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9326B1 - 광고 노출 측정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고 노출 측정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9326B1
KR101019326B1 KR1020080051247A KR20080051247A KR101019326B1 KR 101019326 B1 KR101019326 B1 KR 101019326B1 KR 1020080051247 A KR1020080051247 A KR 1020080051247A KR 20080051247 A KR20080051247 A KR 20080051247A KR 101019326 B1 KR101019326 B1 KR 101019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measurement
exposure
measuring
measurement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4827A (ko
Inventor
심상일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1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9326B1/ko
Publication of KR20090124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2Period of advertisement exp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06Q50/5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광고 노출 측정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광고 노출 측정 방법은, 광고 소재의 특성에 따라 광고 측정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측정 대상 광고를 집행한 후 상기 측정 대상 광고에 대한 광고 측정 요소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광고, 측정, 요소, 노출, 가중치

Description

광고 노출 측정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EXPOSURED ADVERTISEMENT}
본 발명은 광고 노출 측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고 소재의 특성에 따라 광고 측정 요소를 생성하고, 측정 대상 광고를 노출시킨 후 광고 측정 요소를 분석하여 노출된 광고의 효과를 보고할 수 있는 광고 노출 측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라인 광고 서비스 방법은 각종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 사이트에 온라인 접속 상태인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는 웹 페이지 상에 광고주가 등록한 광고를 노출한다. 이러한 온라인 광고 서비스 방법은 광고의 노출 횟수, 광고의 클릭 횟수, 클릭된 광고에 대한 상품 구매 또는 상기 광고주가 지정한 동작을 수행하는 여부에 따라 상기 광고주가 정해진 금액의 광고비를 온라인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자에게 지불한다.
그러므로, 온라인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자는 온라인 광고가 사용자에게 노출됨에 따라 발생되는 각종 광고 효과를 광고주에게 정확하게 보고해줄 필요성이 있다.
하지만 종래 온라인 광고 서비스 방법은 광고의 노출 횟수, 광고의 클릭 횟수 또는 클릭된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 횟수 등과 같이 단순한 광고 비용을 정산하기 위한 수치 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에 불과하다. 이처럼 종래 온라인 광고 서비스 방법은 단순한 광고 비용을 정산하기 위한 수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광고 효과를 제공해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온라인 광고 서비스에서 노출되는 광고에 대해 보다 다양한 광고 소재의 특성에 따라 광고 측정 요소를 생성하고, 측정 대상 광고를 노출시킨 후 광고 측정 요소를 분석하여 노출된 광고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하게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광고 소재의 특성에 따라 광고 측정 요소를 생성하고, 측정 대상 광고를 노출시킨 후 광고 측정 요소를 분석하여 노출된 광고의 효과를 보고할 수 있는 광고 노출 측정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측정 방법은, 광고 소재의 특성에 따라 광고 측정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측정 대상 광고를 집행한 후 상기 측정 대상 광고에 대한 광고 측정 요소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은, 광고 소재의 특성에 따라 광고 측정 요소를 생성하는 광고 측정 요소 생성부 및 측정 대상 광고를 집행한 후 상기 측정 대상 광고에 대한 광고 측정 요소를 분석하는 광고 측정 요소 분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고 소재의 특성에 따라 광고 측정 요소를 생성하고, 측정 대상 광고를 노출시킨 후 광고 측정 요소를 분석하여 노출된 광고의 효과를 보고할 수 있는 광고 노출 측정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광고 노출 측정 방법 및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과 통신망을 통해 연동된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은 통신망(110)을 통해 연동된 사용자 단말기(120-1~120-n)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광고가 노출됨에 따른 보다 정확한 광고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일례로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은 통신망(110)을 통해 연동된 사용자 단말기(120-1~120-n)의 사용자에게 각종 통합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포털 사이트에서 상기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면상에 노출되는 광고에 대한 보다 정확한 광고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일 수 있다.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은 통신망(110)을 통해 연동된 사용자 단말기(120-1~120-n)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광고가 시작되기 전에 상기 디스플레이 광고에 대한 광고 측정 요소를 생성한다. 일례로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은 통신망(110)을 통해 연동된 사용자 단말기(120-1~120-n)로 제공되는 광고 컨텐츠에 대한 로딩 주기, 광고 요구 체크, 동작 형태 또는 로그인 사용자를 체크하기 위한 광고 측정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광고 소재의 다운로드(download) 유무, 클릭(click) 유무, 마우스 오버(mouse over) 유무, 드래그(drag) 유무, 유니크 방문자(Unique Visitor) 유무, 로그인 사용자(login user) 유무, 동영상 재생 유무 또는 스마트 레이어(smart layer) 유무를 포함하는 광고 측정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유니크 방문자는 하나의 웹 페이지에 방문한 실 사용자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상기 웹 페이지에 한 사람이 10 번 방문하면 일반적으로 노출량(impression)은 10회 인식되지만 상기 유니크 방문자 개념에서는 1회만 방문한 걸로 인식한다. 상기 유니크 방문자에 대한 기초가 되는 데이터는 로그인 아이디(ID) 정보 및 아이피(IP) 정보를 매핑하여 사용된다. 상기 스마트 레이어는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확인하고 광고 영역들이 실제 가시권 안에 존재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기술이다. 즉, 상기 스마트 레이어는 디스플레이 광고 상품에 대한 시청률 집계 시스템에서 웹 페이지에 접근시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사이즈에 맞게 레이어가 생성되어 광고 영역이 가시권 안에 들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기능이다.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광고 측정 요소를 측정하기 위한 대상 유알엘을 생성하고, 상기 대상 유알엘을 상기 광고 소재에 삽입한다.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광고를 노출시키기 전에 상기 광고 측정 요소를 생성하고, 상기 광고 측정 요소에 대해 가중치를 설정한다. 즉,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은 광고 상품에 대한 유효 노출을 반영하여 상기 광고 측정 요소에 대한 측정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은 디스플레이 광고 상품에 대한 특성상 유효 노출에 대한 측정을 달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광고 측정 요소별로 측정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광고 상품이 드래그 확장형 배너 광고인 경우 사용자에 의해 상기 광고 상품이 드래그되면 상기 광고 상품에 대한 유효 노출로 반영하여 상기 광고 측정 요소에 대한 측정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광고 측정 요소가 반영된 광고 상품에 대한 집행을 수행하여 통신망(110)을 통해 연동된 사용자 단말기(120-1~120-n)으로 상기 광고 상품을 노출시킨다.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광고 상품에 대한 집행을 종료한 후 상기 설정된 광고 측정 요소에 따라 상기 광고 상품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광고 상품에 대한 효과를 리포트한다. 즉,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광고 상품에 대한 집행을 종료한 후 상기 설정된 광고 측정 요소에 따라 상기 광고 상품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고, 상기 효과 분석 리포트를 통신망(110)을 통해 연동된 상기 광고 상품을 등록한 광고주의 사용자 단말기(120-1~120-n)로 제공할 수 있다.
통신망(110)은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과 사용자 단말기(120-1~120-n)을 연동시킬 수 있는 각종 유무선 통신망이다.
사용자 단말기(120-1~120-n)는 통신망(110)을 통해 연동된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으로부터 제공하는 각종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단말기로서 상기 검색 서비스와 함께 제공되는 광고를 노출한다.
사용자 단말기(120-1~120-n)는 상기 노출된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통신망(110)을 통해 연동된 광고 노출 시스템(100)으로 제공한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기(120-1~120-n)는 상기 노출된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으로서, 상기 광고에 대한 광고소재의 다운로드 유무, 상기 광고에 대한 클릭(click) 유무, 상기 광고에 대한 마우스 오버(mouse over) 유무, 상기 광고에 대한 드래그(drag) 유무, 상기 광고에 대한 재생 유무 등 을 체크하고, 상기 체크된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통신망(110)을 통해 연동된 광고 노출 시스템(1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20-1~120-n)는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의 가입자로서 로그인 동작을 수행하면, 그에 따른 로그인 정보를 통신망(110)을 통해 연동된 광고 노출 시스템(1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120-1~120-n)는 통신망(110)을 통해 연동된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에 상기 광고 상품의 광고주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상기 광고주의 요청에 따라 통신망(110)을 통해 연동된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에 상기 광고 상품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20-1~120-n)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등록된 광고 상품에 대한 광고주인 경우, 통신망(110)을 통해 연동된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으로부터 상기 광고 상품에 대해 측정된 광고 측정 요소를 분석한 결과인 광고 효과 분석 리포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은 광고 측정 요소 생성부(210), 가중치 설정부(215), 삽입부(220), 데이터베이스(225), 광고 측정 요소 분석부(230) 및 측정 결과 제공부(240)를 포함한다.
광고 측정 요소 생성부(210)는 광고 소재의 특성에 따라 광고 측정 요소를 생성한다. 즉, 광고 측정 요소 생성부(210)는 광고 컨텐츠에 대한 로딩 주기, 광고 요구 체크, 동작 형태 또는 로그인 사용자 체크를 수행하는 광고 측정 요소를 생성한다. 일례로 광고 측정 요소 생성부(210)는 상기 광고 소재의 다운로드 유무, 클릭 유무, 마우스 오버 유무, 드래그 유무, 유니크 방문자 유무, 로그인 사용자 유무, 동영상 재생 유무 또는 스마트 레이어 유무를 포함하는 광고 측정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측정 요소의 속성 및 체크 상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광고 측정 요소의 속성은 광고 소재 다운로드 유무, 클릭(click) 유무, 마우스 오버(Mouse Over) 유무, 드래그(Drag) 유무, 유니크 사용자(Unique User) 유무, 로그인 사용자(Login User) 유무, 동영상 재생(Play) 유무 또는 스마트 레이어(Smart layer) 유무 등을 포함한다. 상기 광고 소재에 대한 다운로드 유무는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광고 소재가 다운로드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상기 클릭 유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광고 컨텐츠를 클릭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고, 상기 마우스 오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광고 컨텐츠를 마우스 오버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고, 상기 드래그 유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해 드래그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상기 유니크 사용자 유무는 상기 광고 컨텐츠와 연관된 유니크 방문자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고, 상기 로그인 사용자 유무는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해 반응을 보인 로그인 사용자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고, 스마트 레이어 유무는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확인하고 광고 영역들이 실제 가시권 안에 존재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상기 체크(check) 상황은 상기 각 광고 측정 요소를 생성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 받아 상기 광고 측정 요소를 생성하는 경우 'Yes'가 체크되고, 상기 광고 측정 요소를 생성하지 않는 경우 'No'가 체크된다.
또한 광고 측정 요소 생성부(210)는 상기 광고 측정 요소를 측정하기 위한 대상 유알엘(target URL)을 생성한다. 일례로 광고 측정 요소 생성부(210)는 상기 광고 측정 요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http://m2.naver.com/check00812'와 같은 대상 유알엘을 생성할 수 있다.
가중치 설정부(215)는 상기 광고 측정 요소에 대한 측정 가중치를 설정한다. 가중치 설정부(215)는 광고 상품에 대한 유효 노출을 반영하여 상기 광고 측정 요소에 대한 측정 가중치를 설정한다. 일례로 상기 광고 상품이 드래그 확장형 배너 광고인 경우, 가중치 설정부(215)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광고 상품이 드래그되면 상기 광고 상품에 대한 유효 노출로 반영하여 상기 광고 측정 요소에 대한 측정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삽입부(220)는 상기 대상 유알엘을 상기 광고 소재에 삽입한다. 일례로 삽입부(220)는 상기 생성된 대상 유알엘인 'http://m2.naver.com/check00812'을 광고 소재에 삽입한다. 일례로 삽입부(220)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광고에 대한 노출 측정하기 위한 대상 유알엘을 상기 광고 소재에 삽입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25)는 등록하고자 하는 각종 광고 정보, 상기 광고 측정 요소에 대한 각종 정보, 상기 광고 측정 요소에 대한 가중치 설정 정보 또는 상기 대상 유알엘 등 광고 노출 측정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기록하고 유지한다.
광고 측정 요소 분석부(230)는 측정 대상 광고를 집행한 후 상기 측정 대상 광고에 대한 광고 측정 요소를 분석한다. 즉, 상기 광고 측정 요소 분석부(230)는 상기 광고 상품에 대한 집행을 종료한 후 상기 설정된 광고 측정 요소에 따라 상기 광고 상품에 대한 효과를 분석한다.
측정 결과 제공부(240)는 상기 광고 상품에 대한 효과 분석 리포트를 제공한다. 즉, 측정 결과 제공부(240)는 상기 광고 상품에 대한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추출하여 효과 분석 리포트로서 상기 광고 상품을 등록한 광고주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광고에서 광고 측정 요소 삽입 및 광고 효과 분석 리포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광고 측정 요소 생성부(210)는 디스플레이 광고가 노출되기 전(310)에 상기 디스플레이 광고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광고 측정 요소를 생성하고(315), 상기 광고 측정 요소를 측정하기 위한 대상 유알엘(target URL)을 생성한다. 삽입부(220)는 상기 생성된 대상 유알엘을 상기 디스플레이 광고의 광고 소재에 삽입한다.
광고 측정 요소 분석부(230)는 상기 디스플레이 광고에 대한 노출이 시작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광고에 대한 상기 광고 측정 요소를 측정하고(325), 상기 측정된 광고 측정 요소를 로그 데이터베이스(330)에 기록한다.
로그 데이터베이스(330)는 상기 광고에 대한 광고소재의 다운로드 유무, 상기 광고에 대한 클릭(click) 유무, 상기 광고에 대한 마우스 오버(mouse over) 유 무, 상기 광고에 대한 드래그(drag) 유무, 유니크 방문자 유무, 로그인 사용자 유무, 상기 광고에 대한 재생 유무 또는 스마트 레이어 유무 등을 포함하는 광고 측정 요소를 측정한 결과에 따른 각종 데이터를 기록하고 유지할 수 있다.
측정 결과 제공부(240)는 상기 디스플레이 광고에 대한 광고가 노출이 종료되면, 로그 데이터베이스(330)에 기록된 광고 측정 요소를 분석한 결과로서 광고 효과 분석 리포트(340)를 상기 디스플레이 광고의 광고주에게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과 노출 측정 시스템(100)은 광고 소재의 특성에 따라 광고 측정 요소를 생성하고, 측정 대상 광고를 노출시킨 후 광고 측정 요소를 분석하여 광고 노출 효과를 상기 광고주에게 보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측정 방법의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단계(S610)에서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은 광고 소재의 특성에 따라 광고 측정 요소를 생성한다. 즉, 단계(S610)에서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광고 소재의 특성에 따라 광고 컨텐츠에 대한 로딩 주기, 광고 요구 체크, 동작 형태 또는 로그인 사용자 등을 체크하기 위한 광고 측정 요소를 생성한다. 일례로 단계(S610)에서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광고 소재의 다운로드 유무, 클릭 유무, 마우스 오버 유무, 드래그 유무, 유니크 방문자 유무, 로그인 사용자 유무, 동영상 재생 유무 또는 스마트 레이어 유무를 포함하는 광고 측정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단계(S610)에서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광고 측정 요소에 대한 측정 가중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S610)에서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은 광고 상품에 대한 유효 노출을 반영하여 상기 광고 측정 요소에 대한 측정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광고 상품이 드래그 확장형 배너 광고인 경우, 단계(S610)에서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광고 상품이 드래그되면 상기 광고 상품에 대한 유효 노출로 반영하여 상기 광고 측정 요소에 대한 측정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단계(S620)에서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광고 측정 요소를 측정하기 위한 대상 유알엘을 생성한다. 일례로 단계(S620)에서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광고 측정 요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http://m2.naver.com/check00812'와 같은 대상 유알엘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S630)에서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대상 유알엘을 상기 광고 소재에 삽입한다. 일례로 단계(S630)에서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생성된 대상 유알엘인 'http://m2.naver.com/check00812'을 상기 광고 소재에 삽입한다. 일례로 단계(S630)에서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광고에 대한 노출 측정하기 위한 대상 유알엘을 상기 광고 소재에 삽입할 수 있다.
단계(S640)에서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은 측정 대상 광고를 집행한다. 즉, 단계(S640)에서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측정 대상 광고를 집행하여 통신망(110)을 통해 연동된 사용자 단말기(120-1~120-n)로 상기 광고 상품에 대응되는 광고를 노출시킨다.
또한 단계(S640)에서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측정 대상 광고를 집행함에 따라 상기 측정 대상 광고에 대한 광고 측정 요소를 체크한다. 일례로 상기 측정 대상 광고로서 디스플레이 광고에 대한 노출이 시작되면, 단계(S640)에서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디스플레이 광고에 대한 상기 광고 측정 요소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광고 측정 요소를 데이터베이스(225)에 기록한다.
단계(S650)에서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측정 대상 광고에 대한 광고 측정 요소를 분석한다. 즉, 단계(S650)에서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광고 상품에 대한 집행을 종료한 후 데이터베이스(225)를 참조하여 상기 설정된 광고 측정 요소에 따라 상기 광고 상품에 대한 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
단계(S660)에서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광고 상품에 대한 효과 분석 리포트를 제공한다. 즉, 단계(S660)에서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광고 상품에 포함된 광고의 노출이 종료되면, 로그 데이터베이스(330)에 기록된 광고 측정 요소를 분석한 결과로서 광고 효과 분석 리포트를 상기 광고의 광고주에게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노출 측정 방법은 광고 소재의 특성에 따라 광고 측정 요소를 생성하고, 측정 대상 광고를 노출시킨 후 광고 측정 요소를 분석하여 노출된 광고의 효과를 상기 광고주에게 보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노출 측정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 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과 통신망을 통해 연동된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광고에서 광고 측정 요소 삽입 및 광고 효과 분석 리포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측정 요소의 속성 및 체크 상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노출 측정하기 위해 생성된 유알엘을 광고 소재에 삽입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측정 방법의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
110: 통신망
120-1~120-n: 사용자 단말기
210: 광고 측정 요소 생성부
215: 가중치 설정부
220: 삽입부
225: 데이터베이스
230: 광고 측정 요소 분석부
240: 측정 결과 제공부

Claims (20)

  1. 광고 측정 요소 생성부, 광고 측정 요소 분석부 및 삽입부를 포함하는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에서의 광고 노출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고 측정 요소 생성부가 디스플레이 광고가 노출되기 전에 상기 디스플레이 광고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광고 소재의 특성에 따라 광고 측정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 측정 요소 분석부가 측정 대상 광고를 집행한 후 상기 측정 대상 광고에 대한 광고 측정 요소를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측정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 측정 요소 생성부가 상기 광고 측정 요소를 측정하기 위한 대상 유알엘을 생성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대상 유알엘을 상기 디스플레이 광고의 광고 소재에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고 측정 요소 생성부가 상기 광고 소재의 특성에 따라 광고 컨텐츠에 대한 로딩 주기, 광고 요구 체크, 동작 형태 또는 로그인 사용자를 체크하기 위한 광고 측정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노출 측정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측정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 측정 요소 생성부가 상기 광고 소재의 다운로드 유무, 클릭 유무, 마우스 오버 유무, 드래그 유무, 유니크 방문자 유무, 로그인 사용자 유무, 동영상 재생 유무 또는 스마트 레이어 유무를 포함하는 광고 측정 요소를 생성하는 광고 노출 측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은 가중치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중치 설정부가 상기 광고 측정 요소에 대한 측정 가중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광고 노출 측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측정 요소에 대한 측정 가중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중치 설정부가 광고 상품에 대한 유효 노출을 반영하여 상기 광고 측정 요소에 대한 측정 가중치를 설정하는 광고 노출 측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요소에 대한 측정 가중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중치 설정부가 상기 광고 상품이 드래그 확장형 배너 광고인 경우 사용자에 의해 상기 광고 상품이 드래그되면 상기 광고 상품에 대한 유효 노출로 반영하여 상기 광고 측정 요소에 대한 측정 가중치를 설정하는 광고 노출 측정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은 결과 리포트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고 측정 요소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 측정 요소 분석부가 광고 상품에 대한 집행을 종료한 후 상기 광고 측정 요소에 따라 상기 광고 상품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고,
    상기 결과 리포트 제공부가 상기 광고 상품에 대한 효과 분석 리포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광고 노출 측정 방법.
  10. 제1항,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1. 광고 소재의 특성에 따라 디스플레이 광고가 노출되기 전에 상기 디스플레이 광고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광고 측정 요소를 생성하는 광고 측정 요소 생성부; 및
    측정 대상 광고를 집행한 후 상기 측정 대상 광고에 대한 광고 측정 요소를 분석하는 광고 측정 요소 분석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측정 요소 생성부는,
    상기 광고 측정 요소를 측정하기 위한 대상 유알엘을 생성하고,
    상기 대상 유알엘을 상기 디스플레이 광고의 광고 소재에 삽입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고 소재의 특성에 따라 광고 컨텐츠에 대한 로딩 주기, 광고 요구 체크, 동작 형태 또는 로그인 사용자를 체크하기 위한 광고 측정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측정 요소 생성부는,
    상기 광고 소재의 다운로드 유무, 클릭 유무, 마우스 오버 유무, 드래그 유무, 유니크 방문자 유무, 로그인 사용자 유무, 동영상 재생 유무 또는 스마트 레이어 유무를 포함하는 광고 측정 요소를 생성하는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측정 요소에 대한 측정 가중치를 설정하는 가중치 설정부를 더 포 함하는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 설정부는,
    광고 상품에 대한 유효 노출을 반영하여 상기 광고 측정 요소에 대한 측정 가중치를 설정하는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 설정부는,
    상기 광고 상품이 드래그 확장형 배너 광고인 경우 사용자에 의해 상기 광고 상품이 드래그되면 상기 광고 상품에 대한 유효 노출로 반영하여 상기 광고 측정 요소에 대한 측정 가중치를 설정하는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측정 요소 분석부는,
    광고 상품에 대한 집행을 종료한 후 상기 광고 측정 요소에 따라 상기 광고 상품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는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상품에 대한 효과 분석 리포트를 제공하는 측정 결과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광고 노출 측정 시스템.
KR1020080051247A 2008-05-30 2008-05-30 광고 노출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101019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247A KR101019326B1 (ko) 2008-05-30 2008-05-30 광고 노출 측정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247A KR101019326B1 (ko) 2008-05-30 2008-05-30 광고 노출 측정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827A KR20090124827A (ko) 2009-12-03
KR101019326B1 true KR101019326B1 (ko) 2011-03-07

Family

ID=41686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247A KR101019326B1 (ko) 2008-05-30 2008-05-30 광고 노출 측정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93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3307B1 (ko) * 2017-04-26 2018-10-30 주식회사 애드오피 광고 서비스의 미디에이션 최적화 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73378A1 (en) * 2011-09-19 2013-03-21 Microsoft Corporation Social media campaign metrics
CN113721803B (zh) * 2021-08-18 2023-07-1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数据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827A (ko) * 2003-04-14 2003-06-02 이수창 온라인 광고효과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94554A (ko) * 2003-05-03 2004-11-10 정원종 검색 키워드별 포인트 부여 방식의 검색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827A (ko) * 2003-04-14 2003-06-02 이수창 온라인 광고효과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94554A (ko) * 2003-05-03 2004-11-10 정원종 검색 키워드별 포인트 부여 방식의 검색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3307B1 (ko) * 2017-04-26 2018-10-30 주식회사 애드오피 광고 서비스의 미디에이션 최적화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827A (ko)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51351B2 (ja) コンテンツレンダリング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US10891632B2 (en) Online ad detection and ad campaign analysis
TWI486891B (zh) Implementation Method and Device of Network Advertisement Effect Monitoring
JP5562328B2 (ja) インターネットベースの広告の自動監視および照合
Dreze et al. Testing web site design and promotional content
KR100819703B1 (ko) 온라인 광고 효과 측정 시스템 및 방법
US201102827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nd implementing an internet advertising campaign
US20100094860A1 (en) Indexing online advertisements
US201101967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effectiveness of electronically presented advertizing
KR101019326B1 (ko) 광고 노출 측정 방법 및 시스템
US2015021348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ducting ad research
KR20130039179A (ko) 온라인 쇼핑몰 기반의 타겟 광고 제공 시스템, 그의 타겟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Frhan Website clickstream data visualization using improved Markov chain modelling in apache flume
US9787786B1 (en) Determining device counts
KR101001820B1 (ko) 전환 정보를 이용한 부정 클릭 모니터 방법 및 상기 방법을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1016536B1 (ko) 광고 소재 분석 방법 및 시스템
KR101498792B1 (ko) 광고 부정 클릭 매체의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0995970B1 (ko) 온라인 광고의 광고 효과에 따른 광고비용 결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042429B1 (ko) 구좌제 영역을 이용한 소재 타겟팅 광고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90754A (ko)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하는 부정클릭 차단 및 광고 효과의 측정 시스템
KR20090046330A (ko) 광고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광고 모니터링장치와 기록매체
KR20100062133A (ko) 오픈 소스의 배포를 통한 맞춤형 광고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41742A (ko) Ucc 기반 광고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AU2013205416A1 (en) Online content campaign class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