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9636B1 - 텔레비전 수상기용 주변 장치 - Google Patents

텔레비전 수상기용 주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9636B1
KR101029636B1 KR1020057014769A KR20057014769A KR101029636B1 KR 101029636 B1 KR101029636 B1 KR 101029636B1 KR 1020057014769 A KR1020057014769 A KR 1020057014769A KR 20057014769 A KR20057014769 A KR 20057014769A KR 101029636 B1 KR101029636 B1 KR 101029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television
data
interface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4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9351A (ko
Inventor
매티아스 잔
Original Assignee
포티온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319292A external-priority patent/DE10319292A1/de
Application filed by 포티온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포티온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069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9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5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for pay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4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the audio stream,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audi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8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providing answers, e.g. v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37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telephone network, e.g. PO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0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audio data, e.g. different tracks for different languages
    • H04N21/811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audio data, e.g. different tracks for different languages comprising music, e.g. song in MP3 forma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2007/1739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the upstream communication being transmitted via a separate link, e.g. telephone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텔레비전 신호를 픽업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용 주변 장치에서 텔레비전 방송국으로부터 시청자로 실시간 양방향성의 가능성을 시뮬레이션하는 선택적이고, 병렬적이며 거의 동시적인 전송 채널을 생성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은 주변 장치를 텔레비전 수상기의 인터페이스또는 텔레비전 수상기에 연결된 추가적 인터페이스에 연결하는 플러그 연결 장치를 가지는 주변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성취된다. 상기 인터페이스 또는 추가적 인터페이스에 인가되는 텔레비전 신호의 적어도 일부는, 주변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데이터는 주변 장치의 전송 장치를 통해 수신기 장치로 전송되면서 주변 장치의 처리 장치에 의해 처리된다.
텔레비전 신호, 플러그 연결 장치, 소켓 장치, 주변 장치

Description

텔레비전 수상기용 주변 장치{PERIPHERAL DEVICE FOR A TELEVISION SET}
본 발명은 텔레비전(TV) 신호가 탭-오프(tap-off)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텔레비전 수상기(set)의 주변 장치 또는 부속 유닛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주변 장치와 연동하는 수신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은 주변 장치 및 수신기 장치를 구비하여 대응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신호에 부가 데이터를 삽입하는 바람직한 방법이 "Method for the transmission of data with a television signal"이라는 명칭으로 2001년 1월 16일에 출원된 독일 특허 출원 No. 101 01 750.2와 PCT 공개 공보 WO 02/25924 A2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러한 내용은 참조로서 본 출원에 병합되어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는 데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은 텔레비전 송신기에서 텔레비전 시청자로의 실시간 상호작용 능력을 실현하는 선택적, 병렬적, 및 동시적 송신채널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의 장치의 경우에, 상기 목적은, 주변 장치가 텔레비전 수상기의 인터페이스에, 또는 추가적 주변 유닛, 텔레비전에 연결된 비디오 레코더 등의 해당 인터페이스에 주변 장치를 연결하는 플러그 연결 장치(plug-in device)를 가지고,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추가적 인터페이스에 존재하는 텔레비전 및/또는 라디오 신호의 적어도 일부는 주변 장치의 처리 장치에 의해 처리되며, 처리 장치에 의해 공급된 데이터는 주변 장치의 전송 장치를 통해 수신기 장치로 전송된다.
특히나, 본 발명의 이점은, 본 발명에 따라 프로그램-첨부 부가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통신 및 표시하는 경우에, 텔레비전 화상이 방해되거나 손상되지 않으며 오히려 텔레비전 수상기에 변함없이 일정하게 표시됨에 있는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독창적이며 선택적인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또한 텔레텍스트(teletext)로 스위칭할 시 발생하는 프로그램 중단도 필요치 않는다.
바람직하게, 처리 장치는 텔레비전 신호로부터 프로그램 신호뿐만 아니라 그에 인가된 부가 데이터를 추출하여 프로그램 신호 및 부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조정한다. 이러한 추출과정은 일반적으로 디코딩을 포함하며, 적절한 경우, 부가 데이터를 부분적으로 해독한다. 상기 조정과정은 수신기 장치로 송신하기 위해 다시 부호화(코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인가된 부가 데이터는 설정된 텔레비전 송신기(CNI)의 채널 수 및/또는 현재시간을 암호화 방식으로 구비하는 것이 좀 더 바람직하다. 암호화된 현재시간(중간개입 불가능) 및/또는 현재시간에 부가하여 본 발명에 따라 텔레비전 신호와 함께 주변 장치로 이미 본래적으로 송신되는, 적어도 인증된 형식(수신기 장치는 송신된 시간이 올바르며 플러그 연결식 모듈로부터 발생된 것으로 인식함)을 송신함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지는데,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 장치로의 데이터 송신방법을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며, 이러한 방법은 경품 게임(prize games)에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송신 장치에 의한 데이터의 송신은, 오로지 단 방향으로 수행되고, 수신기 장치로의 방송 프로그램 신호와 함께 본질적으로 동시적으로 수행된다. 단 방향으로의 송신은 기술적으로 상대적으로 구현하기 용이하고, 상호작용 능력은 송신 데이터의 형식, 예를 들면, 문-답 방식으로 구현된다. 동시성은 원하지 않는 조작의 방지를 보장하는 한편, 다른 한편으로는 다수의 시청자가 간단하게 동시적으로 시청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는데, 예를 들면, 경품 게임의 경우, 이러한 방식은 다수의 법칙(law of large numbers)에 따라 경품분배를 단순화한다.
특히 실시예에 따르면, 주변 장치는, 텔레비전 수상기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 주변 장치가 연결될 수 있는 소켓 장치(socket device)를 더 구비하며, 상기 주변 장치는 플러그 연결과 소켓 장치 사이에서 본질적으로 투명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추가적 주변 장치는 비디오 레코더 등이다. 이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인터페이스가 본 발명의 주변 장치를 사용하여, 다른 기기에 대해서 차단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주변 장치는 플러그 부 및 소켓 부를 구비하는 플러그 연결식 모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주변 장치는 추가적 공간의 필요없이 플러그 연결식 모듈을 단순히 삽입함으로써 간단하게 신뢰성 있게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주변 장치는 텔레비전 신호의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신호의 전기 에너지의 일부에서 그 전기에너지를 공급받는다. 결과적으로, 주변 장치는 전원 공급 시스템 연결 또는 배터리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바람직하게, 송신 장치는 부호화된 펄스로서 처리 장치에 의해 공급된 데이터를 암호화된 형태로 수신기 장치에 송신하는 RF 송신기(대안적으로, 예를 들면, IR 연결 또는 케이블) 형태로 형성된다. 펄스-부호화된 송신이 대응하는 낮은 듀티 사이클(duty cycle)을 가지는 경우, 극히 적은 전력을 소모하게 될 것이다. 특히, 암호화는 원하지 않는 조작 및 통신방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텔레비전 수상기에 현재 설정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탭 오프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와 관련하여 장점을 가지는데, 이는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부가 데이터 채널이 텔레비전 화상의 손상 없이 현재 프로그램과 함께 프로그램-첨부 방식으로 병렬적으로 시청자로 수신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현재 설정 또는 동조된 채널에 할당된 부가정보를 정확하게 소통시킬 수 있다. 텔레비전 채널의 채널이 바뀌는 경우, 방송국, 예를 들면, 텔레비전 송신기에 의해 제공된 그에 대응하는 정보는, 이 채널로 존재하는 경우, 새로 설정된 채널에 대해 프로그램-첨부 방식으로 수신된다. 간단한 기술적 실현에 따르면, 상기 인터페이스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스카트(스카트) 접속부, 또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스카트 접속부를 통해 연결되는 추가적 주변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플러그 연결식 모듈 형태로 형성된 주변 장치는, 그 플러그 연결 부가 스카트 커넥터이며 그 소켓 섹션은 스카트 소켓인 구조로 형성된다. 직렬 인터페이스와 같은 다른 인터페이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도록 고려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라서, 주변 장치 또는 플러그 연결식 모듈과 연동하는 추가적 주변 장치 또는 부속장치는 주변 장치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에 대한 수신능력을 구비한 수신기 장치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예를 들면 주변 장치로의 추가적 송신 능력 또는 원격 데이터 송신 능력도 구비한다. 상기 추가적 주변 또는 부속장치, 또는 수신기 장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장치,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장치 및 처리 장치로 구성되는 휴대 유닛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호작용 능력을 수행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주변 장치의 처리 장치는 두 개의 서로 다른 데이터 세트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텔레비전 신호로부터 추출한다. 이때, 상기 두 개의 데이터 세트의 개별 데이터는 서로에게 할당되며, 상기 두 개의 데이터 세트의 할당된 데이터는 송신 장치에 의해 수신기 장치로 송신되며, 적어도 제 1 데이터 세트의 어떤 초기 데이터는 수신기 장치의 표시장치에 표시되며, 제 2 데이터 군은 수신기 장치의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수신기 장치의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해독하는데 사용된다.
양방향 텔레비전(interactive TV)의 과금가능한 부가서비스를 간단히 구현하기 위해, 수신기 장치는 전자 캐쉬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금액(amount)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가 제 2 데이터 세트의 관련 데이터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의 평가에서 결재된다. 따라서, 어떠한 종류의 부가 데이터, 예를 들면, 날씨 정보, 송신-첨부 데이터 등도 사용금액을 결재함으로써 수신되어 표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수신기 장치는 처리 장치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전화선을 통해 원격으로 송신할 수 있는 라우드스피커(loudspeaker)를 구비한다. 라우드스피커를 사용함으로써, 경품게임에서의 경품 식별 등의 암호화된 메시지를 전화선을 통해 간단하고도 외부 조작에 대해 충분한 보안을 유지하면서 송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수신기 장치를 개시하기 위하여, 이동 전화방식으로 인증코드를 입력해야 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수신기 장치에 대한 불법적인 동작이 방지된다.
보안상의 이유로, 수신기 장치의 처리 장치의 적어도 일부는 스마트 카드 칩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데이터 처리에 있어서 보안상-중요부(security-critical part)는 스마트 카드 칩에 의해 실행된다. 예를 들면, 표시부의 구동 등의 다른 제어는 종래의 CPU에 의해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은 텔레비전 수상기의 인터페이스 또는 그에 연결된 주변 장치의 인터페이스에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 연결식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때, 삽입된 플러그 연결식 모듈은 인터페이스에 존재하는 텔레비전 신호에 인가된 부가 데이터를 텔레비전 신호로부터 분리하는 장치를 구비하며, 플러그 연결식 모듈은 또한 부가 데이터를 휴대용 수신기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장치를 더 구비한다. 이러한 경우, 플러그 연결식 모듈은 간단한 플러그 연결 동작에 의해 인터페이스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적 장치를 지칭하며, 이러한 목적으로 대응하는 플러그 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해당 주변 장치에는 예를 들면, 비디오 레코더, 셋톱박스(set-top box)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그램-첨부 부가 데이터는 송신기에서의 프로그램 신호에 포함되며, 예를 들면, 텔레비전 신호와 함께 블랭킹 간격(blanking interval)을 통해 송신된다. 수신기 장치는 휴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지니고 다닐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부가 데이터의 송신은 현재 동조된 채널에 할당된 프로그램 신호를 텔레비전 수상기에 표시함과 함께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채널은 특정시점에서 프로그램 신호에 동기화된 대응하는 부가 데이터를 구비한다. 부가 데이터의 격리와 수신기 장치로의 전송 간에 경과되는 짧은 시간에 의해, 부가 데이터를 수신기 장치에 거의 동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플러그 연결식 모듈은 텔레비전 수상기의 스크린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프로그램 신호에 대응하는 부가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한다. 병렬 데이터 송신채널은 이 방식으로 생성된다. 부가 데이터와 프로그램 신호와의 대응성 때문에, 이전채널에서 현재채널로 텔레비전 수상기의 채널 변경이 일어나는 경우에, 인터페이스를 통해 플러그 연결식 모듈에 의해 변경된 후, 현재 채널의 부가 데이터는 분리되어 송신된다.
바람직하게, 인터페이스는 텔레비전 수상기 외부에 형성된 인터페이스이며, 좀 더 바람직하게는, 텔레비전 수상기 또는 주변 장치의 스카트 인터페이스이다. 이러한 경우, 부가 데이터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스카트 인터페이스의 19번 핀 또는 셋톱박스, 비디오 레코더 등의 스카트 인터페이스의 20번 핀를 통해 수신된다.
텔레비전 수상기상의 프로그램 신호 및 부가 데이터를 동시적 및 독립적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휴대용 수신기 장치는 부가 데이터가, 특히 텔레비전 수상기상에 표시되는 프로그램 신호와 함께 본질적으로 동시적으로 표시되는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수신기 장치는 이동전화,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예를 들면 팜 컴퓨터(palm computer) 등이 될 수 있다. 추가적 송신 형식과 관련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Bluetooth interface)(도 2c) 또는 IrDa 데이터 연결(도 2d)을 통해, 정확한 양방향이 되도록 플러그 연결식 모듈과 이동전화 사이에 송신로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IrDa 데이터 연결은 이동전화와 노트북 컴퓨터 사이의 통신을 위한 공지된 방식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적외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표준화된 연결방식을 지칭한다. 블루투스 연결방식의 경우에는, 플러그 연결식 모듈과 이동전화 사이에 통신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진다. 플러그 연결식 모듈이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수상기의 후면에 삽입된다는 사실은 이 경우에 장애가 되지 않는데, 이가 블루투스 송신을 방해하지 않기 때문이다. IrDa 데이터 연결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플러그 연결식 모듈에서 수신기 장치로의 송신 링크의 일부에만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텔레비전 수상기가 일반적으로 보이는 선을 차단함으로써 플러그 연결식 모듈과의 적외선 통신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수신기 장치와의 통신을 위해 케이블을 이용하여 IR 송수신기를 텔레비전 수상기 주변에 위치시킴으로써 그러한 방해를 제거시킬 수는 있지만, 플러그 연결식 모듈에서 IrDa 중계 장치를 통해 제 1 RF 송신 링크가 제공되는 변경위치에 플러그 연결식 모듈을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IrDa 중계 장치 내지 수신기 장치, 즉, 이동전화 등은 제 2 송신 링크를 나타낸다(도2d). 이러한 경우, IrDa 중계 장치는 예를 들면, 수용 소자(크레이들: cradle) 또는 수신기 장치의 플러그 연결식 모듈에 일체화된다. 결과적으로, 플러그 연결식 모듈과의 양방향 통신이 간단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특히 상업적으로 사용가능한 이동전화, PDA 등과 같은 기기에 복잡한 변경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간단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연결의 양방향성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예를 들면, 경품 게임의 진행이 플러그 연결식 모듈에 영향을 주고 사용자의 입력은 상기 플러그 연결식 모듈로 다시 송신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위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된 블루투스 연결방식 또는 IrDa 연결방식 대신에, 다른 형식의 연결방식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특히 무선 또는 유선에 기초한 통신 연결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적 연결을 위해 텔레비전 수상기에 스카트 슬롯를 막지 않기 위해, 플러그 연결식 모듈은 플러그 부와 소켓 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러그 부와 소켓 부는 본질적으로 마주보도록 배열되고, 그리고 플러그 연결식 모듈은 플러그 부과 소켓 부 사이에서 본질적으로 투명하도록 형성된다. "본질적으로 투명하다"는 것은 대부분의 표준적 기기에 필요한 플러그 부와 소켓 부의 대응하는 핀들의 관통연결 (비디오 레코더와 커넥터 모듈의 소켓 부의 연결 등)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은 텔레비전 수상기의 스카트 인터페이스 또는 그에 연결된 주변 장치의 스카트 인터페이스에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 연결식 모듈에 의해 성취된다. 플러그 연결식 모듈은 텔레비전 신호에 인가된 부가 데이터를 특히 단 방향의 송신 링크를 통해 판독하며, 판독된 부가 데이터를 방송 프로그램 신호와 함께 휴대용 수신기 장치로 본질적으로 동시적으로 송신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주변 장치 또는 플러그 연결식 모듈 및 수신기 장치로 구성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은 텔레비전 수상기의 스카트 인터페이스 또는 그에 연결된 주변 장치의 스카트 인터페이스에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 연결식 모듈을 이용하여 텔레비전 송신과 병렬로 송신 채널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플러그 연결식 모듈은 텔레비전 신호에 인가된 부가 데이터를 판독하여 단 방향의 송신 링크를 통해 판독된 부가 데이터를 방송 프로그램 신호와 함께 휴대용 수신기 장치로 본질적으로 동시적으로 송신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과 그 부가적인 특징, 목적, 장점 및 그 응용 실시예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하거나 그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기재 및/또는 도면으로 나타낸 모든 특징은 그 자체로서 또는 바람직한 조합의 형태로 본 발명의 요지를 구성하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의 조합 또는 그를 뒷받침하는 기재내용과는 실질적으로 독립적이다.
도 1은 홈 TV 시스템과 관련된 본 발명의 적용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용 하드웨어 또는 이동 전화기, PDA, 리모트 컨트롤러 등과 같은 부가 모듈을 나타내는 휴대용 수신부 및 플러그 연결식 모듈로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대응되는 되는 도면으로서, 도 2b의 상측부는 제 1 모드인 문/답 모드의 수신부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b의 중간부는 제 2 모드인 정보 운용(information operating) 모드의 수신부를 도시하고 있고, 도 2b의 하측부는 제 3 모드인 전자 결제 동작(electronic cash operating)모드의 수신부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2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기와 같은 휴대용 수신부 및 플러그 연결식 모듈로 구성되는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기와 같은 휴대용 수신부및 플러그 연결식 모듈로 구성되는 시스템의 구성 및 데이터 전송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e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용 리모트 컨트롤러와 같은 휴대용 수신부 및 플러그 연결식 모듈로 구성되는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f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용 리모트 컨트롤러와 같은 휴대용 수신부 및 플러그 연결식 모듈로 구성되는 시스템의 구성 및 데이터 전송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식 모듈과 텔레비전 수상기 또는 그에 연결된 부가 장치들과의 다양한 연결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연결식 모듈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수신부가 이동 전화기인 경우의 플러그 연결식 모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수신부가 텔레비전 수상기용 리모트 컨트롤러인 경우의 플러그 연결식 모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질적인 응용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TV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가정용 TV 수신부 또는 텔레비전이 도시되어 있다. 다양한 전송 경로들이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인공위성을 통한 TV 수신과, 지상파 TV 수신, 케이블 망을 통한 TV 수신등과 같은 전송 경로들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전송 경로들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개별적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TV 신호들은 텔레비전 송신기에 의해 다양한 전송 경로들을 통해 방송될 수 있다. 텔레비전 신호에 포함되는 부가 데이터는 그 텔레비전 신호와 함께 텔레비전 수상기에 전송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종래에 알려져 있다. 텔레비전 신호에 부가 데이터를 포함하는 바람직한 방법이 "Method for the transmission of data with a television signal"라는 명칭으로 2001년 1월 16일에 출원된 독일 특허 출원 No. 101 01 750.2 및 PCT 공개 공보 WO 02/25924 A2에 개시되어 있으며, 양 문헌의 전체 내용은 참조로서 본 출원에 병합된다. 이 방법에 따르면, 종래의 텔레텍스트인 경우, 부가 데이터는 블랭킹 간격에 통합되지 않고, 오히려 비디오 신호, 즉, 텔레비전 수상기에 표시되는 텔레비전 신호의 일부에 텔레비전 시청자들에게 보여지지 않는 방식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방법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특히 바람직하므로, 이에 대해서 하기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양한 텔레비전 표준들이 종래에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신호는 실제 비디오 신호(V), 플랭킹 신호(B) 및 동기 신호(S)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비디오 신호는 전송되는 원본 영상(picture)의 밝기 분포에 대해 라인별로 획득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수평 및 수직 빔 플라이백(flyback) 동안, 비디오 신호는 그 진행이 일시적으로 중단되는데, 이를 소위 "블랭겐드(blanked)"라 한다. 블랭킹 신호는, 라인-주파수 수평 블랭킹 펄스에 의해, 그리고 필드 변화의 리듬(rhythm)에 따라 나타나며 상기 수평 블랭킹 펄스보다 짧은 구간을 가지는 수직 블랭킹 펄스에 의해 형성된다. 수신단에서 텔레비전 영상 관(television picture tude)에 기입된 라인 래스터(raster)를 송신단에서의 라인 래스터와 동기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동기 신호가 제공된다. 이는 기록 및 재생 컨번터(converter)에서 편향(deflection) 장치를 동일하게 제어한다. 게다가, 호환적인 컬러 영상의 전송을 허용하도록 크로미넌스(chrominance) 신호도 전송된다. 동반하는 사운드를 전송하기 위해서, 고주파 사운드 캐리어 진폭의 주파수 발진(a frequency modulation of a high-frequency sound carrier oscillation)이 텔레비전 방송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텔레비전 전송 방식은 넓고 값비싼 통신 채널을 차지지만, 후반부는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대략적으로 전송 시간의 1/4 동안, 상술한 바와 같은 비디오 신호에 해당되는 실제의 영상 정보가 전혀 전송되지 않는다. 수평 및 수직 빔 편향을 위한 동기 신호가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블랭킹 간격에 전송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를 들어 CIR 625-line 규격에 따르면, 부가 데이터에 의해 점유될 수 있는 총 17 라인들이 여전히 필드마다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필드 당 대략 12 라인들만이 테스트 및 데이터 신호들에 의해 점유된다. 이러한 부가 테스트 및/또는 데이터 신호들의 전송은 그 신호들이 수직 블랭킹 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텔레비전 시청자들에게 방해가 되는 방식으로 목격되지 않는다.
이러한 형태의 데이터 신호의 전송의 예가 텔레텍스트이다. 텔레텍스트는 제공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더하여 스크린상의 문자와 그래픽을 통한 특정 영역으로부터의 정보를 텔레비전 시청자들이 인식할 수 있게 해 준다. 편집 조절(editorial conditioning)은 그것들에 의해 지정된 해당 방송 협회와 기구에 의해 수행된다. 제공되는 것들의 예로는 현재의 뉴스, 교통 상태(traffic indications), 기상 보도, 스포츠 정보 등이 있다. 그러나, 현재 프로그램에 예를 들어 외국어 방송에 필요한 자막을 삽입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텔레텍스트는 우선적으로, 특히 가능한 데이터 전송량이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가능하다면 더 많은 정보를 텔레비전 수신기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텔레텍스트의 다른 단점은, 공지된 부가적인 테스트 또는 데이터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하여 송신 스튜디오에서의 복잡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실제의 전송 신호를 형성하도록 상기 비디오 신호와 결합되어야 한다는데 있다. 그러므로, 데이터 신호들을 실제의 "콘텐츠(contents)"에 결합할 때 부분적으로 그리고 수동으로 비교적 복잡한 동기가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전송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은 비교적 복잡해지게 된다.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은 텔레텍스트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고 있는 PCT 공개 공보 WO 02/25924 A2에 개시된 방법은, 필드 당 다수의 라인들이 공차 마진 상의 이유로 데이터 신호들에 점유될 수 없다는 핵심 개념으로부터 그 해결책을 구하고 있다. 이는 모든 텔레비전 수신기가 소위 "캐쉬(cache)"를 가지고 있어서 활성(active) 비디오 신호의 일부만을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상기 캐쉬의 크기는 사용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설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이러한 간격들은 텔레비전 시청자의 시청상의 편안함을 해치지 않기 위해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전술한 방법의 핵심 개념은 정확히 말하면 그러한 편견을 극복해서 현재까지 데이터 전송용으로 사용되지 않고 있던 그러한 간격들을 사실상 사용하는데 있다. 영상 재생이 이에 대응되는 대용량 캐쉬를 가지는 텔레비전 수신기에 대해 손상되는 경우는, 전송된 데이터가 텔레비전 영상을 해치는 정도를 최소화하여 디자인된다는 사실에 입각하여 고려된다.
이러한 경우의 장점은 전송될 데이터가 블랭킹 간격에서 전송되지 않고 오히려 비디오 신호, 즉 실제 콘텐츠와 함께 전송된다는데 있다. 이로써, 별도의 동기가 수행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텔레비전 신호의 스튜디오 조절이 간편해 진다. 마찬가지로, 데이터는 이 방식으로 송신기와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라 전송되는 데이터와 함께 또는 -내의 방송 프로는 동일한 정보를 방송 송신기와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텔레비전 수신기에게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실제 비디오 신호에서 전송된다. 이 방식으로, 상기 데이터는 어떠한 형태의 비디오 신호의 기록에 대해서도, 예를 들면 종래의 비디오 리코더에 의해 부수적으로 기록되어지며, 이로써, 특히 기록된 것을 재생하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부가 정보도 마찬가지로 그 정보가 영상에서 전송되기 때문에 특정 프로그램 신호를 현재 수신하는 것을 알고 있는 텔레비전 시청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PCT 공개 공보 WO 02/2592A A2에 개시된 방법은 하기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비디오 신호와 블팽킹 신호를 가지는 텔레비전 신호와 함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는 테스트 또는 데이터 신호들에 의해 점유되는 마지막 라인 또는 칼럼과 상기 비디오 신호의 소정의 라인 또는 칼럼 사이에 존재하는 영역에서 전송된다. 이 경우, 데이터는 비디오 신호에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데이터는 특히, 칼럼 방식의 공간 배열에서 상기 비디오 신호의 가장자리 영역 또는 양쪽 수직 영역들에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데이터는 상기 비디오 신호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바코드(bar code) 방식으로 상기 비디오 신호내에 링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데이터가 전송되는 상기 라인(들) 또는 칼럼(들) 고정적으로 미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신호는 3진(ternary)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텔레비전 전송 신호는 비디오 신호를 가지고 전송될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신호와 별도의 블랭킹 신호를 결합해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 데이터는 인터넷 표준에 따라 부호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인터넷 표준은 SGML 또는 그것에서 파생된 것, 특히 HTML 또는 XML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데이터는 텍스트, 그래픽, 이미지 또는 프로그램 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데이터는 텔레비전 수신기의 캐쉬에 본질적으로 대응되거나 본질적으로 그에 포함되는 비디오 신호의 영역에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데이터는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의 타원형 캐쉬의 하나 또는 양쪽 수직 가장자리 영역에 의해 억제되는 비디오 신호의 영역에 통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데이터는 블랭킹 신호에서 부가적으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비디오 신호에서 부가 데이터를 다른 방법으로, 예를 들면 워터마킹(water marking) 방법으로 부수적으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상기 부가 데이터를 텔레텍스트를 통해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텔레비전 영상의 비디오 신호에 바코드 형태로 포함되는 부가 데이터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주변 장치에 의해 검출되며 바람직하게는 휴대용 수신기 장치로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주변 장치는 도 1에서 플러그 연결식 모듈로서 도시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후측 스카트 소켓에 삽입되어진다. 현재 텔레비전 수상기에 설정된 비디오 신호가 그 텔레비전 수상기를 간섭함이 없이 외부로부터 획득이 용이하며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의 TV 튜너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위해 동작되므로, 스카트 소켓은 이 경우에 있어서 특히 바람직하다. 텔레비전 수상기의 리모트 컨트롤러는 수신기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학습이 가능한 형태, 즉, 텔레비전 수상기의 모든 타입에 대해 프로그램될 수 있고 사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신기 장치는 다른 (주요) 기능들도 구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동 전화기, PDA, 또는 그 부속품일 수 있다. 또한, 수신기 장치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되고, 여기서는 본 특징만을 언급하는 다양한 부가 기능들을 구비한다. 리모트 컨트롤러는 비디오 신호에 포함되고 주변 장치들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부가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디스플레이에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턴 채널(return channel)도 제공되는데, 이를 통해 데이터가 전화망, 특히 지상 통신망(landline network)을 통해 수신기 장치로부터 컴퓨터 센터로 귀환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센터에 의해, 양방향 텔레비전(TV) 용 콘텐츠 관리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그 컴퓨터 센터로 전송된 부가 데이터도, "비디오 바코드(video barcode)"를 텔레비전 신호에 포함하는 텔레비전 송신기로 전송된다. 이 경우, 데이터 전송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인터페이스, 특히 스카트 인터페이스를 통해 텔레비전 또는 비디오 신호를 탭 오프(tapping off)하는 것에 국한되지 않음에 유념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를 도 2a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전송 채널을 텔레비전 전송과 병행하도록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2 개의 구성 요소, 즉 플러그 연결식 모듈(1)로 바람직하게 형성되는 주변 장치(1) 및 수신기 장치(60)를 본질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 연결식 모듈(1)은 콤팩트한 하우징을 구비하는데, 그 일측상에 플러그 연결 섹션(2)이 형성되고 그 타측상에 소켓 섹션(3)이 형성된다. 기계적 및 전기적인 관점에서 상기 플러그 연결 섹션(2)이 본질적으로 스카트 커넥터를 나타내도록, 그리고 상기 소켓 섹션(3)이 본질적으로 스카트 소켓을 나타내도록, 상기 플러그 연결 섹션(2) 및 상기 소켓 섹션(3)은 스카트 표준에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러그 연결식 모듈(1)은 본질적으로 투명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스카트 커넥터(2)의 각각의 핀들이 소켓 섹션(3)의 대응되는 각각의 핀들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을 위해서, 플러그 연결식 모듈(1)이 텔레비전 수상기의 스카트 접속부로 삽입된다(미도시). 이러한 스카트 접속부는, 현재 이용될 수 있는 모든 텔레비전 수상기마다 제공되며, 통상적으로는 그 후측에 제공된다. 플러그 연결식 모듈(1)은 상기 플러그 연결식 모듈(1)의 플러그 연결 섹션(2)과 텔레비전 수상기의 대응되는 스카트 소켓 사이의 기계적인 결합만으로 위치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플러그 연결식 모듈(1)은 "동글(dongle)"이라 명명될 수도 있다.
삭제
"Peritel" 또는 "Euroconnector"의 명칭으로도 알려져 있는 스카트 접속(스카트 = Syndicat Francais de Constructeurs d'Appareils Radio et Television)은 홈 비디오 장비에 사용되는 다목적 연결방식이다. 비디오, 오디오 및 제어 연결방식은 표준화된 21-pin 연결을 통해 가능화된다. 이러한 연결방식에 대한 공식적 기술에 대해서는 표준 CENELEC EN 50 049-1:1989 또는 IEC 933-1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식 모듈은 플러그 연결 섹션(2)과 소켓 섹션(3) 사이가 본질적으로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특히, 비디오 레코더와 텔레비전 수상기를 스카트 접속방식으로 연결하면, 본 발명의 플러그 연결식 모듈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계속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1번,2번,3번,4번,6번,8번,19번,20번 및 21번(접지) 핀은 기기 등에 관통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장치들에서는, 좀 더 많은 핀 또는 모든 핀이 플러그 연결 섹션(2)과 소켓 섹션(3) 사이에서 관통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 연결식 모듈(1)은 소켓 섹션(3) 없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그러한 경우에 만약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식 모듈(1)이 텔레비전 수상기의 대응하는 스카트 접속부에 연결되면, 또 다른 주변 장치, 예를 들면, 비디오 레코더를 상기 스카트 접속부를 통해 텔레비전 수상기에 연결할 수 있는 가능성은 없어진다. 그러므로, 텔레비전 수상기의 스카트 접속부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위해 채택된다. 그러나, 이는, 많은 경우에서,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상기가 다수 개의 스카트 접속부를 구비하여도 해가 되지 않으며, 추가적 스카트 접속부 중 하나가 비디오 레코더를 연결하는데 간단히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텔레비전 수상기의 스카트 접속부에 직접 연결되는 대신, 본 발명의 플러그 연결식 모듈(1)은 스카트 링크를 통해 텔레비전 수상기에 연결된 주변 장치의 대응하는 스카트 접속부에도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상기가 스카트 링크를 통해 비디오 레코더에 연결되고 비디오 레코더가 스카트 입력뿐만 아니라 스카트 출력에도 구비되는 경우, 본 발명의 플러그 연결식 모듈(1)은 비디오 레코더의 스카트 출력에 연결될 수 있는데, 이는 텔레비전 수상기(1)의 스카트 접속은 비디오 레코더의 2 개의 스카트 접속부를 통해 루프되기(looped) 때문이다. 결국, 본 발명의 플러그 연결식 모듈(1)은 텔레비전 수상기의 생산 공정 중 가능한 초기에 텔레비전 수상기에 일체화되는 것도 가능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실행하기 위하여 외부의 플러그 연결식 모듈(1)을 더 이상 연결하지 않아도 된다. 바람직한 대표 실시예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스카트 인터페이스에 맞춰져 있는데, 이는 우선, 스카트 인터페이스가 매우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텔레비전 수상기상에 표시되고 있는 텔레비전 신호는 이러한 인터페이스에 이미 존재하며(19번 핀: 비디오 출력), 특히, 스카트 링크의 기계적인 특성은 동글(dongle) 사용을 위해 실질적으로 예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플러그 연결식 모듈(1)의 전자 구성에 관하여, 상기 플러그 연결식 모듈은 텔레비전 수상기의 현재 설정된 채널로부터 텔레비전 신호에 인가된 부가 데이터를 판독 및 분리하기 위하여 처리 장치를 갖는다. 그러한 부가 데이터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시청자에게는 보이지 않는 방식으로 블랭킹 간격에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부가 데이터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또는 텔레텍스트와 함께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이 목적을 위하여 소위 "워터마킹(watermarking)" 방법들이 가능한데, 여기서 부가 데이터는 텔레비전 화상에서 전송된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 선호되는 텔레비전 신호에 대하여 부가 데이터를 포함하는 또 다른 가능성이 101 01 750.2의 출원번호를 가지며 "Method for the transmission of data with a television signal"의 명칭을 가진 독일 특허 출원(도입부에서 언급된)에서 설명된다. 이 경우, 말하자면, 바코드는 송신단에서 비디오 신호의 보이지 않는 영역으로 삽입되는데, 여기서 부가 데이터는 텔레비전 신호와 함께 코딩된 형태로 전송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처리 장치는 낮은 전력 소모를 갖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가지고, 또한 예를 들어, RAM 및/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다양한 메모리 장치들을 가진다. 처리 장치의 전기 공급을 위하여 원리적으로 교체가능한 배터리가 제공될 수도 있다. 그러나, 배터리 없이 운용되고, 19번 핀을 통하여 존재하는 비디오 출력으로부터 전기적인 성분들을 공급하기 위하여 필요한 에너지를 인출하는 해결책에 대한 특별한 선호가 제공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비디오 신호의 일부는 커패시터에 의하여 탭-오프되고 버퍼-저장된다. 이 경우, 비디오 신호의 블랙 레벨 교란 또는 비디오 기록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몇몇 다른 교란을 회피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단지 비디오 프레임의 특정 라인들, 예를 들어, 정의된 신호 레벨을 가지는 이러한 텔레텍스트 라인들 내에서 비디오 출력 신호로부터 추출되는 파워로 그의 사용이 이루어진다. 처리 장치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식 모듈은 RF 전송 장치도 가진다. RF 전송 장치에 의하여, 텔레비전 신호로부터 판독 및 추출된 데이터는 수신기 장치(2)로 전송된다. 비디오 신호로부터 얻어진 전력은 특별히 높지 않기 때문에, RF 전송 장치는 부호화된 펄스들을 수신기 장치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전송된 펄스들의 "듀티 사이클"은 매우 낮고, 그리하여 필요한 전력 소모는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식 모듈(1)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는 수신기 장치(60)로 데이터의 전송 차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펄스들은 암호화된 형태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RF 전송 장치는 자유 ISM 밴드들 중 하나(예: 868 MHz 또는 2.4 GHz)에서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시스템은 텔레비전 신호의 수신 형태, 즉 특히 지상파, 디지털 및 아날로그 수신 및 유선 또는 위성을 통한 수신을 위하여 적합하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특히, PCT 공개 WO 02/25924 A2에 따르는 바람직한 방법의 경우, 부가 데이터가 텔레비전 송신기에 의한 텔레비전 신호 방송과는 다른 소스로부터 시작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 목적은 상기 비디오 신호 내에 부호화된 형태로 부가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캐리어(data carrier), 예를 들어, 그에 저장된 비디오 정보를 갖는 DVD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텔레비전 수상기, 예를 들어, 스카트 인터페이스를 경유하거나 또는 유도적으로 탭-오프되는 이러한 부가 데이터를 갖고서, 본 발명이 바탕으로 하는 방법은 텔레비전 송신기 없이 수행될 수 있고, 부가 데이터는 상금 게임, 베팅, 투표 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수신기 장치, 바람직하게는, 리모트 컨트롤러로 전송될 수 있다.
수신기 장치(60)는 RF 수신 장치, 표시 장치 그리고 또한 입력 장치를 가지는 소형의 휴대가능한 장치이다. 플러그 연결식 모듈의 RF 송신 장치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는 RF 수신 장치에 의하여 수신되어 디코딩되고, 해당 처리 장치에 의하여 복호화된다. 더욱이, 수신기 장치(60)는 플러그 연결식 모듈(1)에 의해 전송되는 시간 정보로 갱신될 수 있는 내부 클럭을 가진다. 또한, 수신기 장치(60)는 전자 "토컨(tokens)" 또는 "칩(chips)" 등의 전자 캐쉬(cash), 또는 다른 가상의 돈이 이전에 저장되는 스마트 카드 칩을 가진다. 그러한 스마트 카드 칩은, 예를 들어, 캐쉬 칩에 저장된 양에 대하여 RF 수신 제어 및 표시 장치의 제어를 배제하는 모든 보안-중요 거래 칩으로 처리되어, 외부 조작에 대부분이 접근될 수 없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표시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LCD 표시기로서, 7 라인의 최소 라인수를 가진다. 수신기 장치(60)는 바람직하게는 전력 공급 목적을 위한 교환가능한 배터리를 가진다. 수신기 장치(60)의 크기는 신용 카드의 크기에서부터 PDA의 크기까지의 범위를 가진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수신기 장치(60)는 또한 PDA에 대하여 부가 모듈로써 형성될 수도 있고 그에 연결될 수도 있다.
스마트 카드 칩을 갖는 수신기 장치(60)는 바람직하게는 세 가지 동작 모드들(도 2b를 참조)을 가진다. 제 1 동작 모드(도 2b의 상부를 참조)는 문-답 동작 모드로서, 여기서 텔레비전 수상기에 연결된 플러그 연결식 모듈 또는 어댑터(1)로부터 특히 무선 방식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다양한 가능한 대답들을 가진 질문들이 표시 장치상에 제공된다. 이는 또한 도 2a의 설명으로부터 쉽게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문은 이탈리아의 수도가 어디인지를 묻는다(도 2b의 위쪽 부분을 참조). A: 나폴리, B: 플로렌스, C: 로마, D: 베니스가 가능한 답으로서 예시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해당 키를 눌러서 답을 수신기 장치(60)로 입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정답은 플러그 연결식 모듈(1)에 의하여 수신기 장치(60)로 전송되었고, 그 결과 상기 수신기 장치(60)의 스마트 카드 칩에서 내부적으로 사용자 대답의 평가가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그러한 질문들이 수신기 장치로 전송되고, 각 경우 입력된 대답이 평가된다. 예를 들어, 대답의 충분한 부분 또는 모두가 옳으면, 이는 전자 캐쉬 칩에서 그대로 "승리(win)"로써 등록된다. 이는 또한 사용자에게 통지되고,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가 더 발생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는 예를 들어 "지불(payout)"을 조장하기 위하여, 수신기 장치(60)에 제공되는 확성기를 통하여 오디오 신호로 특정 전화 번호에 전화를 걸고 오디오 신호를 원격 전송하므로써, 그 자신을 승자로써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대안적인 구현들이 또한 여기서 인식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화로 사용자를 식별하기에 적합한 코드가 수신기 장치(60)의 표시 장치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수신기 장치(60) 내에서 직접 전자 결재 가능화를 통하여 승리가 사용자에게 신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금 게임의 참여는 스마트 카드 전자 캐쉬 칩으로부터 직접 차변기입될 수 있다. 저장된 전자 캐쉬는 제한된 수의 TAN들을 경유하여 수신기 장치(60)로부터 다른 장치들, 추가적 수신 장치들(60), PC들, 캐쉬 카드 등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적외선 수신기 쌍 또는 전기적 인터페이스 (USB)는 또한 이 목적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수신기 장치(60)에 저장된 캐쉬는 예를 들어 인터넷이나 스크래치 카드, 신용 카드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코드 시퀀스를 입력하여 복수의 소스들로부터 얻어질 수도 있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은 또한 텔레비전 신호에 의해 캐쉬 또는 캐쉬 등가물들을 다운로드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 2 동작 모드(도 2b의 중간 부분을 참조)에서, 프로그램-동반 텍스트와 그림 정보가 수신기 장치(60)의 표시 장치상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이는 현재 프로그램에 해당하고 각 경우에 현재의 뉴스들로 간략하게 중복작성된 텔레텍스트 페이지일 수도 있다. 도 2b의 중간 부분에서, 이 경우 표시는 "스튜디오 손님인 머라이어 캐리가 2001년에 신경쇠약을 알았다. EMI는 그녀와의 계약을 해지하기 위하여 그녀에게 28백만 달러를 지불해야만 했다."라는 것을 나타낸다. 제 3 동작 모드(도 2b의 아래 부분을 참조)에서, 수신기 장치(60)("계정잔액: 19.50 센트")에 저장된 캐쉬 또는 캐쉬 등가물의 양의 계정 잔액이 표시되거나 변경된다. 즉, 예를 들어, 다시 로딩된다.
도 2c와 2d는, 수신기 장치가 전용 하드웨어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휴대폰라는 사실에 의하여 주로 도 2a와 도 2b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보여준다. 대응적으로, 도 2e와 도 2f는 마찬가지로 수신기 장치로서 전용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해당 추가 기능성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용 리모트 컨트롤러인 특히 바람직한 본 발명의 변화를 보여준다. 이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 6(수신기 장치는 휴대폰(110)임)과 도 7(수신기 장치는 리모트 컨트롤러(120)임)의 아래의 설명에 주목한다.
텔레비전 수상기(2), 또는 비디오 레코더(3) 등의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에 연결된 주변 장치들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식 모듈(1)의 연결의 다른 변화들이 도 3a 내지 도 3f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도 3a는 (도 2의 개략적인 지시를 통하여) 텔레비전 수상기(2)의 후측을 보여주는데,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의 후방 상에는 스카트 접속부(4)가 형성되어 있다. 텔레비전 신호는 안테나(A)로부터 동축 케이블을 경유하여 해당 입력 소켓(6)으로 통해가고, 이 신호는 텔레비전 수상기(2)에서 해당 내부 배선의 결과 스카트 소켓(4)에도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1)는 스카트 소켓(4)으로 삽입되는데, 이는 도 3a에서 해칭으로 보여진다. 안테나(A), 예를 들어, 실내 또는 가정용 안테나를 통하여 텔레비전 신호를 수신하는 대신에, 케이블이나 위성을 통한 수신도 가능하다는데 주목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전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물론이다. 도 3a에서의 설명에 비하여, 도 3b는 다수의 스카트 접속부 또는 소켓(4, 4' 및 4")으로 구비된 텔레비전 수상기(2)를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식 모듈은, 예를 들어 스카트 소켓(4")으로 삽입되고 , 두 개의 나머지 소켓들(4, 4')은 추가적 주변 장치들의 연결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도 3a에 따르는 응용의 경우, 설명은, 텔레비전 수상기(2)의 스카트 접속부(4)만이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식 모듈에 의해 차지되지 않도록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식 모듈(1)이 플러그 연결 섹션과 투명 연결을 가지는 소켓 섹션 양자를 가지면, 특히 유리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3b에 따르는 응용에서, 추가적 소켓 위치들(4, 4')이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식 모듈(1)의 사용으로도 남아 있기 때문에, 이는 실질적으로 덜 중요하다. 그러므로, 도 3b에 따라서, 소켓 섹션이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식 모듈 상에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식 모듈(1)은 종단을 나타낸다.
도 3c 및 도 3d는 텔레비전 수상기(2)와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에 연결된 비디오 레코더(3) 각각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식 모듈(1)의 추가적 2 개의 연결 변수들을 개략적으로 제시한다. 도 3c의 설명은 도 3a에 따라서 텔레비전 수상기(2)로부터 진행한다. 반대로, 텔레비전 수상기(2)는 비디오 레코더(3)에 연결되고, 보다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텔레비전 수상기(2)의 스카트 접속부(4)는 스카트 케이블(9)을 통하여 비디오 레코더(3)의 스카트 접속부(5)에 연결된다. 스카트 접속부(5) 외에, 비디오 레코더(3)는 추가적 스카트 접속부(5')를 가지는데, 여기에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식 모듈(1)이 삽입된다. 도 3d에 따라서, 다수의 스카트 접속부(4, 4', 4")(도 2b를 참조)를 가지는 텔레비전 수상기(2)의 경우, 스카트 접속부(4)는 스카트 케이블(9)을 통해 비디오 레코더(3)의 연결을 위하여 사용되고,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식 모듈은 2 개의 자유로운 스카트 접속부(4', 4") 중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4"에서 플러그 연결식 모듈의 연결은 도면에서 제시된다.
도 3e는 안테나(A)로부터 텔레비전 신호가 스카트 케이블(9)을 통하여 (하나의 스카트 접속부(8)만을 가지는) 셋톱 박스(7)를 통하여 텔레비전 수상기(2)의 스카트 접속부(4)에 연결되는 경우를 제시한다. 이 응용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식 모듈(1)은 셋톱 박스(7)의 스카트 접속부(8)에 연결된다. 투명한 형태로 형성된 플러그 연결식 모듈(1)은 셋톱 박스(7)가 텔레비전 수상기(2)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f는 하나의 스카트 접속부(4)만을 가지는 텔레비전 수상기(2)를 제시하는데, 이 스카트 접속부(4)는 텔레비전 수상기(2)의 스카트 소켓(4)으로의 연결을 위한 스카트 커넥터를 갖는 부속 장치(10)와, 추가적으로 텔레비전 수상기(2)의 하나의 스카트 접속부(4)로부터 2 개의 스카트 접속부들을 반드시 제공하도록 본질적으로 기능하는 2 개의 소켓 섹션들에 연결된다. 도 3f의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식 모듈(1)이 이들 중 하나에 삽입되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도 3a 내지 도 3f를 조합하여 고려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식 모듈(1)은 텔레비전 수상기(2)의 스카트 접속부에 직접 삽입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그러나,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식 모듈(1)을, 텔레비전 수상기(2)를 위한 추가적 주변 장치에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설명된 변형들은, 추가적 주변 장치들 또는 이러한 유형의 장치들로서, 비디오 레코더(3)(도 3c 참조), 셋톱 박스(7)(도 3e 참조) 또는 스위칭 선택기(9)(도 3f 참조)를 포함한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은 다른 주변 장치들이나 유닛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 장치(1)가 텔레비전 수상기(2)의 스카트 접속부(4)에 직접 연결되지 않으면, 원칙적으로, 비디오 신호는 19번 핀과는 다른 핀, 즉, 20번 핀으로부터 탭-오프되는데, 상기 20번 핀은 셋톱 박스(7) 또는 비디오 레코더(3)의 비디오 출력이고 그렇지 않으면 스카트 케이블의 비디오 입력에 해당한다. 배선으로 이루어진 이들 다른 요구들을 고려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 장치(1)의 연결의 종류에 따라서 스위칭되는 스위치(S)(도 3a 내지 도 3f에서 미제시)를 가진다. 이 점에서, 도 4 및 도 6, 그리고 관련 설명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식 모듈(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경우, 플러그 연결식 모듈(1)은 텔레비전 수상기(2)의 스카트 소켓(4) 및 주변 장치, 예를 들어 비디오 레코더 또는 셋톱박스 등의 스카트 소켓(5' 또는 8')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텔레비전 수상기(2)와의 연결을 제공한다. 이러한 형태의 두가지 응용 모두에서, 플러그 연결식 모듈(1)의 전기 소자들로 공급할 에너지와 부가 데이터는 스카트 소켓들(4)의 19번 핀 또는 스카트 소켓들(5', 8')의 20번 핀으로부터 얻어진다. 플러그 연결식 모듈(1)의 가능한 사용에 따라서, 스위치(S)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스위칭된다(이에 대해서는, 부가 데이터를 텔레비전 또는 비디오 신호로부터 추출하는 하기 설명도 참조). 비디오 신호는 전압 발생 장치(20)로 공급된다. 전압 발생 장치(20)는 텔레비전 수상기가 커패시터가 연결된 비디오 출력을 가질 경우 필요한 DC 복원 회로(21)를 포함한다. DC 복원 회로(21)는 소정의 DC 전압 레벨을 제공하는 클램핑 회로 형태의 전자 스위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처리된 비디오 신호는 낮은 순방향 전압을 가지는 다이오드, 예를 들어 쇼트키 다이오드 또는 정류기 캐스캐이드와 같은 피크 정류기에 의해 최소한 약 0.7 내지 0.8 볼트의 전압값을 가지는 DC 전압으로 변환된다. 정류기 회로(22) 다음에는 정류기(22)의 출력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을 상승시키는 전압 변환기(23)가 있고, 이는 정류기(22)의 출력에 의해 공급된 전압을 증가시키는데, 그러한 전압은, 정확하게는, 플러그 연결식 모듈(1)에서 사용되는 CPU, RF 송신기 등과 같은 추가적 전기 소자들의 동작에 필요한 공급전압(일반적으로 3 내지 5 볼트)보다 약간 높은 전압 값이다. 업스트림으로 연결된 정류기(22)의 제한된 로딩 용량으로 인하여, 전압 변환기(23)의 출력전류는 상대적으로 낮다. 전류원 또는 저항인 충전 회로(24)로 인하여, 예를 들어, 에너지 버퍼는 충분한 최종 차지 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작은 전류로 연속적으로 충전된다. 전기 에너지 또는 에너지 버퍼를 위한 저장장치는 파라소닉사의 소위 "Goldcap" 커패시터(25)와 같은 높은 커패시턴스를 가지는 커패시터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예로, 에너지 버퍼로서 충전가능한 배터리 또는 축전지(25)를 사용할 수 있다. 커패시터(25) 또는 축전지(26)는 동작 전압보다 약간 높은 최종 충전 전압까지 충전된다. 이와 같은 에너지 버퍼는, 후자의 경우가 전압 변환기(23)의 출력보다 실질적으로 큰 전류를 간단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디오 출력 신호를 19번 핀을 통해 전기적으로 공급할 뿐만 아니라, 외부 전원 공급을, 예를 들어 플러그 연결 전압 공급 유닛을 통해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을 도면번호 "28"로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이 경우, 외부 AC 전압의 정류는 다이오드(29)에 의해 생성된다. 전압 조정기(27)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식 모듈(1)의 추가적 전기 소자의 소기의 동작 전압까지 에너지 버퍼(25 또는 26)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해 제공된다.
전압 발생 장치(20)에 의해 생성된 조정 전압은 처리 장치(30), 전송 장치(40) 및 표시 장치(50)로 공급된다. 처리 장치(30), 전송 장치(40) 및 표시 장치(50)는 전원공급과 분리될 수 있다. 비디오 출력 신호(19번 핀)로부터 공급하기에 필요한 낮은 목표 전류는 이러한 방식으로 보장될 수 있다.
처리 장치(30)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식 모듈(1)을 텔레비전 수상기에 연결하는 경우에 19번 핀(텔레비전 수상기의 비디오 아웃)에서 탭 오프된 입력신호를 처리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식 모듈(1)이 셋톱박스 또는 비디오 레코더의 스카트 소켓에 연결되면, 처리 장치(30)에 대한 입력신호는 셋톱박스 또는 비디오 레코더의 비디오 아웃 연결에 해당하는 20번 핀에서 비디오로부터 탭 오프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식 모듈(1)의 두 개의 서로 다른 형태에 있어서 정확한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스위치(S)는 상기 모듈의 하우징 외부에 제공되며, 각각의 하나의 스위치 위치에서 셋톱박스 또는 비디오 레코더의 연결 소켓(5', 8')의 20번 핀의 올바른 연결 및 제 2 스위치 위치에서 텔레비전 수상기의 스카트 소켓(4)의 19번 핀으로부터 처리 장치(30)로의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처리 장치(30)는, 관련된 부가 데이터가 텔레텍스트를 통해 전송될 경우 비디오 아웃 핀에서 출력되는 텔레텍스트 라인을 평가하는 텔레텍스트 데이터 수신기 또는 슬라이서(slicer)(31)를 포함한다. 또한, 텔레텍스트 데이터 수신기(31)는 제공되지 않아도 된다. 판독된 데이터는 바람직하게는 CPU(32)의 형태로 집적 회로로서 구현된 중앙처리 유닛으로 전송된다. 또한, 입력신호는 "영상판독기에서의 데이터" 모듈("data in picture reader" module)(33)로부터 공급되고, 이러한 회로는 비디오 영상으로 전송된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서는 상술한 독일 특허 출원 번호 101 01 750.2에 개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입력신호는 "비디오 싱크 검출" 모듈("video sync detect" module)(34)로 공급된다. 이 회로부는 수직 및 수평 비디오 싱크 신호들을 식별하고, 적절한 경우, 인터럽트에 의해 CPU(32)를 턴-온시킨다. 이는 수신되는 데이터의 판독이 비디오 싱크 신호에 대하여 특정 회수에서만 필요하기 때문에 전력(power) 관리에 유리하다. CPU(32)는 내부 전력관리를 가지며, 대부분 절전 동작모드에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낮은 전력소모와 32 ㎑의 주파수를 가지는 크리스탈(35)에 의해 구현되는, 영구적인 능동 클록 발생기는 CPU(32)의 주기적인 웨이크-업(wake-up)을 보장한다. 웨이크-업 이후, 해당 부가 데이터가 비디오 신호에서 식별된 경우, CPU(32)는 모듈들(31, 33, 34)을 활성화시키고, RF 송신기(41)로 전송한다. CPU(32)의 ID 메모리에 저장된 식별 데이터는 이 경우에 부수적으로 전송된다. RF 송신기(41)는 상기 데이터를 안테나(42)를 통하여, 도 4에 더 상세하게 도시된 수신기 장치(60)로 전송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트랜지스터로 구현된 스위치(43)는 전압 조정기(27)와 RF 송신기(41) 사이에 배치되어 구비되고 CPU(32)에 의해 상응하여 구동된다. 이는, 후자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 RF 송신기(41)가 CPU(32)에 의해 구동되는 방식으로, 공급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전력관리에 있어서 양호하다. 이로써, 제어신호에 인가된 부가 데이터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식 모듈(1)로부터 수신기 장치(60)로 펄스-코딩 형태(RF)로 전송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데이터는 이 경우 암호화된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이 인증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는, 플러그 연결식 모듈(1)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가 실제로 그렇게 할 의도였다는 것을 수신기 장치(60)가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식 모듈(1)에서 수신기 장치(60)의 초기화에 의해 행하여 질 수도 있다. 이는 허가받은 사용자에 의한 동작이 플러그 연결식 모듈(1)과 수신기 장치(60) 사이의 무선 링크의 경우 보장되어야 하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플러그 연결식 모듈(1)에 공간적으로 인접하게 사용되는 추가적 플러그 연결식 모듈이 추가적 처리를 위해 수신기 장치(60)에 의해 부정확하게 사용될 수도 있는 해당 신호들을 출력한다면 이러한 상황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바람직하게, RF 송신기(41)는 433 ㎒, 868 ㎒, 2.4 ㎓ 등과 같은 단거리 장치들을 위한 프리 ISM 밴드들 중 하나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전송 전력은 약 5 내지 약 10 미터의 최소 범위이면 전송에 충분하다.
또한, CPU(32)는, 웨이크-업 이후,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51)를 가지는 표시 장치(50)를 구동시킨다. 예를 들면, LED(51)의 짧은 섬광은 플러그 연결식 모듈(1)로부터 수신기 장치(60)로의 데이터 발신을 지시하는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CPU(32)의 데이터 발신 이후, 후자는 CPU(32)가 클록 발생기(35)에 의해 다시 웨이크-업될 때까지 절전 동작모드로 귀환하여 스위칭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 장치(60)의 일실시예는 도 5의 개략 블록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수신기 장치(60)는 바람직하게는 CPU(61)로 구현되는 중앙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식 모듈(1)의 처리 장치(30)의 CPU(32)에 따르면, CPU(61)는 마찬가지로 내부 전력관리를 가지며 대부분 절전 동작모드에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예를 들어 32 ㎑의 주파수를 가지는 저전력 크리스탈(71)로 구현되는 영구 능동 클록 발생기는 CPU(61)에 집적화된 타이머와 함께 연동하여 특정 데이터 전송 시간 슬롯에 따라 CPU(61)의 주기적인 웨이크-업을 제공한다. 이 경우 CPU(61)는 신호 전송이 플러그 연결식 모듈(1)로부터 수신기 장치(60)로 수행되는 시점에서 적어도 웨이크-업되도록 보장된다. 후자의 RF 송신기(41) 및 안테나(42)를 통해 플러그 연결식 모듈(1)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는 안테나(62)에 의해 수신되고 RF 수신기(63)를 통해 CPU(61)로 공급된다. RF 수신기는 예를 들어 433 ㎒, 858 ㎒, 2.4 ㎓와 같은 단거리 소자들을 위한 자유 ISM 밴드들 중 하나에서 바람직하게 무선주파수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플러그 연결식 모듈(1)의 RF 송신기(41)와 안테나(42)는 주파수 측면에서 안테나(62)와, RF 수신기(63)와, 수신기 장치(60)와 함께 조정된다. 안테나(62)와 RF 수신기(63)로부터 형성된 유닛의 감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식 모듈(1)로부터 5 내지 10 미터의 최소 거리 상에서 신뢰성있는 수신을 하기에 충분하다. 도 4에서 CPU(61)에 의해 구동되는 스위치(64)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RF 수신기는 절전을 위하여 특정 시간 슬롯에서만 CPU에 의해 턴-온된다. CPU(61)는 또한 키보드(65)를 통해 입력을 수행하는 사용자에 의해 웨이크-업된다. 바람직하게, 키보드(65)는 예를 들어 적외선 리모트 컨트롤러의 경우와 같이 키보드 매트릭스를 가진다. 또한, CPU(61)는 LCD 디스플레이 제어기(66)를 통해 바람직하게는 LCD 디스플레이인 표시 장치(67)에 데이터를 표시한다. LCD 제어기는 텍스트를 출력하기 위한 도트 매트릭스 또는 16-세그먼트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준 디스플레이 제어기이다. 전기 공급을 위하여, 교환 가능한 배터리(68)가 수신기 장치(60)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리(68)는 CPU(61), RF 수신기(63) 및 스마트 카드 칩(69)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이 경우, 배터리(68)는 또한 재충전가능한 배터리 또는 축전지일 수도 있다. 또한, 전원공급은 전원공급 유닛(미도시)으로부터 수행될 수 있다. CPU(61)를 포함한 모든 회로 부품들은 전원공급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배터리(68)의 최대 수명은 이러한 방식으로 보장될 수 있다. 스마트 카드 칩(69)은 I/O 인터페이스를 통해 CPU(61)에 연결된다. 스마트 카드 칩(69) 대신에, 수신기 장치(60)는 또한 스마트 카드 읽기/쓰기 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그의 스마트 카드를 적절하게 사용하여 수신기 장치(6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CPU(61)는 라우드스피커를 구비한 톤(tone) 발생 장치 또는 비퍼(70)를 구동시킨다. 이를 위해, 특정 소프트웨어가 CPU(61)에 제공된다. 특히, 톤 발생 장치(70)는 전화기 연결을 통해, 하나 이상의 올바른 문답에 관한 정보 등의 데이터의 음향 전송을 위한 펄스 다이얼링 방법에 따라 부호화된 톤들을 출력할 수도 있다(이에 대해서는 도 1의 개략적인 개요 참고). 이를 위해, 예를 들면, 비퍼(70)는 수화기에 수용된다. 그러나, 수신기 장치(60)에 저장된 데이터의 원격 데이터 전송을 위한 다른 전송 경로들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예로 SMS 발송, WLAN 등이 있다.
유리하게도, 캐쉬 카드 기능은 수신기 장치(60)에 예를 들어 캐쉬 카드 또는 소위 스마트 카드용 판독기의 형태로 집적된다. 캐쉬 카드용 판독기로 인해, 리모트 컨트롤러와 같은 설계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그의 캐쉬 카드의 계좌 잔액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신기 장치(60)의 확장된 기능성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경품게임과 같은 유료서비스에 대해 간단한 방식으로, 경품 제공과 비용 지급을 간단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수신기 장치(60)에, 특히 캐쉬 카드용 기록장치와 함께, 지급 단말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 장치(1)로부터 수신기 장치(60)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처리에 관하여, 작업의 분배는 CPU(61)와 스마트 카드 칩(69) 사이에서 일어난다. 이 경우, CPU(61)는 RF 수신기(63), LCD 디스플레이 제어기(66) 등과 같은 수신기 장치(60)의 다양한 소자를 제어하기 위한 정상동작을 수행한다. 스마트 카드 칩(69)은 보안상 중요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제공된다. 예를 들면, 후자는 사용자가 키보드(65)를 통해 입력한 답변에 대한 평가와, 그것에 응답하여 승리의 기록을 포함한다. 스마트 카드 칩은 다루기가 특히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형태의 작업의 분배는 특히 바람직하다.
동작하는 동안, CPU(61)는 웨이크-업 이후 RF 수신기(63)를 활성화시키고, 만일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면 상기 RF 수신기를 통해 플러그 연결식 모듈(1)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CPU(61)는, 적절한 경우, LCD 디스플레이(67)를 리프레쉬시킨다. 수신된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암호화되고, 복호화와 인증을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CPU(61)로부터 스마트 카드 칩(69)으로 전송된다.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병렬 통신 채널을 통해 발신원(텔레비전 송신기)으로부터 사용자로 전송될 데이터의 예로서 텍스트 데이터(문답)가 있다. 이 경우,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접근을 불가능하게 하거나, 키보드(65)를 통해 특정의 올바른 정답이 입력된 후에야 접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질문들은 스마트 카드(69)에 의해 식별되고 CPU(61)를 통해 LCD 디스플레이(67) 상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키보드(65)를 통해 입력한 답은 확인 또는 반증을 위해 CPU(61)로부터 스마트 카드(69)로 전송된다. 그런 다음, 사용자의 입력의 결과는 스마트 카드 칩(69)으로부터 CPU(61)를 통해 LCD 디스플레이(67) 상에 출력된다. 이 경우, 스마트 카드 칩(69)은 데이터의 복호화 및 인증을 수행하며, 데이터와 데이터 전송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텔레비전 신호와 함께 전송되는 시간도 인증되며, 주로 조작을 막기 위하여 수신기 장치(60)로도 전송된다. 이 경우, 특히 스마트 카드 칩(69)에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절대적인 또한 상대적인 시간을 전송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경우, 수신기 장치(60)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별 데이터 채널을 텔레비전 시청자에게 개방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식 모듈(1)과 연동하고 있는 전용 하드웨어이다. 수신기 장치(60) 대신에, 예를 들어 키보드와 디스플레이와 같은 입/출력 기능성을 가지는 종래의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그와 같은 장치의 예로써, 개인휴대정보단말기(PDA), 휴대용 전화기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 등이 있다. PDA가 수신기 장치로서 사용되는 되는 일례의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수신기 장치(60)의 기능성은 PDA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추가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추가 모듈은 RF 수신기(63) 및 스마트 카드 칩(69)을 가진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식 모듈 또는 어댑터(100)의 일례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에 관하여, 도 2c를 또한 참조하기도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주로 도 6에서 제시된 실시예와 도 2a 및 도 4에 따른 이러한 일례의 실시예들 사이의 차이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RF 송신기(41) 대신에, 도 6에 도시된 플러그 연결식 모듈(100)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휴대용 전화기, PDA 등(110)과 함께 특히 블루투스 표준에 의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교환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 또는 피코넷(piconet) 모듈(101)을 포함한다. 휴대용 전화기(110)는 키보드(111)와 디스플레이(112)를 더 포함하여, 휴대용 전화기(110)는 본 발명에 따라 플러그 연결식 모듈(100)과 연동하는 수신기 장치를 나타낸다. 보안상 중요한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해 선호되는 스마트 카드 칩(102)은 도 6에 제시된 실시예에 따라 플러그 연결식 모듈(100)에 배열된다. 또한, 플러그 연결식 모듈(100)은 103으로 나타낸 USB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특히 블루투스 모듈(101)로 인하여, 배터리 또는 전원공급 시스템 연결(105)은 플러그 연결식 모듈(100)로 에너지를 공급하는 데 선호된다. 도 6에 제시된 일례의 실시예의 특별한 이점은 수신기 장치에 어떠한 전용 하드웨어도 필요하지 않으며,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종래의 휴대용 전화기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텔레비전 송신기로부터 텔레비전 시청자로, 더 상세하게는 후자의 휴대용 전화기(110)로 부가 데이터 채널을 허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전송에 대하여 어떠한 전화 요금도 발생하지 않으며 수백만의 텔레비전 시청자가 동시에 접속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도 2d)의 다른 변형으로, 데이터 전송은 RF 링크를 나타내는 제 1 전송 링크를 통해 플러그 연결식 모듈(100)로부터 RF/IrDa 중계기(99)로 플러그 연결식 모듈(100)과 휴대용 전화기, PDA 등(110) 사이에서 양방향으로 실행된다. RF/IrDa 중계기(99)로부터 휴대용 전화기(110)로의 연결은 IrDa 표준에 따라 기능을 수행하는 제 2 전송 링크 사에서 보장된다. RF/IrDa 중계기(99)에서, RF에서 IrDa로의 변환 및 그 역변환이 실행된다. 구조적인 견지에서, RF/IrDa 중계기(99)는 휴대용 전화기(110) 등을 위한 수용가능한 소자에 집적화될 수 있어서, 필요한 공간적 근접 또한 동시에 보장될 수 있다. (양방향성 블루투스 연결, 동종 전송 링크인) 도 2c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면, (RF-IrDa 연결이 개재된 중계기 또는 릴레이, 이종 전송 링크와 결합된) 도 2d에 도시된 실시예는, 휴대용 전화기(110) 등은 IrDa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질적으로 더 용이하게 어드레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상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게임들) 및 데이터는 또한 IrDa 연결을 통해 휴대용 전화기(110)에 로딩될 수 있다. 휴대용 전화기(110) 등은 자바-인에이블되어(J2ME), 해당 어플리케이션들은 휴대용 전화기(110)로 간단한 방식으로 전송되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텔레비전 신호가 탭 오프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용 주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변 장치는 상기 주변 장치를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의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에 연결된 추가적 주변 유닛의 해당 인터페이스에 연결시키는 플러그 연결 장치를 포함하며,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추가적 인터페이스에 존재하는 텔레비전 신호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주변 장치의 처리 장치에 의해 처리되며, 상기 처리 장치에 의해 공급된 데이터는 상기 주변 장치의 전송 장치를 통해 수신기 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상기 요점 1에 있어서,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텔레비전 신호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신호뿐만 아니라 인가된 부가 데이터를 추출하고, 전송을 위해 그들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상기 요점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인가된 부가 데이터는 설정된 텔레비전 송신기의 채널 수 및/또는 현재시간을 특히 암호화된 형식으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상기 요점 1 내지 3 중 어느 한 요점에 있어서, 상기 전송 장치에 의한 상기 데이터의 전송은 단지 단방향이며 그리고/또는 상기 수신기 장치에 대해 방송 프로그램 신호에 대하여 본질적으로 동시에, 특히 프로그램을 수반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상기 요점 1 내지 4 중 어느 한 요점에 있어서, 상기 주변 장치는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 주변유닛은 연결될 수 있는 소켓 장치를 더 가지며, 상기 주변 장치는 플러그 연결과 소켓 장치 사이에서 본질적으로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상기 요점 5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 주변 유닛은 비디오 레코더 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상기 요점 1 내지 6 중 어느 한 요점에 있어서, 상기 주변 장치는 플러그섹션 및 소켓 섹션을 가지는 플러그 연결식 모듈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8. 상기 요점 1 내지 7 중 어느 한 요점에 있어서, 상기 주변 장치는 전기공급을 위하여 상기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추가적 인터페이스에 존재하는 신호 특히 상기 텔레비전 신호의 전기 에너지의 일부를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9. 상기 요점 1 내지 8 중 어느 한 요점에 있어서, 상기 전송 장치는 부호화된 펄스들로서 암호화된 그리고/또는 인증된 형태로 상기 처리 장치에 의해 공급된 데이터를 상기 수신기 장치로 전송하는 RF 송신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 상기 요점 1 내지 9 중 어느 한 요점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에 현재 설정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은 인터페이스에서 탭 오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1. 상기 요점 10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의 스카트 접속부 또는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의 스카트 접속부를 통해 연결된 추가적 주변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12. 상기 요점 11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연결 섹션은 스카트 커넥터이고 상기 소켓 섹션은 스카트 소켓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13. 선행하는 요점들 중 어느 한 요점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 장치는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와, 데이터 및 처리방향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14. 상기 요점 1 내지 13 중 어느 한 요점에 있어서, 상기 주변 장치의 처리 장치는 상기 텔레비전 신호로부터 두개의 서로 다른 데이터 세트를 가지는 데이터를 추출하며, 상기 두 개의 데이터 세트의 각 데이터는 서로에게 할당되며, 상기 두 개의 데이터 세트의 할당된 데이터는 상기 전송 장치에 의해 상기 수신기 장치로 전송되며, 적어도 초기에 상기 제 1 데이터 세트의 모든 데이터는 상기 수신기 장치의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제 2 데이터 군은 상기 수신기 장치의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수신기 장치의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의 평가를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5. 상기 요점 14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 장치는 전자 캐쉬 장치를 가지고, 금액(amount)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가 제 2 데이터 세트의 관련 데이터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의 평가에서 결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6. 선행하는 요점들 중 어느 한 요점에서 따른 주변 장치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 장치는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와, 데이터 및 처리방향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17. 상기 요점 16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 장치에서 일어난 처리단계가 라우드스피커를 통해 음향으로 알려지며, 상기 처리 장치에 의해 발생된 데이터는 전화선을 통해 원격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8. 상기 요점 16 또는 17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 장치를 개시하기 위해서는 인증코드가 입력되어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9. 상기 요점 16 내지 18 중 어느 한 요점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 장치의 처리 장치는 스마트 카드 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0. 플러그 연결식 모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연결식 모듈은 텔레비전 수상기의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에 연결된 주변 장치의 인터페이스에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된 플러그 연결식 모듈은 텔레비전 신호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에 존재하는 텔레비전 신호에 인가된 부가 데이터를 분리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플러그 연결식 모듈은 상기 부가 데이터를 휴대용 수신기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1. 상기 요점 20에 있어서, 상기 부가 데이터의 전송은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에 상기 방송 프로그램 신호의 표시와 함께 본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2. 상기 요점 20 또는 21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연결식 모듈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의 스크린상에 현재 표시되는 상기 프로그램 신호에 해당하는 부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3. 상기 요점 20 내지 22 중 어느 한 요점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 이전 채널에서 현재 채널로 채널 전환을 할 경우, 상기 현재 채널의 부가 데이터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플러그 연결식 모듈에 의한 전환 후 분리되고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4. 상기 요점 20 내지 23 중 어느 한 요점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 상에 외부에 형성된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25. 상기 요점 20 내지 24 중 어느 한 요점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텔레비전 수상기 또는 주변 장치의 스카트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26. 상기 요점 25에 있어서, 상기 부가 데이터는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의 스카트 인터페이스의 19번 핀을 통하거나 셋톱박스 또는 비디오 레코더 등의 스카트 인터페이스의 20번 핀을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7. 상기 요점 20 내지 26 중 어느 한 요점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장치는, 상기 부가 데이터가 텔레비전 수상기상에 표시되는 프로그램 신호와 함께, 특히 본질적으로 동시에 표시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8. 상기 요점 20 내지 27 중 어느 한 요점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수신기 장치는 휴대용 전화기, 개인휴대정보단말기(PDA), 텔레비전 수상기용 리모트 컨트롤러, 비디오 레코더, DVD 플레이어 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29. 상기 요점 20 내지 28 중 어느 한 요점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신호에 인가된 부가 데이터는 프로그램을 수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0. 상기 요점 20 내지 29 중 어느 한 요점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연결식 모듈은 플러그 섹션 및 소켓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 섹션 및 상기 소켓 섹션은 본질적으로 마주보도록 배열되며, 상기 플러그 연결식 모듈은 상기 플러그 섹션과 소켓 섹션 사이에서 본질적으로 투명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1. 상기 요점 20 내지 30 중 어느 한 요점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수신기 장치로의 상기 부가 데이터의 전송은 블루투스 표준에 따라 수행되며, 상기 플러그 연결식 모듈과 상기 수신기 장치는 해당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2. 상기 요점 20 내지 31 중 어느 한 요점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수신기 장치로의 상기 부가 데이터의 전송은 적어도 전송 링크의 일부를 통해 IrDa 표준에 따라 수행되며, IrDa 중계기는 상기 플러그 연결식 모듈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IrDa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상기 수신기 장치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전송 링크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3. 시스템은 선행하는 요점들 중 어느 한 요점에 따른 주변 장치 또는 플러그 연결식 모듈 및 수신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4. 플러그 연결식 모듈에 의해 텔레비전 전송과 함께 병렬로 전송 채널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연결식 모듈은 텔레비전 수상기의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에 연결된 주변 장치의 인터페이스에 삽입될 수 있고, 삽입된 플러그 연결식 모듈은 상기 인터페이스에 존재하는 텔레비전 신호에 인가된 부가 데이터를 상기 텔레비전 신호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장치를 가지고, 상기 플러그 연결식 모듈은 상기 부가 데이터를 휴대용 수신기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5. 텔레비전 및/또는 라디오 신호가 탭 오프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및/또는 라디오 수상기를 위한 주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변 장치는 상기 주변 장치를 텔레비전 및/또는 라디오 수상기의 인터페이스에, 또는 텔레비전 및/또는 라디오 수상기에 연결된 추가적 주변 장치의 해당 인터페이스에 연결시키기 위한 플러그 연결 장치를 포함하며,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추가적 인터페이스에 존재하는 텔레비전 및/또는 라디오 신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주변 장치의 처리 장치에 의해 처리되며, 상기 처리 장치에 의해 공급된 데이터는 주변 장치의 전송 장치를 통해 수신기 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근거하는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적용 및 수정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특히, 본 발명은 텔레비전 신호와 관련하여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텔레비전 신호 대신, 다른 방송 신호, 예를 들어 라디오 신호를 텔레비전 장치 대신 라디오 수상기와 연결하여 오디오 신호에 바람직하게 인가된 부가 데이터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Claims (46)

  1. 텔레비전 수상기의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에 연결된 주변 장치의 인터페이스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플러그 연결식 모듈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에 제공된 텔레비전 신호에 인가되고 암호화된 채널 개수 또는 암호화된 현재시간을 포함한 부가 데이터를 상기 텔레비전 신호로부터 분리하는 장치; 및
    블루투스 표준으로 암호화된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교환하도록 구성된 블루투스 모듈 또는 피코넷(piconet) 모듈을 포함하며, 경품 게임, 베팅(betting), 투표 또는 다른 양방향성 TV 컨텐츠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부가 데이터를 이동 전화기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로 전송하는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식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데이터의 전송은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에 방송 프로그램 신호의 표시와 함께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식 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연결식 모듈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의 스크린에 현재 표시되는 프로그램 신호에 대응하는 부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식 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 이전 채널에서 현재 채널로 채널 전환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현재 채널의 부가 데이터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플러그 연결식 모듈에 의해 채널 전환된 후 분리되고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식 모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식 모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텔레비전 수상기 또는 주변 장치의 스카트(SCART)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식 모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데이터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상기 스카트 인터페이스의 핀 19 또는 주변 장치의 상기 스카트 인터페이스의 핀 20을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식 모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카트 인터페이스의 핀 19와 핀 20 사이를 전환하기 위한 외부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식 모듈.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장치는 IrDa 표준에 따라 적어도 전송 링크의 일부를 통해 상기 이동 전화기 또는 PDA로 상기 부가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플러그 연결식 모듈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IrDa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상기 이동 전화기 또는 PDA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IrDa 중계기가 전송 링크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식 모듈.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연결식 모듈을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의 스카트 소켓 또는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에 연결된 추가적인 주변 장치에 기계적으로 연결시키는 스카트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식 모듈.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신호에 인가된 상기 부가 데이터는 상기 텔레비전 신호의 영상 신호에 포함 및 부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식 모듈.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KR1020057014769A 2003-02-10 2004-02-10 텔레비전 수상기용 주변 장치 KR1010296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05561.4 2003-02-10
DE10305561 2003-02-10
DE10319292.1 2003-04-29
DE10319292A DE10319292A1 (de) 2003-02-10 2003-04-29 Peripherie-Vorrichtung für ein Fernsehgerät
PCT/DE2004/000239 WO2004071092A1 (de) 2003-02-10 2004-02-10 Peripherie-vorrichtung für ein fernsehgerä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351A KR20060069351A (ko) 2006-06-21
KR101029636B1 true KR101029636B1 (ko) 2011-04-15

Family

ID=32851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4769A KR101029636B1 (ko) 2003-02-10 2004-02-10 텔레비전 수상기용 주변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60028582A1 (ko)
EP (1) EP1595401A1 (ko)
JP (1) JP4580920B2 (ko)
KR (1) KR101029636B1 (ko)
CN (1) CN1774927B (ko)
AU (1) AU2004210383B2 (ko)
CA (1) CA2515410A1 (ko)
WO (1) WO20040710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49338B (en) * 2004-12-22 2006-02-11 Ind Tech Res Inst Extendable interface and method for digital television
ES2336121T3 (es) * 2005-11-16 2010-04-08 Alcatel Lucent Procedimiento y sistema de televesion interactiva multiusuarios, y receptor de television que hace uso de dicho procedimiento.
US20070236613A1 (en) * 2006-03-28 2007-10-11 Foss Jonathan G TV remote with image capability
FR2904909A1 (fr) * 2006-08-08 2008-02-15 Luis Nobre Utilisation d'un moyen de visualisation pour afficher des informations de proximite et privees et dispositif pour cette utilisation
GB0616030D0 (en) * 2006-08-11 2006-09-20 Answerback Interactive Interactive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for a plurality of users
DE102006039763B3 (de) * 2006-08-24 2008-01-10 Technotrend Ag Verfahren zur Funktionserweiterung von digitalen Fersehempfangsgeräten
US8060910B2 (en) * 2006-12-21 2011-11-1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et top box apparatus having a radio frequency antenna and an associated method
KR101135898B1 (ko) 2007-12-05 2012-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제어방법과 이를 가지는영상처리장치
JP5574986B2 (ja) * 2008-03-07 2014-08-2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装置と電源との間のスイッチを駆動する方法
US8737916B2 (en) * 2008-07-21 2014-05-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adata display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broadcast receiver
US20100263005A1 (en) * 2009-04-08 2010-10-14 Eric Foster White Method and system for egnaging interactive web content
KR101664430B1 (ko) * 2009-11-13 2016-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모트 ui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8842546B2 (en) * 2010-07-22 2014-09-23 Mediatek Inc.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a device with co-existence radio
US9723351B2 (en) * 2010-08-17 2017-08-01 Qualcomm Incorporated Web server TV dongle for electronic device
US20120304224A1 (en) * 2011-05-25 2012-11-29 Steven Keith Hines Mechanism for Embedding Metadata in Video and Broadcast Television
US8970792B2 (en) * 2013-07-16 2015-03-03 Browan Communications Inc. Remote controller and remote controller set applied to display device
US11240902B2 (en) * 2019-05-23 2022-02-01 Fabriq, Ltd. Multimode commissioning switch powered by ground leakage current
US11678418B2 (en) * 2019-05-23 2023-06-13 Fabriq, Ltd. Buck-boost ground leakage current power supply for wireless transceiver
US11671014B2 (en) 2019-05-23 2023-06-06 Fabriq, Ltd. Buck-boost ground leakage current power suppl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5390A (ja) 1999-06-07 2001-02-16 Nokia Corp 外部装置をテレビジョン装置に結合するための結合装置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7181A (ja) * 1990-01-23 1991-09-24 Nippon Hoso Kyokai <Nhk> データ放送受信装置
FR2710807B1 (fr) * 1993-09-28 1995-11-03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Procédé d'affichage et de traitement des données de vidéotexte ou de téléphone et dispositif.
JPH08317349A (ja) * 1995-05-16 1996-1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受信装置
DE19519132A1 (de) * 1995-05-30 1996-12-05 Thomson Brandt Gmbh System aus einem Fernsehempfänger und einer Fernbedieneinheit
US20040168187A1 (en) * 1996-10-08 2004-08-26 Allen Chang Talking remote control with display
US6292210B1 (en) * 1997-12-31 2001-09-18 At&T Corp. Integrated remote control and phone user interface
US6476825B1 (en) * 1998-05-13 2002-11-05 Clemens Croy Hand-held video viewer and remote control device
US6496122B2 (en) * 1998-06-26 2002-12-17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Image display and remote control system capable of displaying two distinct images
JP2001045447A (ja) * 1999-05-24 2001-0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及びその構成装置
US7194758B1 (en) * 1999-05-24 2007-03-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gital broadcast system and its component devices that provide services in accordance with a broadcast watched by viewers
FR2805427B1 (fr) * 1999-10-06 2005-04-01 Pascal Christian Vivien Dispositif et/ou procede permettant l'interactivite sur televiseur par l'utilisation de n'importe quelle telecommande
DE19957764A1 (de) * 1999-12-01 2001-06-07 Deutsche Telekom Ag Verfahren zur Darstellung von Informationen an einer TV-Fernbedienung sowie eine TV-Fernbedien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GB2357663A (en) * 1999-12-20 2001-06-27 Graeme Roy Smith Wireless communication adaptor
US7213254B2 (en) * 2000-04-07 2007-05-01 Koplar Interactive Systems International Llc Universal methods and device for hand-held promotional opportunities
FI110046B (fi) * 2000-11-27 2002-11-15 Lasse Artturi Halttunen Menetelmä mobiilipuhelimen kuvan ja äänen siirtämiseksi tavalliseen analogiseen televisiovastaanottimeen matkapuhelinlisälaitteen avulla
GB0104521D0 (en) * 2001-02-23 2001-04-11 Gemstar Dev Ltd Improvements to television systems
US7428023B2 (en) * 2001-04-19 2008-09-23 Digeo, Inc. Remote control device with integrated display screen for controlling a digital video recorder
ATE319129T1 (de) * 2001-05-29 2006-03-15 Smartdata Sa Modularer rechner
GB0302590D0 (en) * 2003-02-05 2003-03-1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s
SE527449C2 (sv) * 2003-05-14 2006-03-07 In View Ab Ett system och en anordning för mobilradiokommunik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5390A (ja) 1999-06-07 2001-02-16 Nokia Corp 外部装置をテレビジョン装置に結合するための結合装置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74927B (zh) 2012-09-26
AU2004210383B2 (en) 2009-10-01
JP2006519530A (ja) 2006-08-24
WO2004071092A8 (de) 2005-11-10
CN1774927A (zh) 2006-05-17
EP1595401A1 (de) 2005-11-16
WO2004071092A1 (de) 2004-08-19
CA2515410A1 (en) 2004-08-19
AU2004210383A1 (en) 2004-08-19
KR20060069351A (ko) 2006-06-21
JP4580920B2 (ja) 2010-11-17
US20060028582A1 (en) 2006-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28582A1 (en) Peripheral device for a television set
US20070236613A1 (en) TV remote with image capability
US6330021B1 (en) Interactive television reception console
US6052556A (en) Interactivity enhancement apparatus for consumer electronics products
US6476825B1 (en) Hand-held video viewer and remote control device
CN102870427B (zh) 输出装置、源设备、电视接收机、系统、及输出方法
EP2800360B1 (en) Connecting device
US20070290877A1 (en) device with signal generator and signal receiver for providing controlled access to information and/or communication channels
CN101236716A (zh) 多功能娱乐信息广告装置及其控制方法
US20180210133A1 (en) Light emitting device
CN202218353U (zh) 一种能够检测并直观显示iptv终端的端口状态的系统
CN201910866U (zh) 具有多种数字视频接收功能的高清电视机板卡
CN203301674U (zh) 数字电视和智能卡读卡器
CN210181579U (zh) 一种显示器及投屏系统
CN101316332A (zh) 采用机顶盒适配器实现的数字电视一体机及其方法
CN205263930U (zh) 税票防伪鉴别仪
JP2000013773A (ja) 放送受信システム
CN205450872U (zh) 一种具有智能识别功能的电脑主板
CN205427701U (zh) 一种具有移动通信和智能识别功能的电脑主板
JPH08147542A (ja) ペイテレビシステムの端末有料化装置
DE10319292A1 (de) Peripherie-Vorrichtung für ein Fernsehgerät
KR20060101676A (ko) 공인 인증서 처리 방식을 채택한 디지털 텔레비젼
EP1830569A1 (en) Dual interface conditional access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034344B1 (ko) 복수 사용자의 인증을 통하여 동시 시청을 위한 iptv 시스템 및 방법
ES2211267B1 (es) Aparato de telefono de mano para utilizarlo en sistemas interactivos de televi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