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3893B1 - 외벽 내측 단열재 고정구 - Google Patents

외벽 내측 단열재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3893B1
KR101023893B1 KR1020100026329A KR20100026329A KR101023893B1 KR 101023893 B1 KR101023893 B1 KR 101023893B1 KR 1020100026329 A KR1020100026329 A KR 1020100026329A KR 20100026329 A KR20100026329 A KR 20100026329A KR 101023893 B1 KR101023893 B1 KR 101023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material
fixing
heat
fixtur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신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신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신산업
Priority to KR1020100026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38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04F13/0887Adhesive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adhesive foils or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번에 시공을 완료할 수 있어 전체적인 시공공정을 줄이면서 시공비용을 절감하고 균일한 시공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내벽 단열재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외벽 내측면에 형성되는 고정공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내측 끝단에 형성하는 고정팁과, 상기 고정팁의 외측에 돌출시켜 열반사단열재를 관통하는 유지바와, 상기 유지바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하여 내측면은 열반사단열재의 외면을 가압하고 외측면은 마감보드를 안정된 상태로 부착되도록 하는 베이스를 일체로 형성하여 단열재 고정구를 구성하고,
알루미늄필름을 가지는 열반사단열재를 건축물의 외벽 내측면에 부착하는 단열재부착단계와, 부착된 열반사단열재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내측면에 단열재고정구를 고정시키는 고정구고정단계와, 단열재고정구를 구성하는 베이스에 접착제를 접착하여 마감보드를 부착하는 보드부착단계로 시공을 완료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외벽 내측 단열재 고정구{FIXING IMPLEMENT OF INSULATING MATERIAL FOR INSIDE WALL}
본 발명은 외벽 내측 단열재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외벽 내측에 단열성을 높이기 위하여 단열재를 고정하고 동시에 석고보드와 같은 마감용 보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단열재 고정구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을 구축한 상태에서는 외부의 열기 또는 냉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의 열기 또는 냉기가 실외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벽 구조체의 외측면에 단열재를 시공하는 외단열 시공이나, 외벽 구조체의 내측면에 단열재를 시공하는 내단열 시공을 하게 된다.
특히 건축물의 내벽에 시공되는 내단열 시공의 경우에는 건축물의 외벽 내측면에 단열재를 고정시키고, 상기 단열재의 외면에는 석고보드를 고정하여 마감하게 되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내벽 단열재 시공방법과 시공에 사용되는 단열재 고정구를 도 6,7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열재 고정구(1)는 외벽 내측면(2)에 밀착되는 수고정구(3)와 상기 수고정구(3)에 결합 되어 단열재(4)의 외면을 단속하면서 석고보드(5)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암고정구(6)로 구성한다.
상기 수고정구(3)는 외벽 내측면(2)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수베이스(7)와 상기 수베이스(7)의 중앙에서 돌출되는 결합바(8)로 구성하고, 상기 암고정구(6)는 중앙에 결합홀(9)을 형성한 암베이스(10)를 구비하고, 상기 암베이스(10)의 내측면에는 단열재(4)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리브(11)를 형성하고 외측면에는 석고보드(5)를 유지하기 위한 지지돌기(12)를 형성한다.
상기 수베이스(7)와 암베이스(10)에는 다수개의 통공(13)을 형성하여 접착제(14)가 견고한 상태의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단열재(4)를 시공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수고정구(3)의 수베이스(7)에 접착제(14)를 이용하여 내측면(2)에 고정하는 수고정구고정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수고정구(3)를 고정한 상태에서는 접착제(14)에 의하여 수고정구(3)와 내측면(2)에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동절기에는 72시간, 하절기에는 48시간 동안의 양생단계를 수행한다.
양생을 통하여 접착제(14)에 의하여 수고정구(3)가 견고한 상태로 고정되었을 경우에는 단열재(4)를 수고정구(3)의 결합바(8)에 밀어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단열재고정단계를 거친다.
단열재(4)가 결합바(8)에 삽입되면 단열재(4) 외부로 노출된 결합바(8)에 암고정구(6)를 결합시켜 결합 된 단열재(4)가 유지되도록 하는 암고정구고정단계를 거치고, 암고정구(6)의 암베이스(10)에 접착제(14)를 처리한 후 석고보드(5)를 밀착시키는 석고보드고정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석고보드(5)를 암베이스(10)에 부착한 후에는 24시간 동안의 양생단계를 거쳐 접착제(14)가 암베이스(10)와 석고보드(5)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완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단열재 고정구가 수고정구와 암고정구 투피스로 되어 있기 때문에 두 개의 금형을 이용하여 생산하여야 하므로 많은 설비투자와 생산원료의 과다한 소모 등에 따르는 생산원가가 높은 것은 물론, 제조과정 또한 복잡하고 물류에도 상당한 애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단열재 고정구를 이용하여 단열재를 시공하는 과정에서도 수고정구를 접착제로 고정한 상태로 동절기에는 72시간, 하절기에는 48시간 동안의 양생단계와 암고정구와 석고보드를 접착제로 고정한 상태에서는 24시간 동안 접착제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양생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쳐야하기 때문에 전체시공시간 중 양생단계만 동절기에는 96시간, 하절기에는 72시간을 소비하게 되므로 그에 따르는 시공비용이 많이 상승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수고정구와 석고보드를 부착한 상태에서 양생시킬 때에는 천장작업이나 벽지를 부착하기 위한 도배작업과 같이 실내에서 수행할 수 있는 다른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공사지연의 또 다른 원인이 된다.
그리고, 외벽 내측면에 부착 고정되는 단열재가 대부분 그라스울 또는 스치로폼을 사용하기 때문에 단열성능이 크게 높지 않으며, 단열성 향상을 위하여 알루미늄필름을 가지는 Low-E단열재 또는 열반사단열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측면 또는 석고보드와 알루미늄필름이 밀착되므로 알루미늄필름이 가지는 고반사 및 저방사 기능이 상실되므로 역시 단열성능이 저하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외벽 내측면에 형성되는 고정공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내측 끝단에 형성하는 고정팁과, 상기 고정팁의 외측에 돌출시켜 열반사단열재를 관통하는 유지바와, 상기 유지바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하여 내측면은 열반사단열재의 외면을 가압하고 외측면은 마감보드를 안정된 상태로 부착되도록 하는 베이스를 일체로 형성하여 단열재 고정구를 구성하고,
알루미늄필름을 가지는 열반사 단열재를 건축물의 외벽 내측면에 부착하는 단열재부착단계와, 부착된 열반사단열재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내측면에 단열재고정구를 고정시키는 고정구고정단계와, 단열재고정구를 구성하는 베이스에 접착제를 접착하여 마감보드를 부착하는 보드부착단계로 시공을 완료함으로써 한 번에 시공을 완료할 수 있어 전체적인 시공공정을 줄이면서 시공비용을 절감하고 균일한 시공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건축물 외벽의 내측면에 단열재시공을 단일체로 구성하는 단열재 고정구를 이용하여 고정구의 생산원가절감과 시공시간과 시공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면서 알루미늄필름을 가지는 Low-E단열재나 열반사단열재가 본래의 기능인 고반사/저방사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 공정의 단축과 원가절감 및 단열성능의 향상과 같은 근본적인 목적을 충실하게 달성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외벽 내측 단열재 시공과정을 도시한 공정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외벽 내측 단열재 시공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외벽 내측 단열재 시공에 사용되는 단열재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외벽 내측 단열재 시공에 사용되는 단열재 고정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단열재 고정구가 외벽 내측 단열재 시공에 사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외벽 내측 단열재 시공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7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외벽 내측 단열재 시공에 사용되는 단열재 고정구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외벽 내측 단열재 시공과정을 도시한 공정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외벽 내측 단열재 시공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외벽 내측 단열재 시공에 사용되는 단열재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외벽 내측 단열재 시공에 사용되는 단열재 고정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단열재 고정구가 외벽 내측 단열재 시공에 사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단열재고정구(100)는 건축물의 외벽 내측면(101)에 드릴링 등으로 형성되는 고정공(10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팁(103)을 끝단에 가지는 유지바(104)를 돌출시키는 베이스(105)를 일체로 가지도록 한다.
상기 고정팁(103)과 유지바(104) 및 베이스(105)는 성형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합성수지)계통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고정팁(103)에는 직경 확대용의 슬로트(106)를 가지는 팁바디(107)의 외면에 고정공(102)에 삽입 후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걸림돌기(108)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고정팁(103)과 유지바(104)의 경계위치에는 걸림턱(109)을 일체로 형성하여 고정팁(103)과 연결된 유지바(104)가 고정공(102)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지바(104)는 내측(고정팁 방향)의 직경(D)은 작고 외측(베이스 방향)의 직경(D1)은 크게 형성하여 고정공(102) 형성 과정에서 열반사단열재(110)에 형성되는 구멍(111)을 긴밀한 상태로 밀착시켜 구멍(111)을 통하여 열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105)는 원형이나 사각형 또는 다각형상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판상형태의 베이스바디(112)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바디(112)에는 다수개의 통공(113)을 형성하여 접착제(114)가 용이하게 결합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바디(112)의 내 측면에는 Low-E단열재 또는 열반사단열재(110, 이하 열반사단열재라 한다.)의 표면을 눌러주면서 열반사단열재(110)의 표면에 구비되는 알루미늄필름과의 간격을 유지하여 고반사 및 저방사 기능수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는 이격리브(115)을 방사상으로 다수 개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바디(112)의 외측면에는 부착되는 석고보드 등과 같은 마감보드(116)의 표면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동일한 높이로 다수개의 보드지지판(117)을 돌출시켜 구성한다.
상기 베이스바디(112)의 중앙에는 고정팁(103)의 직경을 확대시켜 고정공(102)에 고정팁(103)을 견고하여 유지시킬 수 있도록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118)이 체결될 수 있도록 유지바(104) 방향으로 체결홀(120)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단열재고정구(100)를 이용하여 열반사단열재(110)를 건축물의 내측면(101)에 시공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알루미늄필름을 가지는 열반사 단열재(110)를 건축물의 외벽 내측면(101)에 부착하는 단열재부착단계(S1)와, 부착된 열반사단열재(110)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내측면(101)에 단열재고정구(100)를 고정시키는 고정구고정단계(S2)와, 단열재고정구(100)를 구성하는 베이스(105)에 접착제(114)를 접착하여 마감보드(116)를 부착하는 보드부착단계(S3)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단열재부착단계(S1)에서는 건축물의 외벽 내측면(101)의 표면 또는 열반사단열재(110)의 표면에 접착제 등과 같은 부착수단 또는 에어건을 이용하여 발사되는 T형 못 또는 ∪못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열반사단열재(110)를 부착시키도록 한다.
상기 열반사단열재(110)를 부착수단 또는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내측면(101) 에 부착할 때에는 열반사단열재(110)의 전체 표면에 도포 또는 고정시키는 것보다는 군데군데 도포하거나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단열재고정구(100)를 이용하여 다시 열반사단열재(110)를 고정시키는 후속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단열재고정구(100)를 이용하여 열반사단열재(110)를 고정시키기 전까지 내측면(101)에 부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만 하여도 되기 때문이다.
상기 고정구고정단계(S2)에서는 열반사단열재(110)의 부착이 완료되면 바로 드릴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열반사단열재(110)를 관통하면서 내측면(101) 다수 곳에 고정공(102)를 형성한다.
고정공(102)이 형성되면 단열재고정구(100)를 삽입시키면 고정팁(103)이 고정공(102)에 삽입되고 고정팁(103)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유지바(104)는 걸림턱(109)에 의하여 더 이상의 삽입이 정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베이스바디(112)의 중앙에서 유지바(104) 내부까지 형성된 체결홀(120)을 통하여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118)을 삽입시켜 팁바디(107)에 형성된 슬로트(106)로 고정수단(118)이 체결되도록 한다.
그러면, 체결수단(118)에 의하여 팁바디(107)의 직경이 확대됨과 동시에 팁바디(107)의 외면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걸림돌기(108)가 고정공(102)에 견고하게 밀착되면서 파고드는 형태가 되므로 고정팁(103)이 고정공(102)에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고정공(102)을 형성할 때 열반사단열재(110)에 함께 형성되는 구멍에는 유지바(104)가 삽입되어 기밀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데, 이는 유지바(104)의 내측 직경(D)은 고정팁(103)의 외경보다 크고, 유지바(104)의 외측 직경(D1)은 유지바(104)의 내측 직경(D) 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구멍과 억지 결합 되는 형태가 되어 유격발생을 배제하여 기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단열재고정구(100)가 고정되면, 베이스(105)를 구성하는 베이스바디(112)의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이격리브(115)에 의하여 열반사단열재(110)의 외측면을 단속하게 됨과 아울러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게 되므로 열반사단열재(110)를 구성하는 알루미늄필름 고유의 기능인 고반사 및 저방사 기능을 달성하는 데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보드부착단계(S3)에서는 내측면(101)의 고정공(102)에 단열재고정구(100)의 고정이 완료되면, 베이스바디(112)의 외면에 접착제(114)를 도포한 후 마감보드(116)를 밀착시키면 된다.
이때, 마감보드(116)는 베이스바디(112)에 일체로 형성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보드지지판(117)과 연접되므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고, 안정적으로 부착된 상태에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마감보드(116)의 부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접착제(114)가 견고한 접착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24시간의 양생과정을 거침으로서 내벽 단열재의 시공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 내측면에 단열재를 시공함에 있어서 한번에 단열재와 마감보드의 부착까지 완료하고, 마감보드의 부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마감보드의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양생을 수행함으로써 한번에 완전하게 시공이 가능하여 전체적인 공사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시공비용 또한 저렴하게 할 수 있어 대외적인 경쟁력의 확보는 물론 시공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100; 단열재고정구
103l 고정팁
104; 유지바
105; 베이스
110; 열반사단열재
115; 이격리브
117; 보드지지판
120; 체결홀

Claims (5)

  1. 건축물의 외벽 내측면(101)에 형성되는 고정공(10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내측 끝단에 형성하는 고정팁(103)과;
    상기 고정팁(103)의 외측에 돌출시켜 열반사단열재를 관통하는 유지바(104)와;
    상기 유지바(104)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하여 내측면은 열반사단열재의 외면을 가압하고 외측면은 마감보드를 안정된 상태로 부착되도록 하는 베이스(105)를 일체로 형성하여 단열재 고정구(100)를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105)는 판상형태로 구비하는 베이스바디(112)와;
    상기 베이스바디(112)에 접착제(114)가 용이하게 결합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통공(113)과;
    상기 베이스바디(112)의 내측면에 형성하여 열반사단열재(110)의 표면을 눌러주면서 열반사단열재(110)에 구비되는 알루미늄필름이 고반사 및 저방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감보드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이격리브(115)와;
    상기 베이스바디(112)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마감보드(116)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돌출시키는 다수개의 보드지지판(117)과;
    상기 베이스바디(112)의 중앙에 형성하여 고정수단(118)이 체결되어 고정팁(103)의 직경을 확대시키도록 하는 체결홀(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 고정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00026329A 2010-03-24 2010-03-24 외벽 내측 단열재 고정구 KR101023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329A KR101023893B1 (ko) 2010-03-24 2010-03-24 외벽 내측 단열재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329A KR101023893B1 (ko) 2010-03-24 2010-03-24 외벽 내측 단열재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3893B1 true KR101023893B1 (ko) 2011-03-22

Family

ID=43939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329A KR101023893B1 (ko) 2010-03-24 2010-03-24 외벽 내측 단열재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38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365Y1 (ko) * 2016-07-05 2017-05-08 주식회사 에이-프로 모터 전기자 열처리용 오븐기의 단열판 체결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026Y1 (ko) * 2003-08-14 2003-11-12 이동희 벽판용 결착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026Y1 (ko) * 2003-08-14 2003-11-12 이동희 벽판용 결착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365Y1 (ko) * 2016-07-05 2017-05-08 주식회사 에이-프로 모터 전기자 열처리용 오븐기의 단열판 체결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31072C (en) Foam glass integrated plate effective in water and fire proofing, thermal insulation and decoration
KR101673277B1 (ko) 단열재 고정용 화스너 및 이를 이용한 드라이비트 외벽단열공법
KR20140046769A (ko) 화스너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방법
KR100957494B1 (ko) 마감패널의 용이한 고정구조를 갖는 방수와 단열 및 방음벽체
JP5892936B2 (ja) 建材板または建材板セット、建材板のための固定システムおよび建材板を固定するための方法
KR101393616B1 (ko) 건축물 외장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마감방법
CZ303850B6 (cs) Zpusob upevnení tepelne izolacních desek a hmozdinka
KR101023893B1 (ko) 외벽 내측 단열재 고정구
KR101914034B1 (ko) 단열재 및 마감재의 고정구
CN110952736B (zh) 一种用于干挂安装的装饰板生产方法
CN110952747A (zh) 一种滑动调节式装饰板干挂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CN207582871U (zh) 室外保温装饰墙板安装结构
CN208072900U (zh) 一种便捷压紧装置
KR200430379Y1 (ko) 건축용 단열패널 고정구
CN211396372U (zh) 一种绿色节能建筑用仿大理石复合节能墙板
CN219638302U (zh) 保温外立面
CN220167362U (zh) 一种装饰墙板
CN217053838U (zh) 一种承插式节能保温墙体结构
CN212427596U (zh) 一种保温板安装固定结构
CN216076130U (zh) 一种石膏线条和石膏线条吊顶
JP2001132111A (ja) セラミック壁面への部品取付方法
CN202170617U (zh) 一种墙壁保温装饰板固定钉结构
CN110952744B (zh) 一种装饰板干法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JP3149316U (ja) 胴縁の固定ができる断熱パネル
CN112064812A (zh) 一种保温板安装固定结构及其安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