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6940B1 -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6940B1
KR101016940B1 KR1020100056356A KR20100056356A KR101016940B1 KR 101016940 B1 KR101016940 B1 KR 101016940B1 KR 1020100056356 A KR1020100056356 A KR 1020100056356A KR 20100056356 A KR20100056356 A KR 20100056356A KR 101016940 B1 KR101016940 B1 KR 101016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ar
linear light
portable
bobbin
guid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6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규
Original Assignee
박용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규 filed Critical 박용규
Priority to KR1020100056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69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7Electroluminesc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지진 등과 같은 긴급 재난 발생시 연기나 어둠 속에서 인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안전지역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별도의 외부 전원 공급없이 작동하며 휴대가 간편한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는 선형 발광체와, 선형 발광체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와, 내부에 전원부를 수용하며, 외주면에 선형 발광체가 감기는 보빈과, 보빈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프레임과, 선형 발광체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선형 발광체를 외부 물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정전과 같은 비상 사태 발생시 인명을 구조하거나 사람들을 안전지대로 유도할 때, 쉽게 출구 및 대피 경로를 표시할 수 있어, 인명 피해를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구조요원이 구조 활동을 하는데 있어 대피로를 미리 확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안심하고 구조 작업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Portable linear emergency guidance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비상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지진 등과 같은 긴급 재난 발생시 연기나 어둠 속에서 인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안전지역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해저작업, 동굴 탐사 등과 같은 시야 확보가 어려운 지역에서의 작업 등에 사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외부 전원 연결 없이 작동하여 휴대가 간편한 휴대용 비상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상유도장치란, 화재, 천재지변 등 비상상황 발생시 연기나 어둠 등에 의해 시야가 확보되지 않은 건물의 내부 등에서 대피 및 유도 경로, 안전경로를 알려주는 장치 등을 말한다. 예를 들면, 조명 장치가 부착된 와이어나 음향 또는 음성을 발생시켜 방향을 인지시키는 장치 등이 있다.
종래에는 소방관과 같은 구조요원들이 시야가 확보되지 않은 건물의 내부로 진입하거나 폐광이나 동굴 내부를 탐험하거나 조사하는 경우, 시야 확보를 위해 전등을 직접 착용하거나 사이렌과 같은 음향장치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전등이나 음향장치 등은 연속적인 경로를 제시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시야 확보 및 탈출 경로를 안내하는 기능이 매우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안전지대로 탈출하는 시간이 지체되거나 탈출 경로를 찾지 못해 인명이 위험에 빠지는 일이 종종 있었다.
특히, 야간에 해난 사고가 발생할 경우, 수중에서 잠수부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 하기 위한 장치가 마련되지 않아, 야간에는 구조 작업이 이루어지기 힘든 경우가 많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구 등과 같은 점 발광체를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하고, 외부에서 전원을 연결하여 대피 경로를 알려주는 장치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전구 등과 같은 점 발광체를 연결한 비상유도장치는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장거리를 운용하기가 매우 어렵고, 부피가 큰 장비를 운용함에 따라 작업 능률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비상유도장치는 외부에 마련된 전원공급장치를 통해 전원을 인가 받는 구조로서, 전원 공급이 용이하지 않는 장소에서는 사용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특히, 수중에서는 사용하기가 매우 곤란하여, 수중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부피가 작고 사용이 간편한 휴대용 비상유도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화재, 지진 등과 같은 긴급 재난 발생시 연기나 어둠 속에서 인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안전지역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별도의 전원없이 작동하며 휴대가 간편한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형비상유도장치는 선형 발광체와, 상기 선형 발광체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와, 내부에 상기 전원부를 수용하며, 외주면에 상기 선형 발광체가 감기는 보빈과, 상기 보빈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선형 발광체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선형 발광체를 외부 물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정전과 같은 비상 사태 발생시 인명을 구조하거나 사람들을 안전지대로 유도할 때, 쉽게 출구 및 대피 경로를 표시할 수 있어, 인명 피해를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구조요원이 구조 활동을 하는데 있어 대피로를 미리 확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안심하고 구조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는 자체 전원을 사용함으로써, 외부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는 비상상황에서 신속히 인명을 구조할 수 있다.
특히, 화재와 정전과 같은 상황에서 인명 구조와 비상 탈출을 할 때, 비상 대피로의 확보가 가능하며, 공장 및 산업 현장 등에서 작업 라인 표시, 위험 지역 표시, 해저 작업, 군 수색 작업, 야간 등반시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의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에 포함된 선형 발광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선형 발광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에 포함된 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의 변형 실시예이다.
도 7은 도 1의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에 포함된 회전 손잡이부의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7의 회전 손잡이부의 동작을 나태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9는 도 1의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1)는 보빈(30)에 감겨있는 선형 발광체(40)를 권출하여, 피난선 또는 위험 표시선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1)는 빛을 발산하는 선형 발광체(40)와, 선형 발광체(40)가 감기는 보빈(30)과, 보빈(30)을 내부에 수용하는 제1 프레임(10) 및 제2 프레임(20)과, 선형 발광체(40)를 보빈(30)에 감을 수 있도록 보빈(30)을 회전시키는 회전 손잡이부(50)와, 선형 발광체(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2, 33)를 포함한다.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1)의 각 구성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선형 발광체(40)는 일반 전선 모양의 긴 선형(線形)의 발광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긴 선형 발광체가 전체적으로 연속적인 빛을 발생시키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선형 발광체(40)는 이엘와이어(electroluminescent wire)일 수 있다. 이엘와이어는 전계 방식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 반도체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발광할 수 있게 만들어진 가늘고 긴 선형 발광체이다. 이엘와이어에 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선형 발광체(40)는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1)의 핵심요소로서, 연기가 있거나 어두운 공간에서 최상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선형 발광체(40)는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열과 수분 등에 강한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 테프론과 같은 소재로 코팅되어지며 이 때, 인장강도를 높이기 위해 고강도의 비금속제의 실(絲) 또는 금속제의 철사 등과 함께 코팅되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수십 미터에서 수백 미터 단위로 보빈(30)에 감겨 사용될 수 있다.
선형 발광체(40)의 일단부는 고정부(6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보빈(30)의 내부에 장착되는 전원부에 연결된다. 고정부(60)는 외부의 물체에 선형 발광체(40)의 한쪽 끝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형 발광체(40)의 말단부에 결합된다. 선형 발광체(40)의 타단부는 보빈(30)의 내부에 수용된 전원부(32, 33)에 연결되어 전원과 제어 신호를 인가 받는다.
선형 발광체(40)는 보빈(30)의 외주면에 감겨서 사용된다. 즉, 선형 발광체(40)의 부피를 최소화하고, 권출 및 권취가 용이하도록 원통 형상의 보빈(30)에 감겨서 사용된다.
보빈(30)은 내부에 전원부(32, 33)가 삽입되는 수용홈(31)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홈(31)은 보빈(30)의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전원부(32, 33)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빈(30)은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은 휴대용 비상유도장치(1)의 골격을 유지하며, 내부에 보빈(30)과 선형 발광체(40)를 수용한다.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은 각각 수평부(12, 22)와 수직부(11, 21)를 포함한다. 수평부(12, 22)와 수직부(11, 21)는 각각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1)의 측벽을 이룬다.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은 보빈(3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보빈(30)은 선형 발광체(40)를 권출 및 권취할 수 있도록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은 보빈(30)을 고정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반드시 두 개의 프레임이 결합되어 프레임을 구성할 필요는 없다. 즉. 프레임은 보빈(30)을 고정하기 위한 하나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거나 다수의 프레임이 결합하여 골격을 이룰 수 있다.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은 수평부(12, 22)와 수직부(11, 21)가 배치되지 않는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90)를 포함한다.
개구부(90)는 보빈(30)에 감겨진 선형 발광체(40)에서 발광하는 빛이 제1 프레임(10) 및 제2 프레임(20)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1)의 외부로 배출되는 선형 발광체(40)뿐만 아니라 보빈(30)에 감겨진 선형 발광체(40)에서 발산하는 빛이 외부에서 시인될 수 있도록 하여, 비상시에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1)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1)를 휴대하는 구조요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제1 프레임(10) 및 제2 프레임(20)의 수직부(11, 21) 및 수평부(12, 22)는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1)를 조작할 때, 일종의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1)를 소형화하여 제작할 경우, 별도의 손잡이를 부착할 필요없이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을 직접 잡고 조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직부(11, 21)와 수평부(12, 22)는 작업자로 하여금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1)를 파지할 수 있는 부분을 제공하게 된다.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 중에서 수직부(11, 21)와 수평부(12, 22)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은 개구부(90)를 형성하게 된다. 개구부(90)의 위치, 크기 및 형상 등은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1)의 크기, 형상 등을 고려하여 형성되며, 개구부(90)는 사용자의 파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10)의 수직부(11)에는 관통공(15)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15)은 보빈(30)의 수용홈(31)과 대응되는 위치와 형상으로 형성되며, 관통공(15)을 통하여 전원부(32, 33)가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은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보빈(30)의 수용홈(31)은 방수용 고무 패드(80)와 회전 손잡이부(50)로 밀폐된다. 회전 손잡이부(50)는 보빈(30)과 결합하여 보빈(3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수용홈(31) 내부를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방수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보빈(30)과 회전 손잡이부(50) 사이에 방수용 고무 패드(80)를 삽입할 수 있다.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1)는 완전 밀폐형으로 제작 가능하여, 수중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선형 발광체(40)는 수중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소자이며, 전원부(32, 33)를 보빈(30) 내부에 삽입하고, 물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용 고무 패드(80)와 회전 손잡이부(50)를 이용한 밀폐구조를 사용함으로써,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1)는 해난 구조 및 해저 작업시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회전 손잡이부(50)는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 외부로 배출된 선형 발광체(40)를 다시 보빈(30)에 감는 역할을 한다. 회전 손잡이부(50)의 구조 및 작동에 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이하,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1)의 구체적인 구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선형 발광체(40)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도 1의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에 포함된 선형 발광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선형 발광체의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1)에 적용되는 선형 발광체(40)는 이엘 와이어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선형 발광체(40)는 중심 전극(410)과, 유전층(420)과, 발광층(430)과, 발광층(430)을 감싸는 투명재질의 표면 전극(440)과, 발광층(430)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다양한 색상으로 전환하는 컬러필터(450)와, 휘도를 증가시켜주고 외부 충격(열, 자외선, 그 밖의 물리적 충격) 및 수분을 차단하는 표면 보호막(460)으로 이루어진다.
선형 발광체(40)는 중심 전극(410)과 표면 전극(440) 사이에 교류전원이 인가되면, 위상 변화에 따라 발광층(430) 내부로의 전자이동이 일어나고, 이에 따른 발광층(430) 내부에서의 전자와 형광체간의 충돌에 의해 광이 방출됨으로써 발광층(430)이 선발광(線發光)하는 구조이다. 또한, 이 선발광된 광은 최종적으로 컬러필터(450)를 경유한 후에 외부로 방사되므로, 컬러필터(450)에 따라 노란색, 녹색, 적색 등으로 색상 전환된 후에 외부로 출사된다.
유전층(420)은 중심 전극(410)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에 따라 전자를 충전한 후 그 충전된 전자를 발광층으로 방출하는 기능과, 중심 전극(410)과 표면 전극(440) 사이를 절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발광층(430)은 바인더(binder)와 형광체(형광 파우더)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바인더는 주로 시아노레진(cyanoresin) 계열(CR-S, CR-V, CR-C, CR-M)을 사용할 수 있다.
컬러필터(450)는 예를 들면, 광중합 개시제, 모노머(monomer), 바인더 등을 포함하는 광중합형 감광성 조성물 및 색상을 구현하는 유기 안료로 구성될 수 있다.
표면 보호막(460)은 외부로부터 물리적 및 화학적 충격을 방지하고 수분을 차단하는 재질,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tlene),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테프론(Tefron) 등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도 3a 및 도 3b의 선형 발광체(40)는 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1)에 적용될 수 있는 선형 발광체(40)의 일례를 개시한 것에 불과하며,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1)가 반드시 이러한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1)에는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싱글 와이어 타입(표면 보호막 내에 하나의 중심 전극이 수용된 구성)의 선형 발광체(40)가 적용될 수도 있고, 더블 와이어 타입(표면 보호막 내에 두 개의 중심 전극이 수용된 구성)의 이엘 와이어가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발광층(430)에 교류전원을 연결하여 선발광시키는 구조를 갖는 이엘 와이어라면, 모두 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1)에 적용될 수 있는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1)는 선형 발광체(40)의 일단부에 고정부(60)가 결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선형 발광체(40)의 일단부는 고정부(60)가 결합되며, 타단부는 보빈(도 2의 30 참조)에 삽입되어 전원부(도 2의 32, 33 참조)에 연결되어 있다.
고정부(60)는 선형 발광체(40)가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고리부(61)와 선형 발광체(40)의 손상을 방지하는 고정링(62)을 포함하며, 이 고정링은 고리부에 포함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고리부(6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라비너(karabiner) 형상의 고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선형 발광체(40)를 외부 물체 또는 기구에 고정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구조도 가능하다. 즉, 고리부(61)는 선형 발광체(40)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의 결합 수단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카라비너 형상, 갈고리 형상, 링 형상 등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벨크로, 접착 밴드 등 다양한 결합 수단으로 해석될 수 있다.
선형 발광체(40)는 고정링(62)을 매개로 고리부(61)에 결합된다. 고정링(62)은 선형 발광체(40)가 고리부(61)와 결합하여 사용될 때, 접히거나 마찰 등에 의해 선형 발광체(4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선형 발광체(40)가 고리부(61)를 감싸면서 결합할 때, 선형 발광체(40)과 고리부(61)의 접촉면에서 선형 발광체(40)가 끊어지거나 손상될 수 있으며, 고정링(62)은 선형 발광체(40)와 고리부(61) 사이에 삽입되어 선형 발광체(40)가 고정링(62)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링(6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완전한 원형의 링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선형 발광체(40)은 고정링(62)을 감싸고 말단부가 선형 발광체(40)와 다시 접하게 된다. 이때, 선형 발광체(40)의 말단부와 선형 발광체(40)의 접촉 부분은 방수형 수축 튜브로 밀폐될 수 있다.
수축튜브(63)는 선형 발광체(40)의 말단부를 밀폐할 뿐만 아니라 선형 발광체(40)와 고리부(61)를 결합한다. 수축튜브(63)는 선형 발광체(40)가 내부를 통과할 수 있는 튜브 형상으로 열을 가하면 수축하여 선형 발광체(40)에 밀착하게 된다. 이때, 수축튜브(63) 내측에 접착제가 포함되어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1)는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의 각 모서리부에 네 쌍의 가이드롤러부(70)를 포함한다. 가이드롤러부(70)는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선형 발광체(40)가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 외부로 쉽게 권출 및 권취될 수 있도록 한다.
가이드롤러부(70)는 제1 가이드롤러(71a)와 제2 가이드롤러(71b)를 포함하며, 내부에 회전축을 포함하여 외부의 롤러부가 회전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가이드롤러부(70)가 제1 프레임(10) 및 제2 프레임(20)에 직접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가이드롤러부(70)는 선형 발광체(40)가 서로 엉키지 않고 균일하게 권출 및 권취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으면 반드시 회전하는 구조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가이드롤러부(70)는 롤러부가 회전하는 구조 및 회전하지 않는 구조를 모두 포함한다.
이와 같은 가이드롤러부(70)는 선형 발광체(40)가 배출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으로 선형 발광체(40)가 배출될 경우, 오른손잡이가 회전 손잡이부(50)를 이용하여 선형 발광체(40)를 보빈(30)에 감는 것이 용이한 구조가 된다.
반면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으로 선형 발광체(40)가 배출될 경우, 왼손잡이가 회전 손잡이부(50)를 이용하여 선형 발광체(40)를 보빈(30)에 감는 것이 용이한 구조가 된다.
도 1과 도 6의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1)를 비교하면,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이다. 다만, 선형 발광체(40)의 배출 위치에 따라서 오른손잡이용과 왼손잡이용으로 쉽게 바꿀 수 있다. 즉, 별도의 구조 변경 없이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가 모두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1)가 된다.
다시 도 1과 도 5를 참조하면, 보빈(30) 내부의 수용홈(31)에 전원부(32, 33)가 삽입된다. 전원부(32, 33)는 배터리부(32)와 선형 발광체(40)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장치(33)를 포함한다.
배터리부(32)는 일회용 건전지 뿐만 아니라 재충전이 가능한 충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 배터리부(32)는 회전 손잡이부(50)를 제거하고 보빈(30)의 수용홈(31)에 삽입할 수 있다. 다만, 충전지를 사용하는 경우, 보빈(30) 내부의 배터리부(32)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충전 단자(미도시)를 연결할 수 있다.
전원장치(33)는 배터리부(32)로부터 인가 받은 전원을 제어하여 선형 발광체(40)에 제공한다. 선형 발광체(40)는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발광하는 소자이므로, 배터리부(32)로부터 직류 전원을 인가 받아, 선형 발광체(40)에 알맞은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교류로 변환된 전원은 선형 발광체(40)에 인가된다.
한편, 전원장치(33)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선형 발광체(40)에 인가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선형 발광체(40)가 다양한 패턴으로 점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속적으로 켜지거나 꺼지도록 제어하거나,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점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미리 프로그램된 상태로 점멸 신호를 인가하거나 회전 손잡이부(50)의 스위치(57)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신호를 인가할 수도 있다.
전원장치(33)는 예를 들어, 모스 부호와 같은 신호를 점멸 신호로 인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스 부호와 같은 신호를 선형 발광체(40)에 인가할 경우, 비상시 후속하는 인원이나,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1)를 볼 수 있는 인원에게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재난 상황에서 구조 작업 중인 구조 요원이 선형 발광체(40)를 볼 수 있는 인원에게 동시에 구조 상황을 전달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회전 손잡이부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도 1의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에 포함된 회전 손잡이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회전 손잡이부(50)는 원반형의 베이스 플레이트(51)와, 베이스 플레이트(51)에 힌지 결합된 손잡이로드(53) 및 손잡이로드(5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손잡이 파이프(55)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베이스 플레이트(51)는 원반형으로 형성되어 보빈(도 1의 30 참조)에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 손잡이부(50)는 보빈(30)의 수용홈(도 2의 31 참조)을 밀폐하는 역할을 함께하기 때문에 수용홈(3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인 원형으로 형성된다. 다만, 베이스 플레이트(51)의 형상은 회전체의 특성상 원형이 유리하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수용홈(31)의 형상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51)에는 전원장치(도 5의 33 참조)를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도 1의 57 참조)가 삽입되는 스위치홈(56)이 형성되어 있다. 이밖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터리부(도 5의 32 참조)의 재충전을 위한 충전용 단자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51)의 외측에는 손잡이로드(53)가 힌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힌지 결합이란, 베이스 플레이트(51)에 결합된 손잡이로드(53)가 베이스 플레이트(51)에 대하여 접히거나 펼 수 있는 구조로 결합된 것을 의미한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51)와 손잡이로드(53) 사이에 힌지와 같은 결합수단으로 결합된 것을 통칭하는 의미로서, 반드시 도 8a 내지 도 8c와 같은 힌지 구조에 의한 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 플레이트(51)와 손잡이로드(5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서로 접힐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과 같이 손잡이로드(53)가 베이스 플레이트(51)에 대하여 접히거나 펼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도 가능하다.
한편, 손잡이로드(53)의 일단부에 결합돌기(54)가 돌출되어 있으며, 결합돌기(54)의 외주면에는 손잡이 파이프(55)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 파이프(55)는 손잡이로드(53)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회전 손잡이부(50)를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손잡이 파이프(55)는 손잡이로드(53)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손잡이 파이프(55)가 손잡이로드(53)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태가 되면, 손잡이 파이프(55)를 소형으로 제작하더라도 사용자로 하여금 손잡이 파이프(55)를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1)를 사용할 때, 손잡이 파이프(55)를 놓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 파이프(55)를 손잡이로드(53)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태로 만들면 손잡이로드(53)를 베이스 플레이트(51)에 쉽고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손잡이로드(53)가 베이스 플레이트(51)에 고정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8a 내지 도 8c는 도 7의 회전 손잡이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먼저, 도 8a를 참조하면, 도 8a는 손잡이로드(53)가 베이스 플레이트(51)로부터 완전히 펴진 상태이다. 사용자는 손잡이로드(53)가 베이스 플레이트(51)로부터 완전히 펴진 상태에서 손잡이 파이프(55)를 잡고 회전 손잡이부(50)를 회전시킨다.
이때, 손잡이 파이프(55)는 손잡이로드(53)의 결합돌기(5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사용자는 용이하게 회전 손잡이부(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8b를 참조하면, 도 8b는 손잡이로드(53)가 베이스 플레이트(51)에 접히는 상태이다. 손잡이로드(53)가 베이스 플레이트(51)에 접히면서 손잡이 파이프(55)가 고정홀(52)로 삽입된다.
고정홀(52)의 내경은 손잡이 파이프(55)의 최대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 파이프(55)가 결합돌기(54)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파이프(55)는 외측면이 고정홀(52)의 내측면을 접하면서 고정홀(52)로 삽입될 수 있다.
손잡이 파이프(55)의 내경 중 가장 작은 부분이 결합돌기의 회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됨으로써, 손잡이 파이프(55)가 결합돌기(54)에 대하여 모든 방향으로 유격을 갖게 된다. 따라서, 손잡이 파이프(55)는 고정홀(52)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이어서, 도 8c를 참조하면, 손잡이로드(53)는 베이스 플레이트(51)에 완전히 접혀서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 파이프(55)의 최대 외경과 고정홀(52)의 내경을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손잡이 파이프(55)를 고정홀(52)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별도의 고정수단을 부가하지 않더라도 손잡이로드(53)를 베이스 플레이트(51)에 쉽고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구조로 결합할 수 있다.
이어, 도 9를 참조하여, 고정클립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도 1의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1)의 배면에는 고정 클립(91)이 부착되어 있다. 고정 클립(91)은 사용자가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1)를 용이하게 착용하거나, 구조물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 클립(91)은 제1 프레임(10) 또는 제2 프레임(20)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10)의 일측에 회전 손잡이부(도 1의 50 참조)가 형성된 경우, 제2 프레임(20)의 일측에 고정 클립(91)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클립(91)은 금속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 또는 플라스틱 수지 등으로 형성된 고정 밴드(92)를 이용하여 제2 프레임(2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프레임(20)과 고정 밴드(92)는 리벳 또는 스크류와 같은 결합수단(93)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고정 클립(91)을 제2 프레임(20)에 결합하기 위한 수단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고정 클립(91)을 직접 제2 프레임(20)에 고정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고정 클립(91)은 금속 와이어를 구부려서 형성할 수 있으며, 고정 클립(91) 사이 또는 고정 클립(91)과 제2 프레임(20) 사이에 사용자의 벨트(미도시), 작업복(미도시)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고정 클립(91)을 이용하여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1)를 벨트 또는 작업복 등에 쉽게 착용하여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의 예시적인 사용 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도 1의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1)는 화재, 재난 등의 비상 상황에서 조난자를 유도하는 유도선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위험 지역 등을 표시하는 위험지역 표시 수단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 등의 비상 상황에서 유도선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요원(M)은 고정된 물체(OJ)에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1)의 선형 발광체(40)를 고정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선형 발광체(40)의 끝단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60)를 이용하여 물체(OJ)에 고정한다. 이어서,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1)를 작동시킨 후, 연기나 어둠으로 인해 시야 확보가 어려운 구조 현장에 진입하게 되며 작업 후 또는 대피시 상기의 선형 발광하는 비상유도선을 보며 안전한 지역 및 경로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구조요원(M)의 허리에 부착된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1)에서 선형 발광체(40)가 권출되면서, 이동경로를 표시하게 된다.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1)의 선형 발광체(40)는 발광을 하게 되어, 이동경로를 나타낼 수 있으며, 구조요원(M)의 허리에서도 발광을 하기 때문에 구조요원(M)의 위치를 함께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 10: 제1 프레임
20: 제2 프레임 30: 보빈
32: 전원장치 33: 배터리부
40: 선형 발광체 50: 회전 손잡이부
51: 베이스 플레이트 52: 고정홀
53: 손잡이로드 54: 결합돌기
55: 손잡이 파이프 56: 스위치홈
57: 스위치 60: 고정부
61: 고리부: 62: 고정링
63: 수축튜브 70: 가이드롤러부
80: 방수용 고무 패드 90: 개구부
91: 고정 클립

Claims (13)

  1. 선형 발광체;
    상기 선형 발광체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
    내부에 상기 전원부를 수용하며, 외주면에 상기 선형 발광체가 감기는 보빈;
    상기 보빈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보빈에 감겨진 선형 발광체가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및
    상기 선형 발광체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선형 발광체를 외부 물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전원부를 밀폐하고, 상기 보빈을 회전시키는 회전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과 상기 회전 손잡이부 사이에 방수용 고무 패드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손잡이부는
    상기 보빈과 결합되며 일측에 고정홀이 형성된 원반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힌지 결합된 손잡이로드; 및
    상기 손잡이로드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로드로부터 멀어질 수록 직경이 커지는 손잡이 파이프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 파이프는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손잡이 파이프와 상기 손잡이로드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의 내경은 상기 손잡이 파이프(55)의 최대 외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충전 가능한 충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선형 발광체가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고리부 및 상기 고리부와 상기 선형 발광체 사이에 삽입되는 고정링을 포함하는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발광체의 끝단부와 상기 선형 발광체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수축튜브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적어도 한쌍의 가이드롤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형 발광체는 상기 가이드 롤러부 사이로 취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부는 상기 프레임의 네 모서리부에 한 쌍씩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 클립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
KR1020100056356A 2010-06-15 2010-06-15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 KR101016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356A KR101016940B1 (ko) 2010-06-15 2010-06-15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356A KR101016940B1 (ko) 2010-06-15 2010-06-15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6940B1 true KR101016940B1 (ko) 2011-02-28

Family

ID=43777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6356A KR101016940B1 (ko) 2010-06-15 2010-06-15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694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407B1 (ko) 2016-06-20 2016-10-28 주식회사 산청 라이프 와이어 권선장치
KR101689150B1 (ko) * 2016-01-25 2016-12-23 주식회사 포비드림 휴대용 선형비상유도장치
KR101751245B1 (ko) * 2015-09-09 2017-06-27 이재명 자동식 라이트라인
KR101751433B1 (ko) * 2016-01-22 2017-06-28 주식회사 포비드림 비상 응급 호출 기능을 갖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라이트 라이프 라인 장치
KR101775280B1 (ko) * 2016-07-06 2017-09-05 이상복 비상 유도장치
WO2022154269A1 (ko) * 2021-01-15 2022-07-21 신정훈 휴대용 비상탈출장치
KR200497678Y1 (ko) * 2023-09-06 2024-01-23 변종혁 권취기능을 갖는 장식용 줄조명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0043A (ko) * 2003-04-16 2004-10-22 장화수 케이블 릴
KR200414713Y1 (ko) * 2006-01-21 2006-04-24 화우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착용가능한 백라이트 유니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0043A (ko) * 2003-04-16 2004-10-22 장화수 케이블 릴
KR200414713Y1 (ko) * 2006-01-21 2006-04-24 화우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착용가능한 백라이트 유니트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245B1 (ko) * 2015-09-09 2017-06-27 이재명 자동식 라이트라인
KR101751433B1 (ko) * 2016-01-22 2017-06-28 주식회사 포비드림 비상 응급 호출 기능을 갖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라이트 라이프 라인 장치
KR101689150B1 (ko) * 2016-01-25 2016-12-23 주식회사 포비드림 휴대용 선형비상유도장치
US10026277B2 (en) 2016-01-25 2018-07-17 4B DREAM Co., Ltd. Evacuation guidance device for rescue
WO2017131369A3 (ko) * 2016-01-25 2018-08-02 주식회사 포비드림 구조용 피난유도장치
KR101670407B1 (ko) 2016-06-20 2016-10-28 주식회사 산청 라이프 와이어 권선장치
KR101775280B1 (ko) * 2016-07-06 2017-09-05 이상복 비상 유도장치
WO2022154269A1 (ko) * 2021-01-15 2022-07-21 신정훈 휴대용 비상탈출장치
KR200497678Y1 (ko) * 2023-09-06 2024-01-23 변종혁 권취기능을 갖는 장식용 줄조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6940B1 (ko) 휴대용 선형 비상유도장치
JP6356776B2 (ja) 救助用避難誘導装置
US8517559B1 (en) Manually-energizing portable light-emitting device with multifunction cord
CN102413877B (zh) 消防员示踪绳设备
KR101625760B1 (ko) 비상구 유도 장치
KR102103631B1 (ko) 안전 기구함
KR101261448B1 (ko)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8523386B2 (en) Reinforced illuminable safety rope and deployment system
US20050184674A1 (en) Flexible linear lighting system
WO2006036890A2 (en) Integrated systems with electroluminescent illumination and methods thereof
KR200454894Y1 (ko) 다기능 연기투시 랜턴
KR101751433B1 (ko) 비상 응급 호출 기능을 갖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라이트 라이프 라인 장치
KR101775280B1 (ko) 비상 유도장치
KR101569015B1 (ko) 비상 조명 시스템
US20210343125A1 (en) Lighting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CN201326225Y (zh) 多功能的避难逃生间
KR20170140649A (ko) 경광등이 구비된 소화기
KR102184023B1 (ko) 수중용 선형 비상와이어 권선장치
KR101670407B1 (ko) 라이프 와이어 권선장치
CN207796861U (zh) 一种能连接市电的安全电压标志灯
KR102157897B1 (ko) 소방용 선형 비상유도장치
KR101216225B1 (ko) 복수개의 광섬유를 이용한 비상 대피 유도용 조명 장치
CN209970796U (zh) 一种多功能消防斧
CN219017197U (zh) 一种消防水带指引灯及消防水带
CN105156971B (zh) 户外指引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