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379B1 - Charcoal Grill - Google Patents

Charcoal Gri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0379B1
KR101030379B1 KR1020100008225A KR20100008225A KR101030379B1 KR 101030379 B1 KR101030379 B1 KR 101030379B1 KR 1020100008225 A KR1020100008225 A KR 1020100008225A KR 20100008225 A KR20100008225 A KR 20100008225A KR 101030379 B1 KR101030379 B1 KR 101030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water
main body
heat
drip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2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29675A (en
Inventor
이지선
이상복
Original Assignee
이상복
이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복, 이지선 filed Critical 이상복
Publication of KR20100129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6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3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시 숯불의 높은 화력과 열기를 조절하여 음식이 불판에 눌러 붙지 않아 불판의 교체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숯불구이 시 발생되던 발화현상과 그을림이 없으며 숯불구이 시 음식의 겉과 속에 열이 고르게 전달되어 음식이 가진 맛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숯불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숯불구이장치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 형태로 형성되되 측면 상부에는 열기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측면 하부에는 외부의 공기가 내측으로 순환되는 공기순환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고 상면이 개방되되 측면에는 상기 공기순환공과 대응되는 내부공기순환공이 형성된 물받이통과, 상기 물받이통의 내부에 삽입되고 그 내부에는 숯이 수용되고 측면에는 공기와 열기가 순환되는 다수의 열기구멍이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상기 물받이통으로부터 기화된 증기가 유입되는 증기유입공이 형성되는 숯불통과, 상기 숯불통이 상기 물받이통의 내측면과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받침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high firepower and heat of the charcoal when used to minimize the replacement of the fire plate because the food does not stick to the fire plate, there is no ignition and burning that occurred during the charcoal grill, even heat on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food during charcoal grill It relates to a charcoal roasting device that is delivered to improve the taste of the food.
Charcoal ro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is formed in the form of an open container, the upper side is formed with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heat and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n air circulation hole circulated 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Is inserted into the inside and the water is accommodated inside the upper surface is open and the air circulation hole corresponding to the air circulation hole is formed on the side, and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drip container and the inside of the charcoal is accommodated in the air and hot air on the side A plurality of hot air holes are formed therein and a bottom of the charcoal barrel is formed with a steam inlet hole in which vaporized vapor flows from the drip tray, and the pedestal to keep the charcoal barrel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drip tray It includes.

Description

숯불구이장치{Charcoal Grill device}Charcoal Grill device {Charcoal Grill device}

본 발명은 음식이 타지 않고 눌러 붙지 않으며 열기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는 숯불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coal roasting device that does not burn, does not stick to the food and facilitates heat control.

일반적으로 숯불구이 장치를 이용하여 음식을 숯불구이 시 숯불의 높은 화력과 열기로 기름진 음식의 기름이 숯불 위로 떨어져 발화현상이 일어나며 그을림이 생긴다. 또한 높은 화력과 열기로 음식이 빨리 타버리고 수분 증발이 빨리 일어나 윤기 없이 말라 버리고 불판에 눌러 붙어 이물질이 묻게 되며 모양이 흐트러진다. 또한 겉표면의 화력이 높아 속까지 고르게 열과 화력이 전달되지 않아 겉은 빨리 익고 속은 천천히 익어 숯불구이 시 음식의 본래의 맛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In general, when charcoal is grilled using a charcoal grilling device, the oil of oily foods falls on the charcoal due to the high fire power and heat of charcoal, resulting in ignition and burning. In addition, high firepower and heat causes food to burn quickly and moisture evaporates quickly, causing it to dry without gloss and sticking to the fire plate, causing foreign matters to adhere and distort the shape. In addition, since the heat of the outer surface is not evenly transmitted heat and thermal power to the inside, the outside ripens quickly and the inside is slowly cooked.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용시 숯불의 높은 화력과 열기를 조절하여 음식이 불판에 눌러 붙지 않아 불판의 교체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숯불구이 시 발생되던 발화현상과 그을림이 없으며 숯불구이 시 음식의 겉과 속에 열이 고르게 전달되어 음식이 가진 맛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숯불구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s purpose is to control the high firepower and heat of the charcoal when using the food is not pressed to the fire plate can be minimized replacement of the fire plate and the ignition phenomenon occurred during the charcoal grill It is to provide a charcoal roasting device that does not have soot and charcoal roasting allows heat to be transferred evenly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ood to improve the taste of the food.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면이 개방된 용기 형태로 형성되되 측면 상부에는 열기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측면 하부에는 외부의 공기가 내측으로 순환되는 공기순환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고 상면이 개방되되 측면에는 상기 공기순환공과 대응되는 내부공기순환공이 형성된 물받이통과, 상기 물받이통의 내부에 삽입되고 그 내부에는 숯이 수용되고 측면에는 공기와 열기가 순환되는 다수의 열기구멍이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상기 물받이통으로부터 기화된 증기가 유입되는 증기유입공이 형성되는 숯불통과, 상기 숯불통이 상기 물받이통의 내측면과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숯불구이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upper surface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ntainer, the upper side is formed with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heat and the lower side is formed with a main body air circulation hole circulated outside the inside, an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s inserted into the water is received inside and the upper surface is open, the side and the water reservoir formed in the inner air circulation hole corresponding to the air circulation hole,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water reservoir and the inside is received charcoal and air and heat on the side A plurality of hot air holes are circulated and the bottom surface has a charcoal bucket formed with a steam inlet hole through which vaporized vapor flows from the drip tray, and a pedestal for keeping the charcoal bucket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drip tray. It is achieved by providing a charcoal roasting apparatus comprising.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물받이통의 상단은 상기 배출공의 위치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upper end of the sump is formed at a height lower than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ho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면이 개방된 용기 형태로 형성되되 측면 상부에는 열기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측면 하부에는 외부의 공기가 내측으로 순환되는 공기순환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고 상면이 개방되되 상단둘레가 상기 공기순환공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된 물받이통과, 상기 물받이통의 내부에 삽입되고 내부에 숯이 수용되고 측면에 공기와 열기가 순환되는 다수의 열기구멍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상기 물받이통으로부터 기화된 증기가 유입되는 증기유입공이 형성되는 숯불통괴, 상기 숯불통이 상기 물받이통의 내측면과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숯불구이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In addition,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ntainer, the upper side is formed with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heat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n air circulation hole circulated outside the outside, and the main body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water is received inside the top surface is open,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drip tray formed in a lower height than the air circulation hole, the inside of the drip tray is inserted into the charcoal inside and air and heat on the side A charcoal fire mass is formed in which a plurality of hot air holes are circulated and vapor inlet holes through which vaporized steam flows from the water reservoir are formed, and a pedestal for keeping the charcoal bucket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reservoir. It is achieved by providing a charcoal roasting apparatus comprising.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면이 개방된 용기 형태로 형성되되 측면 상부에 열기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내부에는 숯이 수용되며 바닥면에는 상기 본체로부터 기화된 증기가 유입되는 증기유입공이 형성되는 숯불통과, 상기 숯불통이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숯불구이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upper surface is formed in the form of an open container,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in the upper side of the heat is discharged and the water is received therein, and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charcoal inside It is received by the charcoal fire bin and the bottom is provided with a charcoal fire bin formed with a steam inlet hole into which vaporized vapor is introduced, and the charcoal fire bin is maintai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by providing a charcoal fire apparatus. Is achieved.

본 발명에 따른 숯불구이장치에 의하면, 상면이 개방된 용기 형태의 본체의 측면 상부에 배출공이 형성되어 숯불에서 발생하는 뜨거운 열기가 밖으로 배출될 수 있고 본체의 측면 하부에 공기순환공이 형성되어 물받이통의 공기순환공과 숯불통의 열기구멍에서 나오는 뜨거운 열기가 밖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어 숯불숯불구이 시 발생하는 열기를 낮추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공기순환공의 신선한 공기로 인해 화력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물받이통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본체의 공기순환공과 물받이통의 내부공기순환공을 일치 또는 불일치시켜 화략을 조절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charcoal ro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is formed with a discharge hole in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shaped main body can be discharged to the hot heat generated from the charcoal and air circulation hole is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drip tank Hot air from the air circulation hole and the hot air hole of the charcoal bucket is discharged out and at the same time fresh air is introduced to lower the heat generated when the charcoal charcoal is roasted. And the handle is provided in the drip tray has an excellent effect to adjust the maneuver by matching or inconsistent the air circulation hole of the body and the internal air circulation hole of the drip contain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숯불구이장치에 의하면, 숯불통의 바닥면에 증기유입공이 형성되어 숯불의 열기가 아래 물받이통 내부의 물로 배출됨으로써 위쪽으로 향하던 숯불의 뜨거운 화력과 열기가 자연스럽게 하부로 분산되어 낮아질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숯불구이 시 발화 현상과 그을림 현상이 없어지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숯불구이장치에 의하면, 숯불통의 바닥면의 증기유입공을 통해 배출되는 숯불의 열기에 의해 상기 물받이통의 물이 기화하면서, 그 일부가 숯불통 바닥면의 증기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후 위쪽으로 이동하면서 숯불 틈새를 지나 불판 바로 위의 고기에 부딪혀 열기를 빼앗기게 된고, 이렇게 고기에 부딪혀 열기를 빼앗긴 증기는 고기에서 숯불구이 시 나오는 수분과 함께 고기의 기름과 섞이지 않고 고기가 불판에 눌러 붙지 않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숯불구이장치에 의하면, 숯불의 뜨거운 화력과 열기가 물받이통 내부의 물에 의해 낮춰질 수 있고 기화된 증기에 의해 숯불구이 시 고기가 불판에 눌러 붙지 않고 잘 타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겉과 속이 고르게 익게 되어 맛이 향상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숯불구이장치에 의하면, 처음에 물받이통의 물의 수면이 받침대가 잠길 정도로 숯불통 바닥면과 일치되게 물을 넣어줌으로써 숯불통의 바닥면이 물과 접촉하여 많은 양이 기화되어 숯불의 뜨거운 화력과 열기를 낮출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숯불구이장치에 의하면, 숯불숯불구이 시 상기 물받이통의 물이 숯불의 열기에 의해 기화되면서 물의 양이 줄어들게 됨에 따라 숯불통 바닥면과 물받이통의 물수면이 간격이 생기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받침대에 의해 숯불의 열기가 아래 물받이통 내부의 물에 잘 전달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harcoal ro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am inlet hol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rcoal bucket, the heat of the charcoal is discharged to the water inside the bottom of the reservoir, the hot fire power and heat of the charcoal upwards will be dispersed to the lower naturally As a result,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of eliminating ignition and burning during charcoal burning.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harcoal ro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water in the drip tray is vaporized by the heat of the charcoal discharged through the steam inlet hol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rcoal barrel, a part of the steam inlet hol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rcoal barrel After flowing through and moving upwards, it passes through the charcoal gap and hits the meat just above the fire plate to deprive the heat.The steam that is deprived of heat by the meat is not mixed with the oil of the meat together with the water from the charcoal grill. Provides the effect of not sticking on the plat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harcoal gr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t fire power and heat of the charcoal can be lowered by the water inside the drip tray and when the charcoal grilled by the vaporized steam does not stick to the grill and not burn well The fruit is cooked evenly and the taste is improv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harcoal ro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rcoal bucket is in contact with the water by vaporizing a large amount of water by first putting the water so that the water surface of the drip tray is locked so that the base is locked. It has an excellent effect to lower the heat and heat of charcoal fir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harcoal roa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harcoal grilling charcoal fire water is vaporized by the heat of the charcoal, the amount of water is reduced, so that the water surface of the charcoal bucket bottom and the water reservoir is spaced. At this time, the heat of the charcoal by the pedestal has an effect that is well transmitted to the water inside the drip tray.

삭제delete

삭제delete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의 단면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의 단면도.
1 and 2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tional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숯불구이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10), 물받이통(20), 숯불통(30), 받침대(40)로 구성된다. Charcoal ro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body 10, the drip tray 20, the charcoal barrel 30, the base 40 is composed of.

상기 본체(10)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 형태로 형성되되, 본체(10)의 상부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배출공(11)은 숯불의 위쪽의 뜨거운 열기(111)를 밖으로 배출시켜 숯불의 열기를 낮추는 역할을 하며, 본체(10)의 하부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공기순환공(12)은 숯불의 열기(121)는 외부로 배출시키고 신선한 공기(122)는 유입시켜 숯불의 화력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하부면에 받침대(13)가 구비되어 본체(10)의 하면에 신체가 접촉하더라도 화상의 위험이 적게 된다. The main body 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ontainer with an open upper surface, the discharge hole 11 formed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 to discharge the hot heat 111 of the upper charcoal out to heat the charcoal The air circulation hole 12 formed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discharges charcoal heat 121 to the outside and fresh air 122 flows in to maintain the charcoal fire power. do. In addition, the base 13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so that even if the body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he risk of burns is reduced.

또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삽입되는 물받이통(20)은 그 내부에 물(21)이 수용되고 상면이 개방되되 그 측면에는 상기 공기순환공(12)과 대응되는 내부공기순환공(22)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기순환공(22)은 상기 공기순환공(12)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물받이통(20)에는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23)가 고정되는데, 이 손잡이(23)는 물받이통(20)의 회전을 통해 본체(10)의 공기순환공(12)과 물받이통(20)의 내부공기순환공(22)을 일치 또는 불일치시켜 화력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주며, 물받이통(20)의 내부 상단 측면에는 물받이통(20)을 옮길 때 편리하게 사용되는 고리(24)가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drip tray 20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 of the water 21 is accommodated therein and the upper surface is opened, the inner air circulation hole 22 corresponding to the air circulation hole 12 on the side ) Is formed. The internal air circulation hole 22 plays the same role as the air circulation hole 12. A handle 23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 is fixed to the drip tray 20, and the handle 23 is air circulation hole 12 of the body 10 through the rotation of the drip tray 20. Helps to adjust the fire power by matching or inconsistent with the internal air circulation hole 22 of the drip tray (20), the inner top side of the drip tray (20) is used conveniently when moving the drip tank (20) Ring 24 is provided.

상기 물받이통(20)의 내부에 삽입되는 숯불통(30)은 그 내부에 숯이 수용되고 측면에 공기와 열기가 순환되는 다수의 열기구멍(31)이 형성된다. 다수의 열기구멍(31)은 상기 물받이통의 내부공기순환공(22)과 상기 본체의 공기순환공(12)과 대응되어 뜨거운 숯불의 열기를 밖으로 배출시켜 숯불통(30) 자체의 화력과 열기를 낮춰주고 신선한 공기를 유입시켜 화력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숯불통(30)은 그 바닥면이 물받이통(20) 내부의 물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물받이통(20) 내부에 삽입된다. 이 때 숯불통(30)의 하부면만 물에 닿게 됨으로써 숯불 전체가 꺼지는 것이 아니라 숯불의 하단 일부분만 물에 의해 온도가 낮아지고 꺼지게 된다.
또한, 이 때 상기 물받이통(20) 내의 물의 증발에 의해 숯불 자체의 화력을 낮출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숯불통(30)의 상부로 향하는 뜨거운 화력과 열기가 낮아져 숯불구이 시 필요한 화력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숯불통(30)의 측면에 다수의 열기구멍(31)이 형성됨으로써 숯불통(30)의 바닥면에 일부 꺼진 숯불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 숯불은 신선한 공기로 인해 화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숯불통(30)의 바닥면에는 증기유입공(32)이 형성되어 있어 숯불 열기가 증기유입공(32)을 통해 아래 물받이통(20)으로 제공됨으로써 상부로 향하던 숯불의 뜨거운 화력과 열기가 자연스럽게 하부로 분산되어 낮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숯불구이 시 발생되는 발화현상과 그을림 현상이 없어지게 된다.
또한, 이 때 상기 숯불통(30)에서 바로 위 불판(50)에 전달되는 숯불의 화력과 열기가 증기 유입에 의해 낮아져 숯불구이 시 고기는 잘 타지 않고, 겉과 속이 고르게 익게 된다.
또한, 상기 숯불통(30)의 증기유입공(32)을 통해 상기 물받이통(20)의 물이 숯불의 열기에 의해 기화하게 되는데, 기화된 증기(321)의 일부는 숯불통(30)의 바닥면의 증기유입공(32)을 통해 유입되게 되고, 숯불통(30) 내로 유입된 증기(322)는 위쪽으로 이동하면서 숯불 틈새를 지나 불판(50)의 바로 위의 고기에 부딪혀 열기를 낮춤에 따라 고기는 잘 타지 않게 되고, 이 때 숯불구이 시 고기에서 나오는 수분과 함께 고기의 기름과 섞이지 않고 고기가 불판(50)에 눌러 붙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물받이통(20)의 내부의 물은 숯불통(30)의 바닥면의 증기유입공(32)을 통해 숯불의 뜨거운 화력과 열기를 낮출 뿐만 아니라 기화되어 숯불통(30) 내로 유입된 증기(322)는 숯불구이 시 고기가 불판에 눌러붙지 않고 잘 타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40)는 상기 숯불통(30)과 상기 물받이통(20)의 내측면이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만들어 물받이통(20)의 물의 수면(21)이 처음에는 받침대(40)가 잠길 정도로 숯불통(30)의 바닥면과 일치되게 물을 넣어줌으로써 숯불통(30)의 바닥면의 증기유입공(32)은 물받이통(20) 내부의 물과 접촉하게 된다.
또한, 이 때 상기 물받이통(20) 내의 물높이는 숯불의 열기에 의해 물이 기화되면서 낮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물받이통(20) 내부의 물과 숯불통(30)의 바닥면의 증기유입공(32)과 간격이 생기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받침대(40)는 숯불의 열기를 아래 물받이통(20) 내부의 물에 직접 전달되게 하여 물받이통(20) 내부의 물이 숯불의 열기에 의해 기화될 수 있게 한다.
The charcoal barrel 30 inserted into the drip tray 2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t air holes 31 in which char is received and air and heat are circulated on the side. A plurality of hot air holes 31 correspond to the internal air circulation hole 22 of the water reservoir and the air circulation hole 12 of the main body to discharge the heat of hot charcoal out to heat and heat the charcoal fire barrel 30 itself Lowers the fresh air to keep the fire.
In addition, the charcoal barrel 30 is inserted into the drip tray 20 so that its bottom surface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water in the drip tray 20. At this time, only the lower surface of the charcoal barrel 30 is in contact with water, so that the entire charcoal is not turned off, but only the lower portion of the charcoal is lowered by the water and turned off.
In addition,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lower the thermal power of the charcoal itself by the evaporation of the water in the drip tray 20, thereby lowering the hot fire and hea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harcoal barrel 30 to have the necessary firepower for charcoal roasting .
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hot air holes 31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charcoal barrel 30, the remaining charcoal except for a portion of the charcoal fire extinguish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rcoal barrel 30 can maintain fire power due to fresh air. .
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rcoal barrel 30 is formed with a steam inlet 32 so that the hot air of charcoal that was directed to the top by being provided to the drip tray 20 through the steam inlet 32 Heat is naturally dispersed to the lower part and lowered, thereby eliminating the ignition phenomenon and burning phenomenon generated when charcoal grills.
In this case, the fire power and heat of the charcoal delivered from the charcoal barrel 30 directly to the flame plate 50 is lowered by the inflow of steam, so the meat is not burned well, and the outside and the inside are cooked evenly.
In addition, through the steam inlet 32 of the charcoal barrel 30, the water in the drip tray 20 is vaporized by the heat of the charcoal, a portion of the vaporized steam 321 of the charcoal barrel 30 It is introduced through the steam inlet 32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steam 322 introduced into the charcoal barrel 30 moves upward and hits the meat just above the fire plate 50 while passing through the char gap and lowers the heat. Depending on the meat will not burn well, at this time charcoal grilled with the moisture from the meat and not mixed with the oil of the meat, so that the meat does not stick to the fire plate (50).
In addition, the water in the water reservoir 20 is not only lowers the heat and heat of the charcoal fire through the steam inlet 32 of the bottom of the charcoal barrel 30 is vaporized and introduced into the charcoal barrel 30 The steam 322 prevents the meat from burning on charcoal and does not burn well.
In addition, the pedestal 40 is made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charcoal bucket 30 and the drip tray 20 is kept in a spaced apart state, the water surface 21 of the drip tray 20 is initially pedestal 40 The steam inlet 32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rcoal firebox 30 is in contact with the water in the drip tray 20 by putting water in accordanc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rcoal firebox 30 so as to be locked.
In this case, the water level in the drip tray 20 is lowered as the water is vaporized by the heat of the charcoal, thereby the water inlet and the steam inle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rcoal bucket 30 32) and the pedestal 40, the pedestal 40 is to direct the heat of the charcoal to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water inside the water trough 20, the water in the trough 20 is vaporized by the heat of charcoal To be able.

삭제delete

또한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위치되는 불판(50)은 수증기가 유입이 될 수 있는 수증기 유입공(51)을 가지며 그 측면에는 이동시 편리하도록 손잡이(5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물받이통(20)의 상단은 배출공(11)의 위치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배출공(11)으로 배출되는 열기를 막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ire plate 50 located at the top of the main body 10 has a water vapor inlet hole 51 into which water vapor can be introduced, and a handle 52 is provided at a side thereof for convenient movement.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drip tray 20 is preferably formed at a height lower than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hole 11 does not block the heat discharged to the discharge hole (11).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숯불구이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10), 물받이통(25), 숯불통(30), 받침대(40)로 구성된다. Charcoal ro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and 4, the body 10, the drip tray 25, the charcoal barrel 30, the base 40 is composed of.

상기 본체(10)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 형태로 형성되되, 본체(10)의 상부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배출공(11)은 숯불의 위쪽의 뜨거운 열기(111)를 밖으로 배출시켜 숯불의 열기를 낮추는 역할을 하며, 본체(10)의 하부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공기순환공(12)은 숯불의 열기(121)는 외부로 배출시키고 신선한 공기(122)는 유입시켜 숯불의 화력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하부면에 받침대(13)가 구비되어 본체(10)의 하면에 신체가 접촉하더라도 화상의 위험이 적게 된다. The main body 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ontainer with an open upper surface, the discharge hole 11 formed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 to discharge the hot heat 111 of the upper charcoal out to heat the charcoal The air circulation hole 12 formed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discharges charcoal heat 121 to the outside and fresh air 122 flows in to maintain the charcoal fire power. do. In addition, the base 13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so that even if the body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he risk of burns is reduced.

또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삽입되는 물받이통(25)은 내부에 물(21)이 수용되고 상면이 개방되되 그 상단이 상기 공기순환공(12)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순환공(12)을 막지 않게 하며 물받이통(25)의 내부 상단 측면에는 물받이통(25)을 옮길 때 편리하게 사용되는 고리(26)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water container 25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 of the water 21 is accommodated therein and the upper surface is opened, the upper end of the air circulation hole 12 is formed to a lower height than the air circulation hole Do not block (12) and the inner top side of the drip tray 25 is provided with a ring 26 which is conveniently used to move the drip bucket 25.

상기 물받이통(25)의 내부에 삽입되는 숯불통(30)은 그 내부에 숯이 수용되고 측면에 공기와 열기가 순환되는 다수의 열기구멍(31)이 형성된다. 다수의 열기구멍(31)은 상기 본체의 공기순환공(12)과 대응되어 뜨거운 숯불의 열기를 밖으로 배출시켜 숯불통(30) 자체의 화력과 열기를 낮춰주고 신선한 공기를 유입시켜 화력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숯불통(30)은 그 바닥면이 물받이통(25) 내부의 물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물받이통(25)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 때 숯불통(30)의 하부면만 물에 닿게 됨으로써 숯불 전체가 꺼지는 것이 아니라 숯불의 하단 일부분만 물에 의해 온도가 낮아지고 꺼지게 된다.
또한, 이 때 상기 물받이통(25) 내의 물의 증발에 의해 숯불 자체의 화력을 낮출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숯불통(30)의 상부로 향하는 뜨거운 화력과 열기가 낮아져 숯불구이 시 필요한 화력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숯불통(30)의 측면에 다수의 열기구멍(31)이 형성됨으로써 숯불통(30)의 바닥면에 일부 꺼진 숯불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 숯불은 신선한 공기로 인해 화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숯불통(30)의 바닥면에는 증기유입공(32)이 형성되어 있어 숯불 열기가 증기유입공(32)을 통해 아래 물받이통(25)으로 제공됨으로써 상부로 향하던 숯불의 뜨거운 화력과 열기가 자연스럽게 하부로 분산되어 낮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숯불구이 시 발생되는 발화현상과 그을림 현상이 없어지게 된다.
또한, 이 때 상기 숯불통(30)에서 바로 위 불판(50)에 전달되는 숯불의 화력과 열기가 증기 유입에 의해 낮아져 숯불구이 시 고기는 잘 타지 않고, 겉과 속이 고루게 익게 된다.
또한, 상기 물받이통(25)의 물이 숯불의 열기에 의해 기화하게 되는데, 기화된 증기(321)의 일부는 숯불통(30)의 바닥면의 증기유입공(32)을 통해 유입되고, 숯불통(30) 내로 유입된 증기(322)는 위쪽으로 이동하면서 숯불 틈새를 지나 불판(50)의 바로 위의 고기에 부딪혀 열기를 낮춤에 따라 고기는 잘 타지 않게 되고, 이 때 숯불구이 시 고기에서 나오는 수분과 함께 고기의 기름과 섞이지 않고 고기가 불판(50)에 눌러 붙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40)는 상기 숯불통(30)과 상기 물받이통(25)의 내측면이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만들어 물받이통(25)의 물의 수면(21)이 처음에는 받침대(40)가 잠길 정도로 숯불통(30)의 바닥면과 일치되게 물을 넣어줌으로써 숯불통(30)의 바닥면의 증기유입공(32)은 물받이통(25)의 내부 물과 접촉하게 된다.
또한, 이 때 상기 물받이통(25) 내의 물높이는 숯불의 열기에 의해 물이 기화되면서 낮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물받이통(25) 내부의 물과 숯불통(30) 바닥면의 증기유입공(32)과 간격이 생기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받침대(40)는 숯불의 열기를 아래 물받이통(25) 내부의 물에 직접 전달되게 하여 물받이통(25) 내부의 물이 숯불의 열기에 의해 기화될 수 한다.
The charcoal barrel 30 inserted into the drip tray 25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t air holes 31 in which char is received and air and heat are circulated on the side. A plurality of hot air holes 31 correspond to the air circulation hole 12 of the main body to discharge the heat of the hot charcoal out to lower the firepower and heat of the charcoal fire bin 30 itself and to keep the fire power by introducing fresh air Do
In addition, the charcoal barrel 30 is inserted into the drip tray 25 so that its bottom surface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water in the drip tray 25. At this time, only the lower surface of the charcoal barrel 30 is in contact with water, so that the entire charcoal is not turned off, but only the lower portion of the charcoal is lowered by the water and turned off.
In this case, the fire power of the charcoal itself can be lowered by the evaporation of the water in the water container 25, and thus, the hot fire power and heat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charcoal fire container 30 are lowered, so that the fire power required for charcoal fire is obtained. .
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hot air holes 31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charcoal barrel 30, the remaining charcoal except for a portion of the charcoal fire extinguish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rcoal barrel 30 can maintain fire power due to fresh air. .
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rcoal barrel 30 is formed with a steam inlet 32 so that the hot air of charcoal was directed to the top through the steam inlet 32 through the steam inlet 32 to the bottom fired barrel and Heat is naturally dispersed to the lower part and lowered, thereby eliminating the ignition phenomenon and burning phenomenon generated when charcoal grills.
In addition, at this time, the fire power and heat of the charcoal delivered from the charcoal barrel 30 directly to the fire plate 50 is lowered by the inflow of steam, so the meat is not burned well, and the outside and the inside are cooked evenly.
In addition, the water in the sump container 25 is vaporized by the heat of charcoal fire, a part of the vaporized steam 321 is introduced through the steam inlet 32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rcoal fire barrel 30, charcoal fire As the steam 322 introduced into the barrel 30 moves upward, the meat is not burned well as it hits the meat just above the fire plate 50 by pass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charcoal and lowers the heat. It does not mix with the oil of the meat with the moisture coming out so that the meat does not stick to the fire plate (50).
In addition, the pedestal 40 is made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charcoal bucket 30 and the drip tray 25 is maintained in a spaced apart state, the water surface 21 of the drip container 25 is initially a pedestal 40 The steam inlet 32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rcoal barrel 30 is in contact with the water inside the drip tray 25 by putting water in accordanc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rcoal barrel 30 so as to be locked.
In this case, the water level in the drip tray 25 is lowered as the water vaporizes due to the heat of the charcoal, and thus the water inlet and the steam inlet 32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rcoal bucket 30 ), And the pedestal 40 allows the heat of the charcoal to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water in the water trough 25 below so that the water in the water trough 25 can be vaporized by the heat of the charcoal. do.

삭제delete

또한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위치되는 불판(50)은 수증기가 유입될 수 있는 수증기 유입공(51)을 가지며 그 측면에는 이동시 편리하도록 손잡이(52)가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fire plate 50 located at the top of the main body 10 has a water vapor inlet 51 through which water vapor can be introduced, and a handle 52 is provided at a side thereof for convenient movement.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숯불구이장치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14), 숯불통(34), 받침대(41)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4)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 형태로 형성되되, 본체(10)의 상부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배출공(15)은 숯불의 위쪽의 뜨거운 열기(151)를 밖으로 배출시켜 숯불의 열기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본체(14)의 하부면에 받침대(16)가 구비되어 본체(10)의 하면에 신체가 접촉하더라도 화상의 위험이 적게 된다.
상기 본체(14)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 형태로 형성되며 측면 상부에는 숯불의 열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숯불의 열기를 낮추는 역할을 하는 배출공(15)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14)의 내부에는 물이 수용되어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숯불구이장치의 물받이통 역할을 대신한다.
상기 숯불통(34)은 그 바닥면의 증기유입공(35)를 통해 본체(14) 내부의 물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본체(14)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 때 숯불통(34)의 하부면만 물에 닿게 됨으로써 숯불 전체가 꺼지는 것이 아니라 숯불의 하단 일부분만 물에 의해 온도가 낮아지고 꺼지게 된다.
또한, 이 때 상기 본체(14) 내의 물의 증발에 의해 숯불 자체의 화력을 낮출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숯불통(34)의 상부로 향하는 뜨거운 화력과 열기가 낮아져 숯불구이 시 필요한 화력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숯불통(34)의 바닥면에는 증기유입공(35)이 형성되어 있어 숯불 열기가 증기유입공(35)을 통해 아래 본체(14)로 제공됨으로써 상부로 향하던 숯불의 뜨거운 화력과 열기가 자연스럽게 하부로 분산되어 낮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숯불구이 시 발생되는 발화현상과 그을림 현상이 없어지게 된다.
또한, 이 때 상기 숯불통(34)에서 바로 위 불판(50)에 전달되는 숯불의 화력과 열기가 증기 유입에 의해 낮아져 숯불구이 시 고기는 잘 타지 않고, 겉과 속이 고루게 익게 된다.
또한, 이 때 상기 본체(14)의 물이 숯불의 열기에 의해 기화하게 되는데, 기화된 증기(351)의 일부는 숯불통(34)의 바닥면의 증기유입공(35)을 통해 유입되고, 숯불통(34) 내로 유입된 증기(352)는 위쪽으로 이동하면서 숯불 틈새를 지나 불판(50) 바로 위의 고기에 부딪혀 열기를 낮춤에 따라 고기는 잘 타지 않게 되고, 이 때 숯불구이 시 고기에서 나오는 수분과 함께 고기의 기름과 섞이지 않고 고기가 불판(50)에 눌러 붙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41)는 상기 숯불통(34)과 상기 본체(14)의 내측면이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만들어 본체(14)의 물의 수면(21)이 처음에는 받침대(41)가 잠길 정도로 숯불통(34)의 바닥면과 일치되게 물을 넣어줌으로써 숯불통(34) 바닥면의 증기유입공(35)은 본체(14)의 내부 물과 접촉하게 된다.
또한, 이 때 상기 본체(14) 내의 물높이는 숯불의 열기에 의해 물이 기화되면서 낮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본체(14) 내부의 물과 숯불통(34) 바닥면의 증기유입공(35)과 간격이 생기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받침대(41)는 숯불의 열기를 아래 본체(14) 내부의 물에 직접 전달되게 하여 본체(14) 내부의 물이 숯불의 열기에 의해 기화될 수 한다.
Charcoal ro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5, is composed of a main body 14, charcoal barrel 34, pedestal 41.
The main body 14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ontainer with an open upper surface, the discharge hole 15 formed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 to discharge the hot heat 151 of the upper charcoal out to heat the charcoal It acts to lower. In addition, the pedestal 16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4, so that even if the body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he risk of burns is reduced.
The main body 14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ontainer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d the discharge hole 15 is formed on the upper side to discharge the heat of the charcoal to the outside to lower the heat of the charcoal. In addition, water is accommodated inside the main body 14 to replace the role of the water reservoir of the charcoal ro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charcoal barrel 34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4 to directly contact the water in the main body 14 through the vapor inlet 35 of the bottom surface thereof. At this time, only the lower surface of the charcoal barrel 34 comes into contact with water, so that the entire charcoal is not turned off, but only the lower portion of the charcoal is lowered by the water and turned off.
In addition,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lower the thermal power of the charcoal itself by the evaporation of the water in the main body 14, thereby lowering the hot fire and hea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harcoal fire bin 34 has the required thermal power when roasting charcoal.
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rcoal barrel 34 is formed with a steam inlet 35 so that the charcoal heat is provided to the lower body 14 through the steam inlet 35 so that the hot fire and heat of the charcoal headed upwards Is naturally dispersed to the lower portion is lowered, thereby eliminating the ignition phenomenon and burning phenomenon generated during charcoal grill.
In addition, at this time, the fire power and heat of the charcoal transmitted from the charcoal barrel 34 to the upper plate 50 is lowered by the inflow of steam, and the meat is not burned well, and the outside and the inside are cooked evenly.
In addition, at this time, the water of the main body 14 is vaporized by the heat of the charcoal, a part of the vaporized steam 351 is introduced through the steam inlet hole 35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rcoal fire bin 34, As the steam 352 introduced into the charcoal bucket 34 moves upward, the meat is not burned well as it hits the meat just above the fire plate 50 by passing through the charcoal gap and lowers the heat. It does not mix with the oil of the meat with the moisture coming out so that the meat does not stick to the fire plate (50).
In addition, the pedestal 41 is maintained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charcoal barrel 34 and the main body 14 are spaced apart so that the water surface 21 of the main body 14 is initially locked the pedestal 41. The water inlet 35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rcoal barrel 34 is in contact with the internal water of the body 14 by putting water in accordanc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rcoal barrel 34 to an extent.
In addition, at this time, the water level in the main body 14 is lowered as the water vaporizes due to the heat of the charcoal, and thus the water in the main body 14 and the steam inlet 35 of the bottom of the charcoal barrel 34 and In this case, the pedestal 41 allows the heat of the charcoal to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water in the lower body 14 so that the water in the body 14 can be vaporized by the heat of the charcoal.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본체(14)의 상단에 위치되는 불판(50)은 수증기가 유입될 수 있는 수증기 유입공(51)을 가지며 그 측면에는 이동시 편리하도록 손잡이(52)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fire plate 50 located at the top of the main body 14 has a water vapor inlet 51 through which water vapor can be introduced, and a handle 52 is provided on the side thereof to facilitate movement.

10 : 본체
20 : 물받이통
30 : 숯불통
40 : 받침대
50 : 불판
10: main body
20: drip bucket
30: charcoal bucket
40: pedestal
50: fire plate

Claims (5)

상면이 개방된 용기 형태로 형성되되 측면 상부에는 열기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측면 하부에는 외부의 공기가 내측으로 순환되는 공기순환공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고 상면이 개방되되 측면에는 상기 공기순환공과 대응되는 내부공기순환공이 형성된 물받이통;
상기 물받이통의 내부에 삽입되고 그 내부에는 숯이 수용되고 측면에는 공기와 열기가 순환되는 다수의 열기구멍이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상기 물받이통으로부터 기화된 증기가 유입되는 증기유입공이 형성되는 숯불통; 및
상기 숯불통이 상기 물받이통의 내측면과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숯불구이장치.
A main body having an upper surface formed in an open container shape and having a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hot air is discharged at an upper side of the side, and an air circulation hole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circula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ide;
A water receiving tub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and receiving water therein and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nd having an inner air circulation hole formed at a side thereof corresponding to the air circulation hole;
The charcoal barrel is inserted into the drip tray and the inside of the charcoal is accommodated and a plurality of hot air holes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air and the heat is circulated, and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with a steam inlet hole into which vaporized vapor flows from the drip tray. ; And
Charcoal roasting device comprising a pedestal so that the charcoal barrel is kept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drip tray.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통의 상단은 상기 배출공의 위치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coal roa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of the water reservoir is formed at a height lower than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hole.
상면이 개방된 용기 형태로 형성되되 측면 상부에는 열기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측면 하부에는 외부의 공기가 내측으로 순환되는 공기순환공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고 상면이 개방되되 상단둘레가 상기 공기순환공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된 물받이통;
상기 물받이통의 내부에 삽입되고 내부에 숯이 수용되고 측면에 공기와 열기가 순환되는 다수의 열기구멍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상기 물받이통으로부터 기화된 증기가 유입되는 증기유입공이 형성되는 숯불통; 및
상기 숯불통이 상기 물받이통의 내측면과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숯불구이장치.
A main body having an upper surface formed in an open container shape and having a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hot air is discharged at an upper side of the side, and an air circulation hole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circula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ide;
A water container inserted into the main body and receiving water therein and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the upper end having a lower height than the air circulation hole;
A charcoal barrel inserted into the drip tray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t air holes through which air and hot air are circulated and a vapor inlet hole into which a vaporized vapor flows from the drip tray; And
Charcoal roasting device comprising a pedestal so that the charcoal barrel is kept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drip tray.
상면이 개방된 용기 형태로 형성되되 측면 상부에 열기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내부에는 숯이 수용되며 바닥면에는 상기 본체로부터 기화된 증기가 유입되는 증기유입공이 형성되는 숯불통; 및
상기 숯불통이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숯불구이장치.
A main body having an upper surface formed in an open container shape and having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heat at an upper side thereof and receiving water therein;
A charcoal barrel inserted into the main body, the char being accommodated therein, and a vapor inlet hole through which the vaporized vapor flows from the main body; And
Charcoal roasting apparatus comprising a pedestal so that the charcoal barrel is kept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KR1020100008225A 2009-05-25 2010-01-29 Charcoal Grill KR10103037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45305 2009-05-25
KR1020090045305 2009-05-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675A KR20100129675A (en) 2010-12-09
KR101030379B1 true KR101030379B1 (en) 2011-04-20

Family

ID=43506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225A KR101030379B1 (en) 2009-05-25 2010-01-29 Charcoal Gri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037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253B1 (en) 2020-02-24 2021-03-18 이채환 Flameless charcoal fire grill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0959U (en) * 1992-03-27 1993-10-15 김주기 Charcoal grill
JPH0720140U (en) * 1993-09-09 1995-04-11 日本鍛造株式会社 Roasting equipment
KR960003915U (en) * 1994-07-22 1996-02-14 준 허 Charcoal grill
KR200391747Y1 (en) 2005-05-20 2005-08-09 (주)밴엔지니어링 Barbecue tube use fire with charco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0959U (en) * 1992-03-27 1993-10-15 김주기 Charcoal grill
JPH0720140U (en) * 1993-09-09 1995-04-11 日本鍛造株式会社 Roasting equipment
KR960003915U (en) * 1994-07-22 1996-02-14 준 허 Charcoal grill
KR200391747Y1 (en) 2005-05-20 2005-08-09 (주)밴엔지니어링 Barbecue tube use fire with charco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253B1 (en) 2020-02-24 2021-03-18 이채환 Flameless charcoal fire grill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675A (en) 201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12454B (en) Roasting tool using flue
KR100931277B1 (en) Direct flame cooking apparatus
US7270122B2 (en) Portable cooking apparatus providing both direct and indirect heat cooking
KR20150000117A (en) Portable gas charcoal barbucue roaster
US20120064207A1 (en) Food cooking method and device, and food made using the method
US20220110480A1 (en) Multi-use cooking apparatus
KR101030379B1 (en) Charcoal Grill
US20220071447A1 (en) Grill device that prevents burning of grilled food
KR20120028172A (en) Roaster
KR101731702B1 (en) frying apparatus
KR102206126B1 (en) Centrifugal flame grilling device
KR200427377Y1 (en) Roaster
KR200487893Y1 (en) Roasting apparatus for grilling meat
KR101010425B1 (en) A Cooking Device with Smoking Chamber and Grill
KR102056542B1 (en) Non flame charcoal grilling device
RU2710583C1 (en) Marching tandoor
KR101479422B1 (en) Charcoal roaster
KR102440116B1 (en) Low Smoke and Smell type Roaster
KR100845099B1 (en) Roaster of water circulation
KR960002359Y1 (en) Roaster
KR101985539B1 (en) Smoked barbecue equipment
KR200170543Y1 (en) Roaster divice
KR200339850Y1 (en) Rotator with built-in roaster
KR200370080Y1 (en) burn up preventive meat roasting oven using hot gas steam mixture
KR20090128632A (en) Roaster using radiant h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