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409B1 - 접이식 가이드링 조립체 - Google Patents

접이식 가이드링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409B1
KR101026409B1 KR1020100117116A KR20100117116A KR101026409B1 KR 101026409 B1 KR101026409 B1 KR 101026409B1 KR 1020100117116 A KR1020100117116 A KR 1020100117116A KR 20100117116 A KR20100117116 A KR 20100117116A KR 101026409 B1 KR101026409 B1 KR 101026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ing
lower guide
cylindrical structure
ring assembly
r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석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7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4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3/00Manufacture of ammunition; Dismantling of ammunition; Apparatus therefor
    • F42B33/001Devices or processes for assembling ammunition, cartridges or cartridge elements from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5/00Testing or checking of ammu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지지대 위에서 원통구조물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링 조립체에 있어서, 내주면이 원통구조물의 표면에 접촉하고, 외주면이 상기 회전지지대와 마찰 접촉하여 상기 원통구조물의 회전을 안내하는 상,하부 가이드링; 상기 상,하부가이드링의 내주면이 상기 원통구조물의 표면에 밀착하여 상기 회전지지대의 회전력이 상기 원통구조물에 전달되게 상기 상,하부 가이드링을 상호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가이드링 또는 하부 가이드링의 중심부에는 힌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 가이드링 또는 하부 가이드링의 좌.우측 섹션이 벌어지도록 구성되는 접이식 가이드링 조립체를 제공하여, 원통구조물에서 가이드링을 해제할 시에, 상부 가이드링만을 하부 가이드링으로부터 해제하면 자연스럽게 하부 가이드링이 벌어지면서 해제되는 구성을 구비하고, 원통구조물에 가이드링를 체결할 시에, 벌어진 하부 가이드링에 원통구조물을 거치한 후, 상부 가이드링을 하부 가이드링에 결합시키는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원통구조물에 가이드링을 체결 및 해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접이식 가이드링 조립체{folded guide ring assembly}
본 발명은 가이드링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원통구조물을 대상으로 회전 작업을 진행할 때 사용하는 가이드링을 원통구조물에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링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유도탄의 조립 및 점검 공정 중에는 다양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많은 장치들이 유도탄의 둘레를 따라 부착된다. 하지만, 유도탄등과 같은 원통구조물은 부착 작업을 위해 지지대에 적치되었을때에 원통구조상 하중이 원통구조물과 지지대의 접촉부위에 집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지지대와 원통구조물의 접촉면적이 작기 때문에 집중 하중이 발생하고, 이러한 집중 하중은 지지대와 원통구조물 모두에 많은 부담이 된다.
특히, 유도탄의 경우, 최근에 내열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복합재등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복합재는 강도 및 경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집중하중에 의해 원통구조물 또는 지지대가 파손될 위험이 크다.
이에 원통구조물의 둘레에 다수개의 가이드링을 장착하고, 가이드링을 따라 회전지지대의 롤러가 회전하면서, 원통구조물을 회전시키도록 구성하여 원통구조물의 하중을 최대한 분산하도록 하였다.
이때, 가이드링과 원통구조물이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원통구조물의 외주면의 지름과 가이드링의 내주면의 지름이 일치하도록 설계된다. 만약, 유격이 발생하게 되면, 회전지지대 위에서 회전하는 원형구조물으로 인하여 집중하중이 발생하여 원통구조물의 파손 위험이 크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도록 가이드링의 내주면 지름은 원통구조물은 외주면에 최대한 꼭 맞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위와 같이 여유가 없는 가이드링의 크기로 인하여 원통구조물에 가이드링을 체결하거나 해제할 때, 많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원통구조물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가이드링의 내주면에는 완충부재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완충부재의 마찰로 인하여 가이드링의 체결 및 해제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많은 추가적인 힘을 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원통구조물에 체결되어 회전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도, 원통구조물에 용이하게 체결 및 해제될 수 있는 접이식 가이드링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회전지지대 위에서 원통구조물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링 조립체에 있어서, 내주면이 원통구조물의 표면에 접촉하고, 외주면이 상기 회전지지대와 마찰 접촉하여 상기 원통구조물의 회전을 안내하는 상,하부 가이드링; 상기 상,하부가이드링의 내주면이 상기 원통구조물의 표면에 밀착하여 상기 회전지지대의 회전력이 상기 원통구조물에 전달되게 상기 상,하부 가이드링을 상호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가이드링 또는 하부 가이드링의 중심부에는 힌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 가이드링 또는 하부 가이드링의 좌.우측 섹션이 벌어지도록 구성되는 접이식 가이드링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가이드링의 중심부에는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가이드링의 둘레에 대응하는 중심각은 210°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가이드링의 둘레에 대응하는 중심각은 150°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 가이드링의 내주면에는 상기 원통구조물의 표면과 접촉하는 완충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부 가이드링의 외주면의 양측면에는 회전지지대를 이탈하지 않도록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반경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힌지부는, 상호 대향하는 상기 좌,우측 섹션의 이음 단부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좌,우측 섹션의 벌림각이 확보되고, 소정의 각도이상으로 벌어지면 상기 이음 단부가 맞닿아 상기 벌림각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수단은 하부 가이드링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되거나 상부 가이드링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가이드링 조립체에 따르면, 원통구조물에서 가이드링을 해제할 시에, 상부 가이드링만을 하부 가이드링으로부터 해제하면 자연스럽게 하부 가이드링이 벌어지면서 해제되는 구성을 구비하고, 원통구조물에 가이드링를 체결할 시에, 벌어진 하부 가이드링에 원통구조물을 거치한 후, 상부 가이드링을 하부 가이드링에 결합시키는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원통구조물에 가이드링을 체결 및 해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가이드링 조립체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실시예가 회전지지대 위에 거치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정면 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실시예가 회전지지대 위에 거치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실시예의 측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하부 가이드링에서 상부 가이드링이 해제되어 분리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1에서 도시한 하부 가이드링이 벌어져 원통구조물에서 자연스럽게 해제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7은, 도 1에서 도시한 하부 가이드링의 벌림각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가이드링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가이드링 조립체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실시예가 회전지지대 위에 거치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정면 상태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실시예가 회전지지대 위에 거치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 상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관계를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 특징되는 부분만을 도시한 것으로서,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시된 특정 형태에 본 발명은 크게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가이드링 조립체의 일실시예(100)는 상부 가이드링(110)과 하부 가이드링(120)과 상.하부 가이드링(110,120)을 상호 결합시키는 체결수단(130)과 힌지부(1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부 가이드링(110)과 하부 가이드링(120)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상.하부 가이드링(110,120)은 상호 결합되어 원통구조물의 외주면에 체결되어 회전지지대 위에서 원통구조물이 원할하게 회전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가이드링(110)와 하부 가이드링(120)이 후술될 체결수단(130)에 의해 결합되어, 환형의 구조물로 형성되며, 상. 하부 가이드링(110,120)의 내주면에 원통구조물의 외주면이 접촉하도록 원통구조물에 장착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원통구조물(B)에 체결된 상.하부 가이드링(110,120)의 구성을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구조물(B)의 외주면에 체결된 상.하부 가이드링(110,120)은 롤러와 같은 회전지지대(S)위에 마운팅되어 회전지지대(S)가 회전함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즉,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지지대(S)가 상.하부 가이드링(110,120)의 외주면에 마찰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상.하부 가이드링(110,12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하부 가이드링(110,120)이 회전함에 따라 내주면에 밀착된 원통구조물(B)도 회전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원통구조물(B)의 외주면에 필요한 장치들을 부착하는 작업들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본 실시예(100)가 원통구조물(B)에 체결되어 회전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100)의 설치개수는 원통구조물(B)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실시예의 측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 상태도이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부 가이드링(110,120)의 외주면의 양측면에는 회전지지대(S)를 이탈하지 않도록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부(110c)가 상.하부 가이드링(110,12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하부 가이드링(110,120)의 내측에는 원통구조물(B)의 표면과 접촉하는 완충부재(150)가 형성된다. 이는 상.하부 가이드링(110,120)의 내주면에 의해 원통구조물(B)의 표면이 파손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앞서 살펴 보았듯이 이 때문에 원통구조물(B)에 상.하부 가이드링(110,120)이 체결되는 것을 어렵게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100)에서는 후술될 힌지부(140)를 형성시켜, 이러한 완충부재(150)가 구비됨에도 용이하게 원통구조물(B)에 상.하부 가이드링(110,120)을 체결 및 해제시키는 구성을 가진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다음으로, 체결수단(1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체결수단(130)은 상부 가이드링(110)와 하부 가이드링(120)를 상호 결합시켜 상.하부 가이드링(110,120)의 내주면이 원통구조물(B)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하부 가이드링에서 상부 가이드링이 해제되어 분리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가이드링(110)와 하부 가이드링(120)은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며, 체결수단(130)에 의해 결합 및 해제되는 구성으로 제안된다. 상기 체결수단(130)은 하부 가이드링(120)의 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 5에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 가이드링(110) 또는 하부 가이드링(120)의 단부중 필요에 따라 어느 곳에라도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100)의 체결수단(130)은 라쳇 버클 형태로 체결 및 해제가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힌지부(140)를 통해 원통구조물(B)에서 상.하부 가이드링(110,120)을 체결 및 해제하는 과정을 도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1에서 도시한 하부 가이드링이 벌어져 원통구조물에서 자연스럽게 해제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7은, 도 1에서 도시한 하부 가이드링의 벌림각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가이드링(110)의 둘레는 중심(C)을 기준으로 중심각(R1)이 150°에 해당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하부 가이드링(120)의 둘레는 중심(C)을 기준으로 중심각(R2)이 210°에 해당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하부 가이드링(120)의 둘레가 길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힌지부(140)가 하부 가이드링(12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힌지부(140)는 상부 가이드링(110) 또는 하부 가이드링(120)의 중심부중 어느 곳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원통구조물(B)의 하중을 받는 하부 가이드링(120) 쪽에 힌지부(14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가이드링(120)의 중심부에 힌지부(140)가 형성되고, 힌지부(140)는 하부 가이드링(120)을 좌측 섹션(123)과 우측 섹션(122)으로 구분한다.
상기 힌지부(140)는 상호 대향하는 좌측 섹션(123)과 우측 섹션(122)의 이음 단부(123a,122a)에 이격 공간(도 1의 d)이 형성되어 좌측 섹션(123)과 우측 섹션(122)의 벌림각(도 7의 R3)을 확보한다.
상기 이격 공간(도 1의 d)은 원통구조물(B)을 용이하게 체결 또는 해제하기 위한 벌림각(도 7의 R3)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소정의 각도이상으로 벌어지면, 도 6의 A에서와 같이, 이음 단부(123a,122a)가 맞닿아 벌림각(도 7의 R3)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원통구조물(B)을 용이하게 체결하거나 해제하기 위하여 필요한 적절한 벌림각(R3)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하부 가이드링(120)에서 체결수단(130)을 해제하면, 상부 가이드링(110)이 해제되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가이드링(120)의 좌측 섹션(123)과 우측 섹션(122)이 힌지부(140)를 중심으로 자중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벌어지기 때문에, 원통구조물(B)을 용이하게 하부 가이드링(120)으로부터 해제시킬수 있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가이드링(120)의 벌림각(R3)은 하부 가이드링(120)에 대응하는 중심각(R2)을 210°라 하면, 15°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위와 같은 하부 가이드링(120)은 회전지지대 위에서 체결수단(130)을 해제하면 자연스럽게 좌.우측 섹션(123,122)이 벌어져 용이하게 원통구조물(B)을 하부 가이드링(120)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처럼 크레인을 사용하여 상.하부 가이드링(110,120)을 회전지지대에서 내려 놓은 다음, 원통구조물(B)을 분리하는 작업이 필요 없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가이드링 조립체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상부 가이드링 110a,120c : 안내부
120 : 하부 가이드링 122 : 하부 가이드링의 우측 섹션
123 : 하부 가이드링의 좌측 섹션 122a,123a : 이음 단부
130 : 체결수단 140 : 힌지부

Claims (7)

  1. 회전지지대 위에서 원통구조물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링 조립체에 있어서,
    내주면이 원통구조물의 표면에 접촉하고, 외주면이 상기 회전지지대와 마찰 접촉하여 상기 원통구조물의 회전을 안내하는 상,하부 가이드링;
    상기 상,하부가이드링의 내주면이 상기 원통구조물의 표면에 밀착하여 상기 회전지지대의 회전력이 상기 원통구조물에 전달되게 상기 상,하부 가이드링을 상호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가이드링 또는 하부 가이드링의 중심부에는 힌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 가이드링 또는 하부 가이드링의 좌.우측 섹션이 벌어지도록 구성되는 접이식 가이드링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이드링의 중심부에는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가이드링의 둘레에 대응하는 중심각은 210°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가이드링의 둘레에 대응하는 중심각은 15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이드링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가이드링의 내주면에는 상기 원통구조물의 표면과 접촉하는 완충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이드링 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가이드링의 외주면의 양측면에는 회전지지대를 이탈하지 않도록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반경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이드링 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호 대향하는 상기 좌,우측 섹션의 이음 단부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좌,우측 섹션의 벌림각이 확보되고, 소정의 각도이상으로 벌어지면 상기 이음 단부가 맞닿아 상기 벌림각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이드링 조립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하부 가이드링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이드링 조립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부 가이드링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이드링 조립체.
KR1020100117116A 2010-11-23 2010-11-23 접이식 가이드링 조립체 KR101026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116A KR101026409B1 (ko) 2010-11-23 2010-11-23 접이식 가이드링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116A KR101026409B1 (ko) 2010-11-23 2010-11-23 접이식 가이드링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6409B1 true KR101026409B1 (ko) 2011-04-07

Family

ID=44049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116A KR101026409B1 (ko) 2010-11-23 2010-11-23 접이식 가이드링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4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9115A (en) * 1976-06-01 1977-08-02 Acf Industries, Incorporated Apparatus for obtaining abutting contact of hollow tank courses to be circumferentially welded
JPS60115394A (ja) * 1983-11-26 1985-06-21 Itsuo Takeshita 管の溶接用回転装置
KR100855110B1 (ko) * 2007-01-22 2008-08-28 이춘수 원터치 장착가능한 보조 핸들
KR20090046452A (ko) * 2007-11-06 2009-05-11 현대제철 주식회사 파이프 절단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9115A (en) * 1976-06-01 1977-08-02 Acf Industries, Incorporated Apparatus for obtaining abutting contact of hollow tank courses to be circumferentially welded
JPS60115394A (ja) * 1983-11-26 1985-06-21 Itsuo Takeshita 管の溶接用回転装置
KR100855110B1 (ko) * 2007-01-22 2008-08-28 이춘수 원터치 장착가능한 보조 핸들
KR20090046452A (ko) * 2007-11-06 2009-05-11 현대제철 주식회사 파이프 절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12589A (zh) 自动消除间隙的向心推力保护轴承装置
JP2018191437A5 (ko)
KR101026409B1 (ko) 접이식 가이드링 조립체
US20180154912A1 (en) Device for connecting a coupling shaft to a car body of a track-guided vehicle
JP2013181634A (ja) キャリア支持構造
CN101825143B (zh) 等速接头
JP2001165187A (ja) 駆動構体用保護装置
KR101378683B1 (ko) 등속조인트용 클램핑 밴드
CN207793850U (zh) 一种桥墩防护装置及桥墩防护结构
CN101627226B (zh) 张紧器
KR20160058405A (ko) 방수커버를 구비한 유니버셜 조인트
JP5965240B2 (ja) ボールジョイント
BR112016011220B1 (pt) Sistema de transferência de potência entre três componentes de potência
KR101368135B1 (ko) 차량의 볼타입 조인트
KR20160037553A (ko) 트라이포드 타입 등속 조인트
JP2012132559A (ja) 高切れ角型トライポッド等速ジョイント
KR101280791B1 (ko)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의 스파이더 조립체
US9121445B2 (en) Bearing device for screw conveyor shafts
CN207750389U (zh) 一种三角形式万向节与传动轴连接的防卡死防尘罩
US20100279778A1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JP2011185411A (ja) ドライブシャフトのダイナミックダンパ取付構造
JP6820162B2 (ja) バケットホイール
KR100875642B1 (ko) 고속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의 플라이휠 고정구조
US9115747B1 (en) Articulating grease shield for use in a constant velocity joint
JP2017048913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