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9800B1 - 솔라셀 모듈 적층구조 - Google Patents

솔라셀 모듈 적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9800B1
KR101019800B1 KR1020090016633A KR20090016633A KR101019800B1 KR 101019800 B1 KR101019800 B1 KR 101019800B1 KR 1020090016633 A KR1020090016633 A KR 1020090016633A KR 20090016633 A KR20090016633 A KR 20090016633A KR 101019800 B1 KR101019800 B1 KR 101019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layer
disposed
holes
cel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7805A (ko
Inventor
김승묵
이승섭
권혁숭
Original Assignee
김승묵
권혁숭
이승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묵, 권혁숭, 이승섭 filed Critical 김승묵
Priority to KR1020090016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9800B1/ko
Publication of KR20100097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KRACING; RIDING SPORTS;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A63K3/00Equipment or accessories for racing or riding spo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KRACING; RIDING SPORTS;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A63K1/00Race-courses; Race-tr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솔라셀 모듈 적층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솔라셀 모듈 적층구조는, 상부 레이어(layer), 적어도 하나의 중간 레이어, 및 하부 레이어가 적층구조를 이루며, 상기 상부 레이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 레이어는, 솔라셀 모듈이 배치되는 솔라셀 집적부재와, 상기 솔라셀 집적부재의 가장자리 부분 또는 상기 솔라셀 모듈의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되는 복수의 홀들과, 상기 솔라셀 집적부재의 저면(하부면)에 부착 또는 코팅되어 하부방향의 레이어에 배치된 솔라셀 집적부재로 광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부재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하부 레이어는, 솔라셀 모듈이 배치되는 솔라셀 집적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레이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 레이어의 사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 레이어와 상기 하부 레이어의 사이, 및 중간 레이어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중간 레이어들 각각의 사이에는, 상부방향에서 도달되는 광을 반사시켜 상부방향의 레이어에 배치된 반사부재에 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의 반사체들이 일정각도를 이루며 각각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너지 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솔라셀, 반사부재, 반사체, 홀, 적층

Description

솔라셀 모듈 적층구조{Layered structure of solar cell module}
본 발명은 솔라셀 모듈 적층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일면적에서 최대의 효과를 이루기 위해 솔라셀 모듈을 다수개로 적층한 솔라셀 모듈 적층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는 솔라셀은 가정용에서부터 대규모 전기 생성에 이르기까지 청정하고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태양 에너지는 온실효과나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화석에너지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 에너지로써 각광받고 있다. 이에 따라 태양을 포함한 광원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얻기 위해 솔라셀 모듈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솔라셀 모듈은 하나의 레이어(layer)에 집적되는 형태로 개발되어 왔다. 동일면적에서 최대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수직적층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부 레이어에는 광이 도달되므로 에너지를 얻는 것이 용이하나, 광의 직진성으로 인하여 하부방향의 레이어에 배치된 솔라셀에는 광이 도달되지 않아 에너지를 얻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솔라셀 모듈 적층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일면적에서 최대의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솔라셀 모듈 적층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직 적층구조를 가지는 솔라셀 모듈 적층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레이어(layer), 적어도 하나의 중간 레이어, 및 하부 레이어가 적층구조를 이루는 솔라셀 모듈 적층구조는, 상기 상부 레이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 레이어는, 광을 집중하기 위해 복수의 솔라셀들이 모듈화된 솔라셀 모듈이 배치되는 솔라셀 집적부재와, 상기 솔라셀 집적부재의 가장자리부분 또는 상기 솔라셀 모듈의 가장자리부위에 형성되는 복수의 홀들과, 상기 복수의 홀들 형성부분을 제외한 상기 솔라셀 집적부재의 저면(하부면)에 부착 또는 코팅되어 하부방향의 레이어에 배치된 솔라셀 집적부재로 광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부재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하부 레이어는, 광을 집중하기 위해 복수의 솔라셀들이 모듈화된 솔라셀 모듈이 배치되는 솔라셀 집적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레이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 레이어의 사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 레이어와 상기 하부 레이어의 사이, 및 중간 레이어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중간 레이어들 각각의 사이에는, 상부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홀들을 통과하여 도달되는 광을 반사시켜 상부방향의 레이어에 배치된 반사부재에 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홀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반사체들이 일정각도를 이루며 각각 배치되되, 상기 복수의 반사체들 각각은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에 배치되는 반사체들과는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교차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복수의 홀들은 다각형 또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부방향의 레이어에 배치된 복수의 홀들과 하부방향의 레이어에 배치된 복수의 홀들은 동일 위치 동일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 또는 상기 복수의 반사체들 각각은, 볼록렌즈형 반사체, 오목렌즈형 반사체, 집광프리즘, 반사거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반사체, 및 반사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 또는 상기 복수의 반사체들은 상부방향의 레이어에서 하부방향으로 레이어로 갈수록 더 높은 반사효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홀들 각각에는 빛을 투과하거나 굴절시키기 위한 볼록렌즈, 오목렌즈, 및 프리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에너지를 수광하기 위한 솔라셀 모듈을 수직 적층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함에 의해, 동일면적에서 최대의 에너지를 얻을 수 있게 되므로, 에너지 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라셀 적층구조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는 상부 레이어(L1), 중간 레이어(L2), 및 하부 레이어(L3)의 3개의 레이어(layer)로 이루어진 적층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3개 이상의 적층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명백하다. 그리고 도 1에서 화살표는 광의 진행방향을 가리킨다.
도 2는 상기 상부 레이어(L1) 또는 상기 중간 레이어(L2)에 배치되는 솔라셀 집적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상기 하부 레이어(L3)에 배치되는 솔라셀 집적부재는 도 2에서 복수의 홀들(420a,420b,430)이 형성되지 않고 솔라셀 모듈(410)만이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라셀 모듈 적층구조는, 상부 레이어(L1), 적어도 하나의 중간 레이어(L2), 및 하부 레이어(L3)가 적층구조를 이룬다.
상기 상부 레이어(L1)는 솔라셀 집적부재(도 2의 400)와, 반사부재(140)를 구비한다.
상기 솔라셀 집적부재(400)에는 광을 집중하기 위해 복수의 솔라셀들이 모듈화된 솔라셀 모듈(410)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솔라셀 집적부재(400)의 가장자리 부위 또는 상기 솔라셀 모듈(410)의 가장자리부위에 복수의 홀들(420a,420b,430)이 형성된다.
하나의 예를 들어 상기 솔라셀 집적부재(400)는 적어도 하나의 솔라셀 모듈(410)이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솔라셀 모듈(410)의 가장자리 부위 또는 상기 솔라셀 집적부재(400)의 가장자리부위에는 복수의 홀들(420a,420b,430)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면상에서는 상기 솔라셀 집적부재(400)의 가장자리부위에만 복수의 홀들(420a,420b,430)이 형성되는 것 만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솔라셀 집적부재(400)는 적어도 하나의 솔라셀 모듈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홀들(420a,420b,430)은 다각형(420a,420b) 또는 원형(430)의 형상을 가지며, 하부방향의 레이어에 배치된 복수의 홀들과 동일 위치 동일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하부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중간 레이어(L2)에 배치되는 복수의 홀들도 상부방향의 레이어에 배치된 복수의 홀들과 동일 위치 및 동일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부방향에서 통과되는 빛이 하부까지 방해 없이 전달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에서는 상기 솔라셀 집적부재(400)를 솔라셀 모듈이 배치되는 부분(110)과 복수의 홀들(130)이 형성되는 부분으로 나누어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솔라셀 집적부재(400)는 도 2와 같이 하나의 솔라셀 모듈(410)과 복수의 홀들(420a,420b,430)이 하나의 기판(또는 부재)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과 같이 분리될 수도 있다.
상기 반사부재(140)는, 상기 솔라셀 집적부재(400) 중 상기 복수의 홀들(420a,420b,430) 형성부분(130)을 제외한 상기 솔라셀 집적부재(110)의 저면(하부 면)에 부착 또는 코팅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반사부재(140)는 반사거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반사체, 및 반사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이외에도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부재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 레이어(L2)는 솔라셀 집적부재와, 반사부재(240)를 구비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 레이어(L2)에 구비되는 솔라셀 모듈 배치부분(210) 및 복수의 홀들 배치부분(230)을 가지며, 상기 상부 레이어(L1)에 배치되는 솔라셀 집적부재(400), 복수의 홀들(420a,420b,430), 및 반사부재(140)와 그 구조가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하부 레이어(L3)는 상기 복수의 홀들(420a,420b,430) 및 반사부재가 구비되지 않으며, 광을 집중하기 위해 복수의 솔라셀들이 모듈화된 솔라셀 모듈(410)이 배치되는 솔라셀 집적부재(310)만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하부 레이어(L3)에 배치되는 솔라셀 집적부재(310)는 제조의 편의를 위해 상부 레이어(L1) 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레이어(L2)에 배치되는 솔라셀 집적부재(40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레이어(L1)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 레이어(L2)의 사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 레이어(L2)와 상기 하부 레이어(L3)의 사이, 및 중간 레이어(L2)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중간 레이어들(L2) 각각의 사이에는, 상부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홀들을 통과하여 도달되는 광을 반사시켜 상부방향의 레이어에 배치된 반사부재(140 또는 240)에 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홀들(420a,420b,430)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반사체들(220,320)이 일정각도를 이루 며 각각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반사체들(220,320)은 반사효율 및 도달되는 광의 각도,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반사체들(220,320) 각각은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에 배치되는 반사체들(220,320)과는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교차적으로 배치되게 된다.
예를 들어, 상부 레이어(L1)에 형성된 복수의 홀들(420a,420b,430) 중 도 2에서 모서리 부분의 홀(430)에 대응되는 위치 즉 상기 홀(430)의 하부방향으로 중첩되는 부분에 상기 반사체(예를 들어, 220)가 배치되는 경우, 그 하부방향의 반사체(예를 들어, 320)는 상기 홀(430)과 중첩되는 부분에는 배치되지 않는다. 이는 상부방향에 배치된 반사체(예를 들어, 220)에 의해 광이 차단되어 더 이상 상기 반사체(예를 들어, 220)의 하부방향으로는 광이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다.
도 1에서는 반사체(220)의 하부방향에 반사체(320)가 배치되는 것처럼 나타나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 및 이해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왜곡시켜 나타난 것에 불과하다.
상기 복수의 반사체들(220,320) 각각은, 볼록렌즈형 반사체, 오목렌즈형 반사체, 집광프리즘, 반사거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반사체, 및 반사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반사체들(220,320)은 상부방향의 레이어에서 하부방향의 레이어로 갈수록 더 높은 반사효율을 가질 수 있다. 이는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광이 적게 도달되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반사부재(140,240)의 경우에도 볼록렌즈형 반사체, 오목렌즈형 반사체, 집광프리즘, 반사거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반사체, 및 반사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상부방향의 레이어에서 하부방향의 레이어로 갈수록 더 높은 반사효율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레이어(L1)보다 상대적으로 수광량이 적은 중간 레이어(L2) 또는 하부 레이어(L3)에 많은 광을 모으게 하기 위해, 제일 상부에 위치되는 상기 반사부재(140) 또는 반사체(220)는 볼록렌즈 형태로 사용하여 광을 집적하고, 그 이하의 반사체(320) 또는 반사부재(240)는 오목렌즈 형태로 하여 광이 넓게 퍼지도록 배치하여 수광면적을 넓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그리고, 최 하단부의 반사체 또는 반사부재의 경우에는 프리즘 형태의 플라스틱을 써서 굴절각도 또는 반사각도를 조절함에 의해 원하는 부분까지 광이 도달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리즘은 광을 두 번이상 굴절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전달시킬 수 있으므로 유용하게 사용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복수의 홀들(420a,420b,430) 각각에는 빛을 투과하거나 굴절시키기 위한 볼록렌즈, 오목렌즈, 및 프리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적절히 배치함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광이 최대한 많이 넓은 면적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부방향의 레이어들에 배치된 솔라셀 모듈에 광이 도달하는 원리를 설명한다.
우선 상부 레이어(L1)의 솔라셀 모듈(410,110)은 상부방향에서 광을 차단하지 않기 때문에 직접 광을 수광하여 에너지를 얻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 레이어(L2)의 솔라셀 모듈이 배치되는 부분(210)의 경우에는, 상기 상부 레이어(L1)에 배치된 복수의 홀들이 배치되는 부분(130)을 통해 광이 도달되면, 상기 상부 레이어(L1)와 바로 아래 부분의 중간 레이어(L2) 사이에 배치된 반사체(220)에 의해 광이 반사되어 상기 상부 레이어(L1)에 배치된 반사부재(140)에 도달되고, 상기 반사부재(140)에서 반사된 광은 상기 중간 레이어(L2)의 솔라셀 모듈이 배치되는 부분(210)에 도달되어 수광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중간 레이어(L2)의 수광 및 하부 레이어(L3)의 수광방법은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면적에서 최대의 에너지를 얻을 수 있으며,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라셀 모듈 적층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솔라셀 모듈 적층구조를 이루는 상부 레이어 또는 중간 레이어에 배치되는 솔라셀 집적부재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1 : 상부 레이어 L2 : 중간 레이어
L3 : 하부 레이어 410 : 솔라셀 모듈
140,240 : 반사부재 220,320 : 반사체
420a,420b,430 : 홀

Claims (5)

  1. 상부 레이어(layer), 적어도 하나의 중간 레이어, 및 하부 레이어가 적층구조를 이루는 솔라셀 모듈 적층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 레이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 레이어는, 광을 집중하기 위해 복수의 솔라셀들이 모듈화된 솔라셀 모듈이 배치되는 솔라셀 집적부재와, 상기 솔라셀 집적부재의 가장자리부분 또는 상기 솔라셀 모듈의 가장자리부위에 형성되는 복수의 홀들과, 상기 복수의 홀들 형성부분을 제외한 상기 솔라셀 집적부재의 저면(하부면)에 부착 또는 코팅되어 하부방향의 레이어에 배치된 솔라셀 집적부재로 광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부재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하부 레이어는, 광을 집중하기 위해 복수의 솔라셀들이 모듈화된 솔라셀 모듈이 배치되는 솔라셀 집적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레이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 레이어의 사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 레이어와 상기 하부 레이어의 사이, 및 중간 레이어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중간 레이어들 각각의 사이에는, 상부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홀들을 통과하여 도달되는 광을 반사시켜 상부방향의 레이어에 배치된 반사부재에 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홀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반사체들이 일정각도를 이루며 각각 배치되되, 상기 복수의 반사체들 각각은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에 배치되는 반사체들과는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교차적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셀 모듈 적층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들은 다각형 또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부방향의 레이어에 배치된 복수의 홀들과 하부방향의 레이어에 배치된 복수의 홀들은 동일 위치 동일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셀 모듈 적층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 또는 상기 복수의 반사체들 각각은, 볼록렌즈형 반사체, 오목렌즈형 반사체, 집광프리즘, 반사거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반사체, 및 반사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셀 모듈 적층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 또는 상기 복수의 반사체들은 상부방향의 레이어에서 하부방향의 레이어로 갈수록 더 높은 반사효율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셀 모듈 적층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들 각각에는 빛을 투과하거나 굴절시키기 위한 볼록렌즈, 오목렌즈, 및 프리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셀 모듈 적층구조.
KR1020090016633A 2009-02-27 2009-02-27 솔라셀 모듈 적층구조 KR101019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633A KR101019800B1 (ko) 2009-02-27 2009-02-27 솔라셀 모듈 적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633A KR101019800B1 (ko) 2009-02-27 2009-02-27 솔라셀 모듈 적층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805A KR20100097805A (ko) 2010-09-06
KR101019800B1 true KR101019800B1 (ko) 2011-03-04

Family

ID=43004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633A KR101019800B1 (ko) 2009-02-27 2009-02-27 솔라셀 모듈 적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98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968B1 (ko) * 2018-04-02 2019-11-27 (주)그로빅 건물내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KR102403175B1 (ko) * 2020-07-03 2022-05-27 주식회사 랩엔텍 다중 솔라셀 유닛을 이용한 전력생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경광 조명용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0123A (en) 1976-05-06 1978-08-29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pparatus for converting light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JP2000200921A (ja) 1999-01-06 2000-07-18 Takashi Saito ソ―ラ―発電の増量装置
KR20060093732A (ko) * 2006-05-24 2006-08-25 교세미 가부시키가이샤 적층형 태양 전지
JP2007287997A (ja) 2006-04-18 2007-11-01 Fujikura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0123A (en) 1976-05-06 1978-08-29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pparatus for converting light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JP2000200921A (ja) 1999-01-06 2000-07-18 Takashi Saito ソ―ラ―発電の増量装置
JP2007287997A (ja) 2006-04-18 2007-11-01 Fujikura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20060093732A (ko) * 2006-05-24 2006-08-25 교세미 가부시키가이샤 적층형 태양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805A (ko) 2010-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1587B1 (ko)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KR20190004243A (ko) 햇빛전구와 반사판을 이용하는 양면태양광모듈 발전기와 그 발전방법
JP2013098496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7425805B (zh) 一种双面光伏组件
US20070256732A1 (en) Photovoltaic module
CN101995592B (zh) 全反射光学装置
KR101019800B1 (ko) 솔라셀 모듈 적층구조
KR101133058B1 (ko) 태양전지 모듈
KR20130035519A (ko)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EP2528110B1 (en) Photovoltaic system for efficient solar radiation collection and solar panel incorporating same
US20160190372A1 (en) Solar collector device
US20120170144A1 (en) Solar concentration device
KR20070000161U (ko) 태양광 집광장치
KR101300270B1 (ko) 미세 패턴 반사경을 갖는 태양광 모듈
JP2005340583A (ja) 光発電体の受光面構造
KR20100089326A (ko) 집광형 태양광 발전 모듈
JP6086778B2 (ja) 太陽電池用プリズム部材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TWI537533B (zh) 側聚光式太陽能電池系統
KR20180025589A (ko) 태양전지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창호
CN201732793U (zh) 太阳能电池板
KR102407525B1 (ko) 다중 솔라셀 유닛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량 증강 방법 및 장치
TWI693787B (zh) 平板式集光裝置
JP6112382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20230112459A (ko) 투광형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1851138B1 (ko) 단일 광학계를 이용한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