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9817B1 -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소비전력 저감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소비전력 저감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9817B1
KR101029817B1 KR1020090076032A KR20090076032A KR101029817B1 KR 101029817 B1 KR101029817 B1 KR 101029817B1 KR 1020090076032 A KR1020090076032 A KR 1020090076032A KR 20090076032 A KR20090076032 A KR 20090076032A KR 101029817 B1 KR101029817 B1 KR 101029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luminance
luminance value
current frame
g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6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8529A (ko
Inventor
김용기
서정훈
권재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6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9817B1/ko
Publication of KR20110018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04N9/3161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using laser light 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6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lowering the supply or operating volt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소비전력 저감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디오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수신 및 저장하는 단계와, 저장된 현재 프레임에 대한 휘도값을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휘도값에 따른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된 모드에 따른 헤드룸 전압을 구동부에 공급하는 단계와, 비디오 데이터의 다음 프레임이 수신 및 저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결과, 비디오 데이터의 다음 프레임이 수신 및 저장되었다면, 저장된 현재 프레임에 대한 휘도값을 측정하는 단계 이하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소비전력, 헤드룸, 프레임, 비디오 데이터, 휘도

Description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소비전력 저감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e for decreasing power comsumption of laser display system}
본 발명은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소비전력 저감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사회로의 급진전과 함께, 디스플레이 화면의 대형화 및 고화질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높은 해상도에 더하여, 자연스러운 자연색의 구현이 중요시되고 있다.
완벽한 자연색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레이저와 같이 색순도가 높은 광원의 이용이 필수적인데, 레이저를 이용하여 영상을 구현하는 시스템 중의 하나가 광 스캐너를 이용한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이다.
레이저 프로젝터 및 레이저 프로젝션 등과 같은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입력받은 영상신호를 레이저 광원에서 방출되는 레이저 광을 이용하여 스크린(screen)에 투영시켜 화상을 보여주는 시스템으로서, 주로 회의실의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극장의 영사기, 가정의 홈시어터(home theater) 등을 구현하는데 이용된다.
일반적인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레이저 광원, 광 변조부, 광학계, 광 스캐너, 영상 제어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레이저 광원은 적색 광을 생성하는 적색 레이저, 녹색 광을 생성하는 녹색 레이저, 청색 광을 생성하는 청색 레이저를 포함한다.
레이저 광원은 생성되는 레이저 광을 광 변조부로 출사하고, 광 변조부는 영상 제어부의 영상제어신호에 따라 입사되는 레이저 광을 변조하여 회절광을 생성하여 광학계로 출사한다.
이어, 생성된 회절광은 광학계를 거쳐 광 스캐너로 전달되고, 광 스캐너는 영상 제어부의 미러제어신호에 따라 소정 각도로 미러들이 회전하면서 광을 스캐닝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 소스의 밝기를 프레임 단위로 분석하여 그에 상응하도록 헤드룸 전압을 가변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소비전력 저감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소비전력 저감 방법은 비디오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수신 및 저장하는 단계와, 저장된 현재 프레임에 대한 휘도값을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휘도값에 따른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된 모드에 따른 헤드룸 전압을 구동부에 공급하는 단계와, 비디오 데이터의 다음 프레임이 수신 및 저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결과, 비디오 데이터의 다음 프레임이 수신 및 저장되었다면, 저장된 현재 프레임에 대한 휘도값을 측정하는 단계 이하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저장된 현재 프레임에 대한 휘도값을 측정하는 단계는 저장된 현재 프레임의 각 픽셀에 대한 계조값을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계조값을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에 대한 평균 계조값을 연산하는 단계와, 평균 계조값에 대한 휘도값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저장된 현재 프레임에 대한 휘도값을 측정하는 단계는 저장된 현재 프레임의 각 픽셀에 대한 계조값을 추출하는 단계와, 계조값을 추출한 픽셀들 중, 서로 인접한 픽셀간의 계조 편차값을 연산하는 단계와, 계조 편차값에 대한 휘도 플래그를 생성하는 단계와, 계조 편차값에 각각 상응하는 휘도 플래그의 수를 카운팅하는 단계와, 카운팅된 휘도 플래그 수에 상응하는 휘도값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소비전력 저감 장치는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휘도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휘도값에 따른 모드를 선택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된 모드에 따른 헤드룸 전압을 공급하는 헤드룸 전압 공급부와, 공급된 헤드룸 전압에 따라, 레이저 광원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저장부와, 저장된 현재 프레임에 대한 휘도값을 측정하는 휘도값 측정부와, 측정된 휘도값에 따른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휘도값 측정부는 저장된 현재 프레임의 각 픽셀에 대한 계조값을 추출하는 계조값 추출부와, 추출된 계조값을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에 대한 평균 계조값을 연산하는 계조값 연산부와, 평균 계조값에 대한 휘도값을 추출하는 휘도값 추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휘도값 측정부는 저장된 현재 프레임의 각 픽셀에 대한 계조값을 추출하는 계조값 추출부와, 계조값을 추출한 픽셀들 중, 서로 인접한 픽셀간의 계조 편차값을 연산하는 계조 편차값 연산부와, 계조 편차값에 대한 휘도 플래그를 생성하는 휘도 플래그 생성부와, 계조 편차값에 각각 상응하는 휘도 플래그의 수를 카운팅하는 휘도 플래그 수 카운터와, 카운팅된 휘도 플래그 수에 상응하는 휘도값을 추출하는 휘도값 추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소비전력 저감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비디오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휘도값을 측정하여, 측정된 휘도값에 해당하는 모드에 따라 헤드룸 전압을 가변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헤드룸 전압을 고정된 값으로 공급하지 않고, 비디오 데이터에 따라서, 가변된 값으로 공급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소비전력이 줄어들어 해당 제품의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핸드폰과 같은 휴대기기에 적용할 경우, 저전력 구동이 가능하여 사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전류 구동 방식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레이저 광원은 실제 구동 전압보다 더 높은 헤드룸 전압(headroom volatage)을 인가하여 구동시킨다.
그 이유는 구동 전압에서 충분한 헤드룸 전압이 보장되지 않으면, 구동 신호의 왜곡이나 또는 이상 동작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레이저 광원이 소정의 비디오 레벨에 해당하는 레이저 광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상응하는 구동 전류가 인가되어야 하지만, 충분한 헤드룸 전압이 보장되지 않으면, 전류의 손실이 발생하여 원치 않은 비디오 레벨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이저 광원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전압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첫 번째 방식은 일정량의 헤드룸 전압을 고정하는 고정 방식이고, 두 번째 방식은 비디오 레벨에 따라 헤드룸 전압을 가변하는 가변 방식이다.
도 1a는 고정 방식에 따라 헤드룸 전압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b는 가변 방식에 따라 헤드룸 전압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광원은 이론적 비디오 레벨에 따른 구동 전압에 의해 구동되지 않고, 실제적으로는 소정의 오프셋 전압이 인가되고 나서야 구동되며, 해당 비디오 레벨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이론적 비디오 레벨에 따른 구동 전압보더 더 높은 헤드룸 전압을 인가해야 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방식은 비디오 레벨에 따른 헤드룸 전압이 비선형적이므로, 이를 단순화하기 위해 최상위 비디오 레벨에 해당하는 가장 높은 헤드룸 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전체 비디오 레벨에 해당되는 헤드룸 전압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고정 방식은 비디오 레벨에 따른 헤드룸 전압을 제어하기 쉬운 장점이 있는 반면에, 높은 헤드룸 전압이 필요치 않는 비디오 레벨까지도 높은 헤드룸 전압을 인가해야 함으로써,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방식은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고정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 비디오 레벨에 따라 필요로 하는 헤드룸 전압만을 인가함으로써, 불필요한 헤드룸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헤드룸 전압을 감소시켜 소비 전력을 줄이고,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소비전력 저감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 헤드룸 전압 공급부(200), 구동부(300), 레이저 광원(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휘도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휘도값에 따른 모드를 선택하여 헤드룸 전압 공급부(200)를 제어한다.
그리고, 헤드룸 전압 공급부(200)는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된 모드에 따른 헤드룸 전압을 구동부(300)로 공급한다.
다음, 구동부(300)는 헤드룸 전압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헤드룸 전압에 따라, 레이저 광원(400)을 구동시킴으로써,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수신부(110), 저장부(130), 휘도값 측정부(150), 모드 선택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신부(110)는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부(130)는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한다.
그리고, 휘도값 측정부(150)는 저장된 현재 프레임에 대한 휘도값을 측정하고, 모드 선택부(170)는 측정된 휘도값에 따른 모드를 선택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휘도값 측정부(150)는 다음 두가지 방식에 의해 현재 프레임에 대한 휘도값을 측정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휘도값 측정부를 보여주는 일실시예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도값 측정부(150)는 계조값 추출부(151), 계조값 연산부(153), 휘도값 추출부(155)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계조값 추출부(151)는 저장된 현재 프레임의 각 픽셀에 대한 계조값을 추출한다.
즉, 계조값 추출부(151)는 현재 프레임의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각 픽셀의 계조 정보를 모두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계조값 연산부(153)는 추출된 계조값을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에 대한 평균 계조값을 연산한다.
즉, 계조값 연산부(153)는 한 프레임에 대한 모든 픽셀로부터 추출된 계조값을 가지고 연산하여 한 프레임에 대한 평균 계조값을 구한다.
이어, 휘도값 추출부(155)는 미리 설정된 휘도 정보 테이블을 통해, 구해진 평균 계조값에 해당하는 휘도값을 서치하여 추출한다.
이와 같이, 추출된 휘도값을 통해 현재 프레임의 휘도를 알 수 있고, 모드 선택부(170)는 해당하는 휘도가 동영상 모드 해당하는 휘도인지 또는 정지영상 모드에 해당하는 휘도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동영상 모드는 파워 포인트나 인터넷과 같은 정지영상에 비해 높은 휘도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비디오 데이터 소스를 통해서 모드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데이터 소스의 휘도가 기준 휘도값보다 크고 작음에 따라, 강제적으로 모드를 구분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모드를 동영상 모드 또는 정지영상 모드와 같이 2가지 모드로 한정하였지만, 2가지 이상의 모드로 구분하여 구동부에 인가되는 헤드룸 전압을 미세 조정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는 도 3의 휘도값 측정부를 보여주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도값 측정부(150)는 계조값 추출부(161), 계조 편차값 연산 부(163), 휘도 플래그 수 카운터, 휘도값 추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계조값 추출부(161)는 저장된 현재 프레임의 각 픽셀에 대한 계조값을 추출한다.
즉, 계조값 추출부(151)는 현재 프레임의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각 픽셀의 계조 정보를 모두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계조 편차값 연산부(163)는 인접한 픽셀간의 계조 편차값을 연산한다.
즉, 계조 편차값 연산부(163)은 한 프레임에 대한 모든 픽셀들로부터 추출된 계조값을 이용하여, 서로 인접한 픽셀들간의 계조 편차를 구한다.
예를 들면, 한 픽셀의 계조값이 1 - 255까지 구현할 수 있다면, 인접한 픽셀간의 계조 편차값은 최대 244에서 최소 1까지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이, 1 - 244까지 계조 편차값이 구해지면, 휘도 플래그 생성부(165)는 각 계조 편차값에 대한 휘도 플래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1 - 122까지에 해당하는 계조 편차값은 휘도 플래그를 0으로 생성하고, 123 - 244까지에 해당하는 계조 편차값은 휘도 플래그를 1로 생성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휘도 플래그는 1 - 50과 같이 더 세분화될 수 있다.
그리고, 휘도 플래그 수 카운터(167)가 해당하는 프레임의 휘도 플래그 수를 카운팅하면, 휘도값 추출부(169)는 카운팅된 휘도 플래그 수에 상응하는 휘도값을 추출한다.
즉, 휘도값 추출부(169)는 예를 들면 1에 대한 휘도 플래그의 수가 100개이 면, 미리 설정된 휘도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그에 해당하는 휘도값을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출된 휘도값을 통해 현재 프레임의 휘도를 알 수 있고, 모드 선택부(170)는 해당하는 휘도가 동영상 모드 해당하는 휘도인지 또는 정지영상 모드에 해당하는 휘도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소비전력 저감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소비전력 저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수신부(110)가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면, 저장부(130)는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한다.(S11)
이어, 휘도값 측정부(150)는 저장된 현재 프레임에 대한 휘도값을 측정하는데, 다음 두가지 방식에 의해 휘도값을 측정할 수 있다.(S13)
먼저, 첫 번째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도 6의 휘도값 측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조값 추출부(151)은 저장된 현재 프레임의 각 픽셀에 대한 계조값을 추출한다.(S31)
즉, 계조값 추출부(151)은 현재 프레임의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각 픽셀의 계조 정보를 모두 추출한다.
다음, 계조값 연산부(153)는 추출된 계조값을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에 대한 평균 계조값을 연산한다.(S33)
즉, 계조값 연산부(153)는 한 프레임에 대한 모든 픽셀로부터 추출된 계조값을 가지고 연산하여 한 프레임에 대한 평균 계조값을 구한다.
이어, 휘도값 추출부(155)는 미리 설정된 휘도 정보 테이블을 통해, 구해진 평균 계조값에 해당하는 휘도값을 서치하여 추출한다.(S35)
다음, 두 번째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도 6의 휘도값 측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조값 추출부(151)은 저장된 현재 프레임의 각 픽셀에 대한 계조값을 추출한다.(S51)
즉, 계조값 추출부(151)은 현재 프레임의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각 픽셀의 계조 정보를 모두 추출한다.
그리고, 계조 편차값 연산부(163)는 인접한 픽셀간의 계조 편차값을 연산한다.(S53)
즉, 계조 편차값 연산부(163)은 한 프레임에 대한 모든 픽셀들로부터 추출된 계조값을 이용하여, 서로 인접한 픽셀들간의 계조 편차를 구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 픽셀의 계조값이 1 - 255까지 구현할 수 있다면, 인접한 픽셀간의 계조 편차값은 최대 244에서 최소 1까지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이, 1 - 244까지 계조 편차값이 구해지면, 휘도 플래그 생성부(165)는 각 계조 편차값에 대한 휘도 플래그를 생성한다.(S55)
예를 들면, 1 - 122까지에 해당하는 계조 편차값은 휘도 플래그를 0으로 생성하고, 123 - 244까지에 해당하는 계조 편차값은 휘도 플래그를 1로 생성한다.
그리고, 휘도 플래그 수 카운터(167)는 해당하는 프레임의 휘도 플래그 수를 카운팅한다.(S57)
이어, 휘도값 추출부(169)는 카운팅된 휘도 플래그 수에 상응하는 휘도값을 추출한다.(S59)
예를 들면, 휘도값 추출부(169)는 1에 대한 휘도 플래그의 수가 100개이면, 미리 설정된 휘도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그에 해당하는 휘도값을 추출할 수 있다.
다음, 모드 선택부(170)은 상기와 같이 휘도값 측정부(150)에 의해 측정된 휘도값에 따른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S15)
예를 들면, 색상이 화이트일 때, 휘도가 100이라면, 50을 기준으로 했을 때, 측정된 휘도가 80이었다면, 인터넷 등과 같은 밝은 휘도를 갖는 정지영상 모드로 판단하고, 측정된 휘도가 40이었다면, 낮은 휘도를 갖는 동영상 모드로 판단할 수있다.
이어, 헤드룸 전압 공급부(200)는 선택된 모드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헤드룸 전압을 가변하여 구동부(300)로 공급한다.(S17)
즉, 헤드룸 전압 공급부(200)는 계조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헤드룸 전압을 무조건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선택된 모드에 따라, 낮은 휘도를 갖는 동영상 모드라면, 기존의 헤드룸 전압보다 더 낮은 헤드룸 전압으로 가변하여 구동부(300)로 공급한다.
따라서, 구동부(300)는 낮게 가변된 헤드룸 전압에 따라, 레이저 광원을 구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다음 프레임의 비디오 데이터가 수신 및 저장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9)
판단결과, 비디오 데이터의 다음 프레임이 수신 및 저장되었다면, 제어부(100)는 저장된 현재 프레임에 대한 휘도값을 측정하는 S11 단계 이하를 반복 수행하고, 판단결과, 비디오 데이터의 다음 프레임이 수신 및 저장되지 않았다면, 모든 동작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헤드룸 전압을 고정된 값으로 공급하지 않고, 비디오 데이터에 따라서, 가변된 값으로 공급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소비전력이 줄어들어 해당 제품의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핸드폰과 같은 휴대기기에 적용할 경우, 저전력 구동이 가능하여 사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도 1a는 고정 방식에 따라 헤드룸 전압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b는 가변 방식에 따라 헤드룸 전압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소비전력 저감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의 제어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의 휘도값 측정부를 보여주는 일실시예
도 5는 도 3의 휘도값 측정부를 보여주는 다른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소비전력 저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도 6의 휘도값 측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의 흐름도
도 8은 도 6의 휘도값 측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

Claims (8)

  1. 레이저 광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소비전력 저감 방법에 있어서,
    비디오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수신 및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현재 프레임에 대한 휘도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휘도값에 따른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모드에 따른 헤드룸 전압을 상기 구동부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다음 프레임이 수신 및 저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다음 프레임이 수신 및 저장되었다면, 상기 저장된 현재 프레임에 대한 휘도값을 측정하는 단계 이하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소비전력 저감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현재 프레임에 대한 휘도값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현재 프레임의 각 픽셀에 대한 계조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계조값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프레임에 대한 평균 계조값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평균 계조값에 대한 휘도값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소비전력 저감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현재 프레임에 대한 휘도값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현재 프레임의 각 픽셀에 대한 계조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계조값을 추출한 픽셀들 중, 서로 인접한 픽셀간의 계조 편차값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계조 편차값에 대한 휘도 플래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계조 편차값에 각각 상응하는 휘도 플래그의 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상기 카운팅된 휘도 플래그 수에 상응하는 휘도값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소비전력 저감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휘도값에 따른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모드는 동영상 모드 또는 정지영상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소비전력 저감 방법.
  5. 레이저 광원을 포함하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소비전력 저감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휘도값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휘도값에 따른 모드를 선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모드에 따른 헤드룸 전압을 공급하는 헤드룸 전압 공급부; 그리고,
    상기 공급된 헤드룸 전압에 따라, 상기 레이저 광원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소비전력 저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된 현재 프레임에 대한 휘도값을 측정하는 휘도값 측정부;
    상기 측정된 휘도값에 따른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소비전력 저감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값 측정부는,
    상기 저장된 현재 프레임의 각 픽셀에 대한 계조값을 추출하는 계조값 추출부;
    상기 추출된 계조값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프레임에 대한 평균 계조값을 연산하는 계조값 연산부;
    상기 평균 계조값에 대한 휘도값을 추출하는 휘도값 추출부를 포함하여 구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소비전력 저감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값 측정부는,
    상기 저장된 현재 프레임의 각 픽셀에 대한 계조값을 추출하는 계조값 추출부;
    상기 계조값을 추출한 픽셀들 중, 서로 인접한 픽셀간의 계조 편차값을 연산하는 계조 편차값 연산부;
    상기 계조 편차값에 대한 휘도 플래그를 생성하는 휘도 플래그 생성부;
    상기 계조 편차값에 각각 상응하는 휘도 플래그의 수를 카운팅하는 휘도 플래그 수 카운터;
    상기 카운팅된 휘도 플래그 수에 상응하는 휘도값을 추출하는 휘도값 추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소비전력 저감 장치.
KR1020090076032A 2009-08-18 2009-08-18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소비전력 저감장치 및 방법 KR101029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032A KR101029817B1 (ko) 2009-08-18 2009-08-18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소비전력 저감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032A KR101029817B1 (ko) 2009-08-18 2009-08-18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소비전력 저감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529A KR20110018529A (ko) 2011-02-24
KR101029817B1 true KR101029817B1 (ko) 2011-04-20

Family

ID=43776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6032A KR101029817B1 (ko) 2009-08-18 2009-08-18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소비전력 저감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981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0707A (ko) * 2008-01-22 2009-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터 및 그 전류 구동 방법
JP2009175428A (ja) 2008-01-24 2009-08-06 Funai Electric Co Ltd レーザプロジェ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0707A (ko) * 2008-01-22 2009-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터 및 그 전류 구동 방법
JP2009175428A (ja) 2008-01-24 2009-08-06 Funai Electric Co Ltd レーザプロジェ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529A (ko) 201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9000B2 (en) Display, display control method, display contro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7631974B2 (en) Image display method and image display device
CN100592194C (zh) 投影机和显示图像调整方法
WO2019056647A1 (zh) 背光源驱动方法和装置
US9581886B2 (en) Projector and light emission control method in projector
US20040227456A1 (en) Display apparatus
JP2014048384A (ja) 表示装置および光源制御方法
JP2014021227A (ja)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における発光制御方法
KR20090082861A (ko) 화상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JP2006189824A (ja) 画像表示方法及び装置、並びにプロジェクタ
WO2021169594A1 (zh) 一种投影显示的控制方法、调整装置及投影装置
KR101029817B1 (ko)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소비전력 저감장치 및 방법
US9482935B2 (en) Projection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projection apparatus, and program therefor
JP2004325644A (ja) プロジェクタ
US20180336812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liquid crystal display method, and liquid crystal display program
JP2014066805A (ja)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における発光制御方法
CN114155802A (zh) 激光投影显示方法、激光投影设备和可读性存储介质
JP2017010057A (ja)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における発光制御方法
KR20110088104A (ko)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스펙클 저감장치 및 방법
JP5392345B2 (ja) プロジェクタ及びプロジェクタの制御方法
JP6662224B2 (ja) 投射型表示装置及び投射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2009175771A (ja) プロジェクタの制御方法
CN114584748B (zh) 激光投影设备、其显示方法及可读性存储介质
WO2022052867A1 (zh) 投影设备
US11810493B2 (en)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and proj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