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7630B1 - 마찰용접용 유압척 구조 - Google Patents

마찰용접용 유압척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7630B1
KR101017630B1 KR1020090028123A KR20090028123A KR101017630B1 KR 101017630 B1 KR101017630 B1 KR 101017630B1 KR 1020090028123 A KR1020090028123 A KR 1020090028123A KR 20090028123 A KR20090028123 A KR 20090028123A KR 101017630 B1 KR101017630 B1 KR 101017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ydraulic
chuck
chuck bod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9715A (ko
Inventor
김성윤
Original Assignee
유진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진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진테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8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630B1/ko
Publication of KR20100109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 B23K20/12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using a non-consumable tool, e.g. friction stir welding
    • B23K20/1245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using a non-consumable tool, e.g. friction stir welding characterised by the apparatus
    • B23K20/126Workpiece support, i.e. backing or cl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26Auxiliary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찰용접용 유압척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그 목적으로는 유압척에 접시스프링을 설치하여 조오부재의 공작물 파지력을 10-150 ton 범위로 제공함으로써, 유압척의 작동 구조 단순화 및 공작물의 파지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면서 유압장치의 소형화를 함께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샤프트(60)를 통하여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58); 상기 샤프트(60) 선단부에 고정 결합 되면서 공작물(2)이 삽입되는 결합공(8)을 형성한 척바디(6); 상기 척바디(6) 외주에 미끄럼 결합 되고, 전면을 개방 형성하면서 후벽(34)을 형성하는 원통형 하우징(30); 상기 척바디(6)에 설치되면서 후벽(34)을 밀어 하우징(30)에 대해 후진 작용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0); 상기 하우징(30)으로부터 분리 설치되면서 하우징(30)에 대해 전진 작용력을 제공하는 푸시부재(72); 상기 척바디(6)에 미끄럼 결합 되고 후벽(34)에 고정 결합 되면서 전,후진하는 하우징(30)에 의해 클램프 상태 또는 언클램프 상태가 되는 조오부재(14);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압척, 유압실린더, 조오, 유압장치, 모터

Description

마찰용접용 유압척 구조{Hydraulic chuck construction for priction welding}
본 발명은 마찰용접용 유압척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유압척에 접시스프링을 설치하여 조오부재의 공작물 파지력을 10-150 ton 범위로 제공함으로써, 유압척의 작동구조 단순화 및 공작물의 파지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면서 유압장치의 소형화를 함께 실현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유압척에 대한 작동력을 회전실린더가 아닌 일반 유압실린더로 제공함으로써 유지 및 보수의 편리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도록 한 마찰용접용 유압척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찰용접기계에는 공작물을 용접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작물 고정용 척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척의 경우 일반 마찰용접기에서는 보통 유압을 이용하여 파지하게 되고, 특히 유압척의 경우 대형 공작물을 파지할 때 마찰용접시 마찰력에 의한 큰 토오크로 인해 공작물이 미끄러지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매우 큰 클램프력이 필요하게 되며 유압장치도 함께 비례하여 대형화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유압척은 공작물의 파지력 향상과 유압장치의 소형화를 위한 개선책, 그리고 유압척의 파지력을 향상시키면서 유지 및 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의 개선책을 필요로 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인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402498호 "조우 유격방지 구조를 갖는 유압척"을 도 1a, 1b, 1c에서 살펴보면, 먼저 유압척(1)에는 드로우바(2a)를 결합한 유압실린더(2)와 유압유니트(3)가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유압척(1)을 구성하는 척하우징(10)은 중앙에 관통된 공작물삽입구멍(11)을 형성하면서 구성되고, 상기 척하우징(10)의 전면에는 3개의 조우가이드홈(12)이 동일한 각도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조우가이드홈(12)에는 조우부재(20)가 후미에 이동경사돌기(21)를 형성하면서 각각 미끄럼 결합 된다.
또한, 상기 척하우징(10)의 공작물삽입구멍(11) 후미에는 웨지플런저(30)가 미끄럼 결합 되고, 상기 웨지플런저(30)의 외주에 3개의 경사진 조우결합홈(31)을 동일한 각도로 분할하여 형성하며, 상기 각각의 조우결합홈(31)에는 조우부재(20)의 이동경사돌기(21)가 미끄럼 결합 된다.
상기 웨지플런저(30)는 드로우바(2a)에 연결되어 전,후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기술을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유압척(1)에 공작물을 클램프하기 위해 유압유니트(3)에서 언클램프 상태의 작동 명령을 전달하면, 상기 유압실린더(2)는 작용력을 전달하여 드로우바(2a)를 통하여 선단부에 연결된 웨지플런저(30)를 전진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웨지플런저(30)는 공작물삽입구멍(11) 내에서 전진하여 상기 조우결합홈(31)에 결합된 이동경사돌기(21)를 조우부재(20)와 함께 척하우징(10) 외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로 인해 공작물을 삽입할 수 있도록 개방된 상태가 된다.
상기 이후로, 공작물을 공작물삽입구멍(11)에 삽입한 다음 유압유니트(3)에서 작동명령을 재차 전달하여 상기 유압실린더(2)가 드로우바(2a)를 후진시키게 하면, 상기 웨지플런저(30)는 공작물삽입구멍(11) 내에서 후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우결합홈(31)에 결합된 이동경사돌기(21)를 조우부재(20)와 함께 척하우징(10)의 내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로 인해 조우부재(20)는 공작물을 가압 고정하여 클램프 상태가 되게 한다.
상기 이후로, 유압유니트(3)에서 유압실린더(2)에 작동명령을 전달하여 드로우바(2a)를 통해 회전동력을 전달하면 척하우징(10)과 공작물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유압실린더(2)를 통하여 유압척(1)에서 공작물을 파지하게 됨으로, 대형 공작물을 파지하게 될 경우 유압척(1)의 파지력도 비례하여 증가해야 하는 관계로 유압유니트(3)가 대형화되는 문제점을 지닌다.
다른 문제점으로는, 유압실린더(2)에 의한 유압척(1)의 공작물 파지 방식은 작동방식이 복잡하고, 또한 매우 큰 파지력을 필요로 할 때 대형으로 제작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유압실린더(2)의 복잡한 구조로 인해 유지 및 보수에 있어서 불편함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째, 유압척에 접시스프링을 설치하여 조오부재의 공작물 파지력을 10-150 ton 범위로 제공함으로써, 유압척의 작동구조 단순화 및 공작물의 파지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면서 유압장치의 소형화를 함께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둘째, 유압척에 대한 작동력을 회전실린더가 아닌 일반 유압실린더로 제공함으로써 유지 및 보수의 편리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샤프트(60)를 통하여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58);
상기 샤프트(60) 선단부에 고정 결합 되면서 공작물(2)이 삽입되는 결합공(8)을 형성한 척바디(6);
상기 척바디(6) 외주에 미끄럼 결합 되고, 전면을 개방 형성하면서 후벽(34)을 형성하는 원통형 하우징(30);
상기 척바디(6)에 설치되면서 후벽(34)을 밀어 하우징(30)에 대해 후진 작용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0);
상기 하우징(30)으로부터 분리 설치되면서 하우징(30)에 대해 전진 작용력을 제공하는 푸시부재(72);
상기 척바디(6)에 미끄럼 결합 되고 후벽(34)에 고정 결합 되면서 전,후진하 는 하우징(30)에 의해 클램프 상태 또는 언클램프 상태가 되는 조오부재(14);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오부재(14)는, 저면 앞 측에 홈(16)을 형성하는 무브매스(18)와, 상기 무브매스(18) 전면에 위치하면서 저면에 경사키이(20)를 형성하는 어저스터매스(22)와, 상기 어저스터매스(22)와 무브매스(18)를 순차적으로 관통 결합하면서 하우징(30)의 후벽(34)에 체결되는 나사(24)와, 상기 경사키이(20)가 미끄럼 결합 되는 경사홈(26)을 상단부에 형성하면서 공작물(2)을 고정하는 마스터조오(28)로 이루어지고,
상기 척바디(6)의 전면에는 마스터조오(28)가 미끄럼 결합 되는 안내홈(10) 3개가 동일한 각도로 분할 배치 되면서 결합공(8)에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안내홈(10)에는 무브매스(18)와 어저스터매스(22)가 미끄럼 결합 되는 슬라이드홈(12)이 연결되면서 척바디(6)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50)는 접시스프링(52) 또는 코일스프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척바디(6)에 안내공(48) 다수개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안내공(48)에는 접시스프링(52) 다수개가 봉(54)으로 끼워져 결합 되며, 상기 척바디(6)의 전면에는 커버(44)가 메인나사(46)로 결합 되고, 상기 메인나사(46)는 척바디(6)를 관통하여 샤프트(60)의 선단부에 체결되며, 상기 접시스프링(52)은 커버(44)와 하우징(30)의 후벽(34)에 각각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시부재(72)는 샤프트(60)에 결합 되어 회전하면서 하우징(30) 에 대해 전진 작용력을 전달하는 유압실린더(74)로 구성되고, 상기 유압실린더(74)에는 유압장치(56)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압척(4)에 접시스프링(52)을 설치하여 조오부재(14)의 공작물(2) 파지력을 10-150 ton 범위로 제공하게 됨으로, 유압척(4)의 작동구조 단순화 및 공작물(2)의 파지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면서 유압장치(56)의 소형화를 함께 실현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유압척(4)에 대한 작동력을 회전실린더가 아닌 일반 유압실린더(74)로 제공하게 됨으로, 유지 및 보수에 있어서 구조의 단순화로 인한 편리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2 내지 도 6 에서 살펴 보면, 먼저 공작물(2)(도2참조)을 파지하는 유압척(4)에는 원기둥 형태를 한 척바디(6)(도3참조)가 구성되는데, 상기 척바디(6)의 중앙에는 공작물(2)이 삽,탈 되는 결합공(8)이 관통 형성되고, 척바디(6)의 전면에는 3개의 안내홈(10)이 동일한 각도로 분할되면서 결합공(8)에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안내홈(10)에는 슬라이드홈(12)이 연결되면서 척바디(6)의 외주 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척바디(6)의 길이는 파지 되는 공작물(2)의 길이 보다 적당히 길게 하면 무방하다.
상기 안내홈(10)과 슬라이드홈(12)에 걸쳐서는 공작물(2)을 파지하는 조오부재(14)가 설치되는데, 상기 조오부재(14)(도5참조)에는 저면 앞 측에 홈(16)을 형성한 무브매스(move mass)(18)와, 상기 무브매스(18) 전면에 위치하면서 기울어진 경사키이(20)를 저면에 형성하는 어저스터매스(adjuster mass)(22)와, 상기 어저스터매스(22) 및 무브매스(18)를 순차적으로 관통 결합하는 나사(24)와, 상기 경사키이(20)가 미끄럼 결합 되는 기울어진 경사홈(26)을 상단부에 형성하면서 공작물(2)을 가압 고정하는 마스터조오(master jaw)(28)로 이루어진다.
상기 척바디(6)(도3참조)의 외주에는 전,후진하는 하우징(30)이 원통 모양의 슬리브(32)를 형성하면서 결합 되는데, 상기 슬리브(32)의 전면은 개방 형성되고, 슬리브(32)의 후미에는 후벽(34)을 형성하면서 중앙에 관통된 결합공(36)(도4참조)을 형성하며, 또한 상기 하우징(30)의 외주면 가운데에는 칼라(38)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후벽(34)에는 조오부재(14)의 무브매스(18)와 어저스터매스(22)를 결합한 나사(24)가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조오부재(14)가 하우징(30)의 후벽(34)에 고정된 상태에서 하우징(30)이 전,후진할 때, 상기 조오부재(14)의 무브매스(18)와 어저스터매스(22)는 척바디(6)의 슬라이드홈(12)을 따라 전,후진하고, 마스터조오(28)는 척바디(6)의 안내홈(10)을 따라 전,후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하우징(30)의 결합공(36)에는 하우징(30)을 지지하는 커넥터플렌지(40)가 삽,탈 가능하게 결합 되는데, 이때 상기 커넥터플렌지(40)의 전면에는 단턱을 갖는 돌출부(42)를 형성하여 전,후진하는 하우징(30)의 결합공(36)과 삽,탈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 척바디(6)의 전면에는 원판 모양의 커버(44)가 위치하면서 다수개의 메인나사(46)로 결합 되고, 상기 메인나사(46)는 척바디(6)를 관통하면서 커넥터플렌지(40)에 결합 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나사(46)에 의해 커버(44)와 커넥터플렌지(40)는 척바디(6)의 전,후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30)은 척바디(6) 외주에서 전,후로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 척바디(6)(도3참조)에는 안내공(48) 다수 개가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안내공(48)에는 후벽(34)을 밀어 하우징(30)에 대해 후진 작용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0)가 설치되는데, 상기 탄성부재(50)는 접시스프링(52) 또는 코일스프링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50)는 척바디(6)에 결합하여 설치할 수 있고, 척바디(6)와 하우징(30)의 후벽 사이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접시스프링(52)은 봉(54)에 다수 개가 끼워져 각각의 안내공(48)에 삽입되며, 상기 접시스프링(52)은 안내공(48)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일부는 커버(44)에 밀착하고, 일부는 후벽(34)에 밀착하여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30)은 전진 작용력이 없는 한 접시스프링(52)의 탄성력에 의해 후진하여 커넥터플렌지(40)와 결합하고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유압척(4)을 통하여 대형 공작물(2)을 파지하게 될 경우 조오부재(14)에 대해 큰 클램프 작용력을 요구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와 같은 접시스프링(52)을 적용하면 10-150 ton의 파지력을 조오부재(14)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접시스프링(52)(도3참조)을 통하여 대형 공작물(2)(도2참조)의 파지력을 제공하게 되면 유압장치(56)를 소형화할 수 있고, 상기와는 달리 기존의 유압장치(56)(도2참조)를 통하여 대형 공작물(2)을 파지하게 될 경우에는 유압장치(56)의 대형화가 요구된다.
계속하여, 상기 커넥터플렌지(40)에는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제공부(58)가 연결되는데, 상기 동력제공부(58)에는 척바디(6)(도4참조)와 커넥터플렌지(40)를 관통 결합한 메인나사(46)를 선단부에 체결하는 샤프트(60)(도2참조)가 구성되고, 상기 샤프트(60)는 유압척(4)을 외부에 배치하면서 바디(62) 내부에 베어링(64)으로 결합 되며, 상기 샤프트(60) 후미에는 풀리(66)가 바디(62) 외부에 위치하면서 결합 되고, 상기 풀리(66)에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68)가 벨트(70)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30) 외부에는 하우징(30)에 대해 전,후진 작용력을 제공하는 푸시부재(push member)(72)가 분리 설치되고, 상기 푸시부재(72)에는 작용력을 제공하는 유압장치(56)가 연결된다.
상기 푸시부재(72)는 바디(62) 외부에 위치하면서 샤프트(60)에 결합 되는 일반적인 유압실린더(74)로 구성되는데, 상기 유압실린더(74)에는 전,후진하는 로드(76) 다수개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로드(76)는 칼라(38)의 배면에 접하여 하우징(30)에 대해 전진 작용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유압실린더(74)에는 일반적 유압장치(56)를 구성하는 방향제어밸브(77), 오일펌프(78)가 순차적으로 연결되면서 제어부(80)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80)에는 모터(68)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작물(2)(도2참조)을 유압척(4)에서 파지할 수 있도록 제어부(80)를 통하여 작동명령을 전달하면 유압장치(56)는 작용력을 제공하게 되는데, 따라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74)의 로드(76)가 전진하여 칼라(38)를 밀어냄으로써 하우징(30)이 축 방향으로 전진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30)에 제공된 전진 작용력에 의해 슬리브(32)는 척바디(6)의 외주면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하우징(30)의 후벽은 커넥터플렌지(40)의 돌출부(42)로부터 결합공(36)을 분리하면서 전진하게 되며, 또한 상기 후벽(34)은 접시스프링(52)을 가압하면서 전진하게 되고, 상기 후벽(34)에 나사(24)로 결합된 무브매스(18)와 어저스터매스(22)는 함께 안내홈(10)을 따라 수평으로 전진하게 된다.
상기 조오부재(14)를 구성하는 어저스터매스(22)의 경사키이(20)는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마스터조오(28)의 경사홈(26)에서 미끄럼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경사키이(20)와 경사홈(26)은 상호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되면서 미끄럼 결합되어 있는 관계로, 상기 경사키이(20)의 전진 거리에 비례하여 경사홈(26)은 미끄럼 이동하면서 마스터조오(28)와 함께 안내홈(10)을 따라 척바디(6)의 외측으로 후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마스터조오(28)의 선단부는 결합공(8)으로 부터 이격하게 되고, 후미의 일부는 무브매스(18)의 홈(16)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압실린더(74)의 로드(76)에 의한 하우징(30)의 전진이 종료되면, 상기 하우징(30)의 후벽(34)은 커넥터플렌지(40)로부터 이탈하여 척바디(6)의 배면에 밀착하여 있게 되며, 접시스프링(52)은 가압된 상태가 된다.
상기 이후로, 작업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작물(2)을 척바디(6)의 결합공(8)에 삽입한 다음,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장치(56)(도2참조)의 제어부(80)를 통하여 유압실린더(74)의 로드(76)를 후진시켜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면, 상기 하우징(30)의 칼라(38)에 제공하였던 전진 작용력이 해지된다.
따라서, 가압 되었던 접시스프링(52)(도7c참조)은 반발하면서 커버(44)를 지지점으로 하여 하우징(30)의 후벽(34)을 밀어냄으로써 하우징(30)을 후진시키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하우징(30)의 칼라(38)는 후진하는 로드(76)의 선단부에 접한 상태에서 함께 후진하게 되고, 상기 하우징(30)의 슬리브(32)는 척바디(6)의 외주면을 따라 후방으로 미끄럼 이동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하우징(30)의 후벽(34)은 척바디(6)의 배면으로부터 이격하여 커넥터플렌지(40)에 도달하면서 결합공(36)이 돌출부(42)와 결합하게 된다.
결국 상기 하우징(30)은 커넥터플렌지(40)에 도달하면서 정지하게 되고, 동시에 후진하여 정지해 있는 유압실린더(74)의 로드(76) 선단부가 칼라(38)에 접하여 있게 되는 관계로, 상기 하우징(30)은 접시스프링(52)의 반발력 영향을 받으면서 정지하여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후벽(34)에 나사(24)로 결합된 무브매스(18)와 어저스터매스(22)는 후진하는 하우징(30)에 의해 슬라이드홈(12)을 따라 수평으로 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오부재(14)를 구성하는 어저스터매스(22)의 경사키이(20)는 전술한 바와는 반대로 수평으로 후진 이동하면서 미끄럼 결합된 마스터조오(28)의 경사홈(26)에서 미끄럼 이동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경사키이(20)가 후진한 거리에 비례하여 경사홈(26)은 미끄럼 이동하면서 마스터조오(28)와 함께 안내홈(10)을 따라 척바디(6)의 결합공(8) 측으로 전진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마스터조오(28)의 후미 일부는 무브매스(18)의 홈(16)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따라서,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터조오(28)의 선단부가 결합공(8)에 삽입된 공작물(2)의 외주면을 가압하며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압척(4)에 공작물(2)을 파지하는 작업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80)(도2참조)는 유압장치(56)의 작동을 중지시키면서 공작물(2)이 유압척(4)에 견고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후로, 제어부(80)는 모터(68)에 작동명령을 전달하여 회전동력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러한 회전동력은 벨트(70)를 통하여 풀리(66)와 샤프트(60)에 전달되고, 상기 샤프트(60)는 선단부에 순차적으로 결합된 커넥터플렌지(40), 척바디(6), 커버(44), 공작물(2) 및 하우징(30) 등을 동시에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작물(2)은 회전하면서 마찰용접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 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a, 1b, 1c 는 종래의 기술인 유압척을 나타낸 상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척의 실시 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척의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척의 부분 분리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척의 조오부재 분리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척의 결합 단면도.
도 7a 내지 7d 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척의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공작물 4:유압척
6:척바디 8:결합공
10:안내홈 12:슬라이드홈
14:조오부재 16:홈
18:무브매스 20:경사키이
22:어저스터매스 24:나사
26:경사홈 28:마스터조오
30:하우징 32:슬리브
34:후벽 36:결합공
38:칼라 40:커넥터플렌지
42:돌출부 44:커버
46:메인나사 48:안내공
50:탄성부재 52:접시스프링
54:봉 56:유압장치
58:동력제공부 60:샤프트
62:바디 64:베어링
66:풀리 68:모터
70:벨트 72:푸시부재
74:유압실린더 76:로드
77:방향제어밸브 78:오일펌프
80:제어부

Claims (10)

  1. 샤프트(60)를 통하여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58);
    상기 샤프트(60) 선단부에 고정 결합 되면서 공작물(2)이 삽입되는 결합공(8)을 형성한 척바디(6);
    상기 척바디(6) 외주에 미끄럼 결합 되고, 전면을 개방 형성하면서 후벽(34)을 형성하는 원통형 하우징(30);
    상기 척바디(6)에 설치되면서 후벽(34)을 밀어 하우징(30)에 대해 후진 작용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0);
    상기 하우징(30)으로부터 분리 설치되면서 하우징(30)에 대해 전진 작용력을 제공하는 푸시부재(72);
    상기 척바디(6)에 미끄럼 결합 되면서 후벽(34)에 결합 되고 전,후진하는 하우징(30)에 의해 클램프 상태 또는 언클램프 상태가 되는 조오부재(14);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용접용 유압척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오부재(14)는,
    저면 앞 측에 홈(16)을 형성하는 무브매스(18)와,
    상기 무브매스(18) 전면에 위치하면서 저면에 경사키이(20)를 형성하는 어저스터매스(22)와,
    상기 어저스터매스(22)와 무브매스(18)를 순차적으로 관통 결합하면서 하우징(30)의 후벽(34)에 체결되는 나사(24)와,
    상기 경사키이(20)가 미끄럼 결합 되는 경사홈(26)을 상단부에 형성하면서 공작물(2)을 고정하는 마스터조오(28)로 이루어지고,
    상기 척바디(6)의 전면에는 마스터조오(28)가 미끄럼 결합 되는 안내홈(10) 3개가 동일한 각도로 분할 배치 되면서 결합공(8)에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안내홈(10)에는 무브매스(18)와 어저스터매스(22)가 미끄럼 결합 되는 슬라이드홈(12)이 연결되면서 척바디(6)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마찰용접용 유압척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50)는 접시스프링(52) 또는 코일스프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용접용 유압척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척바디(6)에 안내공(48) 다수개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안내공(48)에는 접시스프링(52) 다수개가 봉(54)으로 끼워져 삽입되며,
    상기 척바디(6)의 전면에는 커버(44)가 메인나사(46)로 결합 되고,
    상기 메인나사(46)는 척바디(6)를 관통하여 샤프트(60)의 선단부에 체결되 며,
    상기 접시스프링(52)은 커버(44)와 하우징(30)의 후벽(34)에 각각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마찰용접용 유압척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재(72)는 샤프트(60)에 결합 되어 회전하면서 하우징(30)에 대해 전진 작용력을 전달하는 유압실린더(74)로 구성되고, 상기 유압실린더(74)에는 유압장치(56)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마찰용접용 유압척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의 외주면에 칼라(38)가 형성되고,
    상기 칼라(38)에는 유압실린더(74)를 구성하는 로드(76) 선단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마찰용접용 유압척 구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60)와 척바디(6) 사이에는 하우징(30)을 지지하는 커넥터플렌지(40)가 위치하면서 메인나사(46)와 결합하고, 상기 커넥터플렌지(40)는 전면에 돌출부(42)를 형성하여 하우징(30)의 후벽(34)에 형성된 결합공(36)과 삽,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마찰용접용 유압척 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제공부(58)에는,
    샤프트(60)를 베어링(64)으로 결합하면서 척바디(6)를 외부에 배치한 바디(62)가 구성되고,
    상기 샤프트(60) 후미는 풀리(66)를 결합하여 벨트(70)로 모터(68)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마찰용접용 유압척 구조.
  9. 동력제공부(58)에 의해 회전하는 샤프트(60)가 선단부에 척바디(6)를 결합하고, 상기 척바디(6)는 중앙에 공작물이 삽입되는 결합공(8)을 관통 형성하면서 3개의 조오부재(14)를 결합하는 것으로 된 마찰용접용 유압척 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8) 외측으로 다수개의 안내공(48)을 척바디(6)에 관통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안내공(48) 내부에는 하나의 봉(54)이 다수개의 접시스프링(52)을 결합하여 삽입되며,
    상기 척바디(6)의 전면으로는 안내공(48) 앞 측을 폐쇠시키는 커버(44)를 결합함으로써 접시스프링(52)의 일부가 가압력 작용 여부에 따라 안내공(48) 후방에서 내,외부로 유동되게 하고,
    상기 척바디(6) 외주에는 전면을 개방 형성하면서 접시스프링(52)이 접하는 후벽(34)이 형성된 하우징(30)을 미끄럼 결합하며,
    상기 하우징(30) 후방에는 하우징(30)에 대해 전진 작용력을 제공하는 푸시부재(72)가 분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마찰용접용 유압척 구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재(72)가 온 되어 하우징(30)을 전진시키면, 하우징(30)은 접시스프링(52)을 압축하여 안내공(48) 내부로 진입시키면서 조오부재(14)를 언클램프 상태로 동작시키고,
    상기 푸시부재(72)가 오프되면, 접시스프링(52)이 반발하여 일부가 안내공(48) 외부로 돌출하면서 하우징(30)을 밀어 후진시킴으로써, 하우징(30)이 조오부재(14)를 클램프 상태로 동작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용접용 유압척 구조.
KR1020090028123A 2009-04-01 2009-04-01 마찰용접용 유압척 구조 KR101017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123A KR101017630B1 (ko) 2009-04-01 2009-04-01 마찰용접용 유압척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123A KR101017630B1 (ko) 2009-04-01 2009-04-01 마찰용접용 유압척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715A KR20100109715A (ko) 2010-10-11
KR101017630B1 true KR101017630B1 (ko) 2011-03-04

Family

ID=43130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123A KR101017630B1 (ko) 2009-04-01 2009-04-01 마찰용접용 유압척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6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71039A (zh) * 2016-08-30 2017-01-04 重庆德蚨乐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锥套、径向摩擦焊夹具以及摩擦焊机
IT201900009705A1 (it) * 2019-06-21 2020-12-21 Unilock Di Umberto Crosti E C S A S Mandrino con dispositivo riduttore della forza di chiusura esercitata dalla macchina utensile su cui è montat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2019A (en) 1974-05-24 1976-11-16 Canadian Mine Services Ltd. Drill head with locking chuck
KR200402498Y1 (ko) 2005-09-23 2005-12-01 주식회사 삼천리기계 조우 유격 방지 구조를 갖는 유압척
KR200405531Y1 (ko) 2005-10-25 2006-01-10 주식회사 삼천리기계 눈금 표시가 된 유압 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2019A (en) 1974-05-24 1976-11-16 Canadian Mine Services Ltd. Drill head with locking chuck
KR200402498Y1 (ko) 2005-09-23 2005-12-01 주식회사 삼천리기계 조우 유격 방지 구조를 갖는 유압척
KR200405531Y1 (ko) 2005-10-25 2006-01-10 주식회사 삼천리기계 눈금 표시가 된 유압 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715A (ko) 2010-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5619B2 (en) Tool
JP4774406B2 (ja) クランプ装置
JP4664383B2 (ja) クランプ装置
US10780482B2 (en) Tube-propelling apparatus for tube bending machine
KR101948786B1 (ko) 두께가 얇은 파이프 고정용 유압 척
US8496255B2 (en) Clamping beam
JP6615372B2 (ja) チャック
US8678262B2 (en) Quick-clamping mechanism for electric hammer
JP2007268625A (ja) クランプ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マシニング装置
US5251887A (en) Machine vise for clamping a workpiece
US20180354042A1 (en) Clamp device
KR101849491B1 (ko) 기울어진 프레어 헤드를 갖는 전동식 파이프 사라기
JP3707050B2 (ja) クランプ装置
KR100641874B1 (ko) 소프트조우 퀵 체인지 척
KR101017630B1 (ko) 마찰용접용 유압척 구조
CN102699839B (zh) 快速开合台钳及快速滑移和咬合部件
CN110465821B (zh) 快速换刀的方法
KR101131456B1 (ko) 툴 클램핑 장치
CN215747343U (zh) 焊头快换结构及焊接机器人
KR102069721B1 (ko) 공작기계의 전기 구동 시스템
EP3750653B1 (en) Clamping decvice for tool holder
JP2011255460A (ja) 工作機械
WO2021122220A1 (en) Clamping device for tool holder
CN102765003A (zh) 用于轴类零件的夹持结构
JP2002263922A (ja) 主軸の加工物押出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