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6222B1 -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6222B1
KR101016222B1 KR1020100066726A KR20100066726A KR101016222B1 KR 101016222 B1 KR101016222 B1 KR 101016222B1 KR 1020100066726 A KR1020100066726 A KR 1020100066726A KR 20100066726 A KR20100066726 A KR 20100066726A KR 101016222 B1 KR101016222 B1 KR 101016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using
display panel
uni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6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돈원
김정권
이창근
임훈식
Original Assignee
(주)컴버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컴버스테크 filed Critical (주)컴버스테크
Priority to KR1020100066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62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와 급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하는 장치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하는 제 1하우징, 상기 제 1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는 보호창, 상기 보호창과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외부의 공기를 장치부로 유입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좌우 방향으로 순환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및 후면을 냉각 또는 난방하는 공기조화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은 급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디스플레이 패널 측으로 상승시킴과 동시에 제 1 내지 제 3순환팬을 구동해서 좌우 방향으로 강제 순환시켜 장치 내부를 일정 온도 범위를 유지하도록 냉각 및 난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DIGITAL INFORMATION DISPLAY}
본 발명은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옥외에 설치되어 기업광고나 홍보를 위해 디지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옥외나 야외에 광고 등이 목적으로 설치되는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지털 신호의 입력만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대형으로 출력된 사진과 같은 출력물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새로운 광고와 정보를 제공할 때마다 출력물을 교체할 필요가 없어서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하지만, 옥외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들은 주변의 기후나 설치되는 장소의 환경에 완전히 노출됨에 따라 비, 눈, 바람, 먼지 등이 디스플레이 장치 내로 유입되어 디스플레이 장치가 쉽게 파손되거나 고장으로 인한 이상 동작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옥외의 온도가 심하게 변화하는 경우, 주변의 온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온도가 일정온도, 예컨대 약 50℃를 초과하여 상승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이 갑자기 어두워지는 블랙 아웃(blackout)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 10-2009-0088239호(2009년 08월 19일자 공개,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특허문헌 1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온도 조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하우징(1)의 전면 및 후면 사이의 공간에 냉각장치를 구비한다.
냉각장치는 제 1외부공기 급기구(4a)에 설치되어 제 3하우징(3)으로부터의 외부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다수의 제 1팬(5a), 온도센서에 의해 센싱된 온도에 따라 구동되어 제 1팬(5a)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강제로 이동시키는 제 2팬(5b), 제 2외부공기 급기구(4b)에 설치되는 제 3팬(5c) 및 제 2하우징(2)에 형성된 배기구(4c)에 설치되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는 제 4팬(5d)을 구비한다.
즉, 냉각장치는 제 1 및 제 2팬(5a,5b)을 구동하여 제 3하우징(3)의 제 1외부공기 급기구(4a)를 통해 외부 공기를 강제 유입시킨 후에 디스플레이 패널(6)과 보호창(7) 사이의 협소한 공간으로 강제 유출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6)의 전면을 냉각시킨다.
그리고 냉각장치는 제 3팬(5c)을 구동하여 제 2외부공기 급기구(4b)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제 1하우징(1)과 디스플레이 패널(6)의 후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유입시키고, 제 4팬(5d)을 구동하여 열교환된 더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6)의 후면을 냉각시킨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1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부의 제 3하우징(3)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제 1 및 제 2하우징(1,2)을 거쳐 외부로 배출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6)의 하부를 냉각할 수는 있지만, 공기가 상승하면서 열교환에 의해 공기의 온도도 점차 상승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6)의 상부를 충분하게 냉각시킬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6)의 세로 길이가 가로 길이보다 길수록 디스플레이 패널(6)의 상부와 하부 사이의 온도차가 커지게 되고, 결국 디스플레이 패널(6)의 상부, 예컨대 하단으로부터 약 2/3 지점을 경과한 부분에서 과도한 온도 상승에 의한 블랙 아웃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그리고 특헌문헌 1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4팬(5d)에 의해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4c)에 필터(도면 미도시)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필터는 미세한 홀이 형성된 두 개의 필터를 단순히 결합시킨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먼지와 수분을 완전하게 차단할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동절기에 기온이 영하로 하강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를 난방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 기온 하강시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장에 대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 10-2009-0088239호(2009년 08월 19일자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옥외에 설치하더라도 날씨나 주변환경에 관계없이 항상 고화질의 선명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먼지나 수분이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와 급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하는 장치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하는 제 1하우징, 상기 제 1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는 보호창, 상기 보호창과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외부의 공기를 장치부로 유입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좌우 방향으로 순환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및 후면을 냉각 또는 난방하는 공기조화부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부는 상기 급기구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장치부 내부로 유입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 내부로 유입시키는 급기팬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내측에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순환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순환팬은 상기 장치부로부터 디스플레이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과 보호창 사이 공간으로 강제 순환시키는 상기 제 1순환팬과 공기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측 공간으로 강제 순환시키는 상기 제 2순환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조화부는 상기 제 1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 1온도감지센서 및 상기 제 1온도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급기팬과 제 1 및 제 2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조화부는 상기 장치부를 형성하는 제 2하우징에 유입되는 공기를 좌우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제 3순환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조화부는 상기 제 1하우징 내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이면 발열 동작하여 일정 온도로 유지하는 난방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난방장치는 상기 제 1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 1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 2온도감지센서, 상기 제 2순환팬의 후측에 설치되는 제 1히터 및 상기 제 3순환팬의 후측에 설치되는 제 2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히터는 정특성 서미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기구 및 배기구에는 방진 및 방수 기능의 필터가 설치되고, 상기 필터는 하이드로포빅 여과재와 고용량 분진유지 여재 및 고효율 멤브레인 필터를 접합한 후 굴곡지게 겹쳐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창의 표면은 상기 안티 글레어 코팅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급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디스플레이 패널 측으로 상승시킴과 동시에 순환팬을 구동해서 좌우 방향으로 강제 순환시켜 장치 내부를 일정 온도 범위 이내로 유지하도록 냉각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동절기에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이면, 난방장치를 구동하여 장치 내부의 온도를 일정 온도 범위 이내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정전에 의해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이 일시 중지된 상태에서 전원이 다시 공급되는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난방 동작에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 난방장치를 이용하여 장치 내부의 난방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날씨나 주면 환경에 관계없이 항상 고화질의 선명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급기구와 배기구에 다수의 여재가 초음파 융착된 필터를 설치하여 외부의 먼지 및 수분이 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완전하게 차단하여 장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창의 표면을 안티 글레어 코팅 처리하여 빛을 여러 갈래로 산란시켜서 난반사함으로써 눈부심을 감소시키고, 흠집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적외선을 차단하여 변색과 블랙 아웃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온도 조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 1필터의 구성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온도를 조절하는 공기조화부의 블록 구성도.
도 8a 및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공기조화부 중에서 냉각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9a 및 도 9b는 난방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9c 및 도 9d는 난방동작 상태를 보인 동작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 1필터의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온도를 조절하는 공기조화부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공기조화부 중에서 냉각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을 보인 구성도이며, 도 9a 및 도 9b는 난방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을 보인 구성도이고, 도 9c 및 도 9d는 난방동작 상태를 보인 동작 상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3)이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10)와 내부에 각종 회로장치가 설치되는 장치부(20)를 포함한다. 물론, 장치부(20)에도 디스플레이 패널을 추가 설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와 장치부(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햇빛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3)의 과열을 막기 위해 공기가 전달될 수 있도록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고, 장치부(20)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구(20')가 형성되고, 디스플레이부(10)에는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10')가 형성되며, 디스플레이부(10)와 장치부(20)에는 공기를 강제로 유입 및 배출시켜 디스플레이 패널(13)을 냉각 및 난방하는 공기조화부가 구비된다.
공기조화부의 상세한 구성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부(10)는 일측, 도 4 및 도 5에서 보았을 때 후측 일부가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하우징(11), 제 1하우징(11)의 전면에 설치되는 보호창(12), 보호창(12)과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3) 및 장치부(2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제 1하우징(10)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10')에 설치되는 제 1필터(14)를 구비한다.
장치부(20)는 일측, 도 4 및 도 5에서 보았을 때 후측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하우징(21), 제 2하우징(21)의 전면에 설치되는 보조창(22) 및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급기구에 설치되는 제 2필터(23)를 구비한다.
먼저, 제 1하우징(11)의 구성을 도 4 및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보호창(12)에는 정전 용량 방식으로 터치 여부를 감지하여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정전용량 터치필름이 부착된다.
보호창(12)은 햇빛에 의한 블랙 아웃을 차단하기 위해 안티 글레어(anti glare) 코팅을 수행한다.
즉, 보호창(12)은 유리의 표면을 나노 코팅 처리하여 90% 이상의 투과율을 유지한 상태에서 빛을 여러 갈래로 산란시켜서 난반사함에 따라 눈부심을 감소시키고, 흠집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보호창(12)은 적외선 차단 필름을 부착하여 적외선에 의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여 변색과 블랙 아웃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보호창을 이용해 디스플레이 패널을 안정적으로 보호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을 선명하게 볼 수 있게 해준다.
디스플레이 패널(13)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istal Display) 패널이나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발광다이오드 패널(LED Panel) 등 다양한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보호창(12)과 디스플레이 패널(13)은 햇빛에 의한 복사열이 디스플레이 패널(13)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호창(12)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3)의 화면을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는지 여부를 실험한 결과에 따르면, 약 10 내지 20mm 정도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보호창(12)과 디스플레이 패널(13) 사이의 공간을 통해 공기가 용이하게 순환할 수 있게 된다.
제 1하우징(11)의 개구부, 즉 후측 일부에는 제 1도어(15)가 설치되고, 측면 후단에는 제 1도어(15)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감지센서(16)가 설치된다.
도어감지센서(16)는 공기조화부를 제 1도어(15)의 개폐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하도록 제 1도어(15)의 개방 및 폐쇄 상태를 감지한 감지신호를 공기조화부의 제어부로 전달한다.
제 1도어(15)는 개폐 가능하도록 일측이 제 1하우징(10)의 일측면 후단에 힌지 결합되고, 제 1도어(15)의 타측에는 임의로 개폐할 수 없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잠금장치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 1도어(15)의 상부 중앙에는 배기구(10')가 형성되고, 배기구(10')에는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고 외부의 이물질이 제 1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 1필터(14)가 장착된다.
제 1필터(1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드로포빅 여재(Hydrophobic filter media)(14a)와 고용량 분진유지 여재(High dust holding capasity media)(14b) 및 고효율 멤브레인 필터(High efficiency membrane filter)(14c)를 초음파 융착시킨 후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 굴곡지게 겹쳐서 제작된다.
이때, 고효율 멤브레인 필터(14c)는 확대된 미소공성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Microporous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ePTFE)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3가지 재질로 구성되는 제 1필터(14)는 99.99% 이상의 포집 효율을 갖는 고청정 필터로서, 직경이 0.2마이크론(μ, 1/1000mm) 이하인 입자만을 통과시키므로 먼지 및 물 입자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방진 및 방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제 1필터(14)는 화학성물질, 예컨대 염화칼슘, 염화나트륨과 같은 부식물질 및 자동차의 매연과 같은 오염물질이 제 1하우징(1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제 1하우징(10) 및 그 내부의 장치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 1필터(14)는 각 여재를 다중으로 접합하여 쉽게 손상되지 않아 수명이 길어짐에 따라 수명이 다된 필터의 교체로 인한 유지보수 비용 및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제 1필터(14)는 초음파 융착이나 열 융착과 같은 융착 방식뿐만 아니라, 접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작된 제 1필터(14)는 금속 재질, 예컨대 알루미늄 재질을 이용해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케이스(14d)에 결합되어 제 1도어(15)에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필터(14)는 3중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분진의 침투 방지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하이드로포빅 여재(14a), 2중의 고용량 분진유지 여재(14b) 및 고효율 멤브레인 필터(High efficiency membrane filter)(14c)를 포함한 총 4중의 여재를 접합하여 제작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이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 2하우징(21)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2하우징(21)의 개구부, 즉 후면에는 제 2도어(24)가 설치된다.
제 2도어(24)는 제 1도어(15)와 마찬가지로 개폐 가능하도록 일측이 제 2하우징(21)의 일측면 후단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에는 임의로 개폐할 수 없도록 하나 이상의 잠금장치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 2도어(24)의 하부 중앙에는 급기구(20')가 형성되고, 급기구(20')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 2필터(23)가 장착된다. 제 2필터(23)의 구성은 제 1필터(14)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제 2필터(23)는 유입되는 공기가 하이드로포빅 여과재(14a)를 먼저 통과하도록 제 1필터(14)와 역방향으로 설치된다.
보조창(22)은 일반적인 유리로 구비되며, 외면이나 내면에 광고나 홍보를 위한 문구 및 이미지를 인쇄하거나 출력물을 부착하여 보조적인 광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하우징(21)의 하면에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바퀴(도면 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7, 도 8a, 도 8b, 도 9a 내지 도 9d를 참조하여 공기조화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공기조화부(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기구(20')에 설치되는 급기팬(31), 제 1하우징(11) 내부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제 1 및 제 2순환팬(32,33), 제 2하우징(21) 내부에 설치되는 제 3순환팬(34), 제 1하우징(11) 내부의 온도를 각각 감지하는 제 1온도감지센서(35) 및 제 1온도감지센서(35)의 감지신호에 따라 급기팬(31)과 제 1 내지 제 3순환팬(32,33,34)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6)를 구비한다.
급기팬(31)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의 유입량을 높이기 위해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된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순환팬(32)은 도 9a 내지 도 9c에서 보았을 때 제 1하우징(11)의 전면과 우측면 사이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3)과 보호창(12) 사이로 공기를 강제 유입시킨다. 이러한 제 1순환팬(32)은 제 1하우징(11) 내부의 공기를 전체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하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순환팬(33)은 도 9a 내지 도 9c에서 보았을 때 제 1하우징(11)의 후면과 좌측면 사이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3)의 후측 공간으로 공기를 강제 순환시킨다. 즉, 제 2순환팬(33)은 제 1순환팬(32)과 대각선 상에 설치되며, 제 1순환팬(32)과 마찬가지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하 한 쌍으로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순환팬을 이용하여 제 1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좌우 순환시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및 후면을 냉각시켜 내부 온도를 미리 설정된 온도, 예컨대 블랙 아웃 현상이 발생하는 온도보다 낮은 약 50℃ 이하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원발명은 다수의 팬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후측에 설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하부로부터 공기를 유입시키는 종래 기술에 비해 공기조화부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면서도 좌우로 순환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3순환팬(34)은 도 9a, 도 9b 및 도 9d에서 보았을 때 제 2하우징(21)의 전면과 우측면 사이에 설치되어 제 2하우징(21) 내부의 공기를 강제 순환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 3순환팬을 이용해 제 2하우징 내부를 냉각함과 동시에 제 1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와류 현상을 일으켜 제 1하우징의 냉각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순환팬(32,33,34)은 크로스 팬(Cross Fan)을 세로 방향으로 길게 설치하여 순환되는 풍량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온도감지센서(35)는 디스플레이 패널(13)의 상부측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제 1하우징(11) 내부의 상부에 설치된다.
제어부(36)는 전원공급시 또는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를 초과하면 급기팬(31)과 제 1 내지 제 3순환팬(32,33,34)을 가동하도록 제어하고, 관리자가 제 1도어(15)를 개방하는 경우 제 1 내지 제 3순환팬(32,33,34)을 정지시키도록 제 1도어(15)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감지센서(16)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 1 내지 제 3순환팬(32,33,34)의 구동을 중지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36)는 공기조화부(30)에 구비되는 급기팬(31)과 제 1 내지 제 3순환팬(32,33,34)을 구동하여 내부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햇빛과 디스플레이 패널(13) 구동시 발생된 열을 냉각시켜 제 1하우징(11) 내부의 온도를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로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공기조화부(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절기에 난방을 위한 난방장치(40)를 더 포함한다.
난방장치(40)는 도 9a 및 도 9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하우징(11)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 2온도감지센서(41)와 감지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난방온도 범위를 벗어난 경우 발열 동작하는 제 1 및 제 2히터(42,43)를 구비한다.
제 2온도감지센서(41)는 디스플레이 패널(13)의 상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하부 온도를 감지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4)의 하부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히터(42,43)는 온도에 따라 저항이 증가하면서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구동을 중지하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일정 온도를 유지하는 정특성 서미스터(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er)이다.
제 1히터(42)는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순환팬(33)의 후측에 설치되고, 제 2히터(43)는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순환팬(34)의 후측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제 1히터(42)를 제 2순환팬(33)에 근접하여 설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전면 온도를 블랙 아웃 현상이 발생하는 한계 온도인 50℃ 미만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난방온도 범위는 예컨대, 5℃ 내지 15℃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냉각 동작을 설명한다.
전원 공급이 시작되거나, 제 1온도감지센서(35)로부터 감지된 제 1하우징(11) 내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 예컨대 25℃ 이상이면, 제어부(36)는 급기팬(31), 제 1 내지 3순환팬(32,33,34)을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급기팬(31) 구동에 의해 외부 공기가 제 2하우징(21)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제 3순환팬(34) 구동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순환하면서 제 1하우징(11)으로 유입된다.
그러면 제 1 및 제 2순환팬(32,33)이 구동되면서 공기를 강제 순환시켜 디스플레이 장치(13)의 전면 및 후면을 냉각시키고, 열교환 동작에 의해 온도가 상승한 제 1하우징(11) 내부 공기를 배기구(1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이때, 제 1 및 제 2필터(14,23)는 배출 및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여 제 1 및 제 2하우징(11,21) 내부로 부식물질, 물,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어서, 도 9a 내지 도 9d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난방 동작을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3)의 하부에 근접해서 설치된 제 2온도감지센서(41)로부터 감지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최저온도, 예컨대 5℃ 미만이면, 제어부(36)는 제 1 및 제 2히터(42,43)가 구동되도록 제 1 및 제 2히터(42,43)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제 1 및 제2히터(42,43)는 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증가하면서 발열 동작하고,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구동을 중지하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이어서 제어부(36)는 제 1 내지 제 3순환팬(32,33,34)을 구동하여 제 1 및 제 2히터(42,43)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제 1 및 제 2하우징(11,21) 내부에 순환시키도록 제어한다.
만약, 제 2온도감지센서(41)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최고온도, 예컨대 15℃이면, 제어부(36)는 제 1 및 제 2히터(42,43)의 구동을 중지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은 난방 동작은 정전에 의해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이 일시 중지된 상태에서 전원이 다시 공급되는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난방 동작에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급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디스플레이 패널 측으로 상승시킴과 동시에 제 1 내지 제 3순환팬을 구동해서 좌우 방향으로 강제 순환시켜 장치 내부를 일정 온도 범위를 유지하도록 냉각함으로써, 항상 고화질의 선명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 공기조화부의 제어부가 난방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난방장치에 별도의 제어부를 구비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인 제어부가 냉각동작 및 난방동작을 제어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10: 디스플레이부 10': 배기구
11: 제 1하우징 12: 보호창
13: 디스플레이 패널 14: 제 1필터
15: 제 1도어 16: 도어감지센서
20: 장치부 20': 급기구
21: 제 2하우징 22: 보조창
23: 제 2필터 24: 제 2도어
30: 공기조화부 31: 급기팬
32,33,34: 제 1,2,3순환팬 35: 제 1온도감지센서
36: 제어부 40: 난방장치
41: 제 2온도감지센서 42,43: 제 1,2 히터

Claims (9)

  1. 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와 급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하는 장치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하는 제 1하우징,
    상기 제 1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는 보호창,
    상기 보호창과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외부의 공기를 장치부로 유입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좌우 방향으로 순환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및 후면을 냉각 또는 난방하는 공기조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조화부는
    상기 급기구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장치부 내부로 유입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 내부로 유입시키는 급기팬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내측에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순환팬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순환팬은
    상기 장치부로부터 디스플레이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과 보호창 사이 공간으로 강제 순환시키는 상기 제 1순환팬과
    공기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측 공간으로 강제 순환시키는 상기 제 2순환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부는
    상기 제 1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 1온도감지센서 및
    상기 제 1온도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급기팬과 제 1 및 제 2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부는
    상기 장치부를 형성하는 제 2하우징에 유입되는 공기를 좌우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제 3순환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항, 제 4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부는
    상기 제 1하우징 내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이면 발열 동작하여 일정 온도로 유지하는 난방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장치는
    상기 제 1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 1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 2온도감지센서,
    상기 제 2순환팬의 후측에 설치되는 제 1히터 및
    상기 제 3순환팬의 후측에 설치되는 제 2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히터는 정특성 서미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구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에는 방진 및 방수 기능의 필터가 설치되고,
    상기 필터는 하이드로포빅 여재와 고용량 분진유지 여재 및 고효율 멤브레인 필터를 접합한 후 굴곡지게 겹쳐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창의 표면은
    안티 글레어 코팅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00066726A 2010-07-12 2010-07-12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16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726A KR101016222B1 (ko) 2010-07-12 2010-07-12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726A KR101016222B1 (ko) 2010-07-12 2010-07-12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6222B1 true KR101016222B1 (ko) 2011-02-25

Family

ID=43777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726A KR101016222B1 (ko) 2010-07-12 2010-07-12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62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5565A1 (en) * 2013-07-08 2015-01-15 Lg Electronics Inc. Digital sign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WO2018079909A1 (ko) * 2016-10-28 2018-05-03 주식회사 현대아이티 옥외용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쿨링 시스템
GB2614748A (en) * 2022-01-18 2023-07-19 Amscreen Group Ltd Cooling of electronic display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6368A (ko) * 2008-05-07 2009-11-11 (주)삼진테크 옥외용 디스플레이 함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6368A (ko) * 2008-05-07 2009-11-11 (주)삼진테크 옥외용 디스플레이 함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5565A1 (en) * 2013-07-08 2015-01-15 Lg Electronics Inc. Digital sign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9414516B2 (en) 2013-07-08 2016-08-09 Lg Electronics Inc. Digital sign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WO2018079909A1 (ko) * 2016-10-28 2018-05-03 주식회사 현대아이티 옥외용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쿨링 시스템
GB2614748A (en) * 2022-01-18 2023-07-19 Amscreen Group Ltd Cooling of electronic display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4516B2 (en) Digital sign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EP2936476B1 (en) Display apparatus
EP2133735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means for cooling the display panel
CN102629438B (zh) 户外显示装置
US11262817B2 (en) Display device
KR10167098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EP3490354B1 (en) Outdoor display apparatus having enhanced temperature stability
US9982895B2 (en) Baking oven door and baking oven
KR101784342B1 (ko)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79213B1 (ko) 공조시스템을 가지는 광고판
US20090126907A1 (en) Isolated Gas Heating System for an Electronic Display
KR20060032480A (ko)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
KR101016222B1 (ko)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US9943017B2 (en) Enclosure device for displays
KR101153923B1 (ko)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CN102169280A (zh) 投影装置
KR20150139215A (ko) 히팅기능을 갖는 옥외광고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44969B1 (ko) 실외 광고용 모니터의 구조
JP4627144B2 (ja) 表示装置
CN101587260A (zh) 液晶显示装置
JP6685141B2 (ja) 案内表示器
KR100210235B1 (ko) Lcd 에이징 테스터
CN103415179A (zh) 一种散热缓冲装置及显示装置
KR101524261B1 (ko) 실외용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이동수단
WO2020100691A1 (ja) 熱交換形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