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177B1 -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177B1
KR101022177B1 KR1020080135547A KR20080135547A KR101022177B1 KR 101022177 B1 KR101022177 B1 KR 101022177B1 KR 1020080135547 A KR1020080135547 A KR 1020080135547A KR 20080135547 A KR20080135547 A KR 20080135547A KR 101022177 B1 KR101022177 B1 KR 101022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mobile
message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5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7571A (ko
Inventor
김문식
나동걸
Original Assignee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김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김문식 filed Critical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Priority to KR1020080135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2177B1/ko
Publication of KR20100077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7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8Message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a) 모바일을 통한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이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에 포함된 수신을 원하는 서비스번호를 선택하여 입력하면 이동통신사의 기지국을 거쳐 서비스제공업체의 관리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b) 상기 관리서버는 해당 이동통신말기와 보호대상자의 교통카드 정보를 요구하고, 이동통신단말기로 교통카드 정보를 입력하면 관리서버는 입력된 정보를 이용자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보호대상자가 교통카드를 대중교통의 이용 및 출입을 위하여 교통카드단말기에 접속하면, 교통카드단말기에서 교통카드의 정보를 독취한 후에 교통카드운영업체의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d) 상기 교통카드운영업체의 서버는 교통카드 정보를 이동통신사를 거쳐 서비스제공업체의 관리서버로 송신하고, 관리서버는 이용자정보데이터베이스에서 교통카드 정보에 해당하는 등록된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를 검색하는 단계; (e) 상기 관리서버는 메시지서버를 통해 각종 메시지정보가 저장된 메시지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메시지를 검색된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설정된 모바일 메시지를 이동통신사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이동통신사는 기지국을 통해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모바일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보호가 필요한 노약자의 출입 및 승하차 정보를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문자메시지로 전송함으로써, 보호자에게 노약자의 위치추적과 귀가를 위한 위치 등을 용이하게 파 악할 수 있고, 노약자의 사건사고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 이동통신사, 서비스제공업체, 문자메시지, 모바일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Mobile Message Service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철이나 버스 등의 교통수단 이용정보를 모바일 메시지로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범죄의 대상 가능성에 노출된 노인, 어린이, 청소년, 여성 및 치매환자 등을 포함하는 노약자의 안전을 위한 사회적인 보호시스템의 구축이 미비한 실정이다. 특히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에 군중들 속에서 납치나 폭행 또는 성범죄나 실종 등으로부터 안전을 보장받을 수 없다. 더욱이 노약자가 긴급이나 위험한 상황에서 구호를 요청하기가 어려운 경우에 노약자의 위치나 행방을 추적하는 것은 쉽지 않다.
종래에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노약자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추적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즉 위치추적서비스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한 노약자의 위치를 이동통신사의 기지국이 위치한 반경을 중심으로 100 미터 이내에 있음을 추적하여 표시하는 서비스이다.
그러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추적서비스는 이동통신사의 기지국을 기반으로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반경 범위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해당하는 위치의 기지국이 중첩되는, 예를 들어, 셀룰러방식이 적용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위치를 추적한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가 수 백 미터 이상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노약자의 안전한 보호를 위한 사회적인 기반시설이 취약하여 각종 안전사고로부터 노약자가 방치되고 있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지하철은 대중교통 중에서 상당히 많은 수의 승객을 수송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지하철을 이용하는 승객은 이동 중에 전동차 내에서 무료함을 달래기 위하여 짧은 수면을 취하거나 전동차 내에 부착된 각종 광고를 보거나 또는 신문이나 무가지 또는 책이나 잡지를 읽거나 게임기로 단순한 게임을 즐기는 것이 보통이다. 더욱이 통신기술의 발달과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에 힘입어 이동통신단말기로 TV(DMB 등)를 수신하여 시청하거나 다운받은 동영상 등을 본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단순한 오락성 게임이나 고액의 정보이용료가 부가되는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지인과의 문자메시지를 송수신한다.
이와 같이 지하철을 이용하는 승객들 대부분은 전동차로 목적지까지 이동하면서 다양한 정보를 습득하지만, 정작 목적지인 지하철역의 주변 정보를 얻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즉 자주 이용하거나 귀가를 위한 목적지인 지하철역에 대한 정보는 다소 알 수 있지만, 초행인 지하철역에 대한 정보나 자주 다니더라도 역 주변에서 할인행사를 하거나 이벤트를 진행 중이거나 맛있는 음식을 하는 가게나 음식점 등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노약자의 출입정보를 미리 설정해 둔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모바일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보호자에게 노약자의 귀가에 대한 근심을 덜어주는 것과 더불어 노약자의 사건사고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입력한 텍스트 단어에 해당하는 지하철역이나 버스 정류소 주변의 정보를 검색하여 모바일 메시지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모바일을 통한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이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에 포함된 수신을 원하는 서비스번호를 선택하여 입력하면 이동통신사의 기지국을 거쳐 서비스제공업체의 관리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b) 상기 관리서버는 해당 이동통신말기와 보호대상자의 교통카드 정보를 요구하고, 이동통신단말기로 교통카드 정보를 입력하면 관리서버는 입력된 정보를 이용자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보호대상자가 교통카드를 대중교통의 이용 및 출입을 위하여 교통카드단말기에 접속하면, 교통카드단말기에서 교통카드의 정보를 독취한 후에 교통카드운영업체의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d) 상기 교통카드운영업체의 서버는 교통카드 정보를 이동통신사를 거쳐 서비스제공업 체의 관리서버로 송신하고, 관리서버는 이용자정보데이터베이스에서 교통카드 정보에 해당하는 등록된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를 검색하는 단계; (e) 상기 관리서버는 메시지서버를 통해 각종 메시지정보가 저장된 메시지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메시지를 검색된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설정된 모바일 메시지를 이동통신사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이동통신사는 기지국을 통해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모바일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교통카드는 교통카드 기능이 있는 신용카드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대중교통에 장착된 교통카드의 정보를 독취하는 단말기는 버스의 승하차단말기, 지하철의 출입구단말기, 택시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모바일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MMS(Multimedia Massage Service) 중에서 선택적으로 송신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교통카드와 이동통신단말기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인터넷에 연결된 이용자단말기로 서비스제공업체의 웹서버를 통해 관리서버와 접속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모바일을 통한 역주변정보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이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에 포함된 수신을 원하는 서비스번호를 선택하 여 입력하면 이동통신사의 기지국을 거쳐 서비스제공업체의 관리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이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지하철 역명이나 버스 정류소명 또는 음식점을 텍스트 단어로 입력한 뒤에 관리서버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제공업체의 관리서버는 수신된 텍스트의 단어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서버는 메시지서버를 거쳐 광고정보제공업체가 제공한 역주변정보가 저장된 메시지정보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정보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광고정보제공업체의 정보를 이동통신사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사에서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역주변정보에 관한 모바일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고정보제공업체에서 메시지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정보는 텍스트별 또는 등록된 등급별로 자동 저장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상기 해결수단에 의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보호가 필요한 노약자의 출입 및 승하차 정보를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문자메시지로 전송함으로써, 보호자에게 노약자의 위치추적과 귀가를 위한 위치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노약자의 사건사고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용자가 입력하여 전송한 텍스트 문자로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지하철역이나 버스 정류소 주변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어 모바일 메시지를 통한 다양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 제공방법은 노약자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상황을 원격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문자서비스의 한 형태이다.
이동통신단말기(11)는 특정의 이동통신사에 가입되고, 이동통신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메시지(MMS)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문자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SMS)는 한정된 문자, 숫자나 기호 등의 단문을 각종 통신망을 통해 전달하는 서비스이다. 특히 인프라가 확충된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각종의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메시지의 송수신이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 문자메시지는 음성통화와는 달리 간단한 정보의 전달을 위하여 주로 이용되고 있다. 문자메시지는 개인과 개인 또는 기업과 개인 또는 기업과 기업 사이에 광고나 정보의 전달을 위하여 사용되고, 문자메시지는 일대일(1:1)로 전달하거나 하나의 기업이나 개인이 복수의 기업이나 개인에게 전달하는 일방향 서비스의 일종이다. 더욱이 문자메시지(SMS)는 한글 40자 이내의 80바이트(byte)의 단위정보를 제공하고, 전송망으로 음성망이 이용되며, 전송형태는 문자 위주의 텍스트(text)이다.
문자메시지(SMS)에 비하여 최근에는 멀티미디어메시지(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가 상용화되고 있다. 멀티미디어메시지(MMS)는 기존 문자메시지(SMS)의 크기(한글 40자 이내의 80바이트(byte)의 단위정보)와 미디어 한계를 초월하여 2,000바이트의 장문과 사진, 동영상, 배경음악, 그림 등을 첨부하여 동시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는 사용자인터페이스(UI)를 고객의 입장으로 구현하여 누구나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문자메시지와 멀티미디어메시지는 이용자가 소유한 이동통신단말기에 따라 적용이 달라질 수 있다.
이동통신사(20)는 해당하는 통신방식으로 복수의 기지국(22)을 통해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복수 이동통신단말기(11)로 음성을 비롯하여 문자, 이미지와 동영상 등의 정보를 중계하거나 또는 각종 서비스제공업체나 광고업체 또는 교통카드운영업체 등과의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11)로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망을 제공하고 서비스하는 것이다. 이동통신사(20)에는 인터넷의 접속을 위한 웹서버와, 송수신되는 정보의 관리를 위한 서버와, 그리고 각종의 정보를 입출력하는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다.
서비스제공업체(30)는 이동통신사(20)에 각종 모바일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이용자에게 모바일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문자, 이미지와 오디오를 포함하는 동영상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다. 서비스제공업체(30)는 이동통신사(20)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관리서버(31)가 구비되고, 관리서버(31)에는 이용자 정보를 포함한 각종 정보를 입출력하는 이용자정보데이터베 이스(32)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31)에는 메시지데이터베이스(34)에서 메시지 정보를 입출력하는 메시지서버(33)와 연결되어 있다. 메시지서버(33)는 해당하는 이용자가 요구하는 메시지의 종류(SMS 또는 MMS 등)나 형태(설정된 문구나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문구 등)에 따라 메시지데이터베이스(34)의 정보를 각색이나 편집한 후에 관리서버(31)로 송수신하는 것이다. 그리고 서비스제공업체(30)는 인터넷(60)을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하여 웹서버(35)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인터넷(60)을 거쳐 무선으로 모바일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교통카드운영업체(40)는 교통카드, 예를 들어, 현재 대중교통의 이용을 위하여 선불제로 이용되는 'T-머니' 카드의 판매, 충전과 관리 등을 하는 것이다. 교통카드운영업체(40)는 이동통신사(20)와 교통카드(55)의 이용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한다. 더욱이 교통카드운영업체(40)는 지하철, 버스 또는 택시 등에 장착된 교통카드단말기(50)로부터 교통카드(55)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이다. 교통카드운영업체(40)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하여 관리서버, 웹서버 및 복수의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교통카드로서 교통카드기능을 갖는 신용카드뿐만 아니라 어떠한 형태의 것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통상 대중교통으로 지하철이나 버스 또는 택시 등은 승차나 하차 때에 운임을 지불하기 위하여 교통카드나 신용카드를 이용한다. 교통카드는 선불제로 미리 충전된 비용을 지불하는 것이고, 신용카드는 후불제로 대중교통을 이용한 후에 일괄적으로 비용을 지불하는 것이다. 상용화된 교통카드 또는 교통카드기능이 포함된 신용카드 등을 이용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대중교통으로 지하철을 이용 하는 경우에는 개찰구에 해당하는 지하철출입구단말기가 구비되어 있고, 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버스승하차단말기가 구비되어 있으며, 택시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택시단말기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교통카드운영업체(40)는 지하철, 버스 또는 택시 등에서 노약자가 승하차를 하면서 교통수단에 장착된 교통카드단말기(50)에 교통카드(55)를 비접촉식으로 일정거리 이내에 위치시키면, 교통카드단말기(50)는 교통카드(55)의 정보를 읽어 들인 다음에 해당 교통카드의 정보를 교통카드운영업체(40)로 전송한다. 이때 교통카드운영업체(40)는 교통카드(55)의 정보 중에서 요금에 관한 정보 이외에 교통카드(55)의 사용정보를 이동통신사(20)로 송신한다.
한편, 서비스제공업체(30)는 이동통신단말기(11)로 지하철역이나 버스 정류소 등의 주변정보를 이용자가 선택하여 입력한 서비스번호와 텍스트 단어의 선택에 의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광고정보제공업체(70)가 인터넷(60)을 통해 웹서버(35)에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광고정보제공업체(70)는 서비스제공업체(30)의 관리서버(31)로 직접 연결될 수 있고, 인터넷(60)을 통한 웹서버(35)를 통해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제공업체(30)는 광고정보제공업체(70)에서 제공한 정보를 이용자정보데이터베이스(32) 등에 저장하였다가 이용자가 소유한 이동통신단말기(11)로 이용자가 이동하려는 지하철이나 버스 정류소의 주변 정보를 문자메시지나 멀티미디어메시지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해당하는 지하철역이나 버스 정류소 주변의 정보에는 주변의 공연이나 문화행사 정보, 업체의 가격정보나 쿠폰정보 및 행사 중인 업체, 초대권, 할인권, 신상품이나 약도 등의 정보를 제공하거나 뉴스, 만화나 음악, 유머 또는 영어한마디 등을 제공하여 무료한 지하철이나 버스 내에서 유익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하여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모바일 메시지를 제공하는 서비스는 이동통신사를 거쳐 이루어지고, 이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메뉴에는 노약자의 안심 귀가를 위한 위치추적에 관한 메시지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이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메뉴로서 대중교통으로서 지하철이나 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지하철역이나 버스 정류소 주변의 각종 정보를 메시지로 제공하는 것이다.
모바일을 통한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이용자(10)는 이용자단말기(12)를 이용하여 인터넷(60)을 거쳐 서비스제공업체(30)가 제공한 웹사이트에 접속한 다음에 관리서버(31)를 통해 서비스를 신청하거나 또는 이용자(10)의 이동통신단말기(11)를 이용하여 서비스번호를 선택 및 입력으로 서비스제공업체(30)의 관리서버(31)를 통해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즉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는 이동통신단말기(11)로 이동통신사(20)에 접속하거나 또는 이용자단말기(12)로 인터넷(60)을 통해 접속이 가능하다. 이는 이용자(10)의 편의에 의하여 선택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이용자(10)가 이동통신단말기(11)로 원하는 서비스번호를 선택하고 입력하거나 또는 이용자단말기(12)로 인터넷(60)을 거쳐 서비스제공업체(30)의 웹서버(35)에 접속하여 관리서버(31)에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1). 즉 이동통신단말기(11)에서 이동통신사(20)가 제공하는 각종의 정보이용을 위한 서비스번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하거나 이용자단말기(12)로 인터넷(60)에 접속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용자(10)는 이동통신단말기(11)의 서비스번호 중에서 노약자의 이동에 관한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바일 메시지의 수신을 선택하는 것이다. 서비스번호의 선택이 이루어지면 이동통신단말기(11)는 기지국(22)을 거쳐 이동통신사(20)로 송신하고, 이동통신사(20)의 서버(21)는 기지국(22)을 거쳐 수신된 신호를 판단하여 서비스제공업체(30)의 관리서버(31)에 접속한다(S11). 이때, 이동통신단말기(11)에서 이동통신사(20)로 메시지 정보를 전송하는 형태를 MO라고 한다. MO(Mobile Origination)는 이동통신단말기(11)에서 메시지의 흐름이 시작되는 것을 나타내고, 상호 양방향적인 정보 전달로 광고 및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다. MO서비스는 고객이나 일반인 등 누구나 이동통신사(20)로부터 부여받은 문자메시지(SMS)의 수신이 가능한 번호로 문자메시지를 보내면, 실시간으로 고객사가 원하는 매체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 서비스이다. MO서비스는 고객사 웹페이지 등에서 받아 볼 수 있으며, 반대로 문자메시지를 고객에게 보낼 수도 있는 양방향서비스이다.
상기 서비스제공업체(30)의 관리서버(31)는 해당하는 이용자(10)의 이동통신단말기(11)와 보호대상자가 소지한 교통카드(55)의 정보를 요구한다. 이용자(10)는 이동통신단말기(11)로 교통카드(55)의 정보를 입력하면 관리서버(31)는 입력된 정보를 이용자정보데이터베이스(32)에 저장한다(S12). 그리고 상기 교통카드(55)와 이동통신단말기(11) 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인터넷(60)에 연결된 이용자단말기(12)와 서비스제공업체(30)의 웹서버(35)를 통해 관리서버(31)에 접속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이동통신단말기(11)와 인터넷(60)을 통해 이용자단말기(12), 즉 컴퓨터를 통해 접속하여 교통카드(55)와 이동통신단말기(11)의 정보를 입력 및 등록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교통카드(55)는 교통카드 기능이 있는 신용카드 등도 포함된다.
서비스제공업체(30)에 등록이 이루어진 후에 노약자 등의 보호대상자가 교통카드(55)를 대중교통의 이용 및 출입을 위하여 교통카드단말기(50)에 접속하는지에 대한 이벤트 발생을 기다린다.(S13). 지하철이나 버스 또는 택시를 이용하는 경우에 교통카드단말기(50)에서 교통카드(55)의 정보를 독취한 후에 교통카드운영업체(40)의 서버(41)로 송신한다(S14). 상기 대중교통에 장착된 교통카드(55)의 정보를 독취하는 교통카드단말기는 버스의 승하차단말기, 지하철의 출입구단말기, 택시단말기 등이 포함된다. 더욱이 보호대상자가 지하철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출입구단말기를 모두 이용하므로 출입상황을 알 수 있지만, 버스나 택시의 경우에는 승차 또는 하차의 정보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지하철과 버스가 환승이 되는 경우라면 환승에 대한 정보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버스와 택시를 타는 경우에도 승차 때와 하차 때에 교통카드단말기(50)의 접촉에 의하여 승하차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교통카드운영업체(40)의 서버(41)는 교통카드(55) 정보를 이동통신사(20)를 거쳐 서비스제공업체(30)의 관리서버(31)로 송신한다(S15). 이때, 교통카드운영업체(40)의 서버(41)는 이동통신사(20)를 거치지 않고 제휴된 모바일 메시지를 서비스하는 서비스제공업체(30)의 관리서버(31)로 교통카드(55)의 접촉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관리서버(31)는 이용자정보데이터베이스(32)에서 교 통카드(55) 정보에 해당하는 등록된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11)를 검색한다(S16).
상기 관리서버(31)는 메시지서버(33)를 통해 각종 메시지정보가 저장된 메시지데이터베이스(34)로부터 추출된 메시지를 검색된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11)로 설정된 모바일 메시지를 이동통신사(20)로 전송한다(S17). 상기 설정된 모바일 메시지는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정해질 수 있고, 메시지데이터베이스(34)에서 일반적으로 제공하는 메시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동통신사(20)는 기지국을 통해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11)로 전송받은 모바일 메시지를 송신한다(S18). 즉 단순한 문자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SMS)로서, 도 3과 같은 내용이 포함될 것이다. 더욱이 멀티미디어메시지(Multimedia Massage Service; MMS)의 형태로도 전송이 가능할 것이고, 이는 지하철 출입구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보호대상자의 영상을 촬영하여 이동통신단말기(11)로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보호대상자가 교통카드를 단말기에 접촉할 때에 서비스를 원하는 교통카드임을 인식하여 카메라로 촬영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이동통신사(20) 또는 서비스제공업체(30)가 이동통신단말기(11)로 모바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MT라고 한다. 즉 MT(Mobile Termination)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의 흐름이 종료되는 것을 나타내고, 단순 일방적인 정보 전달로 사용자의 참여가 적은 것이다. 일반적인 경우 MO, MT 등 객체가 한 쌍으로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단계(S1)에서, 이용자(10)가 이동통신사(20)가 이동통신단 말기(11)에 제공하는 서비스번호 중에서 역주변정보서비스를 선택하여 입력한 경우에는 이동통신사(20)를 거쳐 서비스제공업체(30)로 접속되어 연결된다(S21). 즉 상기 모바일을 통한 역주변정보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이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11)에 포함된 수신을 원하는 서비스번호를 선택하여 입력하면 이동통신사(20)의 기지국(22)을 거쳐 서비스제공업체(30)의 관리서버(31)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역주변정보서비스는 지하철이나 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지하철 내의 무료함을 달래거나 역주변의 정보를 얻고자 하는 경우에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이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11)를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또는 검색하고자 하는 지하철 역명이나 버스 정류소명을 텍스트 단어, 예를 들어, 천호역, 신당역, 잠실역, 서울역 등의 문자나 '음식점' 이라는 단어로 입력한 뒤에 관리서버(31)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면(S22), 서비스제공업체(30)의 관리서버(31)는 텍스트의 단어를 수신한다(S23). 그리고 관리서버(31)는 메시지서버(33)를 거쳐 광고정보제공업체(70)가 제공한 역주변정보가 저장된 메시지정보데이터베이스(34)를 검색한다(S24).
상기 관리서버(31)는 메시지서버(33)를 통해 메시지정보데이터베이스(34)에서 검색된 광고정보제공업체(70)의 정보를 이동통신사(20)로 전송한다(S25). 이동통신사(20)는 텍스트 단어를 송신한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기(11)로 역주변정보에 관하여 SMS 또는 MMS의 모바일 메시지를 송신하면(S26), 이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11)는 이용자가 원하는 지하철역이나 버스 정류소의 주변정보를 수신하게 된다(S27).
한편, 상기 역주변정보에 관한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이용자가 이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의 접속 후에 역주변의 정보를 이용하거나 미리 설정해 둔 이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도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이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신한 모바일 메시지는 도 4에서,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할인 중이거나 이벤트 중인 음식점의 광고정보가 노출된다.
상기 광고정보제공업체(70)에서 메시지정보데이터베이스(34)에 저장되는 정보는 텍스트별 또는 등록된 등급별로 자동 저장되고, 메시지서버(33)도 메시지정보데이터베이스(34)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텍스트별 또는 등록된 등급별로 검색한다.
상기 모바일 메시지는 지하철역이나 버스 정류소 주변의 정보에는 주변의 공연이나 문화행사 정보, 업체의 가격정보나 쿠폰정보 및 행사 중인 업체, 초대권, 할인권, 신상품이나 약도 등의 정보를 제공하거나 뉴스, 만화나 음악, 유머 또는 영어한마디 등의 다양하고 유익한 정보를 무료한 지하철이나 버스 내에서 검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에서, 이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신한 서비스의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 MMS 영역으로 이미지컷은 광고정보제공업체가 제작한 이미지를 최대 5컷 이상 지원이 가능하고, 초대권, 할인권, 무료쿠폰, 신상품, 약도 등을 무상으로 제작하여 지원한다. 그리고 LMS 영역으로 2,000바이트의 텍스트로 역주변의 영업점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하고, 공연이나 문화행사 또는 각종의 커뮤니티 등을 제공하고 지원한다.
본 발명은 노약자를 염려하는 보호자의 요구에 부합하여 노약자가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에 출입이나 승하차 정보를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문자메시지(SMS 및 MMS) 형태로 전달함으로써,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에 발생할 수 있는 노약자의 안전사고 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로 서비스번호의 입력으로 이용자가 원하는 지하철역이나 버스 정류소의 역주변의 정보를 검색하거나 주변의 지도 등을 용이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안심콜서비스나 해당하는 역주변의 정보를 모바일 메시지로 이용할 수 있음을 광고하거나 해당하는 역에 도착할 때에 전동차 내부에 설치된 광고판 등을 통해 해당 역의 주변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해당하는 지하철 역 내에서도 역 주변의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서비스제공업체의 관리서버를 통해 모바일로 전동차 내 또는 지하철 역내에 설치된 표시장치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전동차를 이용하는 승객에게 광고를 통해 정보이용 효율을 극대화한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7)

  1. (a) 모바일을 통한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이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에 포함된 수신을 원하는 서비스번호를 선택하여 입력하면 이동통신사의 기지국을 거쳐 서비스제공업체의 관리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b) 상기 관리서버는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와 보호대상자의 교통카드 정보를 요구하고, 이동통신단말기로 교통카드 정보를 입력하면 관리서버는 입력된 정보를 이용자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보호대상자가 교통카드를 대중교통의 이용 및 출입을 위하여 교통카드단말기에 접속하면, 교통카드단말기에서 교통카드의 정보를 독취한 후에 교통카드운영업체의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d) 상기 교통카드운영업체의 서버는 교통카드 정보를 이동통신사를 거쳐 서비스제공업체의 관리서버로 송신하고, 관리서버는 이용자정보데이터베이스에서 교통카드 정보에 해당하는 등록된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를 검색하는 단계;
    (e) 상기 관리서버는 메시지서버를 통해 각종 메시지정보가 저장된 메시지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메시지를 검색된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설정된 모바일 메시지를 이동통신사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이동통신사는 기지국을 통해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모바일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카드는,
    교통카드 기능이 있는 신용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 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중교통에 장착된 교통카드의 정보를 독취하는 단말기는,
    버스의 승하차단말기, 지하철의 출입구단말기, 택시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 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MMS(Multimedia Massage Servic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 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카드와 이동통신단말기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인터넷에 연결된 이용자단말기로 서비스제공업체의 웹서버를 통해 관리서버와 접속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 제공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을 통한 역주변정보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이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에 포함된 수신을 원하는 서비스번호를 선택하여 입력하면 이동통신사의 기지국을 거쳐 서비스제공업체의 관리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이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지하철 역명이나 버스 정류소명을 텍스트 단어로 입력한 뒤에 관리서버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제공업체의 관리서버는 수신된 텍스트의 단어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서버는 메시지서버를 거쳐 광고정보제공업체가 제공한 역주변정보가 저장된 메시지정보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정보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광고정보제공업체의 정보를 이동통신사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사에서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역주변정보에 관한 모바일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 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정보제공업체에서 메시지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정보는 텍스트별 또는 등록된 등급별로 자동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080135547A 2008-12-29 2008-12-29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 제공방법 KR101022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547A KR101022177B1 (ko) 2008-12-29 2008-12-29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547A KR101022177B1 (ko) 2008-12-29 2008-12-29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571A KR20100077571A (ko) 2010-07-08
KR101022177B1 true KR101022177B1 (ko) 2011-03-17

Family

ID=42638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5547A KR101022177B1 (ko) 2008-12-29 2008-12-29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21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5232A (ko) 2010-08-11 2012-02-21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Led 램프 및 led 램프용 구동 회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4316A (ja) * 2004-06-21 2006-01-05 Shobunsha Publications Inc 周辺情報提供方法、周辺情報提供システム、周辺情報提供サーバ、周辺情報提供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出版物
JP2008209164A (ja) * 2007-02-23 2008-09-11 Navitime Japan Co Ltd 路線図表示装置、路線図表示システム、路線図表示方法及び路線情報配信サー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4316A (ja) * 2004-06-21 2006-01-05 Shobunsha Publications Inc 周辺情報提供方法、周辺情報提供システム、周辺情報提供サーバ、周辺情報提供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出版物
JP2008209164A (ja) * 2007-02-23 2008-09-11 Navitime Japan Co Ltd 路線図表示装置、路線図表示システム、路線図表示方法及び路線情報配信サー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571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65006A1 (en) Interactive text messaging system for information distribution
US20150095124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time Display or Distribution of Advertisements
KR101896236B1 (ko) 디지털 사이니지 기반 무선통신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2113655A (ja) 情報提示システム及び情報提示システムの携帯情報端末
Batra et al. M-commerce in India: Emerging issues
KR20110049976A (ko) Wpan 기술을 이용한 양방향 통합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58097A (ko) 디지털 정보 단말기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보 안내 방법 및 장치
KR101022177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 제공방법
KR20120138721A (ko) 유에프아이디서비스를 제공하는 광고 시스템
KR20090055541A (ko) 지능형 택시 정류장 시스템
KR20150118592A (ko) 소셜 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온라인 맞춤형 광고 제공 방법
KR100722565B1 (ko) 교통카드와 연계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750357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홍보 및 선착순무료제공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WO2010095843A2 (ko) 위치 기반 광고 시스템
JP2014115796A (ja) 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方法、及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
JP2006065685A (ja) 地域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地域情報提供プログラム
KR101200964B1 (ko) 교통수단을 이용한 위치기반 정보 제공 시스템
US20110227758A1 (en) Interactive Mobile Service System
KR101472395B1 (ko) 게이트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102225062B1 (ko) 콜택시 고객 유치 및 관리를 통한 서비스 제공방법
KR20120140269A (ko) 전자 서명 입력 장치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30013898A (ko) 결제내역통보 sms를 이용한 가맹점 홍보 서비스 방법
JP5169270B2 (ja) 移動体情報通知システム
US202201821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KR20090005641A (ko) 위치기반정보 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