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3620B1 - Bogie Drop and Moving Equipment for Monorail Train - Google Patents
Bogie Drop and Moving Equipment for Monorail Trai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23620B1 KR101023620B1 KR1020090033917A KR20090033917A KR101023620B1 KR 101023620 B1 KR101023620 B1 KR 101023620B1 KR 1020090033917 A KR1020090033917 A KR 1020090033917A KR 20090033917 A KR20090033917 A KR 20090033917A KR 101023620 B1 KR101023620 B1 KR 1010236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norail
- trolley
- platform table
- rotational power
- bogi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08—Tracks for mono-rails with centre of gravity of vehicle above the load-bearing rail
- E01B25/10—Mono-rails; Auxiliary balancing rails; Supports or connections for r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3/00—Types of bogies
- B61F3/02—Types of bogies with more than one ax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노레일전동차의 중수선차량기지에서 모노레일전동차량의 타이어를 교환하거나 정비하기 위해서 대차를 차체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대차를 하부로 침하시킨 후, 90도로 회전시켜 대기하고 있는 정비빔으로 이동시키는 대차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승강수단으로서 잭스크루 4개를 이용하여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separating the truck from the vehicle body to replace or maintain the tire of the monorail electric vehicle in the heavy water vehicle base of the monorail electric vehicle, the submerged bogie down, and then rotated 90 degrees to the maintenance beam wait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olley separating apparatus, which has an advantage of always being horizontal by using four jack screws as a lifting means.
대차분리장치, 모노레일, 타이어교환 Trolley separator, monorail, tire change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노레일전동차의 중수선차량기지에서 모노레일전동차량의 타이어를 교환하거나 정비하기 위해서 대차를 차체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대차를 하부로 침하시킨 후, 90도로 회전시켜 대기하고 있는 정비빔으로 이동시키는 대차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separating the truck from the vehicle body to replace or maintain the tire of the monorail electric vehicle in the heavy water vehicle base of the monorail electric vehicle, the submerged bogie down, and then rotated 90 degrees to the maintenance beam waiting It relates to a trolley separating device for moving.
실용화된 경량전철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그 중의 하나는 모노레일전동차인 바, 이는 직사각형 단면의 콘크리트 빔(이하 주행 빔이라 칭함)을 교각으로 지지하여 공중에 설치하고 그 상부를 고무타이어들로 지지되는 전후 두 개의 대차로 달리는 전동차량이다. 이 모노레일차량용 대차는 주행빔 상면을 구르면서 차량하중을 지지하며 달리는 두 축의 고무타이어의 주행륜(이하 주행륜이라 칭함)과, 주행빔의 양쪽 측면을 구르는 4개의 고무타이어의 안내륜(이하 안내륜이라 칭함)과 , 전복을 방지하기 위해 주행빔의 양쪽 측면을 구르는 고무타이어의 두 개의 안정륜(이하 안정륜)을 갖는 구조이다. There are various kinds of light rail trains that have been put into practical use. One of them is a monorail train, which is installed in the air by supporting a concrete beam of rectangular cross s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riving beam) in a pier, and the upper part of which is made of rubber tires. It is an electric vehicle that runs on two front and rear bogies that are supported. This monorail vehicle bore supports the vehicle load while rolling the upper surface of the traveling beam, and the two driving whee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driving wheels) of two rubber tires, and four rubber tire guide wheels which roll both sides of the driving beam (hereinafter referred to as guide) Wheel) and two stabilizer whee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tabilizer wheels) of rubber tires that roll both sides of the traveling beam to prevent overturning.
그런데 이 대차의 고무타이어를 교체하는 등의 정비를 위해서는 대차를 차체 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바, 대차를 차체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차체를 대차의 상부로 들어올리는 수단을 생각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대용량의 천정크레인을 사용해야하며 또한 분리하고자 하는 대차만을 선별적으로 분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방법은 차체를 대차의 전후에서 가대차로 지지한 후에 대차를 하방으로 하강시킨 후 분리해 내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대차를 차체로 분리해 내기 위해 대차를 하부로 하강시키려면 대차 하부에 주행빔이 있으므로 하강이 불가능하게 된다.However, for maintenance such as replacing the rubber tires of the trolley,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trolley from the body, and in order to separate the trolley from the body, a means of lifting the body to the top of the trolley can be considered. Al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selectively separate only the balance to be separated. Another method is to separate the car body by lowering the car cart downwards after supporting the car body before and after the cart. However, in order to lower the bogie to the bottom in order to separate the bogie into the car body, there is a running beam at the bottom of the bogie, which makes it impossible to descend.
본 발명은 모노레일전동차의 대차(1)를 차체로부터 분리하는 장치로서, 차체를 대차의 전후에서 가대차로 지지해 두고, 대차가 얹힌 빔 부분을 잘라서 침하빔으로 만들어, 동 침하빔을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충분한 힘으로 지지하면서 안정적으로 하강/상승시킬 수 있는 승강장치를 만들고, 또한 하강시킨 대차를 그 하강상태에서 그대로 작업하는 것은 위험하므로 이를 작업공간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을 발명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separating the trolley (1) of a monorail electric vehicle from the vehicle body, and the vehicle body is supported by the carriage before and after the trolley, and the beam portion on which the trolley is mounted is cut out into a sinking beam, and the sinking beam is kept horizontal. It was invented a method of moving a moving device to a workspace because it is dangerous to make a lifting device that can stably descend / raise while supporting it with a sufficient force in a state, and to work the lowered bogie as it is in a lowered state.
본 발명은 대차가 놓인 주행빔의 일부를 잘라서 침하빔(3)으로 만들고, 그 하부에 상승/하강 시킬 수 있는 승강장치를 만들어 하강시킨 후, 침하빔(3)을 90도로 회전시켜 대기하고 있는 정비빔(9)과 연결시킨 후에 대차(1)를 굴러서 이동시키는 형식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of the traveling beam on which the truck is placed is cut into a sinking beam (3), a lifting device capable of raising / lowering on the lower part thereof is made and lowered, and then the sinking beam (3) is rotated by 90 degrees. After connecting with the bibeam (9) relates to the type of rolling by moving the trolley (1).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연결된 주행빔(2)에서 대차(1)와 함께 하강/상승할 수 있는 길이 만큼의 일부 구간를 잘라서 침하빔(3)을 형성하고, 침하빔의 하부를 지지하며 침하빔을 회전시킬 수 있는 플렛폼테이블(4)을 형성하고, 플렛폼테이블(4)의 하부를 지지하며 플렛폼테이블(4)과 침하빔(3)을 함께 상승/하강 시키는 승강수단(5)를 설치하고, 하강된 상태의 플렛폼테이블(4)상에서 침하빔(3)을 회전시키는 회전장치(6)를 갖추며, 90도 회전된 침하빔(3)을 정비빔(9)과 연결시킨 후, 대차(1)를 침하빔(3)으로부터 정비빔(9)로 굴러서 이동 시킨 후 대차의 정비작업을 행할 수 있게 하여 모노레일 대차분리장치를 구성하게 되었다. To explain this in detail, a part of the length of the connected driving beam (2) with the bogie (1) can be lowered / ascended to form a sinking beam (3),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sinking beam and rotate the sinking beam Forming platform table (4) that can be made,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form table (4) and installing the lifting means (5) for raising / lowering the platform table (4) and the sinking beam (3) together, It is equipped with a rotating
플렛폼테이블(4)을 상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5)으로서는 본 발명의 한가지 적용례인 (도 13)과 같이 유체실린더(5g)를 사용할 수 있으며, 유체실린더는 유압실린더, 수압실린더, 공압실린더를 포함한다. 또 다른 승강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용예인 (도 9)에서와 같이 잭스크루를 4개 사용하는 방법과 본 발명의 일례인 (도 10)과 같이 잭스크루(5f)를 2개 사용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As the elevating means 5 for raising / lowering the platform table 4, a
침하빔(3)을 플렛폼테이블(4)의 상부에서 회전시키는 수단으로서의 회전장치(6)는 그 일례로서 (도 14)와 같이 포크레인 등 건설중장비에서 많이 상용되고 있는 선회베어링(6a)과 요우기어(6b)를 사용하며, 요우기어를 구동하는 회전구동모터(6c)로는 유압모터 또는 전동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모노레일전동차에서 대차를 차체로부터 분리해 내는 수단을 제공하므로써, 차체의 편성을 해체하지 않고 분리하고자 하는 해당 대차만을 분리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게 되었다.By providing a means for separating a bogie from a body in a monorail electric vehicle, a means of separating only the bogie to be separated without disassembling the vehicle body has been provided.
승강수단(6)으로는 다수 개의 잭스크루를 사용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는데, 상부에 얹힌 대차의 수평을 유지한 채로 상하운동을 시키야 하는데, 각각의 잭스크루가 독립적으로 운동한다면 수평유지가 곤란하게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적용례는 도 9에서 보여주고 있는 바와 같이 잭스크루 4개를 기계적으로 연동시켜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도 9를 상세히 설명하면, 구동모터(5a)의 회전동력은 양축 출력형의 베벨기어1(5b)을 통해 두축으로 동력이 나눠지고, 각각의 동력은 다시 프로펠러샤프트1(5c)을 거친 후 각각 베벨기어2(5d)를 거쳐 양축 동력으로 분산된 후 프로펠러샤프트2(5e)를 거쳐서 4개의 잭스크루(5f)로 동력이 전달된다. 잭스크루(5f)는 회전축의 동력을 입력받아서 직각방향으로 수직축 이동식으로 큰 힘을 발생시키는 제품으로서 이미 국내외에서 대량생산되고 있는 제품을 사용하면 된다. 이 발명의 특징은 양축베벨기어를 2단 직렬로 연결하여 3개를 사용하므로써 4개의 잭스크루를 서로 기계적으로 연동시켜 동작하게 구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침하빔(3)의 하부에 있는 플렛폼테이블(4)을 상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5)을 구성하므로써 완벽하게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잭스크루의 특징은 자동체결특성이 있어 구동모터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도 미끄러져 내려오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As the elevating means (6), a method of using a plurality of jack screws can be considered. Up and down movements should be performed while maintaining the level of the bogie on the upper part. do.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overcoming this problem can be solved by mechanically interlocking four jack screws as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ure 9 in detail, the rotational power of the drive motor (5a) is divided into two axes through the bevel gear 1 (5b) of the two-axis output type, each of the power is passed through the propeller shaft 1 (5c), respectively After the bevel gear 2 (5d) is distributed to both shaft power, the power is transmitted to the four jack screws (5f) via the propeller shaft (2e). The
본 발명의 승강장치의 또 다른 적용례는 도 10에서와 같이 잭스크루를 두개 사용하는 방법인바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구동모터(5a)의 회전동력은 양축 출력형의 베벨기어1(5b)을 통해 두축으로 동력이 나눠지고, 각각의 동력은 프로펠러샤프트1(5c)을 거친 후 2개의 잭스크루(5f)로 동력이 전달된다. 잭스크루(5f)는 회전축의 동력을 입력받아서 직각방향으로 수직축 이동식으로 큰 힘을 발생시키는 제품으로서 이미 국내외에서 대량생산되고 있는 제품을 사용하면 된다. 그런데 이 경우에 두 개의 잭스크루(5f)는 기계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어 완벽하게 연동되어 동작하므로 상승/하강이 동시에 이루어져서 상부가 기울어지지 않으나, 그 직각방향으로는 지지력이 없으므로 몹시 불안정한 상태에 있게 된다. Another application example of the lif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using two jack screws as shown in FIG. 10. The rotational power of the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승강가이드장치(10)을 발명하게 되었다. 도 11과 도 12에서 그 구조를 자세히 나타내었는 바, 두개의 가이드랙(10a)은 기초벽면(11)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서로 평행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기어형상를 가지는 직선의 랙이며, 두 개의 피니언(10b)은 가이드랙(10a)과 맞물려서 상하방향으로 오르내리며 직선운동을 하는 기어로서 그 축인 피니언축(10c)에 의해 두개의 피니언(10b)가 동시에 회전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11의 상부에 보인 평면도에서 볼 때 전방과 후방이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고 기울어지려면 전방/후방측 피니언(10b)의 회전중심의 상하방향 승강속도가 달라져야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전방/후방측 피니언(10b)이 가이드랙(10a)를 따라 승강운동하므로,각각의 회전속도가 달라져야 하지만 두개의 피니언(10b)은 피니언축(10c)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동일한 회전속도 움직일 수 밖에 없게 되어 있으며, 따라서 가이드랙을 따라 움직이는 승강속도도 같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그 위에 얹혀진 플렛폼테이블(4)는 전/후방측의 기울어짐이 없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만 승강할 수 있게 된다. 좌우측의 기울어짐도 없이 수평을 유지하려면 이 승강장치(10)를 플렛폼테이블의 전.후방에 배치하면 동일한 원리로 수평을 유지하는 수단이 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이 승강가이드장치(10)는 플렛폼테이블(4)를 수평으로 유지하면서 승강운동을 하도록 하는 기능과 함께 기초벽면(11)과의 간극을 유지하는 역할도 한다. The
이상의 역할을 하는 승강가이드장치는 도13과 같이 한개의 유압실린더를 사 용하는 경우나, 도 10과 같이 두개의 스크루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틸팅을 방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기구로서 고안되었으며, 도 9와 같이 4개의 스크루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전후 좌우 쏠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유용한 수단이 되는 것이다. The lifting guide device which plays the above role is designed as an essential mechanism to prevent tilting when using one hydraulic cylinder as shown in FIG. 13 or when using two screws as shown in FIG. 10, as shown in FIG. Even if four screws are used, it is a useful means to prevent front, rear, left and right deflection.
본 발명의 동작순서를 도 5부터 도 8까지에서 설명하면;The operational sequ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도 5에서와 같이 주행빔(2)을 타고 온 대차(1)가 중앙의 침하빔(3)으로 이동한다.1) As shown in FIG. 5, the trolley 1 riding the
2) 도 6에서와 같이 대차(1)가 침하빔(3)에 놓이면 승강장치(5)에 의해 하강하므로써 차체로부터 분리된다.2) As shown in Fig. 6, when the trolley 1 is placed on the settling
3) 도 7에서와 같이 대차(1)가 침하빔(3)에 놓여서 하강한 후에 침하빔(3)이회전장치(6)에 의해 플렛폼테이블(4) 상에서 일정각도로 회전하여 정비빔(9)과 연결된다.3) As shown in FIG. 7, after the trolley 1 is placed on the
4) 도 8에서와 같이 대차(1)가 침하빔(3)으로부터 정비빔(9)상으로 굴러서 이동한다. 4) As shown in FIG. 8, the trolley | bogie 1 rolls and moves on the
이상의 순서로 대차의 분리공정이 이루어지게 되며, 반대로 대차의 조립공정은 상기의 역순으로 이루어지게 된다.In the above-described order, the step of separating the bogie is made, on the contrary, the step of assembling the bogie is made in the reverse order.
이 대차분리장치를 보다 안전하게 하기 위한 장치로서 다음과 같은 장치를 구성하게 되었다.: To make this trolley safer, the following devices were constructed:
- 플렛폼테이블(4)이 하강한 이후에 더 이상의 하강을 방지하고 수평으로 확실히 지지해 주기 위해 복수개의 테이블스포트(8)를 기초바닥(12)상에 설치하며;After the platform table 4 has been lowered, a plurality of
- 침하빔(3)이 주행빔(2)과 연결된 상태와, 침하빔(3)이 정비빔(9)과 연결된 상태를 각각 확실히 보장하기 위하여 로킹장치(7)를 설치하는 것을 고안하였다. 로킹장치(7)는 침하빔의 양단의 내부에서 로킹핀을 돌출시켜 연결하고자하는 대상( 주행빔 또는 정비빔)의 구멍에 끼워넣는 방식으로 하고 핀의 돌출수단은 유압실린더 또는 기계적인 장치로 적용이 가능하다. It has been devised to install the locking device 7 in order to ensure that the
모노레일전동차의 차량정비기지에서 대차를 차체로부터 분리하여 타이어 등대차의 각종 구성품을 안전하게 교환하고 정비할 수 있는 수단되는 모노레일전동차용 대차교환장치를 발명하게 되었다. In the vehicle maintenance base of the monorail electric vehicle, the invention has been invented a monorail electric vehicle balance changing device which is capable of safely replacing and maintaining various components of the tire lighthouse by separating the bogie from the vehicle body.
도 1 은 본 발명의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의 우측면도이다2 is a right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부터 도 8은 본 발명의 대차분리순서를 보여주는 작동순서도이다 :5 to 8 is a flow chart showing the balance separation o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대차(1)가 주행빔(2)에서 침하빔(3)으로 진입하기 전의 상면도와 정면도이다.6 is a top view and a front view before the trolley 1 enters the
도 7은 대차가 주행빔에서 침하빔으로 진입한 상태의 상면도와 정면도이다.7 is a top view and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truck enters the settling beam from the traveling beam.
도 8은 침하빔이 침하한 후 90도 회전한 상태로 정비빔과 연결된 상태의 상면도와 정면도이다.8 is a top view and a front view of the sinking beam connected to the maintenance beam in a state rotated 90 degrees after the sinking.
도 9는 본 발명의 승강수단(5)의 일례인 잭스크루 4개를 사용한 적용도이다.9 is an application diagram using four jackscrews as an example of the elevating means 5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승강수단(5)의 일례인 잭스크루 2개를 사용한 적용도이다.Fig. 10 is an application diagram using two jack screws as an example of the lifting means 5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승강가이드장치(10)의 상면도와 측면도이다.11 is a top view and a side view of the elevating
도 12은 본 발명의 승강가이드장치(10)의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fting
도 13은 본 발명의 승강수단(5)의 일례인 유체실린더를 사용한 적용도이다.Fig. 13 is an application diagram using a fluid cylinder which is an example of the lifting means 5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은 본 발명의 회전장치(6)의 일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14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 : 대차1: bogie
2 : 주행빔2: traveling beam
3 : 침하빔3: sinking beam
4 : 플렛폼테이블4: platform table
5 : 승강수단5: lifting means
5a : 구동모터 5a: drive motor
5b : 베벨기어 5b: Bevel Gear
5c : 프로펠러샤프트1 5c: Propeller Shaft 1
5d : 베벨기어 5d: Bevel Gear
5e : 프로펠러샤프트2 5e:
5f : 잭스크루 5f: Jackscrew
5g : 유체실린더 5g: fluid cylinder
6 : 회전장치6: rotating device
6a : 선회베어링 6a: Slewing Bearing
6b : 요우기어 6b: You Gear
6c : 회전구동모터 6c: Rotary drive motor
7 : 로킹장치7: locking device
8 : 테이블스포트8: Table Spot
9 : 정비빔9: maintenance beam
10 : 승강가이드장치10: lifting guide device
10a : 가이드랙 10a: guide rack
10b : 피니언 10b: pinion
10c : 피니언축 10c: pinion shaft
11 : 기초벽면11: foundation wall surface
12 : 기초바닥12: foundation bottom
13 : 베이스플레이트 13: Base Plate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33917A KR101023620B1 (en) | 2009-04-18 | 2009-04-18 | Bogie Drop and Moving Equipment for Monorail Trai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33917A KR101023620B1 (en) | 2009-04-18 | 2009-04-18 | Bogie Drop and Moving Equipment for Monorail Trai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15269A KR20100115269A (en) | 2010-10-27 |
KR101023620B1 true KR101023620B1 (en) | 2011-03-21 |
Family
ID=43134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33917A KR101023620B1 (en) | 2009-04-18 | 2009-04-18 | Bogie Drop and Moving Equipment for Monorail Trai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2362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0717B1 (en) | 2017-11-02 | 2019-03-25 | 주식회사 대림모노레일 | Transfe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pairing a monorail vehicle in running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910950B (en) * | 2018-12-20 | 2024-05-24 | 中铁高新工业股份有限公司 | Magnetic levitation vehicle suspension maintenance equipment and method |
CN110143219B (en) * | 2019-06-19 | 2024-03-01 | 中铁工程机械研究设计院有限公司 | Suspension type train assembling static adjustment maintenance bench |
CN112110375B (en) * | 2020-09-15 | 2022-05-06 | 中铁轨道交通装备有限公司 | Bogie unloading equipment |
CN118220219B (en) * | 2024-05-27 | 2024-07-19 | 甘肃农业大学 | Single-track conveyor convenient for mountain picking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74720B1 (en) * | 1996-01-24 | 1999-04-15 | 유철진 | A bogie device of rail car |
KR100796346B1 (en) | 2007-12-03 | 2008-01-21 | 한국철도공사 | Turn table for overhaul of train |
JP2008230554A (en) | 2007-03-23 | 2008-10-02 | Tsubakimoto Chain Co | Self-traveling conveying truck |
-
2009
- 2009-04-18 KR KR1020090033917A patent/KR10102362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74720B1 (en) * | 1996-01-24 | 1999-04-15 | 유철진 | A bogie device of rail car |
JP2008230554A (en) | 2007-03-23 | 2008-10-02 | Tsubakimoto Chain Co | Self-traveling conveying truck |
KR100796346B1 (en) | 2007-12-03 | 2008-01-21 | 한국철도공사 | Turn table for overhaul of trai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0717B1 (en) | 2017-11-02 | 2019-03-25 | 주식회사 대림모노레일 | Transfe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pairing a monorail vehicle in runn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15269A (en) | 2010-10-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725732B1 (en) | Vehicle lifting mechanism and automatic power conversion system | |
KR101023620B1 (en) | Bogie Drop and Moving Equipment for Monorail Train | |
CN211543559U (en) | Wheel changing system | |
CN110655015B (en) | Trackless self-propelled platform car for subway tunnel maintenance | |
CN201232010Y (en) | Long ton rotary crown block | |
KR20140052554A (en) | Self-propelled lift for transferring heavy structure | |
CN110748215A (en) | Suspension train warehouse-in and warehouse-out system, suspension train transfer device and suspension garage | |
CN213387661U (en) | BOP shifting and transporting device | |
CN213013952U (en) | Highway bridge anticollision wall template dismouting construction operation platform truck | |
CN211310731U (en) | Movable locomotive overhauling device | |
CN116040477B (en) | Crane for automatic oxidation workshop | |
CN113148057A (en) | Ship propeller mounting engineering vehicle | |
CN212454214U (en) | Movable small platform for low-altitude operation | |
CN210393483U (en) | Longitudinal climbing device for super-huge steel structure | |
CN112081438B (en) | Transverse moving trolley with telescopic automatic leveling device for vertical lifting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 |
CN211691372U (en) | Railway tunnel construction platform | |
CN118183557A (en) | Stacker crane moving device and stacker crane comprising same | |
CN202945842U (en) | Double upright column parking garage with bottomed parking space capable of moving in horizontal mode | |
JP2020082777A (en) | Railway vehicle truck exchange equipment | |
CN220720736U (en) | Wheel changing device of monorail vehicle | |
CN212503792U (en) | Transport assembly and track assembly | |
CN211103847U (en) | Novel auto repair support | |
CN220059072U (en) |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 |
CN108032959B (en) | Running gear and adopt this running gear's multi-functional automatic mounting plate of trackless | |
CN218754821U (en) | Floor type lift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