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7504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와 싱크볼의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와 싱크볼의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7504B1
KR101027504B1 KR1020080113680A KR20080113680A KR101027504B1 KR 101027504 B1 KR101027504 B1 KR 101027504B1 KR 1020080113680 A KR1020080113680 A KR 1020080113680A KR 20080113680 A KR20080113680 A KR 20080113680A KR 101027504 B1 KR101027504 B1 KR 101027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sink
inlet
lid
waste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3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4676A (ko
Inventor
이용한
신종헌
유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에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에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에넥스
Priority to KR1020080113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7504B1/ko
Publication of KR20100054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4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와 싱크볼의 조립장치는, 싱크대(10)에 설치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20)와, 상기 싱크대(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싱크볼(30)과, 상기 싱크볼(30)의 배수구(32)에 배수트랩(40)을 매개로 연결되는 배수관(42)과,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20)의 하부 일측과 배수관(42)의 하부를 연결하는 오수관(46)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와 싱크볼의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싱크볼(30)의 일측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하여 별도로 형성된 투입구(34)와, 상기 투입구(34)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2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50)과, 상기 투입구(34)를 개폐하는 뚜껑(60)과, 상기 뚜껑(60)의 회전조작방향에 따라 그 감지신호를 감지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20)를 가동 또는 중지시키는 감지수단(70)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과정시 또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지 않을 때에도 악취가 발생되지 않게 함과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배수구(32)의 막힘을 없앨 수 있는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 싱크볼, 배출관, 투입구, 투입구 뚜껑, 자석, 센서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와 싱크볼의 조립장치{Assembly apparatus for Sink bawl and food garbage disposer}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와 싱크볼의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볼의 배수구와 별도로 싱크볼의 일측에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를 설치하고, 이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뚜껑을 설치함과 동시에 뚜껑의 회전조작방향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가동 또는 정지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와 싱크볼의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규모 아파트단지나 식당 또는 학교나 군부대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총 쓰레기 발생량의 30%를 상회할 정도로 그 양이 대단하다. 최근의 보고에 의하면 하루에 약 5만 여 톤 정도의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며, 이러한 배출량은 인구 증가와 도시화가 심화되면서 계속 증가하여 환경을 오염시키는 주원인 중의 하나가 되고 있다.
현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소각이나 매립 또는 비료화처리가 가장 일반화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소각처리는, 대부분 젖어있는 상태의 음식물 쓰레기를 소각하는 것으로서 소각과정에서 매우 많은 분진이 발생하고 특히 다이옥신과 같은 인체에 치명적인 공해물질이 배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매립 방법은 매립지 확보의 어려움은 물론 매립지로부터 새어나오는 침출수로 인한 토양이나 지하수의 오염 가능성을 안고 있다.
이에 비해 상기 비료화처리방법은 소각이나 매립에 비하여 환경부하가 적다는 나름대로의 잇점이 있어, 그동안 여러 종류의 비료화 처리기가 제안되어 왔다. 그런데 비료화 처리기의 성능이나 종류가 어떻든 간에, 비료화를 위해서는 젖어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여 함수율을 낮추는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하므로, 악취가 필연적으로 발생하여 대도시에서는 운용 할 수 없었다.
한편, 특히 아파트의 경우 각 가정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플라스틱 수거통에 따로 담아 집 바깥에 마련되어 있는 공동 음식물 쓰레기통에 버리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공동 음식물 쓰레기통이 없거나 그 위치가 집으로부터 멀 경우에는 귀찮아 다른 일반 쓰레기에 보이지 않게 섞거나 작게 잘라 하수구에 흘려버리기도 한다.
하수구를 통해 버려지는 음식물 찌꺼기는 하수관을 통해 해당 지역의 지하수나 하천을 크게 오염시킬 수 있고, 하수관에 쌓인 찌꺼기들은 배수를 불량하게 하여 집중 호우가 내릴 때 하수가 역류하게 하는 원인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배수구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과정시 또는 음식물 쓰레기 를 처리하지 않을 때에도 싱크볼 아래에서 악취가 심하게 올라온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더운 여름철의 경우에는 악취가 더욱 심하여 싱크볼의 배수구를 아예 막아놓아야 한다는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과정시 또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지 않을 때에도 악취가 발생되지 않게 함과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배수구의 막힘을 없앨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와 싱크볼의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와 싱크볼의 조립장치는, 싱크대에 설치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와, 상기 싱크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싱크볼과, 상기 싱크볼의 배수구에 배수트랩을 매개로 연결되는 배수관과,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하부 일측과 배수관의 하부를 연결하는 오수관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와 싱크볼의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싱크볼의 일측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하여 별도로 형성된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뚜껑과, 상기 뚜껑의 회전조작방향에 따라 그 감지신호를 감지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가동 또는 중지시키는 감지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연결수단은, 상기 싱크볼의 상부에 고무패킹을 매개로 안착됨과 동시에 그 하단이 투입구를 통해 삽입되는 상부 조임링과,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상부에 나사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 조임링과 나사 결합되면서 싱크볼의 하면에 밀착 고정되 는 하부 조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뚜껑은, 상기 상부 조임링의 상면에 안착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손잡이를 가진 밀착판과, 상기 밀착판의 하면 중앙에 돌출되어 상기 상부 조임링의 내경에 고무패킹을 매개로 긴밀하게 끼워지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의 하면 중앙에 수직으로 길게 돌출되어 상기 투입구측 연결관에 걸린 음식물 쓰레기를 눌러주는 누름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감지수단은, 상기 싱크볼의 하면에 대하여 투입구의 가장자리 일측에 고정되는 자석센서와, 상기 자석센서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콘트롤러를 연결하는 전선과, 상기 뚜껑의 하면 가장자리 일측에 고정되어 뚜껑의 회전조작방향에 따라 상기 자석센서와 일치시 자석센서가 자장을 감지하여 그 감지된 신호를 콘트롤러에 입력시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가동시키거나 또는 불일치시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자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뚜껑의 상면에 대하여 상기 자석의 고정위치와 대응되는 일측면과 상기 싱크볼의 상면에 대하여 상기 자석센서의 고정위치와 대응되는 일측면에는 뚜껑의 회전조작방향을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엠보싱형상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와 싱크볼의 조립장치는, 싱크볼의 배수구와 별도로 싱크볼의 일측에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를 설치하고, 이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뚜껑을 설치함과 동시에 뚜껑을 닫은채로 뚜껑을 소정각도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킬 때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가동 또는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과정시 또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지 않을 때에도 악취가 발생되지 않게 함과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배수구의 막힘을 없앨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와 싱크볼의 조립장치는, 싱크대(10)에 마련된 수납공간(12)에 설치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20)와, 상기 싱크대(10)의 상부 개부에 설치되는 싱크볼(30)과, 상기 싱크볼(30)의 배수구(32)에 배수트랩(40)을 매개로 연결되는 배수관(42)과,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20)의 하부 일측과 배수관(42)의 하부를 분기관(44)을 매개로 연결하는 오수관(46)과, 상기 분기관(44)의 하부에 연결되어 배수구(32)과 오수관(46)을 통해 합쳐진 하수를 배출시키는 하수관(48)과, 상기 싱크볼(30)의 일측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하여 별도로 형성된 투입구(34)와, 상기 투입구(34)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2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50)과, 상기 투입구(34)를 개폐하는 뚜껑(60)과, 상기 뚜껑(60)의 회전조작방향에 따라 그 감지신호를 감지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20)를 가동 또는 중지시키는 감지수단(70)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연결수단(50)은, 상기 싱크볼(30)의 상부에 고무패킹(52)을 매개로 안착됨과 동시에 그 하단이 투입구(34)를 통해 삽입되는 상부 조임링(54)과,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20)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결관(56)과, 상기 연결관(56)의 상부에 나사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 조임링(54)과 나사 결합되면서 싱크볼(30)의 하면에 밀착 고정되는 하부 조임링(58)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뚜껑(60)은, 상기 상부 조임링(54)의 상면에 안착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손잡이(62a)를 가진 밀착판(62)과, 상기 밀착판(62)의 하면 중앙에 돌출되어 상기 상부 조임링(54)의 내경에 고무패킹(64a)을 매개로 긴밀하게 끼워지는 끼움부(64)와, 상기 끼움부(64)의 하면 중앙에 수직으로 길게 돌출되어 상기 투입구(34)측 연결관(56)에 걸린 음식물 쓰레기를 눌러주는 누름봉(66)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감지수단(70)은, 상기 싱크볼(30)의 하면에 대하여 투입구(34)의 가장자리 일측에 고정되는 자석센서(72)와, 상기 자석센서(72)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20)의 콘트롤러(미도시)를 전기적(電氣的)으로 연결하는 전선(74)과, 상기 뚜껑(60)의 하면 가장자리 일측에 고정되어 뚜껑(60)의 회전조작방향에 따라 상기 자석센서(72)와 일치시 자석센서(72)가 자장을 감지하여 그 감지된 신호를 콘트롤러에 입력시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20)를 가동시키거나 또는 불일치시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자석(76)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뚜껑(60)의 상면에 대하여 상기 자석(76)의 고정위치와 대응되는 일측면과 상기 싱크볼(30)의 상면에 대하여 상기 자석센서(72)의 고정위치와 대응되는 일측면에는 뚜껑(60)의 회전조작방향(예컨대, 가동 또는 정지방향)을 사용자가 쉽게 인지(認知)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화살표 등의 음각으로 위치를 표시하는 엠보싱형상부(80a)(80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2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20)의 내부에 서랍식으로 탈부착되는 수거통을 나타낸 것이고, 24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20)의 받침대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주방에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20)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싱크볼(30)의 배수구(32)와 별도로 싱크볼(30)의 일측에 설치된 투입구(34)를 닫고 있는 뚜껑(60)을 들어 올려서 개방시킨 후,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시키면, 이 투입구(34)를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도 1과 같이 연결관(56)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진다.
그리고, 뚜껑(60)을 투입구(34)에 일치시켜 눌러주면, 이 뚜껑(60)의 밀착판(62)이 투입구(34)의 상부 가장자리에 고정된 상부 조임링(54)의 상면 가장자리에 밀착됨과 동시에 밀착판(62)의 하부로 돌출된 끼움부(64)가 상부 조임링(54)의 내경부에 고무패킹(64a)을 매개로 긴밀하게 끼워맞춤으로써 뚜껑(60)은 도 5의(a)와 같이 투입구(34)를 밀폐시키게 된다.
이때, 도 5의 (a)에서 도 5의 (b)와 같이 뚜껑(60)을 정회전(예컨대, 시계방향)시키면서 뚜껑(60)의 일측에 형성된 엠보싱형상부(80a)와 싱크볼(30)측 투입구(34)의 상면 가장자리 일측에 형성된 엠보싱형상부(80b)를 일치시키면, 이 뚜껑(60)의 밀착판(62)의 하면 가장자리에 고정된 자석(76)이 투입구(34)의 하면 가장자리에 고정된 자석센서(72)와 일치됨으로써 자석센서(72)는 자석(76)에서 발생 되는 자장을 감지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20)의 내부에 장착된 공지의 콘트롤러(미도시)에 데이타를 입력시켜 주게 되고, 이 콘트롤러(미도시)는 그 데이타를 판별하여 프로그램화된 입력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20)를 온(ON) 동작시키게 된다.
이때,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20)는 가동되면서 젖은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 및 건조시켜 수거통(22)에 수거하고, 음식물 쓰레기에서 탈수된 오수는 오수관(46)을 통해 배수됨과 동시에 싱크볼(30)의 배수관(44)과 오수관(46)을 연결하는 분기관(44)을 통해 하수관(48)으로 흐르게 된다.
한편, 도 5의(b)에서 도 5의 (a)와 같이 뚜껑(60)을 역회전(예컨대, 반시계방향)시키면, 뚜껑(60)에 고정된 자석(76)과 싱크볼(30)에 고정된 자석센서(72)가 서로 어긋나면서 자석(76)의 자장이 자석센서(72)에 미치지 못하게 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20)는 가동이 중지된다.
이때, 뚜껑(60)은 투입구(34)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된 후 투입구(34)를 폐쇄하도록 닫힌상태에서 회전조작방향에 따라 자석센서(72)와 자석(76)으로 이루어진 감지수단(70)을 제어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20)를 가동 또는 정지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과정시 또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지 않을 때에도 투입구(34)를 통해 악취가 발생되지 않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투입구(34)는 싱크볼(30)의 배수구(32)와 별도로 일측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배수구(32)의 막힘현상을 없앨 수 있고 배수 구(32)를 통한 음식물 쓰레기의 악취현상을 없앨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와 싱크볼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외부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를 별도로 갖는 싱크볼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싱크볼의 투입구, 뚜껑, 연결수단, 감지수단을 도시한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싱크볼의 투입구, 뚜껑, 연결수단, 감지수단을 도시한 결합도,
도 5의 (a)(b)는 본 발명에 의한 뚜껑의 회전조작방향에 따른 가동 또는 정지상태를 각각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30 : 싱크볼
32 : 배수구 34 : 투입구
50 : 연결수단 52 : 고무패킹
54 : 상부 조임링 56 : 연결관
58 : 하부 조임링 60 : 뚜껑
62 : 밀착판 64 : 끼움부
66 : 누름봉 70 : 감지수단
72 : 자석센서 74 : 전선
76 : 자석 80a,80b : 엠보싱형상부

Claims (5)

  1. 삭제
  2. 싱크대(10)에 설치되는 싱크볼(30)의 배수구(32)에 배수트랩(40)을 매개로 연결되는 배수관(42)과, 싱크대(10)에 설치되며 상기 싱크볼(30)의 투입구(34)에 연결수단(50)을 매개로 연결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20)와, 상기 투입구(34)를 개폐하는 뚜껑(60)과,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20)의 하부 일측과 배수관(42)의 하부를 연결하는 오수관(46)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와 싱크볼의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50)은, 상기 싱크볼(30)의 상부에 고무패킹(52)을 매개로 안착됨과 동시에 그 하단이 투입구(34)를 통해 삽입되는 상부 조임링(54)과,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20)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결관(56)과, 상기 연결관(56)의 상부에 나사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 조임링(54)과 나사 결합되면서 싱크볼(30)의 하면에 밀착 고정되는 하부 조임링(5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와 싱크볼의 조립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뚜껑(60)은, 상기 상부 조임링(54)의 상면에 안착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손잡이(62a)를 가진 밀착판(62)과, 상기 밀착판(62)의 하면 중앙에 돌출되어 상기 상부 조임링(54)의 내경에 고무패킹(64a)을 매개로 긴밀하게 끼워지는 끼움부(64)와, 상기 끼움부(64)의 하면 중앙에 수직으로 길게 돌출되어 상기 투입구(34)측 연결관(56)에 걸린 음식물 쓰레기를 눌러주는 누름봉(6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와 싱크볼의 조립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080113680A 2008-11-14 2008-11-14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와 싱크볼의 조립장치 KR101027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680A KR101027504B1 (ko) 2008-11-14 2008-11-14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와 싱크볼의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680A KR101027504B1 (ko) 2008-11-14 2008-11-14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와 싱크볼의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676A KR20100054676A (ko) 2010-05-25
KR101027504B1 true KR101027504B1 (ko) 2011-04-06

Family

ID=42279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3680A KR101027504B1 (ko) 2008-11-14 2008-11-14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와 싱크볼의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75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776Y1 (ko) * 2020-01-23 2020-06-03 황금맷돌 주식회사 싱크대용 디스포저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152B1 (ko) * 2011-10-11 2013-12-06 홍한의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479874B1 (ko) * 2013-12-19 2015-01-12 천정석 음식물쓰레기 유도호퍼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쓰레기 유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121U (ko) * 1997-08-16 1999-03-15 김수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를 부설한 싱크대용 배수전
KR19990037485U (ko) * 1998-03-06 1999-10-05 이용기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JP2003080098A (ja) * 2001-09-07 2003-03-18 Inax Corp ディスポーザ
KR200334960Y1 (ko) * 2003-08-16 2003-12-06 남찬우 음식물 쓰레기통을 갖는 싱크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121U (ko) * 1997-08-16 1999-03-15 김수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를 부설한 싱크대용 배수전
KR19990037485U (ko) * 1998-03-06 1999-10-05 이용기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JP2003080098A (ja) * 2001-09-07 2003-03-18 Inax Corp ディスポーザ
KR200334960Y1 (ko) * 2003-08-16 2003-12-06 남찬우 음식물 쓰레기통을 갖는 싱크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776Y1 (ko) * 2020-01-23 2020-06-03 황금맷돌 주식회사 싱크대용 디스포저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676A (ko) 201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4005B1 (ko) 폐 음식물의 처리장치
KR100879400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02750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와 싱크볼의 조립장치
KR980000664A (ko) 공동주택의 음식물 쓰레기 공동처리시스템
US5400443A (en) Waste processing toilet
KR200446381Y1 (ko) 센서작동식 싱크대장착용 음식물처리장치
KR101178606B1 (ko)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
KR20110001323A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292430B1 (ko)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187147B1 (ko) 오물처리분쇄기
KR20050047887A (ko) 오수관을 이용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847074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구조
KR101009374B1 (ko) 음식물쓰레기 옥외 배출 및 수거 장치
KR200200727Y1 (ko) 수분 자동 제거기
KR200285087Y1 (ko) 공동주택 음식물 쓰레기 분리처리시스템
KR200166675Y1 (ko) 주방용 음식 찌꺼기 파쇄기(디스포서) 하부의 배관 폐색 방지장치
KR200470200Y1 (ko) 편심된 배출구를 구비한 씽크볼
KR200409833Y1 (ko) 물기제거와 악취 누출이 방지되는 가정용 음식쓰레기통
KR200161925Y1 (ko) 주방용 음식쓰레기 탈수장치
JP3109908U (ja) ビルトイン型生ごみ処理装置
KR20080078506A (ko) 주방배수펌프
KR200255284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JP2527581Y2 (ja) 厨芥粉砕処理装置
KR100752736B1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90113493A (ko)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