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3344B1 - 콘크리트 구조물의 홈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홈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3344B1
KR101023344B1 KR1020080063233A KR20080063233A KR101023344B1 KR 101023344 B1 KR101023344 B1 KR 101023344B1 KR 1020080063233 A KR1020080063233 A KR 1020080063233A KR 20080063233 A KR20080063233 A KR 20080063233A KR 101023344 B1 KR101023344 B1 KR 101023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concrete structure
anchor
groove form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120A (ko
Inventor
장일도
Original Assignee
장일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일도 filed Critical 장일도
Priority to KR1020080063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3344B1/ko
Publication of KR20100003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B66C1/6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for connection to anchor inserts embedded in concret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성형하기 위한 몰드에 장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홈을 성형하고, 견인장치의 후크가 연결되는 앵커의 상단이 상기 홈에 노출된 상태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앵커를 고정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홈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 앵커, 포머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홈성형장치{APPARATUS FOR FORMING GROOVE OF CONCRETE PRECAS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성형하기 위한 몰드에 장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홈을 성형하고, 견인장치의 후크가 연결되는 앵커의 상단이 상기 홈에 노출된 상태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앵커를 고정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홈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널, 벽체, 보, 관 및 격벽 등을 시공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콘크리트구조물은 대부분 수 톤이나 수십 톤의 중량을 가지므로 대형 크레인과 같은 외부 견인부재를 통해서 인양, 이송, 운반 또는 조립작업을 수행한다.
종래의 작업현장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크게, 콘크리트구조물을 와이어 로프로 감아 크레인과 같은 외부 견인부재로 이송하는 방법과, 콘크리트구조물의 외부로 노출된 인양용 고리 또는 앵커에 외부 견인부재의 견인후크 또는 견인로프를 걸어서 이송하는 방법으로 구별되었다.
그러나, 전자의 방법은 이송을 위한 체결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인력소모가 심할 뿐만 아니라 작업이 매우 위험한 단점을 지니고 있으며, 후자의 방법은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 상기 인양용 고리 또는 앵커가 콘크리트구조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음은 물론 상기 인양용 고리 또는 앵커가 콘크리트구조물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다단 적층하여 이송하거나 보관할 수 없다는 문제점, 그리고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상기 인양용 고리 또는 앵커를 산소 용접기 등을 사용하여 제거해야 한다는 문제점 등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191011호(콘크리트구조물 인양용 삽입앵커),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29791호(콘크리트조립체의 행거셋트)와 같은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191011호(콘크리트구조물 인양용 삽입앵커)는 콘크리트구조물의 내부에 매입되는 매입부의 하단부를 절곡형성함으로써 삽입앵커와 콘크리트구조물의 결합력을 다소 향상시킨 점을 인정할 만하나, 여전히 상기 삽입앵커의 선단이 콘크리트구조물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다단 적층이 불가능하다는 점, 설치 완료 후 별도로 상기 삽입앵커의 절단작업을 수반해야된다는 점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여전히 지니고 있다.
한편, 상기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29791호(콘크리트조립체의 행거셋트)는 앵커와 행거를 분리구성하고, 앵커고정구를 이용하여 상기 앵커의 선단이 콘크리트구조물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한 점은 탁월하나, 상기 앵커와 상기 행거의 결합이 고정적이지 않아 콘크리트조립체의 이송시 외부충격이나 진동, 또는 무게중심의 불균형 등과 같은 외부적 요인이 초래되면 상기 행거가 상기 앵커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다분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콘크리트구조물 이송용 체결장치를 등록특허 제10-635216호로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구조물에 삽입부재(앵커)의 상단부가 일부노출되도록 수용하는 반구형상의 홈부를 콘크리트구조물 제조시 성형하기 위한 포머(홈성형부재)를 몰드에 고정하기 불편하고, 콘크리트구조물의 양생 후 콘크리트구조물로부터 포머(홈성형부재)를 분리제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어, 이 문제점의 해결이 과제로서 존재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홈성형부재를 간편하게 몰드에 고정하고, 몰드 내에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콘크리트구조물이 제조된 후 콘크리트구조물로부터 홈성형부재를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작업성이 매우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홈성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성형하기 위한 몰드에 장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홈을 성형하고, 견인장치의 후크가 연결되는 앵커의 상단이 상기 홈에 노출된 상태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앵커를 고정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홈성형장치에 있어서,
상부면이 평면상태이고 전체 또는 저부의 일부분이 세로방향으로 절개되고 저부에 앵커의 상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앵커고정홈이 형성된 반구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 상부면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몰드의 고정슬릿에 관통되는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ㄱ'자 형상의 고정편이 구비된 홈성형부재와;
상기 홈성형부재의 고정편이 상기 몰드의 고정슬릿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몰드의 저부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편을 수용하는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에 상향경사진 상태로 연통형성되어 상기 고정편을 상측으로 견인하는 경사홈과, 상기 경사홈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연통형성되어 상기 경사홈에 견인된 상기 고정편이 안 착되는 수평홈이 형성된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홈성형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홈성형부재의 몸체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홈성형부재의 상부면은 양측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홈성형부재의 몸체는 전체가 이등분되어 형성된 제1몸체와 제2몸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의 내주면의 테두리의 일부 또는 전체에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몸체의 끼움돌기가 게재되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재는 하부에 상기 수용홈, 경사홈 및 수평홈이 양측에 형성된 관체와, 상기 관체의 상부의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손잡이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를 위한 몰드에 앵커를 삽입고정한 상태로 홈성형부재를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고, 몰드 내에 투입된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이 완성된 후 콘크리트 구조물과 상기 앵커로부터 상기 홈성형부재를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작업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홈성형장치를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홈성형장치를 몰드(70)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홈성형장치는 도 1과 같이 크게 앵커(30)의 상단이 삽입고정되는 반구형상의 홈성형부재(10)와, 상기 홈성형부재(10) 상부면을 몰드(70)의 저면에 밀착고정시키는 고정부재(50)로 이루어진다.
도 2는 홈성형부재(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B-B선에 따른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먼저, 상기 홈성형부재(10)는 도 2와 같이 반구형상의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 상부면의 양측에 형성된 'ㄱ'자 형상의 고정편(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10)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조하기 위한 몰드(70)의 저부에 고정되어 홈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면이 평면상태이고 저부의 일부분이 세로방 향으로 절개된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10)의 일부분이 세로방향으로 절개(112)되어 있어, 몰드(70)에 투입된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이 완성된 후 상기 몸체(110)를 양측으로 벌려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몸체(110)의 저부에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앵커(30)의 상단이 삽입고정되는 앵커고정홈(114)이 형성된다. 상기 앵커고정홈(114)은 상기 앵커(30)의 상단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저부가 절개되어 이등분된 상기 몸체(110)를 외측으로 벌린 상태에서 상기 앵커(30)의 상단을 상기 앵커고정홈(114)에 삽입한 후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앵커(30)의 상단이 상기 앵커고정홈(114)에 고정된다.
상기 몸체(110)는 상기 앵커고정홈(114)에 상기 앵커(30)의 상단을 용이하게 삽입고정하고,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해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도 5는 상부면이 양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상태의 몸체(110)의 측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한편, 도 5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상부면이 양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α)진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10)가 도 1과 같이 상기 고정부재(50)에 의해 몰드(70)의 저부면에 밀착고정될 때 상기 몸체(110)의 상부면이 양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우 절개된 상기 몸체(110)의 저부가 내측으로 밀착됨으로써 몰드(70) 내에 투입된 콘크리트가 상기 몸체(110)의 절개공간으로 투입되 는 것을 방지하여 고품질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얻을 수 있다.
도 6은 이등분된 몸체(1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몸체를 도 2와 달리 도 6과 같이 제1몸체(110a)와 제2몸체(110b)로 전체 이등분하여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에 도시된 상기 몸체의 경우 저부에 상기 앵커고정홈(114)을 형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생산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으나, 도 6과 같이 상기 몸체(110a,110b)를 이등분하여 형성하는 경우 상기 앵커고정홈(114)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어 생산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이등분된 상기 몸체(110)의 틈사이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몸체(110a)의 내주면의 테두리에 끼움돌기(미도시)를 형성하고, 상기 제2몸체(110)의 내주면에 상기 제1몸체(110)의 끼움돌기가 삽입되는 끼움홈(118)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홈성형부재(10)의 고정편(130)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상부면의 양측에 각각 'ㄱ'자 형성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편(130)은 상기 몸체(110)의 상부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지지편부(132)와, 상기 지지편부(132)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된 삽입편부(134)로 이루어진다.
도 7은 고정부재(5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고정부재(50)의 관체(510) 일부의 측면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이고, 도 9는 홈(530) 에 홈성형부재(10)의 고정편(130)을 삽입한 후 고정부재(50)을 회전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이다.
상기 고정부재(50)는 도 7과 같이 몰드(70)의 저부상에 상기 홈성형부재(10)를 밀착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홈성형부재(10)의 고정편(130)을 수용하여 상측으로 견인시킨 상태로 고정하는 홈(530)이 형성된 관체(510)와, 상기 관체(510)의 상부의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손잡이부(550)로 이루어진다.
상기 관체(510)에 형성된 홈(530)은 도 8과 같이 상기 홈성형부재(10)의 고정편(130)이 상기 몰드(70)의 고정슬릿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몰드(70)의 저부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편(130)을 수용하는 수용홈(532)과, 상기 수용홈(532)에 상향경사진 상태로 연통형성되어 상기 고정편(130)을 상측으로 견인하는 경사홈(534)과, 상기 경사홈(534)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연통형성되어 상기 경사홈(534)에 견인된 상기 고정편(130)이 안착되는 수평홈(536)으로 이루어진다.
도 9와 같이 상기 관체(510)에 형성된 홈,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홈(532)에 상기 홈성형부재(10)의 고정편(130)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관체(510)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편(130)의 삽입편부(134)가 상기 경사홈(534)의 경사면(534a)을 따라 상측으로 견인된 후 상기 수평홈(536)에 안착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홈성형부재(10)는 상기 고정부재(50)에 의해 몰드(70)의 저면에 밀착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홈성형부재(10)를 상기 고정편(130)과 상기 고정부재(50)의 나사 결합에 의해 몰드(70)에 고정시키지 않고 도 9와 같이 고정시킴에 따라 나사선에 콘크리트가 고착되거나 나사선이 마모될 우려없이 상기 고정부재(50)의 일정각도의 회전에 의해 상기 홈성형부재(10)를 몰드(70)에 밀착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도 10은 일부 몰드(70), 홈성형부재(10) 및 앵커(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앵커(30)가 고정된 홈성형부재(10)가 몰드(70)의 저부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12는 고정부재(50)를 회전시켜 홈성형부재(10)를 몰드(70)의 저면에 밀착고정시키는 상태를 나태내는 도면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을 성형하기 위한 몰드(70)에는 도 10과 같이 상기 홈성형부재(10)의 고정편(130)이 관통되는 고정슬릿(710)이 형성된다.
먼저 상기 홈성형부재(10)의 몸체(110)에 형성된 앵커고정홈(114)에 상기 앵커(30)의 상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도 11과 같이 상기 홈성형부재(10)의 고정편(130)을 상기 몰드(70)의 고정슬릿(710)에 상측으로 관통시켜 상기 몰드(70) 상에 고정편(130)을 노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50)의 홈에 상기 홈성형부재(10)의 고정편(130)이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부재(50)를 몰드(70)에 안착(도 12의 a)시킨 후 상기 고정부재(50)의 손잡이부(550)를 회전시켜 상기 고정부재(50)의 관체(510)를 회전시키면 상기 홈성형부재(10)의 고정편(130)이 상측으로 견인된 상태로 안착고정(도 12의 b)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50)의 일정각도의 회전에 의해 간편하게 상기 홈성형부재(10)는 몰드(70)의 저부에 밀착고정된다.
도 13은 몰드(70) 내에 콘크리트를 투입시킨 후 양생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는 고정부재(50)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15는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홈성형부재(10)를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은 반구형상의 홈이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고정부재(50)에 의해 상기 홈성형부재(10)를 몰드(70)의 저부에 밀착고정시킨 후 도 13과 같이 몰드(70)에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양생시켜 콘크리트 구조물(90)을 제조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50)를 반대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시켜 상기 홈성형부재(10)의 고정편(130) 및 몰드(70)로부터 도 14와 같이 분리시키고, 몰드(70)를 공구 등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분리시킨다.
그리고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된 상기 홈성형부재(10)를 분리시킨다. 이때 도 15의 a와 같이 상기 홈성형부재(10)의 고정편(130)을 상기 고정부재(50)의 손잡이부(550)를 끼움고정한 후 도 15의 b와 같이 상측방향으로 들어올리면 간편하게 상기 홈성형부재(10)의 몸체(110)의 일부분이 콘크리트 구조물(90)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홈성형부재(10)를 콘크리트 구조물(90)로부터 분리시키면 도 16과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90)에 반구형상의 홈(910)이 형성됨과 동시에 앵커(30)가 상 단이 상기 홈(910)에 노출된 상태로 하단부가 콘크리트 구조물(90)에 고정됨에 따라 간편하게 콘크리트 구조물(90)에 홈(910)을 성형시키고 앵커(3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홈성형장치를 몰드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종단면도이다.
도 2는 홈성형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B-B선에 따른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상부면이 양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상태의 몸체의 측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이등분된 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고정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고정부재의 관체 일부의 측면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이고,
도 9는 홈에 홈성형부재의 고정편을 삽입한 후 회전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이다.
도 10은 일부 몰드, 홈성형부재 및 앵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앵커가 고정된 홈성형부재가 몰드의 저부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12는 고정부재를 회전시켜 홈성형부재를 몰드의 저면에 밀착고정시키는 상태를 나태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몰드 내에 콘크리트를 투입시킨 후 양생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는 고정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15는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홈성형부재를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은 반구형상의 홈이 형성된 콘크르트 구조물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5)

  1. 콘크리트 구조물(90)을 성형하기 위한 몰드(70)에 장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90)에 홈(910)을 성형하고, 견인장치의 후크가 연결되는 앵커(30)의 상단이 상기 홈(910)에 노출된 상태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90)에 앵커(30)를 고정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홈성형장치에 있어서,
    상부면이 평면상태이고 전체 또는 저부의 일부분이 세로방향으로 절개되고 저부에 앵커(30)의 상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앵커고정홈(114)이 형성된 반구형상의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 상부면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몰드(70)의 고정슬릿(710)에 관통되는 'ㄱ'자 형상의 고정편(130)이 구비된 홈성형부재(10)와;
    상기 홈성형부재(10)의 고정편(130)이 상기 몰드(70)의 고정슬릿(710)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몰드(70)의 저부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편(130)을 수용하는 수용홈(532)과, 상기 수용홈(532)에 상향경사진 상태로 연통형성되어 상기 고정편(130)을 상측으로 견인하는 경사홈(534)과, 상기 경사홈(534)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연통형성되어 상기 경사홈(534)에 견인된 상기 고정편(130)이 안착되는 수평홈(536)이 형성된 고정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홈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성형부재(10)의 몸체(110)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홈성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성형부재(10)의 상부면은 양측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홈성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성형부재(10)의 몸체(110)는 전체가 이등분되어 형성된 제1몸체(110a)와 제2몸체(110b)로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110a)의 내주면의 테두리의 일부 또는 전체에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110b)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몸체의 끼움돌기가 삽입되는 끼움홈(11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홈성형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50)는 하부에 상기 수용홈(532), 경사홈(534) 및 수평홈(536)이 양측에 형성된 관체(510)와, 상기 관체(510)의 상부의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손잡이부(5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홈성형장치.
KR1020080063233A 2008-06-30 2008-06-30 콘크리트 구조물의 홈성형장치 KR101023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233A KR101023344B1 (ko) 2008-06-30 2008-06-30 콘크리트 구조물의 홈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233A KR101023344B1 (ko) 2008-06-30 2008-06-30 콘크리트 구조물의 홈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120A KR20100003120A (ko) 2010-01-07
KR101023344B1 true KR101023344B1 (ko) 2011-03-18

Family

ID=41813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233A KR101023344B1 (ko) 2008-06-30 2008-06-30 콘크리트 구조물의 홈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33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3683U (ko) * 1989-08-12 1991-04-03
JPH06167056A (ja) * 1992-11-30 1994-06-14 Kunimoto Shokai:Kk 鉄製コンクリート型枠用インサート取付け金具
JPH0827823A (ja) * 1994-07-18 1996-01-30 Oike:Kk コンクリート製品およびその吊り方法
JPH11323853A (ja) 1998-05-12 1999-11-26 Ooike:Kk 路上設置用コンクリート製ブロックおよび路上設置用コンクリート製ブロック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3683U (ko) * 1989-08-12 1991-04-03
JPH06167056A (ja) * 1992-11-30 1994-06-14 Kunimoto Shokai:Kk 鉄製コンクリート型枠用インサート取付け金具
JPH0827823A (ja) * 1994-07-18 1996-01-30 Oike:Kk コンクリート製品およびその吊り方法
JPH11323853A (ja) 1998-05-12 1999-11-26 Ooike:Kk 路上設置用コンクリート製ブロックおよび路上設置用コンクリート製ブロック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120A (ko) 201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70774A (ja) コンクリート製建材のコンクリート打ち時にアンカーを保持するための成形体
US10538926B2 (en) Lifting anchor assembly for precast concrete structures
KR100635216B1 (ko) 콘크리트구조물 이송용 체결장치
US6779312B2 (en) Anchoring device
KR100972150B1 (ko) 지주 고정용 기초블록 제작방법과 기초블록
KR101318721B1 (ko) 다기능레일을 이용한 중공슬래브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2334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홈성형장치
KR20120056115A (ko)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
KR100447474B1 (ko) 단열재용 인서트
KR200396305Y1 (ko) 문어통발의 구조
KR101247379B1 (ko) 콘크리트맨홀 거푸집
US5245806A (en) Concrete beam conduit guide
KR101020641B1 (ko) 철근콘크리트구조의 거푸집공사에서 합판거푸집에 고정되어 콘크리트구조물에 매립되는 전기박스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
KR20140021460A (ko) 복합 파일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014593B1 (ko) 재활용 환봉 무들 고리 제작방법
KR20100009320U (ko) 배관 연결용 관통 슬리브
KR100640242B1 (ko) 맨홀 제작용 절첩식 거푸집 및 이의 시공공법
AU2008203309B2 (en) Anchoring Device
CN211340584U (zh) 一种护栏底座
KR102571033B1 (ko)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2131736B1 (ko) 벽체 거푸집과 슬라브 거푸집 연결구조
KR20130045454A (ko) 단열데크 플레이트용 연결구
KR102217031B1 (ko) 벽체 거푸집과 슬라브 거푸집 연결구조
KR20100001611U (ko) 파일 보강캡
KR101130112B1 (ko) 배선박스와 그의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