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6694B1 - 레이저 치료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6694B1
KR101016694B1 KR1020100074868A KR20100074868A KR101016694B1 KR 101016694 B1 KR101016694 B1 KR 101016694B1 KR 1020100074868 A KR1020100074868 A KR 1020100074868A KR 20100074868 A KR20100074868 A KR 20100074868A KR 101016694 B1 KR101016694 B1 KR 101016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unit
laser beam
main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돈
Original Assignee
정승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돈 filed Critical 정승돈
Priority to KR1020100074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66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694B1/ko
Priority to PCT/KR2011/005345 priority patent/WO2012018185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4Handheld applic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1. 기술분야
본 발명은 각종 관절염, 근염 및 만성 통증 등의 치료에 이용되는 레이저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2. 주요구성
본 발명의 레이저 치료 장치는 기본적으로 몸체를 형성하며, 치료 부위에 대해 수직하게 메인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메인 레이저부와, 메인 레이저 빔의 중심축에 초점이 형성되도록 보조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보조 레이저부, 및 보조 레이저부를 회동시켜 초점의 거리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와, 적색과 청색의 세기에 의해 조절되는 색상을 피부에 조사하는 색조 조절부를 포함한다.
3. 작용효과
본 발명의 레이저 치료 장치는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초점의 각도와 거리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세기를 가지는 레이저 빔을 통해 치료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치료 부위의 피부에 별도로 조사되는 빛의 색조(색상)를 기반으로 레이저 빔의 흡수율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이저 치료 장치{MEDICAL TREATMENT APPARATUS USING LASER BEAM}
본 발명은 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관절염, 근염 및 만성 통증 등의 치료에 이용되는 레이저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절염, 근염 등의 질환은 레이저 빔을 통해 치료 내지는 완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이저 빔이 환부에 조사되면 미토콘드리아에 에너지가 전달되고 세포의 활성 및 재생이 원활해진다. 이는 신진대사의 촉진으로 포섭된다. 또한, 레이저 빔 조사 부위의 혈관이 확장되어 혈액 순환이 촉진되고, 이에 따라 백혈구 증가가 수반된다. 그 결과 환부의 살균 작용이 활발해져 염증 치료가 촉진된다.
종래 레이저 치료 장치의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17544호(이하, 관절염 치료기)가 있다. 관절염 치료기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이 본체(10)에 구비되며 본체의 하부 중앙으로 초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 발생기(20), 본체의 하부 외주연으로 일정간격 설치되고 본체의 하부 내측 일정각도로 레이저를 발산하되 레이저의 초점은 초음파 발생기로부터 발생한 초음파의 중심선상에 한점으로 모이도록 하는 다수개의 레이저 다이오드(30),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초음파 발생기 및 레이저 다이오드의 작동을 절환하는 스위치가 구비된 손잡이(40)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의 관절염 치료기는 초음파를 통해 환부를 미세 진동시켜 관절의 연골 재생을 촉진함과 동시에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앞서 언급한 염증 치료를 병행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그러나 본체(10)를 환부에 밀착시켜야 초음파가 정상적으로 환부에 인가되므로 관절염 통증이 극심한 환자에게는 부차적인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의 초점이 고정된 구조이므로 이 초점을 이동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를 환부에 밀착한 상태에서 움직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더욱이 레이저와 초음파가 출력되는 본체(10)의 요입부(11)는 인체의 관절 부위, 특히 무릎과 팔꿈치를 고려한 반구 형상이므로 본체를 움직이는 것은 더욱 제약될 수밖에 없다.
또한, 상기 관절염 치료기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빔들은 동일한 세기(파워)를 가지므로 자칫 치료 부위(치료해야할 핵심 부위의 주변부)에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
제1 목적은 메인 레이저 소자와 각도 변경이 가능한 복수개의 보조 레이저 소자를 이용하여 레이저 빔의 초점을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도록 하고, 굴곡진 관절과 같은 치료 부위에 레이저 빔이 원활히 그리고 효과적으로 조사되도록 함에 있다.
제2 목적은 메인 레이저 빔과 보조 레이저 빔의 세기(파워)를 달리 설정하여 인체에 대한 조사 깊이에 차이를 둠으로써 치료 효과를 증대시킴에 있다.
제3 목적은 치료 부위의 피부에 조사되는 빛의 색조(색상)를 조절하여 레이저 빔의 흡수율을 제어함에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레이저 치료 장치는 기본적으로 몸체를 형성하며, 치료 부위에 대해 수직하게 메인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메인 레이저부와, 메인 레이저 빔의 중심축에 초점이 형성되도록 보조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보조 레이저부, 및 보조 레이저부를 회동시켜 초점의 거리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보조 레이저 빔은 메인 레이저 빔보다 낮은 세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인 레이저부는 몸체의 전면 중앙에 위치하며, 보조 레이저부는 메인 레이저부를 중심으로 하여 몸체의 전면에 방사상으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메인 레이저 소자와, 이 메인 레이저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메인 레이저 빔을 집광하는 집광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보조 레이저부는 메인 레이저 소자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위치하는 4개의 보조 레이저 소자와, 이 보조 레이저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보조 레이저 빔을 집광하는 집광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레이저 치료 장치는 적색(red)과 청색(blue)의 세기에 의해 조절되는 색상을 조사하는 색조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색조 조절부는 몸체의 전면에 위치하는 적색 발광소자와 청색 발광소자를 적어도 1쌍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레이저 치료 장치는 메인 레이저부, 보조 레이저부, 각도 조절부 및 색조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으로부터 얻어지는 주요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레이저 빔의 초점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2. 상이한 세기를 가지는 레이저 빔을 통해 치료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3. 치료 부위의 피부에 별도로 조사되는 빛의 색조(색상)를 기반으로 레이저 빔의 흡수율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치료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몸체와 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지지부재에 대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메인 레이저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보조 레이저부에 의해 형성되는 초점을 예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보조 레이저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지지부재에 위치하는 메인 레이저 소자 및 보조 레이저 소자를 예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보조 레이저 소자의 회동을 예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각도 조절부의 세부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메인 레이저부 및 보조 레이저부에 의한 초점과 초점 거리 변화를 예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색조 조절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변형예를 예시한 도면.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부가 구성요소를 예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레이저 치료 장치를 이용한 치료 양태를 개념적으로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치료 장치의 기능적 구성도이다. 레이저 치료 장치(100)는 메인 레이저부(110), 보조 레이저부(120), 각도 조절부(130), 색조 조절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레이저 치료 장치(100)를 구현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110~150)들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몸체(101)에 편성된다. 물론, 본 발명이 도면에 예시된 몸체의 형상 혹은 외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50)는 몸체(101)와 분리된 형태, 이른바 외장형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메인 레이저부(110), 보조 레이저부(120) 및 색조 조절부(140)는 몸체(101)의 전면(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면)에 구비되는 지지부재(102)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지지부재(102)를 몸체(101)에 통합된 구성요소로 설정하였으나,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몸체(101)와 분리된 이른바 분리형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지지부재(102)는 상기 몸체의 전면으로서 포괄적으로 이해해도 좋다.
도 5는 지지부재(102)의 평면도이다. 메인 레이저부(110)는 지지부재(102)의 중앙 홀(102a)에 설치되어 상기 전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레이저 빔(이하, 설명의 편의와 용어의 구분을 위해 메인 레이저 빔이라 한다)을 조사한다. 메인 레이저 빔은 880㎚~970㎚의 파장, 500mW~5W의 세기(파워)를 가진다. 파장과 세기는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메인 레이저부(110)는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메인 레이저 소자(112)와 집광렌즈(114)를 포함한다. 집광렌즈(114)는 메인 레이저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메인 레이저 빔을 모아서 출력을 높이는 기능, 다시 말해 증폭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특징인 보조 레이저부(120)는 상기 메인 홀(102a)을 중심으로 배치된 방사상의 보조 홀(102b)에 설치된다. 보조 레이저부(120)는 750㎚~830㎚의 파장, 500mW~1W(Watt)의 세기(파워)를 가지는 보조 레이저 빔을 상기 메인 레이저 빔을 향해 조사한다. 즉, 조사된 보조 레이저 빔은 메인 레이저 빔의 진행 선상(이하, 중심축이라 한다)에 초점(f)을 형성한다(도 7 참조). 이때 초점의 거리(메인 레이저부로부터의 거리)는 아래에서 설명될 각도 조절부(130)에 의해 가변되는 특징을 가진다.
도 8과 같이 보조 레이저부(120)는 메인 레이저부(110)와 유사하게 보조 레이저 소자(122)와 집광렌즈(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9는 지지부재(102)에 구비된 메인 레이저 소자(112) 및 보조 레이저 소자(122)의 구비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 레이저 소자(122: 122a, 122b, 122c, 122d)는 4개의 보조 홀(102b)에 각각 설치되어, 이들은 공히 상술한 바와 같이 중심축에 초점을 형성한다. 여기서, 초점이 가변된다는 것은 보조 레이저 소자(122)가 지지부재(102)에서 소정 범위로 회동(또는 피벗) 가능하게 설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도 10을 살펴보면, 보조 레이저 소자(122)를 수용하는 지지부재(102)의 보조 홀(102b)에는 환형의 탄성부재(103)가 구비되어 있고, 이 탄성부재(103)의 중공(103a)에 보조 레이저 소자(122)가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보조 레이저 소자(122)는 탄성부재(103)에 의해 보지되어 소정 범위로 회동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위에서 짧게 언급한 바와 같이 각도 조절부(130)는 보조 레이저 소자(122)의 상기 중심축에 대한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초점 거리를 가변시키는 구성요소이다. 각도 조절부(130)는 단순히 보조 레이저 소자를 회동시키는 수단이라 이해해도 좋다. 회동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하게 설계 및 변형하여 구현할 수 있음이 자명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이 1가지 예를 개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부의 세부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보조 레이저 소자(122)들의 하부에는 각기 연결부재(131), 예를 들어 와이어(wire)가 연결되어 있고, 이 연결부재(131)의 연장 선단은 몸체(101) 하부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재(102)를 향해 수직하게 전후 이동 가능한 로드(132)에 연결되어 있다. 즉, 이 로드(132)를 밀거나 당기면 그에 따른 연결부재(131)의 전후 움직임에 의해 보조 레이저 소자(122)들은 각 보조 홀(102b) 내에서 동시에 같은 범위로 회동(피벗)된다. 도 11을 기준으로, 로드(132)를 최대로 밀면(push) 초점 거리는 최소가 되고, 로드를 최대로 당기면(pull) 초점 거리는 최대가 된다.
참고로 도 11의 각도 조절부(130)는 수동 조작 방식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자동 조작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드(132)의 일측에 기어치(미도시)를 형성하고 이 기어치를 움직이게 하는 모터 기반의 기어박스(미도시)(이 경우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됨)를 통해 용이하게 구현 가능하다. 이와 달리 보조 레이저 소자(122) 각각에 대해 모터 기반의 기어박스를 설치하여 개별적으로 회동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결국,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도 조절부(130)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상술한 메인 레이저부(110)와 보조 레이저부(120)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 빔의 세기(파워)는 서로 상이한 것이 특징이다. 메인 레이저 빔의 세기는 보조 레이저 빔에 비해 높게 설정된다. 예를 들어, 메인 레이저 빔의 세기가 5W라면 보조 레이저 빔의 세기는 1W이다. 위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보조 레이저 빔이 4개인 경우 초점에서의 총 세기는 9W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인체에 대한 레이저 빔의 침투 깊이는 그 세기에 따라 다르다. 빔의 세기가 크면 클수록 침투 깊이가 깊어진다. 메인 레이저부(110)와 보조 레이저부(120)를 이용하여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세기에 차이를 둔 것은 치료 효과와 안전성 증대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해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에는 단면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메인 레이저 빔을 중심으로 보조 레이저 빔들이 원추 형태(원추의 정점은 곧 초점 f)로 치료 부위에 조사된다. 보조 레이저 빔들은 치료 부위에 도달하기 전에 치료 부위 주변 조직들을 활성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주변 조직이 활성화되면 세포들의 신진대사가 활발해지고 치료 부위에서의 염증 치료 효과가 향상된다. 그리고 주변 조직을 경유한 보조 레이저 빔들은 치료 부위의 메인 레이저 빔에 수렴하여(초점 f), 총 9W 세기가 되기 때문에 초점 영역(즉, 치료 부위)에 대한 집중 치료가 이루어진다. 도 13과 같이 각도 조절부(130)에 의해 초점 거리가 짧아지면 보조 레이저 빔은 주변조직을 넓은 범위로 경유한다. 반면, 초점 거리가 길어지면 주변조직을 경유하는 범위가 좁아진다(도 12 참조).
본 실시예에서 초점 영역에서의 총 세기가 9W인 것으로 설명을 전개하고는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임을 고려해야 한다. 인체 흡수에 의한 손실분은 배제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메인 레이저 빔의 세기를 보조 레이저 빔에 비해 5배 높게 설정한 이유가 있다. 우선, 메인 레이저 빔과 보조 레이저 빔의 세기가 동일한 경우를 상정해 본다. 그 세기가 공히 5W라면 초점 영역에서는 최대 25W가 된다. 이는 인체에 위험한 레벨이다. 그렇다고 해서 공히 1W로 낮추게 되면 인체에는 안전하겠지만 초점 영역에서는 5W가 될 것이고, 치료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지 못할 수 있다. 물론, 9W로 맞추기 위해 9개의 레이저 소자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1W의 레이저 빔은 그만큼 침투 깊이가 얕고 초점 영역에 도달하기 전에 인체 흡수에 의한 손실분이 커진다. 결과적으로 초점 영역에서의 총 세기가 낮아지는 것이다. 즉, 레이저 빔은 치료 효과와 안전성 모두를 고려하여 세기가 높으면서도 낮아야한다는 기술적 모순(technical contradiction)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 메인 레이저 빔과 보조 레이저 빔의 세기에 차이를 두되, 메인 레이저 소자를 통해 초점 영역에서의 기본적인 세기를 확보한 것이다.
참고로 파장이 짧을수록 직진성이 강해지기 때문에 침투 깊이에 영향을 미친다. 1W 세기의 보조 레이저 빔의 파장은 830nm인 것이 바람직하고, 5W세기의 메인 레이저 빔의 파장은 808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치는 본 발명자가 본 발명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얻어낸 바를 예시한 것이므로, 본 발명을 이와 같이 예시된 대로의 파장 수치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아니 된다. 더욱이 침투 깊이의 주요 파라미터는 세기(파워)이다. 즉, 메인 레이저 빔과 보조 레이저 빔의 파장은 동일해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를 트리즈(TRIZ)의 문제해결 원리에 적용해 보면, 레이저 빔을 메인과 보조로 나눈 분할의 원리(segmentation), 레이저 빔의 세기를 달리한 국부적 품질의 원리(local quality), 보조 레이저 빔의 조사 각도를 조절하는 역동성 원리(dynamicity), 보조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주변 조직을 활성화하는 사전조치 원리(preliminary action)이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는 색상 변화의 원리(changing color)가 적용된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색조 조절부(140)를 통해 살펴본다.
도 1에서 언급한 색조 조절부(140)는 적색광(red light)과 청색광(blue light)의 세기 조절에 의해 조절되는 색상(색조)을 치료 부위의 피부에 조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이 색상 조절부(140)는 메인 레이저부(110) 및 보조 레이저부(120)와 마찬가지로 지지부재(102)의 관통 홀(102c)에 구비된다. 색조 조절부(140)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도 14와 같이 LED(Light Emitting Diode)로 일컬어지는 적색 발광소자(142a)와 청색 발광소자(142b)가 적어도 1쌍 필요하다.
참고로 도 14에는 2쌍으로 예시되어 있다. 또한, 적색 발광소자(142a)와 청색 발광소자(142b)가 지지부재(102) 상에 서로 이격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축자 그대로 예시에 불과하다. 예컨대 적색·청색 발광소자는 패키지(package) 형태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단일의 패키지 내에 적색과 청색 발광소자가 편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발광소자(142a, 142b)들의 세기를 조절(색 농도 조절)하면 빛의 합성원리에 의해 다양한 색상이 만들어진다. 합성된 색상은 치료 부위의 피부에 조사되는데, 이를 통해 메인 레이저 빔과 보조 레이저 빔의 흡수율 조절이 가능하다. 합성된 색상의 농도가 짙을수록 피부의 레이저 빔 흡수율은 높아진다. 이때 피부색에 따라 색상과 그 농도가 고려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메인 레이저부, 보조 레이저부, 각도 조절부, 색상 조절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제어부(150)는 동작에 필요한 전원 공급 및 제어 기능을 포괄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레이저 치료 장치(100)에 대해서 기능적인 측면을 중점으로 설명했다. 구조적인 측면, 특히 그 세부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도 15와 같이 상술한 레이저 치료 장치(100)의 몸체(101)와 분리된 외장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몸체(101)는 별도의 받침부재(10)를 통해 제어부(150)에 지지되는 형태일 수 있고, 구성요소(110, 120, 130, 140)를 포함하는 몸체(101)는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되도록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모노-바이-폴리(mono-bi-poly)의 원리가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6 및 도 17은 레이저 치료 장치(100)에 부가되는 구성을 예시한 도면으로, 지지부재(102) 전면에 위치하는 스페이서(104)와, 이 스페이서 전면에 위치하는 투명 보호부재(105)와, 이들 스페이서 및 투명 보호부재를 몸체(101)에 결합하기 위한 원통 형상의 결합부재(106)가 나타나 있다. 도 18은 레이저 치료 장치(100)를 이용한 관절 치료 양태를 개념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각종 관절염, 근염 및 만성 통증 등의 치료를 위한 장치 또는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
100: 레이저 치료 장치 101: 몸체
102: 지지부재 103: 탄성부재
104: 스페이서 105: 투명 보호부재
106: 결합부재 110: 메인 레이저부
112: 메인 레이저 소자 114: 집광렌즈
120: 보조 레이저부 122: 보조 레이저 소자
124: 집광렌즈 130: 각도 조절부
131: 연결부재 132: 로드
140: 색조 조절부 142a: 적색 발광소자
142b: 청색 발광소자 150: 제어부

Claims (10)

  1. 몸체를 가지는 레이저 치료 장치에 있어서,
    치료 부위에 대해 수직하게 메인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메인 레이저부;
    상기 메인 레이저 빔의 중심축에 초점이 형성되도록 상기 메인 레이저 빔 보다 낮은 세기의 보조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보조 레이저부; 및
    상기 보조 레이저부를 회동시켜 상기 초점의 거리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치료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레이저부는 상기 몸체의 전면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치료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조 레이저부는 상기 메인 레이저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전면에 방사상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치료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메인 레이저부는,
    메인 레이저 소자와, 상기 메인 레이저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메인 레이저 빔을 집광하는 집광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치료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조 레이저부는,
    상기 메인 레이저 소자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위치하는 4개의 보조 레이저 소자와, 상기 보조 레이저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보조 레이저 빔을 집광하는 집광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치료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색(Red)과 청색(Blue)의 세기에 의해 조절되는 색상을 상기 치료 부위의 피부에 조사하는 색조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치료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색조 조절부는 상기 몸체의 전면에 위치하는 적색 발광소자와 청색 발광소자를 적어도 1쌍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치료 장치.
  9.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4, 청구항 5 및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레이저부, 보조 레이저부 및 각도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치료 장치.
  10.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색조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치료 장치.
KR1020100074868A 2010-08-03 2010-08-03 레이저 치료 장치 KR101016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868A KR101016694B1 (ko) 2010-08-03 2010-08-03 레이저 치료 장치
PCT/KR2011/005345 WO2012018185A2 (ko) 2010-08-03 2011-07-20 레이저 치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868A KR101016694B1 (ko) 2010-08-03 2010-08-03 레이저 치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6694B1 true KR101016694B1 (ko) 2011-02-25

Family

ID=43777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868A KR101016694B1 (ko) 2010-08-03 2010-08-03 레이저 치료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16694B1 (ko)
WO (1) WO2012018185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82158A1 (en) * 2011-04-07 2014-01-08 Altech Corporation Handpiece for laser treatment device
KR101765491B1 (ko) * 2016-03-15 2017-08-07 최경록 부작용을 예방하고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레이저 치료용 핸드피스 장치
KR20180046219A (ko) * 2016-10-27 2018-05-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렌즈를 이용해 레이저를 조향 가능한 레이저 수술 장치
KR20200134743A (ko) 2019-05-23 2020-12-02 한국광기술원 능동형 관절염 광선 치료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6606A (ja) * 1998-03-31 1999-10-12 Terumo Corp レーザ照射装置
JP2004329474A (ja) * 2003-05-06 2004-11-25 Terumo Corp 痛み緩和用光照射装置
KR200407524Y1 (ko) * 2005-11-11 2006-01-31 넥슨 주식회사 양자치료기용 방사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45905B2 (ja) * 1999-12-28 2009-10-14 利彦 矢山 レーザービーム治療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6606A (ja) * 1998-03-31 1999-10-12 Terumo Corp レーザ照射装置
JP2004329474A (ja) * 2003-05-06 2004-11-25 Terumo Corp 痛み緩和用光照射装置
KR200407524Y1 (ko) * 2005-11-11 2006-01-31 넥슨 주식회사 양자치료기용 방사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82158A1 (en) * 2011-04-07 2014-01-08 Altech Corporation Handpiece for laser treatment device
EP2682158A4 (en) * 2011-04-07 2014-03-12 Altech Corp HANDPIECE FOR A LASER TREATMENT DEVICE
US8926678B2 (en) 2011-04-07 2015-01-06 Altech Corporation Handpiece for laser treatment device
KR101765491B1 (ko) * 2016-03-15 2017-08-07 최경록 부작용을 예방하고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레이저 치료용 핸드피스 장치
KR20180046219A (ko) * 2016-10-27 2018-05-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렌즈를 이용해 레이저를 조향 가능한 레이저 수술 장치
KR101957219B1 (ko) * 2016-10-27 2019-03-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렌즈를 이용해 레이저를 조향 가능한 레이저 수술 장치
KR20200134743A (ko) 2019-05-23 2020-12-02 한국광기술원 능동형 관절염 광선 치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18185A3 (ko) 2012-05-03
WO2012018185A2 (ko) 201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752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radiation energy treatments
US8425495B2 (en) Multipurpose diode laser system for ophthalmic laser treatments
CA2945691C (en) Multiple beam laser treatment device
KR101016694B1 (ko) 레이저 치료 장치
WO2004030588A3 (en) Excitation of photoreactive compounds in eye tissue
US20100004645A1 (en) Invasive dual-wavelength laser acupuncture
US2013004130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radiation energy treatments
JP2004538108A (ja) 改良型ハンドヘルド式レーザ装置
JP7050697B2 (ja) 皮膚を照射する装置
EP3368154B1 (en) Laser system with pulse modulation
US200400343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skin disorders using a short pulsed incoherent light
JP2008188258A (ja) 光線治療装置
US20170209709A1 (en) Light treatment apparatus
JP2016531651A (ja) レーザ光を用いた皮膚の非侵襲性処置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20140075541A (ko) 광 치료장치, 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
CN105944234A (zh) 一种基于三波长激光器的半导体激光康复仪
US20040199148A1 (en) Method of ablating biological material with electromagnetic radiation delivered by an optical fiber
US8623063B2 (en) Medical treatment apparatus using laser beams
KR20170073368A (ko) 족부궤양 광치료장치
CN205626738U (zh) 一种基于三波长激光器的半导体激光康复仪
CN107106865B (zh) 手持式弱激光设备和弱激光束产生方法
JP2015008778A5 (ko)
KR102304955B1 (ko) 향상된 치료 효능을 갖는 의료용 레이저의 피부 시술방법
JP2008284293A (ja) レーザ処置装置
RU274674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ерапии кожных яз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