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0791B1 - 교환 가능한 식생대용 백 - Google Patents
교환 가능한 식생대용 백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20791B1 KR101020791B1 KR1020100046571A KR20100046571A KR101020791B1 KR 101020791 B1 KR101020791 B1 KR 101020791B1 KR 1020100046571 A KR1020100046571 A KR 1020100046571A KR 20100046571 A KR20100046571 A KR 20100046571A KR 101020791 B1 KR101020791 B1 KR 1010207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g
- vegetation
- initial
- initial excellent
- outl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5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ontained within a flexible envelop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친환경 비점오염처리장치 내에 다른 식생대용 백과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연결된 상태로부터 분리되어 교환 가능하게 되는 식생대용 백에 관한 것으로, 식생대용 백은 백 본체와, 초기우수 유입구와, 초기우수 배출구, 및 연결기구를 포함한다. 백 본체는 상측에 식생대가 조성되며, 내부로 유입된 초기우수를 정화시키는 여과재를 수용한다. 초기우수 유입구는 백 본체 내로 초기우수를 유입시키도록 백 본체의 일 측부에 형성된다. 초기우수 배출구는 여과재를 거쳐 정화된 초기우수를 백 본체로부터 배출시키도록 백 본체의 타 측부에 형성된다. 연결기구는 초기우수 배출구를 인접한 식생대용 백의 초기우수 유입구와 서로 연결 또는 분리하거나, 초기우수 유입구를 인접한 다른 식생대용 백의 초기우수 배출구 또는 인접한 친환경 비점오염처리장치의 저류조의 배출구와 서로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정화 능력이 떨어진 식생대용 백을 보다 편리하게 교환할 수 있으므로, 친환경 비점오염처리장치로 유입되는 초기우수를 효과적으로 정화시켜 하천의 수질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생대용 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비점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초기우수를 자연친화적으로 정화시켜 하천으로 흘려 보낼 수 있도록 친환경 비점오염처리장치 내에 설치되는 식생대용 백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비가 오게 되면 우수가 도로나 지표면을 따라 흐르면서 지표면에 노출된 각종 비점오염물질(Non-Point Source Pollutant)과 섞이게 되고, 이러한 비점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초기우수는 하천으로 유입되어 하천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된다. 특히 비가 내리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의 우수에 비해 초기우수는 많은 비점오염물질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처리하는 것은 환경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요한 사안이 된다.
특히 도로, 교량, 고가차도 등의 도로 노면에 떨어지는 우수는 도로 위에 적층된 각종 유해물질, 예컨대 차량 주행으로 인해 발생된 타이어 마모 미립자, 자동차의 연소분진 등 미립자 형태의 유해물질은 물론, 비가 내리면서 대기 중의 유해가스나 부유분진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오염도가 매우 높아 하천 오염도를 증가시키는 주요 비점오염원 중 하나이다.
한편, 비점오염물질을 내포한 초기우수를 자연친화적으로 정화해서 하천으로 흘려 보내기 위한 방안으로서, 친환경 비점오염처리장치 내에 정화 능력이 있는 여과재를 적층해서 시공하고 그 위에 식생대를 조성하는 예가 있다.
그런데, 전술한 여과층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화 능력이 떨어지게 되므로, 새로운 여과층으로 교환하기 위한 재시공이 요구된다. 하지만, 종래에 따르면, 재시공을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등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보다 편리하게 재시공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정화 능력이 떨어진 식생대를 보다 편리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친환경 비점오염처리장치 내로 유입되는 초기우수를 효과적으로 정화시켜 하천의 수질오염을 방지하도록 하는 교환 가능한 식생대용 백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환 가능한 식생대용 백은, 친환경 비점오염처리장치 내에 다른 식생대용 백과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연결된 상태로부터 분리되어 교환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상측에 식생대가 조성되며, 내부로 유입된 초기우수를 정화시키는 여과재를 수용하는 백 본체; 상기 백 본체 내로 초기우수를 유입시키도록 상기 백 본체의 일 측부에 형성된 초기우수 유입구; 상기 여과재를 거쳐 정화된 초기우수를 상기 백 본체로부터 배출시키도록 상기 백 본체의 타 측부에 형성된 초기우수 배출구; 및 상기 초기우수 배출구를 인접한 식생대용 백의 초기우수 유입구와 서로 연결 또는 분리하거나, 상기 초기우수 유입구를 인접한 다른 식생대용 백의 초기우수 배출구 또는 인접한 친환경 비점오염처리장치의 저류조의 배출구와 서로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게 하는 연결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대용 백은 친환경 비점오염처리장치 내에 다른 식생대용 백과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연결된 상태로부터 분리되어 교환 가능하게 되므로, 친환경 비점오염처리장치 내에 설치된 식생대용 백들은 하나씩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교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생대 내의 여과재 또는 식생대 전체를 보다 편리하게 교환할 수 있다. 그 결과, 하천으로 유입되는 초기우수를 효과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으므로, 하천의 수질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대용 백이 친환경 비점오염처리장치 내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식생대용 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식생대용 백에 대한 평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식생대용 백에 대한 측 단면도.
도 5는 도 2에 있어서, 연결기구의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식생대용 백에 있어서, 백 본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식생대용 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식생대용 백에 대한 평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식생대용 백에 대한 측 단면도.
도 5는 도 2에 있어서, 연결기구의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식생대용 백에 있어서, 백 본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대한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대용 백이 친환경 비점오염처리장치 내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의 식생대용 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식생대용 백에 대한 평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식생대용 백에 대한 측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대용 백(100)은 하천변(10)의 친환경 비점오염처리장치(20) 내에 다른 식생대용 백(100)과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어, 각종 비점오염물질을 내포한 초기우수를 정화시켜 하천(11)으로 방류시키는 작용을 한다.
친환경 비점오염처리장치(20)는 도로 또는 법면을 따라 흐르는 초기우수를 받아서 1차 처리하는 침사조(21)와, 침사조(21)로부터 오버플로(overflow)되는 초기우수를 담는 저류조(22)와, 저류조(22)에 담긴 초기우수를 공급받아서 정화하는 식생대용 백(100)들이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는 정화부(23)와, 정화된 우수가 배출되는 배수구(24)를 포함한다.
식생대용 백(100)은 다른 식생대용 백(100)에 연결된 상태로부터 분리되어 교환 가능하도록, 백 본체(110)와, 초기우수 유입구(130)와, 초기우수 배출구(140), 및 연결기구(150)를 포함한다.
백 본체(110)의 상측에는 식생대(101)가 조성될 수 있다. 식생대(101)는 백 본체(110)의 상측에 식물(102)을 식재하여 조성될 수 있다. 식물(102)은 백 본체(110) 내로 초기우수가 흘러가는 과정에서 걸러진 유기물질 등을 흡수하여, 후술할 여과재(120)의 수명을 향상시키고, 초기우수의 정화 처리효율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또한, 백 본체(110)의 상측의 식물(102)은 하천(11)의 경관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기도 한다.
백 본체(110)는 내부에 여과재(120)를 수용한다. 여과재(120)는 비점오염물질을 포함한 초기우수가 백 본체(110) 내로 유입되면, 초기우수에 내포된 비점오염물질을 정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초기우수 유입구(130)는 백 본체(110) 내로 초기우수를 유입시키도록 백 본체(110)의 일 측부에 형성된다. 초기우수 배출구(140)는 여과재(120)를 거쳐 정화된 초기우수를 백 본체(110)로부터 배출시키도록 백 본체(110)의 타 측부에 형성된다.
초기우수 유입구(130)와 초기우수 배출구(140)는 식생대용 백(100)이 친환경 비점오염처리장치(20) 내에 설치될 경우에는, 도로나 지표면을 따라 하천(11)으로 유입되는 초기우수가 친환경 비점오염 처리장치(20)의 침사조(21)와 저류조(22)를 통해서 정화부(23)에 있는 백 본체(110)로 자연스레 유입되고 배출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초기우수 유입구(130) 및 초기우수 배출구(140)는 다수의 통수구멍(170)을 갖도록 각종 판 형태의 소재에 구멍을 형성하여 백 본체(110)에 연결하거나, 백 본체(110)의 벽면에 다수의 통수구멍(170)을 갖도록 천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결기구(150)는 초기우수 배출구(140)를 인접한 다른 식생대용 백(100)의 초기우수 유입구(130)와 서로 연결 또는 분리하거나, 초기우수 유입구(130)를 인접한 또 다른 식생대용 백(100)의 초기우수 배출구(140) 또는 인접한 친환경 비점오염처리장치(20)의 저류조(22)의 배출구(25)와 서로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게 한다.
연결기구(150)에 의해 식생대용 백(100)들이 전술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친환경 비점오염처리장치(20) 내의 정화부(23)에 설치된 상태에서, 초기우수는 어느 한 식생대용 백(100)의 초기우수 유입구(130)로 유입되어 초기우수 배출구(140)를 통해 배출된 후, 인접한 다른 식생대용 백(100)의 초기우수 유입구(130)로 유입되는 과정에 의해 식생대용 백(100)들을 차례로 거치면서 정화 처리되어 하천으로 방류될 수 있다.
친환경 비점오염처리장치(20) 내의 정화부(23)에 설치된 식생대용 백(100)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화 능력이 떨어지게 되는데, 정화 능력이 떨어진 식생대용 백(100)들을 새로운 식생대용 백(100)들로 주기적으로 교환할 필요가 있다. 이때, 식생대용 백(100)들은 서로 분리 가능하므로, 식생대용 백(100)들을 다음과 같이 교환할 수 있다.
먼저, 식생대용 백(100)들 중 교환하고자 하는 것을 인접한 식생대용 백(100)에 설치된 연결기구(150)에서 분리한 후, 밖으로 제거한다. 이어서, 제거된 빈 자리에 새로운 식생대용 백(100)을 삽입한 후, 새로운 식생대용 백(100)을 인접한 식생대용 백(100)과 연결하여 교환을 마무리한다. 이때, 새로운 식생대용 백(100)은 외부에서 완성품으로 미리 제조된 후 교환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여과재(120)가 채워지지 않고 식생대(101)도 조성되지 않은 상태의 백 본체(110)를 마련해서 인접한 식생대용 백(100)과 연결기구(150)를 통하여 연결한 후, 백 본체(110)에 여과재(120)를 채우고 상측에 식생대(101)를 조성하여 교환을 마무리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친환경 비점오염처리장치(20) 내의 정화부(23)에 서로 연결되어 설치된 식생대용 백(100)들은 하나씩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교환될 수 있으므로, 보다 편리한 교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천(11)으로 유입되는 초기우수를 효과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으므로, 하천(11)의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연결기구(150)는 식생대용 백(100)들 사이를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 일 예로, 연결기구(150)는 초기우수 유입구(130)의 양측 주변에 설치되는 제1 연결부재(151)와, 초기우수 배출구(140)의 양측 주변에 설치되는 제2 연결부재(15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51)에는 상하로 길게 끼움 돌기(151a)가 형성되고, 제2 연결부재(152)에는 끼움 돌기(151a)가 상부로부터 끼워져 결합되도록 끼움 홈(152a)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1 연결부재(151)에 끼움 홈(152a)이 형성되고, 제2 연결부재(152)에 끼움 돌기(151a)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연결부재(152)는 초기우수 배출구(140)의 상측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주변 영역을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인접한 식생대용 백(100)과 밀착되는 면적을 늘릴 수 있다. 끼움 돌기(151a)가 끼움 홈(152a)에 끼워져 결합됨에 따라 식생대용 백(100)들 사이가 연결되며, 끼움 돌기(151a)가 끼움 홈(152a)에 끼워진 상태에서 분리됨에 따라 식생대용 백(100)들 사이가 분리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연결기구(2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퍼(zipper)일 수 있다. 지퍼는 다수의 치들이 좌우 한 줄로 늘어선 한 쌍의 지퍼 테이프들과 중앙 손잡이로 구성된다. 중앙 손잡이를 잡아당김에 따라 지퍼 테이프들이 서로 맞물려 닫히고, 중앙 손잡이를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지퍼 테이프들 사이가 벌어져 열리게 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해서 식생대용 백(100)들을 서로 연결하고 분리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한 쌍의 지퍼 테이프들 중 하나가 식생대용 백(100)의 초기우수 유입구(130) 둘레에 부착되고, 다른 하나가 식생대용 백(100)의 초기우수 배출구(140) 둘레에 부착된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여과재(120)는 숯 또는 코코넛 섬유(121)와 황토볼(122)과 모래(123) 및 자갈(124)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숯 또는 코코넛 섬유(121)와 황토볼(122)과 모래(123) 및 자갈(124)은 백 본체(110) 내에서 초기우수 유입 방향으로부터 초기우수 배출 방향을 향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숯 또는 코코넛 섬유(121)와 황토볼(122)과 모래(123) 및 자갈(124)은 다공성 구획 부재(111)에 의해 구획된 공간들에 각각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초기우수는 초기우수 유입구(130)로 유입되어 숯 또는 코코넛 섬유(121)를 통과하면서 1차 정화되고, 황토볼(122)을 통과하면서 2차 정화되며, 모래(123)를 통과하면서 3차 정화되며, 자갈(124)을 통과하면서 4차 정화되어 초기우수 배출구(140)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백 본체(110)의 상측에는 고리(16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고리(160)를 잡아서 백 본체(110) 또는 식생대용 백(100) 전체를 운반할 수 있다. 또는, 운반 장비의 걸이에 고리(160)를 걸어서 백 본체(110)를 운반할 수 있다. 작업자가 여럿이 백 본체(110)를 들어서 운반하거나, 백 본체(110)를 안정되게 들어서 운반할 수 있도록 고리(160)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고리(160)는 백 본체(110) 상면의 네 가장자리에 1개 이상씩 설치되고, 상면 중앙에서 다공성 구획 부재(111)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 본체(110)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연결기구(150)의 제1,2 연결부재(151)(152)에 의해 서로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물론, 백 본체(110)들은 지퍼로 구성된 연결기구(250)에 의해 서로 연결 또는 분리되는 것도 가능하다.
백 본체(110)들은 각각 1개의 공간을 가지며, 백 본체(110)들의 공간들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씩 숯 또는 코코넛 섬유(121), 황토볼(122), 모래(123), 자갈(124)이 각각 수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백 본체(110)가 4개로 구비된 경우, 백 본체(110)들 중 하나에는 여과재로서 숯 또는 코코넛 섬유(121)가 수용될 수 있다. 백 본체(110)들 중 다른 하나에는 여과재로서 황토볼(122)이 수용될 수 있고, 또 다른 하나에는 여과재로서 모래(123)가 수용될 수 있으며, 나머지 하나에는 여과재로서 자갈(124)이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백 본체(110)들은 숯 또는 코코넛 섬유(121)와 황토볼(122)과 모래(123) 및 자갈(124) 순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백 본체(110)는 4개보다 많게 구비되어, 백 본체(110)들 중 2개 이상에 숯 또는 코코넛 섬유(121)가 수용되거나, 황토볼(122)이 수용되거나, 모래(123)가 수용되거나, 자갈(124)이 수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백 본체(110)들은 숯 또는 코코넛 섬유(121)와 황토볼(122)과 모래(123) 및 자갈(124) 순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백 본체(110)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다공성 구획 부재(111)에 의해 2개 이상으로 구획된 공간들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백 본체(110)들 중 2개의 백 본체(110)들이 하나의 공간을 각각 가지고, 나머지 하나의 백 본체(110)가 2개의 공간을 갖는다면, 상기 4개의 공간들에 숯 또는 코코넛 섬유(121)와 황토볼(122)과 모래(123) 및 자갈(124)이 각각 수용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전술한 예들을 응용하여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백 본체(110)들에는 숯 또는 코코넛 섬유(121)와 황토볼(122)과 모래(123) 및 자갈(124)과 같은 각기 다른 여과재가 수용되며, 백 본체(110)들은 서로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하므로, 여과재별로 교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과재들의 수명이 각기 다른 경우, 각 수명에 맞게 교환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하천변 11..하천
20..친환경 비점오염처리장치 21..침사조
22..저류조 23..정화부
24..배수구 25..배출구
100.식생대용 백 101..식생대
110..백 본체 111..다공성 구획부재
120..여과재 121..숯 또는 코코넛 섬유
122..황토볼 123..모래
124..자갈 130..초기우수 유입구
140..초기우수 배출구 150,250..연결기구
151..제1 연결부재 151a..끼움 돌기
152..제2 연결부재 152a..끼움 홈
160..고리 170..통수구멍
20..친환경 비점오염처리장치 21..침사조
22..저류조 23..정화부
24..배수구 25..배출구
100.식생대용 백 101..식생대
110..백 본체 111..다공성 구획부재
120..여과재 121..숯 또는 코코넛 섬유
122..황토볼 123..모래
124..자갈 130..초기우수 유입구
140..초기우수 배출구 150,250..연결기구
151..제1 연결부재 151a..끼움 돌기
152..제2 연결부재 152a..끼움 홈
160..고리 170..통수구멍
Claims (6)
- 친환경 비점오염처리장치 내에 다른 식생대용 백과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연결된 상태로부터 분리되어 교환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상측에 식생대가 조성되며, 내부로 유입된 초기우수를 정화시키는 여과재를 수용하는 백 본체;
상기 백 본체 내로 초기우수를 유입시키도록 상기 백 본체의 일 측부에 형성된 초기우수 유입구;
상기 여과재를 거쳐 정화된 초기우수를 상기 백 본체로부터 배출시키도록 상기 백 본체의 타 측부에 형성된 초기우수 배출구; 및
상기 초기우수 배출구를 인접한 식생대용 백의 초기우수 유입구와 서로 연결 또는 분리하거나, 상기 초기우수 유입구를 인접한 다른 식생대용 백의 초기우수 배출구 또는 인접한 친환경 비점오염처리장치의 저류조의 배출구와 서로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게 하는 연결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백 본체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연결기구에 의해 서로 연결 또는 분리되며,
상기 복수의 백 본체들은 각각 1개 이상의 공간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백 본체들의 공간들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씩 상기 여과재로서 숯 또는 코코넛 섬유와 황토볼과 모래 및 자갈이 각각 수용되며, 초기우수 유입 방향으로부터 초기우수 배출 방향을 따라 상기 숯 또는 코코넛 섬유와 황토볼과 모래 및 자갈 순으로 상기 백 본체들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 가능한 식생대용 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 본체가 2 이상의 공간을 갖는 경우,
상기 백 본체의 공간들은 다공성 구획 부재들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숯 또는 코코넛 섬유와 황토볼과 모래 및 자갈 중 선택된 것들은 상기 백 본체 내의 구획된 공간들에 각각 나뉘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 가능한 식생대용 백.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 본체의 상측에는 고리가 설치되어, 상기 고리를 작업자가 잡거나 운반 장비의 걸이에 걸어서 상기 백 본체를 운반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 가능한 식생대용 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는 상기 초기우수 유입구의 양측 주변에 설치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초기우수 배출구의 양측 주변에 설치되는 제2 연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 중 하나에는 상하로 길게 끼움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끼움 돌기가 상부로부터 끼워져 결합되도록 끼움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 가능한 식생대용 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는 지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 가능한 식생대용 백.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6571A KR101020791B1 (ko) | 2010-05-18 | 2010-05-18 | 교환 가능한 식생대용 백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6571A KR101020791B1 (ko) | 2010-05-18 | 2010-05-18 | 교환 가능한 식생대용 백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20791B1 true KR101020791B1 (ko) | 2011-03-09 |
Family
ID=43938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46571A KR101020791B1 (ko) | 2010-05-18 | 2010-05-18 | 교환 가능한 식생대용 백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20791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4186A (ja) * | 1996-07-26 | 1998-02-10 | Nikko Kasei Kk | 植物を用いた汚水及び水質の浄化方法 |
KR20060104129A (ko) * | 2005-03-29 | 2006-10-09 | 진흥기업주식회사 | 강우유출수를 비롯한 오염수 처리를 위한 수처리장치 |
-
2010
- 2010-05-18 KR KR1020100046571A patent/KR10102079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4186A (ja) * | 1996-07-26 | 1998-02-10 | Nikko Kasei Kk | 植物を用いた汚水及び水質の浄化方法 |
KR20060104129A (ko) * | 2005-03-29 | 2006-10-09 | 진흥기업주식회사 | 강우유출수를 비롯한 오염수 처리를 위한 수처리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42275B1 (ko) | 초기우수분리 및 자동역세와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 |
KR100911819B1 (ko) |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 |
KR100987316B1 (ko) | 유수분리 및 상향여과 복합방식의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및 정화 방법 | |
KR100570957B1 (ko) | 도로 배수 시설의 오염물질 처리 장치 | |
KR100991492B1 (ko) | 다단처리를 통한 자연형 초기 우수 정화 장치 및 그 정화 방법 | |
JP3148921U (ja) | 雨水濾過器 | |
KR100895273B1 (ko) | 자원재생 및 저수시설 기능 제고를 위한 하천 및 저수지의유입물질 차단 방법 | |
KR101226206B1 (ko) | 6방향 여과기를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 |
KR101010048B1 (ko) | 우수 처리 장치 | |
KR100848011B1 (ko) | 상향류형 여과조를 이용한 우수 내 오염물질 제거장치 | |
KR101113989B1 (ko) | 모듈식 측면여과형 비점오염저감장치 | |
KR101244122B1 (ko) |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 |
JP4145895B2 (ja) | 非点汚染源除去装置 | |
KR100912708B1 (ko) | 비점오염 침전분리 침투형 정화장치 | |
KR101186604B1 (ko) | 활성바이오 담체를 이용한 비점오염처리장치 | |
KR100917400B1 (ko) | 생태정화형 인공습지용 세정식 연결수로 | |
KR101384490B1 (ko) | 자동 우수 처리 장치 | |
KR101165241B1 (ko) | 조립식 인공습지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자연정화 시스템 | |
KR101353280B1 (ko) | 여재카트리지를 결합한 모듈식 침투도랑 | |
KR101020791B1 (ko) | 교환 가능한 식생대용 백 | |
CN209188314U (zh) | 一种环保渣土车清洗系统 | |
KR101846252B1 (ko) | 설비구조 및 여과기능을 개선시킨 비점오염원 단계별 저감장치 | |
KR200378313Y1 (ko) | 도로 배수 시설에서의 오염물질 처리 장치 | |
KR101268665B1 (ko) | 연속함몰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체여과시설 | |
KR102139984B1 (ko) | 비점오염 처리용 여재 교체형 침투도랑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