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5028B1 - 무선신호를 이용한 휴대용 신장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신호를 이용한 휴대용 신장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5028B1
KR101025028B1 KR1020090023653A KR20090023653A KR101025028B1 KR 101025028 B1 KR101025028 B1 KR 101025028B1 KR 1020090023653 A KR1020090023653 A KR 1020090023653A KR 20090023653 A KR20090023653 A KR 20090023653A KR 101025028 B1 KR101025028 B1 KR 101025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reference position
fixed reflection
signal
reflection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4925A (ko
Inventor
이성우
Original Assignee
이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우 filed Critical 이성우
Priority to KR1020090023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028B1/ko
Publication of KR20100104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2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distances on the body, e.g. measuring length, height or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9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using optical or photograph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ultimedia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한 휴대용 신장측정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신장 측정 시스템의 일예에 따르면, 수직 또는 수평하게 배치되는 장애물을 고정 반사점으로써 이용하고, 상기 고정 반사점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가변 기준 위치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변 기준 위치는 신체의 일부에 대응하는 제1 기준위치와 상기 신체의 다른 일부에 대응하는 제2 기준위치를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제1 기준위치 및 상기 제2 기준위치에서 상기 무선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무선 신호를 상기 고정 반사점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발신하는 신호 발생부와, 상기 제1 기준위치에서 발신되어 상기 고정 반사점에 의해 반사된 반사신호 및 상기 제2 기준위치에서 발신되어 상기 고정 반사점에 의해 반사된 반사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및 상기 제1 기준위치에서 발신되어 상기 고정 반사점에서 반사된 상기 반사 신호를 수신함에 의하여 상기 제1 기준위치와 상기 고정 반사점 사이의 제1 거리를 산출하고, 또한 상기 제2 기준위치에서 발신되어 상기 고정 반사점에서 반사된 상기 반사 신호를 수신함에 의하여 상기 제2 기준위치와 상기 고정 반사점 사이의 제2 거리를 산출하며, 상기 제1 거리와 상기 제2 거리를 연산함에 의하여 신장측정 결과를 발생하는 연산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신호를 이용한 휴대용 신장측정 시스템{Portable Height-measuring System using wireless signal}
본 발명은 휴대용 신장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신장 측정을 할 수 있는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한 휴대용 신장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 등지에서는 환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환자의 다양한 신체 특성을 체크하고 이를 기록한다. 병원 등지의 환자 뿐만이 아니라 상기 신체 특성으로서 신장 측정은 매우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건강 관리에 관련된 장소인 병원을 비롯하여 각종 공공장소, 일예로서 헬스장 및 유치원 등에서도 신장 측정을 위한 신장 측정 시스템을 구비하고 이를 사용하고 있다.
도 1a,b는 일반적인 신장 측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장 측정 시스템은, 사람이 직접 시스템 내에 올라서도록 하기 위한 바닥면과, 초음파 등의 신호를 사용하여 바닥면에 올라선 사람의 머리를 향해 신호를 발신하고, 사람의 머리로부터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수신하는 거리측정 센서와, 상기 거리측정 센서를 사람의 머리 윗부분에 고정하기 위하여 바닥면에 수직으 로 지지되는 기둥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면은 일반적으로 시스템 내에 올라선 사람의 체중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수단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a의 신장 측정 시스템은 상기 체중 측정 기능을 포함하는 바닥면, 거리측정 센서 및 기둥이 서로 고정되도록 부착하여 하나의 시스템을 이룬다. 또한 시스템의 바닥면과 거리측정 센서 사이의 거리(d1)가 기 설정되어 거리측정 센서 내에 구비되는 소정의 비휘발성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다. 이후, 사람이 신장 측정 시스템 내의 바닥면에 올라서면, 거리측정 센서는 사람의 머리를 향해 초음파를 발신하고,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수신하여 거리측정 센서와 사람의 머리 사이의 거리(d2)를 측정한다. 거리측정 센서 내에 구비되는 소정의 연산부(미도시)는 상기 기 설정된 거리 d1에서 상기 측정된 거리 d2를 감산함으로써 사람의 신장을 측정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의 경우, 초음파가 반사됨에 있어서 사람의 실제 머리의 두피에 반사되는 것이 아니라 머리카락에 반사되어 돌아올 수 있으므로, 시스템을 통해 측정된 신장은 실제 사람의 신장과 비교하여 그 오차가 다소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근래 들어서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동식 바(bar)를 이용한 신장 측정 시스템으로 회귀하고 있는 상황이다.
도 1a에 도시된 신장 측정 시스템과 유사하게, 도 1b에 도시된 신장 측정 시스템 또한 바닥면, 이동식 바(bar) 및 기둥이 하나의 시스템을 이룬다. 상기 바닥면은 시스템 내의 사람의 체중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동식 바(bar)는 상기 기둥을 따라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둥 내에는 이 동식 바(bar)의 위치에 따라 신장을 측정하는 센서가 구비된다. 사람이 시스템 내의 바닥면에 올라서면 이동식 바(bar)를 이동하여 사람의 머리에 닿도록 하며, 그 닿는 순간의 이동식 바(bar)의 위치를 센싱하여 시스템 내의 사람의 신장(d3)을 측정한다.
그러나, 도 1a,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장 측정 시스템은 바닥면, 거리측정 센서 및 기둥이 반드시 고정되어 하나의 신장 측정 시스템을 형성하므로 그 부피 및 무게가 커지게 된다. 신장 측정 시스템은 다양한 곳에서 사용될 필요가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에는 하나의 신장 측정 시스템의 부피 및 무게가 증가하므로 다양한 장소에서 사람들의 신장을 측정하기 어려웠으며, 신장측정을 요하는 다수의 사람들이 불필요하게 상기 신장 측정 시스템이 구비되는 장소로 직접 이동하여야 했다. 또한, 상기 신장 측정 시스템이 대형화됨에 따라 시스템 구현을 위한 비용이 증가하게 되므로, 신장 측정을 요하는 기관에서 다수의 신장 측정 시스템을 구입하기 어려웠으며, 또한 다수의 시스템을 구입하는 그 자체는 산업상 매우 비효율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신장 측정이 가능하도록 한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신장측정 시스템의 일예에 따르면, 수직 또는 수평하게 배치되는 장애물을 고정 반사점으로써 이용하고, 상기 고정 반사점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가변 기준 위치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변 기준 위치는 신체의 일부에 대응하는 제1 기준위치와 상기 신체의 다른 일부에 대응하는 제2 기준위치를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제1 기준위치 및 상기 제2 기준위치에서 상기 무선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무선 신호를 상기 고정 반사점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발신하는 신호 발생부와, 상기 제1 기준위치에서 발신되어 상기 고정 반사점에 의해 반사된 반사신호 및 상기 제2 기준위치에서 발신되어 상기 고정 반사점에 의해 반사된 반사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및 상기 제1 기준위치에서 발신되어 상기 고정 반사점에서 반사된 상기 반사 신호를 수신함에 의하여 상기 제1 기준위치와 상기 고정 반사점 사이의 제1 거리를 산출하고, 또한 상기 제2 기준위치에서 발신되어 상기 고정 반사점에서 반사된 상기 반사 신호를 수신함에 의하여 상기 제2 기준위치와 상기 고정 반사점 사이의 제2 거리를 산출하며, 상기 제1 거리와 상기 제2 거리를 연산함에 의하여 신장측정 결과를 발생하는 연산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용 신장측정 시스템은 휴대용 이동전화 단말기 시스템 내에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 신호는, 적외선, 초음파, 전파 및 레이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거리와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신장을 휴대방식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연산 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연산자로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거리는 복수 개의 장애물을 각각 고정 반사점으로 이용하여 기 측정된 복수 개의 제1 거리들을 포함하고, 상기 기 측정된 복수 개의 제1 거리들은 상기 시스템 내에서 기준 연산자로서 동작하고,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연산 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연산자로서 동작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 거리들은 상기 시스템 내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복수 개의 제1 거리 중 상기 시스템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신장을 휴대방식으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반사점은 상기 신체의 상측에 위치하여 수평하게 배치되는 장애물이며, 상기 제1 기준위치는 수직하게 세워진 상기 신체의 가장 하부에 대응하는 위치이며, 상기 제2 기준위치는 상기 수직하게 세워진 상기 신체의 가장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반사점은 상기 수평하게 눕혀진 신체의 일 측면에 위치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는 장애물이며, 상기 제1 기준위치는 상기 수평하게 ??혀진 상기 신체의 가장 왼쪽 또는 오른쪽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이며, 상기 제2 기준위치는 상기 수평하게 ??혀진 상기 신체의 다른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신장측정 시스템은, 서로 대칭 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장애물을 제1 및 제2 고정 반사점들로 이용하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 반사점들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기준위치에서 제1 동작을 수행하고, 신체의 한 지점에 대응하는 제2 기준위치에서 제2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1 동작동안, 상기 제1 기준위치에서 제1 무선 신호 및 제2 무선 신호를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고정 반사점들로 동시에 발신하고, 상기 제2 동작동안 상기 제2 기준위치에서 제1 무선 신호를 상기 제1 고정 반사점으로 발신하는 신호 발생부와, 상기 제1 동작동안 상기 제1 및 제2 고정 반사점들에 의해 반사된 제1 반사신호 및 제2 반사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동작동안 상기 제1 고정 반사점에 의해 반사된 제1 반사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및 상기 제1 동작동안, 상기 제1 기준위치와 상기 제1 고정 반사점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제1 기준위치와 상기 제2 고정 반사점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거리들을 서로 연산함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고정 반사점들 사이의 구간 거리에 대응하는 제1 거리를 산출하며, 상기 제2 동작동안 상기 제2 기준위치와 상기 제1 고정 반사점 사이의 제2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제1 거리와 상기 제2 거리를 연산함에 의하여 신장측정 결과를 발생하는 연산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면, 측정 바(bar) 및 기둥이 서로 고정되어 하나의 신장측정 시스템으로 구현된 종래의 것에 비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자유로이 신장 측정이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 측면에서 편의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해당 시스템 구현에 소요되는 비용을 감소하고 공간상의 제약 없이 신장 측정 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신장 측정 시스템은 그 내부에 신장측정 모듈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신장측정 모듈은 휴대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그 일예로서, 상기 신장측정 모듈이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 구비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2의 (a)는 신장측정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에는, 상기 신장측정 모듈의 일부 구성으로서, 무선 신호를 발신하고 또한 소정의 장애물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신호 송수신부의 구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신장측정 모듈의 동작에 따라 신장 측정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의 (b)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후면을 나타낸다.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은, 해당 시스템 내에 하나의 무선신호 송수신 부만을 구비할 수 있으며, 또는 해당 시스템 내에 적어도 두 개의 무선신호 송수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 내에는 두 개의 무선신호 송수신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후면에 무선신호 송수신부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은 그 일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 신장측정 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 뿐만 아니라 다양한 휴대용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100)은, 시스템 전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0)와,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사람의 신장을 측정하도록 하는 신장측정 모듈(120)과, 상기 측정된 신장을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경우 휴대용 시스템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예시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모듈(140)이 상기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100) 내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신장측정 모듈(120)은 무선 신호, 일예로서 적외선, 초음파, 전파 또는 레이저 등의 어느 하나을 발신하고, 상기 발신된 무선신호가 소정의 장애물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경우 이를 수신하는 무선신호 송수신부가 구비된다. 일예로서, 신장측정 모듈(120) 내에는 상기 적외선, 초음파, 전파, 레이저 또는 이외의 무선신호를 발생하여 이를 발신하는 발신부(121)와, 발신부(121)에서 발신되고 소정의 장애물 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경우 이를 수신하는 수신부(122)와, 상기 무선 신호의 발신 타이밍과 수신 타이밍을 검출하여 상기 발신과 수신 사이의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부(1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신호의 발신과 수신을 이용하여 발신 지점과 반사점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방법이 공지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르면 상기 타이머부(123)를 이용하는 것 외에도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100)이 타이머부(123)를 이용하는 경우, 제어부(110)의 제어하에서 발신부(121)로부터 무선신호가 발생되는 타이밍과 수신부(122)에 의해 반사신호가 수신되는 타이밍을 검출하고,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클록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 타이밍과 수신 타이밍 사이의 클록 신호의 클록수를 카운트한다. 이를 위하여 타이머부(123) 내부에는 소정의 클록 카운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카운트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100)과 반사지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장측정 모듈(120)은 이와 같은 구성 외에도 무선신호 송수신부의 결과에 대해 소정의 연산 동작을 수행하여 사람의 신장을 측정하기 위한 연산장치(12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산장치(124)는, 타이머부(123)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실제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100)과 반사지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124_1)와, 거리 측정부(124_1)의 측정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RAM(124_2)과, 적어도 두 개의 거리값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절대차 값을 연산하는 절대차 연산부(124_3)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휴대 방식에 따라 신장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연산장치(124)는 적어도 두 개의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순차적인 신호를 이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거리값을 산출한다. 즉, 적어도 두 개의 거리값이 연산장치(124)를 통해 실시간으로 획득되고, 그 획득된 값을 연산자로 이용하여 신장 측정을 위한 메인 연산을 수행한다. 또한, 순차적으로 산출된 거리값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거리를 저장하기 위한 RAM(124_2)은, 바람직하게는 휘발성 RAM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100)이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고정되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가변하는 적어도 두 개의 기준 위치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어느 하나의 기준값이 반드시 비휘발적으로 메모리에 저장될 필요가 없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100)의 자세한 동작은 다음과 같다.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100)은 그 이동성의 특징을 이용함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가변 기준위치를 갖는다. 일예로서,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100)은 제1 기준 위치(h1)와 제2 기준 위치(h2)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기준 위치에서 소정의 장애물을 고정 반사점으로 이용하여 상기 고정 반사점을 향해 무선 신호를 발신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100)은 신장 측정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1 기준 위치(h1)는 신체의 어느 일부에 대응하는 위치이며, 또한 상기 제2 기준 위치(h2)는 상기 제1 기준 위치(h1)와는 서로 다른 신체의 다른 일부에 대응할 수 있다.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100)은 제1 기준 위치(h1) 및 제2 기준 위치(h2)에서 각각 무선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상기 고정 반사점으로 발신한다. 제1 기준 위치(h1)에서의 제1 발신 신호(T11)는 상기 고정 반사점에 의하여 반사되고, 그 제1 반사 신호(R11)는 수신부(122)로 전달된다. 타이머부(123)는 제1 발신 신호(T11)의 발신 타이밍과 제1 반사 신호(R11)의 수신 타이밍 사이의 시간을 검출하고 그 제1 검출결과를 연산장치(124)로 제공한다. 연산장치(124)는, 제1 검출결과를 이용하여 실제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100)과 장애물 사이의 제1 거리(d11)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제1 거리(d11)를 RAM(124_2)에 저장한다.
이후,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100)은 제1 기준 위치(h1)에서 제2 기준 위치(h2)로 이동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제1 거리(d11)를 산출하기 위한 제1 동작이 완료된 경우, 제2 거리(d12)를 산출하기 위한 제2 동작의 수행 시작을 알리는 알림신호를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알림 신호 발생을 확인함에 따라, 상기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100)의 기준 위치가 제2 기준 위치(h2)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2 동작이 수행된다.
상기 제2 동작시,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100)의 제2 기준 위치(h2)에서의 제2 발신 신호(T12)가 고정 반사점으로 발신되며, 그 반사 신호(R12)가 수신부(122)에서 수신된다. 타이머부(123)는 제2 발신 신호(T12)의 발신 타이밍과 제2 반사 신호(R12)의 수신 타이밍 사이의 시간을 검출하고 그 제2 검출결과를 연산장치(124)로 제공한다.
연산장치(124)는, 제2 검출결과를 이용하여 실제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100)과 장애물 사이의 제2 거리(d12)를 측정한다. 상기 측정된 제2 거리(d12)는 연산장치(124) 내의 절대차 연산부(124_3)로 제공된다. 또한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100)의 제2 동작 수행시에는 RAM(124_2)에 저장된 제1 거리(d11)가 리드되고, 리드된 제1 거리(d11) 값을 절대차 연산부(124_3)로 제공한다. 절대차 연산부(124_3)는 제1 거리(d11) 및 제2 거리(d12)를 수신하고, 상기 두 값들에 대한 차이의 절대값을 산출한다. 상기 산출된 절대차는 사람의 신장측정 결과로서 제어부(110)로 제공되고, 또한 그 신장측정 결과가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적어도 두 개의 가변 기준위치로서 제1 기준 위치(h1) 및 제2 기준 위치(h2)는 신체의 각각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 대응한다. 바람직하게는, 신장 측정을 위하여 상기 고정 반사점으로서의 장애물은 실내 내부의 천정에 대응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기준 위치(h1)는 신체의 가장 하부(일예로서 실내의 바닥면)에 대응하는 위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준 위치(h2)는 신체의 가장 상부(일예로서 신체 중 머리)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100)을 사람의 머리 위에 밀착시켜 배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준 위치를 설정하는 것은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즉, 연산장치(124) 내부에 구비되는 절대차 연산부(124_3)는 제1 거리(d11)와 제2 거리(d12)의 절대차를 연산하므로, 신체의 가장 하부를 제1 기준 위치(h1)로 설정하든지 또는 신체의 가장 상부를 제1 기준 위치(h1)로 설정하든지 관계없이 동작이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연산동작이 제1 거리(d11)에서 제2 거리(d12)를 단순 감산하는 동작인 경우에는 반드시 제1 기준 위치(h1)가 신체의 가장 하부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설정해야 하는 반면에,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제1 기준 위치(h1) 및 제2 기준 위치(h2)를 설정할 수 있다.
무선신호를 발생하는 장치를 어느 하나의 위치에 고정시킨 종래의 신장 측정 시스템의 경우에 따르면, 두피가 아닌 머리카락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이용하여 신장 측정을 하므로, 그 측정결과에 오차가 발생하였던 반면에, 본원의 경우에는 신장 측정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이동식 바(bar)를 이용하는 신장 측정 시스템의 경우에 따르면, 사람이 직접 시스템 내에 올라서는 경우 상기 이동식 바(bar)를 이동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장치가 필요하고, 또한 이에 의하여 상기 시스템이 대형화될 수 밖에 없었으나, 본원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추가적인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4a,b는 도 3의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을 이용한 다양한 신장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신장을 측정하기 위한 일 방법례로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이 바닥면에 수직하게 서 있는 경우 천정을 고정 반사점으로 이용하며, 바닥면이 제1 기준위치(h11)로 설정되고 사람의 머리의 윗부분이 제2 기준위치(h12)로 설정될 수 있다.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100)의 신장측정 모듈(120)은 제1 기준위치(h11)에 대응하는 곳에서의 제1 발신신호(T11)와 제1 수신신호(R11)를 이용하여 제1 거리를 측정하고, 또한 제2 기준위치(h12)에 대응하는 곳에서의 제2 발신신호(T12)와 제2 수신신호(R12)를 이용하여 제2 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제1 거 리와 제2 거리 사이의 절대차를 연산함으로써 신장측정을 수행한다.
도 4b는 사람이 바닥면에 수평하게 누워있는 경우에서 신장을 측정하는 일 방법례를 나타낸다. 즉, 종래의 경우 반드시 사람이 시스템 내에서 수직하게 서있는 상태에서만 신장 측정이 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100)는 누워있는 사람의 신장 또한 용이하게 측정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특히 병원의 환자 또는 영아의 신장을 용이하게 측정 가능하므로, 종래에는 불가능하였던 신장 측정까지 수행할 수 있다.
도 4b의 경우에 따르면, 바닥면에 수직하고, 또한 신체의 머리쪽 또는 다리쪽 중 어느 일 측면에 위치하는 벽면을 고정 반사점으로 이용한다. 이 경우, 수평하게 눕혀진 사람의 가장 오른쪽(일예로서 다리쪽)에 대응하는 위치가 제1 기준위치(h11)로 설정되며, 또한 수평하게 눕혀진 사람의 가장 왼쪽(일예로서 머리쪽)에 대응하는 위치가 제2 기준위치(h12)로 설정될 수 있다. 신장측정 모듈(120)은 상기 벽면을 고정 반사점으로 이용하여 무선신호를 발신하고, 상기 벽면을 통해 반사되어 돌아오는 반사신호를 수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에 구비되는 신장측정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 강화한 것으로서, 도 5의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무선신호 송수신부(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무선신호 송수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의 일 면에 하나의 무선신호 송수신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 템의 반대면에 다른 하나의 무선신호 송수신부가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에 구비되는 신장측정 모듈(220)은 두 개의 무선신호 송수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신장측정 모듈(220)은 제1 발신부(221)와 제1 수신부(222) 및 제1 타이머부(223)를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신장측정 모듈(220)은 제2 발신부(224)와 제2 수신부(225) 및 제2 타이머부(22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장측정 모듈(220)은 제1 타이머부(223) 및 제2 타이머부(226)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각종 연산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연산장치(22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산장치(227)는, 거리측정 및 구간거리 산출부(227_1)와, RAM(바람직하게는, 휘발성 RAM, 227_2)과 절대차 연산부(227_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발신부(221)와 제2 발신부(224)는 각각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무선신호를 발신한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무선신호 송수신부는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의 서로 반대의 일면에 각각 배치됨에 따라, 제1 발신부(221)와 제2 발신부(224)는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무선신호를 발신한다. 이에 따라,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이 소정의 장소(일예로서, 방 내부)중 그 어떤 위치에 배치되더라도, 제1 발신부(221)가 천정을 향해 무선신호를 발신하고 제2 발신부(224)가 바닥면을 향해 무선신호를 각각 발신함에 따라, 각각의 반사신호를 서로 조합하여 이용함으로써 방 내부의 높이를 간단하게 측정이 가능하다. 이는, 앞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을 직접 바닥면에 위치하여야 하는 것에 비하여 사용자의 편의 성이 더 강화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의 동작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을 이용한 신장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이 실내의 소정의 높이에 수평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신장 측정 동작의 수행명령이 제공되면, 제1 발신부(221)는 제1 발신신호(T21)을 발생하고 이를 천정 방향으로 발신하고, 또한 2 발신부(224)는 제2 발신신호(T22)을 발생하고 이를 바닥면 방향으로 발신한다. 제1 수신부(222)는 천정을 고정 반사점으로 하여 반사된 제1 반사신호(R21)를 수신하며, 제1 타이머부(223)는 제1 발신 신호(T21)의 발신 타이밍과 제1 반사신호(R21)의 수신 타이밍 사이의 시간을 검출하고 그 제1 검출결과를 연산장치(227)로 제공한다. 또한 제2 수신부(225)는 바닥면을 고정 반사점으로 하여 반사된 제2 반사신호(R22)를 수신하며, 제2 타이머부(226)는 제2 발신 신호(T22)의 발신 타이밍과 제2 반사신호(R22)의 수신 타이밍 사이의 시간을 검출하고 그 제2 검출결과를 연산장치(227)로 제공한다.
연산장치(227)는 상기 제1 및 제2 검출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신장 측정 동작이 수행되는 공간의 높이(H)를 산출한다. 이를 위하여 연산장치(227)의 거리측정 및 구간거리 산출부(227_1)는 제1 검출결과를 이용하여 천정과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또한 제2 검출결과를 이용하여 바닥면과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또한 상기 측정된 두 개의 거리의 결과 를 이용하여 상기 천정과 바닥면 사이의 구간거리(일예로서, 상기 높이(H))를 산출한다. 일예로서, 상기 높이(H) 값은 천정과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 사이의 거리의 제1 측정결과와, 바닥면과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 사이의 거리의 제2 측정결과를 합산하고 또한 합산결과를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 자체의 두께(d)와 더 합산하는 동작 등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높이(H)에 대응하는 제1 거리(d21)가 산출되면, 그 산출된 제1 거리(d21)를 RAM(227_2)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은 제1 거리(d21) 산출을 위한 제1 동작이 완료되면, 실제 신장을 측정하기 위한 제2 동작이 수행된다. 상술하였던 바와 같이, 제1 거리(d21) 산출을 위한 제1 동작이 완료된 경우, 제2 거리(d12)를 산출하기 위한 제2 동작의 수행 시작을 알리는 알림신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제2 동작동안,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에 구비되는 무선신호 송수신부들 중 어느 하나만의 무선신호 송수신부가 활성화된다. 또한, 상기 제2 동작동안,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은 앞선 실시예에서의 제2 기준위치와 동일한 위치(일예로서, 신체의 가장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무선신호의 발신 및 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동작동안 제1 발신부(221), 제1 수신부(222) 및 제1 타이머부(223)가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준위치에서 제1 발신부(221)는 제3 발신신호(T23)를 발생하여 이를 고정 반사점에 해당하는 천정을 향해 발신한다. 또한 제1 수신부(222)는 천정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제3 반사신호(R23)를 수신하고, 제1 타이머부(223)는 제3 발신 신호(T23)의 발신 타이밍과 제3 반사신호(R23)의 수 신 타이밍 사이의 시간을 검출하고 그 제3 검출결과를 연산장치(227)로 제공한다.
거리측정 및 구간거리 산출부(227_1)는 제3 검출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장애물과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 사이의 제2 거리(d22)를 측정한다. 상기 측정된 제2 거리(d22)는 연산장치(227) 내의 절대차 연산부(227_3)로 제공된다. 또한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의 제2 동작 수행시에는 RAM(227_2)에 저장된 제1 거리(d21)가 리드되고, 리드된 제1 거리(d21) 값을 절대차 연산부(124_3)로 제공된다. 절대차 연산부(124_3)는 수신된 제1 거리(d21) 및 제2 거리(d22)를 서로 연산하여 그 절대차 값을 산출하고, 이를 사람의 신장 측정 결과로서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제1 거리 및 제2 거리가 모두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연산자로서 동작하는 반면에, 본 실시예의 경우 다수의 제1 거리가 기 측정되어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 내에 기준 연산자로서 동작하고, 제2 거리만을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연산자로서 동작하도록 한다. 즉, 신장 측정을 휴대방식으로 하는 특성상 상기 시스템이 다양한 장소에서 이용될 수 있으며, 각각의 장소에서의 제1 거리(일예로서 천정과 바닥 사이의 구간 거리)가 기 측정되어 시스템 내에 구비되는 소정의 비휘발성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제1 거리들 중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어느 하나의 제1 거리가 리드되고, 상기 리드된 제1 거리가 실제 신장 측정을 위한 연산 동작에서 연산자로 사용될 수 있다.
도 7의 (a)은 서로 다른 제1 거리(구간 거리)를 갖는 다양한 예를 나타낸다. 일예로서, 제1 위치(POS1)에서는 상기 제1 거리가 H1에 해당하는 값을 갖고, 제2 위치(POS2)에서는 상기 제1 거리가 H2에 해당하는 값을 가지며, 또한 제3 위치(POS3)에서는 상기 제1 거리가 H3에 해당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이 주로 이용되는 다수의 장소 각각에 대하여 제1 거리들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1 거리들이 각각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다. 도 7의 (b)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나타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저장장소에 상기 제1 내지 제3 위치에 대응하는 제1 거리값들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 내에서 신장 측정 동작시 기 설정된 제1 거리를 이용하여 신장을 측정할 것인지, 또는 제1 및 제2 거리를 실시간으로 획득함에 의하여 신장을 측정할 것인지를 선택하기 위한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능들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기 설정된 모드에 따라 어느 하나의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신장 측정 모듈이 동작하면 제1 거리를 실제 측정하기 위한 동작이 수행되는 반면에, 일예로서, 기 설정된 제1 거리를 이용하는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거리를 측정하는 동작이 아니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제1 거리들 중 어느 하나의 제1 거리가 선택되는 동작이 수행된다. 이후 제2 거리를 측정하고 또한 실제 연산과정을 통해 신장을 산출하는 동작은 앞선 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일예를 나타낸다. 도 8의 (a)는 상기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310)이 해드셋에 구비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사람이 상기 헤드셋을 머리에 착용함으로써 신장 측정 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측정결과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헤드셋의 일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의 (b)는 특별한 다른 기능과 결합되지 않은 신장 측정 전용 시스템(320)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종래의 신장 측정 시스템에서와는 달리 바닥면, 기둥, 측정용 바(bar) 등이 반드시 시스템 내에 고정되어 구성될 필요가 없다. 도 8의 (c) 또한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330)이 모자의 윗 부분에 배치되는 일예가 도시된다. 상기와 같은 각각의 예의 경우, 앞서 설명한 대로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이 일 방향으로 무선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나의 발신부 및 수신부를 구비하거나, 또는 양 방향으로 무선신호를 발생하도록 두 개의 발신부 및 수신부를 구비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a,b는 일반적인 신장 측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a,b는 도 3의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을 이용한 다양한 신장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에 구비되는 신장측정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을 이용한 신장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일예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휴대용 신장 측정 시스템
110: 제어부
120: 신장측정 모듈
121: 발신부
122: 수신부
123: 타이머부
124: 연산장치
124_1: 거리 측정부
124_2: 휘발성 RAM
124_3: 절대차 연산부
130: 디스플레이부
140: 통신 모듈

Claims (8)

  1. 수직 또는 수평하게 배치되는 장애물을 고정 반사점으로써 이용하고, 상기 고정 반사점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가변 기준 위치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변 기준 위치는 신체의 일부에 대응하는 제1 기준위치와 상기 신체의 다른 일부에 대응하는 제2 기준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위치 및 상기 제2 기준위치에서 무선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무선 신호를 상기 고정 반사점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발신하는 신호 발생부;
    상기 제1 기준위치에서 발신되어 상기 고정 반사점에 의해 반사된 제1 반사신호 및 상기 제2 기준위치에서 발신되어 상기 고정 반사점에 의해 반사된 제2 반사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및
    상기 제1 기준위치에서 발신되어 상기 고정 반사점에서 반사된 상기 제1 반사 신호를 수신함에 의하여 상기 제1 기준위치와 상기 고정 반사점 사이의 제1 거리를 산출하고, 또한 상기 제2 기준위치에서 발신되어 상기 고정 반사점에서 반사된 상기 제2 반사 신호를 수신함에 의하여 상기 제2 기준위치와 상기 고정 반사점 사이의 제2 거리를 산출하며, 상기 제1 거리와 상기 제2 거리를 연산함에 의하여 신장측정 결과를 발생하는 연산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신장측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신장측정 시스템은 휴대용 이동전화 단말기 시스템 내에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신장측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는, 적외선, 초음파, 전파 및 레이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신장측정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리와 상기 제2 거리는 신장을 휴대방식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연산 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연산자로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신장측정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리는 복수 개의 장애물을 각각 고정 반사점으로 이용하여 기 측정된 복수 개의 제1 거리들을 포함하고, 상기 기 측정된 복수 개의 제1 거리들은 상기 시스템 내에서 기준 연산자로서 동작하고,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연산 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연산자로서 동작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 거리들은 상기 시스템 내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복수 개의 제1 거리 중 상기 시스템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신장을 휴대방식으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신장측정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반사점은 상기 신체의 상측에 위치하여 수평하게 배치되는 장애물이며,
    상기 제1 기준위치는 수직하게 세워진 상기 신체의 가장 하부에 대응하는 위치이며, 상기 제2 기준위치는 상기 수직하게 세워진 상기 신체의 가장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신장측정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반사점은 상기 수평하게 눕혀진 신체의 일 측면에 위치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는 장애물이며,
    상기 제1 기준위치는 상기 수평하게 눕혀진 상기 신체의 가장 왼쪽 또는 오른쪽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이며, 상기 제2 기준위치는 상기 수평하게 눕혀진 상기 신체의 다른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신장측정 시스템.
  8. 서로 대칭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장애물을 제1 및 제2 고정 반사점들로 이용하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 반사점들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기준위 치에서 제1 동작을 수행하고, 신체의 한 지점에 대응하는 제2 기준위치에서 제2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1 동작동안, 상기 제1 기준위치에서 제1 무선 신호 및 제2 무선 신호를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고정 반사점들로 동시에 발신하고, 상기 제2 동작동안 상기 제2 기준위치에서 제1 무선 신호를 상기 제1 고정 반사점으로 발신하는 신호 발생부;
    상기 제1 동작동안 상기 제1 및 제2 고정 반사점들에 의해 반사된 제1 반사신호 및 제2 반사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동작동안 상기 제1 고정 반사점에 의해 반사된 제1 반사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및
    상기 제1 동작동안, 상기 제1 기준위치와 상기 제1 고정 반사점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제1 기준위치와 상기 제2 고정 반사점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거리들을 서로 연산함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고정 반사점들 사이의 구간 거리에 대응하는 제1 거리를 산출하며, 상기 제2 동작동안 상기 제2 기준위치와 상기 제1 고정 반사점 사이의 제2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제1 거리와 상기 제2 거리를 연산함에 의하여 신장측정 결과를 발생하는 연산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신장측정 시스템.
KR1020090023653A 2009-03-19 2009-03-19 무선신호를 이용한 휴대용 신장측정 시스템 KR101025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653A KR101025028B1 (ko) 2009-03-19 2009-03-19 무선신호를 이용한 휴대용 신장측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653A KR101025028B1 (ko) 2009-03-19 2009-03-19 무선신호를 이용한 휴대용 신장측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925A KR20100104925A (ko) 2010-09-29
KR101025028B1 true KR101025028B1 (ko) 2011-03-25

Family

ID=43009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653A KR101025028B1 (ko) 2009-03-19 2009-03-19 무선신호를 이용한 휴대용 신장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50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696B1 (ko) * 2020-01-20 2023-08-22 주식회사 맥파이테크 스마트 신장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장 관리 방법
WO2021149946A1 (ko) * 2020-01-20 2021-07-29 주식회사 맥파이테크 스마트 신장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장 관리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0566A (ko) * 2005-12-26 2006-05-10 주식회사 리얼디바이스 체질량지수 신장체중계
KR20060086649A (ko) * 2005-01-27 2006-08-01 주식회사 리얼디바이스 개인 휴대용 단말기로의 전송기능을 가진 신장/체중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KR20080051656A (ko) * 2006-12-06 2008-06-11 주식회사 리얼디바이스 휴대용 신장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6649A (ko) * 2005-01-27 2006-08-01 주식회사 리얼디바이스 개인 휴대용 단말기로의 전송기능을 가진 신장/체중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KR20060040566A (ko) * 2005-12-26 2006-05-10 주식회사 리얼디바이스 체질량지수 신장체중계
KR20080051656A (ko) * 2006-12-06 2008-06-11 주식회사 리얼디바이스 휴대용 신장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925A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93163B (zh) 用于检测跌倒的方法和跌倒检测系统
US6872182B2 (en) Electronic sphygmomanometer
US20160338602A1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arterial signals
EP3754624A2 (en) Apparatus for detecting fall and rise
US7831408B2 (en) Device for detecting and displaying one or more of body weight, body fat percentage, blood pressure, pulse and environmental temperature
US6038465A (en) Telemedicine patient platform
WO2016031245A1 (en) Ultrasonic urine volume measuring instrument, and urine volume management data generating and displaying method using ultrasonic urine volume measuring instrument
JP2018524129A (ja) 人間活動の遠隔監視システム
JP5350721B2 (ja) 居住者監視システムおよび居住者監視方法
KR101989368B1 (ko) 스마트 운동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2605897B1 (ko) 혈압 측정 장치, 휴대용 압력 측정 장치, 및 혈압 측정 장치의 캘리브레이션 방법
JP5670071B2 (ja) 携帯端末
CN103815888A (zh) 生物信号测量装置以及生物信号测量方法
US10758178B2 (en) Measuring method of human body
US20160058409A1 (en) Ultrasonic blood pressure measurement apparatus and blood pressure measurement method
KR101025028B1 (ko) 무선신호를 이용한 휴대용 신장측정 시스템
KR20090128074A (ko) 휴대 무선 단말기, 고정 무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실내위치 확인 시스템 및 방법
CN106558009B (zh) 一种基于人体3d模型的健身运动推送方法及系统
EP2482730B1 (en) Systems and methods using on- or in-body communication technologies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body composition of a user
JP2012030033A (ja) 体組成測定装置
KR20200106688A (ko)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
KR20170140521A (ko) 스마트 체중계
KR20080051656A (ko) 휴대용 신장계
JPWO2020100942A1 (ja) 尿量測定器および尿量測定方法
KR101469584B1 (ko) 거리 측정 리모컨 및 거리 측정 리모컨을 이용한 성장 기록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