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6688A -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6688A
KR20200106688A KR1020190025240A KR20190025240A KR20200106688A KR 20200106688 A KR20200106688 A KR 20200106688A KR 1020190025240 A KR1020190025240 A KR 1020190025240A KR 20190025240 A KR20190025240 A KR 20190025240A KR 20200106688 A KR20200106688 A KR 20200106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measurement sensor
unit
sensing unit
device equip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근영
최기승
정순철
동인용
Original Assignee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5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6688A/ko
Publication of KR20200106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6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63B2024/0096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using performance related parameters for controlling electronic or video games or avat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63B2071/063Spoken or verbal i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5Optical or opto-electronic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04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부, 입력부, 센싱부, 스피커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운동기구가 이동되는 것을 감지하고, 감지된 측정값에 따라 음향을 내어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An exercise assisting device equipped with a measurement sensor}
본 발명은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부, 입력부, 센싱부, 스피커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운동기구가 이동되는 것을 감지하고, 감지된 측정값에 따라 음향을 내어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1인 가구 웰빙시대라고 해서 현대인들이 건강과 미(美)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휘트니스 센터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보통, 휘트니스 센터에서 진행하는 운동은 다른 형태의 운동과 마찬가지로 규직적으로 반복해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바쁜 일상 속에서 개인의 의지만으로는 규칙적 운동이 쉽지 않기 때문에 개인 트레이닝(PT, Personal Training)을 진행하는 전문 강사의 도움을 받는 경우가 많으며, 전문 강사가 제공하는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규칙적인 운동이 강제될 뿐 아니라 운동을 진행하는 과정에서도 전문 강사의 독려를 통해 정해진 운동량을 모두 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보다 많은 비용의 지출이 요구되고, 전문 강사가 제공하는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의 내용이 인터넷 등을 통해 충분히 얻을 수 있는 정보로 인식되어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 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숫자는 그렇게 많지 않다.
또한 휘트니스 센터에서 하는 운동들은 기구를 이용한 근력운동으로 전문가의 도움없이 혼자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부상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자신의 상태에 따라 적정량의 운동과 정확한 자세가 필요하지만, 일반인들이 정확한 자세를 유지하기에 어려움이 단점이 있다.
위의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술이 제안되었다.
상기 제안된 기술은 운동 보조 장치 및 방법(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00331호)으로 신체의 상이한 위치에 각각 분리되어 장착되는 초음파 발신기와 초음파 수신기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초음파 발신기의 초음파 발신 시각 정보 및 상기 초음파 수신기의 초음파 수신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초음파 발신기와 상기 초음파 수신기의 이격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이격 거리를 이용하여 운동 정보를 갱신하는 사용자 장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각각의 운동 동작에 대해 정확한 자세로 목표된 운동량을 소화할 수 있도록 하며, 운동 진행 과정에서 운동 속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음성 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가상의 전문강사가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를 진행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적외선센서 또는 자이로센서를 사용한 것과 달리 초음파 센서를 사용하는 것으로 본 발명과 차이점이 있으며, 적외선센서 또는 자이로센서를 사용함으로 나타나는 효과 또한 현저히 다른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00331호 : 운동 보조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운동기구에 센서가 구비되어 운동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운동정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바탕으로 음향을 출력시킬 수 있는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휴대단말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는
운동기구에 탈부착될 수 있는 본체부와, 상기 운동기구의 운동횟수를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구비된 입력부와, 상기 운동기구가 이동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구비된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에서 감지된 측정값에 따라 음향을 낼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구비된 스피커부와, 상기 본체부, 입력부, 센싱부 및 스피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운동기구의 일측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는 일측에 고정부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센싱부에서 감지된 측정값에 따라 사용자의 상태와 운동현황을 표시할 수 있도록 일측에 표시부가 구비된다.
상기 센싱부는 광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광 센서는 사용자에 의해 운동기구가 이동하여 상기 광 센서의 감지영역에 위치할 때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재와, 상기 센싱부에서 조사된 광이 반사된 후, 수신되는 수광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센싱부는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하며, 심박동수를 계산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목 동맥 또는 목 정맥이 위치되는 지점을 탐색하고, 상기 지점에서 심장이 뛸 때 나타나는 피부온도 데이터를 파악하며, 기 설정된 시간동안 피부 온도변화를 측정한다.
상기 센싱부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자이로 센서는 상기 본체부가 운동기구에 부착되고, 사용자의 운동으로 운동기구가 이동될 시, 상기 본체부의 위치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송신한다.
상기 제어부는 센싱부에서 감지된 측정값과 기 설정된 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된 값을 통해 도출된 제어신호를 스피커부에 송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운동기구에 센서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구체적인 운동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2) 운동정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바탕으로 음향을 출력시켜 사용자가 운동횟수나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한다.
(3) 운동기구가 휴대단말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운동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를 운동기구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형태를 나타낸 첫번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를 운동기구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형태를 나타낸 두번째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를 운동기구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형태를 나타낸 세번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를 운동기구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형태를 나타낸 네번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의 블럭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를 운동기구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형태를 나타낸 첫번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를 운동기구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형태를 나타낸 두번째 도면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를 운동기구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형태를 나타낸 세번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를 운동기구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형태를 나타낸 네번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의 흐름도이다. 하기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운동보조장치(10)은 운동기구에 탈부착 될 수 있는 본체부(100)와, 상기 운동기구의 운동횟수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200)와, 상기 운동기구가 이동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센싱부(300)와, 상기 센싱부(300)에서 감지된 측정값에 따라 음향을 낼 수 있는 스피커부(400)와, 상기 본체부(100), 입력부(200), 센싱부(300), 무선통신부(700) 및 스피커부(40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일반적으로 사각기둥 형상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한손으로 파지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각 구성들이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구비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본체부(100)는 외부와 연결되며, 본체부(100) 내부에 전원이 인가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전력이 공급되어 변이가 발생되는 압전소자와, 상기 압전소자의 변이에 의해 단음을 발생시키는 부저와, 상기 압전소자의 변이에 의한 제어신호를 측정하여 계수하거나 상기 부저에서 발생되는 단음을 계수하는 계수기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운동기구의 일측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0)는 일측에 고정부(80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800)는 운동기구의 구성하는 금속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자성을 띤 자석(810)을 포함하거나, 운동기구에 마련된 돌기나 웨이트를 지지하는 프레임에 걸 수 있도록 집게 또는 밴드(8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입력부(200)는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버튼이 구비되며, 본체부(100)의 일측면에 구비된다.
상기 입력부(20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본체부(100)의 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될 시, 버튼을 용이하게 누를 수 있도록 둘레의 가장자리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센싱부(300)는 사용자나 운동기구의 부재를 센싱할 수 있도록, 운동중에 이동되는 운동기구의 일측에 부착될 수 있고, 도 4를 참조하면, 반대로 운동기구가 이동되는 것을 센싱할 수 있도록 사용자나 운동기구의 부재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300)는 본체부(100)에 구비되며, 광 센서(310)를 포함한다.
상기 광 센서(310)는 사용자에 의해 운동기구가 이동하여 상기 광 센서(310)의 감지영역에 위치할 때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재와, 상기 센싱부(300)에서 조사된광이 반사된 후, 수신되는 수광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센싱부(300)는 무리한 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심박동수를 계산할 수 있는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한다.
상기 적외선 카메라는 심박동수를 계산할 수 있다. 동물이나 사람의 심장 안쪽에서 뿜어져 나오는 피의 온도는 일반 피부의 모세혈관의 온도와는 서로 다르다. 즉, 심장이 뛸 때마다 동맥혈을 지나는 피부의 온도는 상승된다. 그렇기 때문에 동맥 부분에 스팟 지점을 맞추어서 계속 촬영하고 있으면 심장이 뛸 때 피부의 온도가 미세하게 상승되는 것이 확인된다. 따라서 측정하고자 하는 스팟 지점의 온도가 1분 동안 변하는 숫자를 세어본다면 분당 심박수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1분 동안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일정 시간은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센싱부(300)는 사용자의 목 동맥 또는 목 정맥이 위치되는 지점을 탐색하고, 상기 지점에서 심장이 뛸 때 나타나는 피부온도 데이터를 파악하며, 기 설정된 시간동안 피부 온도변화를 측정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센싱부(300)는 사용자가 운동할 때 올바른 동작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각을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자이로 센서는 상기 본체부(100)가 운동기구에 부착되고, 사용자의 운동으로 운동기구가 이동될 시, 상기 본체부의 위치정보를 상기 제어부(600)로 송신한다.
상기 스피커부(400)는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며, 본체부(100)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스피커부(400)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가 더 나은 음향을 들을 수 있도록 별도의 스피커를 본체부(100)와 연결설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500)는 운동기구의 입력된 운동횟수와 사용자의 상태 또는 운동현황을 알 수 있도록 본체부(100)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600)는 센싱부에서 감지된 측정값과 기 설정된 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된 값을 통해 도출된 제어신호를 스피커부에 송신한다. 상기 감지된 측정값과 기설정된 값의 비교는 예를 들어, 감지된 측정값이 기 설정된 값을 보다 큰 경우에 광 센서, 적외선 카메라 및 자이로 센서에서 측정된 값이 필요이상으로 운동할 경우를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무선통신부(700)는 이동통신 휴대폰과 태블릿과 같은 휴대단말기(710)와 무선통신에 의해 휴대단말기(710)을 통해 사용자의 상태 또는 운동현황을 알 수 있도록 본체부(100)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무선통신부(700)는 고속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WiBro, HSDPA, WiFi, WiMAX, ZIGBEE, Bluetooth, UWB, IrDA 및 SWAP중 하나를 선택하여 휴대단말기(710)와 무선통신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운동보조장치(10)는 사용자가 운동기구의 운동횟수를 입력하면, 센싱부(300)의 광 센서는 사용자에 의해 운동기구가 이동하여 광 센서의 감지영역에 위치할 때, 발광부재에 의해 이동되는 운동기구를 측정하거나 사용자 또는 운동기구의 부재에 광을 조사한다. 상기 조사된 광이 반사된 후, 수광부재에 의해 광이 수신될 때, 상기 광 센서는 최종적으로 감지대상을 감지했다고 판단하며, 이후 계속적인 광 센서의 발광과 수신이 이루어진다. 감지되지 않을 시, 감지를 재시도 한다.
상기 사용자가 운동을 진행하면, 광 센서는 상기 수광부재에 의해 수신이 감지될 시, 본체부(100)는 배터리에 의해 내부에 전원이 인가되어 전력이 공급되고 압전소자에 변이가 발생되어 부저에서 "삐" "삑"과 같은 단음이 발생되며, 계수기에 의해 제어신호 또는 단음을 계수하며. 사용자는 발생되는 단음을 통해 운동상황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에 의해 운동중에 센싱부(300)의 측정된 값이 제어부(600)에 기 설정된 값의 이상일 시 제어신호를 스피커부(400)에 송신하여 음향을 발생시키게 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센싱부(300)는 적외선 카메라가 사용될 시 사용자의 피부 온도변화를 측정하며, 자이로 센서가 사용될 시 운동할 때 사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의 각을 측정하며 값을 측정한다. 상기 측정된 값은 위의 언급한 바와 마찬가지로 측정된 값이 상기 제어부(600)의 기 설정된 값의 이상일 때 제어신호를 스피커부(400)에 송신하여 음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사용자가 입력했던 운동횟수가 마무리가 되면 제어부(600)는 운동보조장치(10)의 사용을 종료시키며, 마무리가 되지 않았을 시, 제어부(600)가 작동을 계속하여 운동을 진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무선통신부(700)는 휴대단말기(710)와 고속무선통신에 의해 사용자의 상태 또는 운동현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운동보조장치(10)를 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운동보조장치(10)는 운동기구에 센싱부(300)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구체적인 운동정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정보를 바탕으로 음향을 발생시켜 사용자가 운동횟수나 정보를 알 수 있다. 또한 운동보조장치(10)가 휴대단말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휴대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운동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
100 : 본체부 200 : 입력부
300 : 센싱부 310 : 광 센서
400 : 스피커부 500 : 표시부
600 : 제어부 700 : 무선통신부
710 : 휴대단말기

Claims (7)

  1. 운동기구에 탈부착될 수 있는 본체부와;
    상기 운동기구의 운동횟수를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구비된 입력부와;
    상기 운동기구가 이동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구비된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에서 감지된 측정값에 따라 음향을 낼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구비된 스피커부와;
    상기 본체부, 입력부, 센싱부 및 스피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기구의 일측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는 일측에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센싱부에서 감지된 측정값에 따라 사용자의 상태와 운동현황을 표시할 수 있도록 일측에 표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광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광 센서는 사용자에 의해 운동기구가 이동하여 상기 광 센서의 감지영역에 위치할 때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재와; 상기 센싱부에서 조사된 광이 반사된 후, 수신되는 수광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하며,
    심박동수를 계산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목 동맥 또는 목 정맥이 위치되는 지점을 탐색하고,
    상기 지점에서 심장이 뛸 때 나타나는 피부온도 데이터를 파악하며, 기 설정된 시간동안 피부 온도변화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자이로 센서는 상기 본체부가 운동기구에 부착되고, 사용자의 운동으로 운동기구가 이동될 시, 상기 본체부의 위치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센싱부에서 감지된 측정값과 기 설정된 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된 값을 통해 도출된 제어신호를 스피커부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


KR1020190025240A 2019-03-05 2019-03-05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 KR202001066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240A KR20200106688A (ko) 2019-03-05 2019-03-05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240A KR20200106688A (ko) 2019-03-05 2019-03-05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688A true KR20200106688A (ko) 2020-09-15

Family

ID=72469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240A KR20200106688A (ko) 2019-03-05 2019-03-05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668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1110A (ko) * 2020-10-17 2022-04-26 최성일 운동량 음성 카운트 디바이스
KR20230075614A (ko) * 2021-11-23 2023-05-31 (유)블루에스피 스마트 헬스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331B1 (ko) 2012-07-25 2014-05-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운동 보조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331B1 (ko) 2012-07-25 2014-05-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운동 보조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1110A (ko) * 2020-10-17 2022-04-26 최성일 운동량 음성 카운트 디바이스
KR20230075614A (ko) * 2021-11-23 2023-05-31 (유)블루에스피 스마트 헬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5046B1 (ko) 헤드셋 모듈
KR102312272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운동 관리 방법 및 운동 관리 시스템
EP1512370B1 (en) Train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ing biofeedback
EP3107442B1 (en) A phone for use in health monitoring
US5316008A (en) Measurement of electrocardiographic wave and sphygmus
EP3578101B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exercise information us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412987B2 (en) Personal health data collection
TWI449521B (zh) 復健指引方法與復健指引系統
US9113841B2 (en) Biological information notifying apparatus, biological information notify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biological information notifying program stored thereon
US20180264317A1 (en)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System and Detection Device
US10129628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an exertion recommendation based on performance capacity
KR20200106688A (ko) 측정센서가 구비된 운동보조장치
US20170216673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exertion as a measure of accumulated exercise intensity
US20200001040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editation
JP5705458B2 (ja) 生体情報検出装置並びに被検者監視システム
KR101050280B1 (ko) 생체신호 분석 시스템 및 방법
JPH07213499A (ja) 脈拍測定装置
JP2012037245A (ja) 生体情報検出装置並びに被検者検出方法
KR20200022134A (ko) 심혈관 분석기
KR101400331B1 (ko) 운동 보조 장치 및 방법
JP2010158289A (ja) 安静誘導付き血圧測定装置
JP2003164430A (ja) バイオフィードバック装置、及びバイオフィードバック方法
KR102129488B1 (ko) 자세 교정이 가능한 헬스 케어 기기
US20220304890A1 (en) Real tim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feedback with instructions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102293154B1 (ko) 생체신호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