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153B1 - 자기잉크문자의 인식방법 - Google Patents

자기잉크문자의 인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153B1
KR101026153B1 KR1020090126810A KR20090126810A KR101026153B1 KR 101026153 B1 KR101026153 B1 KR 101026153B1 KR 1020090126810 A KR1020090126810 A KR 1020090126810A KR 20090126810 A KR20090126810 A KR 20090126810A KR 101026153 B1 KR101026153 B1 KR 101026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form
character
string
length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6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태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6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G06V30/2253Recognition of characters printed with magnetic in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8/00Aspects of pattern recognition specially adapted for signal processing
    • G06F2218/08Feature extraction
    • G06F2218/10Feature extraction by analysing the shape of a waveform, e.g. extracting parameters relating to pea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aracter Input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잉크문자(Magnetic Ink Character : MIC)의 인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E13B 문자로 이루어지는 자기잉크문자를 판독하는데 있어서, 마그네틱 헤더를 통해 취득되는 문자열의 파형에서 문자열에 대한 적분파형을 생성하고, 적분파형으로부터 각각의 개별 문자파형을 분할하여, 분할된 개별 문자파형으로부터 각각의 문자를 인식함으로써 문자의 오독률(誤讀率)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판독 오류가 전파(傳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기잉크문자 인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잉크문자의 인식방법은, 마그네틱 헤더를 통해 E13B 문자열을 인식하여 문자열 파형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취득된 문자열 파형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뺀 파형 값을 적분하여 문자열의 적분파형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문자열의 적분파형으로부터 각각의 개별문자파형을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분할된 개별문자파형의 길이와 미리 설정된 E13B 문자길이의 기준범위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분할된 개별문자파형의 길이가 상기 E13B 문자길이의 기준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판독 대상 개별문자파형으로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독 대상 개별문자파형으로 확정된 개별문자파형으로부터 각각의 문자를 개별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기잉크문자(Magnetic Ink Character : MIC), E13B, 적분파형, 오독률(誤讀率), 판독오류 전파(傳播)

Description

자기잉크문자의 인식방법{A method of recognizing magnetic ink characters}
본 발명은 자기잉크문자(Magnetic Ink Character : MIC)의 인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E13B 문자로 이루어지는 자기잉크문자에 있어서, 마그네틱 헤더를 통해 취득되는 문자열의 파형에서 문자열에 대한 적분파형을 생성하고, 적분파형으로부터 각각의 개별 문자파형을 분할하여, 분할된 개별 문자파형으로부터 각각의 문자를 인식함으로써 문자의 오독률(誤讀率)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판독 오류가 전파(傳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기잉크문자 인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된 문자를 판독하여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는 기술로는 광학문자판독(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자기잉크문자판독(Magnetic Ink Character Recognition, MICR) 및 광학마크판독(Optical Mark Recognition, OMR) 등이 있다.
이들 중 자기잉크문자판독(MICR)은 자기잉크문자를 사용하는 문자인식시스템으로, 마그네틱 헤더를 통해 자기잉크문자를 읽어 잉크의 자성물질을 검출한 뒤 문 자의 모양을 판단하고, 그 모양을 저장된 문자의 집합과 대조하여 해당 문자를 추출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컴퓨터에 입력시켜 해당 문자가 포함하고 있는 정보를 판독해낸다.
자기잉크문자는 증가하는 수표의 분류, 기록처리를 전산화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자성 재료를 함유한 특수 잉크(자기 잉크)로 인쇄된 문자를 이르며, 미국은행협회(ABA)에서 개발된 E13B와 유럽에서 개발된 CMC7으로 분류된다.
이중 E13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0에서 9까지 10개의 숫자와, 4개의 특수기호 폰트로 규정되어 있고, 각 문자당 동일한 폭을 가지며 지면에 횡방향으로 인쇄된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기잉크문자의 판독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문자파형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문자파형은 E13B의 숫자 '7'을 화살표 방향으로 스캔하여 생성된 것으로서, 총 3개의 피크(peak)를 가진다. 그래프의 'x'축은 마그네틱 헤더를 통한 E13B 문자의 인식을 픽셀(Pixel) 단위로 표시한 것으로서, 'y'축에 나타나는 파형 값은 스캔되는 마그네틱 성분의 변화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센서에 측정되는 마그네틱 성분이 없거나, 또는 마그네틱 성분의 변화율이 '0'인 경우, 센서의 측정치는 28(=256)의 절반인 128로 표시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측정이 시작되면 마그네틱 성분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128에서부터 증가하여 피크를 형성하고, 마그네틱 성분이 감소하는 경우에는 피크에서부터 파형이 감소하여 밸리를 형성하였다가 마 그네틱 성분이 없는 공백부분에서는 128으로 종료되도록 표시된다.
종래의 경우, 이러한 원리를 바탕으로 취득된 문자파형을 이용하여 자기잉크문자를 판독할 때 문자파형에서 최초로 나타나는 피크를 기준으로 일정 간격 내에 있는 피크의 개수를 검출하여 문자파형 패턴을 추출하고, 기 저장된 문자파형 패턴과 비교를 통해 해당 문자파형을 판독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자기잉크문자의 판독방법은 자기잉크문자로부터 취득된 문자열의 파형을 분할할 때 문자열의 파형에서 최초에 나타나는 피크를 기준으로 각각의 개별 문자파형을 분할하기 때문에, 만일 마그네틱 헤더의 인식 오류 또는 인쇄 오류 등에 의해 파형에 노이즈가 개재되어 추출되어야 할 피크가 누락되거나 또는 다른 피크가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한 문자의 판독 오류가 다음 문자의 판독에 영향을 주어 결국, 문자 전체에 판독 오류가 전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속되는 자기잉크문자열로부터 얻어지는 문자열의 파형에서 문자열에 대한 적분파형을 생성한 후, 이를 이용하여 전체 문자 파형을 각각의 개별 문자파형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개별 문자파형으로부터 각각의 문자를 개별 인식함으로써 문자의 오독률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판독 오류가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기잉크문자의 인식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잉크문자의 인식방법은, 마그네틱 헤더를 통해 E13B 문자열을 인식하여 문자열 파형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취득된 문자열 파형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뺀 파형 값을 적분하여 문자열의 적분파형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문자열의 적분파형으로부터 각각의 개별문자파형을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분할된 개별문자파형의 길이와 미리 설정된 E13B 문자길이의 기준범위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분할된 개별문자파형의 길이가 상기 E13B 문자길이의 기준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판독 대상 개별문자파형으로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독 대상 개별문자파형으로 확정된 개별문자파형으로부터 각각의 문자를 개별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잉크문자의 인식방법은, 복수의 E13B 자기잉크문자를 마 그네틱 헤더에 통과시켜 취득되는 문자열의 파형에서 문자열에 대한 적분파형을 생성하고, 적분파형으로부터 각각의 개별 문자파형을 분할하여, 분할된 개별 문자파형으로부터 각각의 문자를 인식함으로써 문자파형의 분할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문자의 오독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문자열의 파형을 각각의 개별 문자파형으로 분할한 후 각 문자들을 개별적으로 판독하기 때문에 하나의 문자에서 판독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판독 오류가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전체 문자에서 판독 오류가 발생한 문자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마그네틱 헤더에 E13B 자기잉크문자 '7'을 통과시켜 취득된 문자파형으로부터 각각의 파형 값에서 파형 기준값(128)을 뺀 값을 적분하여 생성된 적분파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E13B 자기잉크문자를 마그네틱 헤더를 통과시켜 취득되는 문자열의 파형은 스캔되는 마그네틱 성분의 변화율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적분파형은 결국 해당 위치에서의 마그네틱 성분의 양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적분파형을 살펴보면, 적분파형의 값은 문자가 시작되는 위치에서부터 양의 값을 가지게 되어 문자의 형태에 따라 특정한 피크와 밸리 파형이 양의 값을 유지하며 반복되다가 문자가 끝나면 다시 0으로 떨어지게 된다.
다시 말해서, 문자가 존재하는 부분에서는 파형값이 양의 값을 유지하고, 문자와 문자 사이의 공백에서는 파형값이 0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면 문자의 시작과 끝을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E13B 자기잉크문자의 인식방법은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수표나 어음 등의 용지 하단에 인쇄된 수표번호, 일련번호 및 계정번호 등을 표시하는 E13B 문자열을 마그네틱 헤더(Magnetic Header)에 통과시켜 전체 문자열에 대한 문자열 파형을 취득하고, 취득된 문자열 파형을 적분하여 문자열의 적분파형을 생성한 후 문자열의 적분파형을 각각의 개별 문자파형으로 분할한 다음, 각각의 문자를 판독하는 방법이다.
도 4는 E13B 문자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E13B 문자열의 문자열 파형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문자열 파형에 대한 적분파형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잉크문자의 인식방법에 따라 얻어진 문자열 파형의 적분파형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된 그래프는 도 4에 도시된 E13B 문자열 '202'를 마그네틱 헤더에 통과시켜 취득된 문자열의 파형으로서, 파형 값이 128을 중심으로 피크(peak)와 밸리(valley)가 반복되어 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파형 값이 약 128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영역은 문자와 문자 사이의 공백 또는 문자에서 마그네틱 성분의 변화량이 없는 부분을 보여준다.
종래의 경우, 이렇게 취득된 문자열의 파형을 각 문자별로 명확하게 인식하기 위해서는, 취득된 문자열의 파형으로부터 최초로 나타나는 피크를 기준으로 일정한 간격 내에 있는 피크의 개수를 검출하여 문자파형 패턴을 추출하고, 기 저장된 문자파형 패턴과 비교를 통해 해당 문자파형을 판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는 자기잉크문자가 훼손 또는 오염되는 경우, 원하는 형태의 문자열 파형을 취득하기 어렵고, 마그네틱 헤더의 인식 오류 또는 인쇄 오류 등에 의해 파형에 노이즈가 개재되는 경우에는 노이즈도 피크로 판단되어 판독오류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는 다음 문자의 판독에 영향을 주어 결국, 문자 전체에 판독 오류가 전파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마그네틱 헤더를 통과하여 취득된 문자열의 파형을 기준값을 뺀 나머지 파형값을 적분하여 문자열의 적분파형을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각각의 개별 문자 파형을 분할하였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문자열의 파형을 기준값 128을 중심으로 적분하여 생성된 적분파형이다.
도 6의 적분파형을 살펴보면, 각 문자 사이의 공백 부분에서 적분 파형 값은 0에 가까운 값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어(a1, a2, a3), 개별 문자파형으로의 분할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각 문자 사이의 공백 부분에서는 마그네틱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파형 값이 0으로 표시되어야 하지만, 부분적으로 0보다 작은 음의 파형 값을 갖거나, 0보다 큰 양의 파형 값을 갖는 미세 오류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센서의 값이 디지털 값으로 그 설정에서 발생되는 오차에 의해 나타나게 되는데, 이는 적분파형을 각각의 개별 문자파형으로 분할하는데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원인으로 작용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인쇄 오류 등에 의해 파형에 미세한 노이즈가 개재되는 경우에도 적분파형에 영향을 주어, 적분파형을 각각의 개별 문자파형으로 분할하는데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E13B 문자열을 마그네틱 헤더에 통과시켜 취득된 문자열 파형을 모두 적분하지 않고, 기준값을 중심으로 일정 범위의 이상의 편차를 갖는 파형 값만을 대상으로 해당 파형 값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뺀 파형 값을 적분하여 상술한 오류들이 제거된 문자열의 적분파형을 생성하여 각각의 개별 문자파형의 분할을 용이하게 하였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준값을 128로 설정하고, 파형 값이 128을 중심으로 ±5% 이상의 편차를 갖는 파형 값만을 대상으로 해당 파형 값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뺀 파형 값을 적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문자열의 적분파형을 생성하였다.
도 7의 적분파형을 살펴보면, 파형 값이 0 근처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간(B1, B2, B3, B4)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각 문자 사이의 공백을 나타내며 이를 이용하여 문자열의 적분파형을 개별 문자파형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러한 문자열의 적분파형을 이용하여 각각의 개별 문자파형을 분할하는 기준은, 파형 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간(B1, B2, B3, B4)의 파형 값이 0으로부터 일정 범위, 예를 들어 최대 파형 값의 ±10% 내에 포함되는 경우 문자 사이의 공백으로 간주함으로써 각각의 개별문자파형을 분할하게 된다.
한편, 도 7의 적분파형을 살펴보면 구간 D의 파형 값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는데, 이는 도 4의 문자열에서 가운데 문자 0에서 마그네틱 성분의 변화율이 없는 부분을 나타낸다.
도 7에서와 같이 문자 내에 마그네틱 성분의 변화율이 없는 부분이 존재하더라도, 그 부분에 포함된 마그네틱 성분의 양이 일정 값 이상을 포함하고 있어, 해당 부분의 파형 값이 0으로부터 기준 범위(±10%) 이상 벗어난 값을 갖는 경우에는 문자파형의 개별문자 분할에 있어서 별다를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E13B 자기잉크문자에서 4나 7과 같이 문자 내에 마그네틱 성분의 변화율이 없는 부분이 존재하는 동시에, 해당 부분에 존재하는 마그네틱 성분의 양이 매우 적은 경우에는, 문자 내에서 적분파형의 파형 값이 0에 가까운 값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부분이 나타날 수 있어 문자파형의 개별문자 분할에 있어서 오류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자기잉크문자가 훼손되어 문자 내에 공백이 발생되거나 0에서 9까지의 숫자 이외의 4개의 특수기호 폰트와 같이 문자 내에 공백을 갖는 경우에는 적분파형의 파형 값이 0에 가까운 값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부분이 나타나게 되고, 그에 따라 문자파형의 개별문자 분할에 있어서 오류 발생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문자열의 적분파형에서 파형 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간의 파형 값이 0으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이를 문자 사이의 공백으로 판단하여 분할된 각각의 개별문자파형에 대하여 파형의 길이(C1, C2, C3)를 미리 설정된 정상적인(normal) E13B 문자길이의 기준범위, 즉 E13B 문자길이로부터 취득되는 파형길이로부터 일정 범위(±10%)와 비교하여, 비교결과가 미리 설정된 E13B 문자길이의 기준범위 이내에 포함되는 분할된 각각의 개별문자파형은 판독 대상 개별문자파형으로 확정한다. 만약, 분할된 문자파형의 파형길이가 기준범위보다 짧은 경우에는 인접하여 분할된 문자파형 중 기준범위에 미달되는 문자파형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파악하여, 인접 문자파형과의 병합을 통해 병합된 문자파형을 재추출하고 이를 다시 개별문자의 기준범위와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판독 대상 개별문자파형으로 정확하게 분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분할된 개별문자파형의 길이가 E13B 문자길이의 기준범위를 초과하거나, 병합된 문자파형의 길이가 E13B 문자길이의 기준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해당 문자파형을 판독불능으로 처리함으로써 문자파형의 개별문자 분할에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판독 오류가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잉크문자의 인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로서, 도 4 내지 도 7과 연관지어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잉크문자의 인식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E13B 문자열 '202'가 인쇄된 용지를 마그네틱 헤더에 통과시켜, 도 5에 도시된 '202'의 문자열 파형을 취득한다(S100).
다음, 취득된 문자열 파형에서 기준값 128을 중심으로 일정 범위, 즉 ±5% 이상의 편차를 갖는 문자열의 파형 값만을 대상으로 해당 파형 값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값 128을 뺀 파형 값을 적분하여 문자열의 적분파형을 생성한다(S110). 이때, 모든 문자열의 파형 값을 적분하지 않고 기준선에서 일정 범위 이상의 편차를 갖는 파형 값만을 대상으로 해당 파형 값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뺀 파형 값을 적분함으로써 센서의 오차 또는 노이즈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미세 오류를 제거한다.
그 다음, 생성된 문자열의 적분파형에서 파형 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간을 검출하고, 검출된 구간이 0에서 일정 범위, 예를 들어 최대 파형 값의 ±10% 이내에 포함되는 파형 값을 가질 때 각각의 개별 문자파형으로 분할한다(S120).
다음, S120 단계에서 분할된 문자파형의 길이를 E13B 문자길이의 기준범위, 즉 정상적인 E13B 문자에서 취득되는 파형길이로부터 ±10% 이내에 속하는 범위와 비교하여(S140), 분할된 문자파형의 길이가 미리 설정된 E13B 문자길이의 기준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에는 판독 대상 개별문자파형으로 확정하여 분할된 개별문자파형을 신경망 회로에 입력시킨다(S150).
한편, S120 단계에서 분할된 문자파형의 길이가 E13B 문자길이의 기준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인접한 문자파형과의 병합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S170), 병합된 문자파형의 길이가 E13B 문자길이의 기준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인접한 문자파형과 병합함으로써(S180) 병합된 문자파형을 판독 대상 개별문자파형으로 확정하여 신경망 회로에 입력시키고(S150), 분할된 개별문자파형의 길이가 E13B 문자길이의 기준 범위를 초과하거나 병합된 문자파형의 길이가 E13B 문자길이의 기준범위를 초과하여 병합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해당 문자파형을 판독불능으로 처리한다(S190).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문자 내에서 마그네틱 성분의 변화율이 없는 부분에 마그네틱 성분이 미량 함유되어 있거나, 특수문자, 또는 자기잉크문자가 훼손되어 공백이 발생된 경우 등에 있어서, 실제 문자 사이의 공백이 아닌 부분에서 분할된 파형을 인접파형과의 병합을 통해 실제 문자파형으로 재구성함으로써 개별문자분할의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과정이다.
이후, 판독 대상 개별문자파형으로 확정된 개별문자파형을 신경망 회로를 이용하여 각각의 개별문자파형에 대한 판독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S155), 판독 가능한 경우 개별문자파형으로부터 해당 문자를 판독하고(S160), 판독 불가능한 경우에는 판독불가 문자로 처리한다(S19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잉크문자의 인식방법에 따르면, 문자열의 파형을 각각의 개별문자파형으로 분할한 후 각 문자들을 개별적으로 판독함으로써 하나의 문자에서 발생한 판독 오류가 다른 문자의 판독과정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E13B 문자열의 파형을 기준값을 중심으로 일정 범위 이상의 편차를 갖는 파형 값을 적분하여 적분파형을 생성한 후 각각의 개별 문자파형을 분할함으로써 마그네틱의 인식 오류나 문자상의 인쇄 오류 등에 의해 문자파형에 노이즈(noise)가 발생하더라도 각각의 개별 문자파형의 분할에 오류가 발생되는 것 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분할된 각각의 개별 문자파형을 판독함으로써 하나의 문자가 오독되더라도 다른 문자에 그 판독 오류가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E13B 문자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기잉크문자의 인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문자파형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문자파형의 적분파형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4는 E13B 문자열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E13B 문자열의 문자열 파형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문자열 파형을 적분하여 생성된 적분파형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잉크문자의 인식방법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문자열 파형을 적분하여 생성된 적분파형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잉크문자의 인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Claims (6)

  1. E13B 자기잉크문자의 인식방법에 있어서,
    마그네틱 헤더를 통해 E13B 문자열을 인식하여 문자열 파형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취득된 문자열 파형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뺀 파형 값을 적분하여 문자열의 적분파형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문자열의 적분파형으로부터 각각의 개별문자파형을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분할된 개별문자파형의 길이와 미리 설정된 E13B 문자길이의 기준범위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분할된 개별문자파형의 길이가 상기 E13B 문자길이의 기준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판독 대상 개별문자파형으로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독 대상 개별문자파형으로 확정된 개별문자파형으로부터 각각의 문자를 개별판독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잉크문자의 인식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된 개별문자파형의 길이가 상기 E13B 문자길이의 기준범위에 미달되는 경우, 인접한 문자파형과의 병합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병합이 가능한 인접 문자파형과의 병합을 통해 병합된 문자파형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병합된 문자파형의 길이가 상기 E13B 문자길이의 기준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판독 대상 개별문자파형으로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된 개별문자파형의 길이가 상기 E13B 문자길이의 기준범위를 초과하거나, 병합된 문자파형의 길이가 상기 E13B 문자길이의 기준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문자파형을 판독불능으로 처리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잉크문자의 인식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열의 적분파형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문자열 파형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중심으로 상기 기준값의 ±5% 이상의 편차를 갖는 파형 값만을 대상으로 해당 파형 값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뺀 파형 값을 적분하여 문자열의 적분파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잉크문자의 인식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열의 적분파형으로부터 각각의 문자파형을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문자열의 적분파형에서 파형 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간의 파형 값이 0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일정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 경우, 이를 문자 사이의 공백으로 간주함으로써 각각의 개별 문자파형을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잉크문자의 인식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E13B 문자길이의 기준범위는,
    정상적인 E13B 문자로부터 취득되는 파형길이에서 ±10% 이내에 속하는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잉크문자의 인식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대상 개별문자파형으로 확정된 개별문자파형으로부터 각각의 문자를 개별판독하는 단계는,
    신경망 회로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잉크문자의 인식방법.
KR1020090126810A 2009-12-18 2009-12-18 자기잉크문자의 인식방법 KR101026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810A KR101026153B1 (ko) 2009-12-18 2009-12-18 자기잉크문자의 인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810A KR101026153B1 (ko) 2009-12-18 2009-12-18 자기잉크문자의 인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6153B1 true KR101026153B1 (ko) 2011-04-05

Family

ID=44049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6810A KR101026153B1 (ko) 2009-12-18 2009-12-18 자기잉크문자의 인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1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7982A (ja) 2003-11-28 2005-06-16 Seiko Epson Corp 磁気バーコード認識装置、磁気バーコード認識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233598A (ja) 2006-02-28 2007-09-13 Star Micronics Co Ltd 磁気インク文字読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7982A (ja) 2003-11-28 2005-06-16 Seiko Epson Corp 磁気バーコード認識装置、磁気バーコード認識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233598A (ja) 2006-02-28 2007-09-13 Star Micronics Co Ltd 磁気インク文字読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5124B2 (en) Comparison of optical and magnetic character data for identification of character defect type
US7657091B2 (en) Method for automatic removal of text from a signature area
US8565474B2 (en) Paragraph recognition in an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process
US8306325B2 (en) Text character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JP5214330B2 (ja) 画像処理装置、バーコード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11227636A (ja) 文字列認識装置および文字列認識方法
JPS63158678A (ja) 単語間スペ−ス検出方法
US8903155B2 (en) Optical waveform generation and use based on print characteristics for MICR data of paper documents
US572962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gnetic ink character recognition using a magneto-resistive read head
US200801239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gnetic character recognition
JP5245088B2 (ja) 磁気文字認識方法及び磁気文字認識装置
KR101026153B1 (ko) 자기잉크문자의 인식방법
JPH07182448A (ja) 文字認識方法
US20120207392A1 (en) Optical imaging and analysis of a graphic symbol
JP5041775B2 (ja) 文字切出方法及び文字認識装置
US82673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decoding errors in machine-readable symbols
CN107798355B (zh) 一种基于文档图像版式自动分析与判断的方法
KR20010044743A (ko) 2차원 바코드 정보 인식방법
KR101495656B1 (ko) 자기잉크문자의 인식방법
JP2812256B2 (ja) 文字認識装置および方法
JP2006092345A (ja) 文字認識装置、文字認識方法および文字認識プログラム
US9047530B2 (en) Recording media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of a recording media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EP4036871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H08161430A (ja) 文字種識別方法
JP3116622B2 (ja) 印字済み行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