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7383B1 - 두겹의 머리띠부를 구비한 양면 챙 모자 - Google Patents

두겹의 머리띠부를 구비한 양면 챙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7383B1
KR101017383B1 KR1020090004582A KR20090004582A KR101017383B1 KR 101017383 B1 KR101017383 B1 KR 101017383B1 KR 1020090004582 A KR1020090004582 A KR 1020090004582A KR 20090004582 A KR20090004582 A KR 20090004582A KR 101017383 B1 KR101017383 B1 KR 101017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band
visor
headband portion
double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5354A (ko
Inventor
김덕진
Original Assignee
김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진 filed Critical 김덕진
Priority to KR1020090004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383B1/ko
Publication of KR20100085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5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1Collapsible or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42B1/0182Peaks or visors
    • A42B1/0184Peaks or visors detachable or movable, e.g. rotatabl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6Transformable, convertible or reversible ha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겹의 머리띠부를 갖는 양면 챙 모자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앞뒤에서 서로 포개어져 배치되는 제1머리띠부 및 제2머리띠부와 제1머리띠부의 전방에서 제1머리띠부의 상단에 결합하는 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두겹의 머리띠부를 갖는 양면 챙 모자는 각각의 머리띠부를 다른 디자인과 색상으로 구현하여 다양한 미감을 연출하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90004582
모자, 양면, 머리띠부

Description

두겹의 머리띠부를 구비한 양면 챙 모자{reversible visor having double headbands}
본 발명은 독특한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양면 챙 모자에 관한 것이다. 특히 챙의 상부와 하부의 위치를 바꿔 사용할 수 있으며, 머리를 감싸는 제2머리띠부와 챙 부의 아래에 배치하는 제1머리띠부를 서로 다른 소재 및 색상으로 구성하여 하나의 모자로 두 개의 모자의 미감을 발생시키는 양면 챙 모자에 관한 것이다.
양면 모자는 머리띠부에 봉제된 챙을 위아래로 젖혀서 하나의 모자의 2개의 모자와 같은 연출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양면 모자는 하나의 머리띠부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머리띠부의 소재 및 색상을 다르게 하여 다양한 미감을 일으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2개의 머리띠부들을 사용하고 각각의 머리띠부의 소재와 색상을 달리하여 다양한 미감의 연출을 가능하게 하는 양면 챙 모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과제는 받침부재를 내장하며 상기 받침부재를 둘러싸는 제1내측직물과 제1외측직물로 이루어진 제1머리띠부와, 상기 제1머리띠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머리띠부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챙부와, 상기 제1머리띠부의 후방에 포개어져 결합되며 내측에 탄성부재가 내장되고 상기 탄성부재를 감싸는 제2내측직물과 제2외측직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머리띠부의 상하방향 폭보다 큰 상하방향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2머리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머리띠부의 하단을 상기 제2머리띠부의 하단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머리띠부의 하단과 상기 제2머리띠부의 하단이 봉제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챙 모자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제1머리띠부의 상단은 상기 제2머리띠부의 상하방향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머리띠부의 양단에 인접한 부분의 상단이 상기 제2머리띠부에 결합하여 상기 제1머리띠부와 상기 제2머리띠부의 사이에 수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과제는 제1내측직물과 제1외측직물로 이루어지고 내부 에 탄성부재 또는 받침부재가 내장되는 제1머리띠부와, 상기 제1머리띠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머리띠부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챙부 및 상기 제1머리띠부의 후방에 포개어져 결합되고 제2내측직물과 제2외측직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탄성부재 또는 받침부재가 내장되고 상기 제1머리띠부의 상하방향 폭보다 큰 상하방향 폭을 갖는 제2머리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머리띠부 및 상기 제2머리띠부 중의 하나 이상에는 탄성부재가 내장되며, 상기 제1머리띠부 및 상기 제2머리띠부 중에서 상기 탄성부재가 내장되지 않는 것에는 상기 받침부재가 내장되고, 상기 제1머리띠부의 하단을 상기 제2머리띠부의 하단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머리띠부의 하단과 상기 제2머리띠부의 하단이 봉제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챙 모자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챙 모자는 2개로 구분되는 제1머리띠부와 제2머리띠부를 서로 다른 색상 및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모자로 2가지의 미감을 표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머리띠부와 제2머리띠부의 사이에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물품을 수납할 수 있어 편리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납부를 구비한 양면 챙 모자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챙부를 전방으로 하여 머리띠부의 후방에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모자를 썬캡으로, 머리띠부의 내측에 탄성 밴드를 삽입하여 상기 탄성 밴드의 탄성력으로 사이즈 조절 기능을 가지는 모자를 썬바이저라 하며, 본 발명은 양자를 챙 모자로 통일하여 지칭하며,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양면 챙 모자의 사시도이고, 도 2의 (가)는 도 1의 B-B'를 절개한 단면도이고 (나)는 도 1의 C-C'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제1머리띠부와 제2머리띠부와 챙부를 펼쳐서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챙 모자는 제1머리띠부(88), 제2머리띠부(99) 및 챙부(1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챙 모자의 제1머리띠부(88)는 제1외측직물(122)과 제1내측직물(140)이 합성수지로 된 받침부재(138)를 둘러싸고 있으며 제1외측직물(122)의 하단과 제1내측직물(140)의 하단이 함께 봉제(156)되고 결합한다. 또한 제1외측직물(122)의 상단과 제1내측직물(140)의 상단의 사이에 챙부(100)의 내측단부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외측직물(122)의 상단과 제1내측직물(140)의 상단을 챙부(100)의 내측단부에 봉제(152, 153)한다. 또한 제1내측직물(140)의 상단에서부터 챙부(100)의 내측단부를 거쳐 제1외측직물(122)의 하단까지 한 번에 봉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챙부(100)가 제1머리띠부(88)에 결합된다. 도 2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머리띠부(88)의 양단에 인접한 부분은 제1외측직물(122)의 상단과 제1내측직물(140)의 상단이 서로 직접 봉제(143)되어 결합된다. 받침부재(138)는 제1머리띠부(88)의 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단단하게 직조된 직물이 사용될 수도 있고, 형태가 유지될 정도의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제2머리띠부(99)는 제2외측직물(121)과 제2내측직물(132)의 사이에 탄성밴드(139)가 삽입된다. 제2머리띠부(99)의 제2외측직물(121)과 제2내측직물(132)은 각각의 상단 및 하단이 서로 봉제(154, 156)되어 결합된다. 제2머리띠부(99)의 상하방향의 폭은 제1머리띠부(88)의 상하방향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2배 정도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제2머리띠부(99)의 상하방향의 폭이 제1머리띠부(88)의 상하방향의 폭보다 2배정도 크게 형성되면, 제1머리띠부(88)의 상단은 제2머리띠부(99)의 상하방향으로 가운데 위치한다.
챙부(100)는 챙심(113)을 상부직물(111)과 하부직물(112)이 감싸고 있으며, 챙부(100)의 내측의 단부가 제1머리띠부(88)의 상단에 결합된다. 챙부(100)가 제1머리띠부(88)의 가운데에 결합되고, 챙부(100)의 내측단부의 수평방향의 폭은 제1머리띠부(88)의 수평방향의 폭보다 작으므로, 제1머리띠부(88)의 양단에 인접한 부분은 챙부(100)가 결합되지 않는다.
제1머리띠부(88)는 제2머리띠부(99)의 앞에 위치하며 제1머리띠부(88)의 하단과 제2머리띠부(99)의 하단이 서로 포개어져서 봉제(156)된다. 제1머리띠부(88)의 상하방향 폭이 제2머리띠부(99)의 상하방향의 폭보다 작으므로 제1머리띠부(88)와 제2머리띠부(99)를 봉제(144, 156)하여 결합한 상태에서 제1머리띠부(88)의 상단은 제2머리띠부(99)의 상단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제1머리띠부(88)의 상단 중에서 챙부(100)가 결합되지 않은 양단부분은 제2머리띠부(99)에 봉제(144)되고, 그 결과 제1머리띠부(88)의 상단이 제2머리띠부(99)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1머리띠부(88)에서 챙부(100)가 결합된 부분은 제1머리띠부(88)와 제2머리띠부(99)의 사이 에 위로 열려지고 아래부분은 막혀져서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는 틈새공간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면 챙 모자의 사시도이고, 도 5의 (다)는 도 4의 D-D'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5의 (라)는 도 4의 E-E'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양면 챙 모자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양면 챙 모자와 대부분의 구성에 있어서 유사하며, 다만 제1머리띠부(88)와 제2머리띠부(99)의 사이에 보조 내측직물(137)이 형성된 점에 차이가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면 챙 모자는 제1머리띠부(88)와 제2머리띠부(99) 및 챙부(100)를 포함하고 제1머리띠부(88)와 제2머리띠부(99)의 사이에 보조 내측직물(137)이 형성된다. 보조 내측직물(137)은 제1머리띠부(88)의 제1내측직물(140) 또는 제1외측직물(122)과 대략 유사한 상하방향의 폭을 가지며, 보조 내측직물(137)의 하단이 제1머리띠부(88)의 하단과 제2머리띠부(99)의 하단의 사이에서 함께 봉제(156)되어 결합된다.
제1머리띠부(88)는 제1외측직물(122)과 제1내측직물(140)이 받침부재(138)를 둘러싸면서 각각의 상단 및 하단이 봉제(166, 156)되어 결합되며, 제1외측직물(122)과 제1내측직물(140)이 결합되어 형성된 제1머리띠부(88)의 상단과 보조 내측직물(137)의 상단의 사이에 챙부(100)의 내측단부를 위치시켜서 챙부(100)의 내측단부를 제1머리띠부(88)의 상단과 보조 내측직물(137)의 상단에 봉제(152, 153)하여 결합한다.
제1머리띠부(88)의 양단에 인접한 부분에서는, 도 5의 (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머리띠부(88)의 제1외측직물(122)과 제1내측직물(140) 및 보조 내측직물(137)의 각각의 상단들이 함께 봉제(163)되어 결합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머리띠부(88)의 양단에 인접한 부분에서 제1머리띠부(88)의 제1외측직물(122)과 제1내측직물(140) 및 보조 내측직물(137)의 각각의 상단들은 제2머리띠부(99)에 봉제(미도시)되어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양면 챙 모자는 제1머리띠부(88)의 받침부재(138)를 제1외측직물(122)과 제1내측직물(140)이 둘러싸서 고정시키기 때문에 받침부재(138)가 유동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챙부(100)가 위아래로 유동하거나 아래로 주저앉는 것을 방지한다. 즉 챙부(100) 방향에 위치한 제1머리띠부(88)의 내측의 받침부재(138)를 제1내측직물(140)과 제1외측직물(122)이 완전히 감싸서 받침부재(138)의 놀음(유동)이 방지되므로, 챙부(100)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성능이 향상되어 챙부(100)가 주저앉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면 챙 모자의 사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머리띠부(99)의 상하방향 폭이 제1머리띠부(88)의 상하방향 폭보다 크기 때문에 제1머리띠부(88)의 상단에 결합된 챙부(100)를 아래로 젖힌 상태에서는 챙부(100)의 내측 단부의 위쪽으로 제2머리띠부(99)의 위쪽부분이 위치하므로 챙부(100)의 위쪽으로 제2머리띠부(99)의 부분이 위치하므로 챙 모자의 형태를 갖는다. 이와 다르게 챙부(100)를 위로 젖히게 되면 챙부(100)의 내측단부의 아래쪽에 제1머리띠부(88)가 위치하게 되는데, 이 상태에 서 양면 챙 모자의 상하위치를 바꿔주면 챙부(100)의 내측단부의 위쪽에 제1머리띠부(88)가 위치하게 되므로 역시 챙부(100)의 위쪽으로 제1머리띠부(88)가 위치하게 되어 챙 모자의 형태를 갖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챙 모자는 제1머리띠부(88) 또는 제2머리띠부(99)를 챙부(100)의 위쪽으로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양호한 미감을 주는 양면 챙 모자의 기능을 달성한다. 따라서 챙부(100)의 상부직물(111)과 하부직물(112)을 서로 다른 디자인으로 하여 뒤집어서 각각이 외부로 표출되도록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미감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제1머리띠부(88)와 제2머리띠부(99)의 사이에 위로는 개방되고 아래는 막혀진 틈새공간이 형성되므로 두께가 얇은 물품을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제1머리띠부에 받침부재를 삽입하고 제2머리띠부가 탄성부재를 삽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거꾸로 제1머리띠부에 탄성부재를 삽입하고 제2머리띠부에 받침부재를 삽입하거나 또는 제1머리띠부 및 제2머리띠부 모두에 탄성부재를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제1머리띠부 및 제2머리띠부 중의 어느 하나에 탄성밴드를 내장시키더라도 모자착용에 적합한 조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머리띠부 또는 제2머리띠부에서 탄성부재가 삽입되지 않은 것에 받침부재를 삽입하는 이유는 머리띠부가 주저앉지 않고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면 챙 모자의 사시도이다.
도 2의 (가)는 도 1의 B-B'를 절개한 단면도이고, (나)는 도 1의 C-C'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1머리띠부와 제2머리띠부 및 챙부의 결합구조를 단순화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면 챙 모자의 사시도이다.
도 5의 (다)는 도 4의 D-D'를 절개한 단면도이고, (라)는 도 4의 E-E'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면 챙 모자의 작동 상태도이다.

Claims (4)

  1. 받침부재를 내장하며 상기 받침부재를 둘러싸는 제1내측직물과 제1외측직물로 이루어진 제1머리띠부;
    상기 제1머리띠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머리띠부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챙부;
    상기 제1머리띠부의 후방에 포개어져 결합되며 내측에 탄성부재가 내장되고 상기 탄성부재를 감싸는 제2내측직물과 제2외측직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머리띠부의 상하방향 폭보다 큰 상하방향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2머리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머리띠부의 하단을 상기 제2머리띠부의 하단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머리띠부의 하단과 상기 제2머리띠부의 하단이 봉제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챙 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머리띠부의 상단은 상기 제2머리띠부의 상하방향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챙 모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머리띠부의 양단에 인접한 부분의 상단이 상기 제2머리띠부에 결합하여 상기 제1머리띠부와 상기 제2머리띠부의 사이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챙 모자.
  4. 제1내측직물과 제2외측직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탄성부재 또는 받침부재가 내장되는 제1머리띠부;
    상기 제1머리띠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머리띠부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챙부; 및
    상기 제1머리띠부의 후방에 포개어져 결합되고 제2내측직물과 제2외측직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탄성부재 또는 받침부재가 내장되고 상기 제1머리띠부의 상하방향 폭보다 큰 상하방향 폭을 갖는 제2머리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머리띠부 및 상기 제2머리띠부 중의 하나 이상에는 탄성부재가 내장되며, 상기 제1머리띠부 및 상기 제2머리띠부 중에서 상기 탄성부재가 내장되지 않는 것에는 상기 받침부재가 내장되고,
    상기 제1머리띠부의 하단을 상기 제2머리띠부의 하단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머리띠부의 하단과 상기 제2머리띠부의 하단이 봉제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챙 모자.
KR1020090004582A 2009-01-20 2009-01-20 두겹의 머리띠부를 구비한 양면 챙 모자 KR101017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582A KR101017383B1 (ko) 2009-01-20 2009-01-20 두겹의 머리띠부를 구비한 양면 챙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582A KR101017383B1 (ko) 2009-01-20 2009-01-20 두겹의 머리띠부를 구비한 양면 챙 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354A KR20100085354A (ko) 2010-07-29
KR101017383B1 true KR101017383B1 (ko) 2011-02-28

Family

ID=42644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582A KR101017383B1 (ko) 2009-01-20 2009-01-20 두겹의 머리띠부를 구비한 양면 챙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3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9924A (ja) 2002-12-12 2006-03-23 ヤン、シェンチング 帽子のためのストレッチバンド構造
KR200416098Y1 (ko) 2006-02-24 2006-05-12 김기주 모자
KR100813299B1 (ko) 2007-01-03 2008-03-13 주식회사 리션아이앤드지 이중 밴드구조를 갖는 차양모자 및 그 제조방법
JP3154495U (ja) * 2009-07-15 2009-10-22 株式会社大喜商会 帽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9924A (ja) 2002-12-12 2006-03-23 ヤン、シェンチング 帽子のためのストレッチバンド構造
KR200416098Y1 (ko) 2006-02-24 2006-05-12 김기주 모자
KR100813299B1 (ko) 2007-01-03 2008-03-13 주식회사 리션아이앤드지 이중 밴드구조를 갖는 차양모자 및 그 제조방법
JP3154495U (ja) * 2009-07-15 2009-10-22 株式会社大喜商会 帽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354A (ko) 201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0258B2 (en) Headgear with integrated hair shielding mechanism
US20070226875A1 (en) Headwear capable of maintaining shape of crown
KR101017383B1 (ko) 두겹의 머리띠부를 구비한 양면 챙 모자
US6675393B1 (en) Cap with unitary crown and visor fabric portion
KR101975148B1 (ko) 벙거지 모자
US20220369750A1 (en) Headwear with layered construction
KR20110139913A (ko) 모자
KR101302399B1 (ko) 외형 보존력이 우수한 모자
KR200459476Y1 (ko) 사이즈 조절 모자
KR200452411Y1 (ko) 파인 자수효과를 가진 모자
KR100899137B1 (ko) 가변 양면 챙을 구비한 모자
KR200473762Y1 (ko) 접기 용이한 챙
KR20120002976U (ko) 이중 모자
JP3236456U (ja) 官帽
KR101102832B1 (ko) 보조챙을 구비한 모자
JP6374755B2 (ja) 帽子の製造方法
JP2021172896A (ja) 帽子
KR200458927Y1 (ko) 햇빛 차단천이 형성된 모자
JP3174030U (ja) 帽子
KR20200095765A (ko) 챙부를 구비한 모자
KR100685537B1 (ko) 크라운 형태를 유지해주는 모자
JP3180943U (ja) 鍔部折り畳み可能帽子
KR20200090456A (ko) 양단 보강원단부 형성된 모자
KR20100008228U (ko) 사이즈 조절 기능을 구비한 벙거지 모자
KR200466448Y1 (ko) 크라운을 변형시킨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