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5822B1 - 전자기 밴드갭 패턴의 보안코드 인식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 밴드갭 패턴의 보안코드 인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5822B1
KR101025822B1 KR1020090052009A KR20090052009A KR101025822B1 KR 101025822 B1 KR101025822 B1 KR 101025822B1 KR 1020090052009 A KR1020090052009 A KR 1020090052009A KR 20090052009 A KR20090052009 A KR 20090052009A KR 101025822 B1 KR101025822 B1 KR 101025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cident
power
ebg
controlled oscil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3227A (ko
Inventor
유종원
장형석
임원규
정원석
류진호
김현미
Original Assignee
한국조폐공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폐공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조폐공사
Priority to KR1020090052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822B1/ko
Priority to CN2010101945861A priority patent/CN101923636B/zh
Priority to US12/794,699 priority patent/US8146800B2/en
Priority to JP2010132882A priority patent/JP5241772B2/ja
Publication of KR20100133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3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05Electromagnetic photonic bandgaps [EPB], or photonic bandgaps [PB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pulses, e.g. deviation from pulse flatness, rise time or du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672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resonating ma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 밴드갭(Electromagnetic Band Gap, EBG) 패턴의 보안코드 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 밴드갭 패턴의 보안코드 인식장치는 다양한 주파수를 갖는 입사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전압 제어 발진부, 전압 제어 발진부를 통해 생성된 입사 신호의 전력을 반분하여 제1 입사 신호 및 제2 입사 신호로 나누어 출력하는 전력 분배부, 제1 입사 신호를 EBG 패턴으로 입사하고, EBG 패턴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웨이브가이드, 웨이브가이드를 통해 수신된 반사 신호 및 전력 분배부를 통해 출력된 제2 입사 신호의 위상차를 검출하고, 검출된 결과에 따른 위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위상 검출부, 및 위상 검출부를 통해 출력된 위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EBG 패턴의 보안코드의 인식여부를 판단하고, 전압 제어 발진부가 순차적으로 입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데이터 제어부를 포함한다.
보안코드, 전자기 밴드갭(Electromagnetic Band Gap, EBG), 공진 주파수, 전압 제어 발진기, 웨이브가이드(waveguide), 위상 검출기(phase detector), 전력 검출기(power detector)

Description

전자기 밴드갭 패턴의 보안코드 인식장치{APPARATUS FOR SECURITY CODE RECOGNITION OF ELECTROMAGNETIC BAND GAP PATTERN}
본 발명은 전자기 밴드갭 패턴의 보안코드 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파 밴드갭(Microwave Bandgap; MBG) 구조 또는 전자기파 밴드갭(Electromagnetic Bandgap; EBG) 구조는 마이크로 스트립상에 구현되어 안테나의 성능 개선, 증폭기의 전력효율 향상, 공진기의 높은 Q 구현 및 고조파 성분 억제, 새로운 유형의 듀플렉서의 설계 등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전자기파 밴드갭 구조에 응용된 마이크로 스트립 회로로서 유전체 기판을 천공하는 방법, 접지면을 주기적인 모양으로 식각하는 방법,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 자체를 변형시키는 방법 등을 통해 제조되고 있다.
본 발명은 반사 및 투과 특성을 이용하여 전자기 밴드갭 패턴의 보안코드를 검출하고 디지털화하여 식별 및 인식할 수 있는 전자기 밴드갭 패턴의 보안코드 인식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 밴드갭 패턴 인식장치는 다양한 주파수를 갖는 입사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전압 제어 발진부, 전압 제어 발진부를 통해 생성된 입사 신호의 전력을 반분하여 제1 입사 신호 및 제2 입사 신호로 나누어 출력하는 전력 분배부, 제1 입사 신호를 EBG 패턴으로 입사하고, EBG 패턴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웨이브가이드, 웨이브가이드를 통해 수신된 반사 신호 및 전력 분배부를 통해 출력된 제2 입사 신호의 위상차를 검출하고, 검출된 결과에 따른 위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위상 검출부, 및 위상 검출부를 통해 출력된 위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EBG 패턴의 보안코드의 인식여부를 판단하고, 전압 제어 발진부가 순차적으로 입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데이터 제어부를 포함한다.
전압 제어 발진부를 통해 생성된 입사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고 전력 분배부로 출력하는 전력 증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력 분배부에서 출력된 제1 입사 신호를 웨이브가이드로 전달하고, 웨이브가이드를 통해 입력된 반사 신호를 위상 검출부로 전달하는 써큘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BG 패턴은,
공진이 일어날 경우, 입사파와 반사파의 위상차가 0도인 완전자기도체(perfect magnetic conductor, PMC) 반사 특성을 갖고,
공진이 일어나지 않을 경우, 입사파와 반사파의 위상차가 180도인 완전전기도체(perfect electric conductor, PEC) 반사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상 검출부는,
반사 신호 및 제2 입사 신호의 위상차 검출결과에 따라 상이한 전압레벨을 갖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 제어부는,
위상 검출부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를 통해 변환된 디지털 신호 및 기설정된 디지털 신호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서 전압 제어 발진부가 다음 입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 및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전압 제어 발진부로 출력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 밴드갭 패턴의 보안코드 인식장치는 다양한 주파수를 갖는 입사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전압 제어 발진부, 전압 제어 발진부를 통해 생성된 입사 신호를 EBG 패턴으로 입사하고, EBG 패턴을 통해 투과된 투과 신호를 수신하는 웨이브가이드부, 웨이브가이드를 통해 수신된 투과 신호 및 입사된 입사 신호의 전력 차를 계산하고, 계산된 전력 차와 기준 전력 차를 대소 비교하여 비교된 결과에 따른 전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전력 검출부, 및 전력 검출부를 통해 출력된 전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EBG 패턴의 보안코드의 인식여부를 판단하고, 전압 제어 발진부가 순차적으로 입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데이터 제어부를 포함한다.
전압 제어 발진부를 통해 생성된 입사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고 웨이브가이드로 출력하는 전력 증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웨이브가이드부는,
전압 제어 발진부를 통해 생성된 입사 신호를 EBG 패턴으로 입사하는 제1 웨이브가이드, 및 EBG 패턴을 통해 투과된 투과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웨이브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력 검출부는,
계산된 전력 차 및 기준 전력 차와의 대소 비교결과에 따라 상이한 전압레벨을 갖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 제어부는,
전력 검출부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를 통해 변환된 디지털 신호 및 기설정된 디지털 신호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서 전압 제어 발진부가 다음 입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 및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전압 제어 발진부로 출력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사 및 투과 특성을 이용하여 전자기 밴드갭 패턴의 보안코드를 검출하고 디지털화하여 식별 및 인식할 수 있는 전자기 밴드갭 패턴의 보안코드 인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EBG 패턴의 보안코드 인식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진 주파수를 갖는 EBG 패턴이 형성된 보안제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EBG 패턴(110)이 형성된 보안제품(100)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안제품(100)에 대해서는 보안카드(100)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안제품(100)은 보안카드로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신분증, 유가증권 또는 ID 분야 등 보안을 필요로 하는 제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보안카드(100)상에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EBG 패턴(110)이 균일하게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EBG 패턴(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형의 개루프 패턴(open loop pattern)으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루프 패턴(closed loop pattern)과 함께 조합되어 보안카드(100)상에 균일하게 배열될 수 있다.
EBG 패턴(110)은 특정 주파수에 대하여 공진(resonance) 현상이 일어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반사 특성을 이용하여 보안코드의 인식이 이루어지므로, EBG 패턴(110)이 형성된 보안카드(100) 뒷면에 금속으로 이루어진 완전전기도체(perfect electric conduct, PEC)판(120)을 두어 EBG 패턴(110)이 반사 특성을 갖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EBG 패턴(110) 뒤에 PEC 판(120)을 두면, EBG 패턴(110)으로 입사되는 파가 반사되는 기본적인 반사 특성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EBG 패턴(110)에 입사된 파가 공진 주파수가 아닐 경우, 입사파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므로, PEC 판(120)은 반사면으로서 역할을 하게 되며, 이때 반사되는 파는 입사파와의 위상차가 180도 차이가 나게 된다. 또한, EBG 패턴(110)에 입사된 파가 공진 주파수일 경우, EBG 패턴(110)은 입사파와 반사파의 위상차가 0도인 완전자기도체(perfect magnetic conductor, PMC) 반사 특성을 나타내며, 이때 반사되는 파는 입사파와의 위상차가 0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EBG 패턴(110)에 대한 입사파와 반사파의 위상차를 인식요소로서 이용하여 EBG 패턴(110)의 공진 여부에 따른 보안코드를 식별하고 인식할 수 있다.
이하에는, EBG 패턴(110)의 공진 특성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는 EBG 패턴(110)에 대하여 공진이 일어나는 경우와 공진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에 따른 고유 코드를 검출하여 인식할 수 있는 EBG 패턴의 보안코드 인식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사 특성을 갖는 EBG 패턴의 보안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EBG 패턴의 보안코드 인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EBG 패턴의 보안코드 인식장치는, 전압 제어 발진부(200), 전력 증폭부(210), 전력 분배부(220), 써큘레이 터(230), 웨이브가이드(240), 위상 검출부(250) 및 데이터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전압 제어 발진부(200)는 다양한 주파수 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킨다. 더욱 구체적으로,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원하는 주파수 신호를 순차적으로 생성하고 출력한다. 여기서, 전압 제어 발진부(200)를 통해 M개의 주파수 신호들이 생성될 수 있으며, M개의 주파수 신호들은 EBG 패턴이 형성된 보안카드(200)로 입사될 M개의 입사 신호가 된다.
전력 증폭부(210)는 전압 제어 발진부(200)를 통해 생성된 입사 신호의 전력 레벨을 증폭한다.
전력 분배부(220)는 전력 증폭부(210)를 통해 출력된 입사 신호의 전력을 반으로 나누어 제1 입사 신호(220a)와 제2 입사 신호(220b)로 각각 출력한다. 전력 분배부(220)의 출력신호 중 제1 입사 신호(220a)는 써큘레이터(230)를 통해 웨이브가이드(240)로 전달되며, 제2 입사 신호(220b)는 위상 검출부(250)로 입력된다.
써큘레이터(230)는 전력 분배부(220)를 통해 출력된 제1 입사 신호(220a)를 웨이브가이드(240)로 전달한다. 웨이브가이드(240)는 써큘레이터(230)를 통해 전달된 제1 입사 신호(220a)를 EBG 패턴이 형성된 보안카드(100)에 입사시킨다. 또한, 웨이브가이드(240)는 EBG 패턴(110)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신호(220c)가 입력된다. 이때, 써큘레이터(230)는 웨이브가이드(240)를 통해 입력된 반사 신호(220c)를 위상 검출부(250)로 전달한다.
위상 검출부(250)는 써큘레이터(230)를 통해 전달된 반사 신호(220c)와, 전 력 분배부(220)를 통해 출력된 제2 입사 신호(220b)가 입력된다. 이때, 위상 검출부(250)는 제2 입사 신호(220b)를 기준 위상 신호로 이용한다. 이에 따라 위상 검출부(250)는 써큘레이터(230)를 통해 입력된 반사 신호(220c)를 제2 입사 신호(220b)와 비교하여 제2 입사 신호(220b)와 반사 신호(220c)의 위상차를 검출한다.
또한, 위상 검출부(250)는 제2 입사 신호(220b)와 반사 신호(220c)에 대한 위상차 검출결과에 따른 위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위상 데이터는 제2 입사 신호(220b)와 반사 신호(220c)의 위상차 검출결과에 따라 생성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의미한다. 이러한 전기적 신호는 하이레벨 또는 로우레벨로 이루어진 전압 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하이레벨과 로우레벨은 전압의 절대 값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양의 전압과 음의 전압으로도 구분될 수 있다. 하이레벨과 로우레벨을 전압의 절대 값으로 구분할 경우, 하이레벨의 전압은 0V 보다 큰 기준치 이상의 전압 값이 될 수 있으며, 로우레벨의 전압은 0V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위상 검출부(250)는 위상차 검출결과, 제2 입사 신호(220b)와 반사 신호(220c)간에 위상차가 있는 경우, 하이레벨을 갖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고, 그 위상차가 0도인 경우, 로우레벨을 갖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제어부(260)는 위상 검출부(250)를 통해 출력된 하이 또는 로우레벨을 갖는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고,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EBG 보안코드의 인식여부를 판별한다. 또한, EBG 보안코드의 인식여부에 대한 판단결과에 따라서 전압 제어 발진부(200)가 다음 입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 다.
이러한 데이터 제어부(260)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261),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63) 및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265)를 포함한다.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261)는 위상 검출부(250)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위상 검출부(250)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의 전압레벨이 하이레벨이면,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코드 '1'로 변환하고, 로우레벨이면 디지털 코드 '0'으로 변환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63)은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261)를 통해 변환된 디지털 코드('1' 또는 '0')를 기설정된 디지털 코드('1' 또는 '0')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261)를 통해 생성된 디지털 코드가 기설정된 디지털 코드와 일치할 경우, 전압 제어 발진부(200)가 다음 입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63)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265)를 통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고, 전압 제어 발진부(200)로 출력된다. 이에 따라 전압 제어 발진부(200)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265)를 통해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고, 다음 입사 신호를 생성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63)은 EBG 패턴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코드가 기설정된 디지털 코드와 모두 일치하는 경우, 'EBG 패턴의 보안코드가 인식됨'을 알리고, EBG 패턴의 인식과정이 종료되도록 한다.
반면, EBG 패턴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코드가 기설정된 디지털 코드와 일치 하지 않을 경우, 'EBG 패턴의 보안코드가 인식되지 않음'을 알리고, EBG 패턴 인식과정이 그대로 종료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EBG 패턴의 보안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시스템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흐름도에서 'VCO f = f1'은 EBG 패턴의 보안코드를 인식하기 위해 전압 제어 발진부(200)를 통해 첫 번째 입사 신호(f1)를 발생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OK?'는 EBG 패턴 인식 시스템을 통해 검출된 EBG 패턴의 주파수 반사 특성이 인증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에 대하여 판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흐름도와 같이, 전압 제어 발진부(200)를 통해 생성된 m개의 입사 신호(f1~fm)에 각각 대하여 EBG 패턴(210)의 보안코드가 인증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를 순차적으로 판단하고, 판단결과 모두 존재하는 경우, 인증 성공('Success')으로 판단한다. 반면, 판단과정 중 EBG 패턴(210)의 보안코드가 인증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로 판단되는 경우 즉시 인증 실패('fail')로 판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사 특성을 인식대상으로 하는 EBG 패턴 인식 시스템에 대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EBG 패턴 인식 시스템은 EBG 패턴의 보안코드를 인식하기 위하여 입사파(f1~f4)와 반사파(f1'~f4')의 위상차를 이용하였다.
도 4에 도시된 신호 파형(f1~fm)은 각 단에서 나타나는 신호 파형을 모형화하여 도시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써큘레이터(230) 전단(써큘레이터(230) 기준으 로 좌측에 도시된 신호 파형)에서 나타난 신호 파형(f1~fm)은 웨이브가이드(240)를 통해 보안카드(200)로 입사되는 입사 신호의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써큘레이터(230) 뒷단(써큘레이터(230) 기준으로 우측에 도시된 신호 파형)에 나타난 신호 파형(f1'~fm')은 보안카드(200)에서 반사된 반사 신호의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써큘레이터(230) 전단과 뒷단의 신호 파형을 참조하면, 전압 제어 발진부(200)를 통해 생성된 첫 번째 입사 신호(f1)가 입사될 경우, EBG 패턴(210)에 공진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첫 번째 반사 신호(f1')는 첫 번째 입사 신호(f1)와의 위상차가 180도가 된다. 반면, 두 번째 생성된 입사 신호(f2)가 입사될 경우, EBG 패턴(210)에 공진이 일어난다. 이에 따라 두 번째 반사 신호(f2')는 두 번째 입사 신호(f2)와의 위상차가 0도가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 번째 입사 신호(f4)와 반사 신호(f4')까지의 위상차 검출과정이 수행된다.
도 5a는 EBG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보안카드를 대상으로 인식과정을 처리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EBG 패턴(210)이 형성된 보안카드(200)를 대상으로 인식과정을 처리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위상 검출부(250)로부터 출력된 전기적 신호 및 그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화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7GHz, 9.2GHz, 11.3GHz, 13GHz의 주파수를 갖는 입사 신호를 이용하여 EBG 패턴의 반사 특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7GHz, 11.3GHz, 13GHz의 주파수를 갖는 입사 신호(f1, f3, f4)를 입사할 경우 공진이 일어나지 않 아, 입사파와 반사파간의 위상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7GHz, 11.3GHz, 13GHz의 주파수에 대해서는 위상 검출부(250)의 검출 결과 +4V(7GHz), -4V(11.3GHz), -4V(13GHz)의 하이레벨을 갖는 전기적 신호(Vout)가 각각 출력되었다. 여기서, 편의상 전압레벨을 +/-4V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가 전압레벨을 인식하여 해당 디지털 코드를 생성할 수 있을 정도의 전압레벨을 의미하는 것이다.
반면, 9.2GHz의 주파수를 갖는 입사 신호(f2)를 입사할 경우 공진이 일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입사파와 반사파간의 위상차가 0이 되며, 그 결과 위상 검출부(250)를 통해 0V(9.2GHz)의 로우레벨을 갖는 전기적 신호(Vout)가 출력되었다.
이와 같이, 위상 검출부(250)를 통해 출력된 하이 또는 로우레벨을 갖는 전기적 신호(Vout)는 데이터 제어부(260)를 통해 디지털 코드로 변환되며, 변환된 디지털 코드의 인식여부가 판별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제어부(260)는 7GHz의 입사 신호에 대한 위상차 검출결과 위상 검출부(250)를 통해 +4V(7GHz)의 하이레벨을 갖는 전기적 신호(Vout)가 입력되면, 디지털 코드 '1'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코드('1')와 기설정된 디지털 코드와의 일치 여부를 판별한다. 이때, 디지털 코드가 서로 일치 할 경우, 다음 9.2GHz의 입사 신호에 대한 위상차를 검출과정을 수행하고, 그 검출결과로 얻어진 0V의 로우레벨을 갖는 전기적 신호(Vout)를 입력 받아 디지털 코드 '0'으로 변환한다.
변환된 디지털 코드와 기설정된 디지털 코드와의 일치 여부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63)을 통해 판별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각각의 입사 신호(f1~f4)에 대한 보안코드 인식과정을 마치게 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코드 '1011'이 생성되며, EBG 패턴이 형성된 보안카드(200)의 보안코드를 식별하고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EBG 패턴의 보안코드 인식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진 주파수를 갖는 EBG 패턴이 형성된 보안제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EBG 패턴(610)이 형성된 EBG 보안제품(600)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다른 보안제품(600)에 대해서는 보안카드(600)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안제품(600)은 보안카드로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신분증, 유가증권 또는 ID 분야 등 보안을 필요로 하는 제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보안카드(600)상에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EBG 패턴(610)이 균일하게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EBG 패턴(6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형의 개루프 패턴(open loop pattern)으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루프 패턴(closed loop pattern)과 함께 조합되어 보안카드(600)상에 균일하게 배열될 수 있다.
EBG 패턴(610)은 특정 주파수에 대하여 공진(resonance) 현상이 일어난다. 이러한 EBG 패턴(610)에 공진이 일어날 경우, EBG 패턴(610)에 투과된 투과 신호의 전력은 입사된 신호의 전력보다 감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EBG 패턴(610)에 대한 입사파와 반사파의 전력 차를 인식요소로서 이용하여 EBG 패턴(610)의 공진 여부에 따른 보안코드를 식별하고 인식할 수 있다.
이하에는, EBG 패턴(610)의 공진 특성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는 EBG 패턴(610)에 대하여 공진이 일어나는 경우와 공진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에 따른 고유 코드를 검출하여 인식할 수 있는 EBG 패턴의 보안코드 인식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반사 특성을 갖는 EBG 패턴의 보안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EBG 패턴 인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EBG 패턴의 보안코드 인식장치는, 전압 제어 발진부(700), 전력 증폭부(710), 웨이브가이드부(721, 722), 전력 검출부(730) 및 데이터 제어부(740)를 포함한다.
전압 제어 발진부(700)는 다양한 주파수 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킨다. 더욱 구체적으로,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원하는 주파수 신호를 순차적으로 생성하고 출력한다. 여기서, 전압 제어 발진부(700)를 통해 M개의 주파수 신호들이 생성될 수 있으며, M개의 주파수 신호들은 EBG 패턴이 형성된 보안카드(600)로 입사될 M개의 입사 신호가 된다.
전력 증폭부(710)는 전압 제어 발진부(700)를 통해 생성된 입사 신호의 전력 레벨을 증폭한다.
웨이브가이드부(721, 722)는 제1 웨이브가이드(721)와 제2 웨이브가이드(722)를 포함한다. 제1 웨이브가이드(721)와 제2 웨이브가이드(722) 사이에 보안카드(600)가 삽입되도록 DUT(device under test)에 구성되어 있다.
제1 웨이브가이드(721)는 전력 증폭부(710)를 통해 증폭된 입사 신호를 보안카드(600)의 EBG 패턴(610)으로 입사한다. 제2 웨이브가이드(722)는 EBG 패턴(610)을 통해 투과된 투과신호를 입력 받는다. 또한, 제2 웨이브가이드(722)는 입력된 투과 신호를 전력 검출부(730)로 전달한다.
전력 검출부(730)는 제2 웨이브가이드(722)로부터 전달된 투과 신호가 입력된다. 전력 검출부(730)는 입력된 투과 신호와, 제1 웨이브가이드(721)를 통해 입사된 입사 신호의 전력 차를 검출하고, 검출된 전력 차를 기준 전력 차와 비교한다. 여기서, 투과 신호의 전력과 비교될 입사 신호의 전력과 기준 전력 차는 전력 검출부(730)에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전력 검출부(730)는 입사 신호와 투과 신호간의 전력 차와 기준 전력 차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른 전력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전력 데이터는 입사 신호와 투과 신호간의 전력 차와 기준 전력 차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생성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의미한다. 이러한 전기적 신호는 하이레벨 또는 로우레벨로 이루어진 전압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검출부(730)는 전력 차를 비교한 결과, 입사 신호와 투과 신호간의 전력 차가 기준 전력 차 이하일 경우, 하이레벨의 전압을 갖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상일 경우, 로우레벨의 전압을 갖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전력 검출부(730)에 기준 전력 차를 설정할 경우, EBG 보안카드를 삽입하지 않았을 경우의 신호 경로 손실을 측정함으로써 경로 손실을 보상할 수 있으며, 좀 더 정확한 기준 전력 차에 대한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 제어부(740)는 전력 검출부(730)에서 출력된 하이 또는 로우레벨을 갖는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고,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EBG 보안코드의 인식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EBG 보안코드의 인식여부에 대한 판단결과에 따라서 전압 제어 발진부(700)가 다음 입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데이터 제어부(740)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741),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63) 및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745)를 포함한다.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741)는 전력 검출부(730)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전력 검출부(730)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의 전압레벨이 하이레벨이면,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코드 '1'로 변환하고, 로우레벨이면, 디지털 코드 '0'으로 변환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743)은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741)를 통해 변환된 디지털 코드('1' 또는 '0')를 기설정된 디지털 코드('1' 또는 '0')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741)를 통해 생성된 디지털 코드가 기설정된 디지털 코드와 일치할 경우, 전압 제어 발진부(700)가 다음 입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743)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265)를 통해 전기적인 신호로 변 환되고, 전압 제어 발진부(700)로 출력된다. 이에 따라 전압 제어 발진부(700)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745)를 통해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고, 다음 입사 신호를 생성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743)은 EBG 패턴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코드가 기설정된 디지털 코드와 모두 일치하는 경우, 'EBG 패턴의 보안코드가 인식됨'을 알리고, EBG 패턴의 인식과정이 종료되도록 한다.
반면, EBG 패턴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코드가 기설정된 디지털 코드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EBG 패턴의 보안코드가 인식되지 않음'을 알리고, EBG 패턴 인식과정이 그대로 종료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EBG 패턴의 보안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시스템의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흐름도에서 'VCO f = f1'은 EBG 패턴의 보안코드를 인식하기 위해 전압 제어 발진부(700)를 통해 첫 번째 입사 신호(f1)를 발생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OK?'는 EBG 패턴 인식 시스템을 통해 검출된 EBG 패턴의 주파수 투과 특성이 인증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에 대하여 판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흐름도와 같이, 전압 제어 발진부(700)를 통해 순차적으로 생성된 m개의 입사 신호에 각각 대하여 EBG 패턴(710)의 보안코드가 인증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모두 존재하는 경우, 인증 성공('Success')으로 판단한다. 반면 판단과정 중 EBG 패턴(610)의 보안코드가 인증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로 판단되는 경우 즉시 인증 실패('fail')로 판단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투과 특성을 인식대상으로 하는 EBG 패턴 인식 시스템에 대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EBG 패턴 인식 시스템은 EBG 패턴의 보안코드를 인식하기 위하여 입사파(f1~f4)와 반사파(f1'~f4')의 전력 차를 이용하였다.
도 9에 도시된 신호 파형(f1~fm)은 각 단에서 나타나는 신호의 파형과 진폭을 모형화 하여 도시된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웨이브가이드(721, 722) 전단(웨이브가이드(721, 722)를 기준으로 좌측에 도시된 신호 파형)에서 나타난 신호 파형(f1~fm)은 웨이브가이드(721, 722)를 통해 보안카드(600)로 입사되는 입사 신호의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웨이브가이드(721, 722) 뒷단(웨이브가이드(721, 722)를 기준으로 우측에 도시된 신호 파형)에 나타난 신호 파형(f1'~fm')은 보안코드(600)를 통해 투과된 투과 신호의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웨이브가이드(721, 722) 전단과 뒷단의 신호 파형을 참조하면, 전압 제어 발진부(700)를 통해 생성된 첫 번째 입사 신호(f1)가 입사될 경우, EBG 패턴(610)에 공진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첫 번째 투과 신호(f1')는 첫 번째 입사 신호(f1)와의 진폭 차가 없이 동일하다. 반면, 두 번째 입사 신호(f2) 가 입사될 경우, EBG 패턴(610)에 공진이 일어난다. 이에 따라 두 번째 투과 신호(f2')는 두 번째 입사 신호(f2)와 비교하여 진폭이 크게 감쇄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 번째 입사 신호(f4)와 반사 신호(f4')까지의 전력 차 검출과정이 수행된다.
도 10a는 EBG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보안카드를 대상으로 인식과정을 처리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EBG 패턴(610)이 형성된 보안카드(600)를 대상으로 인식과정을 처리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b는 도 7에 도시된 전력 검출부(730)로부터 출력된 전기적 신호 및 그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화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b를 참조하면, 7GHz, 8.2GHz, 10GHz, 12.1GHz의 주파수를 갖는 입사 신호를 이용하여 EBG 패턴의 투과 특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7GHz, 8.2GHz, 12.1GHz의 주파수를 갖는 입사 신호(f1, f2, f4)를 입사할 경우 공진이 일어나지 않아, 입사파와 반사파간의 전력 차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7GHz, 8.2GHz, 12.1GHz의 주파수에 대해서는 전력 검출부(730)의 검출 결과, +4V 이상의 전압레벨을 갖는 전기적 신호(Vout)가 각각 출력되었다.
반면, 10GHz의 주파수를 갖는 입사 신호(f3)를 입사할 경우 공진이 일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입사파와 반사파간의 진폭 차가 발생하게 되며, 그 결과 전력 검출부(730)를 통해 0V의 로우레벨을 갖는 전기적 신호(Vout)가 출력되었다.
이와 같이, 전력 검출부(730)를 통해 출력된 하이 또는 로우레벨을 갖는 전기적 신호(Vout)는 데이터 제어부(740)를 통해 디지털 코드로 변환되며, 변환된 디지털 코드의 인식여부가 판별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제어부(740)는 7GHz의 입사 신호에 대한 전력 차 검출결과 전력 검출부(730)를 통해 +4V(7GHz)의 하이레벨을 갖는 전기적 신호(Vout)가 입력되면, 디지털 코드 '1'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코드('1')와 기설정된 디지털 코드와의 일치 여부를 판별한다. 이때, 디지털 코드가 서로 일치 할 경우, 다음 8.2GHz의 입사 신호에 대한 전력 차를 검출과정을 수행하고, 그 검출결과로 얻어진 0V의 로우레벨을 갖는 전기적 신호(Vout)를 입력 받아 디지털 코드 '0'으로 변환한다.
변환된 디지털 코드와 기설정된 디지털 코드와의 일치 여부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743)을 통해 판별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각각의 입사 신호(f1~f4)에 대한 보안코드 인식과정을 마치게 되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코드 '1101'이 생성되며, EBG 패턴이 형성된 보안카드(600)의 보안코드를 식별하고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4개의 주파수(f1~f4)에 대하여 인식과정을 수행하게 되면, 그 결과 4개의 주파수(f1~f4) 신호는 4비트의 보안코드로 변환된다. 이때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가 M비트의 분해능을 가진다고 가정할 경우, 1개의 주파수에 대한 특성을 검출하면 0~M 사이 값을 가지게 되므로, 더 많은 보안 코드 즉, n개의 주파수에 대한 M비트의 코드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여러 개의 EBG 보안카드를 순차적으로 배열하고, 슬라이드 형식으로 보안코드를 검출하는 방식을 통한 다양한 코드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EBG 패턴의 보안코드 인식 시스템은 주파수 하나에 대한 특성을 얻기 위해 약 2μsec의 시간이 소요되며, EBG 보안코드의 인증을 위해 10개의 주파수에 대한 특성을 검출한다고 가정할 경우, 약 20μsec의 시간이 소요된다. 따 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식 시스템을 통해 EBG 보안코드를 검출하기 위한 시간상 제약은 없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EBG 패턴이 형성된 보안제품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EBG 패턴의 보안코드 인식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EBG 패턴의 보안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시스템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EBG 패턴의 보안코드 인식 시스템에 대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나타낸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EBG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보안카드에 대한 위상 검출부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EBG 패턴이 형성된 보안카드에 대한 위상 검출부의 시뮬레이션 결과 및 그 결과를 디지털화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EBG 패턴이 형성된 보안제품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EBG 패턴의 보안코드 인식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EBG 패턴의 보안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시스템의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EBG 패턴의 보안코드 인식 시스템에 대 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나타낸 도면.
도 10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EBG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보안제품에 대한 전력 검출부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10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EBG 패턴이 형성된 보안제품에 대한 전력 검출부의 시뮬레이션 결과 및 그 결과를 디지털화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Claims (11)

  1. 특정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전자기 밴드갭(Electromagnetic Band Gap, EBG) 패턴이 형성된 보안제품의 보안코드를 검출하고 인식하는 장치로서,
    다양한 주파수를 갖는 입사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전압 제어 발진부;
    상기 전압 제어 발진부를 통해 생성된 상기 입사 신호의 전력을 반분하여 제1 입사 신호 및 제2 입사 신호로 나누어 출력하는 전력 분배부;
    상기 제1 입사 신호를 상기 EBG 패턴으로 입사하고, 상기 EBG 패턴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웨이브가이드;
    상기 웨이브가이드를 통해 수신된 상기 반사 신호 및 상기 전력 분배부를 통해 출력된 상기 제2 입사 신호의 위상차를 검출하고, 검출된 결과에 따른 위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위상 검출부; 및
    상기 위상 검출부를 통해 출력된 상기 위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EBG 패턴의 보안코드의 인식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압 제어 발진부가 순차적으로 입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데이터 제어부
    를 포함하는 EBG 패턴의 보안코드 인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 발진부를 통해 생성된 상기 입사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고 상 기 전력 분배부로 출력하는 전력 증폭부를 더 포함하는, EBG 패턴의 보안코드 인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분배부에서 출력된 상기 제1 입사 신호를 상기 웨이브가이드로 전달하고, 상기 웨이브가이드를 통해 입력된 상기 반사 신호를 상기 위상 검출부로 전달하는 써큘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EBG 패턴의 보안코드 인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BG 패턴이 형성된 보안제품은,
    공진이 일어날 경우, 입사파와 반사파의 위상차가 0도인 완전자기도체(perfect magnetic conductor, PMC) 반사 특성을 갖고,
    공진이 일어나지 않을 경우, 입사파와 반사파의 위상차가 180도인 완전전기도체(perfect electric conductor, PEC) 반사 특성을 갖는, EBG 패턴의 보안코드 인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검출부는,
    상기 반사 신호 및 상기 제2 입사 신호의 위상차 검출결과에 따라 상이한 전압레벨을 갖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EBG 패턴의 보안코드 인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제어부는,
    상기 위상 검출부에서 출력된 상기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를 통해 변환된 상기 디지털 신호 및 기설정된 디지털 신호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전압 제어 발진부가 다음 입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 및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전압 제어 발진부로 출력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를 포함하는, EBG 패턴의 보안코드 인식장치.
  7. 특정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전자기 밴드갭(Electromagnetic Band Gap, EBG) 패턴이 형성된 보안제품의 보안코드를 검출하고 인식하는 장치로서,
    다양한 주파수를 갖는 입사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전압 제어 발진부;
    상기 전압 제어 발진부를 통해 생성된 상기 입사 신호를 상기 EBG 패턴으로 입사하고, 상기 EBG 패턴을 통해 투과된 투과 신호를 수신하는 웨이브가이드부;
    상기 웨이브가이드를 통해 수신된 상기 투과 신호 및 입사된 상기 입사 신호의 전력 차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전력 차와 기준 전력 차를 대소 비교하여 비교된 결과에 따른 전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전력 검출부; 및
    상기 전력 검출부를 통해 출력된 상기 전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EBG 패턴의 보안코드의 인식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압 제어 발진부가 순차적으로 입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데이터 제어부
    를 포함하는 EBG 패턴의 보안코드 인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 발진부를 통해 생성된 상기 입사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고 상기 웨이브가이드로 출력하는 전력 증폭부를 더 포함하는, EBG 패턴의 보안코드 인식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브가이드부는,
    상기 전압 제어 발진부를 통해 생성된 상기 입사 신호를 상기 EBG 패턴으로 입사하는 제1 웨이브가이드; 및
    상기 EBG 패턴을 통해 투과된 상기 투과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웨이브가이드를 포함하는, EBG 패턴의 보안코드 인식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검출부는,
    상기 계산된 전력 차 및 상기 기준 전력 차와의 대소 비교결과에 따라 상이한 전압레벨을 갖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EBG 패턴의 보안코드 인식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제어부는,
    상기 전력 검출부에서 출력된 상기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를 통해 변환된 상기 디지털 신호 및 기설정된 디지털 신호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전압 제어 발진부가 다음 입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 및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전압 제어 발진부로 출력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를 포함하는, EBG 패턴의 보안코드 인식장치.
KR1020090052009A 2009-06-11 2009-06-11 전자기 밴드갭 패턴의 보안코드 인식장치 KR101025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009A KR101025822B1 (ko) 2009-06-11 2009-06-11 전자기 밴드갭 패턴의 보안코드 인식장치
CN2010101945861A CN101923636B (zh) 2009-06-11 2010-06-04 电磁带隙图形密码识别装置
US12/794,699 US8146800B2 (en) 2009-06-11 2010-06-04 Apparatus for recognizing security code having electromagnetic band-gap pattern
JP2010132882A JP5241772B2 (ja) 2009-06-11 2010-06-10 電磁気バンドギャップパターンの保安コード認識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009A KR101025822B1 (ko) 2009-06-11 2009-06-11 전자기 밴드갭 패턴의 보안코드 인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227A KR20100133227A (ko) 2010-12-21
KR101025822B1 true KR101025822B1 (ko) 2011-03-30

Family

ID=43338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009A KR101025822B1 (ko) 2009-06-11 2009-06-11 전자기 밴드갭 패턴의 보안코드 인식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46800B2 (ko)
JP (1) JP5241772B2 (ko)
KR (1) KR101025822B1 (ko)
CN (1) CN101923636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1459A (ja) 2005-02-10 2006-08-24 Nissan Motor Co Ltd 情報処理システム
US20060209412A1 (en) * 2003-06-25 2006-09-21 Andreas Schilling Optical security element
KR20070092739A (ko) * 2004-12-17 2007-09-13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무작위 배향 부분면을 갖는 광학 식별자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20295A (en) * 1977-03-30 1978-10-20 Toshiba Corp Subject discrimination device
KR100206672B1 (ko) * 1991-01-04 1999-07-01 피터 존 하이드 원격 판독형 데이타 저장소자 및 저장장치
CA2191778A1 (en) * 1994-08-30 1998-05-29 Morton Greene Radio frequency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JPH11120280A (ja) * 1997-10-14 1999-04-30 Dainippon Ink & Chem Inc 識別システム用磁気マーカー及び識別システム
JPH11161885A (ja) * 1997-11-25 1999-06-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出入監視システム
JPH11339142A (ja) * 1998-05-22 1999-12-10 Mitsubishi Materials Corp 盗難防止用タグ
JP2003272021A (ja) * 2002-03-14 2003-09-26 Omron Corp 真偽判別装置、および媒体発行装置
KR100518835B1 (ko) * 2002-12-02 2005-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포토닉결정을 이용한 공진기 및 공진장치
JP2005122585A (ja) * 2003-10-20 2005-05-12 Sony Corp Rfid用タグおよびそれを用いた管理システム
US20060219786A1 (en) * 2005-04-01 2006-10-05 Metglas, Inc. Marker for coded electronic article identification system
US7612676B2 (en) * 2006-12-05 2009-11-03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RFID tag and antenna
CN101568849B (zh) * 2006-12-22 2013-07-24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mr成像系统中的结合了元材料的rf线圈
JP4970206B2 (ja) * 2007-09-21 2012-07-04 株式会社東芝 アンテナ装置
US8098161B2 (en) * 2008-12-01 2012-01-17 Raytheon Company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lay with improved readability
US8467737B2 (en) * 2008-12-31 2013-06-18 Intel Corporation Integrated array transmit/receive modu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09412A1 (en) * 2003-06-25 2006-09-21 Andreas Schilling Optical security element
KR20070092739A (ko) * 2004-12-17 2007-09-13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무작위 배향 부분면을 갖는 광학 식별자
JP2006221459A (ja) 2005-02-10 2006-08-24 Nissan Motor Co Ltd 情報処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46800B2 (en) 2012-04-03
JP5241772B2 (ja) 2013-07-17
JP2010287238A (ja) 2010-12-24
KR20100133227A (ko) 2010-12-21
CN101923636A (zh) 2010-12-22
US20110108617A1 (en) 2011-05-12
CN101923636B (zh) 2012-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rrojo et al. Microwave encoders for chipless RFID and angular velocity sensors based on S-shaped split ring resonators
Vena et al. Design of compact and auto-compensated single-layer chipless RFID tag
Herrojo et al. Double-stub loaded microstrip line reader for very high data density microwave encoders
Michel et al. UHF-RFID desktop reader antennas: Performance analysis in the near-field region
Sirenko et al. Compression and radiation of high-power short RF pulses. I. Energy accumulation in direct-flow waveguide compressors
Martinez et al. Circular polarization on depolarizing chipless RFID tags
Karami-Horestani et al. Hybrid time/phase domain synchronous electromagnetic encoders for near-field chipless-RFID and motion control applications
Paredes et al. Motion control system for industrial scenarios based on electromagnetic encoders
KR101025822B1 (ko) 전자기 밴드갭 패턴의 보안코드 인식장치
Perret Permittivity characterization based on Radar Cross measurements
Schlaich Time-dependent spectrum analysis of high power gyrotrons
EP2845318B1 (en) A phased-array rf pulse generator
Karami-Horestani et al. Phase-Variation Microwave Displacement Sensor with Good Linearity and Application to Breath Rate Monitoring
EP2261840A1 (en) Apparatus for recognizing a security code having an Electromagnetic Band Gap (EBG) pattern
Walker Experimental evidence of near-field superluminally propagating electromagnetic fields
Sharma et al. Chipless RFID reader for wide range applications
Kondrat’ev et al. Two-wire microwave resonator probe
Sautbekov et al. The smith-purcell effect. Anomalously high level of outgoing wave excitation
Garcia et al. Pulse-receiving characteristics of V-dipole antennas with resistive loading
Zhao et al. A hybrid wireless PLL for phase shift control based maximum efficiency point tracking in resona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Shi et al. Collocated SIBC-FDTD method for coated conductors at oblique incidence
CN104868919A (zh) 时脉调整电路与数字模拟转换装置
Peng et al. Three‐dimensional surface wave measurement system
Karami-Horestani et al. Enhancing the Bit Density and Capacity in Hybrid Time/Phase Domain Electromagnetic Encoders
Koswatta et al. A novel method of reading multi-resonator based chipless RFID tags using an UWB chirp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