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5491B1 - 부작용을 예방하고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레이저 치료용 핸드피스 장치 - Google Patents

부작용을 예방하고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레이저 치료용 핸드피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5491B1
KR101765491B1 KR1020160031058A KR20160031058A KR101765491B1 KR 101765491 B1 KR101765491 B1 KR 101765491B1 KR 1020160031058 A KR1020160031058 A KR 1020160031058A KR 20160031058 A KR20160031058 A KR 20160031058A KR 101765491 B1 KR101765491 B1 KR 101765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distance
treatment
display
bou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록
Original Assignee
최경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록 filed Critical 최경록
Priority to KR1020160031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4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2Irradiating part of the body at a certain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4Handheld applicators
    • A61N2005/067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레이저 치료용 핸드피스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시술 부위의 적어도 일 영역에 치료 레이저를 조사하는 치료 레이저부; 및 상기 시술 부위에 적어도 하나의 거리상을 표출하는 거리 표시 레이저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상은 상기 핸드피스 장치와 상기 시술 부위와의 이격 거리의 변화에 따라 상기 시술 부위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작용을 예방하고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레이저 치료용 핸드피스 장치{LASER TREATMENT HANDPIECE FOR PREVENTING SIDE EFFECTS AND IMPROVING EFFECTIVENESS}
본 발명은 레이저 치료용 핸드피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술 부위와의 이격 거리 및 이에 따른 치료 레이저의 출력 밀도 변화를 시각적으로 인식시키는 레이저 치료용 핸드피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레이저 치료 장치를 도시한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래의 레이저 치료 장치는 전원 장치와 핸드피스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 장치는 내부에 다이오드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다이오드 구조에 전류가 인가되면 전류를 레이저로 변환시킬 수 있다. 전원 장치는 치료의 목적 및 시술 부위에 적합한 레이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전원 장치로부터 생성된 레이저는 광케이블을 통해 핸드피스로 전달될 수 있다. 핸드피스는 광케이블로부터 전달받은 레이저를 초점 렌즈를 통해 굴절시킴으로써 일정한 초점 및 초점 거리를 갖도록 설정하고, 이를 시술 부위에 조사하는 구성으로서, 시술자는 이러한 핸드피스를 파지하여, 치료 레이저를 시술 부위에 다양한 각도로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레이저 치료 장치는 시술 부위에 대한 레이저의 출력 세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전원 장치 또는 핸드피스에 구비된 컨트롤러(예를 들어, 조절 버튼)를 제어하거나, 핸드피스를 시술 부위로부터 이격시켜 시술 부위에 대한 출력 밀도를 변경하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컨트롤러를 이용한 방식은 출력 조절이 매우 번거롭고, 핸드피스를 시술 부위로부터 이격시켜 출력 밀도를 조절하는 방식은 시술자가 거리에 따른 출력 밀도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인지할 수 없어, 오로지 시술자의 경험에 의지하여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로 인해, 시술 부위에 레이저가 얼마의 세기로 조사되고 있는지를 정확히 인지하지 못한 상태로 치료를 수행하다 보니, 특정 시술 부위에 가해지는 레이저 출력 밀도가 지나치게 높아 후유증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되거나, 반대로 레이저의 출력 밀도가 너무 낮아 치료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276716 B1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술 부위에 표출되는 다양한 투영상의 위치 및 이동을 통해 시술 부위와의 이격 거리 및 이에 따른 치료 레이저의 출력 밀도 변화를 시술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지시키는 레이저 치료용 핸드피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레이저 치료용 핸드피스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시술 부위의 적어도 일 영역에 치료 레이저를 조사하는 치료 레이저부; 및 상기 시술 부위에 적어도 하나의 거리상을 표출하는 거리 표시 레이저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상은 상기 핸드피스 장치와 상기 시술 부위와의 이격 거리의 변화에 따라 상기 시술 부위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리 표시 레이저부에 의한 조사 방향은 상기 치료 레이저부에 의한 조사 방향과 소정의 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기준 거리는 상기 거리 표시 레이저부가 상기 시술 부위에 대한 상기 치료 레이저의 조사 영역의 중심점에 수렴하는 상기 거리상을 표출하게 하는 이격 거리이고, 상기 이격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보다 증가함에 따라, 상기 거리상은 상기 중심점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심점에 대응하는 중심상(center image)을 상기 시술 부위에 표출하는 중심 표시 레이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초점 거리는 상기 치료 레이저부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치료 레이저가 상기 중심점에 수렴하는 이격 거리이고, 상기 이격 거리가 상기 초점 거리보다 감소함에 따라, 상기 조사 영역의 크기는 증가하고, 상기 조사 영역에 대한 출력 밀도는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경계상(boundary image)을 상기 시술 부위에 표출하는 경계 표시 레이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계상의 표출 위치는 서로 상이한 소정의 출력 밀도 값을 나타내며, 상기 거리상이 상기 경계상에 위치하면, 상기 치료 레이저는 상기 경계상이 나타내는 상기 출력 밀도 값으로 상기 시술 부위의 조사 영역에 조사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계 표시 레이저부에 의한 조사 방향은 상기 치료 레이저부에 의한 조사 방향과 평행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계상은 상기 중심점을 중심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심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계상의 개수, 표출 위치 및 형상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상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료 레이저부가 구비되는 본체부; 및 상기 거리 표시 레이저부가 구비되는 헤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헤드부는 탈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리 표시 레이저부는 상기 거리상을 각각 표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모듈은 상기 헤드부의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드부의 중심부에는 상기 치료 레이저를 투과시키기 위한 투과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리 표시 레이저를 통해 시술 부위에 소정의 거리상을 표출하고, 시술 부위와의 이격 거리에 대응하여 거리상이 위치 이동하게 함으로써, 시술자에게 시술 부위에 대한 치료 레이저의 출력 밀도 변화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한 출력 밀도를 나타내는 경계상을 시술 부위에 더 표출함으로써, 경계상에 대한 거리상의 상대적인 위치를 기초로 시술자가 출력 밀도의 크기를 보다 명확하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레이저 치료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 장치의 기능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 장치의 예시적인 형상을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 장치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 장치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치료용 핸드피스 장치는 광케이블 등을 통해 전원 장치와 결합되며, 시술자의 조작에 따라 특정 시술 부위에 전원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치료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시술 부위에 대한 레이저 치료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엔디야그 레이저(ND-YAG Laser), 그린 레이저(Green Laser), 제모레이저 및 다이오드 레이저 등 다양한 파장의 레이저가 전원 장치로부터 핸드피스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치료 레이저는 색소 병변 치료를 위하여 Q-switched Ruby laser, Q-switched Alexandrite laser, Q-switched ND-YAG laser, 혈관 병변 치료를 위하여 Copper vapor laser, KTP laser, Pulsed dye laser, Long pulsed Nd:YAG laser, 표피 제거를 위하여 Er:YAG laser, CO2 laser, 제모를 위하여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Long pulsed Nd:YAG laser 등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치료 레이저가 전원 장치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핸드피스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통해 치료 레이저를 소정의 초점을 향하여 수렴되도록 조사하는 줌 핸드피스(zoom handpiece) 장치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치료용 핸드피스 장치의 기능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 장치(100)는 치료 레이저부(110), 거리 표시 레이저부(120), 경계 표시 레이저부(130) 및 중심 표시 레이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치료 레이저부(110)는 전원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치료 레이저를 시술 부위 중 적어도 일 영역에 조사할 수 있다. 즉, 치료 레이저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예를 들어, 굴절 렌즈)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렌즈를 통해 전원 장치로부터 전달된 치료 레이저를 소정의 초점(focus)을 향하도록 제어하여 시술 부위 중 적어도 일 영역에 조사하게 된다. 여기서 초점은 전방을 향하여 진행하는 치료 레이저가 수렴하게 되는 3차원 공간 상의 지점을 지칭할 수 있다. 이처럼 치료 레이저가 소정의 초점을 향해 수렴되는 형태를 띠기 때문에, 핸드피스 장치(100)와 시술 부위 간의 이격 거리가 소정의 거리(즉, 초점 거리(focus distance)) 이상이 되기 전까지, 이격 거리가 증가될수록 치료 레이저의 시술 부위에 대한 조사 영역은 감소하고, 반대로 해당 조사 영역에 대한 치료 레이저의 출력 밀도는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게 된다.
거리 표시 레이저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거리상(distance image)을 시술 부위에 표출할 수 있다. 여기서 거리상이란 거리 표시 레이저부(120)로부터 조사되는 소정의 레이저(즉, 거리 표시 레이저)가 시술 부위에 투영됨으로써 표출되는 형상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점, 눈금, 사각형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거리상은 시술자의 식별 용이성을 위해 거리 표시 레이저의 색상에 대응하는 다양한 색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거리상은 핸드피스 장치(100)와 시술 부위의 이격 거리에 대응하여 시술 부위 상에서 위치가 변화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술자에게 상기 이격 거리 및/또는 이에 따른 치료 레이저의 출력 밀도 변화를 시각적으로 인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거리상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해, 거리 표시 레이저의 조사 방향은 치료 레이저의 조사 방향(즉, 치료 레이저의 진행 방향)과 소정을 각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계 표시 레이저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경계상(boundary image)을 시술 부위에 표출할 수 있다. 여기서 경계상이란 경계 표시 레이저부(130)로부터 조사되는 소정의 레이저(즉, 경계 표시 레이저)가 시술 부위에 투영됨으로써 표출되는 형상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원형, 다각형, 점선, 직선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거리상과 마찬가지로 경계상은 식별의 용이성을 위해 경계 표시 레이저의 색상에 대응하는 다양한 색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경계상 각각의 표출 위치는 서로 상이한 소정의 출력 밀도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즉, 경계상 각각의 표출 위치를 핸드피스 장치(100)와 시술 부위가 서로 상이한 소정의 이격 거리에 있을 때의 거리 표시 레이저부(120)에 의해 거리상이 표출되게 되는 시술 부위 상의 위치에 각각 대응하도록 구성하여, 경계상 각각의 표출 위치가 상기 이격 거리 각각에서의 치료 레이저의 조사 영역에 대한 출력 밀도 값을 지시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드피스 장치(100)와 시술 부위의 이격 거리의 변화에 따라 거리상이 경계상 중 하나에 중첩하여 위치하게 되면, 시술 부위의 조사 영역에 대한 치료 레이저의 출력 밀도는 해당 경계상에 대응하는 출력 밀도 값을 가지게 된다. 이때, 경계상 각각에 대응하는 출력 밀도 값은 치료 레이저의 종류 등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계상이 거리상의 이동 경로에 배치되어 치료 레이저의 출력 밀도를 나타내는 눈금 역할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핸드피스 장치(100)는 시술자로 하여금 치료 레이저의 출력 밀도의 변화를 보다 구체적으로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경계상은 거리상과 달리, 핸드피스 장치(100)와 시술 부위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더라도 이동을 수반하지 않고 시술 부위 상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표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경계 표시 레이저의 조사 방향은, 바람직하게는, 치료 레이저의 조사 방향과 평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경계 표시 레이저부(130에 의해 조사되는 경계 표시 레이저 중 적어도 일부의 조사 방향은 치료 레이저의 조사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조절될 수 있다. 즉, 복수의 경계상 표출을 위해 경계 표시 레이저부(130)가 복수의 레이저 모듈로 구성되는 경우, 모든 레이저 모듈의 조사 방향을 치료 레이저의 조사 방향과 평행하게 구성하면, 경계상을 통해 보다 세밀한 눈금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일부 레이저 모듈을 치료 레이저의 조사 경로와 매우 근접하여 설치되어야 하며, 이로 인해, 치료 레이저의 조사가 방해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적어도 일부 레이저 모듈의 조사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근접 설치 필요성을 제거함으로써, 보다 세밀한 경계상을 구현함과 동시에 치료 레이저의 조사가 방해되는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중심 표시 레이저부(140)는 치료 레이저의 조사 방향과 평행하게 소정의 레이저(즉, 중심 표시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시술 부위에 대한 치료 레이저의 조사 영역의 중심점에 대응하는 중심상(center image)을 시술 부위에 표출할 수 있다. 중심상은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점, 눈금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중심상은 핸드피스 장치(100) 자체가 수평 이동하거나 기울기가 변화되지 하지 않는 한, 핸드피스 장치(100)와 시술 부위와의 이격 거리의 변화에 따라 이동하지 않고 고정된 위치에 표출되기 때문에, 시술자는 중심상과 거리상의 상대적인 위치를 통해, 상기 이격 거리의 변화 및 치료 레이저의 출력 밀도 변화를 보다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핸드피스 장치(100)는 거리상의 개수 및 형상 중 적어도 하나, 및/또는 경계상의 개수, 표출 위치 및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상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술자는 시술 부위, 시술의 종류 또는 치료 레이저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개수, 형상 등으로 거리상 및/또는 경계상을 표출시킴으로써, 다양한 시술에 대한 정밀성을 증대할 수 있게 된다.
핸드피스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의 구체적인 동작은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상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 장치의 예시적인 형상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 장치(100)의 형상은 본체부(200) 및 헤드부(300)로 구현될 수 있다.
본체부(200)에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치료 레이저부(110) 및 중심 표시 레이저부(140)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 장치와 광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치료 레이저부(110)를 이용하여, 본체부(200)는 전원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치료 레이저를 전방으로 조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체부(200)는 긴 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외주면에 손가락 형태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파지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시술자가 본체부(200)를 안정적으로 파지한 후 시술 부위에 대한 레이저 치료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파지가 용이한 다양한 형태로 본체부(200)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200)의 일 단부에는 예를 들어, 나사 결합 또는 끼움 결합을 위한 결합 영역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 영역 통하여 헤드부(300)가 본체부(200)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200)는 적어도 일 영역에 치료 레이저를 굴절시키는 렌즈(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렌즈는 본체부(200)를 지나는 치료 레이저를 굴절시켜 소정의 초점에 수렴하도록 모아주는 구성으로서, 치료 레이저의 출력 밀도 및 조사 영역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러한 렌즈는 치료 레이저부(110)의 일부 또는 별개 구성으로 본체부(200)에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헤드부(300)에 장착됨으로써, 사용 목적에 따라 렌즈를 교체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본체부(200)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예를 들어, 전원 온/오프 스위치, 동작 모드 선택 스위치 등의 스위치부가 형성되어, 핸드피스 장치(100) 및/또는 전원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헤드부(300)에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거리 표시 레이저부(120), 경계 표시 레이저부(130)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리 표시 레이저부(120) 및/또는 경계 표시 레이저부(130)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모듈을 포함하고, 이러한 레이저 모듈이 헤드부(300)의 일 단부에 결합되어, 헤드부(300)의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됨으로써, 거리 표시 레이저부(120) 및/또는 경계 표시 레이저부(130)를 구성할 수 있다. 특히, 거리 표시 레이저부(120) 및/또는 경계 표시 레이저부(130)가 복수 개의 레이저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복수의 거리상 및/또는 경계상을 시술 부위에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헤드부(300)에 형성되는 거리 표시 레이저부(120) 및 경계 표시 레이저부(130)의 형상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헤드부(300)의 중심부에는 본체부(200)의 치료 레이저부(110)에 의해 조사되는 치료 레이저를 통과시키기 위한 투과 영역(1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투과 영역(150)은 헤드부(300)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관통홀로 구성되거나, 렌즈 등과 같이 빛을 투과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투과 영역(150)을 투과하여 치료 레이저부(110)에 의해 제공되는 치료 레이저는 시술 부위에 조사되게 된다.
도 3에서 도시되는 핸드피스 장치(100)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핸드피스 장치(100)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200)와 헤드부(300)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 장치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각 도면의 (a)는 핸드피스 장치가 작동되는 수직 단면을 도시하고, 각 도면의 (b)는 시술 부위에 조사되는 치료 레이저, 거리상, 경계상의 수평 단면을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동일한 출력 밀도 값을 나타내는 경계상이 한 쌍의 눈금 형태로 시술 부위에 표출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거리 표시 레이저부(120)에서 조사되는 거리 표시 레이저에 의해 시술 부위(A)에 표출되는 거리상(y)은 핸드피스 장치(100)와 시술 부위(A)의 이격 거리가 소정의 기준 거리(L1)일 때 치료 레이저(110-1)의 시술 부위(A)에 대한 조사 영역(B)의 중심점(x)에 수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거리(L1)는 조사 영역(B)에 치료 레이저(110-1)가 치료에 요구되는 최소 출력 밀도로 조사되게 하는 이격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거리 표시 레이저는 치료 레이저(110-1)의 조사 방향과 각각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조사되어 기준 거리(L1)에서 한 지점(즉, 중심점(x))에 수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거리상(y)은 기준 거리(L1)에서 중심점(x)에 수렴되어 시술부위에 표출되게 된다. 따라서, 시술자는 조사 영역(B)의 중심점(x)에 복수의 거리상(y)이 수렴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시술 부위(A)에 조사되는 치료 레이저(110-1)의 출력 밀도를 최소 출력 밀도로 조절할 수 있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면, 이격 거리가 기준 거리(L1) 보다 증가되어 제 1 거리(L2)가 되는 경우, 거리상(y)은 중심점(x)과 경계상(z)의 사이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거리상(y)은 이격 거리가 기준 거리(L1)로부터 증가됨에 따라 조사 영역(B)의 중심점(x)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중심점(x)과 경계상(z)의 사이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거리상(y)의 이동은 기준 거리(L1)에서 한 지점에 수렴하던 거리 표시 레이저가 거리가 증가됨에 따라 상기 수렴 지점으로부터 다시 소정의 각도로 발산됨에 기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사 영역(B)에 대한 치료 레이저(110-1)의 출력 밀도가 기준 거리(L1)에서의 출력 밀도의 2배가 되는 이격 거리를 제 1 거리(L2)라 정의할 때, 이러한 제 1 거리(L2)에서 거리상(y)이 중심점(x)과 경계상(z)의 중간 지점에 표출되도록 핸드피스 장치(100)를 설정함으로써, 시술자로 하여금 조사 영역(B)에 대한 출력 밀도가 기준 거리(L1)의 2배로 변화되는 시점을 인지하게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을 참조하면, 이격 거리가 더 증가되어 제 2 거리(L3)가 되는 경우, 거리상(y)은 경계 표시 레이저부(130)에 의해 표출되는 경계상(z)과 중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거리(L3)는 조사 영역(B)에 대한 출력 밀도가, 예를 들어, 기준 거리(L1)에서 출력 밀도의 4배가 되는 이격 거리로 정의될 수 있으며, 경계상(z)이 이러한 4배의 출력 밀도 값을 지시하도록 제 2 거리(L3)에서 거리상(y)이 위치하게 될 시술 부위(A) 상의 지점에 경계상(z)을 표출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드피스 장치(100)와 시술 부위(A)의 이격 거리가 증가됨에 따라 거리상(y)이 외측으로 이동하다가, 이격 거리가 제 2 거리(L3)가 되면 거리상(y)은 경계상(z)과 중첩되어 위치하게 되며, 시술자는 이를 통해 조사 영역(B)에 대한 출력 밀도가 기준 거리(L1)의 4배로 변화되는 시점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소정의 출력 밀도 값을 지시하는 경계상(z)을 거리상(y)의 이동 경로에 표출하여 출력 밀도에 대한 눈금의 역할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핸드피스 장치(100)는 치료 레이저(110-1)의 출력 밀도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시술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정한 거리의 범위 내에서는 핸드피스 장치(100)와 시술 부위(A) 간의 이격 거리가 증가하면, 치료 레이저(110-1)의 조사 영역(B)의 크기는 감소하지만, 조사 영역(B)에 대한 출력 밀도는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즉, 치료 레이저(110-1)는 소정의 초점으로 수렴되는 형태를 가지며, 치료 레이저(110-1)의 총 에너지는 동일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초점 거리 이하에서는 이격 거리가 증가할수록 치료 레이저(110-1)의 조사 영역(B)의 크기는 감소하고, 조사 영역(B)에 대한 출력 밀도는 커지게 된다. 여기서 초점 거리는 핸드피스 장치(100)와 치료 레이저(110-1) 초점까지의 거리를 지칭할 수 있으며, 이러한 초점 거리에서 치료 레이저(110-1)가 중심점(x)에 수렴(혹은, 집중)되어 조사 영역(B)은 점 형태를 띠고 최대의 출력 밀도를 가지게 된다. 한편, 이격 거리가 초점 거리 이상으로 멀어지게 되면, 이격 거리가 증가될수록 치료 레이저(110-1)의 조사 영역(B)은 다시 증가하고, 출력 밀도는 감소하는 패턴을 가지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 장치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핸드피스 장치(100)는 상이한 출력 밀도 값을 나타내는 복수의 경계상(z1, z2, z3)를 시술 부위에 표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경계상(z1, z2, z3)은 치료 레이저의 조사 영역(B)의 중심점(x)을 중심으로 하는 복수 개의 동심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동심원이 각각 상이한 출력 밀도 값을 지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기준 거리(L1)에서의 출력 밀도를 기준으로 하여, z1, z2, z3이 각각 이러한 출력 밀도의 2배, 3배, 4배의 출력 밀도 값을 지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핸드피스 장치(100)는 거리상(y)이 최외각 경계상(z3)을 벗어나는 경우, 치료 레이저의 조사를 자동 중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는 너무 높은 출력 밀도로 치료 레이저가 시술 부위에 조사됨으로 인해 피부 등이 손상되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상이한 출력 밀도 값을 나타내는 복수의 경계상(z1, z2, z3)을 시술 부위에 동시에 표출함으로써, 시술의 정밀성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핸드피스 장치 110: 치료 레이저부
110-1: 치료 레이저 120: 거리 표시 레이저부
130: 경계 표시 레이저부 140: 중심 표시 레이저부
150: 투과 영역 200: 본체부
300: 헤드부

Claims (12)

  1. 레이저 치료용 핸드피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술 부위의 적어도 일 영역에 치료 레이저를 조사하는 치료 레이저부; 및
    상기 시술 부위에 적어도 하나의 거리상을 표출하는 거리 표시 레이저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상은 상기 핸드피스 장치와 상기 시술 부위와의 이격 거리의 변화에 따라 상기 시술 부위 상에서 이동하되,
    기준 거리는 상기 거리 표시 레이저부가 상기 시술 부위에 대한 상기 치료 레이저의 조사 영역의 중심점에 수렴하는 상기 거리상을 표출하게 하는 이격 거리이고,
    상기 이격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보다 증가함에 따라, 상기 거리상은 상기 중심점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하는, 핸드피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표시 레이저부에 의한 조사 방향은 상기 치료 레이저부에 의한 조사 방향과 소정의 각을 이루는, 핸드피스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점에 대응하는 중심상(center image)을 상기 시술 부위에 표출하는 중심 표시 레이저부를 더 포함하는, 핸드피스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초점 거리는 상기 치료 레이저부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치료 레이저가 상기 중심점에 수렴하는 이격 거리이고,
    상기 이격 거리가 상기 초점 거리보다 감소함에 따라, 상기 조사 영역의 크기는 증가하고, 상기 조사 영역에 대한 출력 밀도는 감소하는, 핸드피스 장치.
  6. 레이저 치료용 핸드피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술 부위의 적어도 일 영역에 치료 레이저를 조사하는 치료 레이저부;
    상기 시술 부위에 적어도 하나의 거리상을 표출하는 거리 표시 레이저부; 및
    적어도 하나의 경계상(boundary image)을 상기 시술 부위에 표출하는 경계 표시 레이저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상은 상기 핸드피스 장치와 상기 시술 부위와의 이격 거리의 변화에 따라 상기 시술 부위 상에서 이동하고,
    상기 경계상의 표출 위치는 서로 상이한 소정의 출력 밀도 값을 나타내며, 상기 거리상이 상기 경계상에 위치하면, 상기 치료 레이저는 상기 경계상이 나타내는 상기 출력 밀도 값으로 상기 시술 부위의 조사 영역에 조사되는, 핸드피스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표시 레이저부에 의한 조사 방향은 상기 치료 레이저부에 의한 조사 방향과 평행을 이루는, 핸드피스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상은 상기 시술 부위에 대한 상기 치료 레이저의 조사 영역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심원으로 구성되는, 핸드피스 장치.
  9. 제 6 항에 있어,
    상기 경계상의 개수, 표출 위치 및 형상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상이하게 변경되는, 핸드피스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 레이저부가 구비되는 본체부; 및
    상기 거리 표시 레이저부가 구비되는 헤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헤드부는 탈착 가능한, 핸드피스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표시 레이저부는 상기 거리상을 각각 표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모듈은 상기 헤드부의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되는, 핸드피스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중심부에는 상기 치료 레이저를 투과시키기 위한 투과 영역이 형성되는, 핸드피스 장치.
KR1020160031058A 2016-03-15 2016-03-15 부작용을 예방하고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레이저 치료용 핸드피스 장치 KR101765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058A KR101765491B1 (ko) 2016-03-15 2016-03-15 부작용을 예방하고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레이저 치료용 핸드피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058A KR101765491B1 (ko) 2016-03-15 2016-03-15 부작용을 예방하고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레이저 치료용 핸드피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5491B1 true KR101765491B1 (ko) 2017-08-07

Family

ID=59653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058A KR101765491B1 (ko) 2016-03-15 2016-03-15 부작용을 예방하고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레이저 치료용 핸드피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54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6890B1 (ko) * 2018-03-08 2019-01-11 주식회사 요즈마비엠텍 실시간 거리 제어 및 온도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극저온 치료기
KR20200134743A (ko) 2019-05-23 2020-12-02 한국광기술원 능동형 관절염 광선 치료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694B1 (ko) * 2010-08-03 2011-02-25 정승돈 레이저 치료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694B1 (ko) * 2010-08-03 2011-02-25 정승돈 레이저 치료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6890B1 (ko) * 2018-03-08 2019-01-11 주식회사 요즈마비엠텍 실시간 거리 제어 및 온도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극저온 치료기
WO2019172548A1 (ko) * 2018-03-08 2019-09-12 주식회사 요즈마비엠텍 실시간 거리 제어 및 온도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극저온 치료기
KR20200134743A (ko) 2019-05-23 2020-12-02 한국광기술원 능동형 관절염 광선 치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364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lignment of the eye for ocular imaging
CA2864291C (en) Extracting lenticules for refractive correction
US20140046306A1 (en) Laser beam ophthalmological surgery method and apparatus
US20130131653A1 (en) Ophthalmological laser method and apparatus
US20230201037A1 (en) Treatment laser with reflex mirror
KR101765491B1 (ko) 부작용을 예방하고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레이저 치료용 핸드피스 장치
US20170087021A1 (en) Eye surgical procedure
EP2997939B1 (en) Ophthalmological laser apparatus
US8747395B2 (en) Device for treating eye tissue
KR101644503B1 (ko) 인간의 각막에 절개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266528B2 (en) Treatment laser with reflex mirror and safety interlock
US20140180265A1 (en) Ophthalmological laser method and apparatus
GB2074343A (en) Laser Ophthalmic Surgery Apparatus
JP6503647B2 (ja) レーザ治療装置
KR20160091826A (ko) 인간 눈의 레이저 치료를 위한 디바이스
KR101299914B1 (ko) 의료용 레이저 치료장치의 레이저 빔과 에이밍 빔의 스폿사이즈를 동일하게 하기 위한 장치
RU2563448C1 (ru) Офтальмохирургическая лазерная система
JP6627382B2 (ja) 眼科用レーザ治療装置
AU2017315069B2 (en) Laser system for performing ophthalmological proced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