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336B1 - 경추교정기 - Google Patents

경추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0336B1
KR101030336B1 KR1020100003776A KR20100003776A KR101030336B1 KR 101030336 B1 KR101030336 B1 KR 101030336B1 KR 1020100003776 A KR1020100003776 A KR 1020100003776A KR 20100003776 A KR20100003776 A KR 20100003776A KR 101030336 B1 KR101030336 B1 KR 101030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vical
head
patient
le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재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메드
Priority to KR1020100003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03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2Traction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Abstract

본 발명은 경추교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경추(또는 요추)를 견인한 상태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경추 교정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한 경추교정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경추교정기(1)는 환자가 누울 수 있으며 견인수단(6)에 의해 수평 또는 각도를 기울여 경추와 요추를 견인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베드(2)와, 상기 베드(2)가 설치된 프레임(7) 일측에 정역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토록 회전수단(8)과 연결 설치되는 다리고정대(9)와, 상기 다리고정대(9)에 환자의 머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머리고정수단(5)이 설치되고, 다리고정대(9)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여 척추 관절의 운동점을 정밀하게 선택 제어 할 수 있는 상하각도조절수단(10) 및 높이조절수단(11)을 구비하여 경추 교정효과를 극대화시킨 경추교정기를 제공하는 바, 본 발명은 환자의 체형에 맞게 머리를 경추교정기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환자의 객관적인 증상에 기초하여 경추를 견인, 회전시키면서 교정치료 및 경추 주위의 인대 및 근육을 이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교정 치료효과를 득할 수 있으며, 척추 견인과 동시 회전운동을 안전하고 정밀하게 접목시킬 수 있어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경추교정기{Certical vertebra proof device}
본 발명은 경추교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경추를 견인한 상태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경추 교정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한 경추교정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인체에 있어서 경추는 흉추 및 요추와 함께 중요한 골격의 하나이고 신체에서 비교적 중량이 큰 머리를 지지하고, 큰 하중이 작용하는 곳인 바, 현대인의 복잡한 생활 가운데 잘못된 습관에 기인하여 경추의 구조변화와 이에 따른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생활스포츠가 우리의 일상으로 자리 잡고 있는 현실에서 불규칙적이거나 무리한 운동을 하는 경우 또는 잘못된 자세로 컴퓨터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 경추가 제 위치를 이탈하게 되어 디스크를 유발할 우려도 증가된다.
통상적으로 경추를 교정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경추교정기로는 많은 장치가 개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주로 경추 부위를 미세하게 견인시키는 동작을 기구적으로 반복토록 하여 경추를 교정하고, 경추 주변의 근육 및 인대를 강화시키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경추의 경우 교정을 위해서는 환자에 따라 증상을 파악한 후 증상에 따른 정확한 견인 및 회전을 행하여 교정치료를 행하여야 하나, 견인력 조절수단이 부재하여 단순 견인작동을 기구적으로만 수행할 경우 경추의 정확한 교정이 사실상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치료사에 의한 수기 기술로는 치료사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경추를 견인 및 회전토록 하여 이 역시 환자에 따른 정확한 견인력과 회전각도를 구현할 수 없어 교정효과가 저하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경추교정기는 환자에 따른 경추의 이상 상태를 정확히 파악한 후 증상에 맞게 경추를 견인 및 회전이 가능토록 하여 경추 교정의 정확성 및 교정치료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경추교정기를 제공코자 하며,
경추치료에 환자의 체형에 맞게 장치를 셋팅한 후 객관적인 데이터에 의한 정확한 견인력과 동시에 경추 및 척추의 회전동작으로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치료과정에서 인대 및 근육의 과부하 현상을 방지하고, 부작용 없이 확실한 교정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경추교정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수단을 구비한 경추교정기를 제공코자 한다.
즉, 본 발명은 환자가 경추교정기에 누운 상태에서 머리를 고정함과 동시에 목의 뒷부분을 받치면서 고정토록 한 머리고정수단과, 상기 머리고정수단의 높이를 환자의 체형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과, 높이조절된 머리고정수단의 상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상하각도조절수단 및 머리고정수단의 높이 및 각도가 셋팅된 상태에서 경추를 당겨 견인할 수 있는 견인수단과, 견인된 경추를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수단을 구비하여 정확한 경추 교정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경추교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경추교정기는 환자의 체형에 맞게 머리를 경추교정기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환자의 객관적인 증상에 기초하여 경추를 견인, 회전시키면서 교정치료 및 경추 주위의 인대 및 근육을 이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교정 치료효과를 득할 수 있으며, 척추 견인과 동시 회전운동을 안전하고 정밀하게 접목시킬 수 있어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경추교정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정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경추교정기에 있어서, 머리고정수단이 설치되는 다리고정대의 정역 회전을 위한 회전수단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경추교정기에 있어서, 머리고정수단이 설치되는 다리고정대의 정역 회전을 위한 회전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경추교정기에 있어서, 머리고정수단이 설치되는 다리고정대의 정역 회전을 위한 회전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경추교정기에 있어서, 머리고정수단의 상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상하각도조절수단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확대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경추교정기에 있어서, 머리고정수단의 상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상하각도조절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확대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경추교정기에 있어서, 머리고정수단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확대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경추교정기의 교정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경추 견인 및 회전장치가 적용된 경추교정기(1)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정면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경추교정기(1)에 있어서, 머리고정수단(5)이 설치되는 다리고정대(9)의 정역 회전을 위한 회전수단(8)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등으로서, 이들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경추교정기(1)는 환자가 베드(2)에 누운 상태에서 머리 부위는 고정밴드(3)로 고정시키고 환자의 턱 부위를 고정하여 고정밴드(3)가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턱걸이벨트(3a)를 고정밴드(3)에 형성하며, 환자의 목의 뒷부분을 받칠 수 있도록 원호형 목받침부(4)를 가진 머리고정수단(5)을 베드(2)의 전측(도면상 좌측)에 설치하여 견인을 행할 수 있도록 베드(2)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기울이는 견인수단(6)을 구비한 슬라이딩 베드(2)와, 상기 베드(2)가 설치된 프레임(7)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머리고정수단(5)은 견인된 경추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수단(8)을 머리고정수단(5)이 설치되는 다리고정대(9)에 설치하며, 상기 다리고정대(9)에는 머리고정수단(5)의 상하 각도를 환자의 체형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상하각도조절수단(10) 및 머리고정수단(5)의 높이를 환자 체형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여 경추 중심에서 회전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높이조절수단(1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머리고정수단(5)은 환자가 바로 누운 상태에서 목의 뒷부분이 받쳐질 수 있도록 완충부재가 내장된 원호형 목받침부(4)가 형성되고, 목이 목받침부(4)에 받쳐진 상태에서 머리의 전면을 경유토록 고정밴드(3)로 머리를 고정하고 턱걸이벨트(3a)를 환자의 턱에 결속하게 되면 슬라이딩 베드(2)가 견인수단(6)에 의해 경사지게 기울어지더라도 머리 부위가 경사방향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잡아주게 되어 궁극적으로 경추부위를 이완시키는 작동이 수행토록 한다.
상기 견인수단(6)은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베드(2)를 각도를 기울여 경추 및 요추를 견인하는 수단은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수평 상태에서 슬라이딩 베드(2)를 이동시켜 경추 및 요추를 견인하는 일반적인 슬라이딩 베드(2)의 견인수단(6)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머리고정수단(5)에 의해 환자의 목 뒷부분을 받치고 머리 및 턱 부위를 고정시켜 경추를 견인이 가능한 상태가 되면 경추를 정역방향(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목을 좌우로 회전하는 방향을 지칭함)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다리고정대(9)는 회전수단(8)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수단(8)은 도 3,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드(2)의 프레임(7) 전측 상부에 다리고정대(9)를 베어링(12)에 축설치된 샤프트(13)에 축고정설치하고, 상기 샤프트(13)의 정역방향 기동을 위해 정역구동모터(14)를 샤프트(13)와 축연결하여 정역방향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수단(8)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13)에 축고정된 다리고정대(9)의 일측으로 편심되게 축핀(15)에 의해 연결된 승강레버(16)의 하단부를 다양한 승강구동수단(17)과 연결하여 승강토록 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이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승강구동수단(17)은 전원공급에 의해 신축운동을 행하는 액츄에이터(actuator), 또는 유공압에 의해 신축운동을 행하는 유압 및 공압 실린더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경추 교정을 위해 머리와 목 부위를 고정시켜 견인할 수 있는 머리고정수단(5)과 견인수단(6), 그리고 경추를 견인한 상태에서 좌우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수단(8)을 구비하며, 더불어 환자의 체형에 따라 상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11)을 구비하며,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상하각도조절수단(10)을 선택적으로 구비한다.
상기 상하각도조절수단(10)은 다리고정대(9)에 머리고정수단(5)이 환자 체형에 따라 상하로 소정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위해 상하각도조절수단(10)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리고정대(9)에 돌출형성된 걸림턱(18)에 끼움걸림식으로 머리고정수단(5)에 고정된 조절브라켓(19)이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결합공(20)을 조절브라켓(19)의 대응부에 형성하고, 상기 조절브라켓(19)의 하부에는 조절볼트(21)를 나사결합하여 조절브라켓(19)이 조절볼트(21)의 나사결합 정도에 따라 상하로 소폭 각도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상하각도조절수단(10)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리고정대(9)를 프레임(7)의 수직부(7a) 상부에서 상하 각도조절이 가능토록 축핀(25)으로 설치하고, 수직부(7a)에 상하 각도조절을 위한 조절볼트(26)를 나사결합할 수 있는 너트(27)가 고정된 브라켓(28)을 고정한다. 상기 조절볼트(26)는 다리고정대(9) 상부로 연장되어 끝단부를 고정너트(29)로 고정하며, 다리고정대(9) 연결부는 나사산이 없도록 한 연결부(30)로 구성된다.
그리고 머리고정수단(5)의 상하 높이조절을 위해 높이조절수단(11)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레임(7)의 수직부(7a) 내부에 다리고정대(9)의 하부에 고정된 승강프레임(22)이 수직부(7a)를 따라 높이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기 승강프레임(22)은 수직부(7a)의 하단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높이조절스크류(23)와 나사결합하여 높이조절스크류(23)의 조절핸들(24)을 조절함에 따라 다리고정대(9)가 높이조절되어 이와 고정된 머리고정수단(5)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한 높이조절수단(11)은 조절핸들(24)로 수동 조절은 물론 정역 회전이 가능한 모터 및 유압 및 공압 실린더와 같은 구동원을 사용하여 조절 작동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동원을 사용하여 높이조절스크류(23)를 정역 회전시키는 기술은 일반적인 것이고 단순 설계변경 사항이므로 당해업계 종사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경추교정기(1)는 환자의 체형에 맞게 머리고정수단(5)에 환자의 목 뒷부분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호형으로 이루어진 목받침부(4)에 안치되도록 한 후 턱걸이밴드(3a)를 턱에 결합하고 고정밴드(3)를 머리 위로 돌려서 고정시킨 후 환자의 경추 중심이 회전수단(8)의 축 중심과 일치하도록 머리고정수단(5)의 상하 각도 및 높이를 상하각도조절수단(10)과 높이조절수단(11)을 사용하여 조절한다.
즉, 머리고정수단(5)의 상하 각도조절을 위해 상하각도조절수단(10)을 구성하는 조절볼트(21)를 조절브라켓(19)에서 정역방향으로 선택 나사조절하게 되면 조절볼트(21)의 끝단부가 다리고정대(9)와 연접되어 있어 조절브라켓(19)이 다리고정대(9)와 간격이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게 되고, 이러한 간격조절 작용은 결국 다리고정대(9)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18)을 기점으로 하여 조절브라켓(19)이 걸림결합공(20)에 의해 상하로 소폭 각도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머리 및 목을 고정하고 있는 머리고정수단(5)이 상하 각도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은 상하각도조절수단(10)의 경우에는 조절볼트(26)를 나사조절하면 브라켓(28)에 고정된 너트(27)와 나사결합된 조절볼트(26)가 상하로 조절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조절볼트(26)는 축핀(25)에 각도조절이 가능토록 설치된 다리고정대(9)와 나사산이 없는 연결부(30)를 통해 상단부에서 고정너트(29)로 고정되어 있어 조절볼트(26)의 나사조절 작동에 따라 다리고정대(9)가 축핀(25)을 기점으로 상하 각도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다리고정대(9)에 고정된 머리고정수단(5)의 상하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높이조절수단(11)을 이용하여 머리고정수단(5)의 높이를 조절코자 할 시에는 조절핸들(24)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조절하게 되면, 높이조절스크류(23)와 나사결합되어 있는 다리고정대(9) 하부에 일체 고정된 승강프레임(22)이 수직부(7a)를 따라 승강되므로 다리고정대(9)에 설치된 머리고정수단(5)이 상하로 높이 조절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환자의 체형에 맞추어 머리고정수단(5)의 상하 각도 및 높이를 조절시킬 때 경추의 중심이 정역 회전하는 샤프트(13) 중심과 일치토록 셋팅을 하여 경추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경추 교정효과를 극대화토록 한다.
그리고 슬라이딩 베드(2)를 견인수단(6)을 작동시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하면, 환자의 신체 자중에 의해 머리고정수단(5)에 고정된 머리와 부분을 제외한 하중에 의해 경추를 견인하게 되며, 경추가 견인된 상태에서 좌우 정역방향으로 경추를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수단(8)이 구동하게 된다. 물론 상기 슬라이딩 베드(2)를 수평 상태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견인수단(6)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시켜 경추를 견인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경추가 견인수단(6)에 의해 견인된 상태에서 회전수단(8)의 정역구동모터(14)를 기동시키면 샤프트(13)가 정역방향으로 소정 회전수로 회전운동(정확히는 원호운동)을 하게 되므로, 상기 샤프트(13)에 축고정된 다리고정대(9)가 원호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설치된 머리고정수단(5)의 원호운동에 의해 환자의 머리와 함께 경추가 원호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정역구동모터(14)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 유압 및 공압 실린더와 같은 승강구동수단(17)을 구동시키면, 다리고정대(9)와 승강구동수단(17) 사이에 설치된 승강레버(16)가 승강하면서 다리고정대(9)를 원호운동을 행하게 하여 전기와 같은 경추 원호운동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알려진 바와 같이 경추 교정을 위해서는 경추를 둘러싸고 있는 목 근육이 이완된 상태에서 경미하게 견인하는 것이 경추 디스크 치료에 효과적이므로 견인수단(6)에 의해 슬라이딩 베드(2)의 기울기를 근육 이완 상태를 적정하게 이완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전수단(8)에 의해 경추를 원호운동 시킬 때도 적정한 회전각도를 사전에 설정하여 원호운동을 시키도록 한다.
경추 또는 요추의 원호 운동 시 근육이 단축되는 현상이 일어나면서 견인력의 증가가 일어나는데, 이때 부하에 따라 본 발명은 베드(2)가 전후 슬라이딩됨으로서 정확한 견인력을 유지하며 원호운동을 할 수 있는 장치로서, 회전운동 시 근육 및 인대의 손상을 방지하며 시술의 목적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획기적인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의 경추교정기는 기존 척추교정기의 다리고정대에 부설하여 요추는 물론 경추 교정치료에 이용할 수 있어 관련 산업 발전을 도모함은 물론 환자 치료에 사용되어 국민 건강 유지에 크게 일조할 수 있는 것이다.
1: 경추교정기 2: 베드 3: 고정밴드 3a: 턱걸이벨트 4: 목받침부 5: 머리고정수단 6: 견인수단 7: 프레임 7a: 수직부 8: 회전수단 9: 다리고정대 10: 상하각도조절수단 11: 높이조절수단 12: 베어링 13: 샤프트 14: 정역구동모터 15: 축핀 16: 승강레버 17: 승강구동수단 18: 걸림턱 19: 조절브라켓 20: 걸림결합공 21: 조절볼트 22: 승강프레임 23: 높이조절스크류 24: 조절핸들 25: 축핀 26: 조절볼트 27: 너트 28: 브라켓 29: 고정너트 30: 연결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환자가 누울 수 있으며 견인수단(6)에 의해 경추와 요추를 견인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베드(2)와, 상기 베드(2)가 설치된 프레임(7) 일측에 정역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토록 회전수단(8)과 연결 설치되는 다리고정대(9)와, 상기 다리고정대(9)에는 환자의 머리를 고정시킬 수 있는 머리고정수단(5)을 구비한 경추교정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8)은 프레임(7) 상부에 다리고정대(9)를 베어링(12)에 축설치된 샤프트(13)에 축고정하고,
    상기 다리고정대(9)의 일측으로 편심되게 축핀(15)에 의해 연결된 승강레버(16)의 하단부를 승강구동수단(17)과 연결하여 승강토록 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이 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교정기.
  5. 삭제
  6. 환자가 누울 수 있으며 견인수단(6)에 의해 경추와 요추를 견인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베드(2)와, 상기 베드(2)가 설치된 프레임(7) 일측에 정역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토록 회전수단(8)과 연결 설치되는 다리고정대(9)와, 상기 다리고정대(9)에는 환자의 머리를 고정시킬 수 있는 머리고정수단(5)을 구비한 경추교정기에 있어서;
    상기 다리고정대(9)에는 돌출형성된 걸림턱(18)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18)에 끼움걸림식으로 머리고정수단(5)에 고정된 조절브라켓(19)이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결합공(20)을 조절브라켓(19)의 대응부에 형성하고,
    상기 조절브라켓(19)의 하부에는 조절볼트(21)를 나사결합하여 조절브라켓(19)이 조절볼트(21)의 나사결합 정도에 따라 상하로 각도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상하각도조절수단(1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교정기.
  7. 환자가 누울 수 있으며 견인수단(6)에 의해 경추와 요추를 견인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베드(2)와, 상기 베드(2)가 설치된 프레임(7) 일측에 정역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토록 회전수단(8)과 연결 설치되는 다리고정대(9)와, 상기 다리고정대(9)에는 환자의 머리를 고정시킬 수 있는 머리고정수단(5)을 구비한 경추교정기에 있어서;
    상기 다리고정대(9)를 프레임(7)의 수직부(7a) 상부에서 상하 각도조절이 가능토록 축핀(25)으로 설치하고,
    상기 수직부(7a)에 상하 각도조절을 위한 조절볼트(26)를 나사결합할 수 있는 너트(27)가 고정된 브라켓(28)을 고정하고,
    상기 조절볼트(26)는 다리고정대(9) 상부로 연장되어 끝단부를 고정너트(29)로 고정하며, 상기 조절볼트(26)의 다리고정대(9) 결합부는 나사산이 없는 연결부(30)로 구성된 상하각도조절수단(1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교정기.
  8. 환자가 누울 수 있으며 견인수단(6)에 의해 경추와 요추를 견인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베드(2)와, 상기 베드(2)가 설치된 프레임(7) 일측에 정역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토록 회전수단(8)과 연결 설치되는 다리고정대(9)와, 상기 다리고정대(9)에는 환자의 머리를 고정시킬 수 있는 머리고정수단(5)을 구비한 경추교정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7)의 수직부(7a) 내부에 다리고정대(9)의 하부에 고정된 승강프레임(22)이 수직부(7a)를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승강프레임(22)은 수직부(7a)의 하단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높이조절스크류(23)와 나사결합하여 높이조절스크류(23)의 조절핸들(24)을 조절함에 따라 다리고정대(9)가 높이조절되어 이와 고정된 머리고정수단(5)의 높이가 조절되어 척추 관절의 회전부를 정밀 선택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수단(1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교정기.
KR1020100003776A 2010-01-15 2010-01-15 경추교정기 KR101030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776A KR101030336B1 (ko) 2010-01-15 2010-01-15 경추교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776A KR101030336B1 (ko) 2010-01-15 2010-01-15 경추교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0336B1 true KR101030336B1 (ko) 2011-04-20

Family

ID=44050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776A KR101030336B1 (ko) 2010-01-15 2010-01-15 경추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033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2307A1 (ko) * 2012-04-26 2013-10-31 주식회사 한메드 척추교정기
KR101366533B1 (ko) * 2012-02-13 2014-02-25 주식회사 한메드 전신지압 및 척추교정기의 하체 고정장치
KR20150083469A (ko) * 2014-01-09 2015-07-20 주식회사 케디엠 상지 근력강화 및 재활운동장치
KR20160100120A (ko) 2015-02-13 2016-08-23 양재락 척추 교정방법
CN110742783A (zh) * 2019-10-28 2020-02-04 周如岳 用于儿科的斜颈治疗器
CN112353541A (zh) * 2020-10-27 2021-02-12 柏成杰 一种多功能的骨科牵引装置
WO2021109995A1 (zh) * 2019-12-05 2021-06-10 张益� 脊柱三维联动保健仪
CN113749789A (zh) * 2021-08-27 2021-12-07 彭澎 一种神经外科医疗用牵引装置
CN114522063A (zh) * 2022-01-25 2022-05-24 陈进机 一种儿科用小儿麻痹瘫痪期治疗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859Y1 (ko) * 2004-07-08 2004-10-11 양재락 전신지압 및 척추교정기의 베드구조
KR100464142B1 (ko) * 2001-08-17 2005-01-03 최병길 척추 교정기
KR200386069Y1 (ko) * 2005-02-28 2005-06-07 최규용 정형용 척추 견인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142B1 (ko) * 2001-08-17 2005-01-03 최병길 척추 교정기
KR200363859Y1 (ko) * 2004-07-08 2004-10-11 양재락 전신지압 및 척추교정기의 베드구조
KR200386069Y1 (ko) * 2005-02-28 2005-06-07 최규용 정형용 척추 견인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533B1 (ko) * 2012-02-13 2014-02-25 주식회사 한메드 전신지압 및 척추교정기의 하체 고정장치
WO2013162307A1 (ko) * 2012-04-26 2013-10-31 주식회사 한메드 척추교정기
KR20150083469A (ko) * 2014-01-09 2015-07-20 주식회사 케디엠 상지 근력강화 및 재활운동장치
KR101600858B1 (ko) * 2014-01-09 2016-03-09 주식회사 케디엠 상지 근력강화 및 재활운동장치
KR20160100120A (ko) 2015-02-13 2016-08-23 양재락 척추 교정방법
CN110742783A (zh) * 2019-10-28 2020-02-04 周如岳 用于儿科的斜颈治疗器
WO2021109995A1 (zh) * 2019-12-05 2021-06-10 张益� 脊柱三维联动保健仪
CN112353541A (zh) * 2020-10-27 2021-02-12 柏成杰 一种多功能的骨科牵引装置
CN113749789A (zh) * 2021-08-27 2021-12-07 彭澎 一种神经外科医疗用牵引装置
CN114522063A (zh) * 2022-01-25 2022-05-24 陈进机 一种儿科用小儿麻痹瘫痪期治疗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336B1 (ko) 경추교정기
WO2017183632A1 (ja) 医療装置
CN108578125B (zh) 一种重症病房用临床固定装置
US8882802B2 (en) Chiropractic machine
CN108524070B (zh) 脊椎水平旋律运动装置
KR101354760B1 (ko) 척추측만증 교정 운동치료기
CN107041804A (zh) 一种头部康复系统及其制成的多功能颈椎分型治疗机
KR20120060799A (ko) 척추교정기
KR20130070755A (ko) 경추 및 요추의 교정과 견인을 위한 장치
CN105326596B (zh) 一种角度调节装置及使用其的可牵引功能锻炼颈托
KR101998626B1 (ko) 수동 척추 치료기
CN207186701U (zh) 一种用于骨结核病手术的膝关节定位装置
CN113648065B (zh) 一种骨盆骨折复位机器人的夹持器械
CN205758875U (zh) 一种卧床患者锻炼机构
CN113749844A (zh) 一种腿部骨折患者护理用康复治疗辅助装置
KR101607427B1 (ko) 척추 견인 운동장치
CN209966688U (zh) 一种脊柱侧弯矫正装置
CN2612361Y (zh) 复健器材
CN217118829U (zh) 用于小腿骨折手术的支撑装置
CN218943772U (zh) 膝关节镜手术下肢支撑架及手术床
RU2491901C2 (ru) Аутогравитационная кушетка
CN213821931U (zh) 一种可调式自身重力牵引腰椎复位装置
CN216365465U (zh) 一种骨科康复治疗用牵引支架
KR101631938B1 (ko) 회전 토크 및 수직하중 감압력 측정이 가능한 재활운동치료용 의자
CN219461825U (zh) 一种脊柱腰椎康复锻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