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9149B1 -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 및 의료용 삽입물 펼침유니트 - Google Patents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 및 의료용 삽입물 펼침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9149B1
KR101029149B1 KR1020100078497A KR20100078497A KR101029149B1 KR 101029149 B1 KR101029149 B1 KR 101029149B1 KR 1020100078497 A KR1020100078497 A KR 1020100078497A KR 20100078497 A KR20100078497 A KR 20100078497A KR 101029149 B1 KR101029149 B1 KR 101029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insert
spreading
inner space
medical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8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호
Original Assignee
박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호 filed Critical 박종호
Priority to KR1020100078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91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149B1/ko
Priority to PCT/KR2011/005920 priority patent/WO2012021019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 및 그 의료용 삽입물 펼침유니트에 대한 것으로서, 인체 내에 삽입되어 그 인체 내에서 접혀진 부분을 펴지도록 하는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로서,
일측으로는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연장되고 인체 내에 삽입되어 접혀진 부분을 펴지도록 하는 펼침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펼침부는,
그 사이에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타측방향으로 연장되되 그 말단부에는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 및 그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를 이용한 의료용 삽입물 펼침유니트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 및 의료용 삽입물 펼침유니트{Medical spreading apparatus for insert and medical spreading unit for insert}
본 발명은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 및 의료용 삽입물 펼침유니트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 내에 삽입된 물질을 쉽고 간편하게 펴줄 수 있는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 및 의료용 삽입물 펼침유니트에 대한 것이다.
탄성이 떨어지는 물질이 인체 내에 삽입되었을 때 정확한 장소에 위치하지 않으면 주위 조직에 의하여 그 삽입된 삽입물이 구겨지거나 원치 않는 장소에 위치하게 되어 이를 펴줄 의료용 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인체 내에 특히 피하 내에 삽입물을 삽입하는 방법의 대부분은 포셉이나 겸자 등으로 진행되는데 소정의 삽입물을 인체 내에 삽입하고서 다른 딱딱한 막대기 등으로 그 접혀진 삽입물을 펴게 되면 한 쪽으로 쏠려서 구겨짐이 더 심하게 된다. 이러한 삽입되는 삽입물은 박리가 된 특정위치에서 잘 펴지지 않으면 부작용, 특히 혈종, 또는 체액종이 쉽게 생길 수 있게 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즉, 종래의 시술방법은 포셉이나 다른 잡을 수 있는 기구로 원하는 장소까지 물질을 집어넣는다. 이후에 삽입된 장소에 잘 위치시키기 위하여 경도가 떨어지거나 탄성이 떨어지는 물질, 특히 얇은 고어택스 등을 피부 밖에서 피하 내의 특정위치로 바늘을 집어넣어서 고정한다. 이후에는 편평하게 생긴 막대기 등으로 펴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술은 인체 내에 물질을 삽입하는 것이기 때문에 특히, 피하 내에서 그러한 작업들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내부에 삽입된 물질의 상태를 효과적으로 판단하기가 용이하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서 확인이 잘 안되는 삽입물을 확실하게 편다는 것은 상당히 어려웠다.
특히, 삽입된 삽입물을 펴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전문적인 도구가 아니라 편평하게 생긴 막대기나 포셉의 일부등 이었으므로 확실하게 펼 수 없는 경우가 많았다. 한편, 인체 내에서 삽입물이 정확한 위치에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내시경등이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 내에 삽입되어 외부에서 쉽게 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도 쉽게 그 인체 내에 삽입되어 그 삽입되어 접혀진 상태의 물질을 간편하게 펴줄 수 있으면서 원하는 위치상에 잘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 및 의료용 삽입물 펼침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는, 인체 내에 삽입되어 그 인체 내에서 접혀진 부분을 펴지도록 하는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로서,
일측으로는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연장되고 인체 내에 삽입되어 접혀진 부분을 펴지도록 하는 펼침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펼침부는,
그 사이에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타측방향으로 연장되되 그 말단부에는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개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료용 펼침기구에서,
상기 내부공간의 폭이 상기 개구의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료용 펼침기구에서,
상기 내부공간이 전체적으로 타원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료용 펼침기구에서,
상기 내부공간이 사각, 톱니, 세모, 원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료용 펼침기구에서,
상기 말단부는 모서리는 라운드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료용 펼침기구에서,
상기 말단부는 편평한 평면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료용 펼침기구에서,
상기 펼침부는,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소정간격 이격되어 한 쌍이 상기 말단부를 향하여 연장되다가 말단부로 갈수록 서로간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상기 개구를 형성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료용 삽입물 펼침유니트는, 상술한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와, 인체 내의 접혀진 부분을 위치고정하고 상기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의 개구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내부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는 탐침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의료용 삽입물 펼침유니트에서,
상기 탐침기구는, 바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는, 인체 내에서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곳에 특정한 삽입물을 집어넣은 후에 그 삽입물이 접힌 경우에도 쉽고 간편하게 그 접혀진 삽입물을 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를 포함하는 의료용 삽입물 펼침유니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의료용 펼침유니트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Ⅳ-Ⅳ 단면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의료용 펼침유니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탐침기구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삽입물 펼침유니트(10)는,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20)와, 탐침기구(30)를 포함한다.
상기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20)는, 인체 내에 삽입되어 그 인체 내에서 접혀진 삽입물(40)이 펴지도록 하는 의료용 기구로서, 이러한 의료용 펼침기구(20)의 소재로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등으로 소정의 경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어느 정도의 경도를 가지고 있어야 인체 내에서 원하는 위치에 주위 조직(50)의 방해 없이 위치할 수 있고 박리된 공간에서 주위 조직손상 없이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시술후에 다른 시술을 하기 위한 소독등에 견딜 수 있도록 표면 코팅 내지는 내화성 및 내열성의 소재를 선택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20)를 발명함에 있어 중요한 점은 박리공간에 삽입되었을 때 이미 조직 등을 고정하고 있는 탐침기구(30)에 의하여 장애를 받지 않고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어야 하며, 폄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용이하게 그 박리공간에서 빠져나올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발명한 것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한 의료용 펼침기구(20)는, 손잡이부(21)와, 펼침부(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부(21)는 시술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20)의 일측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21)는 전체적으로 바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술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거나 기타 다양한 스크래치 등이 표면에 형성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21)는 대략 10 ~ 15cm 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술의 조건에 맞춰서 다양한 크기를 선택가능하다.
상기 펼침부(22)는,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20)의 타측을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손잡이부(21)로부터 타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인체 내에 삽입된 접혀진 부분을 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펼침부(22)는, 전체적으로 타원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그 중앙에는 대략 타원형의 내부공간(221a)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공간(221a)과 타단을 연결하는 개구(222a)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펼침부(22)는 상기 손잡이부(21)로부터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소정간격 이격되어 한 쌍이 타측방향으로 연장되어진 중앙부(221)와, 상기 중앙부(221)로부터 일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서로간의 간격이 좁혀지면서 개구(222a)를 형성하는 말단부(2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부(221)는 그 사이에 내부공간(221a)이 형성되도록 손잡이로부터 타측방향으로 한 쌍이 연장되어 있는데, 상기 내부공간(221a)에는 후술하는 탐침기구(3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공간(221a)의 크기는 시술여건에 맞춰서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좁은 공간에서 삽입되는 스트로크가 적은 경우에는 그 내부공간(221a)의 크기를 작게하고 깊은 곳으로 삽입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그 내부공간(221a)의 크기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좁으나 양쪽으로 삽입물이 퍼져있는 경우에는 그 내부공간(221a)의 폭을 넓게 할 필요도 있게 된다.
상기 말단부(222)는, 상기 중앙부(221)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부공간(221a)과 외부를 연통하는 개구(222a)가 형성되어 있는 곳이다. 이러한 개구(222a)는 그 폭이 상기 내부공간(221a)에 비해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폭이 좁은 개구(222a)는 탐침기구(30)는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하지만, 일단 내부에 삽입된 탐침기구(30)는 그 내부공간(221a)에서 쉽게 빠지지 않고 원하는 펼침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말단부(222)는 내측으로 오므려진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말단부(222)는 그 인체의 피하와 접촉하는 부분이 라운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서 인체에 손상을 일으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말단부(222)는 편평한 평면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삽입시에 확실한 펴는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2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삽입물이 박리공간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탐침기구(30)를 피부 밖에서 피하내의 특정위치로 찔러넣음으로서 그 삽입물이 그 피하 내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후에, 준비된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20)를 박리공간의 주변에 위치시킨다.
이후에는, 상기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20)를 상기 박리공간 내에 삽입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20)를 삽입물(40)이 삽입되는 조직(50) 내에 집어 넣는다. 이때 그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20)의 개구(222a)가 상기 탐침기구(30)를 통과하도록 한다. 이후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20)를 더 삽입함에 의하여 삽입물에서 접혀진 부분이 쉽게 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20)는 탐침기구(30)를 그 내부공간(221a)에 위치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전후좌우 자유롭게 이동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그 삽입물의 접혀진 부분과 닿으면서 그 삽입물을 용이하게 펼 수 있게 된다. 한편, 삽입물의 펼침이 완료된 후에는 그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20)를 삽입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빼내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처음 삽입된 개구(222a)를 통하여 그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20)가 탐침기구(30)에 대하여 이탈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서 쉽게 그 의료용 삽입용 펼침기구(20)를 빼내게 되는 것이다.
상기 탐침기구(30)는, 바늘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탐침기구(30)는 조직 내에 위치하는 삽입물을 위치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20)와 함께 사용되어 상기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20)가 삽입물을 펴는 동안 그 삽입물을 피하조직 내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삽입물 펼침유니트(10)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먼저,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20)는 개구(222a)가 말단측에 형성되어 있어 일단 탐침기구(30)에 의하여 삽입물이 피하 내에 고정된 상태에서 그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20)를 삽입할 수 있어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2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삽입물의 위치가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등의 문제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20)는 일단 삽입된 후에는 그 내부의 내부공간(221a)이 비교적 넓기 때문에 그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20)가 탐침기구(30)에 의한 장애를 받지 않고 용이하게 이동하면서 그 삽입물을 펼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20)는, 말단이 라운드 처리되어 있어 삽입되는 과정에서 주변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20)는, 피부에 의하여 내부가 잘 안보이는 공간 내에서도 시술자는 자유롭고 편하게 삽입물의 펴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탐침기구(30)의 구성도 비교적 간단하여 전체적인 시술비용등의 증가를 감소할 수 있으며 접힌 부분이 남겨져 있음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의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20)는 다음과 같이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20)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겸자 또는 포셋의 말단에 적용되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221a)과 개구(222a)간의 폭이 서로 동일한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구공간이 원형의 형태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222a)의 길이가 비교적 길고 내구공간이 다소 작은 형태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구공간의 형상이 톱니와 같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에도 상기 내구공간이 전체적으로 사각, 세로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고려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설계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 및 그 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가능함은 물론이다.
10...의료용 삽입물 펼침유니트 20...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
21...손잡이부 22...펼침부
221...중앙부 221a...내부공간
222...말단부 222a...개구
30...탐침기구

Claims (9)

  1. 인체 내에 삽입되어 그 인체 내에서 접혀진 부분을 펴지도록 하는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로서,
    일측으로는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연장되고 인체 내에 삽입되어 접혀진 부분을 펴지도록 하는 펼침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펼침부는,
    그 사이에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타측방향으로 연장되되 그 말단부에는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개구가 형성되되,
    상기 말단부는 편평한 평면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의 폭이 상기 개구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이 전체적으로 타원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이 사각, 톱니, 세모, 원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부는 모서리는 라운드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부는,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소정간격 이격되어 한 쌍이 상기 말단부를 향하여 연장되다가 말단부로 갈수록 서로간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상기 개구를 형성하게 하는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
  8. 제1항의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와, 인체 내의 접혀진 부분을 위치고정하고 상기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의 개구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내부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는 탐침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삽입물 펼침유니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탐침기구는, 바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삽입물 펼침유니트.
KR1020100078497A 2010-08-13 2010-08-13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 및 의료용 삽입물 펼침유니트 KR101029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497A KR101029149B1 (ko) 2010-08-13 2010-08-13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 및 의료용 삽입물 펼침유니트
PCT/KR2011/005920 WO2012021019A2 (ko) 2010-08-13 2011-08-11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 및 의료용 삽입물 펼침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497A KR101029149B1 (ko) 2010-08-13 2010-08-13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 및 의료용 삽입물 펼침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9149B1 true KR101029149B1 (ko) 2011-04-15

Family

ID=44050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8497A KR101029149B1 (ko) 2010-08-13 2010-08-13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 및 의료용 삽입물 펼침유니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29149B1 (ko)
WO (1) WO201202101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64631B2 (en) * 2012-11-14 2016-06-14 James Tylke Intubating forceps and associated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9190A (en) 1979-07-23 1981-05-26 Behney Charles A Method of and clamp for applying pressure to a skin region
US4610252A (en) 1984-10-15 1986-09-09 Catalano J Denis Dual muscle clamp
JPH03124259U (ko) * 1990-03-28 1991-12-17
US5308349A (en) * 1990-04-11 1994-05-03 Mikhail W F Michael Method for performing knee surgery and retractors for use therei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4169B2 (en) * 2001-01-29 2003-04-08 Barzell Whitmore Maroon Bells, Inc. Eyelid retraction device
JP3124259U (ja) * 2006-06-01 2006-08-10 和徳 木原 内視鏡下手術用器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9190A (en) 1979-07-23 1981-05-26 Behney Charles A Method of and clamp for applying pressure to a skin region
US4610252A (en) 1984-10-15 1986-09-09 Catalano J Denis Dual muscle clamp
JPH03124259U (ko) * 1990-03-28 1991-12-17
US5308349A (en) * 1990-04-11 1994-05-03 Mikhail W F Michael Method for performing knee surgery and retractors for use there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21019A3 (ko) 2012-05-03
WO2012021019A2 (ko) 201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6435A (en) Laparoscopic surgical staple system
ES2694428T3 (es) Aparato de exposición para acceder a un espacio muscular paraespinal con una pequeña incisión espinal posterior
US8888795B2 (en) Suture passer
JP5127463B2 (ja) レトラクタ
ES2673146T3 (es) Aparato de exposición para cirugía mínimamente invasiva de fijación de tornillo espinal posterior
US8403869B2 (en) Side-deployed medical guidewire torquer
KR101029149B1 (ko)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 및 의료용 삽입물 펼침유니트
KR20140007193A (ko) 매선시술용 도구
KR101841013B1 (ko) 피부조직 거상술용 수술 도구
JP3868410B2 (ja) 針付縫合糸
WO2018062284A1 (ja) 子宮圧迫止血用縫合針
US20170231707A1 (en) Surgical sleeves for speculums or retractors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190059673A (ko) 피부 리프팅용 수술 도구
JP2014230659A (ja) スネア
JP2023512755A (ja) 人体組織に対して細長い可撓性要素のu字形部を支持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5804423B2 (ja) 経皮穿刺型着脱式鋼線筋鉤及び筋鉤器具
JP2010194239A (ja) 可変式エレバトリウム
JP2013102836A (ja) 腹腔鏡手術用の蛇腹管型圧排器
KR102146697B1 (ko) 침소침습성 강선 제거장치
US10548581B2 (en) Surgical shield
CN203107251U (zh) 前肋近关节固定器
CN210447099U (zh) 辅助拉钩组件
KR20140112209A (ko) 헤모클립
KR101312357B1 (ko) 척추 후방 신경 차단술용 니들
KR100905231B1 (ko) 자궁 수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