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0250B1 -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0250B1
KR101020250B1 KR1020100064534A KR20100064534A KR101020250B1 KR 101020250 B1 KR101020250 B1 KR 101020250B1 KR 1020100064534 A KR1020100064534 A KR 1020100064534A KR 20100064534 A KR20100064534 A KR 20100064534A KR 101020250 B1 KR101020250 B1 KR 101020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llet feed
cover
molding
feed
pe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대환
Original Assignee
오대환
(주) 대성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대환, (주) 대성텍 filed Critical 오대환
Priority to KR1020100064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02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0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for shaping by moulding, extrusion, pressing, e.g. pellet-mil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0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for mixing feeding-stuff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helices or sections of hel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05Mixing or agitating manure, du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의 공급압력을 달리하여 물 위로 떠오르는 부상 펠릿사료, 물속 중간지점에 위치하는 중간 펠릿사료는 물론 물속에 가라앉는 침강 펠릿사료 등 고품질의 다양한 펠릿사료를 한 장치 내에서 선택적으로 성형제조할 수 있도록 한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광하협의 구조로 형성되어 투입된 원료를 아래로 배출하는 호퍼와, 호퍼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호퍼 내부에 투입된 원료를 혼합하는 회전블레이드로 이루어지는 공급부와; 공급부의 호퍼 하단부위와 연결되도록 호퍼의 아래에 설치되는 피딩커버와, 피딩커버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호퍼 아래로부터 배출된 원료를 한쪽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루로 이루어지는 피딩부와; 복수의 단위커버의 연결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서 최후방에 설치되는 단위커버의 후단 부위가 피딩커버의 선단 부위와 연결설치되고 최전방의 단위커버 선단에는 펠릿사료의 외형에 부합되는 성형구멍이 천공된 성형판이 결합되는 성형커버와, 단위커버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피딩부로부터 공급된 원료를 압축 이송하는 압출스크루로 이루어지는 성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FORMING MACHINE OF PELLET FEED FOR HATCHERY FISH}
본 발명은 에어의 공급압력을 달리하여 물 위로 떠오르는 부상 펠릿사료, 물속 중간지점에 위치하는 중간 펠릿사료 및 물속에 가라앉는 침강 펠릿사료 등 고품질의 다양한 펠릿사료를 한 장치 내에서 선택적으로 성형제조할 수 있도록 한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식어 사료는 그 함수율 정도에 따라 건식 펠릿사료와 습식 펠릿사료(MP; Moisture Pellet)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 중에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습식 펠릿사료는 그 가공비가 많이 소요되어 다른 양식어 펠릿사료에 비해 가격이 비싸다. 펠릿사료는 그 물성에 따라 물 위로 떠오르는 부상 펠릿사료, 물속 중간지점에 위치하는 중간 펠릿사료, 물속에 가라앉는 침강 펠릿사료로 분류하기도 한다.
또한, 양식어 펠릿사료는 양식에 적합한 여러 가지 양분을 포함하도록 혼합 생성된 일종의 배합사료로서, 미세하게 분쇄한 혼합원료를 주로 압출기(Extruder) 등의 장치에 투입함으로써 펠릿(Pellet) 형태로 성형하여 생산한다.
이러한 양식어 펠릿사료를 성형하는 장치의 관련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10-2004-0087812호에는 『원료를 투입하기 위한 호퍼와, 상기 호퍼를 통해 투입된 원료를 이송, 교반 및 압축 분쇄하여 토출할 수 있는 압출스크루가 내장된 배럴형의 압출기와 상기 압출기를 통해 토출되는 분쇄사료를 소정크기로 절단하여 펠릿화하기 위한 절단부가 구비된 해산어류용 펠릿사료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의 외주에는 생산사료의 유형에 따라 적정한 온도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냉기 또는 열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냉각수 순환용의 냉각장치부 및 증기 순환용의 가열장치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압출스크루 축상의 토출 단부쪽 일정 영역에는, 그 축의 선단부로부터 교반 및 압축 분쇄된 상태로 이송된 분쇄사료를 균일하게 토출시킬 수 있도록 2줄 나선형의 토출블레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압출기 본체의 토출단부쪽 다이에는 분쇄사료의 배합비에 따라 그 토출압력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착탈되는 다중의 토출판이 각각 소정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어류용 펠릿사료 제조장치』에 관한 기술이 게시된바 있다.
또한, 관련기술로서 특허등록 제10-0749275호에는 『양어용 사료성형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프레임의 중앙부 상측에 원료를 투입하여 교반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믹싱탱크와; 상기 믹싱탱크의 측방에 믹싱탱크로부터 공급받은 원료를 사료로 성형하도록 설치하는 성형기로 구성하고; 상기 믹싱탱크는 뚜껑을 가지고 반원형상으로 구비되는 탱크바디와; 상기 탱크바디의 중심부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믹싱탱크의 측방에 설치되는 믹싱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믹싱샤프트와; 상기 믹싱샤프트에 구비되어 원료를 고르게 혼합하는 믹싱블레이드와; 상기 믹싱탱크의 바닥면에 형성하는 배출홀과; 상기 배출홀의 외측에 구비되어 배출홀을 개, 폐하여 믹싱된 원료의 배출을 선택하는 홀커버와; 상기 배출홀의 하방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원료를 성형기로 공급하는 피딩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기는 피딩스크류로부터 원료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공급호퍼를 가지고 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성형바디와; 상기 성형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성형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성형스크류와; 상기 성형바디의 외부에 구비되어 성형과정에서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스팀이나 냉각수를 공급하는 자켓과; 상기 성형스크류에 직접 스팀을 주입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스팀공과; 상기 성형바디의 선단부에 가압 된 사료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홀을 가지고 장착되는 성형기와; 상기 성형기의 외부에 구비되어 토출되는 사료를 절단할 수 있도록 커팅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커터와; 상기 성형바디의 선측에 성형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나 고압에 의하여 원료 또는 사료가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압력조절기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용 사료성형 장치』에 관한 기술이 게시된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해산어류용 펠릿사료 제조장치는 침강사료 및 부상사료를 선택적으로 제조할 수는 있으나 침강사료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냉각장치부의 냉각수 순환관을 통해 냉각재킷 내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압출기 본체 내 투입혼합물을 냉각 처리하고 부상사료를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열장치부의 증기 순환관을 통해 증기재킷 내에 증기를 공급하여 압출기 본체 내 투입혼합물을 가열 처리하는 등 냉각장치부 및 가열장치부의 복잡한 장치와 복잡한 처리과정을 거치는 등의 기술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상사료, 중간사료, 침강사료 모두를 한 장치에서 제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상광하협의 구조로 형성되어 투입된 원료를 아래로 배출하는 호퍼와, 호퍼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호퍼 내부에 투입된 원료를 혼합하는 회전블레이드로 이루어지는 공급부와; 공급부의 호퍼 하단부위와 연결되도록 호퍼의 아래에 설치되는 피딩커버와, 피딩커버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호퍼 아래로부터 배출된 원료를 한쪽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루로 이루어지는 피딩부와; 복수의 단위커버의 연결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서 최후방에 설치되는 단위커버의 후단 부위가 피딩커버의 선단 부위와 연결설치되고 최전방의 단위커버 선단에는 펠릿사료의 외형에 부합되는 성형구멍이 천공된 성형판이 결합되는 성형커버와, 단위커버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피딩부로부터 공급된 원료를 압축 이송하는 압출스크루로 이루어지는 성형부로; 구성되어 고품질의 부상 펠릿사료, 중간 펠릿사료, 침강 펠릿사료를 한 장치에서 성형할 수 있도록 한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피딩부의 피딩커버와 성형부의 성형커버는 평면에서 볼 때 직각을 이루도록 연결설치함으로써 설치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부상 펠릿사료, 중간 펠릿사료, 침강 펠릿사료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펠릿사료에 부합하는 에어를 공급하여 원하는 펠릿사료를 성형할 수 있도록 단위커버의 일단에는 단위커버 내부와 연통되는 에어공급관를 설치하고 이 에어공급관에 대응하는 단위커버의 타단에는 단위커버 내의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배기관를 설치함으로써, 고품질의 부상 펠릿사료, 중간 펠릿사료, 침강 펠릿사료를 한 장치에서 성형할 수 있도록 한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호퍼의 하단에는 피딩커버의 원통면에 부합하는 반원형 절단부를 형성하여 피딩커버의 원통면에 밀착결합할 수 있도록 한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날개와 날개 사이의 간격이 각기 다른 압출스크루를 각 단위커버에 조합설치하여 압출스크루의 날개 간격에 따라 각 단위커버 내부로 투입된 원료의 압축강도를 조절함으로써, 부상 펠릿사료, 중간 펠릿사료, 침강 펠릿사료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펠릿사료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한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성형커버는 2 내지 6개의 단위커버로 연결구성하여 부상 펠릿사료, 중간 펠릿사료, 침강 펠릿사료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펠릿사료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한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최전방 단위커버에 설치되는 압출스크루의 선단을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원추형으로 형성하여 최전방에 설치된 단위커버 내의 압력을 최대한 적게 받을 수 있도록 한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피딩커버의 내부에 좌, 우 한 쌍의 이송스크루를 설치하여 원료를 더욱 효과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한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단위커버의 내부에 좌, 우 한 쌍의 압출스크루를 설치하여 원료를 더욱 효과적으로 압출성형할 수 있도록 한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압출스크루의 한쪽 축단은 동력전달수단으로 구동모터와 연결하고, 이송스크루의 한쪽 축단과 이에 대응하는 회전블레이드의 한쪽 축단은 동력전달수단으로 다른 구동모터와 연결함으로써, 압출스크루와 이송스크루와 회전블레이드를 연동하여 회전 작동할 수 있도록 한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성형커버의 전방 일단에는 감압밸브가 설치된 감압배관라인을 설치하여 성형커버 내부의 전체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광하협의 구조로 형성되어 투입된 원료를 아래로 배출하는 호퍼와, 호퍼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호퍼 내부에 투입된 원료를 혼합하는 회전블레이드로 이루어지는 공급부와; 공급부의 호퍼 하단부위와 연결되도록 호퍼의 아래에 설치되는 피딩커버와, 피딩커버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호퍼 아래로부터 배출된 원료를 한쪽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루로 이루어지는 피딩부와; 복수의 단위커버의 연결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서 최후방에 설치되는 단위커버의 후단 부위가 피딩커버의 선단 부위와 연결설치되고 최전방의 단위커버 선단에는 펠릿사료의 외형에 부합되는 성형구멍이 천공된 성형판이 결합되는 성형커버와, 단위커버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피딩부로부터 공급된 원료를 압축 이송하는 압출스크루로 이루어지는 성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피딩부의 피딩커버와 성형부의 성형커버는 평면에서 볼 때 직각을 이루도록 연결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부상 펠릿사료, 중간 펠릿사료, 침강 펠릿사료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펠릿사료에 부합하는 에어를 공급하여 원하는 펠릿사료를 성형할 수 있도록 단위커버의 일단에는 단위커버 내부와 연통되는 에어공급관이 설치되며, 이 에어공급관에 대응하는 단위커버의 타단에는 단위커버 내의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배기관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침강 펠릿사료 성형시에 에어공급관에 공급하는 에어의 압력을 기준으로 부상 펠릿사료의 성형시에 에어공급관에 공급하는 에어의 압력은 침강 펠릿사료의 성형시보다 높게 하고, 중간 펠릿사료의 성형시에 에어공급관에 공급하는 에어의 압력은 부상 펠릿사료 및 침상 펠릿사료의 성형시의 중간으로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호퍼의 하단에는 피딩부의 피딩커버의 원통면에 밀착결합되도록 피딩커버의 원통면에 부합하는 반원형 절단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날개와 날개 사이의 간격이 각기 다른 압출스크루를 각 단위커버에 조합설치하여 압출스크루의 날개 간격에 따라 각 단위커버 내부로 투입된 원료의 압축강도를 조절함으로써, 부상 펠릿사료, 중간 펠릿사료, 침강 펠릿사료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펠릿사료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성형커버는 2 내지 6개의 단위커버의 연결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최전방 단위커버에 설치되는 압출스크루의 선단은 최전방에 설치된 단위커버 내의 압력을 최대한 적게 받을 수 있도록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피딩커버의 내부에는 좌, 우 한 쌍의 이송스크루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사료 성형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단위커버의 내부에는 좌, 우 한 쌍의 압출스크루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사료 성형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압출스크루의 한쪽 축단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구동모터와 연결되고, 이송스크루의 한쪽 축단과 이에 대응하는 회전블레이드의 한쪽 축단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다른 구동모터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사료 성형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성형커버의 전방 일단에는 감압밸브가 설치된 감압배관라인을 설치하여 성형커버 내부의 전체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사료 성형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는 양식어용 사료로 생사료를 사용함에 따른 해양오염 문제를 예방함으로써 쾌적한 해양환경을 구현함과 아울러 한 장치에서 부상 펠릿사료, 중간 펠릿사료, 침강 펠릿사료를 직접성형제조하여 양식어에게 공급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또한, 상광하협의 구조로 형성되어 투입된 원료를 아래로 배출하는 호퍼와, 호퍼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호퍼 내부에 투입된 원료를 혼합하는 회전블레이드로 이루어지는 공급부와; 공급부의 호퍼 하단부위와 연결되도록 호퍼의 아래에 설치되는 피딩커버와, 피딩커버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호퍼 아래로부터 배출된 원료를 한쪽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루로 이루어지는 피딩부와; 복수의 단위커버의 연결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서 최후방에 설치되는 단위커버의 후단 부위가 피딩커버의 선단 부위와 연결설치되고 최전방의 단위커버 선단에는 펠릿사료의 외형에 부합되는 성형구멍이 천공된 성형판이 결합되는 성형커버와, 단위커버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피딩부로부터 공급된 원료를 압축 이송하는 압출스크루로 이루어지는 성형부로; 구성되어 고품질의 부상 펠릿사료, 중간 펠릿사료, 침강 펠릿사료를 한 장치에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피딩부의 피딩커버와 성형부의 성형커버는 평면에서 볼 때 직각을 이루도록 연결설치함으로써 설치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부상 펠릿사료, 중간 펠릿사료, 침강 펠릿사료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펠릿사료에 부합하는 에어를 공급하여 원하는 펠릿사료를 성형할 수 있도록 단위커버의 일단에는 단위커버 내부와 연통되는 에어공급관를 설치하고 이 에어공급관에 대응하는 단위커버의 타단에는 단위커버 내의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배기관를 설치함으로써, 고품질의 부상 펠릿사료, 중간 펠릿사료, 침강 펠릿사료를 한 장치에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호퍼의 하단에는 피딩커버의 원통면에 부합하는 반원형 절단부를 형성하여 피딩커버의 원통면에 밀착결합할 수 있다.
또한, 날개와 날개 사이의 간격이 각기 다른 압출스크루를 각 단위커버에 조합설치하여 압출스크루의 날개 간격에 따라 각 단위커버 내부로 투입된 원료의 압축강도를 조절함으로써, 부상 펠릿사료, 중간 펠릿사료, 침강 펠릿사료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펠릿사료를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성형커버는 2 내지 6개의 단위커버로 연결구성하여 부상 펠릿사료, 중간 펠릿사료, 침강 펠릿사료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펠릿사료를 성형할 수 있으며, 최전방 단위커버에 설치되는 압출스크루의 선단을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원추형으로 형성하여 최전방에 설치된 단위커버 내의 압력을 최대한 적게 받게 할 수 있다.
또한, 피딩커버의 내부에 좌, 우 한 쌍의 이송스크루를 설치하여 원료를 더욱 효과적으로 이송할 수 있으며, 단위커버의 내부에 좌, 우 한 쌍의 압출스크루를 설치하여 원료를 더욱 효과적으로 압출성형할 수 있으며, 압출스크루의 한쪽 축단은 동력전달수단으로 구동모터와 연결하고, 이송스크루의 한쪽 축단과 이에 대응하는 회전블레이드의 한쪽 축단은 동력전달수단으로 다른 구동모터와 연결함으로써, 압출스크루와 이송스크루와 회전블레이드를 연동하여 회전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성형커버의 전방 일단에는 감압밸브가 설치된 감압배관라인을 설치하여 성형커버 내부의 전체 압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형부의 확대도.
본 발명은 상광하협의 구조로 형성되어 투입된 원료를 아래로 배출하는 호퍼와 호퍼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호퍼 내부에 투입된 원료를 혼합하는 회전블레이드로 이루어지는 공급부와; 공급부의 호퍼 하단부위와 연결되도록 호퍼의 아래에 설치되는 피딩커버와, 피딩커버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호퍼 아래로부터 배출된 원료를 한쪽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루로 이루어지는 피딩부와; 복수의 단위커버의 연결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서 최후방에 설치되는 단위커버의 후단 부위가 피딩커버의 선단 부위와 연결설치되고 최전방의 단위커버 선단에는 펠릿사료의 외형에 부합되는 성형구멍이 천공된 성형판이 결합되는 성형커버와, 단위커버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피딩부로부터 공급된 원료를 압축 이송하는 압출스크루로 이루어지는 성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피딩부의 피딩커버와 성형부의 성형커버는 평면에서 볼 때 직각을 이루도록 연결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상 펠릿사료, 중간 펠릿사료, 침강 펠릿사료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펠릿사료에 부합하는 에어를 공급하여 원하는 펠릿사료를 성형할 수 있도록 단위커버의 일단에는 단위커버 내부와 연통되는 에어공급관이 설치되며, 이 에어공급관에 대응하는 단위커버의 타단에는 단위커버 내의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배기관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침강 펠릿사료 성형시에 에어공급관에 공급하는 에어의 압력을 기준으로 부상 펠릿사료의 성형시에 에어공급관에 공급하는 에어의 압력은 침강 펠릿사료의 성형시보다 높게 하고, 중간 펠릿사료의 성형시에 에어공급관에 공급하는 에어의 압력은 부상 펠릿사료 및 침상 펠릿사료의 성형시의 중간으로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호퍼의 하단에는 피딩부의 피딩커버의 원통면에 밀착결합되도록 피딩커버의 원통면에 부합하는 반원형 절단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날개와 날개 사이의 간격이 각기 다른 압출스크루를 각 단위커버에 조합설치하여 압출스크루의 날개 간격에 따라 각 단위커버 내부로 투입된 원료의 압축강도를 조절함으로써, 부상 펠릿사료, 중간 펠릿사료, 침강 펠릿사료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펠릿사료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성형커버는 2 내지 6개의 단위커버의 연결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최전방 단위커버에 설치되는 압출스크루의 선단은 최전방에 설치된 단위커버 내의 압력을 최대한 적게 받을 수 있도록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피딩커버의 내부에는 좌, 우 한 쌍의 이송스크루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사료 성형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단위커버의 내부에는 좌, 우 한 쌍의 압출스크루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사료 성형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압출스크루의 한쪽 축단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구동모터와 연결되고, 이송스크루의 한쪽 축단과 이에 대응하는 회전블레이드의 한쪽 축단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다른 구동모터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사료 성형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성형커버의 전방 일단에는 감압밸브가 설치된 감압배관라인을 설치하여 성형커버 내부의 전체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사료 성형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형부의 확대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는 투입된 원료를 피딩부(20)로 공급하는 공급부(10)와, 공급부(10)로부터 공급된 원료를 이송스크루(22)가 회전작동을 하면서 성형부(30)로 이송하는 피딩부(20)와, 피딩부(20)로부터 이송된 원료를 압출스크루(32)가 회전작동을 하면서 압출 이송하여 펠릿사료를 성형하는 성형부(30)로 구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공급부(10)는, 투입된 원료를 혼합한 다음 아래로 낙하시켜 공급부(10) 아래에 연결설치된 피딩부(20)로 공급하는 장치로서, 원료가 투입되는 호퍼(11)와 호퍼(11)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작동을 하면서 호퍼(11) 내부로 투입된 원료를 혼합하는 회전블레이드(12)로 구성된다.
호퍼(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상부의 입구는 넓고 하부의 출구는 좁은 상광하협의 구조의 형성된다. 호퍼(11)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구조이므로 호퍼(11)에 투입된 원료는 호퍼(11) 내부에 설치된 회전블레이드(12)의 회전작동에 의해 혼합이 이루어지면서 자연스럽게 호퍼(11)의 경사면을 따라 호퍼(11) 아래의 출구로 배출된다.
여기서, 호퍼(11)의 하단 부위에는 피딩부(20)의 피딩커버(21) 원형면에 부합되는 반원형 절단부(111)를 형성하여 피딩커버(21)의 원형면에 밀착결합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게 한다.
회전블레이드(12)는 호퍼(11)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작동을 하면서 호퍼(11) 내부로 투입된 원료를 성형하기 적합한 상태로 혼합하는 장치로서, 회전축과 회전축을 중심을 연장형성되는 날개로 이루어지는 진다. 물론 회전블레이드(12)의 날개의 회전반경은 호퍼(11) 내에서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호퍼(11) 내부에 부합하는 회전반경을 가진다. 이때, 날개는 회전축을 따라 회전축의 전체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회전축 외경을 따라 180°등 간격으로 2개를 설치할 수도 있고 120°등 간격으로 3개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90°등 간격으로 4개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날개의 모양은 파이프 모양 또는 노 모양의 패들 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회전블레이드(12)의 한쪽 축단은 체인, 벨트 등과 같은 동력전달수단(41)에 의해 구동모터(40)와 연결설치되어 구동모터(40)의 구동에 의해 호퍼(11) 내부에 회전작동을 할 수 있다.
피딩부(20)는, 공급부(10)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호퍼(11) 바로 아래에 연결설치되는 피딩커버(21)와, 피딩커버(21)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작동을 하면서 호퍼(11)로부터 공급된 원료를 받아 성형부(30)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루(22)로 구성된다.
피딩커버(21)는 도 2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면서 상부의 원형면이 호퍼(11) 아래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호퍼(11) 아래로 배출되는 원료를 공급받는다. 이 피딩커버(21)의 내부에는 이송스크루(22)가 설치되며 이송스크루(22)는 피팅커버(21)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원료를 성형부(30)로 이송한다. 이송스크루(22)의 한쪽 축단은 체인, 벨트 등과 같은 동력전달수단(41)에 의해 구동모터(40)와 연결설치되어 구동모터(40)의 구동에 의해 회전작동을 한다.
이때, 이송스크루(22)의 한쪽 축단과 회전블레이드(12)의 한쪽 축단은 동력전달수단(41)으로 동시에 연결하고 이 동력전달수단(41)을 구동모터(40)와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구동모터(40)에 의해 이송스크루(22) 및 회전블레이드(12)를 동시에 작동할 수 있다. 물론 이송스크루(22) 및 회전블레이드(12)를 각기 다른 구동모터(40)와 연결하여 서록 독립적으로 작동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피딩커버(21) 내부에는 더욱 많은 량의 원료를 성형커버(31) 쪽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도록 좌, 우 한 쌍의 이송스크루(22)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때, 피딩커버(21)의 외형은 좌, 우 한 쌍의 이송스크루(22)의 외형에 부합하도록 원형보다 2개의 원이 서로 마주보도록 붙은 “
Figure 112010043412694-pat00001
”와 같은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딩부(20)의 피딩커버(21) 하부 일단에는 피딩부(2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피딩커버(21)를 받쳐주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지지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형부(30)는, 피딩부(20)로부터 공급된 원료를 펠릿사료로 압출형성하는 장치로서, 후단부위가 피딩커버(21)의 선단과 연통되도록 연결설치되는 성형커버(31)와, 성형커버(31)의 내부에서 회전작동을 하면서 원료를 압축이송하는 압출스크루(32)로 구성된다.
성형커버(3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직각의 연결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후단부위가 피딩커버(21)의 선단부위와 연통되도록 연결설치된다. 이와 같이 성형커버(31)와 피딩커버(21)를 직각으로 연결할 경우 일직선의 수평으로 연결할 때보다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성형커버(31)는 복수의 단위커버(311)의 연결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단위커버(311)의 내부에는 단위커버(311)에 대응하여 압출스크루(32)가 결합되며 성형커버(31)의 선단에는 펠릿사료의 외형에 부합되는 성형구멍(313)이 구비된 성형판(312)이 결합된다. 따라서, 압출스크루(32)에 의해 압출 이송되는 원료는 성형판(312)을 통과하면서 펠릿사료로 성형된다.
압출스크루(32) 또한 단위커버(311)와 마찬가지로 단위 압출스크루(32)로 형성되며 각 단위커버(311)에 결합되는 압출스크루(32)들은 압출스크루(32)를 하나로 연결 하는 축에 결합되어 동시에 회전한다. 즉, 각 단위커버(311)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단위 압출스크루(32)의 중심에는 축에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공을 형성한다.
이때, 단위 압출스크루(32)의 결합공을 사각 육각 등의 각형으로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축의 외형을 각형에 부합하는 각형으로 제작하여 단위 압출스크루(32)를 축에 결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단위 압출스크루(32)의 결합공을 각형으로 제작할 경우 축과의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성형커버(31)를 구성하는 각 단위커버(311)의 일단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커버(311)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거나 배출하는 에어공급관(314) 및 이에 대응하는 에어배기관(315)이 설치된다. 에어공급관(314)은 공기주입장치와 연결되어 원하는 압력의 에어를 주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일단에는 밸브를 설치하여 에어의 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에어배기관(315)은 단위커버(311)의 내부의 에어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단위커버(311) 내부의 압력을 밖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에어배기관(315)에도 역시 밸브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각 단위커버(311)에 단위커버(311)와 연통되는 에어공급관(314) 및 에어배기관(315)를 연결설치하여 에어공급관(314)을 통해 단위커버(311) 내부에 부상 펠릿사료, 중간 펠릿사료, 침강 펠릿사료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펠릿사료에 부합하는 에어를 주입함으로써, 물 위로 떠오르는 부상 펠릿사료, 물속 중간지점에 위치하는 중간 펠릿사료, 물속에 가라앉는 침강 펠릿사료 등의 고품질의 다양한 펠릿사료를 한 장치 내에서 선택적으로 성형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상 펠릿사료를 성형할 경우에는 단위커버(311) 내부에 투입하는 에어를 고압으로 하여 원료에 많은 에어가 침투되게 함으로써 물 위에 떠오르는 부상 펠릿사료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하고, 침강 펠릿사료를 성형할 경우에는 단위커버(311) 내부에 투입하는 에어를 부상 펠릿사료를 성형할 때보다 저압으로 하여 원료에 부상 펠릿사료보다 적은 에어가 침투되게 함으로써 물속에 가라앉는 침강 펠릿사료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하며, 중강 펠릿사료를 성형할 경우에는 단위커버(311) 내부에 투입하는 에어를 부상 펠릿사료와 침강 펠릿사료를 성형할 때의 중간으로 하여 물속 중간지점에 위치하는 중간 펠릿사료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에어의 공급압력을 대, 중, 소로 나눌 때 부상 펠리사료의 성형시 에어공급관(314)에 공급하는 에어의 압력을 대로하고, 중간 펠릿사료의 성형시 에어공급관(314)에 공급하는 에어의 압력을 중으로 하며, 침강 펠릿사료의 성형시 에어공급관(314)에 공급하는 에어의 압력을 소로하여, 부상 펠릿사료에 에어가 가장 많이 함침되게 하여 물 위로 떠오르게 하고, 중간 펠릿사료에 에어가 중간으로 함침되게 하여 물속 중간 지점에 위치하게 하며, 침강 펠릿사료에 에어가 가장적게 함침되게 하여 물속에 가라앉게 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의 가장 큰 특징은 성형커버(31) 내부에 성형하고자 하는 펠릿사료에 부합하는 에어압력을 공급하여 부상 펠릿사료, 중간 펠릿사료, 침강 펠릿사료를 선택적으로 성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한편, 부상 펠릿사료, 중간 펠릿사료, 침강 펠릿사료의 성형시 단위 압출스크루(32)의 날개(321)와 날개(321) 사이의 간격이 다른 압출스크루(32)를 사용함으로써 펠릿사료의 압축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펠릿사료의 압축강도를 높이고 싶을 경우에는 압출스크루(32)의 외경보다 날개(321)와 날개(321) 사이의 간격이 좁은 단위 압출스크루(32)를 사용하고, 펠릿사료의 압축강도를 낮추고 싶을 경우에는 압출스크루(32)의 외경보다 날개(321)와 날개(321) 사이의 간격이 넓은 단위 압출스크루(32)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부상 펠릿사료, 중간 펠릿사료, 침강 펠릿사료를 선택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날개(321)와 날개(321) 사이의 간격이 좁은 압출스크루(32)와 날개(321)와 날개(321) 사이의 간격이 넓은 압축스크루(32)를 복합적으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성형커버(31)의 선단에는 각 단위커버(311)의 전체적인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감압배관라인(5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감압배관라인(50)의 일단에는 감압밸브(51)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최전방에 설치되는 단위커버(311)에 감압배관라인(50)을 설치하고 최후방에 설치되는 단위커버(311)의 후단과 피딩커버(21)의 선단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며, 최전방에 설치되는 단위커버(311) 내의 압력이 가장 높으므로 최전방 내부에 설치되는 압출스크루(32)의 전방부위는 전방을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원추형으로 형성하여 압력에 최대한 적게 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성형커버(31)를 형성하는 단위커버(311)는 2 내지 6개의 연결조합이 가장 바람직하며, 각 단위커버(311)를 연결하는 축의 한쪽 축단부위는 동력전달수단(41)에 의해 구동모터(40)와 연결된다.
한편, 성형커버(31) 내부에는 더욱 많은 량의 펠릿사료를 생산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도록 좌, 우 한 쌍의 압출스크루(32)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때 각 단위커버(311) 외형은 좌, 우 한 쌍의 압출스크루(32)의 외형에 부합하도록 원형보다는 2개의 원이 서로 마주보도록 붙은 “
Figure 112010043412694-pat00002
”와 같은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는 성형커버(31) 내부에 에어압력을 다르게 공급함으로써 물속에 위치가 서로 다른 부상 펠릿사료, 중간 펠릿사료, 침강 펠릿사료를 선택적으로 한 장치 내에서 성형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의 성형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공급부(10)의 호퍼(11)에 원료를 투입하는 투입된 원료는 회전블레이(12)에 의해 펠릿사료를 성형하기 적합한 상태로 혼합되면서 호퍼(11) 아래로 낙하하여 피딩부(20)의 피딩커버(21)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회전블레이(12)의 한쪽 축단과 이송스크루(22)의 한쪽 축단은 동력전달수단(41)에 의해 연결되고 이 동력전달수단(41)은 구동모터(40)와 연결되어 있어 회전블레이(12)는 구동모터(40)의 작동에 의해 호퍼(11)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원료를 혼합한다.
호퍼(12)에서 낙하한 원료는 피딩부(20)의 피딩커버(21) 내부로 이동하고 이 원료는 이송스크루(22)의 회전작동에 의해 성형부(3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이송스크루(22) 및 회전블레이드(12)는 동력전달수단(41)에 의해 구동모터(40)와 연결되므로 회전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그리고 피딩커버(21)의 선단이 성형부(30)의 성형커버(31) 후단과 연결되어 있어 피딩커버(21) 내부의 원료가 성형커버(31) 쪽으로 원활히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피딩커버(21)와 성형커버(31)는 직각으로 연결되므로 설치면적을 대폭 줄일 수 있다.
이송스크루(22)의 회전작동에 의해 피딩부(20)의 피딩커버(21) 내부로부터 성형부(30)의 성형커버(31) 내부로 공급된 원료는 성형커버(31) 내부의 압출스크루(32)의 회전작동에 의해 성형판(312) 방향으로 압축 이송된다. 이때, 성형커버(31)를 구성하는 각 단위커버(311)의 내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상 펠릿사료, 중간 펠릿사료, 침강 펠릿사료를 선택하여 생산하기 위해 선택된 펠릿사료에 부합하는 에어가 에어공급관(314)을 통해 공급되며, 이와 동시에 에어배기관(315)를 통해서 각 단위커버(311) 내의 에어가 배출된다. 만일 성형커버(31)의 전체적인 내부압력을 조절하고 싶을 경우에는 감압배관라인(50)에 설치된 감압밸브(51)를 작동하여 압력을 제어하면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는 성형커버(31) 내에 성형하고자 하는 펠릿사료에 부합하는 저압 또는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여 물 위로 떠오르는 부상 펠릿사료, 물속 중간지점에 위치하는 중간 펠릿사료, 물속에 가라앉는 침강 펠릿사료 등 고품질의 다양한 펠릿사료를 한 장치 내에서 선택적으로 성형제조할 수 있다.
성형커버(31) 내부로 공급되는 에어와 압출스크루(32)의 회전작동에 의해 성형커버(31) 내부의 원료는 부상 펠릿사료, 중간 펠릿사료, 침강 펠릿사료 등에 적합한 에어가 함침되도록 압축 이송되면서 최종 성형판(312)의 성형구멍(313)을 통과하는 과정을 통해 완전한 펠릿사료의 외형으로 성형된다.
이때, 도면상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성형구멍(313)을 통과하는 원료는 성형판(312)의 바로 앞쪽에 설치되는 회전커터에 의해 일정길이의 단위 펠릿사료로 절단된다.
이와 같이 완전한 펠릿사료로 성형제조된 펠릿사료는 양식장에 투입하여 양식어의 먹이로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에서 성형제조된 펠릿사료는 물 위로 떠오르는 부상 펠릿사료, 물속 중간지점에 위치하는 중간 펠릿사료, 물속에 가라앉는 침강 펠릿사료로 구분된다.
이 부상 펠릿사료, 중간 펠릿사료, 침강 펠릿사료는 양식어 습성과 양식어의 성장속도에 따라 구분하여 양식장에 투입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습성상 물 위에 위치하는 양식어일 경우에는 부상 펠릿사료를 투입하고, 물속 중간에 위치하는 양식어일 경우에는 중간 펠릿사료를 투입하며, 물속 바닥에 위치하는 양식어일 경우에는 침강 펠릿사료를 투입한다.
이처럼 양식어의 습성과 성장속도에 따라 펠릿사료를 양식장에 투입할 경우 양식어의 생장촉진을 왕성하게 할 뿐만 아니라 양식어가 먹지않아 양식장의 물속에 침전되는 사료가 양식장 내부에 거의 없게 되어 사료의 부패로 인한 양식장의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10:공급부 11:호퍼 12:회전블레이드
20:피딩부 21:피딩커버 22:이송스크루
30:성형부 31:성형커버 32:압출스크루
40:구동모터 41:동력전달수단 50:감압배관라인
51:감압밸브 111:반원형 절단부 311:단위커버
312:성형판 313:성형구멍 314:에어공급관
315:에어배기관 321:날개

Claims (12)

  1. 상광하협의 구조로 형성되어 투입된 원료를 아래로 배출하는 호퍼와, 호퍼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호퍼 내부에 투입된 원료를 혼합하는 회전블레이드로 이루어지는 공급부와;
    공급부의 호퍼 하단부위와 연결되도록 호퍼의 아래에 설치되는 피딩커버와, 피딩커버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호퍼 아래로부터 배출된 원료를 한쪽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루로 이루어지는 피딩부와;
    복수의 단위커버의 연결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서 최후방에 설치되는 단위커버의 후단 부위가 피딩커버의 선단 부위와 연결설치되고 최전방의 단위커버 선단에는 펠릿사료의 외형에 부합되는 성형구멍이 천공된 성형판이 결합되는 성형커버와, 단위커버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피딩부로부터 공급된 원료를 압축 이송하는 압출스크루로 이루어지는 성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피딩부의 피딩커버와 상기 성형부의 성형커버는 평면에서 볼 때 직각을 이루도록 연결설치되고,
    상기 단위커버의 일단에는 부상 펠릿사료, 중간 펠릿사료, 침강 펠릿사료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펠릿사료에 부합하는 에어를 공급하여 원하는 펠릿사료를 성형할 수 있도록 단위커버 내부와 연통되는 에어공급관이 설치되며,
    상기 에어공급관에 대응하는 단위커버의 타단에는 단위커버 내의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배기관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침강 펠릿사료 성형시에 에어공급관에 공급하는 에어의 압력을 기준으로 부상 펠릿사료의 성형시에 에어공급관에 공급하는 에어의 압력은 침강 펠릿사료의 성형시보다 높게 하고, 중간 펠릿사료의 성형시에 에어공급관에 공급하는 에어의 압력은 부상 펠릿사료 및 침상 펠릿사료의 성형시의 중간으로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호퍼의 하단에는 피딩부의 피딩커버의 원통면에 밀착결합되도록 피딩커버의 원통면에 부합하는 반원형 절단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날개와 날개 사이의 간격이 각기 다른 압출스크루를 각 단위커버에 조합설치하여 압출스크루의 날개 간격에 따라 각 단위커버 내부로 투입된 원료의 압축강도를 조절함으로써, 부상 펠릿사료, 중간 펠릿사료, 침강 펠릿사료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펠릿사료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성형커버는 2 내지 6개의 단위커버의 연결조합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최전방 단위커버에 설치되는 압출스크루의 선단은 최전방에 설치된 단위커버 내의 압력을 최대한 적게 받을 수 있도록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피딩커버의 내부에는 좌, 우 한 쌍의 이송스크루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사료 성형장치.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단위커버의 내부에는 좌, 우 한 쌍의 압출스크루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사료 성형장치.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압출스크루의 한쪽 축단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구동모터와 연결되고, 이송스크루의 한쪽 축단과 이에 대응하는 회전블레이드의 한쪽 축단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다른 구동모터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사료 성형장치.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성형커버의 전방 일단에는 감압밸브가 설치된 감압배관라인을 설치하여 성형커버 내부의 전체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사료 성형장치.
KR1020100064534A 2010-07-05 2010-07-05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 KR101020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534A KR101020250B1 (ko) 2010-07-05 2010-07-05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534A KR101020250B1 (ko) 2010-07-05 2010-07-05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0250B1 true KR101020250B1 (ko) 2011-03-08

Family

ID=43938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534A KR101020250B1 (ko) 2010-07-05 2010-07-05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025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55206A (zh) * 2014-06-10 2014-09-24 南通中意达自动化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气动颗粒饲料机
KR101893727B1 (ko) 2018-02-07 2018-08-30 유진형 압출성형장치를 이용한 식물성 원료 양어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93726B1 (ko) 2018-02-07 2018-08-30 유진형 압출성형장치를 이용한 저어분 양어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043618A (zh) * 2018-10-08 2018-12-21 洛宁德青源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颗粒饲料加工装置
KR102117532B1 (ko) * 2019-10-28 2020-06-02 주식회사 대일 양식장용 스크류식 사료공급장치
KR20210073166A (ko) * 2019-12-10 2021-06-18 (주)코리아에프앤에프 어류용 연질 압출 펠렛 사료의 제조 방법
CN113044600A (zh) * 2021-02-24 2021-06-29 杨天文 畜牧用自动添料机及其使用方法
CN115176918A (zh) * 2022-08-05 2022-10-14 尹碧武 一种高效猪饲料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4551A (ko) * 1999-12-29 2001-07-09 김동민 건조사료 성형기
KR200268962Y1 (ko) 2001-12-27 2002-03-18 주식회사 미트 고분자 압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4551A (ko) * 1999-12-29 2001-07-09 김동민 건조사료 성형기
KR200268962Y1 (ko) 2001-12-27 2002-03-18 주식회사 미트 고분자 압출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55206A (zh) * 2014-06-10 2014-09-24 南通中意达自动化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气动颗粒饲料机
KR101893727B1 (ko) 2018-02-07 2018-08-30 유진형 압출성형장치를 이용한 식물성 원료 양어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93726B1 (ko) 2018-02-07 2018-08-30 유진형 압출성형장치를 이용한 저어분 양어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043618A (zh) * 2018-10-08 2018-12-21 洛宁德青源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颗粒饲料加工装置
KR102117532B1 (ko) * 2019-10-28 2020-06-02 주식회사 대일 양식장용 스크류식 사료공급장치
WO2021085970A1 (ko) * 2019-10-28 2021-05-06 주식회사 대일 양식장용 스크류식 사료공급장치
KR20210073166A (ko) * 2019-12-10 2021-06-18 (주)코리아에프앤에프 어류용 연질 압출 펠렛 사료의 제조 방법
KR102336076B1 (ko) * 2019-12-10 2021-12-08 (주)코리아에프앤에프 어류용 연질 압출 펠렛 사료의 제조 방법
CN113044600A (zh) * 2021-02-24 2021-06-29 杨天文 畜牧用自动添料机及其使用方法
CN115176918A (zh) * 2022-08-05 2022-10-14 尹碧武 一种高效猪饲料制备方法
CN115176918B (zh) * 2022-08-05 2023-12-19 贵阳富源饲料有限公司 一种高效猪饲料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0250B1 (ko) 양식어 펠릿사료 성형장치
CN217288300U (zh) 一种肥料定量配比混合装置
CN103462199A (zh) 一种膨化机
CN210747176U (zh) 一种滚筒式生物饲料加工设备
CN106582444A (zh) 一种生物质衍生燃料造粒调质系统
KR20110009851A (ko) 발효사료의 생산장치
CN203467638U (zh) 一种膨化机
CN206390022U (zh) 一种匀质投饵机
KR101348034B1 (ko) 수산생물 친환경 처리기
CN207980983U (zh) 一种牛羊饲料高效混合装置
CN213756272U (zh) 一种水产养殖用喂食装置
CN210841535U (zh) 一种软颗粒饲料机
CN212188928U (zh) 一种畜禽养殖用饲料科学混料装置
CN207836736U (zh) 一种饲料造粒系统
CN208387837U (zh) 一种联合式饲料加工造粒装置
KR100740382B1 (ko) 사료성형 시스템용 가성형 장치
CN1985684A (zh) 浮动啮合双螺杆粉丝食品挤压机
KR20140092167A (ko) 더블스크류형 가축사료 제조장치
CN215013465U (zh) 一种可移动式鳗鱼饲料配料装置
CN213029715U (zh) 一种膳食纤维宠物零食的加工装置
CN218281675U (zh) 一种饲料高效制粒机
CN203986025U (zh) 一种自动混合的饲料制粒设备
CN218104542U (zh) 一种家禽养殖用喂料装置
CN210203277U (zh) 一种饲料生产用制粒机
CN218189149U (zh) 猪饲料混合加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