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3953B1 - 전동식 창호의 리프트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식 창호의 리프트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3953B1
KR101023953B1 KR1020060102987A KR20060102987A KR101023953B1 KR 101023953 B1 KR101023953 B1 KR 101023953B1 KR 1020060102987 A KR1020060102987 A KR 1020060102987A KR 20060102987 A KR20060102987 A KR 20060102987A KR 101023953 B1 KR101023953 B1 KR 101023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 recognition
contact
energized
pi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2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6424A (ko
Inventor
서송원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60102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3953B1/ko
Priority to CN2007800394675A priority patent/CN101529038B/zh
Priority to RU2009119443/12A priority patent/RU2416014C2/ru
Priority to DE112007002537.9T priority patent/DE112007002537B4/de
Priority to PCT/KR2007/005202 priority patent/WO2008050992A1/en
Publication of KR20080036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6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 E05Y2900/15Balcony glazing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 창호의 리프트 위치를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슬라이더의 상하 이송 변위 한계지점에 상기 슬라이더와 접촉되어 통전되는 한 쌍의 위치 인식 전극을 설치한 후 상기 전극과 통전되는 위치 인식 핀과, 상기 핀과 접촉됨에 의해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는 위치 인식 제어부 전극의 구성에 의해 작동 플레이트의 승하강 변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어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는 현상은 방지함은 물론 창짝의 리프트 동작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전동식 창호의 리프트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동식 창호, 리프트, 위치제어

Description

전동식 창호의 리프트 제어 장치{Lift control apparatus for automatic window}
도 1은 종래의 리프트 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전동식 리프트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어장치가 장착된 분리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접점부 유닛에 대한 사시도 및 사시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어장치의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접점부 유닛 110 : 접점부 본체
120 : 핀 130 : 브라켓
200 : 제어부 210 : 제어부 본체
D : 드라이브
본 발명은 전동식 창호의 리프트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동 플레이트를 상승시키는 슬라이더의 상하 이송 변위 한계지점에 각각 설치 되는 것으로서 상기 슬라이더와 접촉되어 통전되는 한 쌍의 위치 인식 전극과, 상기 위치 인식 전극과 통전되는 위치 인식 핀과, 상기 핀과 접촉에 의해 통전되는 위치 인식 제어부 전극과 상기 전극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리프트의 변위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의 리프트 및 슬라이드 장치라고 하는 것은 창호를 열고 닫을 때 상기 창호의 창짝을 들어올린(lift) 후 이동(siding)하도록 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거실의 분합문이나 발코니창 등의 비교적 대형 창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개폐 슬라이딩이 정숙하고 부드럽게 이루어지며 기밀성과 수밀성 그리고 외부 소음차단등의 효과를 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리프트 및 슬라이드 장치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종래의 리프트 및 슬라이드 장치는 우선 창짝(도시되지 않음)의 하부에 장치되는 런너(3)와, 상기 창짝 중 창틀(203)과 접촉되는 면에 장치되는 작동 플레이트(P)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 플레이트(P)는 핸들(5)에 의해 상승되게 되고, 상기 상승되는 작동 플레이트(P)에 의해 런너(3)가 창짝을 리프트하게 된다. 이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은 종래의 기술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이러한 상기 종래의 리프트 및 슬라이딩 장치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핸들(5)을 작동하여야 리프트 및 슬라이딩할 수 있어 사용에 불편함이 있고 특히 상기 핸들(5)을 작동할 수 없는 장애인이나 노약자의 경우 창호를 개폐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식 리프트 장치가 제안될 수 있다.
삭제
상기 도 2에 제시된 전동식 리프트 장치는 상기 런너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플레이트(P)를 전동식 예를 들어 모터(M)를 이용하여 상승시키는 구성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작동 플레이트(P)에 형성되는 이송 슬릿(P2)에 걸림되는 돌출부(320a)를 구비하는 슬라이드(320)를 모터(M)에 의해 회전하는 볼 스크류(310)를 이용하여 승하강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런너를 작동시킴에 있어 상기 작동 플레이트(P)의 승하강 변위를 정확하게 제어함이 필요하다. 즉, 예를 들어 상기 작동 플레이트(P)의 상승되는 변위가 설정된 변위이상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모터(M)에 과부하가 걸림은 물론 창짝의 리프트 동작이 불안하게 되는 염려가 있으나, 상기 도 2에 도시된 리프트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 플레이트(P)의 승하강 변위를 제어하는 구성이 없어 모터(M)에 과부하가 걸린다든지 또는 창짝의 리프트 동작이 안정적이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슬라이드의 상하 이송 변위의 한계지점에 상기 슬라이드의 접촉여부를 인식할 수 있는 전극을 설치한 후 상기 전극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제어함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의 변위를 정확하게 컨트롤하여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고 창짝의 안정적인 리프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상기 슬라이더의 상하 이송 변위 한계지점에 상기 슬라이더와 접촉되어 통전되는 한 쌍의 위치 인식 전극을 설치한 후 상기 전극과 통전되는 위치 인식 핀과, 상기 핀과 접촉됨에 의해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는 위치 인식 제어부 전극로 구성되는 전동식 창호의 리프트 제어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런너에 결합되어 상기 런너를 작동하는 작동 플레이트를 상승시키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승하강하는 전동장치로 구성되는 전동식 창호 리프트 장치의 경우 상기 슬라이드의 승하강 변위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언급된 도 2에 도시된 전동장치를 실시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상기 도 2에 도시된 전동장치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상기 작동 플레이트(P)를 상승시키는 작동 모듈(300)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M)와, 상기 모터(M)에 의해 회전되는 볼 스크류(310)와 상기 볼 스크류(310)상에 나사결합되어 이송되는 슬라이드(320)와 상기 슬라이드(320)에 돌출되어 상기 작동 플레이트(P)의 이송 슬릿(P2)에 걸림되는 돌출부(320a)와 상기 볼 스크류(310) 양측에 설치되 어 상기 볼 스크류(310)를 지지하는 지지축(330,34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모터(M)에 의해 상기 볼 스크류(310)가 회전하면 상기 슬라이드(320)가 상하 이송되고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320)에 형성되는 돌출부(320a)가 상기 작동 플레이트(P)를 상하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 작동 플레이트(P)가 이송됨에 따라 런너가 창짝을 리프트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의 전동식 창호의 리프트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지지축(330,340)의 내측면 즉 상기 슬라이드(320)와 접촉하는 면에 각각 위치 인식 전극(330a,340a)을 설치한다. 상기 위치 인식 전극(330a,340a)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호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평소에는 상호 통전되지 아니하나 상기 슬라이드(320)와 접촉하면 상기 슬라이드(320)를 매개로 하여 상기 한 쌍의 위치 인식 전극(330a,340a)이 상호 통전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위치 인식 전극(330a,340a)이 상호 통전될때 그 신호를 받아 제어부(200)가 상기 모터(M)를 제어함에 의해 상기 작동 플레이트(P)의 변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제어부(200)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접점부 유닛(100)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위치 인식 전극(330a,340a)으로부터 발생한 신호를 제어부(200)로 전달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은 접점부 유닛(100)을 설치하며 이에 대해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접점부 유닛(100)은 상기 상부 및 하부의 지지축(330,340)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위치 인식 전극(330a,340a)에 각각 통전되는 위치 인식 핀(120d
,120e)과 위치 인식 핀(120d,120e)을 수용하는 접점부 본체(110)로 구성된다.
상기 접점부 본체(110)는 상기 위치 인식 핀(120d,120e)의 일측을 수용하되 그 단부는 노출시키도록 형성되는 수용부(11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접점부 유닛(100)에 의해 제어부(200)로 신호가 전달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어부(200)는 제어부 본체(210)상에 상기 위치 인식 핀(120d,120e)과 각각 접촉되어 통전되는 위치 인식 제어부 전극(211d,211e)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위치 인식 제어부 전극(211d,211e)은 제어를 위한 드라이브(D)로 연결된다.
이상 설명한 구성에 의해 상기 작동 플레이트(P)의 승하강을 제어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상기 슬라이드(320)가 제일 상부측까지 상승된 경우 상기 슬라이드(320)는 상기 지지축(330)에 설치된 한 쌍의 위치 인식 전극(330a)과 접촉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위치 인식 전극(330a)은 상기 슬라이드(320)를 통해 상호 통전되며 이 신호는 상기 위치 인식 핀(120d)으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위치 인식 핀(120d)과 접촉되는 위치 인식 제어부 전극(211d)이 상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드라이브(D)로 전달한다. 결국 상기 드라이브(D)는 상기 신호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320)가 이송 변위 한계 중 최상의 지점까지 도달했음을 인식하여 상기 모터(M)의 작동을 멈추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작동 플레이트(P)의 이송 변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어 모터(M)에 과부하가 작용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혹은 창짝의 리트프를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내용은 상기 슬라이드(320)가 최하점까지 내려온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이때 보다 안정적인 제어를 위해 상기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점부 본체(110)에 상술한 바와 같은 위치 인식 핀(120d,120e)외에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핀(120a,120b)과, 상기 상부측 및 하부측 위치 인식 핀(120d,120e)과 공통으로 통전되는 공통 접점 핀(120c)를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4는 상기 접점부(100)와 제어부(200) 그리고 슬라이드(320)의 동작에 따른 신호 전달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일 슬라이드(320)가 최상부까지 상승된 경우 상기 상부측의 위치 인식 전극(330a)이 상기 슬라이드(320)와의 접촉에 의해 통전되어 위치 인식 핀(120d)으로 신호가 전달되는 한편 공통 접지 핀(120c)에도 신호가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위치 인식 핀(120d)과 공통 접지 핀(120c)이 통전되어 제어부(200)의 위치 인식 제어부 전극(211d)과 공통 접점 제어부 전극(211c)에 신호가 전달되고 상기 신호가 드라이브(D)에 입력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M)의 작동을 중단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 본체(210)에는 상기 위치 인식 제어부 전극(211d,211e) 및 공통 접점 제어부 전극(211c)외에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제어부 전극(211a,211b)이 형성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에는 작동 플레이트의 승하강 변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 없어 모터에 과부하가 걸림은 물론 창짝의 리프트 동작이 불안하게 되는 염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창호의 리프트 제어 장치의 경우 슬라이더의 상하 이송 변위 한계지점에 상기 슬라이더와 접촉되어 통전되는 한 쌍의 위치 인식 전극을 설치한 후 상기 전극과 통전되는 위치 인식 핀과, 상기 핀과 접촉됨에 의해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는 위치 인식 제어부 전극의 구성에 의해 작동 플레이트의 승하강 변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어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는 현상은 방지함은 물론 창짝의 리프트 동작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창짝을 리프트하는 런너와, 상기 런너에 결합되어 상기 런너를 작동하는 작동 플레이트와 상기 작동 플레이트에 걸림되어 상기 작동 플레이트를 상승시키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승하강하는 전동장치로 구성되는 전동식 창호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상하 이송 변위 한계지점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슬라이더와 접촉되어 통전되는 한 쌍의 위치 인식 전극;과,
    상기 상부 및 하부측의 위치 인식 전극과 각각 통전되는 위치 인식 핀과, 상기 위치 인식 핀의 일부분을 수용하되 상기 위치 인식 핀의 단부는 노출시키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접점부 본체로 구성되는 접점부 유닛;과,
    상기 위치 인식 핀과 각각 접촉되어 통전되는 위치 인식 제어부 전극과, 상기 위치 인식 제어부 전극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제어를 수행하는 드라이브로 구성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창호의 리프트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 본체에 수용되는 한편 상기 상부 및 하부측의 위치 인식 전극과 공통으로 통전되는 공통 접점 핀과, 상기 전동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 공급 핀과,
    상기 공통 접점 핀 및 전원 공급 핀과 접촉되어 통전되는 한편 상기 드라이브에 연결되는 공통 접점 제어부 전극과 전원 공급 제어부 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창호의 리프트 제어 장치.
  3. 삭제
KR1020060102987A 2006-10-23 2006-10-23 전동식 창호의 리프트 제어 장치 KR101023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987A KR101023953B1 (ko) 2006-10-23 2006-10-23 전동식 창호의 리프트 제어 장치
CN2007800394675A CN101529038B (zh) 2006-10-23 2007-10-23 窗户的升起和滑动装置以及用于控制该装置的设备
RU2009119443/12A RU2416014C2 (ru) 2006-10-23 2007-10-23 Устройство подъема и перемещения для окн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им
DE112007002537.9T DE112007002537B4 (de) 2006-10-23 2007-10-23 Anhebe- und Schiebevorrichtung für ein Fenster und Einrichtung, um diese zu steuern
PCT/KR2007/005202 WO2008050992A1 (en) 2006-10-23 2007-10-23 Lift and slide apparatus for window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987A KR101023953B1 (ko) 2006-10-23 2006-10-23 전동식 창호의 리프트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6424A KR20080036424A (ko) 2008-04-28
KR101023953B1 true KR101023953B1 (ko) 2011-03-28

Family

ID=39574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2987A KR101023953B1 (ko) 2006-10-23 2006-10-23 전동식 창호의 리프트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39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6864A (en) 1983-10-22 1986-10-14 Hardware & Systems Patents Limited Fasteners for doors, windows and the like
JP2004250946A (ja) 2003-02-19 2004-09-09 Chuo Spring Co Ltd 引違い窓開閉装置
KR200397177Y1 (ko) 2005-05-03 2005-09-30 안건형 창호의 자동록킹 장치
KR20060025389A (ko) * 2004-09-16 2006-03-21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 개폐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6864A (en) 1983-10-22 1986-10-14 Hardware & Systems Patents Limited Fasteners for doors, windows and the like
JP2004250946A (ja) 2003-02-19 2004-09-09 Chuo Spring Co Ltd 引違い窓開閉装置
KR20060025389A (ko) * 2004-09-16 2006-03-21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 개폐 시스템
KR200397177Y1 (ko) 2005-05-03 2005-09-30 안건형 창호의 자동록킹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6424A (ko) 2008-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46033A2 (en) Swinging gate mounting and swing actuator
RU2416014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ъема и перемещения для окн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им
KR101023954B1 (ko) 전동방식에 의한 창호의 리프트 및 슬라이드 장치
US5762123A (en) Door system
KR101023953B1 (ko) 전동식 창호의 리프트 제어 장치
AU2003239388A1 (en) Remote release for a movable barrier arrangement
KR200183456Y1 (ko) 문턱제거형 도어의 기밀장치
KR20180067365A (ko) 근거리 통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0679117B1 (ko) 디지털도어록 일체형 도어 스토퍼장치
KR102041000B1 (ko) 배선용 케이블 베어가 구비된 스마트 창호
KR20140111196A (ko) 다수 개의 배치모드 제어가 가능한 모니터 승하강장치
KR101249822B1 (ko) 자동화 창호 시스템
KR100538464B1 (ko) 건축용 문의 열림 각도 고정장치
KR102722264B1 (ko) 리프트 및 일반 슬라이딩 창호의 자동 잠금개폐장치
JP3941038B2 (ja) 家庭用エレベータ
KR102293457B1 (ko) 상호간 동반으로 제어되는 슬라이딩 도어와 탑재 리프트
KR20210004498A (ko)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닫이형 창호
KR200410638Y1 (ko)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
CN216985812U (zh) 一种防撞升降消毒柜
KR102429983B1 (ko) 창호용 전동 블라인드의 리미트 스위치
KR20240069536A (ko) 온도 감지 기반 자동 개폐 블라인드 장치
KR20100012675A (ko) 모니터 승강장치
KR20240069537A (ko) 온도 감지 기반 자동 개폐 블라인드 장치
CN213329707U (zh) 一种建筑采光井防水装置
KR20240069535A (ko) 온도 감지 기반 자동 개폐 블라인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