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3771B1 - 필터하우징 - Google Patents

필터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3771B1
KR101023771B1 KR1020080085646A KR20080085646A KR101023771B1 KR 101023771 B1 KR101023771 B1 KR 101023771B1 KR 1020080085646 A KR1020080085646 A KR 1020080085646A KR 20080085646 A KR20080085646 A KR 20080085646A KR 101023771 B1 KR101023771 B1 KR 101023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ead
ring nut
enclosur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6589A (ko
Inventor
오동진
Original Assignee
(주)엠에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에프테크 filed Critical (주)엠에프테크
Priority to KR1020080085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3771B1/ko
Publication of KR20100026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6Closures, lids, caps or filter heads forming one element with the filtering ele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개시된 필터하우징은, 상부가 개구된 통 형상의 부재로, 상단부에 형성되며 외향 돌출된 결합턱 및 걸림돌기를 가지는 복수 개의 걸림단들을 구비하며, 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몸체를 뒤집은 상태에서 링너트의 걸치돌기가 관통한 후 상기 링너트를 회전시키면 걸림되도록 상기 거치돌기가 관통되는 개방홈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몸체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되는 거치돌출부를 구비하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하부가 개구된 통 형상의 부재로, 하단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마련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함체의 상단부에 거치 시, 상기 걸림단에 내삽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와 걸림되어 상기 함체와의 상대위치를 고정시키는 체결걸림돌출부를 구비하는 헤드; 및 상기 헤드의 나사산에 대응체결되는 나사산이 마련되어, 상기 헤드와 상기 함체를 결합시키며, 내주면에는 상기 함체에 외삽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돌출부에 걸림되어, 상기 함체의 외주면에 걸림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거치돌기가 구비되는 링너트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필터하우징은, 함체의 걸림돌기가 헤드의 체결걸림돌출부에 상대위치를 고정시키도록 걸림되어, 헤드와 함체를 접한 상태로 상호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켜, 헤드 파지 고정을 위한 작업자가 필요하지 않게 되어 이후 링너트에 의한 함체와 헤드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필터하우징{Filter housing}
본 발명은 필터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필터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터하우징은 도 1과 같이 헤드(10)와, 하부 함체(20)를 상호 나사산 결합시키되, 상기 헤드(10)와 함체(20) 사이에 링너트(30)를 개재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종래의 필터하우징은 상기 링너트(30)에 의한 상기 헤드(10) 및 상기 함체(20) 결합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필터하우징은 다수의 작업자에 의해 결합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필터하우징 결합은, 먼저 상기 링너트(30)를 상기 함체(20)에 외삽한 상태에서 한 명의 작업자가 상기 링너트(30)를 상기 함체(20)의 상단부에 최대한 위치하도록 파지한다. 그리고, 다른 작업자는 상기 함체(20)를 파지하고, 또 다른 작업자가 상기 헤드(10)를 상기 함체(20) 상부에 거치한 상태에서 움직임이 없도록 상기 함체(20) 방향으로 눌러주면, 상기 링너트(30)를 파지하던 작업자가 상기 링너트(30) 회전시켜 상기 함체(20)와 나사산 체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링너트에 의한 헤드와 함체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필터하우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된 통 형상의 부재로, 상단부에 형성되며 외향 돌출된 결합턱 및 걸림돌기를 가지는 복수 개의 걸림단들을 구비하며, 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몸체를 뒤집은 상태에서 링너트의 걸치돌기가 관통한 후 상기 링너트를 회전시키면 걸림되도록 상기 거치돌기가 관통되는 개방홈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몸체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되는 거치돌출부를 구비하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하부가 개구된 통 형상의 부재로, 하단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마련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함체의 상단부에 거치 시, 상기 걸림단에 내삽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와 걸림되어 상기 함체와의 상대위치를 고정시키는 체결걸림돌출부를 구비하는 헤드; 및 상기 헤드의 나사산에 대응체결되는 나사산이 마련되어, 상기 헤드와 상기 함체를 결합시키며, 내주면에는 상기 함체에 외삽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돌출부에 걸림되어, 상기 함체의 외주면에 걸림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거치돌기가 구비되는 링너트를 포함하는 필터하우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하우징의 링너트에는 상기 함체에 외삽된 상태로 상기 결합턱에 걸림되도록 내향 돌출된 체결턱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링너트는 외주면에 형성되며, 렌치를 체결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툴삽입홈을 더 포함하고, 작업자가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손잡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툴삽입홈은 "T" 형상일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필터하우징은, 함체의 걸림돌기가 헤드의 체결걸림돌출부에 상대위치를 고정시키도록 걸림되어, 헤드와 함체를 접한 상태로 상호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켜, 헤드 파지 고정을 위한 작업자가 필요하지 않게 되어 이후 링너트에 의한 함체와 헤드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하우징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하우징은, 함체(100), 헤드(200), 링너트(3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함체(100)는 상부가 개구된 통 형상의 부재로, 내부에 필터(도면미도시)가 삽입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함체(100)의 상단부에는 이후 설명될 상기 링너트(300)가 외삽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시키는 결합턱(110)을 외향 돌출되게 마련한다. 더불어, 상기 함체(100)의 상단부에는 상기 헤드(200)에 내삽되는 복수개의 걸림 단(120)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함체(100)의 걸림단(120)에는 이후 설명될 상기 헤드(200)에 걸림되도록 외향 돌출된 걸림돌기(121)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함체(100)의 외주면에는 상기 링너트(300)가 외삽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 거치되게 하는 거치돌출부(13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거치돌출부(130)는 상기 링너트(300)가 외삽된 상태에서 관통 후 회전시 걸림 거치될 수 있도록 개방홈(131)을 가지도록 상기 함체(100)의 외주면 둘레로 마련한다. 따라서, 상기 거치돌출부(130)는 상기 링너트(300)를 상기 함체(100)에 외삽된 상태에서 상단부에 거치되게 하는 바, 상기 링너트(300)를 파지한 후 그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작업자가 필요 없게 되어 이후 체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헤드(200)는 하부가 개구된 통 형상의 부재로, 상기 함체(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함체(100)의 개구된 상부를 밀폐한다.
이러한, 상기 헤드(200)에는 상기 함체(100)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의 필터로 유체나 기체를 유입 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유입공(210) 및 배출공(220)을 각각 적어도 하나 마련한다.
그리고, 상기 헤드(200)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이후 설명될 상기 링너트(300)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을 형성한다.
더불어, 상기 헤드(200)의 내주면에는 앞서 설명한 상기 함체(100)의 걸림돌기(121)를 걸림되게 하는 체결걸림돌출부(230)를 구비한다. 상기 체결걸림돌출부(230)는 상기 함체(100)를 상기 헤드(200)와의 결합 시, 상기 함체(100)와 상기 헤드(200)의 상대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헤드(200)의 체결걸림돌출부(230)는 상기 함체(100)의 상부에 상기 헤드(200)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기 함체(100)의 걸림단(120)이 상기 헤드(200)에 내삽되면, 상기 함체(100)의 걸림돌기(121)가 상부에 위치한 상태로 걸림되게 하여 상기 헤드(200)와 상기 함체(100)를 접한 상태로 상호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200)를 상기 함체(100) 상부에 상하 및 좌우로 흔들림이 없도록 고정하여 작업자에 의한 상기 헤드(200)의 파지 고정이 필요 없게 되어 상기 링너트(300)에 의한 상기 함체(100)와 상기 헤드(200)의 결합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헤드(200)와 상기 함체(100)의 사이에는 밀폐상태로 상호 고정될 수 있도록 패킹재(도면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링너트(300)는 상기 함체(100)의 상부에 상기 헤드(200)가 거치되면, 상기 함체(100)의 상단부에 걸림된 상태로 상기 헤드(200)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함체(100)와 상기 헤드(200)를 결합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링너트(300)의 내주면에는 상기 헤드(200)의 나사산에 대응 체결되는 나사산을 형성한다. 더불어, 상기 링너트(300)의 내주면에는 상기 함체(100)에 외삽된 상태에서 상기 함체(100)의 거치돌출부(130)에 걸림되어 상기 링너트(300)를 상기 함체(100)에 거치되게 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거치돌기(31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링너트(300)의 거치돌기(310)를 상기 거치돌출부(130)의 개방홈(131)을 통해 관통시킨 후, 상기 링너트(300)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켜 상기 거치돌기(310)가 상기 함체(100)의 거치돌출부(130)에 걸림 거치되게 하면, 상기 링너트(300)를 상기 함체(100)의 상단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작업자가 필요 없게 되어 체결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링너트(300)의 일단부에는 상기 함체(100)에 외삽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턱(110)에 걸림되어 상기 링너트(300)를 이탈되지 않게 하는 내향 돌출된 체결턱(340)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링너트(300)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손잡이(32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파지손잡이(320)는 작업자에 의한 상기 링너트(300)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여 상기 링너트(300)를 상기 함체(100)에 외삽한 후 걸림 거치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200)와의 체결을 위한 회전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상기 링너트(300)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툴삽입홈(33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툴삽입홈(330)은 대응 삽입되는 렌치(도면미도시)를 체결한 상태로 작업자가 상기 링너트(300)를 파지할 수 있게 하여 상기 링너트(300)를 상기 헤드(200)에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툴삽입홈(330)은 렌치를 체결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여 안정적인 상기 링너트(30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도록 "T"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렌치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하우징의 결합방법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러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하우징의 결합은, 함체(100) 및 헤드(200)를 준비하고, 함체(100)에 헤드(200)를 걸림 체결하여, 링너트(300)를 준비한 후, 함체(100)에 링너트(300)를 외삽하여, 링너트(300)와 헤드(200)를 나사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부가 개구된 통 형상의 부재인 함체(100)와, 상기 함체(100) 상부를 밀폐하는 헤드(200)를 준비한다. 여기서, 상기 함체(100)의 상단부에는 외향 돌출된 결합턱(110) 및 걸림돌기(121)가 마련된 복수개의 걸림단(120)을 구비한다. 더불어, 상기 함체(100)의 외주면에는 거치돌출부(130)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200)는 하단부 외주면에 상기 링너트(300)에 대응 나사산 결합되는 나사산을 마련한다. 더불어, 상기 헤드(200)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121)에 대응하는 체결걸림돌출부(230)를 구비한다. 상기 체결걸림돌출부(230)는 상기 함체(100)를 상기 헤드(200)와의 결합 시, 상기 함체(100)와 상기 헤드(200)의 상대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함체(100)와 상기 헤드(200)가 준비되면, 상기 함체(100)의 상부에 상기 헤드(200)를 걸림 체결한다. 즉, 상기 함체(100)에 대한 상기 헤드(200)의 걸림 체결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함체(100)의 상부에 상기 헤드(200)를 거치한 후, 상기 함체(100)의 걸림돌기(121)가 상기 헤드(200)의 체결걸림돌출부(230) 상단에 걸림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돌기(121)와 상기 체결걸림돌출부(230)의 걸림은 상기 복수개의 걸림단(120) 중 적어도 하나의 걸림단(120)이 상기 헤드(200)에 내삽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200)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걸림돌기(121)가 상기 체결걸림돌출부(230) 상단에 위치하면서, 상기 헤드(200)가 상기 함체(100)에 걸림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함체(100)의 상부에 상기 헤드(200)를 걸림 체결하기 전에, 상기 함체(100)의 상부에 패킹재(도면미도시)를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함체(100)와 상기 헤드(200)를 안정적인 밀폐상태로 걸림 체결할 수 있다.
이같이, 상기 함체(100)의 상부에 상기 헤드(200)가 상대위치가 고정되도록 거치되면, 상기 함체(100)에 외삽되는 링너트(300)를 준비한다.
여기서, 상기 링너트(300)는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링너트(300)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거치돌기(310) 및, 상기 링너트(300)의 일단부에 내향 돌출되게 형성된 체결턱(340)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링너트(300)가 준비되면, 상기 함체(100)에 상기 링너트(300)를 외삽한다. 즉, 상기 함체(100)에 대한 상기 링너트(300) 외삽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링너트(300)의 거치돌기(310)가 상기 함체(100)의 개방홈(131)을 통해 관통되게 한 후, 상기 링너트(300)를 일정각도로 회전시킨 후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이같이, 상기 함체(100)에 상기 링너트(300)를 외삽한 후에는, 도 7과 같이 상기 함체(100)에 외삽된 상기 링너트(300)를 회전시켜, 상기 링너트(300)와 상기 헤드(200)를 상호 나사 결합되게 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링너트(300)의 체결턱(340)이 상기 함체(100)의 결합턱(110)에 걸림되게 회전시키면, 상기 링너트(300)에 의한 상기 함체(100)와 상기 헤드(200)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러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하우징은, 상기 함체(100)의 걸림돌기(121)가 상기 헤드(200)의 체결걸림돌출부(230)에 걸림되어, 상기 헤드(200)와 상기 함체(100)를 접한 상태로 상호 이탈되지 않고, 상대위치가 고정되도록 고정시켜, 상기 헤드(200) 파지 고정을 위한 작업자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이후 상기 링너트(300)에 의한 상기 함체(100)와 상기 헤드(20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필터하우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하우징이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함체 120: 걸림단
121: 걸림돌기 130: 거치돌출부
131: 개방홈 200:헤드
230: 체결걸림돌출부 300:링너트
340: 거치돌기
삭제

Claims (9)

  1. 상부가 개구된 통 형상의 부재로, 상단부에 형성되며 외향 돌출된 결합턱 및 걸림돌기를 가지는 복수 개의 걸림단들을 구비하며, 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몸체를 뒤집은 상태에서 링너트의 걸치돌기가 관통한 후 상기 링너트를 회전시키면 걸림되도록 상기 거치돌기가 관통되는 개방홈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몸체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되는 거치돌출부를 구비하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하부가 개구된 통 형상의 부재로, 하단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마련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함체의 상단부에 거치 시, 상기 걸림단에 내삽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와 걸림되어 상기 함체와의 상대위치를 고정시키는 체결걸림돌출부를 구비하는 헤드; 및
    상기 헤드의 나사산에 대응체결되는 나사산이 마련되어, 상기 헤드와 상기 함체를 결합시키며, 내주면에는 상기 함체에 외삽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돌출부에 걸림되어, 상기 함체의 외주면에 걸림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거치돌기가 구비되는 링너트를 포함하는 필터하우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너트는,
    상기 함체에 외삽된 상태로 상기 결합턱에 걸림되도록 내향 돌출된 체결턱을 더 포함하는 필터하우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너트는
    외주면에 형성되며,
    렌치를 체결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툴삽입홈을 더 포함하고,
    작업자가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필터하우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툴삽입홈은 "T" 형상인 것을 포함하는 필터하우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80085646A 2008-09-01 2008-09-01 필터하우징 KR101023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646A KR101023771B1 (ko) 2008-09-01 2008-09-01 필터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646A KR101023771B1 (ko) 2008-09-01 2008-09-01 필터하우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589A KR20100026589A (ko) 2010-03-10
KR101023771B1 true KR101023771B1 (ko) 2011-03-21

Family

ID=42177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646A KR101023771B1 (ko) 2008-09-01 2008-09-01 필터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37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798A (ko) * 2019-02-22 2020-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US11279610B2 (en) 2019-02-22 2022-03-22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ing device
US11549243B2 (en) 2019-02-22 2023-01-10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5148A (ko) * 2002-03-28 2005-03-11 마이크롤리스 코포레이션 필터 카트리지 구조물
KR200433925Y1 (ko) * 2006-09-29 2006-12-13 (주)엠에프테크 산업용 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5148A (ko) * 2002-03-28 2005-03-11 마이크롤리스 코포레이션 필터 카트리지 구조물
KR200433925Y1 (ko) * 2006-09-29 2006-12-13 (주)엠에프테크 산업용 여과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798A (ko) * 2019-02-22 2020-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2267887B1 (ko) * 2019-02-22 2021-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US11279610B2 (en) 2019-02-22 2022-03-22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ing device
US11549243B2 (en) 2019-02-22 2023-01-10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ing device
US11827540B2 (en) 2019-02-22 2023-11-28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ing device
US11866317B2 (en) 2019-02-22 2024-01-09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589A (ko)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09406B2 (ja) 注入口プラグ施錠装置
KR101017961B1 (ko) 진공 배관용 클램프
KR101023771B1 (ko) 필터하우징
KR101052293B1 (ko) 밸브 고정장치
KR101796003B1 (ko) 너트 제어수단을 갖는 진공배관용 클램프
JP2009222230A (ja) フィルタの回転を防止した航空機用エアフィルタ装置
WO2013000139A1 (zh) 一种电缆固定头
JP6104372B2 (ja) 少なくとも1つのねじロックを有する締付けリングクロージャ
KR101496984B1 (ko) 안전증 방폭 배선함
RU189674U1 (ru) Антивандальное болт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JP2009220809A (ja) カートリッジの施錠及び駆動用部材を有する航空機用エアフィルタ装置
JP5692851B2 (ja) 下部ノズルの固定装置
KR101796002B1 (ko) 진공배관용 클램프
JPH08237849A (ja) 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KR200439533Y1 (ko) 개폐밸브의 잠금장치
JP2559569Y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用保護キャップおよび保護キャップ用取り外し治具
KR101949792B1 (ko) 맨홀뚜껑 잠금장치
KR100572672B1 (ko) 잠금 및 해제가 용이한 밀폐캡
JP3113415U (ja) 配管用クランプ
KR200397897Y1 (ko) 커튼봉 고정구
KR200344016Y1 (ko) 유리문의 손잡이 고정장치
KR20160054056A (ko) 개폐형 래칫 렌치
KR101796004B1 (ko) 너트 제어수단을 갖는 진공배관용 클램프
JP2007255945A (ja) グローブポート用の閉止栓
JP3862953B2 (ja) 管連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5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