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026B1 - 위성 단말 및 그 위성 단말에서 수행되는 통신 링크 천이 방법 - Google Patents

위성 단말 및 그 위성 단말에서 수행되는 통신 링크 천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026B1
KR101022026B1 KR1020080098374A KR20080098374A KR101022026B1 KR 101022026 B1 KR101022026 B1 KR 101022026B1 KR 1020080098374 A KR1020080098374 A KR 1020080098374A KR 20080098374 A KR20080098374 A KR 20080098374A KR 101022026 B1 KR101022026 B1 KR 101022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atellite
gap filler
signal
tran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8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9139A (ko
Inventor
유준규
신민수
장대익
이호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98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2026B1/ko
Priority to EP09164860A priority patent/EP2175576A3/en
Publication of KR20100039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9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6Arrangements for switching distribu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9Earth-synchronous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04H40/90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distribution of identical information via plural systems
    • H04H20/22Arrangements for broadcast of identical information via plural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04H20/6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for transportation systems, e.g.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9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 H04H60/51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of receiv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위성 단말에서 수행되는 통신 링크 천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통신 링크 천이 방법은, 위성 링크를 통한 위성 방송 통신 상태에서 갭필러(Gap Filler) 링크 신호를 스캔하는 단계; 상기 스캔에 의해 갭필러 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갭필러 링크 신호가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조건을 만족하면, 위성 링크에서 갭필러 링크로 통신 천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터널과 같은 음영 지역에서도 끊김 없는 양방향 위성 방송 통신 서비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위성 단말 및 그 위성 단말에서 수행되는 통신 링크 천이 방법{Satellite terminal and communication link transition method in the satellite terminal}
본 발명은 위성 방송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영지역에서 끊김 없는 위성 방송 통신 서비스 실현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는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6-S-020-03, 고속 이동체 인터넷 위성 무선 연동 기술개발]
종래의 위성 통신의 경우, LOS(Line of Sight)가 확보되는 상황하에서만 통신이 가능하였다. 그리고 최근 위성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와 같은 일부 위성 방송에서는 NLOS(Non-LOS) 환경하에서 위성 DMB 단말이 위성 방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갭필러(Gap Filler) 기술을 적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양방향 위성통신에서 NLOS 환경을 극복하기 위한 갭필러 기술의 도입은 현재까지 전무하다.
본 발명은 이 같은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음영지역, 특히 열차 터널에서 끊김 없이 위성 방송 통신 서비스를 가능토록 하는 기술적 방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양방향 위성 통신의 경우에도 음영 지역에서 양방향의 위성 통신을 가능토록 하는 기술적 방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위성 통신 링크 천이 방법은, 위성 링크를 통한 위성 방송 통신 상태에서 갭필러(Gap Filler) 링크 신호를 스캔하는 단계; 상기 스캔에 의해 갭필러 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갭필러 링크 신호가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조건을 만족하면, 위성 링크에서 갭필러 링크로 통신 천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스캔 단계는, 위성 링크를 통한 위성 방송 통신 상태에서 현재 위치 좌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위치 좌표가 지정된 좌표인 경우 갭필러 링크 신호를 스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수신된 갭필러 링크 신호의 신호대 잡음비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신호대 잡음비가 임계치 이상인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천이 단계는, 갭필러 링크 신호 패킷과 위성 링크 신호 패킷을 동기화하는 단계; 및 동기화 완료된 후 위성 링크에서 갭필러 링크로 통신 천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단말에서 수행되는 링크 천이 방법.
또한 상기 통신 천이 단계는, 갭필러로 송출할 파일럿 발생(Pilot Generation)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방법은, 상기 갭필러 링크로 천이된 상태에서 위성 링크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위성 링크 신호가 임계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임계치 이상이면, 갭필러 링크에서 위성 링크로 통신 천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위성 단말은,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위성 신호를 수신하는 위성 수신부; 상기 위성으로부터 송출되어 갭필러에 의해 대역 변환된 갭필러 신호를 수신하는 갭필러 수신부; 및 상기 위성 수신부를 통해 위성 신호를 수신하는 위성 방송 통신 상태에서 상기 갭필러 수신부를 활성화시켜 갭필러 링크 신호를 스캔하며, 스캔에 의해 수신된 갭필러 링크 신호의 신호대 잡음비가 임계치 이상이면 갭필러 링크로 통신 천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고속 열차에 설치된 위성 단말을 이용하여 열차에 탑승한 승객에게 양방향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터널과 같은 음영지역에서 위성 링크와 갭필러 링크 간의 통신 천이를 통해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 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열차 터널 입구 및 출구에서의 위성 신호와 갭필러 신호의 분포 예시도이고, 도 2는 위성 링크와 갭필러 링크 간의 천이를 위해 고려하여야 하는 변수 참조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성 단말에서 수행되는 위성 링크에서 갭필러 링크로의 천이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성 단말은 열차 내에 설치되어 승객들에게 양방향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로써, 예로 위성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단말 혹은 위성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단말 등을 말한다. 여기서 위성 단말은 반드시 열차 내에 설치되어 있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승객이 소지하는 개인용 위성 단말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차 진행 방향으로 터널 입구에는 갭필러(Gap Filler, GF)(100)가 설치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터널 내부에는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갭필러들이 설치된다. 또한 터널 출구로부터 소정 거리에 갭필러(200)가 설치된다. 이들 갭필러는 방송위성이 지상을 향해 송출한 KU 대역 혹은 Ka 대역의 TDM(Time Division Multivision) 신호를 위성 단말이 수신할 수 있도록 2.6GHz(S-대역)의 CDM(Code Division Multiplexing) 신호로 변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위성 단말에서 수행되는 위성 링크에서 갭필러 링크로의 통신 천이에 대해 설명한다. 위성 단말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이 탑재된 경우, 위성 단말은 위성 링크 통신 상태에서 GPS 신호를 수신한다(단계 S300). GPS 신호에 의해 확인된 현재 위치 좌표값이 설정된 좌표범위 내이면, 즉 열차가 지정된 좌표의 위치를 통과하면, 위성 단말은 갭필러 링크 신호를 스캔(scan)한다(단계 S310)(단계 S320). 만일 위성 단말에 GPS 모듈이 탑재되어 있지 않다면, 위성 단말은 위성 링크 통신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갭필러 링크 신호를 스캔한다.
열차는 터널을 향하여 운행되고 있으므로, 터널 입구에 설치된 갭필러(100)에 의해 송출된 신호가 입력될 것이다. 갭필러(10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GF_th 이상이면, 신호대 잡음비를 추정(GF_SNR estimation)한다(단계 S330). 신호대 잡음비를 추정하는 과정에 의해 획득된 GF_SNR 값과 GF_SNR_th 값을 비교하여 GF_SNR 값이 GF_SNR_th 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340). GF_SNR 값이 GF_SNR_th 값 이상이면, 현재 위성 링크 상태에서 갭필러 링크 상태로 통신 천이한다(단계 S380). 즉, 위성 링크를 릴리스(release)한다.
바람직하게는 위성 링크에서 갭필러 링크로 통신 천이 전에 다음과 같은 과정들이 추가 수행된다. 수신된 갭필러 신호 패킷과 위성 신호 패킷을 동기화한다(단계 S350). 갭필러 링크에서는 갭필러 중계에 의해 수신 지연이 일어나므로, 동기화를 하지 않고 갭필러 링크로 통신 천이하면 수신된 패킷의 일부가 손실될 수 있기 때문이다.
추가로 파일럿 발생(Pilot Generation) 기능을 활성화시킨다(단계 S360). 파일럿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위성 단말이 버스트 모드(burst mode)로 동작 하는 경우에 한한다. 버스트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리턴 링크(return link)로 전송되는 버스트 신호에 대해 갭필러에서 AGC(Auto Gain Control)를 수행하기에는 신호 전력이 미약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톤 파일럿(tone pilot)을 발생시켜, 갭필러에서 위성 단말로부터 전송된 버스트 신호에 대해 AGC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추가로 갭필러 링크 지연 값(d_tu)을 설정하여 전송 신호를 d_tu 만큼 조기에 전송하도록 한다(단계 S370). 터널 내부에서 위성 단말은 갭필러에 의해 증가한 전송지연 시간(d_tu)을 고려하여 d_tu 만큼 빨리 버스트 신호를 전송하여야 망 동기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터널에서 지연되는 d_tu 값은 터널 길이에 따라 터널별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터널별로 d_tu 값이 다르게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일 예로, 이는 GPS 모듈에 의해 수신된 현재 위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열차가 통과할 터널을 구분함에 의해 d_tu 값을 터널별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성 단말에서 수행되는 갭필러 링크에서 위성 링크로의 천이 흐름도이다.
갭필러 링크 통신 상태에서 위성 링크 신호가 감지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400). 즉, 열차가 터널 밖으로 나오는지를 감지하는 것이다. 갭필러 링크 통신 상태에서 위성 안테나로부터 안테나 “Tracking ON”정보가 수신되면, 위성 링크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해 신호대 잡음비를 추정(Sat_SNR estimation)한다(단계 S410).
신호대 잡음비를 추정하는 과정에 의해 획득된 Sat_SNR 값과 Sat_SNR_th 값을 비교하여 Sat_SNR 값이 Sat_SNR_th 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420). Sat_SNR 값이 Sat_SNR_th 값 이상이면, 수신된 위성 신호 패킷과 갭필러 신호 패킷을 동기화한 후 현재 갭필러 링크 상태에서 위성 링크 상태로 통신 천이한다(단계 S430)(단계 S440). 즉, 갭필러 링크를 릴리스(release)한다. 그리고 갭필러 링크 통신 상태에서 필요로 되어 활성화된 파일럿 발생 기능을 비활성화시킨다(단계 S450).
한편, 갭필러 링크에서 위성 링크로의 천이시 통신이 끊기지 않도록 갭필러(200)가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 갭필러(200) 설치에 있어, 위성 안테나의 tracking 시간(Ant_tr), 링크 천이 시간(T_tr), 패킷 동기화 시간(T_as), 기차가 천이(transition) 영역에 머무는 시간이 고려되어 적절한 위치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성 단말의 블록도이다.
위성 수신부(510)는 방송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Ku 대역 혹은 Ka 대역의 위성 신호를 수신한다. 갭필러 수신부(520)는 방송 위성으로부터 송출되어 갭필러에서 대역 변환된 갭필러 신호를 수신한다. GPS 수신부(530)는 GPS 위성으로부터 송신되는 현재 위치 좌표 정보를 수신한다. 파일럿 발생부(540)는 파일럿 신호를 발생시켜 외부로 송출한다.
GPS 수신부(530)에 의해 수신되어 확인된 현재 위치 좌표가 기설정된 좌표범 위 내에 속하면, 제어부(550)는 갭필러 수신부(520)를 활성화시켜 갭필러 링크 신호를 스캔한다. 만일 위성 단말에 GPS 수신부(530)가 없다면, 제어부(550)는 갭필러 수신부(520)를 항상 활성화 상태로 유지시켜 갭필러 링크 신호를 지속적으로 스캔할 수 있게 한다.
제어부(550)는 갭필러 링크 신호 스캔에 따라 갭필러 수신부(520)로 수신되는 갭필러 신호의 신호대 잡음비를 추정하고, 추정된 신호대 잡음비(GF_SNR)가 임계치(GF_SNR_th)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임계치 이상이면, 제어부(550)는 수신되는 갭필러 링크 신호 패킷과 위성 링크 신호 패킷을 동기화하고, 버스트 모드의 경우 파일럿 발생부(540)를 활성화시키며, 갭필러 링크 지연 값(d_tu)을 설정한 후, 현재 위성 링크 상태에서 갭필러 링크 상태로 통신 천이한다.
이후 갭필러 링크 통신 상태에서, 제어부(550)는 위성 수신부(510)로 위성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감지한다. 위성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550)는 수신된 위성 신호의 신호대 잡음비를 추정하고, 추정된 신호대 잡음비(Sat_SNR)가 임계치(Sat_SNR_th)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임계치 이상이면, 제어부(550)는 수신되는 위성 링크 신호 패킷과 갭필러 링크 시호 패킷을 동기화한 후, 현재 갭필러 링크 상태에서 위성 링크 상태로 통신 천이한다. 그리고 활성화된 파일럿 발생부(540)를 비활성화시킨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 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터널 입구 및 출구에서의 위성 신호와 갭필러 신호의 분포 예시도.
도 2는 위성 링크와 갭필러 링크 간의 천이를 위해 고려하여야 하는 변수 참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성 단말에서 수행되는 위성 링크에서 갭필러 링크로의 천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성 단말에서 수행되는 랩필러 링크에서 위성 링크로의 천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성 단말의 블록도.

Claims (20)

  1. 위성 링크를 통한 위성 방송 통신 상태에서 갭필러(Gap Filler) 링크 신호를 스캔하는 단계;
    상기 스캔에 의해 갭필러 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갭필러 링크 신호의 신호대 잡음비가 임계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조건을 만족하면, 파일럿 발생 기능을 활성화시킨 후 위성 링크에서 갭필러 링크로 통신 천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단말에서 수행되는 링크 천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단계는 :
    위성 링크를 통한 위성 방송 통신 상태에서 현재 위치 좌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위치 좌표가 지정된 좌표인 경우 갭필러 링크 신호를 스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단말에서 수행되는 링크 천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좌표를 수신하는 단계는, 지피에스(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단말에서 수행되는 링크 천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
    상기 수신된 갭필러 링크 신호의 신호대 잡음비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신호대 잡음비가 임계치 이상인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단말에서 수행되는 링크 천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천이 단계는 :
    갭필러 링크 신호 패킷과 위성 링크 신호 패킷을 동기화하는 단계; 및
    동기화 완료된 후 위성 링크에서 갭필러 링크로 통신 천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단말에서 수행되는 링크 천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천이 단계는 :
    갭필러 링크로 통신 천이 전에, 갭필러 링크를 통한 신호의 전파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전파 지연 시간만큼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가 조기에 전송되도록 갭필러 링크의 지연 값을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단말에서 수행되는 링크 천이 방법.
  7. 삭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단계는, 상기 위성 단말이 버스트 모드(Burst Mode)로 동작하는 경우에 수행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단말에서 수행되는 링크 천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갭필러 링크로 천이된 상태에서 위성 링크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위성 링크 신호가 임계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임계치 이상이면, 갭필러 링크에서 위성 링크로 통신 천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단말에서 수행되는 링크 천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
    상기 감지된 위성 링크 신호의 신호대 잡음비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위성 링크 신호의 신호대 잡음비가 임계치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단말에서 수행되는 링크 천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 링크로의 통신 천이 단계는 :
    위성 링크 신호 패킷과 갭필러 링크 신호 패킷을 동기화하는 단계; 및
    동기화 완료된 후 갭필러 링크에서 위성 링크로 통신 천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단말에서 수행되는 링크 천이 방법.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갭필러 링크로 천이된 상태에서 위성링크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위성 링크 신호의 신호대 잡음비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추정된 위성 링크 신호의 신호대 잡음비가 임계치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감지된 위성링크 신호가 임계치 이상이면, 갭필러 링크에서 위성 링크로 통신 천이하는 단계; 및
    위성 링크로의 통신 천이 후 상기 파일럿 발생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단말에서 수행되는 링크 천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 링크로의 통신 천이 단계는 :
    위성 링크 신호 패킷과 갭필러 링크 신호 패킷을 동기화하는 단계; 및
    동기화 완료된 후 갭필러 링크에서 위성 링크로 통신 천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단말에서 수행되는 링크 천이 방법.
  14.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위성 신호를 수신하는 위성 수신부;
    상기 위성으로부터 송출되어 갭필러에 의해 대역 변환된 갭필러 신호를 수신하는 갭필러 수신부;
    갭필러로 송출할 파일럿을 발생시키는 파일럿 발생부; 및
    상기 위성 수신부를 통해 위성 신호를 수신하는 위성 방송 통신 상태에서 상기 갭필러 수신부를 활성화시켜 갭필러 링크 신호를 스캔하며, 스캔에 의해 수신된 갭필러 링크 신호의 신호대 잡음비가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파일럿 발생부를 활성화시킨 후 갭필러 링크로 통신 천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지피에스(GPS) 위성으로부터 현재 위치 좌표 정보를 수신하는 지피에스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피에스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현재 위치 좌표가 지정된 좌표인 경우 상기 갭필러 수신부를 활성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단말.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갭필러 링크 신호 패킷과 위성 링크 신호 패킷을 동기화한 후 갭필러 링크로 통신 천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단말.
  17. 삭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버스트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만 상기 파일럿 발생부를 활성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단말.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갭필러 링크로 천이된 상태에서 상기 위성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위성링크 신호의 신호대 잡음비가 임계치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임계치 이상이면 위성 링크로 통신 천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단말.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갭필러 링크로 통신 천이된 상태에서 위성 링크로 재천이되면 상기 파일럿 발생부를 비활성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단말.
KR1020080098374A 2008-10-07 2008-10-07 위성 단말 및 그 위성 단말에서 수행되는 통신 링크 천이 방법 KR101022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374A KR101022026B1 (ko) 2008-10-07 2008-10-07 위성 단말 및 그 위성 단말에서 수행되는 통신 링크 천이 방법
EP09164860A EP2175576A3 (en) 2008-10-07 2009-07-08 Satellite terminal and communication link transition method performed by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374A KR101022026B1 (ko) 2008-10-07 2008-10-07 위성 단말 및 그 위성 단말에서 수행되는 통신 링크 천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139A KR20100039139A (ko) 2010-04-15
KR101022026B1 true KR101022026B1 (ko) 2011-03-16

Family

ID=41395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8374A KR101022026B1 (ko) 2008-10-07 2008-10-07 위성 단말 및 그 위성 단말에서 수행되는 통신 링크 천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2175576A3 (ko)
KR (1) KR1010220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9123A (ko) * 2005-04-15 2006-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및 수신장치에 사용되는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070010446A (ko) * 2005-07-18 2007-01-24 주식회사 팬택 디엠비 단말기의 방송 수신 위치 안내 장치 및 방법
KR20070015678A (ko) * 2005-08-01 2007-02-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신호 수신 경로 설정방법 및 이를 위한 dmb 단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8893B2 (ja) * 2005-03-28 2010-01-13 株式会社東芝 モバイ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GB2433179B (en) * 2005-12-09 2010-05-19 Korea Electronics Telecomm Apparatus and method for deciding transmission route in terminal of satellite system
JP2007195041A (ja) * 2006-01-20 2007-08-02 Toshiba Corp 放送受信装置
KR20080050927A (ko) * 2006-12-04 2008-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Tdma 기반 양방향 위성통신 시스템에서의 타이밍동기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9123A (ko) * 2005-04-15 2006-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및 수신장치에 사용되는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070010446A (ko) * 2005-07-18 2007-01-24 주식회사 팬택 디엠비 단말기의 방송 수신 위치 안내 장치 및 방법
KR20070015678A (ko) * 2005-08-01 2007-02-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신호 수신 경로 설정방법 및 이를 위한 dmb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139A (ko) 2010-04-15
EP2175576A2 (en) 2010-04-14
EP2175576A3 (en) 201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28166C2 (ru) Система для спутниковой связи в туннелях
US20230276258A1 (en) Infrastructure equipment, communications devices and methods
KR20020079971A (ko) 직접 디지털 위성방송 시스템에서의 이동식 플랫폼 수신및 동기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0601933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ation between base stations
KR101151142B1 (ko) 이동 위성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를 설정하는 방법
CN111866878A (zh) 一种卫星通信系统中的终端登录方法
Kim et al. Beam management for 5G satellite systems based on NR
US7925207B2 (en) Ranging method and apparatus in a communication system with relay station, and system thereof
KR101022026B1 (ko) 위성 단말 및 그 위성 단말에서 수행되는 통신 링크 천이 방법
Lim et al. ATSC 3.0 field trial under 3-Tx SFN environments
JP4543075B2 (ja) 地上デジタル放送再送信装置
Iliev et al. An approach for more effective use of the radio-frequency spectrum in DVB-T single frequency networks
JP4037302B2 (ja) 衛星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移動局
KR100585902B1 (ko) 위성 방송 방법, 그 방법에 이용하는 기지국 및 이동국
KR100940604B1 (ko) 양방향 통신 시스템에서 버스트 신호의 이득 제어 장치 및그 방법
US9042809B2 (en) Satellite communication having distinct low priority information broadcast into adjacent sub-regions
KR100925271B1 (ko) 양방향 이동이 가능한 음영지역에서의 버스트 이득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11283477B2 (en) Radio receiving device for a vehicle
JP5106892B2 (ja) 移動中継伝送システム
KR100651835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및 수신장치에 사용되는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JP2000278197A (ja) 中継放送システム
JPH08116569A (ja) 無線送信システム、中央無線局及び無線局
KR100837731B1 (ko) 양방향 위성통신 시스템에서의 버스트 신호 이득 조절 장치및 그 방법
JP2000078064A (ja) 地上波ディジタル放送用中継システム
JP2007221196A (ja) モバイル衛星放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