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882B1 - 이동식 온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온도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882B1
KR101026882B1 KR1020090005656A KR20090005656A KR101026882B1 KR 101026882 B1 KR101026882 B1 KR 101026882B1 KR 1020090005656 A KR1020090005656 A KR 1020090005656A KR 20090005656 A KR20090005656 A KR 20090005656A KR 101026882 B1 KR101026882 B1 KR 101026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mold
information
data
temperat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5801A (ko
Inventor
조창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정밀
Priority to KR1020090005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882B1/ko
Publication of KR20090105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5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3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 B29C45/7306Control circui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of temperature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을 이용한 가공 성형에 있어서 온간 성형이 요구되는 금형의 온도를 판재의 성형온도까지 상승시킨 후 성형과정 동안 설정 온도가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이동식 온도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온도 제어장치는 금형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금형에 설치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의 온도를 취합하는 데이터로거와, 상기 금형을 가열 또는 냉각하여 상기 금형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와, 상기 데이터로거에서 취합된 온도 정보를 수신 및 처리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측정된 상기 금형의 온도에 따라 설정된 온도로 금형이 가열 또는 냉각되도록 상기 온도조절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측정된 온도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온도 제어장치는 금형의 온도조절이 용이하며, 제품의 성형 조건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다수의 금형에 대한 온도 분석 및 제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금형, 온도 제어

Description

이동식 온도 제어장치 {Movable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이동식 온도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형을 이용한 가공 성형에 있어서 온간 성형이 요구되는 금형의 온도를 판재의 성형온도까지 상승시킨 후 성형과정 동안 설정 온도가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이동식 온도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형을 이용한 제품의 가공 과정 중에서, 성형품이 목적한 형태로 제작되기 위해서는 금형의 온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되는 것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사출금형의 경우에도 용융된 상태의 수지가 과냉각 되거나 냉각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온도 조절을 적절하게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프레스금형을 이용한 제품의 가공시에도 온도조절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종래에 금형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종래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금형 온도 제어장치는 금형의 온도를 설정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과, 금형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단 및 금형의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종래의 금형 온도 제어장치의 경우 일정 온도로 금형을 가열하거나 냉각 시키는 것은 가능하지만, 금형이 일정 온도까지 가열되거나 냉각되는 온도변화나 온도의 상승 또는 하강 속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감지수단을 통해 금형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를 분석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하였기 때문에 제품의 제작을 위한 적절한 가열속도, 가열온도, 냉각속도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실시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복잡하였다.
따라서 제품의 제작에 최적화된 조건으로 금형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금형의 온도를 자동으로 측정 및 분석함으로써 제품의 제작에 필요한 금형의 최적 온도 조건이 유지될 수 있도록 금형의 온도를 조절하며, 이동이 용이한 이동식 온도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온도 제어장치는 금형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금형에 설치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된 온도정보를 취합하는 데이터로거와,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온도에 따라 금형을 설정된 온도로 가열 또는 냉각하여 상기 금형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와, 상기 데이터로거에서 취합된 온도 정보를 수신 및 처리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측정된 온도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온도정보를 토대로 금형의 온도변화상태, 온도변화속도 등의 처리정보를 분석하는 데이터처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로거와 상기 온도센서를 측정정보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며 상기 온도센서 또는 상기 데이터로거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데이터케이블과, 상기 데이터로거와 상기 제어유닛이 장착되는 장착공간을 제공하며 이동 가능한 이동프레임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부는 상기 금형에 설치되어 금형을 가열하는 전열기와, 상기 각각의 온도센서의 측정 온도정보를 전달받아 설정온도로 금형이 가열되도록 상기 전열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다수개의 온도조절기와, 상기 전열기의 발열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온도조절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량을 조절하는 복수개의 전력조절기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로거는 상기 각각의 온도조절기와 연결되어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정보를 취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온도 제어장치는 금형의 온도조절이 용이하며, 제품의 성형 조건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다수의 금형에 대한 온도 분석 및 제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온도 제어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온도 제어장치(100)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동식 온도 제어장치(100)는 금형(10)의 온도가 제품의 적정 가공 온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금형(10)에 장착되어 금형(1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10)와, 상기 온도센서(110)에서의 측정정보를 취합하는 데이터로거(data logger,120)와, 데이터로거(120)에서 취합된 온도 측정정보를 수신하는 제어유닛(130), 제어유닛(130)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금형(10)을 설정된 적정온도가 되도록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온도조절부(150)를 포함한다.
금형(10)에서의 적절한 제품 성형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금형(10)의 온도가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프레스 금형(10)의 경우 온간 성형이 요구되는 금형(10)의 온도가 적정수준으로 유지되지 않을 때에는 가공물의 가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불량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적정 온도의 유지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금형(10)에 온도센서(110)를 장착하여 성형이 이루어지는 금형(10)의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온도센서(110)는 필요에 따라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금형(10) 내의 여러 온도 측정지점을 선정하고, 각각의 측정 지점에 온도센서(110)를 장착하여 금형(10) 전체에서의 온도 상태가 어떠한지를 관리자가 식별하도록 하는것이다. 상기 온도센서(110)는 백금저항 온도센서(110)나 서미스터 복사 온도계 등 금형(1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110)는 데이터로거(120)와 정보 전달이 가능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데이터로거(120)는 각각의 온도센서(110)로부터 측정된 온도정보를 수신하여 취합하는 것이며, 다수의 온도센서(110)와 연결되는 채널이 마련되어 있어서, 다수의 온도센서(110)로부터 전달되는 측정정보를 취합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로거(120)에서 취합된 온도정보는 제어유닛(130)에서 처리된다.
상기 제어유닛(130)은 데이터저장부(131), 데이터처리부(132), 구동부(133) 를 포함한다.
데이터저장부(131)는 상기 각각의 온도센서(110)에서 측정된 온도정보를 저장하여, 필요에 따라 측정된 온도정보를 관리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저장한다.
데이터처리부(132)는 수신된 온도정보를 토대로 금형(10)의 온도변화상태, 가열 또는 냉각속도 등을 분석하는 것이다.
데이터처리부(132)에서는 소정 시간간격으로 측정되는 온도센서(110)의 측정정보를 토대로 관리자가 금형(10)의 온도변화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표 또는 그래프형태로 금형(10)의 온도변화 상태 또는 온도변화 속도를 나타낸다.
상기 데이터처리부(132)에서 분석된 분석정보는 디스플레이부(141)에서 관리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 표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1)는 일반적인 LCD 모니터나 CRT 모니터가 적용될 수 있다.
구동부(133)는 수신되는 금형(10)의 온도정보에 따라 금형(10)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구동부(133)는 입력부(142)와 연결되어 있어서, 관리자가 입력부(142)를 통해 금형(10)의 적정 온도정보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으며, 금형(10)의 온도가 입력된 설정온도와 차이가 나면 구동부(133)에서 후술하는 온도조절부(150)를 통해 금형(10)을 가열 또는 냉각함으로써 금형(10)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도록 한다.
온도조절부(1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금형(10)을 가열 또는 냉각하기 위한 것이다.
금형(10)의 온도조절 즉 가열 및 냉각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온도조절부(150)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금형(10)에 설치되는 전열선과, 상기 전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기와, 상기 전원의 공급을 단속하기 위한 단속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금형(10)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낮을 때, 금형(10)의 가열을 위해 상기 단속스위치가 닫혀 전열선이 전원이 공급되게 함으로써 전열선의 발열에 의해 금형(10)이 가열되어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도록 한다.
온도센서(110)에서 측정한 금형(10)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단속스위치를 열어 전열선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금형(10)의 가열이 더이상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와는 달리 상기 온도조절부(150)는 금형(10)에 설치되는 열교환관과, 열교환관을 통과하는 유체를 가열하는 가열수단 및 유체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히터나 그 밖의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된 열유체가 열교환관을 통과하면서 금형(10)과 열교환 함으로써 금형(10)의 가열이 이루어지며, 냉각수단에 의해 냉각된 냉유체가 열교환관을 통과하면서 금형(10)의 온도를 낮추도록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금형(10)의 온도조절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온도조절을 실시하는 온도조절부(150)는 제어유닛(130)의 구동부(133)의 구동신호 에 의해 금형(10)을 가열하거나 냉각함으로써 금형(10)을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온도 제어장치(100)는 각각의 온도센서(110)들에서 측정된 측정정보를 저장 및 분석하는 제어유닛(130)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금형(10)의 온도분포, 온도 변화속도, 온도변화 상태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제품 성형에 따른 최적의 온도조건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금형(10)의 가열속도나 냉각속도를 적정수준으로 구현함으로써 제품의 성형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온도 제어장치(20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이동식 온도 제어장치(200)는 금형(10)에 설치되는 온도센서(210)와, 데이터로거(230), 제어유닛(240), 전력조정기(262), 이동프레임(270) 및 상기 온도센서(210)와 데이터로거(230)를 정보전송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데이터케이블(220)을 포함한다.
온도센서(21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금형(10)에 설치되어 금형(10)의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온도센서(210)는 일측에 데이터케이블(220)의 접속단자(221)가 삽입될 수 있는 단자홈(211)이 형성되어 있어서, 데이터케이블(220)이 탈부착 가능하게 온도센서(210)에 결합될 수 있다.
데이터케이블(220)은 온도측정 정보를 취합하는 데이터로거(230)와 온도센서(210)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데이터케이블(220)에 의해 온도센서(210)와 데이터로거(230)가 연결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데이터케이블(220)을 온도센서(210) 로부터 탈거하고 데이터로거(23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유닛(240)은 측정된 온도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241)와, 측정정보를 바탕으로 금형(10)의 온도변화 상태, 온도변화 속도 등을 분석하는 데이터처리부(242) 및 이 온도 측정 정보에 따라 온도조절부(260)를 구동하는 구동부(243)를 구비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유닛(240)으로써 노트북PC(250)가 적용되었다.
노트북PC(250)에 의해 정보는 저장 및 분석되며, 스크린(251)에서 분석된 데이터 정보가 출력되고, 키보드(252)를 통해 설정온도를 입력하거나, 자료 분석을 위한 추가 조건의 입력 등이 이루어진다.
온도조절부(260)는 금형(10)에 설치되는 전열선(263)과, 전열선(26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기(261)와, 전열선(263)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전력조정기(262)를 포함한다.
전력조정기(262)에서는 전열선(263)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하여 전열선(263)에서의 발열량을 조절하게 되며 급속한 가열이 요구될 때에는 전류량을 많이 하여 전열선(263)에서의 발열량이 크게 하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전류량을 작게하여 전열선(263)에서의 발열량이 작도록 조절한다.
상기 전력조정기(262)는 다수의 전열선(263)들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금형(10)의 각 부분에서의 부분적인 온도제어가 가능하다.
이동프레임(270)은 상기 노트북PC(250)와, 데이터로거(230) 및 전력조정 기(262)가 수납되는 것으로서, 베이스플레이트(27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7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수직로드(272)와, 상기 수직로드(272)에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지지되어 있는 복수개의 지지플레이트(273)를 포함한다.
상기 노트북PC(250)와 데이터로거(230) 및 전력조정기(262)는 상기 지지플레이트(273)들에 수납되어 있으며, 베이스플레이트(271)에는 하면에 이송바퀴(274)가 장착되어 있어서 이송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일측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동프레임(27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275)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이동식 온도 제어장치(200)는 데이터케이블(220)이 온도센서(2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상기 이동프레임(270)에 수납된 데이터로거(230)와 온도센서(210)의 연결을 해제하고 이동시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복수개의 금형(10)을 구비하고 있으나 동시에 가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하나의 이동식 온도 제어장치(200)를 통해 각각의 금형(10)의 온도제어를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온도 제어장치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온도 제어장치(300)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동식 온도 제어장치(300)는 금형의 각 지점에 장착되어 금형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310)와, 상기 온도센서(310)의 측정온도를 전달받아 설정된 온도로 금형을 가열하기 위한 온도조절부(320)와, 온도조절부(320)와 연결되어 온도센서(310)의 측정온도를 취합하는 데이터로거(340)와, 데이터로거(340)를 통해 측정된 온도정보를 저장 및 분석하는 제어유닛(360)을 포 함한다.
온도센서(310)는 금형에 다수개가 설치되는데, 다수의 지점에서 금형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정확한 온도분포 및 온도측정을 하기 위함이다.
온도조절부(320)는 상기 온도센서(310)의 측정정보를 전달받는 온도조절기(321)와, 온도조절기(32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량을 조절하는 전력조절기(322)와, 상기 전력조절기(322)를 거쳐 전달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전열기(323)를 포함한다.
온도조절기(321)는 온도센서(310)에서 측정된 금형의 온도를 전달받으며, 측정온도와 설정된 온도를 비교하여 전력조절기(322)를 구동한다.
온도조절기(321)는 외부의 전원공급부(33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전력조절기(322)를 통해 전열기(323)로 공급하게 되는데, 전력조절기(322)에서 전열기(323)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하게하여 전열기(323)에서의 발열온도를 조절한다.
즉, 온도센서(310)에서 측정된 금형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비해 아주 낮은 경우에는 신속하게 금형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올리기 위해 전력조절기(322)에서 전열기(323)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높인다. 이와는 달리 온도센서(310)에서 측정된 온도와 설정 온도 사이의 온도차가 크지 않을 때에는 전열기(323)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작게하여 금형이 전열기(323)에 의해 과도하게 가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온도센서(310)와 온도조절부(320)는 금형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설치 갯수 및 설치 위치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로거(340)는 다수의 온도조절기(3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온도센서(310)에서 측정된 온도정보를 취합한다. 데이터로거(340)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각의 온도조절기(321)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데이터케이블(350)이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단자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온도센서(310)에서의 측정온도와 전열기(323)에서 가열되는 가열온도를 자동으로 취합하여 후술하는 제어유닛(360)으로 전달한다.
제어유닛(360)은 제2 실시예와 같이 노트북(361)으로 구현되었다.
노트북(361)에는 상기 데이터로거(340)에서 취합된 온도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와, 저장된 온도정보를 분석하는 데이터처리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분석된 정보는 모니터(362)를 통해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되고, 키보드(363)를 이용해 필요 정보와 데이터를 추가로 입력할 수도 있다.
데이터처리부에서는 일정시간간격으로 측정되는 온도센서(310)의 온도정보와, 온도조절부(320)에 의해 가열되는 금형의 온도상태를 비교하여 온도변화 추이와, 온도변화 속도 등을 분석 및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데이터처리부는 제2 실시예의 구성요소들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금형에서는 이러한 온도정보를 바탕으로 금형의 온도 변화 상태를 분석 및 처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제작품의 가공 중 금형에서의 온도가 요구되는 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에는 제작품의 가공 상태가 불량하거나, 가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 할 수 있다.
이는 온도센서(310)에서 측정한 금형의 온도와 가공지점에서의 온도에 차이가 있기 때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작품의 가공 중 요구되는 금형의 온도가 200℃일 때, 온도센서(310)의 장착 지점과 실제 가공이 이루어지는 가공면의 온도에 편차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 원인은 다양할 수 있는데, 온도센서(310)와 전열기(323)의 장착 위치가 가까워 온도센서(310)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실제 가공면에서의 온도보다 더 높게 측정될 수도 있으며, 이 반대의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실제 가공면에서의 온도와 온도센서(310)에서 측정된 온도 사이에 편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품의 가공시 불량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금형을 이용한 제품의 양산이 이루어 지기 전에 각각의 온도조절기(321)의 설정온도를 재 설정할 필요가 있다.
관리자는 제어유닛(360)에서 분석된 분석정보를 이용해 다수의 시험가공을 실시하는 단계에서 각각의 온도조절기(321)에서의 설정 온도를 재조정한다.
즉, 각각의 온도센서(310)의 장착 위치와 가공지점에서의 온도편차가 있을 수 있으므로 제어유닛(360)의 분석정보를 통해 가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때의 온도센서(310)에서의 측정온도를 확인하고, 각각의 온도센서(310)와 연결되어 있는 온도조절부(320)의 설정온도를 재조정함으로써 전체적인 가공면에서의 가공온도가 가공에 적합한 온도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로거(340)와 노트북(361)은 금형을 이용한 양산이 이루어 지기 전에 상기 온도조절기(321)의 설정온도 조정을 하거나, 금형의 사용 중 온도조절기(321)의 설정온도를 재설정하거나 점검할 때에만 사용되므로, 도시된 것처럼 이송대차(370)에 장착하여 이동이 편리하도록 하고, 상기 데이터케이블(350)이 온도조절기(321)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여 다수의 금형을 하나의 데이터로거(340)와 노트북(361)을 이용해 순차적으로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온도 제어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온도 제어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구성도,
도 4는 이동식 온도 제어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300; 이동식 온도 제어장치
110,210,310; 온도센서
120,230,340; 데이터로거
130,240,360; 제어유닛
220,350; 데이터케이블

Claims (4)

  1. 금형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금형에 설치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된 온도정보를 취합하는 데이터로거와;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온도에 따라 금형을 설정된 온도로 가열 또는 냉각하여 상기 금형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금형에 설치되어 금형을 가열하는 전열기와,상기 각각의 온도센서의 측정 온도정보를 전달받아 설정온도로 금형이 가열되도록 상기 전열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다수개의 온도조절기와, 상기 전열기의 발열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온도조절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량을 조절하는 복수개의 전력조절기를 포함하는 온도조절부와;
    상기 데이터로거에서 취합된 온도 정보를 수신 및 처리하는 것으로, 상기 측정된 온도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온도정보를 토대로 금형의 온도변화상태, 온도변화속도 등의 처리정보를 분석하는 데이터처리부를 구비하는 제어유닛과;
    상기 데이터로거와 상기 온도센서를 측정정보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며 상기 온도센서 또는 상기 데이터로거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데이터케이블과;
    상기 데이터로거와 상기 제어유닛이 장착되는 장착공간을 제공하며 이동 가능한 이동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프레임은 하부에 바퀴가 장착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수직로드와, 상기 수직로드에 지지되며 상기 전력 조절기를 지지하는 하단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하단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하게 상기 수직로드에 설치되며 상기 데이터로거를 지지하는 중간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중간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하게 상기 수직로드에 설치되며 처리되는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제어유닛이 포함된 노트북PC를 지지하는 상단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온도 제어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90005656A 2008-04-02 2009-01-22 이동식 온도 제어장치 KR101026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656A KR101026882B1 (ko) 2008-04-02 2009-01-22 이동식 온도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340 2008-04-02
KR1020090005656A KR101026882B1 (ko) 2008-04-02 2009-01-22 이동식 온도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801A KR20090105801A (ko) 2009-10-07
KR101026882B1 true KR101026882B1 (ko) 2011-04-06

Family

ID=41535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656A KR101026882B1 (ko) 2008-04-02 2009-01-22 이동식 온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8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18456A1 (de) * 2012-10-10 2014-04-10 Siemen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guss von Spulen
DE102013204680A1 (de) * 2013-03-18 2014-09-18 Krones Ag Vorrichtung zum steuern eines temperiergeräts einer blasformmaschine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s temperiergeräts einer blasform-maschine
KR102116211B1 (ko) * 2020-01-13 2020-05-27 김영덕 렌즈제조장치의 온도제어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773B1 (ko) * 2004-05-18 2006-08-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파우더 슬러쉬용 전주금형의 표면온도 측정 및 제어시스템
KR100719760B1 (ko) * 2005-12-29 2007-05-17 주식회사 포스코 균일한 경도를 갖는 열간 프레스 성형 제품을 위한 금형냉각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773B1 (ko) * 2004-05-18 2006-08-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파우더 슬러쉬용 전주금형의 표면온도 측정 및 제어시스템
KR100719760B1 (ko) * 2005-12-29 2007-05-17 주식회사 포스코 균일한 경도를 갖는 열간 프레스 성형 제품을 위한 금형냉각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801A (ko) 200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6882B1 (ko) 이동식 온도 제어장치
CN110450370B (zh) 高光无痕注塑的智能化模温调控系统
JP2005007884A (ja) 機械プラテンに配置された金型及びホットランナー制御装置
CN108413770B (zh) 一种真空感应熔炼过程温度实时测控校准系统及方法
CN109900738B (zh) 基于大功率激光器加热材料的装置及方法
CN105181729A (zh) 一种感温元件的性能测试设备
US6971793B2 (en) Test handler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
US20150362399A1 (en) Plastic tube sealing and test system
JP5897275B2 (ja) 温度制御ユニット、基板載置台、基板処理装置、温度制御システム、及び基板処理方法
JP5525679B2 (ja) ローラー装備型ガラス焼きなまし炉
JP2007041947A (ja) 温度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温度制御システムに適用される温度制御装置
JP2007178412A (ja) 加熱計測用熱電対システム
US20180319697A1 (en) Glass sheet mold apparatus and method
KR20140106262A (ko) 금형 온도분석용 온도측정모듈
CN111521298A (zh) 一种铂铑热电偶加工用批量检定设备
KR100671485B1 (ko) 웨이퍼 번인 테스트용 프로브카드의 항온장치
CN215264494U (zh) 一种温控器自动热调炉
CN103543767A (zh) 木材弯曲弹性模量测量的温控装置
KR20080010271A (ko) 가스 홈을 갖춘 냉각몰드
CN205015301U (zh) 一种感温元件的性能测试设备
KR100627185B1 (ko) 사출시스템의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CN112113612A (zh) 感应薄膜温感检测装置及采用其的温感检测方法
KR20140106257A (ko) 금형용 온도분석 시스템
JP5778639B2 (ja) 射出成形機の成形条件設定方法及び装置
CN112212909A (zh) 一种仪表温湿度测试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