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824B1 -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8824B1
KR102308824B1 KR1020170094739A KR20170094739A KR102308824B1 KR 102308824 B1 KR102308824 B1 KR 102308824B1 KR 1020170094739 A KR1020170094739 A KR 1020170094739A KR 20170094739 A KR20170094739 A KR 20170094739A KR 102308824 B1 KR102308824 B1 KR 102308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board
temperature
humidity
internal
dew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1967A (ko
Inventor
임상혁
옥승훈
반영규
Original Assignee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filed Critical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170094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824B1/ko
Publication of KR20190011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반 내부 표면에 대한 결로 진단 및 예방이 가능한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은 배전반의 내부, 외부 및 내부 기기 표면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 변화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환경 변화 정보를 입력받아 전달하는 I/O 모듈, 상기 I/O 모듈로부터 환경 변화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배전반의 결로를 진단하는 메인 제어부,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배전반의 환경 변화를 조정하여 결로를 예방하는 결로 예방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FOR DISTRIBUTION PANEL HAVING FUNCTION PROTECTING DEWFALL}
본 발명은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장치라 함은, 분·배전반, 저압반, 고압반, 변압반 등을 통칭하는 것으로, 주로 차단기나 마그네틱과 같은 전력소자가 구비되어 외부의 전력을 개폐하거나 제어하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의 여러 전력장치 중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전력장치인 배전반은, 상대적으로 높은 전력을 안전하게 공급하기 위한 전기설비로서, 일반적으로 박스 형태를 가지고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설치된다. 일반적인 배전반은 케이스 내에 주배선 차단기와 보조배선 차단기 및 누전 차단기 등의 각종 유니트가 설치되고 그 유니트 들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배분하여 각 요소로 재공급함과 동시에 전력공급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배전반에는 각각의 차단기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다수 개의 부스바(bus-bar)가 설치되며, 부스바는 일측이 주차단기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전력을 유도하는 모선부스바와, 모선부스바에 연결되어 분배받은 전력을 각각의 보조차단기에 공급하는 자선부스바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배전반 내부에는 배전 및 배전의 제어에 필요한 계기, 개폐기, 안전장치 등과 같은 주요부품이 구성되고 일반적으로 박스 형태의 케이스로 제작 사용되는데, 배전반이 우천, 설해, 결로, 결빙 등에 노출되는 경우, 습기가 침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습기에 노출되는 부품들의 수명 단축, 오작동, 케이스 부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습기로 인한 전기 합선으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6916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전반 내부 표면에 대한 결로 진단 및 예방이 가능한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은 배전반의 내부 온도, 내부 습도 및 외부 온도 변화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내부 온도 및 습도 변화 정보 및 외부 온도 변화 정보 각각을 입력받아 전달하는 I/O 모듈, 상기 I/O 모듈로부터 내부 온도 및 습도 변화 정보 및 외부 온도 변화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배전반의 외함의 결로를 진단하는 메인 제어부,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배전반의 내부 온도 및 습도 변화 및 외부 온도 변화를 조정하여 상기 배전반의 외함의 결로를 예방하는 결로 예방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은 배전반의 내부 온도, 내부 습도 및 내부 기기의 표면 온도의 변화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내부 온도 및 습도 변화 정보 및 내부 기기의 표면 온도 변화 정보 각각을 입력받아 전달하는 I/O 모듈, 상기 I/O 모듈로부터 내부 온도 및 습도 변화 정보 및 내부 기기의 표면 온도 변화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배전반 내부 기기의 결로를 진단하는 메인 제어부,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배전반의 내부 온도 및 습도 변화 및 내부 기기의 표면 온도 변화를 조정하여 상기 배전반의 내부 기기의 결로를 예방하는 결로 예방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은 배전반의 내부 온도, 내부 습도, 외부 온도 및 외부 습도의 변화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내부 온도 및 습도 변화 정보와 외부 온도 및 습도 변화 정보 각각을 입력받아 전달하는 I/O 모듈, 상기 I/O 모듈로부터 내부 온도 및 습도 변화 정보와 외부 온도 및 습도 변화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배전반의 외함 및 내부 기기의 결로를 진단하는 메인 제어부,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배전반의 내부 온도 및 습도 변화 정보와 외부 온도 및 습도 변화 정보를 조정하여 상기 배전반의 외함 및 내부 기기의 결로를 예방하는 결로 예방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은 배전반의 내부, 외부 및 내부 기기 표면의 환경 변화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환경 변화 정보 각각을 입력받아 전달하는 I/O 모듈, 상기 I/O 모듈로부터 환경 변화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배전반의 결로를 진단하는 메인 제어부,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배전반의 환경 변화를 조정하여 결로를 예방하는 결로 예방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전반이 계획된 성능과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배전반 설비의 보수, 점검, 정비 외에도 사용 합리화를 위한 유지, 관리, 운용 등 배전반의 장수명화, 이력관리 효율화가 가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플로우 챠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의 결로 진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100)은 배전반의 결로를 진단 및 예방하기 위해 배전반에 구비된 센서부(110)와, I(input)/O(output) 모듈(120) 및 메인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전반 내부에는 보호 계전기 배전 변압기, 중전압 차단기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1과 함께,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100)은 센서부(110), I(input)/O(output) 모듈(120), 메인 제어부(130), 결로 예방 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고, 기타 예방 진단 모듈(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내부 온도 센서(111), 내부 습도 센서(112), 표면 온도 센서(113), 외부 온도 센서(114) 및 외부 습도 센서(115) 중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이 배전반의 외함의 결로를 감시하는 실시형태인 경우, 센서부(110)는 내부 온도 센서(111), 내부 습도 센서(112) 및 외부 온도 센서(114)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이 배전반의 내부기기의 결로를 감시하는 실시형태인 경우, 센서부(110)는 내부 온도 센서(111), 내부 습도 센서(112) 및 표면 온도 센서(1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이 배전반의 내외부의 습도 변화량을 통해 결로를 감시하는 실시형태인 경우, 센서부(110)는 내부 온도 센서(111), 내부 습도 센서(112), 외부 온도 센서(114) 및 외부 습도 센서(1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이 내부, 외부 및 내부 기기 표면의 환경 변화에 따른 결로를 감시하는 실시형태인 경우, 센서부(110)는 내부 온도 센서(111), 내부 습도 센서(112), 표면 온도 센서(113), 외부 온도 센서(114) 및 외부 습도 센서(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이 내부, 외부 및 내부 기기 표면의 환경 변화에 따른 결로를 감시하는 실시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내부 온도 센서(111)는 상기 배전반의 내부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고, 내부 습도 센서(112)는 상기 배전반의 내부의 습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표면 온도 센서(113)는 상기 배전반의 내부 기기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배전반의 내부 기기는 도체부, 절연물 등일 수 있다.
외부 온도 센서(114)는 상기 배전반의 외부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고, 외부 습도 센서(115)는 상기 배전반의 외부의 습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부(110)의 내부 온도 센서(111), 내부 습도 센서(112), 표면 온도 센서(113), 외부 온도 센서(114) 및 외부 습도 센서(115)에 의해 검출된 온도 변화 정보, 습도 변화 정보는 각각 I/O 모듈(120)에 전달될 수 있다.
I/O 모듈(120)은 센서부(110)의 각 센서로부터의 검출된 온도 변화 정보, 습도 변화 정보와, 상기 배전반의 내부 기기, 예를 들어 보호 계전기, 배전변압기 중전압 차단기 등의 입력 또는 출력의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메인 제어부(130)에 전달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30)는 I/O 모듈(120)로부터의 배전반의 온도 및 습도 변화 정보와 입력 또는 출력의 전기 신호 등을 전달받아 이에 기초하여 상기 배전반의 결로 진단 및 예방을 제어할 수 있다.
결로 예방 모듈(140)은 히터, 팬, 제습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메인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배전반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정하여 결로를 예방할 수 있다.
더하여, 기타 예방 진단 모듈(150)은 배전반의 내부 기기의 열화상 이미지 또는 부분 방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I/O 모듈(120)에 전달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30)는 I/O 모듈(120)로부터 전달받은 배전반의 내부 기기의 열화상 이미지 또는 부분 방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로 진단 및 예방에 더하여 배전반의 절연 안전 이상 여부를 진단 또는 예방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플로우 챠트이다.
도 2와 함께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100)은 먼저, 센서부(110)의 내부 온도 센서(111), 내부 습도 센서(112), 외부 온도 센서(114) 및 외부 습도 센서(115) 각각은 배전반의 내부 또는 외부의 온도 변화 및 습도 변화를 검출하여 각각 온도 변화 정보 및 습도 변화 정보를 메인 제어부(130)에 전달할 수 있다(S10).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부(110)에 검출된 온도 변화 정보 및 습도 변화 정보는 I/O 모듈(120)을 통해 메인 제어부(130)에 전달될 수 있다.
즉, 센서부(110)의 내부 온도 센서(111), 내부 습도 센서(112), 외부 온도 센서(114) 및 외부 습도 센서(115) 각각은 배전반의 내부 또는 외부의 온도 변화 및 습도 변화를 검출하고(S11,S12), 메인 제어부(130)는 검출된 정보에 따라 배전반의 결로 감시를 수행할 수 있다(S20).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 제어부(130)는 배전반의 어느 부분에 결로 감시를 수행할지 결정하여(S21), 배전반 내부의 부스바 또는 절연물의 결로를 감시할지(S22) 또는 배전반 외함의 결로를 감시할지(S23) 결정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30)는 센서부(110)의 내부 습도 센서(112) 및 외부 습도 센서(115)로부터의 검출된 정보에 따라 내부 습도 및 외부 습도의 변화량을 검출하고(S30), 결로 감시를 수행하고자 하는 배전반의 해당 부분의 결로발생온도인 노점 온도를 계산할 수 있다(S40).
한편, 메인 제어부(130)가 배전반 외함의 결로를 감시하고자 하는 경우, 배전반의 외함 표면 온도와 외부 온도차를 적게하기 위해서, 내부 온도차가 임계값 이하인 지를 판단할 수 있다(S50).
메인 제어부(130)는 상기 내부 온도차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계산된 노점온도를 보정한 후(S60), 표면 온도와 보정된 노점온도를 비교하고, 상기 내부 온도차가 상기 임계값 이하인 경우, 표면 온도와 계산된 노점온도를 비교할 수 있다(S70).
이후, 메인 제어부(130)는 사전에 설정된 결로 진단 알고리즘 동작을 수행하고(S80), 메인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결로 예방 모듈(140)은 결로 예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9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의 결로 진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와 함께,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100)의 메인 제어부(130)는 배전반의 내부 및 외부의 온도변화, 습도변화와 도체부 및 절연물의 표면 온도의 변화에 따라 도체부 및 절연물의 표면에 대한 결로진단 및 예방이 가능하여, 배전반 주요 부분에 결로 발생 시 절연 성능 저하 및 사고 발생의 위험성 증대를 예방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30)는 결로 및 다른 예방진단 기능에 대해 시간기준관리(TBM : Time Base Maintenace), 상태기준관리(CBM : Condition Based Maintenace), 예방 정비(PM : Preventive Maintenance), 위험도기준정비(RBM : Risk Based Maintenace)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와 함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메인 제어부(130)는 배전반 주요 부분에 결로 및 다른 예방진단을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유의-경고-긴급-보수의 5단계의 결로 진단 알고리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시된 5단계에서 TP는 배전반 내부 공기 온도, DP는 노점 온도, RH는 배전반 내부 상대 습도를 의미한다.
먼저, 메인 제어부(130)는 배전반 내부 공기 온도(TP)가 계산된 또는 보정된 노점 온도(DP)보다 8℃ 이상이거나, 배전반 내부 상대 습도(RH)가 65% 이하이면 안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일 배전반 내부 공기 온도(TP)가 계산된 또는 보정된 노점 온도(DP)보다 8℃ 이하이거나, 배전반 내부 상대 습도(RH)가 65% 이상이면, 메인 제어부(130)는 배전반 내부 공기 온도(TP)가 계산된 또는 보정된 노점 온도(DP)보다 4℃ 이상 8℃ 이하이고, 예를 들어 10분 동안 배전반 내부 공기 온도(TP)가 계산된 또는 보정된 노점 온도(DP)보다 4℃ 이상이거나, 배전반 내부 상대 습도(RH)가 65% 이상 85% 이하이고, 예를 들어 10분 동안 배전반 내부 상대 습도(RH)의 증가를 나타내는 기울기가 10% 이상이면, 유의단계로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유의 단계에도 해당되지 않고, 배전반 내부 공기 온도(TP)가 계산된 또는 보정된 노점 온도(DP)보다 0℃ 이상 4℃ 이하이고, 예를 들어 10분 동안 배전반 내부 공기 온도(TP)가 계산된 또는 보정된 노점 온도(DP)보다 4℃ 이상이거나, 배전반 내부 상대 습도(RH)가 85% 이상 95% 이하이고, 예를 들어 10분 동안 배전반 내부 상대 습도(RH)의 증가를 나타내는 기울기가 10% 이상이면, 메인 제어부(130)는 경고 단계로 판단하여, 결로 예방 모듈(140) 중 히터만 동작시킬 수 있다.
상술한 경고 단계에도 해당되지 않고 배전반 내부 공기 온도(TP)가 계산된 또는 보정된 노점 온도(DP)와 같고, 예를 들어 10분 동안 배전반 내부 공기 온도(TP)가 계산된 또는 보정된 노점 온도(DP)보다 0.5℃ 이하이거나, 배전반 내부 상대 습도(RH)가 95% 이상이고, 예를 들어 10분 동안 배전반 내부 상대 습도(RH)의 증가를 나타내는 기울기가 10% 이상이면, 메인 제어부(130)는 긴급 단계로 판단하여, 결로 예방 모듈(140) 중 히터와 팬을 동시에 가동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술한 긴급 단계에도 해당되지 않고, 배전반 내부 공기 온도(TP)가 계산된 또는 보정된 노점 온도(DP)보다 낮거나, 배전반 내부 상대 습도(RH)가 100% 이면, 메인 제어부(130)는 보수 단계로 판단하여, 결로 예방 모듈(140) 중 히터와 팬을 동시에 가동시키고 예를 들어 24시간 동안 감시 후에도 변화가 없을 경우에는 배전반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반이 계획된 성능과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배전반 설비의 보수, 점검, 정비 외에도 사용 합리화를 위한 유지, 관리, 운용 등 배전반의 장수명화, 이력관리 효율화가 가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 배전반 관리 시스템
110: 센서부
111: 내부 온도 센서
112: 내부 습도 센서
113: 표면 온도 센서
114: 외부 온도 센서
115: 외부 습도 센서
120: I/O 모듈
130: 메인 제어부
140: 결로 예방 모듈
150: 기타 예방 진단 모듈

Claims (20)

  1. 배전반의 내부 온도, 내부 습도 및 외부 온도 변화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내부 온도 및 습도 변화 정보 및 외부 온도 변화 정보 각각을 입력받아 전달하는 I/O 모듈;
    상기 I/O 모듈로부터 내부 온도 및 습도 변화 정보 및 외부 온도 변화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배전반의 외함의 결로를 진단하는 메인 제어부; 및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배전반의 내부 온도 및 습도 변화 및 외부 온도 변화를 조정하여 상기 배전반의 외함의 결로를 예방하는 결로 예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전달받은 내부 온도 변화 정보 및 외부 온도 변화 정보에 따라 배전반 내부 공기 온도가 계산된 노점 온도 또는 보정된 노점 온도보다 사전에 설정된 제1 온도 이상이거나, 배전반 내부 상대 습도가 사전에 설정된 제1 습도 이하이면 안전으로 진단하고,
    배전반 내부 공기 온도가 계산된 노점 온도 또는 보정된 노점 온도보다 상기 제1 온도 이하이고 상기 제1 온도보다 낮게 설정된 제1 온도 범위 내이거나, 배전반 내부 상대 습도가 상기 제1 습도 이상이고 상기 제1 습도보다 높게 설정된 제1 습도 범위 내이면서 사전에 설정된 제1 증가 기울기 이내이면 유의로 진단하며,
    배전반 내부 공기 온도가 계산된 노점 온도 또는 보정된 노점 온도보다 상기 제1 온도 이하이고 상기 제1 온도 범위외이거나, 배전반 내부 상대 습도가 상기 제1 습도 이상이고 상기 제1 습도 범위 보다 높게 설정된 제2 습도 범위 내이면서 상기 제1 증가 기울기 이상이면 경고로 진단하고,
    배전반 내부 공기 온도가 계산된 노점 온도 또는 보정된 노점 온도와 동일하거나, 배전반 내부 상대 습도가 상기 제2 습도 범위 외이면서 상기 제1 증가 기울기 이상이면 긴급으로 진단하며,
    배전반 내부 공기 온도가 계산된 노점 온도 또는 보정된 노점 온도이하이거나, 배전반 내부 상대 습도가 100%이면 보수로 진단하고,
    상기 결로 예방 모듈은
    상기 메인 제어부로부터 경고 진단 결과를 전달받으면, 히터를 가동시키고,
    상기 메인 제어부로부터 긴급 진단 결과를 전달받으면, 상기 히터 및 팬을 가동시키며,
    상기 메인 제어부로부터 보수 진단 결과를 전달받으면, 상기 히터 및 상기 팬을 가동시키고 일정 시간 후 진단 결과의 변화가 없으면, 상기 배전반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배전반의 내부 온도 변화를 검출하는 내부 온도 센서;
    상기 배전반의 내부 습도 변화를 검출하는 내부 습도 센서; 및
    상기 배전반의 외부 온도 변화를 검출하는 외부 온도 센서
    를 포함하는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배전반의 내부 온도, 내부 습도 및 내부 기기의 표면 온도의 변화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내부 온도 및 습도 변화 정보 및 내부 기기의 표면 온도 변화 정보 각각을 입력받아 전달하는 I/O 모듈;
    상기 I/O 모듈로부터 내부 온도 및 습도 변화 정보 및 내부 기기의 표면 온도 변화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배전반의 내부 기기의 결로를 진단하는 메인 제어부; 및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배전반의 내부 온도 및 습도 변화 및 내부 기기의 표면 온도 변화를 조정하여 상기 배전반의 내부 기기의 결로를 예방하는 결로 예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전달받은 내부 온도 변화 정보 및 외부 온도 변화 정보에 따라 배전반 내부 공기 온도가 계산된 노점 온도 또는 보정된 노점 온도보다 사전에 설정된 제1 온도 이상이거나, 배전반 내부 상대 습도가 사전에 설정된 제1 습도 이하이면 안전으로 진단하고,
    배전반 내부 공기 온도가 계산된 노점 온도 또는 보정된 노점 온도보다 상기 제1 온도 이하이고 상기 제1 온도보다 낮게 설정된 제1 온도 범위 내이거나, 배전반 내부 상대 습도가 상기 제1 습도 이상이고 상기 제1 습도보다 높게 설정된 제1 습도 범위 내이면서 사전에 설정된 제1 증가 기울기 이내이면 유의로 진단하며,
    배전반 내부 공기 온도가 계산된 노점 온도 또는 보정된 노점 온도보다 상기 제1 온도 이하이고 상기 제1 온도 범위외이거나, 배전반 내부 상대 습도가 상기 제1 습도 이상이고 상기 제1 습도 범위 보다 높게 설정된 제2 습도 범위 내이면서 상기 제1 증가 기울기 이상이면 경고로 진단하고,
    배전반 내부 공기 온도가 계산된 노점 온도 또는 보정된 노점 온도와 동일하거나, 배전반 내부 상대 습도가 상기 제2 습도 범위 외이면서 상기 제1 증가 기울기 이상이면 긴급으로 진단하며,
    배전반 내부 공기 온도가 계산된 노점 온도 또는 보정된 노점 온도이하이거나, 배전반 내부 상대 습도가 100%이면 보수로 진단하고,
    상기 결로 예방 모듈은
    상기 메인 제어부로부터 경고 진단 결과를 전달받으면, 히터를 가동시키고,
    상기 메인 제어부로부터 긴급 진단 결과를 전달받으면, 상기 히터 및 팬을 가동시키며,
    상기 메인 제어부로부터 보수 진단 결과를 전달받으면, 상기 히터 및 상기 팬을 가동시키고 일정 시간 후 진단 결과의 변화가 없으면, 상기 배전반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배전반의 내부 온도 변화를 검출하는 내부 온도 센서;
    상기 배전반의 내부 습도 변화를 검출하는 내부 습도 센서; 및
    상기 배전반의 내부 기기 표면의 온도 변화를 검출하는 표면 온도 센서
    를 포함하는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의 내부 기기는 배전반 내부의 도체부, 절연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배전반의 내부 온도, 내부 습도, 외부 온도 및 외부 습도의 변화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내부 온도 및 습도 변화 정보와 외부 온도 및 습도 변화 정보 각각을 입력받아 전달하는 I/O 모듈;
    상기 I/O 모듈로부터 내부 온도 및 습도 변화 정보와 외부 온도 및 습도 변화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배전반의 외함 및 상기 배전반의 내부 기기의 결로를 진단하는 메인 제어부; 및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배전반의 내부 온도 및 습도 변화 정보와 외부 온도 및 습도 변화 정보를 조정하여 상기 배전반의 외함 및 상기 배전반의 내부 기기의 결로를 예방하는 결로 예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전달받은 내부 온도 변화 정보 및 외부 온도 변화 정보에 따라 배전반 내부 공기 온도가 계산된 노점 온도 또는 보정된 노점 온도보다 제1 온도 이상이거나, 배전반 내부 상대 습도가 사전에 설정된 제1 습도 이하이면 안전으로 진단하고,
    배전반 내부 공기 온도가 계산된 노점 온도 또는 보정된 노점 온도보다 상기 제1 온도 이하이고 상기 제1 온도보다 낮게 설정된 제1 온도 범위 내이거나, 배전반 내부 상대 습도가 상기 제1 습도 이상이고 상기 제1 습도보다 높게 설정된 제1 습도 범위 내이면서 사전에 설정된 제1 증가 기울기 이내이면 유의로 진단하며,
    배전반 내부 공기 온도가 계산된 노점 온도 또는 보정된 노점 온도보다 상기 제1 온도 이하이고 상기 제1 온도 범위외이거나, 배전반 내부 상대 습도가 상기 제1 습도 이상이고 상기 제1 습도 범위 보다 높게 설정된 제2 습도 범위 내이면서 상기 제1 증가 기울기 이상이면 경고로 진단하고,
    배전반 내부 공기 온도가 계산된 노점 온도 또는 보정된 노점 온도와 동일하거나, 배전반 내부 상대 습도가 상기 제2 습도 범위 외이면서 상기 제1 증가 기울기 이상이면 긴급으로 진단하며,
    배전반 내부 공기 온도가 계산된 노점 온도 또는 보정된 노점 온도이하이거나, 배전반 내부 상대 습도가 100%이면 보수로 진단하고,
    상기 결로 예방 모듈은
    상기 메인 제어부로부터 경고 진단 결과를 전달받으면, 히터를 가동시키고,
    상기 메인 제어부로부터 긴급 진단 결과를 전달받으면, 상기 히터 및 팬을 가동시키며,
    상기 메인 제어부로부터 보수 진단 결과를 전달받으면, 상기 히터 및 상기 팬을 가동시키고 일정 시간 후 진단 결과의 변화가 없으면, 상기 배전반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배전반의 내부 온도 변화를 검출하는 내부 온도 센서;
    상기 배전반의 내부 습도 변화를 검출하는 내부 습도 센서;
    상기 배전반의 외부 온도 변화를 검출하는 외부 온도 센서; 및
    상기 배전반의 외부 습도 변화를 검출하는 외부 습도 센서
    를 포함하는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의 내부 기기는 배전반 내부의 도체부, 절연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
  13. 삭제
  14. 삭제
  15. 배전반의 내부, 외부 및 내부 기기 표면의 환경 변화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환경 변화 정보 각각을 입력받아 전달하는 I/O 모듈;
    상기 I/O 모듈로부터 환경 변화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배전반의 결로를 진단하는 메인 제어부; 및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배전반의 환경 변화를 조정하여 결로를 예방하는 결로 예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전달받은 내부 온도 변화 정보 및 외부 온도 변화 정보에 따라 배전반 내부 공기 온도가 계산된 노점 온도 또는 보정된 노점 온도보다 사전에 설정된 제1 온도 이상이거나, 배전반 내부 상대 습도가 사전에 설정된 제1 습도 이하이면 안전으로 진단하고,
    배전반 내부 공기 온도가 계산된 노점 온도 또는 보정된 노점 온도보다 상기 제1 온도 이하이고 상기 제1 온도보다 낮게 설정된 제1 온도 범위 내이거나, 배전반 내부 상대 습도가 상기 제1 습도 이상이고 상기 제1 습도보다 높게 설정된 제1 습도 범위 내이면서 사전에 설정된 제1 증가 기울기 이내이면 유의로 진단하며,
    배전반 내부 공기 온도가 계산된 노점 온도 또는 보정된 노점 온도보다 상기 제1 온도 이하이고 상기 제1 온도 범위외이거나, 배전반 내부 상대 습도가 상기 제1 습도 이상이고 상기 제1 습도 범위 보다 높게 설정된 제2 습도 범위 내이면서 상기 제1 증가 기울기 이상이면 경고로 진단하고,
    배전반 내부 공기 온도가 계산된 노점 온도 또는 보정된 노점 온도와 동일하거나, 배전반 내부 상대 습도가 상기 제2 습도 범위 외이면서 상기 제1 증가 기울기 이상이면 긴급으로 진단하며,
    배전반 내부 공기 온도가 계산된 노점 온도 또는 보정된 노점 온도이하이거나, 배전반 내부 상대 습도가 100%이면 보수로 진단하고,,
    상기 결로 예방 모듈은
    상기 메인 제어부로부터 경고 진단 결과를 전달받으면, 히터를 가동시키고,
    상기 메인 제어부로부터 긴급 진단 결과를 전달받으면, 상기 히터 및 팬을 가동시키며,
    상기 메인 제어부로부터 보수 진단 결과를 전달받으면, 상기 히터 및 상기 팬을 가동시키고 일정 시간 후 진단 결과의 변화가 없으면, 상기 배전반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배전반의 내부 온도 변화를 검출하는 내부 온도 센서;
    상기 배전반의 내부 습도 변화를 검출하는 내부 습도 센서;
    상기 배전반의 외부 온도 변화를 검출하는 외부 온도 센서;
    상기 배전반의 외부 습도 변화를 검출하는 외부 습도 센서; 및
    상기 배전반의 내부 기기 표면의 온도 변화를 검출하는 표면 온도 센서
    를 포함하는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온도 센서는 상기 배전반의 도체부 또는 절연물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 변화를 검출하는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
  18. 삭제
  19. 삭제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의 열화상 이미지 또는 부분 방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기타 예방 진단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
KR1020170094739A 2017-07-26 2017-07-26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 KR102308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739A KR102308824B1 (ko) 2017-07-26 2017-07-26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739A KR102308824B1 (ko) 2017-07-26 2017-07-26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967A KR20190011967A (ko) 2019-02-08
KR102308824B1 true KR102308824B1 (ko) 2021-10-05

Family

ID=65364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739A KR102308824B1 (ko) 2017-07-26 2017-07-26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8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13912A1 (de) * 2019-09-12 2021-03-18 Siemens Energy Global GmbH & Co. KG Verfahren zur Temperatursteuerung eines Steuerschranks für Mittel- und Hochspannungsschaltgeräte
KR102279481B1 (ko) * 2020-10-15 2021-07-19 이성만 배전반의 결로 방지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680B1 (ko) * 2010-04-01 2010-09-02 동영전기 주식회사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048517B1 (ko) * 2011-02-21 2011-07-12 (주)제이케이알에스티 결로방지 자동제어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5817A (ko) * 2011-11-21 2013-05-2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함체 내부 결로 방지장치 및 결로 방지방법
KR101606916B1 (ko) 2015-06-24 2016-03-28 주식회사 세화이엘씨 지진, 결로 및 누수를 감지하는 배전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680B1 (ko) * 2010-04-01 2010-09-02 동영전기 주식회사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048517B1 (ko) * 2011-02-21 2011-07-12 (주)제이케이알에스티 결로방지 자동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967A (ko) 2019-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5876B2 (en) Circuit breaker integral temperature monitoring for advance detection of defective power conductor connections
KR101457880B1 (ko) 화재감지 기능을 갖는 고압반, 저압반, 분전반, 모터제어반
KR101470348B1 (ko) 화재방지 장치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WO2021095280A1 (ja) デジタルエレクトリックセフティ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KR20140122771A (ko) 다중복합(cmd) 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 기능을 갖는 고압반, 저압반, 분전반, 모터제어반
KR101606704B1 (ko) 활선표시장치 및 보호계전기 동작 음성경보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KR101917664B1 (ko) 아크 종류 및 위치 검출 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시스템
KR20180003978A (ko) 수배전반 내에서 스스로 정확한 동작 여부를 진단하고 및 동작이 부정확하면 경보를 울리는 자가진단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KR102308824B1 (ko)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
US9209617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arc flashes
KR101389844B1 (ko) 복합센서를 이용한 보호 계전 시스템
KR101723217B1 (ko) 수배전반 내에서 스스로 정확한 동작 여부를 진단하고 및 동작이 부정확하면 경보를 울리는 자가진단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KR102036311B1 (ko) 변전소 가스절연개폐기의 가스압력 감시 장치 및 방법
KR20180106769A (ko) 배전반 모니터링 장치
KR101535923B1 (ko) 전력 케이블 탄화 및 전력기기 접속 방전 상태 감시를 통한 전력 품질 진단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20200025057A (ko) 화재방지용 과열감시장치가 설치된 수배전반
KR20200014118A (ko) 이상진단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2328806B1 (ko) 누설 전압 감시시스템
WO2019197038A1 (en) Switchgear comprising sensors
US11381074B2 (en) Electrical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a high-voltage direct current system
JP6836233B1 (ja) デジタルエレクトリックセフティ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WO2021111652A1 (ja) デジタルエレクトリックマルチセフティ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KR101582828B1 (ko) Single-Loop 방식 광통신을 이용하는 전원부 온도 측정에 의한 근접형 활선 및 음성 경보 장치
KR100882786B1 (ko) 전력설비용 열화보호 계전시스템
KR102017629B1 (ko) 변전 설비 보호를 위한 보호 계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