호의 유선 또는 무선 홈 네트워크 통신을 하는 내부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 또는 내부 제어신호는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외부 또는 내부 데이타 컨텐트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며, 상기 내부 통신부를 통해 홈 네트워크 서버 또는 홈 게이트웨이로서 동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전자액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통신부는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셋톱박스 및 유무선 공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전자액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제어신호는 원격 무선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전자액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무선으로 입력하는 원격 제어신호 입력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전자액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또는 내부 제어신호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의 촬상을 수행하는 촬상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정보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전자액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컨텐트를 재생하는 멀티미디어 재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전자액자.
  7. 제1항에 있어서, 댁내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전자액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 센서,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 센서, 빛의 명암을 감지하는 광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통 신이 가능한 전자액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통신부는 USB를 통한 연결 또는 IEEE1394 지원기기로의 연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전자액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는 상기 전자액자의 내장 및/또는 외장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전자액자.
  11.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컨텐트를 전자액자에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액자 내의 외부 통신 수단을 통해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을 확립하는 단계;
    유무선 네트워크 방법을 통해 상기 전자액자와 홈 네트워크 장치들 간의 통신을 확립하는 단계;
    상기 확립된 외부 네트워크와의 통신 또는 상기 홈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트를 상기 전자액자 내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액자 내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컨텐트를 상기 전자액자의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컨텐트를 전자액자에 표시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네트워크는 인터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원격 사용자가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액자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원격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
    (b) 상기 전자액자 내의 외부 통신 수단과 상기 원격 사용자의 단말기와의 통신을 확립하는 단계; 및
    (c) 상기 원격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통해 제어 명령을 내림으로써 상기 전자액자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용자가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액자를 제어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네트워크는 인터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용자가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액자를 제어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원격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로 상기 전자액자와의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전용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전용 프로그램 상에서 통신할 상기 전자액자를 선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원격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로 인터넷 브라우저를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통신할 상기 전자액자의 주소를 입력하여 연결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사용자의 단말기와 상기 전자액자 간에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센서가 외부 상태를 포착하는 단계;
    (c2) 상기 전자액자가 상기 원격 사용자에게 메시지 또는 신호를 보내는 단계;
    (c3) 상기 원격 사용자가 상기 전자액자에 제어명령을 주어 상기 전자액자가 촬상 수단을 구동하여 촬상하는 단계;
    (c4) 상기 촬상 수단을 통해 촬상된 영상을 상기 전자액자 내의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및
    (c5)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촬상된 영상을 상기 원격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원격 사용자가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액자를 거쳐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전자액자와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들 간의 통신을 확립하는 단계;
    (b) 상기 원격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
    (c) 상기 전자액자 내의 외부 통신 수단과 상기 원격 사용자의 단말기와의 통신을 확립하는 단계; 및
    (d) 상기 원격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전자액자에 제어 명령을 내림으로써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용자가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액자를 거쳐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는 통신이 가능한 가전제품, PC 또는 또 다른 전자액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용자가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액자를 거쳐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는 UWB, ZigBee, 홈 PNA 또는 PLC 중 어느 한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용자가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액자 를 거쳐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네트워크는 인터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용자가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액자를 거쳐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원격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로 상기 전자액자와의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전용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전용 프로그램 상에서 통신할 상기 전자액자를 선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9항의 단계 (c)는,
    상기 원격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로 인터넷 브라우저를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통신할 상기 전자액자의 주소를 입력하여 연결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3항 또는 제2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전자액자 간에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70027793A 2006-12-05 2007-03-21 전자액자 KR1008597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22644 2006-12-05
KR1020060122644 2006-1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141A true KR20080052141A (ko) 2008-06-11
KR100859719B1 KR100859719B1 (ko) 2008-09-23

Family

ID=39806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793A KR100859719B1 (ko) 2006-12-05 2007-03-21 전자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971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439B1 (ko) * 2009-09-25 2011-04-22 (주)엔스퍼트 Ap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 및 이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
US9690864B2 (en) 2009-08-24 2017-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managing user schedule and device using the same
KR20190070463A (ko) * 2017-12-13 2019-06-2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액자 기능을 제공하는 허브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N110174861A (zh) * 2019-05-23 2019-08-27 国网河南省电力公司经济技术研究院 一种智能家用能源信息的综合处理单元
KR20210060833A (ko) * 2019-11-19 2021-05-27 (주)위버시스템즈 전자액자와 동작 감지 센서를 활용한 홈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345B1 (ko) * 2011-04-28 2012-04-26 제이제이유비쿼터스(주) 무선통신기능을 갖는 액자형 디지털 카메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200A (ko) * 2000-08-17 2002-02-25 최성묵 멀티미디어 인터넷 텔레비전을 이용한 전자기기의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82655A (ko) * 2001-04-25 2002-10-31 전동균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액자의 화상 정보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JP2005006099A (ja) 2003-06-12 2005-01-06 Fuji Photo Film Co Ltd 電子アルバム装置
KR20050088707A (ko) * 2004-03-02 2005-09-07 한국하니웰 주식회사 가정자동화장치의 전자액자 구동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90864B2 (en) 2009-08-24 2017-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managing user schedule and device using the same
KR101030439B1 (ko) * 2009-09-25 2011-04-22 (주)엔스퍼트 Ap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액자 및 이를 이용한 ap 기능의 상태확인방법
KR20190070463A (ko) * 2017-12-13 2019-06-2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액자 기능을 제공하는 허브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N110174861A (zh) * 2019-05-23 2019-08-27 国网河南省电力公司经济技术研究院 一种智能家用能源信息的综合处理单元
KR20210060833A (ko) * 2019-11-19 2021-05-27 (주)위버시스템즈 전자액자와 동작 감지 센서를 활용한 홈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9719B1 (ko) 2008-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4993B2 (en) Image surveillance and reporting technology
US11947780B2 (en) Timeline-video relationship processing for alert events
US1159925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esenting alert event indicators
US20220360495A1 (en) Device Communication, Monitoring and Control Architecture and Method
US10541902B1 (en) Network device management technology
US7301456B2 (en) Wireless terminal-interoperable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controlling the same
US8689249B2 (en) In-home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having a video camera connected to a set-top box
KR101583658B1 (ko) 도어폰을 이용한 도어감시 시스템
US20180019889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Presenting Video Feeds in a User Interface
KR100859719B1 (ko) 전자액자
JP4862600B2 (ja) 住宅設備監視システム用表示装置
KR100716423B1 (ko)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1182344A (ja) 電気機器制御システム
JP2022546438A (ja) イベントクリップ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電子装置、サーバ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11133952B2 (en) Notification control apparatus, detection apparatus, notification control system, notification control method, and detection method
KR100722511B1 (ko) 영상 압축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양방향 홈 네트워크시스템
KR20160033390A (ko) 방범방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178889B1 (ko)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셋업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87767A (ko) 아날로그/디지털정보 변환기능을 갖춘 홈오토메이션 관리시스템
KR20080092651A (ko) 유무선을 통한 감시와 원격 장치제어 시스템
KR20080098943A (ko) 무선 휴대단말을 통한 감시 및 원격제어 시스템
TW200948079A (en) Image surveillance system and a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