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4120B1 - 휴대 무선기 - Google Patents

휴대 무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120B1
KR101024120B1 KR1020097005553A KR20097005553A KR101024120B1 KR 101024120 B1 KR101024120 B1 KR 101024120B1 KR 1020097005553 A KR1020097005553 A KR 1020097005553A KR 20097005553 A KR20097005553 A KR 20097005553A KR 101024120 B1 KR101024120 B1 KR 101024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housing
reference potential
antenna
inductiv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5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3826A (ko
Inventor
다카노리 하시즈메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53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8Arrangements of two or more hingeably connected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i.e. connected by flexible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37High frequency adaptations
    • H05K1/0239Signal transmission by AC coupl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809Coaxial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356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ransceiver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제 1 안테나 및 제 2 안테나가 접속된 제 1 회로 기판을 내장하는 제 1 하우징과 제 2 회로 기판을 내장하는 제 2 하우징이 각각의 기단부에서 힌지부을 통해 연결되는 휴대 무선기는, 상기 제 1 회로 기판의 기준 전위부와 상기 제 2 회로 기판의 기준 전위부를 도통시키는 전기 배선부와, 상기 제 1 하우징의 기단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안테나의 근방에서 상기 제 1 회로 기판의 기준 전위부와 상기 제 2 회로 기판의 기준 전위부를 고주파로 유도 결합시키는 유도 결합부를 구비하되, 상기 유도 결합부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기단부에서 상기 제 2 하우징쪽으로 향해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회로 기판의 기준 전위부에 접속하는 제 1 도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 무선기{PORTABLE WIRELESS DEVICE}
본원은 2006년 9월 2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6-256311호 및 2007년 6월 2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7-169819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본 발명은 2개의 안테나를 내장하는 폴더형 휴대 무선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무선기에서는, 하우징이나 회로 기판을 흐르는 안테나 전류를 파장에 맞추어 안정시킴으로써, 광대역, 고이득의 특성 확보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폴더식의 휴대 무선기에 있어서는, 2개의 하우징 내의 회로 기판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동축 케이블 등에 안테나 전류가 흐른다.
이 동축 케이블 등은, 2개의 하우징을 연결하는 힌지부를 경유하기 때문에, 큰 접지 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 이 때문에, 동축 케이블 등이 고주파에서 코일로서 작용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동축 케이블 등에 안테나 전류와 그 회귀 전류가 흐름으로써, 반대 위상에 의한 안테나 전류의 소거가 생기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서, 특허 문헌 1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하우징의 각각의 기단부(힌지부 근방)에, 각 회로 기판의 기준 전위부(그라운드)에 접속된 도전부를 배치하고, 고주파에서 용량 결합시켜 안테나 전류를 흘리는 것에 의해, 안테나 전류의 소거 등을 회피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6-54843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휴대 무선기에 있어서는, 디자인상의 요청 등으로 인해 안테나를 하우징 내에 내장한 것이 주류로 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안테나를 갖고, 이 안테나로 수신한 동일 수신 신호에 대하여, 전파 상황이 우수한 안테나의 신호를 우선적으로 이용하거나, 2개의 안테나(메인안테나, 서브안테나)의 수신 신호의 합성 가중치를 변화시키거나 하는 다이버시티 기술을 적용한 것이 보급되어 있다.
2개의 안테나는, 안테나간 간섭에 의한 특성의 열화를 회피하기 위해서, 그 거리를 충분히 뗄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폴더식의 휴대 무선기에 있어서는, 한쪽의 하우징의 선단측(마이크 근방)에 메인안테나를, 기단측(힌지부 근방)에 서브안테나를 배치하는 구성, 또는 한쪽의 하우징에 선단측에 서브안테나를, 기단측에 메인안테나를 배치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하우징의 각각의 기단측에 각 회로 기판의 기준 전위부에 접속된 도전부를 배치하면, 서브안테나와 기준 전위부가 근접하여, 예컨대, 도전부에 의해 서브안테나가 둘러싸이는 경우도 있어, 서브안테나의 이득이 열화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2개의 안테나를 내장하는 폴더형 휴대 무선기에 있어서, 2개의 안테나의 고이득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무선기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수단을 채용하였다.
제 1 발명은, 제 1 안테나 및 제 2 안테나가 접속된 제 1 회로 기판을 내장하는 제 1 하우징과, 제 2 회로 기판을 내장하는 제 2 하우징이 각각의 기단부에서 힌지부을 통해 연결되는 휴대 무선기로서, 상기 제 1 회로 기판의 기준 전위부와 상기 제 2 회로 기판의 기준 전위부를 도통시키는 전기 배선부와, 상기 제 1 하우징의 기단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안테나의 근방에서 상기 제 1 회로 기판의 기준 전위부와 상기 제 2 회로 기판의 기준 전위부를 고주파로 유도 결합시키는 유도 결합부를 구비하되, 상기 유도 결합부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기단부에서 상기 제 2 하우징쪽을 향해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회로 기판의 기준 전위부에 접속하는 제 1 도전부를 포함한다.
또, 상기 전기 배선부와 상기 유도 결합부는 이간 배치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유도 결합부는, 상기 제 2 하우징의 기단부에서 상기 제 1 하우징쪽을 향해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 1 도전부에 근접하도록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회로 기판의 기준 전위부에 접속하는 제 2 도전부를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제 2 도전부는 판 형상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유도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힌지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형성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제 1 회로 기판의 기준 전위부와 상기 유도 결합부의 접속부는 인덕턴스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속부는 스프링 부재로 구성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기 제 1 회로 기판의 기준 전위부와 상기 제 1 도전부를 점 접촉시키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제 1 회로 기판을 평면에서 본 경우에, 상기 유도 결합부는 상기 제 2 안테나와 중첩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접속부가 상기 지지 부재와 일체(一體) 성형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접속부가 상기 지지 부재와 접합되더라도 좋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 배선부와, 고주파로 유도 결합시키는 유도 결합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2개의 하우징 내의 회로 기판끼리의 사이를 흐르는 안테나 전류가 소거되는 것이 거의 없어진다. 따라서, 제 1 안테나의 특성의 열화를 회피하여, 특성을 안정화시켜 고이득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과 같이 용량 결합을 이용하는 것은 아니고, 제 1 회로 기판의 기준 전위부와 상기 제 2 회로 기판의 기준 전위부를 고주파로 유도 결합시키기 때문에, 공간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도 결합부가, 제 1 하우징의 기단부에서 제 2 하우징쪽을 향해 연장됨과 아울러 제 1 회로 기판의 기준 전위부에 접속하는 제 1 도전부를 가지므로, 이 제 1 유전부가 제 2 안테나의 근방에 설치되어, 안테나의 이득을 향상시키는 안테나 유도기로서 기능하여, 유도 결합부의 근방에 배치되는 제 2 안테나의 이득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안테나와 제 2 안테나의 양쪽의 고이득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배선부와 유도 결합부는, 이격 배치되므로, 제 1 안테나의 안테나 전류가 전기 배선부와 유도 결합부 사이에서 소거되는 것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회로 기판의 기준 전위부와 유도 결합부의 접속부가, 인덕턴스성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유도 결합부는 제 1 회로 기판의 기준 전위부보다도 높은 인덕턴스로 되어, 제 2 안테나의 이득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 1 회로 기판의 기준 전위부와 유도 결합부의 접속부는, 인덕턴스성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고주파에 있어서, 유도 결합부는 제 1 회로 기판의 기준 전위부보다도 약한 그라운드성을 갖게 되어, 제 2 안테나의 이득을 향상시키는 유도기로서 기능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회로 기판을 평면에서 본 경우에, 유도 결합부가 제 2 안테나와 중첩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 2 안테나의 이득의 열화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속부가, 상기 지지 부재와 일체 성형되거나, 상기 지지 부재와 접합되기 때문에, 도전성의 도장 또는 증착 등의 코팅의 박리에 의한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기(1)의 내면측 사시도,
도 2는 휴대 전화기(1)의 외면측 사시도,
도 3은 휴대 전화기(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외면측 사시도,
도 4는 더미 힌지(10a) 근방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도 3의 일부 확대도),
도 5는 힌지 지지 부재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는 힌지 지지 부재와 메인회로 기판의 배치 등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b는 힌지 지지 부재와 메인회로 기판의 배치 등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c는 힌지 지지 부재와 메인회로 기판의 배치 등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a는 힌지 지지 부재와 메인회로 기판의 배치 등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하면도,
도 7b는 도 7a의 판금의 전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휴대 전화기(휴대 무선기)
2 : 제 1 하우징
2a : 선단부
2b : 기단부
6 : 제 2 하우징
6a : 선단부
6b : 기단부
10 : 힌지부
20 : 메인회로 기판(제 1 회로 기판)
21 : 메인안테나(제 1 안테나)
22 : 서브안테나(제 2 안테나)
24, 24' : 힌지 지지 부재(지지 부재)
24d : 도전성 부위(유도 결합부, 제 1 도전부)
26 : 탭(접속부, 스프링 부재)
26' : 판 스프링부(접속부)
27 : 정합 회로
30 : 서브회로 기판(제 2 회로 기판)
32 : 판금(유도 결합부, 제 2 도전부)
40 : 동축 케이블(전기 배선부)
G1, G2 : 기준 전위 패턴(기준 전위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무선기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기(1)(휴대 무선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1은 내면측 사시도, 도 2는 외면측 사시도이다.
휴대 전화기(1)는, 키 조작부(14) 및 마이크(15) 등을 갖는 제 1 하우징(2)과, 메인디스플레이(11) 및 스피커(13) 등을 갖는 제 2 하우징(6)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하우징(2)은, 내면측 하우징(3)과 외면측 하우징(4)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메인회로 기판(20) 등을 수용한다. 마찬가지로, 제 2 하우징(6)은, 내면측 하우징(7)과 외면측 하우징(8)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서브회로 기판(30) 등을 수용한다.
그리고, 제 1 하우징(2)과 제 2 하우징(6)은 각각의 기단부(2b, 6b)를 힌지부(10)에 의해 연결되고, 힌지부(10)를 통해 회동하는 것에 의해 서로의 선단 부(2a, 6a)가 근접/이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휴대 전화기(1)는 제 1 하우징(2)과 제 2 하우징(6)이 중첩하도록 폴딩 가능해져 있다.
도 3은 휴대 전화기(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외면측 사시도로서, 제 1 하우징(2)의 외면측 하우징(4)과 제 2 하우징(6)의 외면측 하우징(8)을 분리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 확대도로서, 더미 힌지(10a) 근방의 구조를 나타낸다.
제 1 하우징(2) 내에는, 무선 통신부, 제어부 등을 갖는 메인회로 기판(20)이 수용된다. 제 1 하우징(2)의 선단부(2a)에는, 메인안테나(21)가 배치되어 메인회로 기판(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2)의 기단부(2b)에는, 메인회로 기판(20) 상에 실장된 서브안테나(22)가 배치된다. 메인안테나(21)와 서브안테나(22)를 이격시키는 것은 안테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서브안테나(22)는, 메인회로 기판(20)의 코너부 근방에 배치된다. 서브안테나(22)를 메인회로 기판(20)에 형성되는 기준 전위 패턴 G1(도 6a~도 6c 참조)로부터 이격시키기 쉽기 때문이다. 이것에 의해, 서브안테나(22)의 간섭에 의한 이득의 열화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다른 전자 부품을 효율적으로 실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 하우징(6) 내에는 서브회로 기판(30)이 수용된다. 서브회로 기판(30)의 거의 중앙부에는, 서브디스플레이(12)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하우징(2) 내의 메인회로 기판(20)과 제 2 하우징(6) 내의 서브회로 기판(30)은 동축 케이블(4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동축 케이 블(40)은 후술하는 힌지부(10)의 더미 힌지(10b)(도 1 참조)에 삽입되어, 그 양단이 메인회로 기판(20) 및 서브회로 기판(30)의 각 신호선 패턴 및 기준 전위 패턴 G1, G2(도 4, 도 6a~도 6c 참조)에 접속된다.
힌지부(10)는, 솔리드 구조(a solid structure)의 힌지(10a)와 원통형 구조의 더미 힌지(10b)로 이루어지고, 제 1 하우징(2) 및 제 2 하우징(6)의 각각의 기단부(2b, 6b)에 배치된다(도 1 참조). 또한, 힌지(10a)와 더미 힌지(10b)는 제 1 하우징(2) 및 제 2 하우징(6)의 짧은 변 방향의 양쪽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더미 힌지(10b)에 의해서, 제 1 하우징(2) 및 제 2 하우징(6)의 내부 공간끼리가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더미 힌지(10b)에 동축 케이블(40)이 삽입되어, 메인회로 기판(20) 및 서브회로 기판(30)의 기준 전위 패턴 G1, G2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되어 있다.
제 2 하우징(6) 내의 기단부(6b)에는, 서브회로 기판(30)으로부터 제 1 하우징(2)쪽(제 2 하우징(6)의 길이 방향)으로 향해 돌출하도록 마련된 판금(32)이 배치된다. 이 판금(32)은 서브회로 기판(30)의 기준 전위 패턴 G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제 1 하우징(2) 내의 기단부(2b)에는, 메인회로 기판(20)으로부터 제 2 하우징(6)쪽(제 1 하우징(2)의 길이 방향)으로 향해 돌출하도록 마련된 힌지 지지 부재(24)가 배치된다. 이 힌지 지지 부재(24)에는, 메인회로 기판(20)의 기준 전위 패턴 G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도전성 부위(24d)가 형성되어 있다(도 5, 도 6a~도 6c 참조). 또한, 이 힌지 지지 부재(24)는 동축 케이블(40)과 제 1 하우 징(2)의 짧은 변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있다.
동축 케이블(40)과 힌지 지지 부재(24)는, 이격 배치되므로, 동축 케이블(40)의 메인안테나(21)의 안테나 전류와, 힌지 지지 부재(24)의 메인안테나(21)의 안테나 전류가 소거되는 것을 경감할 수 있다.
도 5는 힌지 지지 부재(24)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도 6c는 힌지 지지 부재(24)와 메인회로 기판(20)의 배치 등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6a는 평면도, 도 6b는 측면도, 도 6c는 하면도이다.
힌지 지지 부재(24)는, 힌지(10a)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부재로서, 힌지(10a)의 일단면에 밀착하여 지지하는 대략 원통형의 힌지 지지 부위(24a)와, 제 1 하우징(2)(내면측 하우징(3))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 구멍(24e)이 형성된 고정 부위(24b)와, 메인회로 기판(20)과 중첩 배치되는 돌출 부위(24c)로 형성된 플라스틱제 부재이다. 또한, 힌지 지지 부재(24)는 힌지 지지 부위(24a), 고정 부위(24b), 돌출 부위(24c)의 상면(上面)(휴대 전화기(1)의 외면측)의 대략 전면(全面)을 덮도록 도전성 재료를 증착시켜 형성한 도전성 부위(24d)를 갖고 있다.
힌지 지지 부재(24)의 돌출 부위(24c)는, 메인회로 기판(20)을 평면에서 본 경우에, 메인회로 기판(20)의 하면측(휴대 전화기(1)의 내면측)에 중첩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메인회로 기판(20)의 하면에 실장되는 판 스프링 형상의 탭(26)과 돌출 부위(24c) 상의 도전성 부위(24d)가 점 접촉하게 되어 있다. 탭(26)은 메인회로 기판(20)의 기준 전위 패턴 G1에 접속하고 있어, 이것에 의해, 힌지 지지 부재(24)의 도전성 부위(24d)는 메인회로 기판(20)의 기준 전위 패턴 G1과 동일 전위 로 되어 있다.
또, 탭(26)은, 스프링 부재에 의해 구성되지만,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후술하는 바과 같이 인덕턴스성을 가지면 된다. 즉, 탭(26) 대신에, 예컨대 쿠션성의 도전 부재 등의 인덕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탭(26)이 스프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도전성 부위(24d)와 점 접촉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메인회로 기판(20)과 힌지 지지 부재(24)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이동한 경우이더라도, 메인회로 기판(20)과 힌지 지지 부재(24)의 접속 불량을 경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2) 내의 힌지 지지 부재(24)에 형성된 도전성 부위(24d)와, 제 2 하우징(6) 내에 배치된 판금(32)은, 그 연장 방향이 대략 일치하고, 또한,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6a~도 6c 참조).
그리고, 판금(32)이 인덕턴스성을 갖고, 또한, 힌지 지지 부재(24)가 탭(26)에 의해 인덕턴스성을 갖기 때문에, 힌지 지지 부재(24)의 도전성 부위(24d)와 판금(32)이 고주파 결합되기 쉽다. 즉, 도전성 부위(24d)와 판금(32)이 고주파로 유도 결합함으로써, 도전성 부위(24d)와 판금(32) 사이(공기 중)를 안테나 전류가 흐르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안테나 전류가, 메인회로 기판(20)으로부터 동축 케이블(40)을 통해 제 2 하우징(6)으로 향해서 흘렀다고 해도, 그 회귀 전류(안테나 전류)는 판금(32)과 힌지 지지 부재(24)를 통해 제 2 하우징(6)으로부터 메인회로 기판(20)으로 향해 흐르게 된다. 따라서, 안테나 전류와 회귀 전류가 동축 케이블(40)을 흐 름으로써, 안테나 전류가 소거되어 버리는 경우는 거의 없어진다. 이것에 의해, 메인안테나(21)의 방사가 안정화되어 정상인 방사로 됨으로써, 고이득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메인회로 기판(20)의 기준 전위 패턴 G1과 도전성 부위(24d)의 접속 부분은, 탭(26)을 이용함으로써, 약한 인덕턴스성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메인회로 기판(20)의 기준 전위 패턴 G1과 도전성 부위(24d)의 접속 부분이 인덕턴스성을 갖음으로써, 힌지 지지 부재(24)와 서브회로 기판(30)으로부터 신장되어 있는 미세한 판금(32)과의 결합을 행하게 하는 것에 의해, 메인안테나(21)의 이득을 개선할 수 있다.
즉, 메인회로 기판(20)의 기준 전위 패턴 G1과 도전성 부위(24d)의 접속 부분은, 탭(26)을 이용함으로써, 약한 인덕턴스성을 갖게 되어, 도전성 부위(24d)는 메인회로 기판(20)의 기준 전위 패턴 G1보다도 높은 인덕턴스로 되어, 서브안테나(22)의 이득을 저감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메인회로 기판(20)의 기준 전위 패턴 G1과 도전성 부위(24d)의 접속 부분은, 탭(26)을 이용함으로써, 약한 인덕턴스성을 갖게 되어, 도전성 부위(24d)는 메인회로 기판(20)의 기준 전위 패턴 G1보다도 매우 높은 인덕턴스(하이 인덕턴스)로는 되지 않아, 메인안테나(21)의 이득을 악화시키는 것을 경감한다.
특히, 제 1 하우징(2) 내에 배치된 도전성 부위(24d)와, 제 2 하우징(6) 내에 배치된 판금(32)을 고주파로 유도 결합시키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용량 결합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도전성 부위(24d)나 판금(32)의 면적(접지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1)의 소형화·박형화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메인안테나(21)의 특성의 안정화·고이득을 실현함과 아울러, 서브안테나(22)의 고이득의 실현에도 기여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힌지 지지 부재(24)에 도전성 부위(24d)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이 도전성 부위(24d)를 갖는 힌지 지지 부재(24)가 유도기(서브안테나의 이득을 개선시키는 부재)로서 기능하는 것에 의해, 서브안테나(22)의 이득의 개선이 도모되고 있다.
또한, 탭(26)은 서브안테나(22)가 실장되는 면(외면측)과는 반대의 면(내면측)에 실장된다. 또한, 탭(26)에 접속하는 메인회로 기판(20)의 기준 전위 패턴 G1의 일부도 필요 최소한의 선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필요 최소한의 선 폭이란, 탭(26)을 실장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의 선 폭을 말한다. 이 때문에, 탭(26) 및 이것에 접속하는 기준 전위 패턴 G1의 일부는 그라운드로서는 약해져, 그것에 의해 서브안테나(22)에 주는 악영향은 경감되어 있다.
또한, 서브안테나(22)에는, 대역과 이득을 콘트롤하기 위한 코일과 콘덴서의 조합에 의한 정합 회로(27)가 접속되어 있지만, 서브안테나(22)의 경우와 같이, 탭(26) 및 이것에 접속하는 기준 전위 패턴 G1의 일부가 정합 회로(27)에 대하여 주는 악영향은 거의 없다.
즉, 탭(26)은, 그라운드 접지되어 있기 때문에, 외면측에 실장되어 있는 정합 회로(27)에 대하여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탭(26) 자체라기보다는, 탭(26)을 실장하는 기준 전위 패턴 G1의 일부가 정합 회로(27)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의 영향이란, 서브안테나(22)의 이득에 대한 영향이다. 그러나, 기준 전위 패턴 G1의 일부는 영향 최소한의 면적으로 되어 있고 약한 그라운드로 되어 있음으로써, 정합 회로(27)는, 기준 전위 패턴 G1의 영향도 포함하여 정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영향은 적어져 있다. 또한, 이 탭(26)을 실장하는 기준 전위 패턴 G1의 일부는, 급전부의 일부이고, 또한, 소면적이므로, 실제 방사로의 영향은 경감되어 있다.
그리고, 도 6a~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탭(26)이 인덕턴스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탭(26) 및 이것에 접속하는 기준 전위 패턴 G1의 이면(裏面)(메인회로 기판(20)의 상면)에 정합 회로(27)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져, 메인회로 기판(20)의 실장면에 유효하게 전자 부품을 실장할 수 있다.
또한, 도 6a~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회로 기판(20)을 평면에서 본 경우(도 6a에서 지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본 경우)에, 힌지 지지 부재(24)에 도전성 부위(24d)가 서브안테나(22)와 중첩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서브안테나(22)의 이득의 상기 평면에서 본 방향(도 6a에서 지면에 수직인 방향)의 열화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금과 수지의 일체 성형 또는 접합에 의해 힌지 지지 부재(24')를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메인회로 기판(20)쪽에 스프링 부품을 실장하지 않고, 판금에 판 스프링부(26')를 마련하여, 메인회로 기판(20)쪽의 미세한 패턴과 접촉시켜, 메인회로 기판(20)과의 전기적 도통을 취한다.
도 7b는 수지와 일체 성형 또는 접합되는 판금의 전개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힌지 지지 부재(24')는 판 스프링부(26')의 접촉에 의해 메인회로 기판(20)의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그 때, 메인회로 기판의 그라운드와 힌지 지지 부재(24')의 도통을 취하기 위해서, 미세한 패턴을 이용하고 있는 것과, 판 스프링부(26')에 의해 인덕턴스성을 가지기 때문에, 약한 그라운드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메인회로 기판의 그라운드에 의한 서브안테나(22)의 이득의 악화가 방지된다. 또한, 판 스프링부(26')를 서브안테나의 정합 부품의 기판의 바로 뒤에 접촉시킴으로써, 콤팩트한 실장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판에 실장한 스프링 부품과 힌지 지지 부재가 접촉하여, 힌지 지지 부재에 마련한 도전성의 도장 또는 증착 등의 도전성 코팅이 깎이는 것에 의한 접촉 불량의 발생이 없어짐과 아울러, 낙하 등의 충격에 의해, 기판에 실장한 스프링 부품이 벗겨지는 일도 없어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판에 스프링 부품을 실장할 필요가 없어져,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어,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각 구성 부재의 여러 형상이나 조합 등은 일례로서, 본 발명의 주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설계 요구 등에 근거하여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컨대, 힌지 지지 부재(24)(힌지지지 부위(24a), 고정 부위(24b), 돌출 부위(24c))의 한쪽 면의 대략 전면에 도전성 부위(24d)가 형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전성 부위(24d)가, 힌지 지지 부재(24) 상 에서, 제 1 하우징(2)쪽으로부터 제 2 하우징(6)쪽으로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고주파로 유도 결합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전화기(1)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2개의 하우징이 폴딩 가능하고, 2개의 안테나를 내장하는 전자 기기이면 적용 가능하다. 예컨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노트북형 퍼스널 컴퓨터, 휴대형 게임기 등에 대하여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제 1 안테나 및 제 2 안테나가 접속된 제 1 회로 기판을 내장하는 제 1 하우징과, 제 2 회로 기판을 내장하는 제 2 하우징이 각각의 기단부(base end)에서 힌지부을 통해 연결되는 휴대 무선기로서,
    상기 제 1 회로 기판의 기준 전위부와 상기 제 2 회로 기판의 기준 전위부를 도통시키는 전기 배선부와,
    상기 제 1 하우징의 기단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안테나의 근방에서 상기 제 1 회로 기판의 기준 전위부와 상기 제 2 회로 기판의 기준 전위부를 고주파로 유도 결합시키는 유도 결합부
    를 구비하되,
    상기 유도 결합부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기단부에서 상기 제 2 하우징쪽을 향해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회로 기판의 기준 전위부에 접속되는 제 1 도전부를 포함하는
    휴대 무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배선부와 상기 유도 결합부는 이격 배치되는 휴대 무선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결합부는, 상기 제 2 하우징의 기단부에서 상기 제 1 하우징쪽을 향해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 1 도전부에 근접하도록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회로 기판의 기준 전위부에 접속하는 제 2 도전부를 포함하는 휴대 무선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부는 판 형상인 휴대 무선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힌지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형성되는 휴대 무선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로 기판의 기준 전위부와 상기 유도 결합부의 접속부는 인덕턴스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휴대 무선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스프링 부재로 구성되는 휴대 무선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기 제 1 회로 기판의 기준 전위부와 상기 제 1 도전부를 점 접촉시키는 휴대 무선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로 기판을 평면에서 본 경우에, 상기 유도 결합부는 상기 제 2 안테나와 중첩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휴대 무선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부는 판 스프링부를 갖는 휴대 무선기.
KR1020097005553A 2006-09-21 2007-09-21 휴대 무선기 KR1010241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56311 2006-09-21
JPJP-P-2006-256311 2006-09-21
JPJP-P-2007-169819 2007-06-27
JP2007169819 2007-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826A KR20090053826A (ko) 2009-05-27
KR101024120B1 true KR101024120B1 (ko) 2011-03-22

Family

ID=39200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5553A KR101024120B1 (ko) 2006-09-21 2007-09-21 휴대 무선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95899B2 (ko)
JP (1) JP5042228B2 (ko)
KR (1) KR101024120B1 (ko)
WO (1) WO20080357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55520A (ja) * 2010-01-27 2011-08-11 Kyocera Corp 携帯電子機器
JP2013058643A (ja) * 2011-09-08 2013-03-28 Fujitsu Ltd 電子装置及び筒体
DE102012110173A1 (de) * 2012-10-24 2014-06-12 Phoenix Contact Gmbh & Co. Kg Modulares Elektroniksystem und Busteilnehmer
US9804639B2 (en) * 2013-08-15 2017-10-31 Apple Inc. Hing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circuitry located in base
KR102554087B1 (ko) * 2018-08-28 2023-07-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딩 축을 중심으로 분산 배치된 무선 통신 회로들을 갖는 폴더블 전자 장치
US11644871B1 (en) * 2022-02-11 2023-05-09 Dell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hinge angle position in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6396A (ja) 2004-02-17 2005-09-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無線機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08358A (en) * 1993-09-14 1997-03-18 Loral Space Systems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extendable antenna
CA2152860A1 (en) * 1994-07-15 1996-01-16 Argyrios A. Chatzipetros Antenna for communication device
JP3767030B2 (ja) * 1996-09-09 2006-04-19 三菱電機株式会社 折畳式無線通信装置
US6613383B1 (en) 1999-06-21 2003-09-02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Atomic layer controlled deposition on particle surfaces
US7248892B2 (en) * 2001-05-14 2007-07-24 Innovision Research & Technology Plc Electrical devices
JP3631696B2 (ja) * 2001-06-25 2005-03-23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無線機
JP3959332B2 (ja) * 2001-10-24 2007-08-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携帯無線端末
KR20040020218A (ko) * 2002-08-30 2004-03-09 주식회사 어필텔레콤 Sar이 개선된 휴대폰
JP3789424B2 (ja) * 2002-11-20 2006-06-21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
WO2004049502A1 (en) * 2002-11-26 2004-06-1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ntenna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 hinge
JP2005136668A (ja) 2003-10-30 2005-05-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折畳型携帯無線機器。
JP4312100B2 (ja) * 2003-11-18 2009-08-12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
KR100791737B1 (ko) * 2003-11-26 2008-01-04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무선기
US7751860B2 (en) * 2004-01-14 2010-07-06 Peter Symons Variable configuration apparatus
JP4358084B2 (ja) * 2004-07-12 2009-11-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折畳式携帯無線機
NO328905B1 (no) * 2004-08-10 2010-06-14 Radionor Comm As Adaptivt miniatyrisert antennesystem
JP3981112B2 (ja) * 2004-10-28 2007-09-26 株式会社東芝 携帯端末
KR100722309B1 (ko) * 2006-01-20 2007-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파 흡수율 저감 장치 및 그 장치를 포함한이동통신단말기
US7761115B2 (en) * 2006-05-30 2010-07-20 Broadcom Corporation Multiple mode RF transceiver and antenna struc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6396A (ja) 2004-02-17 2005-09-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無線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09730A1 (en) 2010-01-14
JPWO2008035781A1 (ja) 2010-01-28
JP5042228B2 (ja) 2012-10-03
US8295899B2 (en) 2012-10-23
WO2008035781A1 (fr) 2008-03-27
KR20090053826A (ko)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46478B2 (ja) 無線モジュール及び携帯端末
US7551142B1 (en) Hybrid antennas with directly fed antenna slot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JP4358084B2 (ja) 折畳式携帯無線機
US8872708B2 (en) Antenna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JP4197734B2 (ja) 無線モジュール
US7864123B2 (en) Hybrid slot antenna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7289069B2 (en) Wireless device antenna
US7768462B2 (en) Multiband antenna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7009567B2 (en)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provided with a part of a housing operating as an antenna
US7557760B2 (en) Inverted-F antenna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WO2009090721A1 (ja) 携帯無線装置
KR101024120B1 (ko) 휴대 무선기
KR10080991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
WO2002099927A1 (fr) Terminal mobile hertzien
US20060077105A1 (en) Dual-band chip antenna module
WO2009157343A1 (ja) 無線機
KR20070098020A (ko)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JP2007329962A (ja) 通信端末
US7369885B2 (en) Radio device and cellular phone having a notch with a bent-back portion
JP5583030B2 (ja) 無線端末装置
JP3467164B2 (ja) 逆fアンテナ
JP4049185B2 (ja) 携帯無線機
JP5682238B2 (ja) スライド式無線端末装置
JP4400427B2 (ja) 携帯無線機
KR101390098B1 (ko) 이동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