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7386B1 -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 감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 감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7386B1
KR101017386B1 KR1020090052435A KR20090052435A KR101017386B1 KR 101017386 B1 KR101017386 B1 KR 101017386B1 KR 1020090052435 A KR1020090052435 A KR 1020090052435A KR 20090052435 A KR20090052435 A KR 20090052435A KR 101017386 B1 KR101017386 B1 KR 101017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voltage
input
digital input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3737A (ko
Inventor
노재근
이돈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090052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386B1/ko
Publication of KR20100133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3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03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for measuring voltage only, e.g. digital volt meters (DV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1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xcess voltage, e.g. for lightning pro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계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을 감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 감시장치는, 디지털 입력(Digital Input)의 DC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115)와, 상기 검출된 디지털 입력의 DC전압을 임계값과 비교하여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디지털 입력을 이용하여 연산을 수행하는 연산부(130), 그리고 상기 연산부(130)로부터 연산 결과를 입력받아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동작에 대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출력부(16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 감시장치에 따르면, DC 배터리반의 전압을 감시요소로 운용함으로써 디지털 입력 전압의 건전 유무에 따라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는 장점이 있다.
Figure R1020090052435
디지털 보호계전장치, 차단기, 디지털입력, DC전압

Description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 감시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AN INPUT VOLTAGE OF A DIGITAL PROTECTION RELAY}
본 발명은 보호계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을 감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력 수용가에서 운용되는 각종 전기기기를 보호하고, 차단기와 개폐기 등과 같은 제어기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수배전반에서 일어나는 각종 고장을 감지하여 보호기능을 수행하는 보호계전장치가 필요하다. 전력 계통 보호 시스템의 기본적 구성요소인 보호계전기는 계통의 고장 시 고장구간을 설비의 손실없이 차단하고, 절체하여 전력 수급의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보호계전기는 20세기 후반 기조의 아날로그 형태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형태로 세대교체를 시작하였고, 현재에는 대부분의 계통 보호 및 감시 제어용으로 디지털 보호계전기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디지털 보호 계전장치는 수배전반의 각종 전기량을 감지하고 정상운전시의 값과 비교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벗어난 경우에 보호하고자 하는 해당 대상물을 전력원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각종 차단기, 개폐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안정된 전력공급을 위해 대규모 전력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공장, 빌딩, 공공건물 등에서는 상기 디지털 보호계전장치가 탑재된 수배전반이 설치된다. 특히 디지털 보호계전장치는 1A 이하의 저전류, 10V 이하의 저전압에서부터 수백A, 수백V 까지의 전 범위에서도 선로의 전압,전류를 왜곡 없이 검출하여 정확하게 동작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디지털 보호계전장치는 중앙처리장치(CPU) 및 각종 메모리(ROM, RAM) 등과 같은 디지털 소자들이 인쇄회로기판(PCB:Printed Circuit Board)에 장착되어 구성된다.
현재 변전소는 디지털 보호계전기를 전력계통 보호시스템에 적용하고 있고, 경제성을 기반으로 디지털 입력 및 디지털 출력을 통한 Logic Sequence를 구현하여 운용함으로써 신뢰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설비 전체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운영 시스템은 기본 기능의 HMI(Human-Man Interface)만을 제공하고, 안정성을 이유로 더욱 구체적인 방식은 적용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배전반 Logic의 구성 시 DC전원을 통한 디지털 입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보호계전기의 DC전원보다 높은 전압레벨이 요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디지털 입력 DC전압이 DC 배터리반 정격의 90%보다 작으면서 계전기 유효 DC 전원(일반적으로 정격의 80%)보다는 큰 경우, 디지털 입력을 이용한 연락 차단 감시기능 등의 감시, 제어기능의 신뢰성이 저하된다. 예컨대, 보호계전기의 최저 전압 입력값은 DC 75 V이고, 디지털 입력의 최저 정격 전압 입력값이 DC 80 V인 경우, 디지털 입력 DC전압이 75 이상 80 V 미만인 경우, 디지털 입력을 이용한 보 호계전기의 동작에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DC 배터리반의 전압을 감시요소로 운용함으로써 DC 전원의 자기감시가 가능하고, 보호계전기의 감시, 제어기능의 신뢰성이 향상된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 감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 감시장치는, 디지털 입력(Digital Input)의 DC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디지털 입력의 DC전압을 임계값과 비교하여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디지털 입력을 이용하여 연산을 수행하는 연산부, 그리고 상기 연산부로부터 연산 결과를 입력받아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동작에 대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압검출부는, 차단기에 연결된 디지털 입력단으로부터 CB Close DI 및 CB Open DI의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채널을 할당하는 멀티플렉서(MUX)와, 상기 멀티플렉서에 의해 할당된 채널을 이용하여 CB Close DI 및 CB Open DI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입력의 DC전압을 검출하는 A/D컨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임계값은, 디지털 보호계전기가 디지털 입력을 이용하여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최저 DC전압이다.
상기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 감시장치는 상기 연산부의 연산 결과 사 고 또는 위험이 감지된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 감시방법은 (a) 디지털 입력(Digital Input)의 DC전압을 검출하는 단계와, (b) 상기 검출된 디지털 입력의 DC전압을 임계값과 비교하여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디지털 입력을 이용하여 연산을 수행하는 단계, 그리고 (c) 연산 결과를 입력받아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동작에 대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된다.
상기 (a) 단계는, 멀티플렉서(MUX)에 의해 할당된 채널을 이용하여 CB Close DI 및 CB Open DI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입력의 DC전압을 검출하는 A/D컨버터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임계값은, 디지털 보호계전기가 디지털 입력을 이용하여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최저 DC전압이다.
상기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 감시방법은, (d) 연산 결과 사고 또는 위험이 감지된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 감시장치에 따르면, DC 배터리반의 전압을 감시요소로 운용함으로써 디지털 입력 전압의 건전 유무에 따라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 감시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디지털 입력 전압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압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디지 털 입력을 이용함으로써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감시 및 제어 기능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력 계통의 안정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 감시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력계통의 송ㆍ배전선(L)에 디지털 보호계전기(이하, '계전기'라 약칭함)(100)가 연결된다. 상기 송ㆍ배전선(L)과 보호계전기(100) 사이에는 변압기(PT)(101) 및 변류기(CT)(102)가 설치된다. 상기 변압기(101)는 상기 송ㆍ배전선(L)에 흐르는 전압값을 검출하고, 상기 변류기(102)는 상기 송ㆍ배전선(L)에 흐르는 전류값을 검출한다. 상기 변압기(101)와 변류기(102)에 의해 검출되는 전압 및 전류는 아날로그 신호이다.
그리고 상기 계전기(100)에는 상기 변압기(101)와 변류기(102)에 의해 검출된 아날로그 신호의 전압값 및 전류값을 처리하기 위한 아날로그 입력부(110)가 구비된다. 상기 아날로그 입력부(110)에는 상기 변압기(101)와 변류기(102)에서 검출된 값을 일정 값으로 변환하는 입력변환부(11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변환부(111)에 의해 변환된 값을 필터링하는 저역통과필터(Low-Pass Filter)(112)와 상기 필터링된 아날로그 신호를 계전기(100) 내부에서 처리 가능한 아날로그 신호로 스케일링하는 연산증폭기(113), 그리고 상기 증폭된 신호를 처리하는 멀티플렉서(116) 및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117)가 순서대로 연결된다.
상기 계전기(100)에는 상기 A/D변환된 직류 전원값과 메모리(RAM)(150b)에 미리 저장된 설정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트립신호를 블로킹하도록 제어하는 연산 CPU(130)가 구비된다. 통상 계전기(100)에는 연산 CPU(130)와 메인 CPU(140)가 각각 구비되는데, 상기 연산 CPU(130)는 아날로그 입력, 디지털 입력과 롬(ROM)(150a)에 저장된 연산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보호 및 계측 작업에 필요한 각종 연산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CPU(140)는 통신 및 각종 데이터를 관리하며 디스플레이와 키 입력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연산 CPU(130)가 직류 전원값과 설정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트립신호를 블로킹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연산 CPU(130)에 의해 제어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기능에 따라 메인 CPU(140)가 대신할 수도 있다.
상기 계전기(100)에는 각종 메모리(ROM, RAM, DPRAM, NVRAM)(150a, 150b, 150c, 150d)가 구비된다. 롬(150a)에는 펌웨어의 저장 및 수행에 사용되는 알고리즘 및 로직 프로그램 등이 저장된다. 그리고 램(150b)은 각종 데이터 저장에 사용된다. 즉 설정값 등이 저장된다. 상기 설정값은 연산증폭기(113)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값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직류전원의 샘플 데이터의 기울기 값, 직류전원의 크기 값, 연산 증폭기(113)의 최소동작전압 및 최대동작전압 값 등을 말할 수 있다. NVRAM(150c)은 정전시에도 자체 배터리에 의해 데이터 유지를 목적 으로 사용된다. DPRAM(150d)은 2개의 독립된 버스 사이에서 각각의 버스에 영향을 주지않고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계전기(100)에는 디지털입력부(DI)(160a) 및 디지털출력부(DO)(160b)가 구비된다. 상기 디지털입력부(160a)는 차단기(CB)(170)의 디지털 출력인 'CB ON', 'CB OFF' 및 배전 판넬의 각종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연산 CPU(130)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디지털입력부(160a)는 두 개의 디지털 입력단에 의해 상기 차단기(170)와 연결된다.
상기 두 개의 디지털 입력단은 각각 차단기 개방하의 디지털 입력(이하, "CB Open DI"라 함)와 차단기 폐쇄하의 디지털 입력(이하, "CB Close DI"라 함)의 입력단이다. 상기 두 개의 디지털 입력단은 디지털 입력의 DC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검출부(115)에 연결된다. 상기 전압검출부(115)는 상기 차단기(170)에 연결된 디지털 입력단으로부터 CB Close DI 및 CB Open DI의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채널을 할당하는 멀티플렉서(MUX)(116)와 상기 멀티플렉서(116)에 의해 할당된 채널을 이용하여 CB Close DI 및 CB Open DI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입력의 DC전압을 검출하는 A/D컨버터(117)로 구성된다.
상기 A/D컨버터(117)에 의해 A/D변환된 디지털 입력 DC전압은 상기 연산 CPU(130)에 전달되고, 상기 연산 CPU(130)는 상기 디지털 입력 DC전압을 상기 메모리(RAM)(150b)에 저장된 임계값과 비교한다. 이때, 상기 디지털 입력 DC전압이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디지털 입력을 이용한 오동작 감지 및 보호기능의 수행을 중단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입력 DC전압의 이상을 알리는 신호를 전달한 다. 한편, 상기 디지털 입력 DC전압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연산 CPU(130)는 디지털 입력을 이용한 고장 감지 및 보호기능의 수행을 위한 연산 및 제어를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임계값은 DC 배터리반 정격의 90% 이상으로 설정된다. 이는 디지털 입력 DC전압이 상기 임계값보다 작으면서 계전기 유효 DC 전원(일반적으로 정격의 80%)보다는 큰 경우, 상기 디지털 입력을 이용한 연락 차단 감시기능 등의 감시, 제어기능의 신뢰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즉, 상기 디지털 입력의 DC전압이 상기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만 디지털 입력을 이용한 감시, 제어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연산 CPU(130)에 의해 사고 또는 위험이 감지된 경우와 상기 검출된 디지털 입력의 DC전압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 경보발생부(175)는 경보를 발생시켜 관리자에게 현재 상태를 알린다.
그리고 상기 계전기(100)에는 상위 컴퓨터와 통신하는 통신장치(180)가 구비된다. 또 도면부호 190은 메인CPU(140)에 의해 통신장치(180)를 이용하여 상위 컴퓨터와 통신을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통신드라이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변압기(101)와 변류기(102)에 의해 검출되는 전압값 및 전류값 이외에 상기 디지털 입력 DC전압을 추가로 측정하여 임계값과 비교하는 것은 외부 디지털 입력의 전압을 감시함으로써 계전기(100)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종래의 디지털 보호계전기는 DC 배터리반 전압의 건전 유무에 따라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구 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 감시장치에 따르면, DC 배터리반의 전압을 감시요소로 운용함으로써 DC 전원의 자기감시 기능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 감시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 감시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 감시방법은 차단기와 연결된 디지털 입력단으로부터 CB Close DI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S100).
다음으로, 차단기와 연결된 디지털 입력단으로부터 CB Open DI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S110).
이어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CB Close DI 전압이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이때, 상기 CB Close DI 전압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 130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CB Close DI 전압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제 140 단계를 수행한다.
제 12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CB Close DI 전압이 검출되지 않으면, CB Open DI 전압이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 이때, 상기 CB Open DI 전압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제 140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CB Open DI 전압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 160 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제 120 단계 또는 제 130 단계에서 CB Open DI 전압 또는 CB Close DI 전압이 검출되면, 상기 검출된 디지털 입력 DC전압을 임계값과 비교한다(S140). 이때, 상기 디지털 입력 DC전압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 150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디지털 입력 DC전압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는 제 160 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임계값은 DC 배터리반 정격의 90% 이상으로 설정된다. 이는 디지털 입력 DC전압이 상기 임계값보다 작으면서 계전기 유효 DC 전원(일반적으로 정격의 80%)보다는 큰 경우, 상기 디지털 입력을 이용한 연락 차단 감시기능 등의 감시, 제어기능의 신뢰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즉, 상기 디지털 입력의 DC전압이 상기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만 디지털 입력을 이용한 감시, 제어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어서, 제 14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디지털 입력 DC전압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디지털 입력을 이용하여 보호, 계측, 제어기능을 위한 Logic을 수행한다(S150).
그리고 제 14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디지털 입력 DC전압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디지털 입력을 이용한 Logic을 차단하고, 관련 요소를 초기화한다(S160). 이는 디지털 입력 DC전압이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디지털 입력을 이용한 연락 차단 감시기능 등의 보호, 계측, 제어기능의 신뢰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상기 디지털 입력을 이용한 Logic을 차단하고, 관련 요소를 초기화한 이후 디지털 입력 전압의 이상을 관리자에게 알리는 경보를 발생시킨다(S170).
이어서, 제 150 단계 또는 제 170 단계를 수행한 이후,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 감시방법은 CB Close DI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S100)를 재수행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 감시방법에 따르면, DC 배터리반의 전압을 감시요소로 운용함으로써 DC 전원의 자기감시 기능이 가능하고,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감시 및 제어 기능의 신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전력 계통의 안정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블록 구성도.
도 2에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 감시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디지털 보호계전기 101: 변압기(PT)
102: 변류기(CT) 110: 아날로그 입력부
111: 입력변환부 112: 저역통과필터(LPF)
113: 연산증폭기(OP-AMP) 115: 전압검출부
116: 멀티플렉서(MUX) 117: A/D컨버터
130: 연산 CPU 140: 메인 CPU
150a: ROM 150b: RAM
150c: DPRAM 150d: NVRAM
160a: 디지털입력부(DI) 160b: 디지털출력부(DO)
170: 차단기(CB) 175: 경보발생부
180: 통신장치 190: 통신드라이버

Claims (8)

  1. 디지털 입력(Digital Input)의 DC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디지털 입력의 DC전압을 임계값과 비교하여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디지털 입력을 이용하여 연산을 수행하는 연산부; 그리고
    상기 연산부로부터 연산 결과를 입력받아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동작에 대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 감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검출부는,
    차단기에 연결된 디지털 입력단으로부터 CB Close DI 및 CB Open DI의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채널을 할당하는 멀티플렉서(MUX)와;
    상기 멀티플렉서에 의해 할당된 채널을 이용하여 CB Close DI 및 CB Open DI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입력의 DC전압을 검출하는 A/D컨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 감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디지털 보호계전기가 디지털 입력을 이용하여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하기 위 한 최저 DC전압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 감시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 감시장치는,
    상기 검출된 디지털 입력의 DC전압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와, 상기 연산부의 연산 결과 사고 또는 위험이 감지된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 감시장치.
  5. (a) 디지털 입력(Digital Input)의 DC전압을 검출하는 단계와;
    (b) 상기 검출된 디지털 입력의 DC전압을 임계값과 비교하여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디지털 입력을 이용하여 연산을 수행하는 단계; 그리고
    (c) 연산 결과를 입력받아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동작에 대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 감시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멀티플렉서(MUX)에 의해 할당된 채널을 이용하여 CB Close DI 및 CB Open DI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입력의 DC전압을 검출하는 A/D컨버터에 의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 감시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디지털 보호계전기가 디지털 입력을 이용하여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최저 DC전압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 감시방법.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 감시방법은,
    (d) 상기 검출된 디지털 입력의 DC전압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와, 상기 연산 결과 사고 또는 위험이 감지된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 감시방법.
KR1020090052435A 2009-06-12 2009-06-12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 감시장치 및 방법 KR101017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435A KR101017386B1 (ko) 2009-06-12 2009-06-12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 감시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435A KR101017386B1 (ko) 2009-06-12 2009-06-12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 감시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737A KR20100133737A (ko) 2010-12-22
KR101017386B1 true KR101017386B1 (ko) 2011-02-28

Family

ID=43508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435A KR101017386B1 (ko) 2009-06-12 2009-06-12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 감시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3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199B1 (ko) * 2016-04-27 2023-11-01 엘에스일렉트릭(주) 모터 보호 계전기 및 모터 보호 시스템
KR102504934B1 (ko) * 2018-05-08 2023-02-28 엘에스일렉트릭(주) 입력 전압 감시를 통한 계전 오동작 방지가 가능한 모터 보호 계전기 및 이의 구동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9681A (ja) * 1994-11-24 1996-06-07 Fuji Electric Co Ltd デジタル形保護リレーのa/d変換部監視装置
KR20000056297A (ko) * 1999-02-19 2000-09-15 이종훈 트립 회로 감지기
JP2005057927A (ja) 2003-08-06 2005-03-03 Tm T & D Kk ディジタル保護リレーの制御装置
KR20050047327A (ko) * 2003-11-17 2005-05-20 주식회사 효성 디지털 계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9681A (ja) * 1994-11-24 1996-06-07 Fuji Electric Co Ltd デジタル形保護リレーのa/d変換部監視装置
KR20000056297A (ko) * 1999-02-19 2000-09-15 이종훈 트립 회로 감지기
JP2005057927A (ja) 2003-08-06 2005-03-03 Tm T & D Kk ディジタル保護リレーの制御装置
KR20050047327A (ko) * 2003-11-17 2005-05-20 주식회사 효성 디지털 계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737A (ko)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4088B (zh) Digital protection relays, digital protection relays test equipment and digital protection relays test method
EP2482409B1 (en) DC Arc fault detection and protection
KR101003814B1 (ko) 전기적회로 이상감지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및 그 제어방법
EP3001535A1 (en) Protection control system for process bus, merging unit, and computation device
JP2013172524A (ja) ネットワーク監視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監視方法
KR101017386B1 (ko)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 감시장치 및 방법
JP6509029B2 (ja) 分電盤
KR20230136909A (ko)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1302068B1 (ko) 통합형 전철제어반 glds
CN113589024A (zh) 冗余系统单套交流电压测量异常的快速检测方法及装置
CN110596529A (zh) 柔性直流电网对地绝缘故障检测装置及系统
KR102308824B1 (ko)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
EP3460935B1 (en) Method and system for feeder protection in electrical power network
EP3021441B1 (en) Selective event reaction processing in power control
KR100940313B1 (ko) 확장된 자기 감시 기능을 갖는 디지털 보호계전기 및 그의 오동작 방지 방법
KR102017629B1 (ko) 변전 설비 보호를 위한 보호 계전 시스템
DE102016212944A1 (de) Energieverteilungssystem
JP2004328886A (ja) 自動監視回路
KR101108324B1 (ko) 디지털 출력모듈의 통전전류 감시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21653A (ko) 보호계전기
KR20140122484A (ko) 배전 감시진단보호 시스템
KR101376658B1 (ko) 디지털 보호 계전기용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고장 진단장치
CN110366765B (zh) 断路器
CN210957762U (zh) 三相供配电系统接入总电出错报警电路及三相供配电系统
WO2023042344A1 (ja) 保護・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