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9664B1 - 임플란트 정밀유도식립 장치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정밀유도식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9664B1
KR101019664B1 KR1020080107086A KR20080107086A KR101019664B1 KR 101019664 B1 KR101019664 B1 KR 101019664B1 KR 1020080107086 A KR1020080107086 A KR 1020080107086A KR 20080107086 A KR20080107086 A KR 20080107086A KR 101019664 B1 KR101019664 B1 KR 101019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implant
induction
bush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7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8084A (ko
Inventor
이태경
정제교
Original Assignee
이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경 filed Critical 이태경
Priority to KR1020080107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9664B1/ko
Priority to PCT/KR2009/006328 priority patent/WO2010050768A2/ko
Publication of KR20100048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8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의 정밀식립을 위한 드릴과 유도부싱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정밀유도식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유도부싱의 내주면은 원형을 이루나 그 외주면은 타원형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드릴의 천공작업시 유도부싱이 같이 회전하려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하는 동시에 임플란트 식립 위치가 간격이 좁은 치아 사이에 위치할 경우에도 손쉽게 유도부싱을 설치할 수 있고, 치조골을 천공하는 드릴은 상기 유도부싱의 원형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드릴 섕크(shank)의 하부에 유도부를 구비하되 상기 유도부가 드릴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드릴 섕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와 나사결합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도부의 상면에 구비된 접시머리의 경사면과 상기 유도부싱에 형성된 관통구멍 상면 모서리의 모따기부로 이루어진 스토퍼가 상호 접촉하여 드릴의 천공깊이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정밀유도식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 정밀유도식립, 드릴, 스토퍼, 유도부 어댑터, 나사결합, 타원형 유도부싱

Description

임플란트 정밀유도식립 장치{Accurate implant guidance equipment}
본 발명은 임플란트의 정밀식립을 위한 드릴과 유도부싱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정밀유도식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유도부싱의 내주면은 원형을 이루나 그 외주면은 타원형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드릴의 천공작업시 유도부싱이 같이 회전하려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하는 동시에 임플란트 식립 위치가 간격이 좁은 치아 사이에 위치할 경우에도 손쉽게 유도부싱을 설치할 수 있고, 치조골을 천공하는 드릴은 상기 유도부싱의 원형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드릴 섕크(shank)의 하부에 유도부를 구비하되 상기 유도부가 드릴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드릴 섕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와 나사결합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도부의 상면에 구비된 접시머리의 경사면과 상기 유도부싱에 형성된 관통구멍 상면 모서리의 모따기부로 이루어진 스토퍼가 상호 접촉하여 드릴의 천공깊이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정밀유도식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과에서 임플란트를 시술하는 작업을 할 때, 일반적으로 드릴을 이용하여 치조골에 픽스츄어가 매식될 홈을 드릴링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픽스츄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의 식립은 환자마다 많은 차이가 있는데, 이는 환자의 치아의 상태나 임플란트 시술이 필요한 치아의 위치, 환자의 치조골의 상태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및 깊이와 방향을 결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결정된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와 방향 및 깊이가 결정되면 이에 따라 드릴을 이용하여 치조골을 천공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치조골 천공을 위한 드릴링 작업은 초심자뿐만 아니라 경험자에게도 작업 과정에서 깊이 및 방향을 정확하게 가늠하기가 상당히 어렵다는 난점이 있다. 특히 시술 경험이 풍부하지 않은 초보자의 경우 시술 도중 별도의 특별한 측정 단계 없이 드릴링된 깊이를 가늠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이다.
또한, 픽스츄어를 식립하기 위한 홈을 치조골에 드릴링 할 때에, 시술자가 드릴에 힘을 가하여 드릴링 작업을 수행하면서 현재 어느 정도까지 깊이로 드릴링 작업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관계로 소정의 깊이를 넘어서서 드릴링 하게 되면 드릴이 치조골에 있는 신경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그 반대로 소정의 드릴링 깊이에 도달하기 전에 드릴링 작업을 종료한 경우에는 드릴된 홈의 깊이가 얕아서 픽스츄어 고정에 과도한 힘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홈 주위의 나사산이 손상되거나 홈에 고정될 픽스츄어가 완벽하게 고정되지 못하게 되어 추후 재시술을 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임플란트 시술시 치은을 절개하여 치조골을 노출시킨 후 그 위에 직접 드릴 등을 이용하여 천공을 하는 경우, 천공 작업을 수행할 정확한 위치 및 방향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스텐트(stent)라고 하는 보조 기구를 사용하게 된다.
종래에 통상적으로 사용한 스텐트의 제작 과정과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임플란트 시술 전에 고무재질의 인상 재료를 이용하여 피시술자의 상악(上顎) 및/또는 하악(下顎)의 음형을 획득한 후 상기 음형에 석고를 부어 피시술자의 상악 및/또는 하악의 형상과 동일한 석고모형을 제작한다.
이어서, 이를 인공 교합기에 결합시켜 피시술자의 것과 거의 유사한 턱관절 및 상·하악 치아를 구강 밖에서 재현한다.
이어서, 치아가 상실되어 임플란트를 시술할 위치에 투명한 재질의 가상의 치아 모형을 제작하며, 이것이 스텐트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완성된 스텐트 중 드릴이 삽입될 위치에 소정의 마크를 하고, 스텐트의 외부에 천공할 방향을 지시하는 표시를 한 후 상기 마크와 표시를 참고로 시술자는 드릴 등의 천공 도구를 이용하여 천공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텐트는 내측면과 접촉되는 유치악 또는 무치악 시술자에 대해 천공 작업시 수직 또는 수평 방향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불안정하게 된다.
이에 본 출원인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몸체부(1)에 스텐트 유도부(23)가 고정되어 있는 스텐트에 관한 발명을 특허출원 제2007-0107408호로 출원한 바 있으며, 상기 본 출원인의 발명인 스텐트에 사용되는 도 2에 도시된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장치에 대하여도 특허출원 제2008-0037614호로 출원한 바 있다.
본 출원인이 발명한 스텐트에 고정되어 있는 스텐트 유도부(23) 내주면의 직경은 드릴에 구비된 유도부(21)의 외경에 대응되며, 상기 스텐트 유도부(23) 내주면 하면에 일체로 만들어져 있는 스토퍼(17)에 의하여 드릴의 천공 깊이가 제한된다.
따라서 피술자의 치아상태, 예를 들면 임플란트 시술이 필요한 치아의 크기와 치조골 위에 덮여 있는 치은의 두께 및 치조골의 상태 등에 따라 치조골의 천공 방향(각도) 및 깊이가 결정되고, 이러한 계산 결과에 맞춰 스텐트 유도부(23)가 고정됨으로써 드릴에 의하여 치조골이 정확한 방향 및 깊이로 천공된다.
이와 같이 본 출원인의 선행특허출원에 의하면, 임플란트 시술을 위하여 치조골에 천공되는 구멍의 각도 및 깊이의 정확도가 시술자의 숙련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도 종래의 보편적인 방법에 비하여 월등히 향상되나, 몇 가지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첫째로 개선되어야 할 부분은, 선행특허출원에서는 유도부싱(스텐트 유도부) 내주면의 하면을 따라 돌출된 부분을 만들어서 스토퍼를 형성하였는데, 유도부싱의 크기 자체가 작은데다가 가공 중에는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내주면에 스토퍼를 형성하다보니 수치제어(NC) 머신과 같은 고가의 장비를 사용해야만 정확한 위치에 스토퍼를 형성할 수 있어 가공비가 높게 든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스토퍼의 돌출된 부분의 모서리를 따라서는 모따기부를 형성함으로써 드릴에 구비된 유도부 하면 모서리의 경사부와의 수렴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유도부싱의 관통된 구멍을 통하여 그 내주면에 모따기부를 형성하는 것은 다소 번거로운 작업이 되어 생산성이 떨어진다.
둘째는, 선행특허출원에 있어서 유도부싱의 직경은 치아의 사이즈에 의하여 제한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유도부싱의 직경은 세분화될 수밖에 없다. 유도부싱의 종류가 많아진다는 것은 상기 유도부싱의 내주면 직경에 대응되는 유도부를 갖춘 드릴의 종류 역시 많아져야 한다는 것이고, 더욱이 드릴 자체의 종류 역시 다양하기 때문에 준비되어야 하는 드릴의 종류와 숫자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야 한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유도부싱에 대응할 수 있는 드릴의 종류를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셋째는, 치조골을 천공하는데에 사용되는 드릴 자체에서도 개선되어야 하는 부분이 있는데, 이는 천공작업을 실제로 담당하는 드릴의 절삭날에 비하여 유도부싱과 접촉되는 유도부에서의 마모가 심하기 때문에, 드릴날의 상태가 아닌 유도부의 마모상태에 의하여 드릴의 수명이 결정된다는 비효율적인 측면이 존재한다는 것 이다. 대개의 경우 드릴날에는 고가의 코팅재료가 도포되어 있는 반면, 고속회전하면서 유도부싱과 넓은 표면과 접촉되는 드릴의 유도부에는 별다른 보호수단이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하여 상기 유도부에도 고가의 코팅재를 도포하는 것은 제품의 단가를 상승시킨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첫번째로 개선이 요구되는 사항인 드릴 종류의 최소화라는 것과 연계하여 해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유도부를 구비한 드릴과 함께 사용되는 유도부싱도 다소간의 개량이 필요한데, 이는 상기 유도부를 구비한 드릴을 정밀하게 유도하기 위해서는 상기 유도부와 유도부싱의 내주면 사이가 밀착되는 것이 좋은데, 유도부와 유도부싱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수록 드릴의 빠른 회전에 의하여 유도부싱도 함께 회전하려는 모멘트는 더 커지게 된다. 유도부싱에 작용하는 이러한 모멘트는 스텐트에 고정된 유도부싱의 견고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임플란트의 정밀식립을 위해서는 회전하는 드릴에 의해 야기되는 모멘트에 의해서도 유도부싱의 지지건전성이 저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임플란트의 식립작업시 치조골을 삭제하는 드릴의 천공깊이를 제한하는 구성을 드릴 유도부의 상면 및 유도부싱의 상면에 배치시킴으로써, 본 출원인의 선행특허출원과 같이 유도부싱 내주면의 하면에 돌출부와 모따기부를 형성하는 복잡한 가공과정을 보다 간단하게 바꿈으로써 유도부싱의 생산성을 제고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에 필요한 드릴, 특히 유도부싱이 있는 스텐트와 함께 사용되는 유도부가 구비된 드릴의 종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드릴의 유도부가 마멸됨에 따라 드릴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피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드릴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임플란트의 정밀식립을 위해서 드릴의 유도부와 유도부싱이 밀착된 상태에서도, 회전하는 드릴에 의해 야기되는 모멘트에 따라 유도부싱이 회전하려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고, 하는 새로운 형태의 유도부싱을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정밀유도식립 장치는, 생크부 하측 외주면에 원통 형의 유도부를 구비하되 상기 유도부의 상면은 접시머리의 형상을 가지는 임플란트 천공용 드릴; 및 타원기둥체 형상을 가지는 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타원기둥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형단면을 갖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의 상면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모따기부로 이루어진 스토퍼가 구비된 유도부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도부는 상기 드릴의 생크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드릴의 섕크부 하측 외주면을 따라 일정 길이의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부에 대응되는 암나사부가 그 내주면에 형성된 중공 원통형의 유도부가 상기 수나산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유도부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도부가 나사결합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중공 원통형 유도부의 내경은 일정하게 유지하는 가운데 그 외경만을 달리하는 다양한 종류의 유도부를 미리 준비함으로써 드릴 자체의 종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수나사부와 암나사부에 형성된 나사산을 드릴의 절삭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을 갖는 나선주행방향을 갖도록 함으로써, 드릴이 치조골을 천공할 때 나사결합된 유도부가 쉽게 풀리지 않도록 하며, 이때 대부분의 경우 드릴의 절삭회전방향은 오른나사 방향이므로, 상기 나사산들은 왼나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도부의 상면에 구비된 접시머리의 경사면과 상기 유도부싱에 형성된 스토퍼의 모따기부가 상호 접촉하여 상기 드릴의 천공깊이가 제한된다.
그리고 상기 유도부싱은, 상기 타원기둥체 형상을 가지는 몸체 중 타원면 장축 방향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의 일부분에 평면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유도부싱이 스텐트 상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부싱은, 상기 타원기둥체 형상을 가지는 몸체 중 타원면 장축 방향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냉각수홀이 형성되며, 상기 냉각수홀을 통하여 천공 작업 중 유도부싱과의 마찰에 의하여 뜨거워진 드릴을 냉각시키거나 또는 윤활시키는 냉각수나 냉각유를 공급하게 된다.
특히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임플란트 정밀유도식립 장치의 유도부싱은 임플란트용 스텐트 내에 고정되어 사용되는데, 이때 상기 유도부싱은 그 타원기둥체 형상을 가지는 몸체 중 타원면 장축 방향의 양측면이 피시술자의 협설측을 향하도록 스텐트에 고정된다. 따라서 임플란트가 식립될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도, 유도부싱의 몸체 중 타원면 단축 방향의 양측면이 치아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유도부싱의 설치가 보다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유도부싱의 단면형상이 타원형상이기 때문에 고속으로 회전하는 드릴에 의하여 유도부싱에 작용하는 모멘트를 효과적으로 억 제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유도부싱의 타원기둥체 형상을 가지는 몸체 상면의 타원면 장축 방향의 양측에는 오목한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과 동일한 직경의 구멍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돌출부가 하면에 형성된 연장부싱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임플란트 정밀식립용 드릴을 유도하는 길이를 연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정밀유도식립 장치는, 드릴의 천공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의 구성이 드릴의 유도부 상면과 유도부싱의 상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유도부싱의 가공과정이 단순해짐으로써 그 생산성이 크게 제고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임플란트 천공용 드릴이 드릴 본체와 상기 드릴의 섕크부에 나사결합되는 중공 원통형 유도부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유도부의 종류, 예를 들면 유도부의 외경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유도부싱에 사용될 수 있게 된다. 가공이 쉬운 중공 원통형 유도부의 종류를 다양하게 함으로써 비교적 단가가 높은 드릴의 종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드릴의 절삭부 상태가 양호하다면 간단히 유도부를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드릴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새로 운 방식의 임플란트 천공용 드릴은 종래에 비하여 그 효용성이 상당히 높아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유도부싱은, 타원기둥체 형상을 가지는 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타원기둥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형단면을 갖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드릴의 유도부가 상기 관통구멍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고속으로 회전하여도, 스텐트에 고정된 유도부싱은 드릴의 천공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의 단면형상이 타원형이기 때문에, 드릴의 회전에 따라 유도부싱이 같이 회전하려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유도부싱은, 그 타원기둥체 형상을 가지는 몸체 중 타원면 장축 방향의 양측면이 피시술자의 협설측을 향하도록 스텐트에 고정되고, 따라서 임플란트가 식립될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도 유도부싱의 몸체 중 타원면 단축 방향의 양측면이 치아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유도부싱의 설치가 보다 자유로워진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임플란트 천공용 드릴(100,100')과 유도부싱(200)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정밀유도식립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천공용 드릴(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링 머신에 장착되는 부분인 섕크부(110)와 치조골에 구멍을 만드는 절삭날이 형성된 절삭부(116)로 이루어져 있으며, 생크부(100) 하측 외주면에 원통형의 유도부(120)를 구비하되 상기 유도부(120)의 상면은 경사면(124)을 갖는 접시머리(122)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유도부(120)의 외경은 후술할 유도부싱(200)의 관통구멍(212)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유도부(120)의 외주면과 상기 관통구멍(212) 내부면의 밀착에 의하여 드릴(100)의 천공방향이 유도된다. 또한 상기 접시머리(122)의 경사면(124)과 유도부싱(200)의 스토퍼(214)의 접촉에 의하여 드릴(100)의 천공깊이가 제한된다.
도 3의 드릴(100)은 유도부(120)가 드릴(100)의 섕크부(100)하측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실시예에 관한 것인데,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도부(120)가 나사결합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즉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릴(100')은, 상기 드릴(100')의 섕크부(110') 하측 외주면을 따라 일정 길이의 수나사부(12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나사부(128')에 대응되는 암나사부(126')가 그 내주면에 형성된 중공 원통형의 유도부(120')가 상기 수나산부(128')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유도부(120')의 상면이, 경사면(124')을 갖는 접시머리(122')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은 이전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드릴(100')은, 그 유도부(120')가 드릴(100')의 본체에 형성된 수나사부(128')에 중공 원통형의 유도부(120')가 결합됨으로써 완성되기 때문에, 상기 유도부(120')의 내경은 일정하게 유지하는 가운데 그 외경만을 달리하는 다양한 종류의 유도부(120')를 사전에 준비함으로써 다양한 직경을 갖는 유도부싱(200)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수나사부(128')와 암나사부(126')에 형성된 나사산을 드릴(100')의 절삭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을 갖는 나선주행방향을 갖도록 함으로써, 드릴(100')이 치조골을 천공할 때 유도부(120')가 쉽게 풀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대부분의 경우 드릴(100')의 절삭회전방향은 오른나사 방향이므로, 상기 수나사부(128')와 암나사부(126')에 형성된 나사산은 왼나사로 형성된다.
도 5a 및 도 5b는, 상기에서 설명한 임플란트 천공용 드릴(100,100')과 함께 사용되는, 새로운 형태의 유도부싱(200)을 보여주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특허출원 제2007-0107408호의 스텐트에 고정된 유도부싱과 비교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유도부싱(200)이 가지는 가장 큰 특징은 그 전체적인 형상이 타원기둥체라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유도부싱(200)은, 타원기둥체 형상을 가지는 몸체(210)로 이루어지되 상기 타원기둥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형단면을 갖는 관통구멍(21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드릴의 유도부(120,120')가 상기 관통구멍(212)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고속으로 회전하여도, 스텐트에 고정된 유도부싱(200)은 드릴(100,100') 의 천공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의 단면형상이 타원형이기 때문에, 드릴(100,100')의 회전에 따라 유도부싱(200)이 같이 회전하려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부수적으로 이러한 타원기둥 형상은, 작은 사이즈를 갖는 유도부싱(200)을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게 하여 그 취급이 용이해진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상기 유도부싱(200)은 그 타원기둥체 형상을 가지는 몸체(210) 중 타원면 장축 방향의 양측면이 피시술자의 협설측을 향하도록 스텐트에 고정되기 때문에, 임플란트가 식립될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도, 유도부싱(200)의 몸체(210) 중 타원면 단축 방향의 양측면이 치아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유도부싱(200)의 설치상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한편 상기 유도부싱(200)의 관통구멍(212)의 상면에는 스토퍼(214)가 구비되는데, 상기 스토퍼(214)는 상기 관통구멍(212)의 상면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모따기부로 이루어져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드릴(100,100')의 유도부(120,120') 상면에 구비된 접시머리(122,122')의 경사면(124,124')과 상기 유도부싱(200)의 스토퍼(214)의 접촉에 의하여 드릴(100,100')의 천공깊이가 제한된다.
또한 상기 타원기둥체 형상을 가지는 몸체(210) 중 타원면 장축 방향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의 일부분에 평면부(216)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유도부싱(200)의 상하방향 고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물론 타원면 장축 방향의 양측면 모두의 일부분에 각각 평면부(216)가 형성되어 있는 것도 가능 하다.
그리고, 상기 타원기둥체 형상을 가지는 몸체(210) 중 타원면 장축 방향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는 냉각수홀(2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냉각수홀(218)은 치조골의 천공 작업 중에 유도부싱(200)의 관통구멍(212)과의 마찰에 의하여 뜨거워지는 드릴(100,100')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 또는 윤활기능을 수행하는 냉각유를 공급하는 구멍이다. 냉각수홀(218)은 상기 몸체(210)의 저면으로부터 1/2 또는 1/3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냉각수홀(218)로 유입되는 냉각수 또는 냉각유가 드릴(100,100')의 유도부(120,120') 전체에 잘 퍼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냉각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냉각수홀(218)을 복수개로 마련할 수도 있다.
아울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도부싱(200)의 타원기둥체 형상을 가지는 몸체(210) 상면의 타원면 장축 방향의 양측에는 오목한 고정부(222)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멍(212)과 동일한 직경의 구멍(310)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고정부(222)에 결합되는 돌출부(312)가 하면에 형성된 연장부싱(300)을 추가로 연결한 임플란트 정밀유도식립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연장부싱(300)의 역할은 상기 드릴(100,100')을 유도하는 길이를 연장시키는 것인데, 이 경우 연장부싱(300)의 길이를 고려하여 드릴(100,100')의 유도부(120,120') 길이도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정밀유도식립 장치를 이루는 드릴(100,100')과 유도부싱(200) 및 연장부싱(300)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과 개량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출원인이 특허출원 제2007-0107408호로 출원한 발명인 스텐트를 보여주는 사진.
도 2는 본 출원인이 특허출원 제2008-0037614호로 출원한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장치에 대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정밀식립 장치에 포함된 임플란트 정밀식립용 드릴에 대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임플란트 정밀식립용 드릴에 구비된 유도부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정밀식립 장치에 포함된 유도부싱에 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정밀식립 장치에 포함된 유도부싱과 이에 결합되는 연장부싱에 대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100': 드릴 110,110': 섕크부
116,116': 절삭부 120,120': 유도부
122,122': 접시머리 124,124': 경사면
126': 암나사부 128': 수나사부
200: 유도부싱 210: 몸체
212: 관통구멍 214: 스토퍼
216: 평면부 218: 냉각수홀
222: 고정부 300: 연장부싱
310: 구멍 312: 돌출부

Claims (10)

  1. 생크부 하측 외주면에 원통형의 유도부를 구비하되 상기 유도부의 상면은 접시머리의 형상을 가지는 임플란트 천공용 드릴; 및
    타원기둥체 형상을 가지는 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타원기둥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형단면을 갖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의 상면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모따기부로 이루어진 스토퍼가 구비된 유도부싱;
    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정밀유도식립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상기 드릴의 생크부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정밀유도식립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릴의 섕크부 하측 외주면을 따라 일정 길이의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부에 대응되는 암나사부가 그 내주면에 형성된 중공 원통형의 유도부가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유도부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정밀유도식립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부와 암나사부에 형성된 나사산이 상기 드릴의 절삭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을 갖는 나선주행방향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정밀유도식립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부와 암나사부에 형성된 나사산이 왼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정밀유도식립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의 상면에 구비된 접시머리의 경사면과 상기 유도부싱에 형성된 스토퍼의 모따기부가 상호 접촉하여 상기 드릴의 천공깊이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정밀유도식립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싱의 타원기둥체 형상을 가지는 몸체 중 타원면 장축 방향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의 일부분에 평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정밀유도식립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싱의 타원기둥체 형상을 가지는 몸체 중 타원면 장축 방향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냉각수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정밀유도식립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싱은 상기 타원기둥체 형상을 가지는 몸체 중 타원면 장축 방향의 양측면이 협설측을 향하도록 스텐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정밀유도식립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싱의 타원기둥체 형상을 가지는 몸체 상면의 타원면 장축 방향의 양측에는 오목한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과 동일한 직경의 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돌출부가 하면에 형성된 연장부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정밀유도식립 장치.
KR1020080107086A 2008-10-30 2008-10-30 임플란트 정밀유도식립 장치 KR101019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086A KR101019664B1 (ko) 2008-10-30 2008-10-30 임플란트 정밀유도식립 장치
PCT/KR2009/006328 WO2010050768A2 (ko) 2008-10-30 2009-10-30 임플란트 정밀유도식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086A KR101019664B1 (ko) 2008-10-30 2008-10-30 임플란트 정밀유도식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084A KR20100048084A (ko) 2010-05-11
KR101019664B1 true KR101019664B1 (ko) 2011-03-07

Family

ID=42129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7086A KR101019664B1 (ko) 2008-10-30 2008-10-30 임플란트 정밀유도식립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19664B1 (ko)
WO (1) WO201005076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202Y1 (ko) * 2011-08-05 2013-06-04 (주) 코웰메디 크레스탈 커터와 파일럿 커터 일체형 임플란트시술용 드릴
CN102397112B (zh) * 2011-09-13 2013-06-05 宁波市鄞州千峰机械科技有限公司 拐刃式牙线刀
FR3058311B1 (fr) * 2016-11-07 2021-10-29 Smiletech Dispositif de guidage d'un foret utilise en chirurgie et procede de conception et fabrication associ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1247A (ko) * 2002-02-28 2004-12-02 머티어리얼리스 엔브이 치과용 이식물의 배치 방법 및 장치
KR20060059515A (ko) * 2004-11-29 2006-06-02 김종필 임플란트용 스텐트 보조구
JP2007069002A (ja) 2005-09-05 2007-03-22 Straumann Holding Ag ストッパ要素付歯科用ドリル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1247A (ko) * 2002-02-28 2004-12-02 머티어리얼리스 엔브이 치과용 이식물의 배치 방법 및 장치
KR20060059515A (ko) * 2004-11-29 2006-06-02 김종필 임플란트용 스텐트 보조구
JP2007069002A (ja) 2005-09-05 2007-03-22 Straumann Holding Ag ストッパ要素付歯科用ドリ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084A (ko) 2010-05-11
WO2010050768A3 (ko) 2010-07-22
WO2010050768A2 (ko) 201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9666B1 (ko) 임플란트 천공용 드릴과 매개부싱이 포함된 유도부싱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정밀유도식립 장치
JP4364125B2 (ja) フィクスチャーの埋入のための装置
KR100993666B1 (ko) 정밀유도 식립을 위한 임플란트용 스텐트 제작에 사용되는 고정핀 어셈블리
US20090004625A1 (en) Dental Drilling Assembly
US20140127640A1 (en) Dental drill bit system and method
KR100954553B1 (ko)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장치
BRPI0711288B1 (pt) Dispositivo para fixar um implante dentário ao tecido ósseo de um paciente.
KR101019664B1 (ko) 임플란트 정밀유도식립 장치
BR112012005077B1 (pt) componentes para rosqueamento guiado de osso
BR112013000400B1 (pt) Processo para a produção de um gabarito de perfuração dentário a partir de uma peça bruta
CN103635158A (zh) 牙种植用工具及其套件、和钻杆及其套件
KR101027481B1 (ko) 임플란트 정밀식립용 드릴과 유도부싱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정밀식립 장치
WO2008089347A2 (en) Depth gauge for use in dental implants
KR101453775B1 (ko) 임플란트 정밀유도 식립용 시술 기구 키트
KR20090121523A (ko)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장치
KR100977908B1 (ko) 정밀유도식립을 위한 임플란트용 스텐트의 고정체
CN213249886U (zh) 钻孔限位器
KR101107145B1 (ko) 임플란트 정밀식립용 매개부싱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정밀식립 장치
KR200453091Y1 (ko) 임플란트 정밀식립용 유도부싱과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정밀식립 장치
KR102064607B1 (ko) 가이드스텐트를 이용하는 범용 임플란트 시술 키트
KR101118718B1 (ko) 외과적 시술 유도장치에 결합되는 유도부싱
KR200282986Y1 (ko) 인공치아 임플란트 시술용 인디케이터
JP2009232989A (ja) 歯科インプラント用の切削具用ストッパー
CN219289735U (zh) 根管锉限位结构及根管锉
CN220530155U (zh) 一种组合式种植印模转移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