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1730B1 - 오프라인 학원의 온라인 수강신청에서의 결제방법 - Google Patents

오프라인 학원의 온라인 수강신청에서의 결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1730B1
KR101021730B1 KR1020090042828A KR20090042828A KR101021730B1 KR 101021730 B1 KR101021730 B1 KR 101021730B1 KR 1020090042828 A KR1020090042828 A KR 1020090042828A KR 20090042828 A KR20090042828 A KR 20090042828A KR 101021730 B1 KR101021730 B1 KR 101021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rse
payment
points
page
time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3546A (ko
Inventor
이필구
이철구
Original Assignee
이철구
이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구, 이필구 filed Critical 이철구
Priority to KR1020090042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1730B1/ko
Publication of KR20100123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강생이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미리 포인트를 구매하였다가 그 포인트를 수강신청 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강신청에 따른 결제가 금융기관과의 연결이 필요 없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오프라인 학원의 온라인 수강신청에서 결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수강신청 후 결제 페이지로 이동시키고, 결제를 위한 포인트를 구매하도록 요구하는 제1 과정과, 포인트의 구매가 이루어진 후 수강생이 수강신청 한 내용을 기초로 하여 수강신청에 필요한 포인트를 계산하여 표시하고, 해당 포인트만큼 차감하고 그 결과를 수강생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강의시간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강의시간표 페이지에 적용하여 다른 수강생이 강의시간표 페이지에 접속하였을 때 선택이 불가능하도록 표시되도록 하는 제2 과정을 포함한 온라인 수강신청에서의 결제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과정이 수행된 후, 수강 확정된 수강신청 내역 중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해 수강생이 직접 또는 관리자를 통하여 취소신청을 수행할 때 포인트의 환불이 이루어지고 그 결과를 수강생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강의시간표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여 저장하고, 강의시간표 페이지에 적용시켜 다른 수강생의 수강신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3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오프라인 학원의 온라인 수강신청에서의 결제방법{The method of Payment of Tuition Fee of Registering for classes On-Line in Off-Line Academy}
본 발명은 오프라인 학원의 온라인 수강신청에서의 결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프라인 상에서 교육이 이루어지는 일대일 및 일대다 외국어 학원에 적용하되 강사와 수강생을 일대일 및 일대다 로 연결시키는 수강신청을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시간에 관계없이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미리 충전된 포인트를 이용하여 결제가 수행되도록 하는 오프라인 학원의 온라인 수강신청에서의 결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설명에서 일대일 및 일대다 외국어 학원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일대일 및 일대다 학원에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학원이라 함은 외국어 학원뿐만 아니라, 스포츠, 레포츠관련(태권도, 수영, 골프 등), 생활관련(운전, 요리, 미용 등), 취미관련(바둑, 꽃꽂이, 노래 등) 학원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교육 분야 중에서 오프라인에 의한 학원 사업은 지속적으로 그 규모가 증가되어 수십조 원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오프라인 학원 강의 뿐 만 아니라, VOD 서비스에 의한 온라인 학습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 들어 산업과 경제의 국제화 추세에 따라 외국어, 특히 외국어 회화에 대한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고, 이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외국어 학습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온-오프라인 어학 강좌 등 어학 학습 프로그램들이 개설되어 있으며, 영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외국어 회화 학원에 등록하거나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일대일 전화학습을 다수 이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오프라인 학원의 강의는 학원에서 정한 강의시간표에 맞추어 수강신청을 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수강생의 입장에서는 원하는 날짜, 요일 및 시간에 강의를 수강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학원에서 정한 과목과 수강조건에 따라 수강신청을 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수강생들이 어떤 과목을 수강하기 원해도 개설된 과목이 아니면 수강이 불가능하고 수강조건도 수강생의 기호에 맞게 다양하게 설정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오프라인 학원에 수강신청을 하기 위해서는 수강생이 직접 학원을 방문하여 학원 관리자와 상담 후 짧은 시간에 수강신청을 결정해야 하므로, 강사정보, 강의정보, 강의시간에 대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제공되지 않아 개설된 수업의 모집현황 과 변동사항을 수시로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결국, 오프라인 학원의 경우에도 온라인을 통해 수강신청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터넷 사이트 등의 온라인을 통해 강사 및 강의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수강생이 원하는 강사 및 강의시간을 선택하여 온라인상에서 수강신청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오프라인 학원의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을 본 출원과 동일 날짜에 출원하였다.
그 출원에 따르면 타수강생의 수강신청으로 인한 강의시간 변경사항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복 수강신청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수강신청이 이루어진 후 온라인상에서 즉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수강신청이 이루어진 후 그 수강 확정된 내용을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전체적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서 오프라인 학원의 온라인 수강신청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첨부도면 도 1을 참조하면, 오프라인 학원의 관리자에 의해 조작되어 강사정보, 강의 가능 날짜, 요일 및 시간, 교재정보를 입력하는 관리자 단말기(10), 오프라인 학원에서 교육을 받고자 하는 수강생에 의해 조작되어 수강 신청 및 결제 정보를 입력하는 수강생 단말기(30)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오프라인 학원의 홈페이지(homepage)를 운영하는 웹서버(4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웹서버(40)에는 각종 데이터베이스가 연결되어 있는데, 데이터베이스의 종류로는 강사정보 데이터베이스(42), 수강생정보 데이터베이스(44), 강의시간표 데이터베이스(46), 및 교재정보 데이터베이스(48) 등이 포함된다. 이 이외 에도 필요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첨부도면 도 2를 참조하여 온라인 수강신청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오프라인 학원의 관리자는 학원의 홍보자료 및 각종 강의 관련 자료를 제공하는 홈페이지를 구축하여 인터넷 등의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불특정 다수가 접속할 수 있도록 오픈한다(S10 단계 참조). 그 홈페이지에는 강사정보 페이지, 강의시간표 페이지, 수강신청 페이지, 결제 페이지, 수강신청 및 취소신청 결과확인 페이지 등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홈페이지가 구축되어 오픈된 후에도 오프라인 학원의 관리자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10)를 조작하여 각종 정보 및 자료들을 입력하여 각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도록 한다.
한편, 오프라인 학원의 관리자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10)에 접속하여 강사정보를 입력함으로써 강사등록을 할 수 있게 된다(S20 단계 참조). 이때, 상기 웹서버(40)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10)의 접속이 이루어지고, 입력되는 강사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강사정보 데이터베이스(42)에 저장하고 강사등록을 완료한다.
상기 S20 단계에서 강사등록이 이루어 진 후 상기 관리자 단말기(10)의 입력에 따라 강의시간 등록이 진행된다(S30 단계 참조). 이때, 상기 웹서버(40)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10)로부터 강의를 수행할 수 있는 날짜 및 요일, 시간을 입력받아 그를 기초로 하여 강의시간 등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상기 강의시간표 데이터베이스(46)에 저장함으로써 강의시간표 페이지에 적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S30 단계에 의해 강의시간 등록과정이 이루어지면, 오프라인 일대다 학원에서 수강을 원하는 수강생들은 언제든지 상기 수강생 단말기(30)를 이용하여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강의시간표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되고 강사, 날짜 및 요일, 시간을 선택하여 수강신청 1단계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S40 단계 참조).
상기와 같은 S40 단계에 의해 수강신청 1단계 과정이 이루어지면 같이 수업을 수강할 수강생들을 모집하기 위해 수강과목 및 수강조건(레벨, 성별, 나이)을 설정하는 수강신청 2단계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S50 단계 참조).
상기와 같은 S50 단계에 의해 수강신청 2단계 과정이 이루어지면 수강신청 1,2단계 내용에 따라 함께 수업을 수강할 수강생들을 모집하는 수강신청 3단계를 진행하게 된다(S60 단계 참조).
상기와 같은 S60 단계에 의해 수강신청 3단계 과정이 이루어진 후, 상기 S40,S50,S60 단계에서 수강신청 된 내용을 관리자가 승인해 주게 된다. 수강조건 설정 단계 내지 관리자 승인 과정은 일대다 수강신청 의 경우만 필요하다(S70 단계 참조).
상기와 같은 S70 단계에 의해 수강신청 된 내용에 대해 관리자의 승인이 떨어지면 수강생은 결제 페이지로 이동해 결제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S80 단계 참조). 이 때, 결제방법은 일반적인 전자상거래에서 이루어지는 신용카드 결제, 실시간계좌이체, 가상계좌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제가 이루어져 수강이 확정되면(S80 단계 참조) 상기 웹서버(40)는 그 내용을 상기 강의시간표 데이터베이스(46)에 저장함으로써 강의시 간표 페이지에 실시간으로 적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S80 단계에서 수강 확정이 이루어지면 상기 웹서버(40)에서는 상기 수강생 단말기(30)의 요구에 따라 수강신청 내역을 제공하여 수강생이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90 단계 참조).
상기와 같은 S80 단계에서 수강 확정이 이루어진 후 수강생의 사정에 따라 수강신청 내역 중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해 수강생이 직접 또는 관리자를 통하여 취소신청을 수행하면 상기 웹서버(40)는 취소신청 내용을 상기 강의시간표 데이터베이스(46)에 저장함으로써 강의시간표 페이지에 실시간으로 적용되도록 한다(S100 단계 참조).
그런데, 상기의 과정에서 S80 결제 단계는 매 수강료결제 시마다 금융기관과의 연결이 필요하기 때문에 수강신청 하는 시점에 금융기관의 상황에 따라 결제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수강신청 한 내용에 대해 바로 결제를 마치지 못해 타수강생에 의해 원하는 강의를 선점 당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강생이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미리 포인트를 구매하였다가 그 포인트를 수강신청 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매 수강신청에 따른 결제가 금융기관과의 연결이 필요 없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오프라인 학원의 온라인 수강신청에서의 결제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강 확정된 수강신청 내역 중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해 수강생이 직접 또는 관리자를 통하여 취소신청을 수행할 때 포인트로 환불을 함으로써 해당 포인트를 추후에 수강신청 할 때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매 수강신청에 대한 결제뿐만 아니라 수강확정 된 내역에 대해서 취소신청 할 때도 금융기관과의 연결이 필요 없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오프라인 학원의 온라인 수강신청에서의 결제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수강신청 후 결제 페이지로 이동시키고, 결제를 위한 포인트를 구매하도록 요구하는 제1 과정과, 포인트의 구매가 이루어진 후 수강생이 수강신청 한 내용을 기초로 하여 수강신청에 필요한 포인트를 계산하여 표시하고, 해당 포인트만큼 차감하고 그 결과를 수강생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강의시간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강의시간표 페이지에 적용하여 다른 수강생이 강의시간표 페이지에 접속하였을 때 선택이 불가능하도록 표시되도록 하는 제2 과정을 포함한 온라인 수강신청에서의 결제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과정이 수행된 후, 수강 확정된 수강신청 내역 중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해 수강생이 직접 또는 관리자를 통하여 취소신청을 수행할 때 포인트의 환불이 이루어지고 그 결과를 수강생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강의시간표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여 저장하고, 강의시간표 페이지에 적용시켜 다른 수강생의 수강신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3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오프라인 학원의 온라인 수강신청에서의 결제방법을 적용하면, 수강생이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미리 포인트를 구매하였다가 그 포인트를 수강신청 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매 수강신청에 따른 결제가 금융기관과의 연결이 필요 없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강 확정된 수강신청 내역 중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해 수강생이 직접 또는 관리자를 통하여 취소신청을 수행할 때 포인트로 환불을 함으로써 해당 포인트를 추후에 수강신청 할 때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매 수강신청에 대한 결제뿐만 아니라 수강확정 된 내역에 대해서 취소신청 할 때도 금융기관과의 연결이 필요 없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오프라인 학원의 온라인 수강신청에서의 결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하여 첨부도면 도 1의 시스템이 필요한데 그 설명은 위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상기 첨부도면 도 3의 흐름 도를 참조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S70의 단계에 의해 수강신청 한 내용에 대해 관리자의 승인이 떨어지면 , 수강생은 결제 페이지로 이동해 결제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일대일 수강신청 의 경우 S50,S60,S70의 단계가 필요 없으므로 상기 S40의 단계에 의해 수강신청 1단계 작업이 진행되면 수강생은 바로 결제 페이지로 이동해 결제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S71 단계 참조). 결제 페이지로 이동이 이루어지면 결제를 위한 포인트의 구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S72 단계 참조). 포인트의 구매 방법은 일반적인 전자상거래에서 이루어지는 신용카드 결제, 실시간계좌이체, 가상계좌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은 수강신청이 이루어지기 전에 언제든지 수행될 수 있다.
포인트의 구매가 이루어진 후 상기 웹서버(40)에서는 수강생이 수강신청한 내용을 기초로 하여 수강료결제에 필요한 포인트를 계산하여 표시하고(S73 단계 참조), 수강생이 상기 수강생 단말기(30)를 조작하여 수강료결제가 이루어지면 해당 포인트만큼 차감함으로써 결제가 완료된다(S74 단계 참조).
상기 결제가 이루어지면 그 내용은 상기 수강생정보 데이터베이스(44) 및 강의시간표 데이터베이스(46)에 저장되고, 강의시간표 페이지에 실시간으로 적용이 이루어진다. 상기 강의시간표 페이지에 적용이 되면 다른 수강생이 강의시간표 페이지에 접속하였을 때 선택이 불가능하도록 표시되어 타수강생의 중복 수강신청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S90 단계에서는 수강 확정된 내용을 수강생이 수강신청 결과확인 페이지에서 언제든지 확인 할 수 있도록 한다.
수강 확정된 수강신청 내역 중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해 수강생이 직접 또는 관리자를 통하여 취소신청을 수행할 때 상기 웹서버(40)에서는 취소과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포인트의 환불이 동시에 진행되고, 취소신청이 이루어지면 그 내용은 다시 수강생정보 데이터베이스(44) 및 강의시간표 데이터베이스(46)에 업데이트 되어 저장되고, 강의시간표 페이지에도 적용이 이루어져 다른 수강생의 수강신청이 가능하게 된다(S75 단계 참조).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전체적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서 오프라인 학원의 온라인 수강신청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오프라인 학원의 온라인 수강신청에서 결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관리자 단말기 30 : 수강생 단말기
40 : 웹서버
42 : 강사정보 데이터베이스
44 : 수강생정보 데이터베이스 46 : 강의시간표 데이터베이스
48 : 교재정보 데이터베이스

Claims (2)

  1. 수강신청 후 결제 페이지로 이동시키고, 결제를 위한 포인트를 구매하도록 요구하는 제1 과정과, 포인트의 구매가 이루어진 후 수강생이 수강신청 한 내용을 기초로 하여 수강신청에 필요한 포인트를 계산하여 표시하고, 해당 포인트만큼 차감하고 그 결과를 수강생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강의시간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강의시간표 페이지에 적용하여 다른 수강생이 강의시간표 페이지에 접속하였을 때 선택이 불가능하도록 표시되도록 하는 제2 과정을 포함한 온라인 수강신청에서의 결제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과정이 수행된 후, 수강 확정된 수강신청 내역 중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해 수강생이 직접 또는 관리자를 통하여 취소신청을 수행할 때 포인트의 환불이 이루어지고 그 결과를 수강생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강의시간표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여 저장하고, 강의시간표 페이지에 적용시켜 다른 수강생의 수강신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3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학원의 온라인 수강신청에서의 결제방법.
  2. 삭제
KR1020090042828A 2009-05-15 2009-05-15 오프라인 학원의 온라인 수강신청에서의 결제방법 KR101021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828A KR101021730B1 (ko) 2009-05-15 2009-05-15 오프라인 학원의 온라인 수강신청에서의 결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828A KR101021730B1 (ko) 2009-05-15 2009-05-15 오프라인 학원의 온라인 수강신청에서의 결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546A KR20100123546A (ko) 2010-11-24
KR101021730B1 true KR101021730B1 (ko) 2011-03-15

Family

ID=43408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828A KR101021730B1 (ko) 2009-05-15 2009-05-15 오프라인 학원의 온라인 수강신청에서의 결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173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1776A (ko) * 2004-01-02 2005-07-08 주식회사 에듀메카 네트워크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 신청 서비스 방법
KR20090016352A (ko) * 2007-08-10 2009-02-13 전달용 온라인상에서 선구매권의 판매를 통한 운영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1776A (ko) * 2004-01-02 2005-07-08 주식회사 에듀메카 네트워크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 신청 서비스 방법
KR20090016352A (ko) * 2007-08-10 2009-02-13 전달용 온라인상에서 선구매권의 판매를 통한 운영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546A (ko) 201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cGreal et al. A strategic reset: micro-credentials for higher education leaders
Caldwell et al. Beyond the self-managing school
CN109427218A (zh) 一种在线教育系统和方法
CN112529527A (zh) 财税教学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20020027145A (ko) 인터넷망을 이용한 교육 콘텐츠 상거래 방법
KR20100123551A (ko) 오프라인 학원의 온라인 수강신청에서 강의선택 방법
KR101067545B1 (ko) 오프라인 일대다 학원의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
KR101021730B1 (ko) 오프라인 학원의 온라인 수강신청에서의 결제방법
Donahoo et al. Knowing and getting what you pay for: Administration, technology, and accountability in K-12 schools
KR20080006063A (ko) 가상공간을 이용한 영어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94697A (ko) 온라인 외국어 학습회원의 교육성취도 평가 및 온라인프랜차이즈 운영이 가능한 교육포탈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20150078022A (ko) 온라인 어학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
Bean et al. Signals and noise: communicating achievement through alternative credentials
KR101067607B1 (ko) 오프라인 일대일 학원의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
Usman Globalization of China and Nigeria’s Language Educational Policy: A Case Study
KR102151847B1 (ko) 크라우드 펀딩을 이용하여 지식공유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riani et al. Implementation of Studen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in Pondok Pesantren Nurul Haramain Nw Putri Narmada-West Lombok
Ng Transnational Education and an International Partnership: A case study of a collaborative articulation program (CAP)
SHAFFER Workforce development at Community Colleges
KR20010106536A (ko) 인터넷을 이용한 지식 전달 방법 및 그의 시스템
ADRINA et al. PROTECHNIC WEBSITE DEVELOPMENT FOR RENTAL OF PROPERTY & TRANSPORTATION AMONG POLITEKNIK SHAH ALAM STUDENTS
KR20170000002A (ko) 보험상품 판매 교육을 위한 롤플레잉 게임 방법
Haggar et al. Collaborations among diverse support areas for hybrid success
Hidayat et al. Optimizing New Student Admissions System Using Zachman Framework for Vocational High School: Case Study at SMK Al Hikmah Anjatan
KR20210028625A (ko) 지식공유서버 플랫폼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지식콘텐츠의 전달 및 결재를 수행하는 지식콘텐츠의 전달 및 결재 시스템 및 수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