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062B1 - 마그네틱 센서를 이용한 분리형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마그네틱 센서를 이용한 분리형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062B1
KR101022062B1 KR1020100057460A KR20100057460A KR101022062B1 KR 101022062 B1 KR101022062 B1 KR 101022062B1 KR 1020100057460 A KR1020100057460 A KR 1020100057460A KR 20100057460 A KR20100057460 A KR 20100057460A KR 101022062 B1 KR101022062 B1 KR 101022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sensor
lamp
socket
lamps
ligh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7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영남
Original Assignee
설영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영남 filed Critical 설영남
Priority to KR1020100057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20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05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keying means, i.e. for enabling the assembling of component parts in distinctive positions, e.g. for preventing wrong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있어 서로 분리된 한 쌍의 조명등이 근접됨에 따라 자동으로 점등되게 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분리된 한 쌍의 커버체와 이들 각각의 커버체에 결합되는 고정판을 구성하여, 상기 각각의 고정판에는 램프와 소켓을 결합 형성하되, 각각의 고정판에는 마그네틱 센서와 마그네트를 각기 대향 고정 형성하여 구성함에 따라,
서로 분리된 한 쌍의 조명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조합을 갖는 조명장치를 제작할 수 있어 제품의 다양성은 물론 흥미로움과 새로운 형태의 조명장치를 제시할 수 있는 것이고, 분리된 커버체를 근접시키거나 이격시키게 되면 자동으로 점등되거나 소등되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이 뛰어난 것이며, 조명장치의 점등이나 소등 과정에서 스위치를 더듬어 찾아야하는 불편함이 없는 동시에 이와 같은 과정에서 주변 물품들을 떨어트려 파손시키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마그네틱 센서를 이용한 분리형 조명장치 {Separable lamp using magnetic sensor}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있어 서로 분리된 한 쌍의 조명등이 근접됨에 따라 자동으로 점등되게 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투광성 커버체 내에 램프를 내장하고, 이들 각각의 커버체 내부에는 마그네틱 센서와 마그네트를 고정 형성함에 따라 상기 커버체가 이격되는 경우에는 내부의 램프가 자동으로 소등되게 하고, 상기 커버체가 근접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내부의 램프가 점등되게 한 분리형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탁상이나 협탁 등에 올려 사용하는 소형의 조명장치는 케이스 또는 커버체 내에 램프가 결합된 상태의 소켓이 내장되는 것이고, 상기 소켓은 전원선과 연결되어 있으며, 그 전원선에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이 상기 소켓으로 단절되거나 접속되게 하는 스위치가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조명장치는 통상적으로 탁상이나 책상 등에 올려져 부분적인 국부 조명 형태로 점등되면서 독서를 하거나 다양한 학습 활동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소형 조명등은 침대 옆의 협탁 등에 올려져 무드등이나 취침등으로 사용되기도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보편적인 형태의 조명등을 점등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노출된 상태의 스위치를 직접 손으로 터치하거나 눌러 내부의 소켓에 전원이 인가되게 함에 따라 작동시키는 것이고, 이를 소등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의 스위치를 터치하거나 눌러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형태의 조명등은 스위치를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여 점등시키거나 소등시키는 구조를 갖고 있어 상기의 스위치가 필연적으로 외부 노출 상태를 갖게 되므로 외관이 간결하거나 깔끔하지 못한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고, 외부 케이스를 설계함에 있어서도 스위치에 의한 공간적 또는 위치상의 설계 제약으로 인해 다양성을 꾀하는데 어려움을 갖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종래의 탁상용 조명등은 대부분 케이스의 형태나 모양에만 변화를 시도하고 있으므로 다양성의 측면에서 한계에 이른 추세이고, 소비자 역시 이와 같이 일관된 모양과 형상을 갖는 탁상용 조명등에 실증을 느끼고 있는 상태이므로 보다 새롭고 흥미로운 형태와 구조 및 작동구조를 갖는 조명수단에 대한 요구가 끊임없는 실정이다.
더불어, 기존의 조명등은 이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이고, 이러한 스위치 역시 반드시 노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하는 것인데, 점등된 상태의 조명등은 조명등의 주변이 지나치게 밝아 스위치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이고, 어두운 실내에서 상기와 같은 조명등을 점등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으로 스위치를 더듬어가며 찾아 이를 작동시켜야 하므로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매우 큰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스위치를 더듬어가며 찾아 작동시켜야 하므로 조명등의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과정에서 조명등의 주변에 위치하고 있던 각종 물품들을 떨어트려 파손시키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서로 분리된 한 쌍의 커버체와 이들 각각의 커버체에 결합되는 고정판을 구성하여, 상기 각각의 고정판에는 램프와 소켓을 결합 형성하되, 각각의 고정판에는 마그네틱 센서와 마그네트를 각기 대향 고정 형성하여 구성함에 따라,
분리된 한 쌍의 커버체가 서로 근접하는 경우에는 마그네틱 센서에 의해 소켓으로 전원이 인가되며 램프가 점등되게 하고, 한 쌍의 커버체가 서로 이격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램프가 소등되게 한 특징의 분리형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분리 구성된 한 쌍의 커버체를 각기 구분 형성하고, 이들 커버체에는 별도의 고정판을 결합 형성하며, 상기 각각의 고정판에는 램프가 결합되는 소켓을 고정 형성하고, 이들 각각의 고정판에는 각기 마그네틱 센서와 마그네트를 고정 형성하되,
상기 마그네틱 센서는 전원공급선을 갖는 별도의 컨트롤러와 전선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전기한 소켓과 전선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서로 분리된 한 쌍의 조명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조합을 갖는 조명장치를 제작할 수 있어 제품의 다양성은 물론 흥미로움과 새로운 형태의 조명장치를 제시할 수 있는 것이고, 분리된 커버체를 근접시키거나 이격시키게 되면 자동으로 점등되거나 소등되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이 뛰어난 것이며, 조명장치의 점등이나 소등 과정에서 스위치를 더듬어 찾아야하는 불편함이 없는 동시에 이와 같은 과정에서 주변 물품들을 떨어트려 파손시키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조명장치의 이격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조명장치의 근접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조명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조명장치의 점등 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조명장치의 소등 상태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조명장치의 이격 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조명장치의 근접 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조명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조명장치는, 서로 각기 제작된 한 쌍의 커버체(10)(10')를 갖고 있는 것이고, 이들 각각의 커버체(10)(10')에는 하부 또는 측부로부터 별도의 고정판(20)(20')이 결합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커버체(10)(10')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사출 형성하는 것이 이상적인 것으로서, 반투명의 투광성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의 고정판(20)(20')에는 램프(30)(30')가 결합된 상태의 소켓(40)(40')이 결합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소켓(40)(40') 및 램프(30)(30')가 커버체(10)(10')의 내측을 향하도록 그 고정판(20)(20')을 커버체(10)(10')에 결합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고정판(20)(20')에는 각기 마그네틱 센서(50)와 마그네트(51)가 구분 상태로 고정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마그네틱 센서(50)는 널리 알려진바와 같이 주변으로 자성물체가 근접하면 내부의 스위치가 작동하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인데, 상기와 같이 일측 고정판(20)(20')에는 마그네틱 센서(50)를 고정 형성하고 타측 고정판(20)(20')에는 마그네트(51)를 고정 형성하게 되면, 이들 고정판(20)(20')이 결합된 상태의 커버체(10)(10')를 서로 근접시키거나 또는 이격시킴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51)에 의한 자력으로 인해 상기의 마그네틱 센서(50)가 작동되면서 램프에 대한 점등 또는 소등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마그네틱 센서(50)는 별도의 컨트롤러(60)에 전선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컨트롤러(60)는 또 다른 전선에 의해 상기의 소켓(40)(40')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60)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전원공급선(61)이 연결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전원공급선(61)에는 가정 내에서 간편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별도의 AC어댑터(도면에서의 부호는 생략함)를 연결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도 4의 도시와 같이 두 개의 커버체(10)(10')를 서로 대향 방향으로 근접시키게 되면, 일측의 마그네트(51)에 대한 자력이 타측의 마그네틱 센서(50)에 영향을 끼치게 되어 상기 마그네틱 센서(50)가 작동을 하게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이 마그네틱 센서(50)가 작동하면 이를 컨트롤러(60)가 인지하여 전원공급선(61)을 통해 인가된 전원이 상기 소켓(40)(40')으로 동시에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고, 이에 따라 각각의 커버체(10)(10') 내부의 램프(30)(30')는 동시에 점등을 하게 되는 것이다.
반면에, 상기와 같은 커버체(10)(10')의 근접으로 인한 자동 점등 상태에서 이들 소등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근접 상태인 커버체(10)(10')를 서로 이격시키면 자동으로 램프(30)(30')에 대한 전원이 차단되면서 소등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인데, 근접 상태인 커버체(10)(10')를 이격시키면 일측의 마그네트(51)에 의한 자력 범위로부터 타측의 마그네틱 센서(50)가 이탈될 수 있을 것이고, 이와 동시에 상기의 마그네틱 센서(50)는 전원 단락의 형태로 스위칭되면서 컨트롤러(60)를 작동시켜 전원공급선(61)으로부터 인가되는 외부 전원이 상기의 소켓(40)(40')으로 제공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각기 구분 제작된 한 쌍의 커버체(10)(10')를 서로 근접시킴에 따라 자동 점등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반대로 근접 상태인 커버체(10)(10')를 이격시킴에 따라 자동으로 램프의 소등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이 매우 뛰어난 것이다.
또한, 반드시 한 쌍으로 된 커버체(10)(10')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므로 사람이나 동물 또는 다양한 물체를 암,수의 형태로 제작하여 이들의 근접이나 이격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점등 또는 소등될 수 있어 다양한 종류 및 다양한 형태로의 제작이 가능하여 제품에 대한 다양성의 측면에서 매우 월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10' : 커버체
20,20' : 고정판
30,30' : 램프
40,40' : 소켓
50 : 마그네틱 센서 51 : 마그네트
60 : 컨트롤러 61 : 전원공급선

Claims (1)

  1. 커버체(10)에 램프(30)가 결합되는 소켓(40)을 갖는 고정판(20)이 결합되는 조명장치에 있어서,
    서로 분리 구성된 한 쌍의 커버체(10)(10')를 각기 구분 형성하고, 이들 커버체(10)(10')에는 별도의 고정판(20)(20')을 각기 결합 형성하며, 상기 각각의 고정판(20)(20')에는 램프(30)(30')가 결합되는 소켓(40)(40')을 고정 형성하고, 이들 각각의 고정판(20)(20')에는 각기 마그네틱 센서(50)와 마그네트(51)를 고정 형성하되,
    상기 마그네틱 센서(50)는 전원공급선(61)을 갖는 별도의 컨트롤러(60)와 전선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60)는 전기한 소켓(40)(40')과 전선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센서를 이용한 분리형 조명장치.
KR1020100057460A 2010-06-17 2010-06-17 마그네틱 센서를 이용한 분리형 조명장치 KR101022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460A KR101022062B1 (ko) 2010-06-17 2010-06-17 마그네틱 센서를 이용한 분리형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460A KR101022062B1 (ko) 2010-06-17 2010-06-17 마그네틱 센서를 이용한 분리형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2062B1 true KR101022062B1 (ko) 2011-03-16

Family

ID=43938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7460A KR101022062B1 (ko) 2010-06-17 2010-06-17 마그네틱 센서를 이용한 분리형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20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027U (ko) 1985-07-16 1987-01-31
JP2003071141A (ja) 2001-09-04 2003-03-11 Sanei Boeki Kk 動物鳴き声おもちゃ
JP2008277230A (ja) 2007-04-27 2008-11-13 Ichiro Yanaka ランプシェ−ド交換可能な行灯形照明器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027U (ko) 1985-07-16 1987-01-31
JP2003071141A (ja) 2001-09-04 2003-03-11 Sanei Boeki Kk 動物鳴き声おもちゃ
JP2008277230A (ja) 2007-04-27 2008-11-13 Ichiro Yanaka ランプシェ−ド交換可能な行灯形照明器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27990B (zh) 光源節能轉換裝置
US20080089075A1 (en) Illuminating ornament with multiple power supply mode switch
CN101953577B (zh) 一种带触摸式感应灯的橱柜
WO2019104530A1 (zh) 一种便携式磁吸感应灯
CA118177S (en) Housing of a lighting fixture
KR101022062B1 (ko) 마그네틱 센서를 이용한 분리형 조명장치
CN201814129U (zh) 一种带触摸式感应灯的橱柜
KR101022063B1 (ko) 마그네틱 센서를 이용한 분리형 조명장치
CN207018861U (zh) 一种小型充电式感应自由切换远近光的户外头灯
CN207720474U (zh) Led光源的驱动电源组件
US20140268706A1 (en) Ornamental device having laser-engraved pattern
US20190242537A1 (en) Separable recharge nightlight
CN205372157U (zh) 灯具
CN201621539U (zh) 多功能台灯
CN205824959U (zh) 一种带时钟功能的夜灯
CN205402351U (zh) 一种台灯
TWM469827U (zh) Led展示架
KR101324834B1 (ko)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
CN203641961U (zh) 一种新型台灯
CN203628471U (zh) Led吊灯
CN208074629U (zh) 一种跳动的五角星形led便携式小夜灯
CN208268973U (zh) 一种感应灯
CN205065364U (zh) 一种新型鸟笼灯
CN205065317U (zh) 一种防水型多用灯
CN105281742B (zh) 一种隐藏式显示触摸按键结构及家用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