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7417B1 - 도어락용 모티스 - Google Patents

도어락용 모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7417B1
KR101017417B1 KR1020100137400A KR20100137400A KR101017417B1 KR 101017417 B1 KR101017417 B1 KR 101017417B1 KR 1020100137400 A KR1020100137400 A KR 1020100137400A KR 20100137400 A KR20100137400 A KR 20100137400A KR 101017417 B1 KR101017417 B1 KR 101017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latch
locking
handl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7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청 장
Original Assignee
청 장
주식회사 수퍼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 장, 주식회사 수퍼락 filed Critical 청 장
Priority to KR1020100137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4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05B47/026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the bolt moving rectilinear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05B2047/0069Monitoring bolt pos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건물의 도어에 설치되어 실내외로 출입을 통제하는 기능의 도어락용 모티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모티스는, 하우징, 및 이를 밀폐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하우징 내에 전,후로 직선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랫치볼트 및 오토볼트와; 상기 랫치볼트의 후단에 설치 고정되며, 랫치볼트의 직선이송작용에 따라 동일방향으로 직선이송되는 랫치고정브라켓과; 상기 랫치고정브라켓의 상,하단에 결착 고정되는 랫치작동브라켓과; 상기 랫치고정브라켓의 후방(後方)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우징의 손잡이걸쇠홈을 통해 끼움 결합되는 손잡이걸쇠와 대응 결합됨과 동시에 손잡이의 회전 시 손잡이걸쇠가 공회전되는 주회동캠과; 상기 주회동캠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며, 손잡이걸쇠와 대응 결합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따라 회동 연동되는 링크바 타단의 회동결속바에 의해 주회동캠과 함께 결속되어 손잡이의 회전 시 손잡이걸쇠의 회동작용에 의해 주회동캠과 함께 동일방향으로 회동되는 락킹해정캠과; 상기 랫치작동브라켓과 주회동캠 사이에 연결 설치되며, 전원 인가에 따른 솔레노이드의 작동 시 상기 회동결속바가 솔레노이드의 로드 일단에 힌지 결합된 회동가압캠에 의해 주회동캠 및 락킹해정캠의 일측에 회동 결속되어 도어 열림을 위한 손잡이 회동 시 손잡이걸쇠에 의한 주회동캠 및 락킹해정캠의 회전작용과 함께 직선이송되는 링크바에 의한 랫치작동링크대의 회동작용을 통해 랫치볼트를 하우징 내부로 이송시키는 랫치볼트구동수단과; 상기 오토볼트의 로드 후단에 대응 위치되며, 도어 닫힘 시 스트라이커의 일측면에 의해 오토볼트가 하우징 내측으로 이송 삽입됨과 동시에 이와 동일방향으로 이송되는 로드 후단의 가압단턱부로부터 이탈되어 가압력이 해제된 락킹스토퍼가 스프링력에 의해 상향 회동되면서 랫치작동브라켓의 일측 하단에 걸려 락킹이 이루어지는 불법해정방지수단과; 상기 랫치볼트구동수단의 회동가압캠에 결합된 상태로 하우징 내부 일측에 설치 고정되며, 출입인가수단의 출입 허가에 따른 전원 인가 시 로드의 길이가변을 통해 랫치볼트구동수단을 작동시켜 손잡이의 회동작용과 함께 랫치볼트를 하우징 내부로 이송시켜 도어 열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 및 불법해정방지수단의 후방에 각각 설치 고정되며, 전원 인가에 따른 솔레노이드 및 오토볼트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솔레노이드 및 오토볼트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모티스에 대한 전체구조의 간소화와 함께 이를 통한 금형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은 물론, 상기 구조적 간소화에 따른 제품을 생산 및 조립하는데 대한 작업공정 및 작업시간 역시 단축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캠/링크 혼합 연결 구조로서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 결합된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과정으로 인해 전원 인가 또는 해제 시 이와 연동적으로 작동되는 모티스에 대한 작동상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과정에서 발생되는 편심작용에 따른 마모현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락용 모티스{The mortise for using door lock}
본 발명은 각종 건물의 도어에 설치되어 실내외로 출입을 통제하는 기능의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적 구조의 도어락을 이루는 모티스(Mortise)의 구성요소 중 랫치볼트의 강제 해정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구조와 함께, 전원 인가 또는 전원 해제에 따른 솔레노이드의 작동과 연동되어 랫치볼트가 전,후로 직선이송되면서 도어를 락킹 또는 해정시키는 등 상기 랫치볼트의 작동방식을 캠/링크 혼합 연결 구조로서 개선함에 따라 종래에 비해 모티스에 대한 전체구조를 간소화시킴과 동시에 이를 통한 금형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은 물론, 상기 구조적 간소화에 따른 제품을 생산 및 조립하는데 대한 작업공정 및 작업시간 역시 단축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상기와 같이 캠/링크 혼합 연결 구조로서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 결합된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과정으로 인해 전원 인가 또는 해제 시 이와 연동적으로 작동되는 모티스에 대한 작동상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과정에서 발생되는 편심작용에 따른 마모현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도어락용 모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door lock)은 보안성과 방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해정키를 비롯하여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버튼키, 카드키, 지문인식 등 출입인가수단을 통해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는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도어락 중 상기 솔레노이드가 설치되지 않은 수동방식 도어락의 경우 도어의 외측 및 내측에 각기 대향 설치되는 도어락 바디에 작동레버가 좌우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내,외측 작동레버와 대응되는 상태로 작동레버의 회동작용에 따라 도어 닫힘 시 문틀 측 스트라이커에 결속되어 도어의 닫힘상태를 유지하는 랫치부재가 하우징 내측으로 슬라이드 되는 형식의 모티스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한 모티스와 더불어 별도의 장금장치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랫치부재가 스트라이커 내에 결속된 상태인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지더라도 실내측 사용자가 별도의 잠금장치를 작동시켜 닫힌 도어를 완전히 잠그는 락킹상태를 이뤄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한 수동방식구조의 모티스에 솔레노이드를 설치하되, 상기 별도 설치된 잠금장치와 솔레노이드를 상호 연결시켜 모티스 내에 설치 구성한 자동방식 도어락이 제안되었는데, 이와 같은 상기 자동방식 도어락의 경우 본 출원인에 의해 선(先) 출원되어 특허 등록된 "모티스(특허등록번호 제0873401호)"와 미와 로크사의 특허 등록된 "전기자물쇠(일명 모티스; 특허등록번호 제0942631호)"가 각각 제안되었는데, 이들 "모티스"나 "전기자물쇠"는 실외측 사용자가 출입인가수단을 통한 실내 출입 인가 시 전기적 신호 연결에 의한 솔레노이드가 작동함에 따라 잠금장치의 락킹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도어락 바디에 설치된 작동레버를 전,후로 밀고 당기(Push & Pull)거나 또는 좌,우로 회동시켜 도어를 오픈시키게 되며, 실외측 사용자가 실내로 출입한 상태에서 도어의 닫힘 시 솔레노이드 측의 전기적 신호 연결이 차단되면서 잠금장치 작동에 의한 도어의 락킹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안된 종래 "모티스"나 "전기자물쇠"에 있어, 본 출원인의 특허 등록된 "모티스"의 경우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기는 하지만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 결합된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과정에서 발생되는 편심작용에 따른 마모현상이 발생됨과 아울러, 장시간 사용 시 편심 마모에 따른 각 구성요소들이 작동 시에 부재 간 간섭이 발생하게 되어 작동 중에 다른 부재에 끼이거나 걸리게 되어 모티스의 작동상태가 원활하지 않는 등 제품에 대한 내구성이 크게 낮아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미와 로크사의 특허 등록된 "전기자물쇠"의 경우 상기 모티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체적인 구조 및 작동과정이 매우 복잡하기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제작비용이 높아질 수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진 "전기자물쇠"를 생산 및 조립하는데 대한 작업공정 및 작업시간 역시 증가하게 됨에 따라 이로 인한 제품의 생산성 역시도 크게 낮아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현재에는 모티스를 구성함에 있어, 전체적인 구조를 간소화시킴과 동시에 작동과정 역시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이를 통한 금형제작비용을 절감시키고, 상기와 같이 구조적 간소화에 따른 제품을 생산 및 조립하는데 대한 작업공정 및 작업시간 역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랫치볼트의 강제 해정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구조와 함께, 전원 인가 또는 전원 해제에 따른 솔레노이드의 작동과 연동되어 랫치볼트가 전,후로 직선이송되면서 도어를 락킹 또는 해정시키는 등 상기 랫치볼트의 작동구조에 대한 개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모티스의 구성요소 중 랫치볼트의 강제 해정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구조와 함께, 전원 인가 또는 전원 해제에 따른 솔레노이드의 작동과 연동되어 랫치볼트가 전,후로 직선이송되면서 도어를 락킹 또는 해정시키는 등 상기 랫치볼트의 작동방식을 캠/링크 혼합 연결 구조로서 개선함에 따라 종래에 비해 모티스에 대한 전체구조를 간소화시킴과 동시에 이를 통한 금형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구조적 간소화에 따른 제품을 생산 및 조립하는데 대한 작업공정 및 작업시간 역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상기와 같이 캠/링크 혼합 연결 구조로서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 결합된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과정으로 인해 전원 인가 또는 해제 시 이와 연동적으로 작동되는 모티스에 대한 작동상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과정에서 발생되는 편심작용에 따른 마모현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경우 출입인가수단을 통한 실외측 사용자의 실내 출입이 인가되지 않을 시 전원이 해제되면서 하우징의 손잡이걸쇠홈을 통해 끼움 결합되는 손잡이걸쇠와 대응 결합된 주회동캠 및 락킹해정캠의 일측으로부터 결속되어진 회동결속바가 스프링력에 의해 분리 이탈되어 외부손잡이의 회전 시 손잡이걸쇠가 공회전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도어 닫힘에 따른 하우징 내측으로 오토볼트의 삽입 시 이와 동일방향으로 이송되는 로드 후단의 가압단턱부로부터 이탈되어 가압력에서 해제된 락킹스토퍼가 스프링력을 통해 랫치작동브라켓의 일측 하단으로 상향 회동되면서 상기 랫치작동브라켓에 대한 락킹이 이루어짐에 따라 외부 침입자로부터 강제적으로 불법해정에 따른 도어의 열림을 차단 및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도어락용 모티스는, 전면(前面)에 랫치볼트홀 및 오토볼트홀을 구비하면서 상측이 개방된 하우징, 및 이를 밀폐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랫치볼트홀와 오토볼트홀에 각기 대응 삽입된 상태로 하우징 내에 전,후로 직선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랫치볼트 및 오토볼트와; 상기 랫치볼트의 후단에 설치 고정되며, 랫치볼트의 직선이송작용에 따라 동일방향으로 직선이송되는 랫치고정브라켓과; 상기 랫치고정브라켓의 상,하단에 결착 고정되는 랫치작동브라켓과; 상기 랫치고정브라켓의 후방(後方)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우징의 손잡이걸쇠홈을 통해 끼움 결합되는 손잡이걸쇠와 대응 결합됨과 동시에 손잡이의 회전 시 손잡이걸쇠가 공회전되는 주회동캠과; 상기 주회동캠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며, 손잡이걸쇠와 대응 결합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따라 회동 연동되는 링크바 타단의 회동결속바에 의해 주회동캠과 함께 결속되어 손잡이의 회전 시 손잡이걸쇠의 회동작용에 의해 주회동캠과 함께 동일방향으로 회동되는 락킹해정캠과; 상기 랫치작동브라켓과 주회동캠 사이에 연결 설치되며, 전원 인가에 따른 솔레노이드의 작동 시 상기 회동결속바가 솔레노이드의 로드 일단에 힌지 결합된 회동가압캠에 의해 주회동캠 및 락킹해정캠의 일측에 회동 결속되어 도어 열림을 위한 손잡이 회동 시 손잡이걸쇠에 의한 주회동캠 및 락킹해정캠의 회전작용과 함께 직선이송되는 링크바에 의한 랫치작동링크대의 회동작용을 통해 랫치볼트를 하우징 내부로 이송시키는 랫치볼트구동수단과; 상기 오토볼트의 로드 후단에 대응 위치되며, 도어 닫힘 시 스트라이커의 일측면에 의해 오토볼트가 하우징 내측으로 이송 삽입됨과 동시에 이와 동일방향으로 이송되는 로드 후단의 가압단턱부로부터 이탈되어 가압력이 해제된 락킹스토퍼가 스프링력에 의해 상향 회동되면서 랫치작동브라켓의 일측 하단에 걸려 락킹이 이루어지는 불법해정방지수단과; 상기 랫치볼트구동수단의 회동가압캠에 결합된 상태로 하우징 내부 일측에 설치 고정되며, 출입인가수단의 출입 허가에 따른 전원 인가 시 로드의 길이가변을 통해 랫치볼트구동수단을 작동시켜 손잡이의 회동작용과 함께 랫치볼트를 하우징 내부로 이송시켜 도어 열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 및 불법해정방지수단의 후방에 각각 설치 고정되며, 전원 인가에 따른 솔레노이드 및 오토볼트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솔레노이드 및 오토볼트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비해 모티스에 대한 전체구조를 간소화시킴과 동시에 이를 통한 금형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구조적 간소화에 따른 제품을 생산 및 조립하는데 대한 작업공정 및 작업시간 역시 단축시킬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캠/링크 혼합 연결 구조로서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 결합된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과정으로 인해 전원 인가 또는 해제 시 이와 연동적으로 작동되는 모티스에 대한 작동상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과정에서 발생되는 편심작용에 따른 마모현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 역시 있다.
그리고, 출입인가수단을 통한 실외측 사용자의 실내 출입이 인가되지 않을 시 전원이 해제되면서 하우징의 손잡이걸쇠홈을 통해 끼움 결합되는 손잡이걸쇠와 대응 결합된 주회동캠 및 락킹해정캠의 일측으로부터 결속되어진 회동결속바가 스프링력에 의해 분리 이탈되어 외부손잡이의 회전 시 손잡이걸쇠가 공회전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도어 닫힘에 따른 하우징 내측으로 오토볼트의 삽입 시 이와 동일방향으로 이송되는 로드 후단의 가압단턱부로부터 이탈되어 가압력에서 해제된 락킹스토퍼가 스프링력을 통해 랫치작동브라켓의 일측 하단으로 상향 회동되면서 상기 랫치작동브라켓에 대한 락킹이 이루어짐에 따라 외부 침입자로부터 강제적으로 불법해정에 따른 도어의 열림을 차단 및 방지할 수 있는 효과 등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티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커버부재가 분리된 본 발명의 모티스에 대한 내부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모티스 구성요소 중 랫치고정브라켓과 랫치작동브라켓의 연결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모티스 구성요소 중 주회동캠과 락킹해정캠의 연결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모티스에 대한 랫치볼트구동수단 중 랫치작동링크대의 세부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모티스에 대한 랫치볼트구동수단 중 링크바의 세부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의 모티스에 대한 랫치볼트구동수단 중 회동결속바의 세부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의 모티스에 대한 오토볼트와 불법해정방지수단의 결합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모티스에 대한 불법해정방지수단 중 락킹스토퍼의 세부 상세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모티스에 대한 작동과정을 나타낸 상태도.
본 발명의 도어락용 모티스(이하, 모티스라 함)를 첨부된 도면과 대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티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커버부재가 분리된 본 발명의 모티스에 대한 내부 구조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모티스 구성요소 중 랫치고정브라켓과 랫치작동브라켓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모티스 구성요소 중 주회동캠과 락킹해정캠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모티스에 대한 랫치볼트구동수단 중 랫치작동링크대의 세부 상세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모티스에 대한 랫치볼트구동수단 중 링크바의 세부 상세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모티스에 대한 랫치볼트구동수단 중 회동결속바의 세부 상세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모티스에 대한 오토볼트와 불법해정방지수단의 결합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모티스에 대한 불법해정방지수단 중 락킹스토퍼의 세부 상세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모티스(1)는, 도어락을 이루는 통상의 모티스(Mortise) 구성요소 중 랫치볼트(5)의 강제 해정을 방지하기 위한 불법해정방지수단(55)의 장치구조와 함께, 전원 인가 또는 전원 해제에 따른 솔레노이드(50)의 작동과 연동되어 랫치볼트구동수단(45)에 의한 랫치볼트(5)가 전,후로 직선이송되는 등 상기 랫치볼트(5)의 작동방식을 캠/링크 혼합 연결 구조로 개선하여 모티스(1)에 대한 전체구조의 간소화 및 이를 통한 금형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장치 구조의 간소화에 따른 제품을 생산 및 조립하는데 대한 작업공정 및 작업시간 역시 단축시킬 수 있고, 더욱이 상기와 같이 캠/링크 혼합 연결 구조로서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 결합된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과정으로 인해 전원 인가 또는 해제 시 이와 연동적으로 작동되는 모티스(1)에 대한 작동상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과정에서 발생되는 편심작용에 따른 마모현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출입인가수단(미도시)을 통한 실외측 사용자의 실내 출입이 인가되지 않을 시 솔레노이드(50)의 전원이 해제되면서 하우징(10)의 손잡이걸쇠홈(15a)을 통해 끼움 결합되는 손잡이걸쇠(67)와 대응 결합된 주회동캠(30) 및 락킹해정캠(40)의 일측으로부터 결속되어진 회동결속바(48)가 스프링력에 의해 분리 이탈되어 이의 상태에서 외부손잡이(66)의 회전 시 손잡이걸쇠(67)가 공회전 됨과 아울러, 도어 닫힘에 따른 하우징(10) 내측으로 오토볼트(6)의 삽입 시 이와 동일방향으로 이송되는 로드(7) 후단의 가압단턱부(8)로부터 이탈되어 가압력에서 해제된 락킹스토퍼(58)가 스프링력에 의해 랫치작동브라켓(25)의 일측 하단으로 상향 회동되면서 상기 랫치작동브라켓(25)에 대한 락킹이 이루어짐에 따라 외부 침입자로부터 강제적으로 불법해정에 따른 도어의 열림을 차단 및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어의 장금장치이다.
이에 대한 상기 모티스(1)의 경우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前面)에 랫치볼트홀(3) 및 오토볼트홀(4)을 구비하면서 상측이 개방된 하우징(10), 및 이를 밀폐하는 커버부재(11)와; 상기 랫치볼트홀(3)와 오토볼트홀(4)에 각기 대응 삽입된 상태로 하우징(10) 내에 전,후로 직선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랫치볼트(5) 및 오토볼트(6)와; 상기 랫치볼트(5)의 후단에 설치 고정되며, 랫치볼트(5)의 직선이송작용에 따라 동일방향으로 직선이송되는 랫치고정브라켓(20)과; 상기 랫치고정브라켓(20)의 상,하단에 결착 고정되는 랫치작동브라켓(25)과; 상기 랫치고정브라켓(20)의 후방(後方)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우징(10)의 손잡이걸쇠홈(15a)을 통해 끼움 결합되는 손잡이걸쇠(67)와 대응 결합됨과 동시에 손잡이(66)의 회전 시 손잡이걸쇠(67)가 공회전되면서 도어의 열림을 차단하는 주회동캠(30)과; 상기 주회동캠(30)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며, 하우징(10)의 손잡이걸쇠홈(15a)을 통해 끼움 결합되는 손잡이걸쇠(67)와 대응 결합됨과 동시에 전원 인가에 따른 솔레노이드(50)의 작동에 따라 회동 연동되는 랫치볼트구동수단(45) 중 링크바(47)의 타단에 힌지 결합된 회동결속바(48)에 의해 주회동캠(30)과 함께 결속되어 손잡이(66)의 회전 시 손잡이걸쇠(67)의 회동작용에 의해 주회동캠(30)과 함께 동일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랫치볼트구동수단(45)을 작동시켜 도어의 열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락킹해정캠(40)과; 상기 랫치작동브라켓(25)과 주회동캠(30) 사이에 연결 설치되며, 전원 인가에 따른 솔레노이드(50)의 작동 시 상기 회동결속바(48)가 솔레노이드(50)의 로드(51) 일단에 힌지 결합된 회동가압캠(49)에 의해 가압 회동됨과 동시에 손잡이걸쇠(67)와 결합된 주회동캠(30) 및 락킹해정캠(40)의 일측에 결속되어 도어 열림을 위한 손잡이(66) 회동 시 손잡이걸쇠(67)에 의한 주회동캠(30) 및 락킹해정캠(40)의 회전작용과 함께 직선이송되는 링크바(47)에 의한 랫치작동링크대(46)의 회동작용을 통해 랫치볼트(5)를 하우징(10) 내부로 이송시키는 랫치볼트구동수단(45)과; 상기 오토볼트(6)의 로드(7) 후단에 대응 위치되며, 도어 닫힘 시 스트라이커의 일측면에 의해 오토볼트(6)가 하우징(10) 내측으로 이송 삽입됨과 동시에 이와 동일방향으로 이송되는 로드(7) 후단의 가압단턱부(8)로부터 이탈되어 가압력이 해제된 락킹스토퍼가(61) 스프링력에 의해 상향 회동되면서 랫치작동브라켓(25)의 일측 하단에 걸려 락킹이 이루어지는 불법해정방지수단(55)과; 상기 랫치볼트구동수단(45)의 회동가압캠(49)과 결합된 상태로 하우징(10) 내부 일측에 설치 고정되며, 출입인가수단의 출입 허가에 따른 전원 인가 시 로드(51)의 길이가변을 통해 랫치볼트구동수단(45)을 작동시켜 손잡이(66)의 회동작용과 함께 랫치볼트(5)를 하우징(10) 내부로 이송시켜 도어 열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솔레노이드(50)와; 상기 솔레노이드(50) 및 불법해정방지수단(55)의 후방에 각각 설치 고정되며, 전원 인가에 따른 솔레노이드(50) 및 오토볼트(6)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솔레노이드 및 오토볼트 감지센서(53,6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모티스(1) 중 상기 하우징(10)의 경우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된 각 구성요소들 즉, 랫치볼트(5), 오토볼트(6), 랫치고정브라켓(20), 랫치작동브라켓(25), 주회동캠(30), 락킹해정캠(40), 랫치볼트구동수단(45), 불법해정방지수단(55), 솔레노이드(50), 솔레노이드 감지센서(53) 및 오토볼트 감지센서(63)가 내장되도록 상단이 개방된 사각 형태의 함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전면(前面)에 상기한 모티스(1)를 내,외부손잡이(65,66)의 손잡이걸쇠(67)와 대응 끼움 결합되도록 도어의 측단면에 삽착하여 볼트 고정시킬 수 있게 플랜지부(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부(2)에는 전원 인가에 따른 솔레노이드(50)의 작동 시 랫치볼트구동수단(45) 중 링크바(47)의 타단에 힌지 결합된 회동결속바(48)가 솔레노이드(50)의 로드(51) 일단에 힌지 결합된 회동가압캠(49)에 의해 가압 회동됨과 동시에 손잡이걸쇠(67)와 결합된 주회동캠(30) 및 락킹해정캠(40)의 일측에 결속되어 도어 열림을 위한 손잡이(66) 회동 시 손잡이걸쇠(67)에 의한 주회동캠(30) 및 락킹해정캠(40)의 회전작용과 함께 직선이송되는 링크바(47)에 의한 랫치작동링크대(46)의 회동작용을 통해 랫치볼트(5)를 하우징(10) 내부로 이송시키면서 도어가 열리도록 하거나 또는 스트라이커(S) 내에 결속되어 도어의 닫힘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랫치볼트(5)와, 도어의 닫힘 시 스트라이커(S)의 일측면에 의해 가압되어 하우징(10) 내측으로 이송 삽입됨과 동시에 불법해정방지수단(55) 중 락킹스토퍼(58)를 랫치작동브라켓(25)의 일측 하단에 걸리도록 상향 회동시켜 락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오토볼트(6)가 각기 대응 삽입된 상태로 하우징(10) 내에 전,후로 직선이송되도록 하기 위한 랫치볼트홀(3)와 오토볼트홀(4)이 서로 이웃하게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된 상측을 밀폐하기 위해 볼트 고정되는 커버부재(11)의 경우 하우징(10)과 동일형태의 사각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10)의 바닥면과 커버부재(11)의 판상에는 상호 대향되는 동일위치에 대하여 링크바(47)의 일단에 랫치작동링크대(46)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에 대한 전,후 회동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힌지이송홀(12a,12b)과, 랫치고정브라켓(20)이 하우징(10)과 커버부재(11) 상에 결착된 상태로 전,후 이송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고정브라켓이송홀(13a,13b)과, 모티스(1)의 실내,외측에 위치되는 내,외부손잡이(65,66)가 하우징(10)과 커버부재(11) 상에 서로 대응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결합홈(14a,14b)과, 외부손잡이(66)의 내부 일측에 돌출 형성된 손잡이걸쇠(67)가 하우징(10)과 커버부재(11)를 관통한 상태로 내부손잡이 내측에 결착되어 외부손잡이(66)의 회동 시 상,하로 회동되면서 주회동캠(30)과 락킹해정캠(40)을 회전시키기 위한 부채꼴형태의 손잡이걸쇠홈(15a,15b)이 각각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모티스(1) 중 상기 랫치볼트(5)와 오토볼트(6)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2)에 이웃하게 관통된 랫치볼트홀(3)와 오토볼트홀(4)에 각기 대응 삽입된 상태로 하우징(10) 내에 전,후로 직선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랫치볼트(5)와 오토볼트(6) 모두 전체형상이 삼각돌기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랫치볼트(5)와 오토볼트(6)의 각 후단에는 전원 인가에 따른 솔레노이드(50)의 작동 시 솔레노이드(50)의 로드(51) 일단에 힌지 결합된 회동가압캠(49)에 의해 가압되어 주회동캠(30) 및 락킹해정캠(40)의 일측에 회동 결속된 상태에서 도어 열림을 위한 손잡이(66)를 회동시켜 손잡이걸쇠(67)에 의한 주회동캠(30) 및 락킹해정캠(40)의 회전작용과 함께 직선이송되는 링크바(47)에 의한 랫치작동링크대(46)의 회동작용을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직선이송된 랫치볼트(5)를 원위치로 복원시키고, 또한 도어 닫힘 시 스트라이커(S)의 일측면에 의해 하우징(10) 내부로 직선이송된 오토볼트(6)를 도어 열림 시 원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스프링(16a,16b)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 스프링(16a,16b)의 후단에는 랫치볼트(5)와 오토볼트(6)의 각 후단에 설치된 스프링(16a,16b)의 분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프링고정브라켓(17a,17b)이 하우징(10)의 바닥면과 커버부재(11) 상에 결착된 상태로 설치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티스(1) 중 상기 랫치고정브라켓(20)의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형상이 "ㄷ"자 형태로 절곡 형성됨과 동시에 랫치볼트(5)의 후단에 결착되어 하우징(10) 내에 전,후로 직선이송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 구성요소로서, 상기 랫치고정브라켓(20)의 양쪽 끝단 상,하측에는 하우징(10)과 커버부재(11) 상에 관통된 고정브라켓이송홀(13a,13b)과 대응 결착되어 랫치볼트(5)의 전,후 직선이송 시 이와 동일방향으로 랫치고정브라켓(20)의 직선이송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한 결착가이드돌기(21)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랫치고정브라켓(20)의 중앙 일측 상,하단에는 랫치작동브라켓(25)의 양단이 결착되어 일체화로 조립되기 위한 작동브라켓결합홈(2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모티스(1) 중 상기 랫치작동브라켓(25)의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형상이 "ㄷ"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며, 랫치고정브라켓(20)의 중앙 타측을 감싸는 상태로 결착됨과 동시에 도어 열림을 위한 손잡이(66) 회동 시 손잡이걸쇠(67)에 의한 주회동캠(30) 및 락킹해정캠(40)의 회전작용과 함께 직선이송되는 링크바(47)에 의한 랫치작동링크대(46)의 회동력이 작용되도록 상기 랫치작동링크대(46)의 일측단과 대응 연결된 구성요소로서, 상기 랫치고정브라켓(20)의 양쪽 끝단에는 랫치고정브라켓(20)의 중앙 일측 상,하단에 각기 형성된 작동브라켓결합홈(22)에 결착되어 상기 랫치작동브라켓(25)과 일체화로 조립되기 위한 작동브라켓결합돌기(2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모티스(1) 중 상기 주회동캠(30)의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 및 커버부재(11) 상에 각각 관통된 손잡이결합홈(14a,14b)에 대하여 양측면 내주연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기(31)를 통해 결합될 수 있는 두께의 원통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주회동캠(30)의 양측면에는 하우징(10)의 손잡이걸쇠홈(15a)을 통해 끼움 결합되는 손잡이걸쇠(67)와 대응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손잡이걸쇠홈(15a)과 동일크기 및 동일형태의 걸쇠이송홈(32)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회동캠(30)의 일측에는 전원 인가에 따른 솔레노이드(50)의 작동 시 회동가압캠(49)에 의해 회동결속바(48)가 가압 회동되면서 락킹해정캠(40)과 함께 결속되도록 하기 위한 캠결합홈(33) 및 이와 이웃하게 전원 해제에 따라 스프링력에 의해 로드(51)가 원위치로 복귀 작동되는 솔레노이드(50)와 회동가압캠(49)에 의해 상기 주회동캠(30)의 일측에 결속된 회동결속바(48) 역시 스프링력을 통해 분리 이탈되도록 스프링(36)을 고정시키기 위한 스프링결합홈(3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주회동캠(30)의 타측에는 도어 열림을 위한 손잡이(66) 회동 시 손잡이걸쇠(67)에 의한 주회동캠(30) 및 락킹해정캠(40)의 회전작용과 함께 락킹스토퍼(58)의 일측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작용롤러브라켓(62)을 가압하여 랫치작동브라켓(25)을 락킹하고 있는 락킹스토퍼(58)를 상기 랫치작동브라켓(25)의 일측 하단으로부터 하향 회동시켜 상기 랫치작동브라켓(25)의 락킹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캠돌기(3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티스(1) 중 상기 락킹해정캠(40)의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회동캠(30)의 양측면 중 상측 내주연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기(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중공의 원판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락킹해정캠(40)의 양측면에는 하우징(10)의 손잡이걸쇠홈(15a)을 통해 끼움 결합되는 손잡이걸쇠(67)와 대응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손잡이걸쇠(67)와 동일크기 및 동일형태의 걸쇠결합홈(41)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락킹해정캠(40)의 일측에는 주회동캠(30)의 일측과 마찬가지로, 전원 인가에 따른 솔레노이드(50)의 작동 시 회동가압캠(49)에 의해 회동결속바(48)가 가압 회동되면서 주회동캠(30)과 함께 결속되도록 하기 위한 캠결합홈(4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모티스(1) 중 상기 랫치볼트구동수단(45)의 경우 전원 인가에 따른 솔레노이드(50)의 작동 시 상기 회동결속바(48)가 솔레노이드(50)의 로드(51) 일단에 힌지 결합된 회동가압캠(49)에 의해 주회동캠(30) 및 락킹해정캠(40)의 일측에 회동 결속되어 도어 열림을 위한 손잡이(66) 회동 시 손잡이걸쇠(67)에 의한 주회동캠(30) 및 락킹해정캠(40)의 회전작용과 함께 직선이송되는 링크바(47)에 의한 랫치작동링크대(46)의 회동작용을 통해 랫치볼트(5)를 하우징(10) 내부로 이송시키기 위해 상호 기구적으로 연결된 장치적 요소로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랫치작동브라켓(25)의 상,하단에 대응 결착되는 랫치작동링크대(46)와; 상기 랫치작동링크대(46)의 중앙 및 주회동캠(30)의 일측 사이에 설치되어 양단이 힌지 결합되며, 도어 열림을 위한 손잡이(66) 회동 시 손잡이걸쇠(67)에 의한 주회동캠(30) 및 락킹해정캠(40)의 회전작용과 함께 전,후로 직선이송되는 링크바(47)와; 상기 링크바(47)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전원 인가에 따른 솔레노이드(50)의 작동 시 회동가압캠(49)에 의해 가압 회동되면서 주회동캠(30) 및 락킹해정캠(40)의 일측에 결속되어 도어 열림을 위한 손잡이(66)의 회동 시 손잡이걸쇠(67)에 의한 주회동캠(30) 및 락킹해정캠(40)의 회전력을 링크바(47)에 전달하여 직선 이송되도록 하는 회동결속바(48)와; 상기 솔레노이드(50)의 로드(51) 일단에 힌지 결합된 상태로 회동결속바(48)의 일측 상단에 면착되게 설치되며, 전원 인가에 따른 솔레노이드(50)의 작동 시 하향 회동되면서 회동결속바(48)를 주회동캠(30) 및 락킹해정캠(40)의 일측에 결속시키는 회동가압캠(49)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랫치볼트구동수단(45) 중 상기 랫치작동링크대(46)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 인가에 따른 솔레노이드(50)의 작동 시 솔레노이드(50)의 로드(51) 일단에 힌지 결합된 회동가압캠(49)의 가압작용에 의해 회동결속바(48)가 주회동캠(30) 및 락킹해정캠(40)의 일측에 회동 결속된 상태에서 도어 열림을 위한 손잡이(66) 회동 시에 손잡이걸쇠(67)에 의한 주회동캠(30) 및 락킹해정캠(40)의 회전작용과 함께 직선이송되는 링크바(47)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발생된 회동 가압력을 랫치작동브라켓(25)에 작용시켜 이를 통해 상기 주회동캠(30) 및 락킹해정캠(40)이 위치된 후방(後方) 측으로 직선이송되는 랫치작동브라켓(25) 및 랫치고정브라켓(20)과 함께 랫치볼트(5)를 하우징(10) 내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기구적 구동수단 중 하나의 요소로서, 전체형상이 "ㄴ"자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단 일부가 일체화된 2개의 금속편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링크바(47)의 일측 좌우 양쪽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랫치작동링크대(46)의 상단은 핀 형태의 힌지를 통해 결합된 상태로 회동 지지점을 형성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의 양단이 하우징(10)과 커버부재(11) 상에 결착 고정되어 있고, 상기 랫치작동링크대(46)의 중앙은 핀 형태의 힌지를 통해 링크바(47)의 일단에 결합되어 도어 열림을 위한 손잡이(66) 회동 시 손잡이걸쇠(67)에 의한 주회동캠(30) 및 락킹해정캠(40)의 회전작용과 함께 후방(後方) 측으로 이송되는 링크바(47)의 직선이송운동이 랫치작동링크대(46)의 회전운동으로 전환되면서 상단을 지점으로 랫치작동링크대(46) 역시 후방(後方) 측으로 회동 이송되도록 상기 힌지의 양단이 하우징(10)과 커버부재(11) 상에 관통된 힌지이송홀(12a,12b)에 결착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랫치작동링크대(46)의 하단은 도어 열림을 위한 손잡이(66) 회동 시에 손잡이걸쇠(67)에 의한 주회동캠(30) 및 락킹해정캠(40)의 회전작용과 함께 직선이송되는 링크바(47)에 의해 랫치작동링크대(46)가 후방(後方)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발생된 회동 가압력을 랫치작동브라켓(25)에 작용시켜 이를 통해 랫치작동브라켓(25) 및 랫치고정브라켓(20)과 함께 랫치볼트(5)를 하우징(10) 내부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랫치작동브라켓(25)의 상,하단에 대응 결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링크바(47)의 경우 랫치작동링크대(46)와 마찬가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 인가에 따른 솔레노이드(50)의 작동 시 솔레노이드(50)의 로드(51) 일단에 힌지 결합된 회동가압캠(49)의 가압작용에 의해 회동결속바(48)가 주회동캠(30) 및 락킹해정캠(40)의 일측에 회동 결속된 상태에서 도어 열림을 위한 손잡이(66) 회동 시에 손잡이걸쇠(67)에 의한 주회동캠(30) 및 락킹해정캠(40)의 회전작용과 함께 직선이송되면서 랫치작동브라켓(25)의 상,하단에 대응 결착된 랫치작동링크대(46)를 상기 주회동캠(30) 및 락킹해정캠(40)이 위치된 후방(後方) 측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기구적 구동수단 중 하나의 또 다른 요소로서, 전체형상이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단 일부가 일체화된 2개의 사각바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랫치작동링크대(46)의 중앙 및 회동결속바(48)의 타측 사이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각 사각바 즉, 링크바(47)의 일측은 손잡이걸쇠(67)에 의해 회동되는 주회동캠(30)의 회동각도와 대응길이를 갖는 장공(47a)을 구비함과 동시에 랫치작동링크대(46)를 형성하는 2개의 금속편 사이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장공(47a)을 통해 힌지 고정되고, 각 사각바 즉, 링크바(47)의 타측엔 회동결속바(48)가 상기 링크바(47)를 형성하는 2개의 사각바 사이에 끼움 결합됨과 동시에 주회동캠(30)의 스프링결합홈(35)과 이웃하게 형성된 힌지홀(37)을 통해 상기 링크바(47) 및 회동결속바(48)가 힌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결속바(48)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 인가에 따른 솔레노이드(50)의 작동 시 회동가압캠(49)의 가압작용에 의해 회동결속바(48)가 주회동캠(30) 및 락킹해정캠(40) 일측의 캠결합홈(33,42)에 회동 결속되어 손잡이걸쇠(67)에 의한 주회동캠(30) 및 락킹해정캠(40)의 회전력을 링크바(47)에 전달하여 직선 이송되도록 하기 위한 기구적 구동수단 중 하나의 또 다른 요소로서, 전체형상이 "ㄱ"자 형태로 형성됨과 동시에 링크바(47)의 타측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 주회동캠(30)의 힌지홀(37)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회동결속바(48)의 일측단에는 솔레노이드(50)의 작동 시 하향(下向) 회동되는 회동가압캠(49)에 의해 회동결속바(48)가 가압 회동되면서 주회동캠(30) 및 락킹해정캠(40) 일측의 캠결합홈(33,42)에 회동 결속되어 상호 기구적 연결을 이루기 위한 삼각형태의 캠블럭(48a)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회동가압캠(49)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 인가에 따른 솔레노이드(50)의 작동 시 하향(下向) 회동되면서 회동결속바(48)를 가압하여 주회동캠(30) 및 락킹해정캠(40) 일측의 캠결합홈(33,42)에 회동 결속시켜 이를 통해 손잡이걸쇠(67)에 의한 주회동캠(30) 및 락킹해정캠(40)의 회전력이 링크바(47)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기구적 구동수단 중 하나의 또 다른 요소로서, 전체형상이 삼각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회동가압캠(49)의 상단은 핀 형태의 힌지를 통해 솔레노이드(50)의 로드(51) 일단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회동가압캠(49)의 하단 중 일측단은 핀 형태의 힌지에 결합된 상태로 회동 지지점을 형성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의 양단이 하우징(10)과 커버부재(11) 상에 결착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가압캠(49)의 하단 중 타측단은 링크바(47)의 타측과 함께 주회동캠(30)의 힌지홀(37)에 힌지 결합된 회동결속바(48)의 일측 상단 즉, 캠블럭(48a) 상단에 면착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 다음, 본 발명의 모티스(1) 중 상기 불법해정방지수단(55)의 경우 도어 닫힘 시 스트라이커(S)의 일측면에 의해 오토볼트(6)가 하우징(10) 내측으로 이송 삽입됨과 동시에 이와 동일방향으로 이송되는 로드(7) 후단의 가압단턱부(8)로부터 이탈되어 가압력이 해제된 락킹스토퍼가(61) 스프링력에 의해 상향 회동되면서 랫치작동브라켓(25)의 일측 하단에 걸려 락킹이 이루어져 외부 침입자로부터 스트라이커(S) 내에 결속된 랫치볼트(5)를 불법적으로 해정시켜 도어가 강제적으로 열리는 것을 차단 및 방지하도록 상호 기구적으로 연결된 장치적 요소로서,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토볼트(6)의 로드(7)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ㄴ"자 형태로 절곡 형성된 지지브라켓(56)과; 상기 오토볼트(6)의 로드(7) 후단에 위치됨과 동시에 주회동캠(30)의 타측에 돌출된 캠돌기(34)와 상호 접촉된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고정되는 락킹스토퍼(58)와; 상기 힌지에 권취된 상태로 양단이 락킹스토퍼(58)의 내부 상단 및 회동 복귀되는 락킹스토퍼(58)의 하단 일측을 지지하는 결합보스(57)에 각각 결착되는 스프링(61)과; 상기 로드(7) 후단의 가압단턱부(8)와 대응되도록 락킹스토퍼의 하단 중앙에 끼움 결합되며, 도어 열림에 따른 하우징(10) 외부로 오토볼트(6)의 돌출 시 이와 동일방향으로 이송되는 로드(7) 후단의 가압단턱부(8)에 의해 가압력이 작용되어 랫치작동브라켓(25)의 일측 하단으로부터 락킹스토퍼(58)가 하향 회동되면서 락킹이 해제되거나, 또는 도어 닫힘에 따른 하우징(10) 내측으로 오토볼트(6)의 삽입 시 이와 동일방향으로 이송되는 로드(7) 후단의 가압단턱부(8)로부터 이탈되어 가압력이 해제된 락킹스토퍼가(61) 스프링력에 의해 랫치작동브라켓(25)의 일측 하단으로 상향 회동되면서 락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압작용핀(59)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락킹스토퍼(58)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 닫힘에 따른 하우징(10) 내측으로 오토볼트(6)의 삽입 시 이와 동일방향으로 이송되는 로드(7) 후단의 가압단턱부(8)로부터 가압작용핀(59)이 이탈되어 가압력이 해제됨과 동시에 스프링력을 통해 랫치작동브라켓(25)의 일측 하단으로 상향 회동되면서 상기 랫치작동브라켓(25)에 대한 락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전체형상이 "ㄷ"자로 절곡된 브라켓 형태로 형성되어 주회동캠(30)의 타측에 돌출된 캠돌기(34)와 상호 접촉된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고정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와 같이 "ㄷ"자의 브라켓 형태로 절곡된 락킹스토퍼(58)의 일측에는 스프링(61)이 권취되는 핀 형태의 힌지를 통해 결합된 상태로 회동 지지점을 형성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 양단이 하우징(10)과 커버부재(11) 상에 결착 고정되어 있고, 상기 락킹스토퍼(58)의 일측 하단에는 도어 열림에 따른 하우징(10) 외부로 오토볼트(6)의 돌출 시 이와 동일방향으로 이송되는 로드(7) 후단의 가압단턱부(8)에 의해 가압력이 작용되어 랫치작동브라켓(25)의 일측 하단으로부터 락킹스토퍼(58)가 하향 회동되면서 락킹이 해제되는 과정 중에 상기 락킹스토퍼(58)의 후방에 위치된 오토볼트 감지센서(63)를 가압 센싱하는 센서가압돌기(60)가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락킹스토퍼(58)의 일측 상단에는 주회동캠(30)의 타측에 형성된 캠돌기(34)와 대응 접촉되게 위치되어 도어 열림을 위한 손잡이(66) 회동 시 손잡이걸쇠(67)에 의한 주회동캠(30) 및 락킹해정캠(40)의 회전작용과 함께 상기 주회동캠(30) 타측에 형성된 캠돌기(34)의 가압작용을 통해 락킹스토퍼(58)를 하향 회동시켜 랫치작동브라켓(25)의 락킹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작용롤러브라켓(62)이 상향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모티스(1) 중 마지막 구성인 상기 출입인가수단의 경우 손잡이(65,66) 중 외부손잡이(66)에 구비된 해정키홀에 대응 결속되어 락킹된 랫치볼트(5)를 수동으로 해정시키는 해정키를 비롯하여 버튼키, 카드키, 지문인식 등이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모티스(1)에 대한 작동과정을 첨부된 도면과 대비하여 그 실시예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모티스에 대한 작동과정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먼저, 실내측 사용자가 모티스(1)에 결합된 내부손잡이(65)를 회동시켜 락킹된 도어를 오픈시키는 과정으로서, 랫치볼트(5)에 대한 캠/링크 혼합 연결 구조로서 이루어진 상기 모티스(1)의 구성요소 중 주회동캠(30)의 중앙에 직접 결합된 내부손잡이(65)를 실내측 사용자가 회동시키게 되면,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손잡이(65)의 회동작용과 함께 주회동캠(30)이 동일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주회동캠(30)의 타측에 형성된 캠돌기(34)가 락킹스토퍼(58)의 일측 상단에 일체로 상향 절곡된 작용롤러브라켓(62)을 가압하여 랫치작동브라켓(25)의 일측 하단을 락킹하고 있는 상기 락킹스토퍼(58)를 하향 회동시켜 상기 랫치작동브라켓(25)의 락킹상태를 해제시킴과 동시에 회동결속바(48)와 함께 주회동캠(30)의 힌지홀(37)에 힌지 결합된 링크바(47)를 후방(後方)으로 직선이송시켜 이를 통해 상기 링크바(47)의 일측에 힌지 고정된 랫치작동링크대(46) 즉, 랫치고정브라켓(20)의 중앙 타측을 감싸는 상태로 결착되어진 랫치작동브라켓(25)의 상,하단에 결착된 랫치작동링크대(46) 역시 반시계방향 즉, 주회동캠(30) 및 락킹해정캠(40)이 위치된 후방(後方) 측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랫치작동링크대(46)의 하단에 결착된 랫치작동브라켓(25)에 회동 가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링크바(47)의 직선이송작용에 따라 랫치작동링크대(46) 역시 주회동캠(30) 및 락킹해정캠(40)이 위치된 후방(後方) 측으로 회동되면서 랫치작동브라켓(25)에 회동 가압력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랫치작동브라켓(25)을 통해 랫치작동브라켓(25)에 의해 감싸진 상태로 결착된 랫치고정브라켓(20)에 전달되어 상기 랫치작동브라켓(25)과 함께 랫치고정브라켓(20)이 링크바(47)의 직선이송된 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직선이송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와 같이 링크바(47)와 동일방향으로 직선이송된 랫치고정브라켓(20)에 의해 후단이 결착된 랫치볼트(5) 역시 랫치고정브라켓(20)과 동일방향 즉, 하우징(10) 내부로 이송되면서 도어를 열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실외측 사용자가 모티스(1)에 결합된 외부손잡이(66)를 회동시켜 락킹된 도어를 오픈시키는 과정으로서, 외부손잡이(66)에 구비된 출입인가수단을 통해 출입이 허가되게 되면,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인가에 따른 솔레노이드(50)의 작동으로 로드(51)의 길이가 신장되면서 상기 로드(51)의 일단에 힌지 결합된 회동가압캠(49)이 반시계방향으로 하향 회동됨과 동시에 상기 회동가압캠(49)의 하단 중 타측단과 상호 면착된 회동결속바(48)를 가압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회동가압캠(49)에 의해 가압된 회동결속바(48)는 시계방향으로 하향 회동되면서 주회동캠(30) 및 락킹해정캠(40)의 일측에 각각 형성된 캠결합홈(33,42)에 회동결속바(48)의 캠블럭(48a)이 결속되어 손잡이걸쇠(67)에 의한 주회동캠(30) 및 락킹해정캠(40)의 회전력이 링크바(47)에 전달되도록 상호 간 기구적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전원 인가에 따른 솔레노이드(50)의 작동 시 길이 신장된 로드(51)의 일단에 힌지 결합된 회동가압캠(49)의 가압작용을 통해 회동결속바(48)가 하향 회동되어 주회동캠(30) 및 락킹해정캠(40)의 일측에 형성된 캠결합홈(33,42)에 결속된 상태에서 도어 열림을 위해 손잡이(66) 즉, 모티스(1)의 실외측인 하우징(10) 바닥면의 손잡이결합홈(14a)과 손잡이걸쇠홈(15a)을 통해 결착된 외부손잡이(66)를 회동시키게 되면, 도 10a와 같이 내부손잡이(65)를 회동시켜 락킹된 도어를 오픈시키는 과정과 동일과정 즉, 손잡이걸쇠(67)에 의한 주회동캠(30) 및 락킹해정캠(40)의 회전작용과 함께 직선이송되는 링크바(47)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발생된 회동 가압력을 랫치작동브라켓(25)에 작용시켜 이를 통해 상기 주회동캠(30) 및 락킹해정캠(40)이 위치된 후방(後方) 측으로 직선이송되는 랫치작동브라켓(25) 및 랫치고정브라켓(20)과 함께 랫치볼트(5)가 하우징(10) 내부로 이송되면서 도어를 열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외부 침입자로부터 강제적으로 모티스(1)에 대한 불법해정이 차단되도록 도어를 락킹시키는 과정으로서, 실내측 사용자나 실외측 사용자에 의해 열려진 도어를 닫게 되면, 도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티스(1)와 대응되도록 문틀 측벽에 설치 고정된 스트라이크에 의해 외부로 돌출된 랫치볼트(5)와 오토볼트(6)가 스프링(16a,16b)을 가압하면서 하우징(10) 내부로 삽입되다가 상기 랫치볼트(5)는 스프링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스트라이커(S) 내부로 결속되게 되고, 상기 오토볼트(6)는 랫치볼트(5)가 결속된 스트라이커(S)의 일측면에 의해 하우징(10) 내측으로 이송 삽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도어 닫힘에 따른 하우징(10) 내측으로 오토볼트(6)의 삽입 시 이와 동일방향으로 이송되는 로드(7) 후단의 가압단턱부(8)로부터 가압작용핀(59)이 이탈되는 등 상기 가압작용핀(59)에 대한 가압단턱부(8)의 가압력이 해제됨과 동시에 스프링(61)이 힌지에 권취된 상태로 양단이 락킹스토퍼(58)의 내부 상단 및 회동 복귀되는 락킹스토퍼(58)의 하단 일측을 지지하는 결합보스(57)에 각각 결착된 스프링력에 의해 랫치작동브라켓(25)의 일측 하단으로 상향 회동되면서 상기 랫치작동브라켓(25)에 대한 락킹이 이루어지는 등 외부 침입자로부터 스트라이커(S) 내에 결속된 랫치볼트(5)를 불법적으로 해정시켜 도어가 강제적으로 열리는 것을 차단 및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모티스 2. 플랜지부
5. 랫치볼트 6. 오토볼트
7, 51. 로드 8. 가압단턱부
10. 하우징 11. 커버부재
15a, 15b. 손잡이걸쇠홈 16a, 16b, 36, 52, 61. 스프링
17a, 17b. 스프링고정브라켓 20. 랫치고정브라켓
21. 결착가이드돌기 25. 랫치작동브라켓
26. 작동브라켓결합돌기 30. 주회동캠
31. 끼움돌기 32. 걸쇠이송홈
33, 42. 캠결합홈 34. 캠돌기
40. 락킹해정캠 41. 걸쇠결합홈
45. 랫치볼트구동수단 46. 랫치작동링크대
47. 링크바 48. 회동결속바
48a. 캠블럭 49. 회동가압캠
50. 솔레노이드 53. 솔레노이드 감지센서
55. 불법해정방지수단 56. 지지브라켓
57. 결합보스 58. 락킹스토퍼
59. 가압작용핀 60. 센서가압돌기
62. 작용롤러브라켓 63. 오토볼트 감지센서
65. 내부손잡이 66. 외부손잡이
67. 손잡이걸쇠 S. 스트라이커

Claims (3)

  1. 전면(前面)에 랫치볼트홀 및 오토볼트홀을 구비하면서 상측이 개방된 하우징, 및 이를 밀폐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랫치볼트홀와 오토볼트홀에 각기 대응 삽입된 상태로 하우징 내에 전,후로 직선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랫치볼트 및 오토볼트와;
    상기 랫치볼트의 후단에 설치 고정되며, 랫치볼트의 직선이송작용에 따라 동일방향으로 직선이송되는 랫치고정브라켓과;
    상기 랫치고정브라켓의 상,하단에 결착 고정되는 랫치작동브라켓과;
    상기 랫치고정브라켓의 후방(後方)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우징의 손잡이걸쇠홈을 통해 끼움 결합되는 손잡이걸쇠와 대응 결합됨과 동시에 손잡이의 회전 시 손잡이걸쇠가 공회전되는 주회동캠과;
    상기 주회동캠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며, 손잡이걸쇠와 대응 결합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따라 회동 연동되는 링크바 타단의 회동결속바에 의해 주회동캠과 함께 결속되어 손잡이의 회전 시 손잡이걸쇠의 회동작용에 의해 주회동캠과 함께 동일방향으로 회동되는 락킹해정캠과;
    상기 랫치작동브라켓과 주회동캠 사이에 연결 설치되며, 전원 인가에 따른 솔레노이드의 작동 시 상기 회동결속바가 솔레노이드의 로드 일단에 힌지 결합된 회동가압캠에 의해 주회동캠 및 락킹해정캠의 일측에 회동 결속되어 도어 열림을 위한 손잡이 회동 시 손잡이걸쇠에 의한 주회동캠 및 락킹해정캠의 회전작용과 함께 직선이송되는 링크바에 의한 랫치작동링크대의 회동작용을 통해 랫치볼트를 하우징 내부로 이송시키는 랫치볼트구동수단과;
    상기 오토볼트의 로드 후단에 대응 위치되며, 도어 닫힘 시 스트라이커의 일측면에 의해 오토볼트가 하우징 내측으로 이송 삽입됨과 동시에 이와 동일방향으로 이송되는 로드 후단의 가압단턱부로부터 이탈되어 가압력이 해제된 락킹스토퍼가 스프링력에 의해 상향 회동되면서 랫치작동브라켓의 일측 하단에 걸려 락킹이 이루어지는 불법해정방지수단과;
    상기 랫치볼트구동수단의 회동가압캠에 결합된 상태로 하우징 내부 일측에 설치 고정되며, 출입인가수단의 출입 허가에 따른 전원 인가 시 로드의 길이가변을 통해 랫치볼트구동수단을 작동시켜 손잡이의 회동작용과 함께 랫치볼트를 하우징 내부로 이송시켜 도어 열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 및 불법해정방지수단의 후방에 각각 설치 고정되며, 전원 인가에 따른 솔레노이드 및 오토볼트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솔레노이드 및 오토볼트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용 모티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랫치볼트구동수단은 랫치작동브라켓의 상,하단에 대응 결착되는 랫치작동링크대와;
    상기 랫치작동링크대의 중앙 및 주회동캠의 일측 사이에 설치되어 양단이 힌지 결합되며, 도어 열림을 위한 손잡이 회동 시 손잡이걸쇠에 의한 주회동캠 및 락킹해정캠의 회전작용과 함께 전,후로 직선이송되는 링크바와;
    상기 링크바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전원 인가에 따른 솔레노이드의 작동 시 회동가압캠에 의해 가압 회동되면서 주회동캠 및 락킹해정캠의 일측에 결속되어 도어 열림을 위한 손잡이의 회동 시 손잡이걸쇠에 의한 주회동캠 및 락킹해정캠의 회전력을 링크바에 전달하여 직선 이송되도록 하는 회동결속바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로드 일단에 힌지 결합된 상태로 회동결속바의 일측 상단에 면착되게 설치되며, 전원 인가에 따른 솔레노이드의 작동 시 하향 회동되면서 회동결속바를 주회동캠 및 락킹해정캠의 일측에 결속시키는 회동가압캠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용 모티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법해정방지수단은 오토볼트의 로드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오토볼트의 로드 후단에 위치됨과 동시에 주회동캠의 타측에 돌출된 캠돌기와 상호 접촉된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고정되는 락킹스토퍼와;
    상기 힌지에 권취된 상태로 양단이 락킹스토퍼의 내부 상단 및 회동 복귀되는 락킹스토퍼의 하단 일측을 지지하는 결합보스에 각각 결착되는 스프링과;
    상기 로드 후단의 가압단턱부와 대응되도록 락킹스토퍼의 하단 중앙에 끼움 결합되며, 도어 열림에 따른 하우징 외부로 오토볼트의 돌출 시 이와 동일방향으로 이송되는 로드 후단의 가압단턱부에 의해 가압력이 작용되어 랫치작동브라켓의 일측 하단으로부터 락킹스토퍼가 하향 회동되면서 락킹이 해제되거나, 또는 도어 닫힘에 따른 하우징 내측으로 오토볼트의 삽입 시 이와 동일방향으로 이송되는 로드 후단의 가압단턱부로부터 이탈되어 가압력이 해제된 락킹스토퍼가 스프링력에 의해 랫치작동브라켓의 일측 하단으로 상향 회동되면서 락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압작용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용 모티스.
KR1020100137400A 2010-12-29 2010-12-29 도어락용 모티스 KR101017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400A KR101017417B1 (ko) 2010-12-29 2010-12-29 도어락용 모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400A KR101017417B1 (ko) 2010-12-29 2010-12-29 도어락용 모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7417B1 true KR101017417B1 (ko) 2011-02-28

Family

ID=43777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7400A KR101017417B1 (ko) 2010-12-29 2010-12-29 도어락용 모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4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89083A (zh) * 2011-11-07 2013-05-08 松下电气机器(北京)有限公司 一种地铁应急门横向锁机构
KR101881042B1 (ko) * 2017-08-22 2018-07-24 주식회사 비욘스틸앤글라스 도어 잠금장치
CN114448176A (zh) * 2021-12-09 2022-05-06 华能青岛热电有限公司 一种发电机智能测量采样设备的固定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795B1 (ko) 2000-12-30 2004-04-08 광 섭 임 도어용 시건장치
KR100749697B1 (ko) 2006-09-11 2007-08-16 (주)코이시스템 디지털 도어록
KR100811246B1 (ko) 2006-09-20 2008-03-07 주식회사 아이리스 디지털도어록용 잠금장치
KR100873401B1 (ko) 2007-05-10 2008-12-11 주식회사 수퍼락 푸시풀 도어락용 모티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795B1 (ko) 2000-12-30 2004-04-08 광 섭 임 도어용 시건장치
KR100749697B1 (ko) 2006-09-11 2007-08-16 (주)코이시스템 디지털 도어록
KR100811246B1 (ko) 2006-09-20 2008-03-07 주식회사 아이리스 디지털도어록용 잠금장치
KR100873401B1 (ko) 2007-05-10 2008-12-11 주식회사 수퍼락 푸시풀 도어락용 모티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89083A (zh) * 2011-11-07 2013-05-08 松下电气机器(北京)有限公司 一种地铁应急门横向锁机构
CN103089083B (zh) * 2011-11-07 2015-02-04 松下电气机器(北京)有限公司 一种地铁应急门横向锁机构
KR101881042B1 (ko) * 2017-08-22 2018-07-24 주식회사 비욘스틸앤글라스 도어 잠금장치
CN114448176A (zh) * 2021-12-09 2022-05-06 华能青岛热电有限公司 一种发电机智能测量采样设备的固定装置
CN114448176B (zh) * 2021-12-09 2023-11-28 华能青岛热电有限公司 一种发电机智能测量采样设备的固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6761B2 (en) Keypad lockset
KR100873401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모티스
KR101017417B1 (ko) 도어락용 모티스
US20200056403A1 (en) Lock with a lockable push-through latch
KR100872687B1 (ko) 레버형 도어록의 잠금버튼
US20040050119A1 (en) Lock mechanism
KR100996594B1 (ko) 강제해정수단이 구비된 데드볼트 전자잠금장치
KR20070068640A (ko) 자동잠김 기능을 갖는 전기정
US6449994B1 (en) Doorlock for an all-glass door with fixed glass side panel
KR100972114B1 (ko) 강제해정수단이 구비된 데드볼트 전자석 도어락
KR200447937Y1 (ko) 강제해정 방지수단이 마련된 내측 손잡이
AU2011245881B2 (en) Door lock drive assembly
US7131673B2 (en) Electromechanical keeper
KR100874595B1 (ko) 패닉디바이스
KR200428164Y1 (ko) 구동모타를 내장한 도어록 모티스
KR101198086B1 (ko) 도어락 모티스
KR101777640B1 (ko) 개선된 내부구조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JP4171089B2 (ja) 錠装置
KR101088939B1 (ko) 전기정 스트라이크
KR100806623B1 (ko) 도어락용 양방향 잠금장치
JP4344723B2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KR20030091018A (ko) 해정으로만 개방되는 상자형 도어록
US1060251A (en) Door or window fastener.
KR101043620B1 (ko) 강제해정수단이 구비된 도어용 전자잠금장치
JP4166006B2 (ja) 収納家具の鎖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