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6112B1 - 다중접속용 커넥터를 갖는 led 조명등 - Google Patents

다중접속용 커넥터를 갖는 led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6112B1
KR101016112B1 KR1020080108704A KR20080108704A KR101016112B1 KR 101016112 B1 KR101016112 B1 KR 101016112B1 KR 1020080108704 A KR1020080108704 A KR 1020080108704A KR 20080108704 A KR20080108704 A KR 20080108704A KR 101016112 B1 KR101016112 B1 KR 101016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connector
led lighting
frame
ligh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8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9750A (ko
Inventor
양상훈
오수남
Original Assignee
에프씨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씨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프씨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8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6112B1/ko
Publication of KR20100049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9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접속용 커넥터를 갖는 LED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서, 한편, 본 발명의 다중접속용 커넥터를 갖는 LED 조명등은, LED 점등체가 내장 결합되어 방열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LED 점등체에 형성된 커넥터 영역에 홀을 형성시키고, 그 이면에 하네스 수납공간을 형성시킨 방열판과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과, 방열판 상에 부착되며, LED 조명등 간 접속을 위한 커넥터를 형성시킨 LED 점등체와, 프레임에 고정되어 LED 점등체로부터 발산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커버와, 타 LED 조명등에 형성된 캡과 결합될 수 있도록 프레임 양단에 결합되는 암형캡과 수형캡으로 이루어진 캡으로 이루어져, 모듈화되어 생산된 LED 조명등을 단지 캡을 이용하여 결합하여 원하는 밝기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레임 이면 공간에 하네스를 수납시킴으로써 견고하게 깔끔한 LED 조명등을 연출할 수 있다.
다중접속, 커넥터, LED, 조명등

Description

다중접속용 커넥터를 갖는 LED 조명등{LIGHT EMITTED DIODE LIGHT WITH CONNECTER FOR MULTIPLE CONNECTION}
본 발명은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듈화된 하나의 LED 조명등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원하는 조명 밝기를 얻을 수 있는 다중접속용 커넥터를 갖는 LED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조명등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어두운 곳을 밝히는 조명 용도로 많이 사용된다.
한편, 조명등은 그 밝기의 정도를 와트(W)로 표기하고 있으며, 이는 서로 다른 생산과정을 갖는 미리 설정된 공정을 거쳐 제작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작되어, 주변환경에 대응하여 적절한 밝기를 갖는 조명등이 사용되어지게 된다. 그런데, 만약 더욱 밝은 조명을 원할 경우, 또는 그 반대의 경우에 조명등을 교체하여야 하는데, 원하는 밝기의 조명등을 구입하여 교체하여야 한다. 다시 말해, 이미 밝기가 고정되어 있는 조명등 자체의 조작은 실질적으로 불가 능하므로, 결국 필요에 따라 밝기를 변화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모든 밝기의 조명등을 마련하여야 하는 것이다. 또는 배선 작업을 통해 다수의 조명등을 연결하여 밝기를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번거로운 배선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한편, 최근 LED를 이용하여 조명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LED 패키지의 기술개발에 따라 그 밝기가 기존의 조명등과 비슷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LED 조명등의 눈부심 등의 문제를 해결하면서 LED 조명등의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이에 상기한 일반적인 조명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LED 조명등을 모듈화시켜 이를 연속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밝기를 조절하고자 하는 제안이 이미 제시된 바 있다. 예를 들어 USB 접속단자를 LED 조명등에 형성시키고, LED 조명등 간을 USB 케이블(하네스)로 연결하는 방식이 소개된 바 있다.
그러나, USB 케이블을 이용하여 LED 조명등을 연결하는 방식은 비교적 밝은 출력에 대응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즉, 안정적인 파워 공급과 LED 패키지가 필요로 하는 안정된 전류값을 공급할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하다. 게다가, 이 USB 케이블을 이용한 LED 조명등은 USB 케이블의 말단의 잭에 의해 고정됨으로 인해 LED 조명등간 이탈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원활한 전원공급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듈화된 하나의 LED 조명등 양단에 암커넥터(또는 암형캡) 및 수커넥터(또는 수형캡)를 형성시켜 이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다른 LED 조명등을 연속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조명 밝기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LED 패키지가 실장되는 PCB에 전류조절용 저항을 다수개 형성하여 모듈화된 LED 조명등의 개수에 대응하여 안정적이면서 다양한 파워 및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다중접속용 커넥터를 갖는 LED 조명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중접속용 커넥터를 갖는 LED 조명등은, LED 점등체가 내장 결합되어 방열 기능을 수행하는 방열판과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 상기 방열판 상에 부착되며, LED 패키지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양단에 형성시킨 LED 점등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LED 점등체로부터 발산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커버;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LED 점등체에 형성된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단자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 LED 조명등에 형성된 커넥터와 결합될 수 있도록 프레임 양단에 결합되는 암커넥터와 수커넥터로 이루어진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LED 점등체는, 회로가 인쇄된 PCB와, 상기 PCB에 실장된 LED 패 키지로 이루어지며, 다수개로 분리되어 제조되며, 다수의 LED 점등체는 접속단자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다수의 LED 점등체 각각은, 전원공급부로부터 전달된 전압을 승압시키는 전해콘덴서; 상기 LED 패키지에서 필요로 하는 전류값을 조절하는 제1저항 내지 제3저항; 상기 제1저항 내지 제3저항에 대응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를 통해 출력 전류량을 조절하는 IC칩; 및 상기 IC칩 출력단과 LED 패키지에 접속된 코일로 이루어진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중접속용 커넥터를 갖는 LED 조명등은, LED 점등체가 내장 결합되어 방열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LED 점등체에 형성된 커넥터 영역에 홀을 형성시키고, 그 이면에 하네스 수납공간을 형성시킨 방열판과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 상기 방열판 상에 부착되며, LED 조명등 간 접속을 위한 커넥터를 형성시킨 LED 점등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LED 점등체로부터 발산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커버; 및 타 LED 조명등에 형성된 캡과 결합될 수 있도록 프레임 양단에 결합되는 암형캡과 수형캡으로 이루어진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LED 점등체는, 회로가 인쇄된 PCB와, 상기 PCB에 실장된 LED 패키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LED 점등체는 다수개로 분리되어 제조되며, 다수의 LED 점등체 중 양단에 배치되는 LED 점등체에 커넥터를 형성시키며, 나머지 LED 점등체는 접속단자로 상호 연결된다.
또한,상기 다수의 LED 점등체 각각은, 전원공급부로부터 전달된 전압을 승압시키는 전해콘덴서; 상기 LED 패키지에서 필요로 하는 전류값을 조절하는 제1저항 내지 제3저항; 상기 제1저항 내지 제3저항에 대응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를 통해 출력 전류량을 조절하는 IC칩; 및 상기 IC칩 출력단과 LED 패키지에 접속된 코일로 이루어진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추가되는 LED 점등체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제어부는 전원공급부로부터 하네스를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중접속용 커넥터를 갖는 LED 조명등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모듈화되어 생산된 LED 조명등을 단지 커넥터 또는 캡을 이용하여 결합하여 원하는 밝기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밝기별 조명등을 구입하거나 배선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둘째, 모듈화된 LED 조명등을 커넥터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연결시키거나, 또는 프레임 이면 공간에 하네스를 수납시킴으로써 견고하게 깔끔한 LED 조명등을 연출할 수 있다.
셋째, LED 조명등에 안정적인 파워와 전류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제품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중접속용 커넥터를 갖는 LED 조명등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LED 조명등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LED 조명등(1)은, 크게 프레임(11), LED 점등체(12), 커버(13) 및 커넥터(14, 15)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LED 점등체(12)가 내장되어 결합되며 방열 기능을 수행하는 방열판(111)과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11)과, 프레임(11)의 방열판(111) 상에 안착되거나 결합부재(121)를 통해 방열판(111)에 고정되며, 양단에 접속단자(122)를 형성시킨 LED 점등체(12)와, 프레임(11) 돌기 사이에 슬라이딩되어 고정되는 커버(13)와, LED 점등체(12)의 접속단자(122)와 접속되며, 프레임(11) 양단에 끼워지거나 결합부재(141)를 통해 프레임(11)에 결합되는 커넥터(14, 15)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LED 점등체(12)는 회로가 인쇄된 PCB(Printed Circuit Board)(123)와, 이 PCB(123)에 실장된 LED 패키지(124)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점등체(12)를 다수개(3개) 연결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커넥터(14, 15)는 암커넥터(14)와 수커넥터(15)가 프레임(11)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이 결합에 의해 커버(13) 및 LED 점등체(12)를 고정함과 아울러 이들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암커넥터(14)와 수커넥터(15) 내부에는 LED 점등체(12) 및 커넥터간 접속이 이루어지는 단자(142)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LED 조명등(1)을 다수개 연결할 수 있으며, 이는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LED 조명등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LED 조명등(2)은, 크게 프레임(21), LED 점등체(22), 커버(23) 및 캡(24, 25)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LED 점등체(22)가 내장되어 결합되며 방열 기능을 수행하는 방열판(211)과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21)과, 프레임(21)의 방열판(211) 상에 안착되거나 결합부재(221)를 통해 방열판(211)에 고정되며, LED 패키지와 연결된 커넥터(222)를 형성시킨 LED 점등체(22)와, 프레임(21) 돌기 사이에 슬라이딩되어 고정되는 커버(23)와, 프레임(21) 양단에 끼워지거나 결합부재(241)를 통해 프레임(21)에 결합되는 캡(24, 25)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LED 점등체(22)는 회로가 인쇄된 PCB(223)와, 이 PCB(223)에 실장된 LED 패키지(224)와, 이 LED 패키지(224)에 연결되며, 하네스(3)를 통해 양 LED 점등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222)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네스(3)를 이용하여 LED 점등체(2)를 다수개 연결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양단에 설치된 LED 점등체(22)는 커넥터(222)를 통해 타 LED 점등체와 접속이 이루어지며, 하나의 LED 조명등(2)내에 설치되는 LED 점등체(22)는 접속단자(225)를 통해 접속이 이루어진다.
또한, 캡(24, 25)은 암형캡(24)과 수형캡(25)이 프레임(21)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이 결합에 의해 커버(23) 및 LED 점등체(22)를 고정함과 아울러 이들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21)은 커넥터(222)가 형성된 영역에 홀(H)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커넥터(222)가 이면으로 노출되어 하네스(3)를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LED 조명등(2)을 다수개 연결할 수 있으며, 이는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네스(3)를 이용하여 양 LED 조명등(2)이 접속되고 있으며, 프레임 이면에 형성된 공간부에 하네스를 수납하여 배선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암형캡(24)과 수형캡(25)을 결합시킬 수 없는 구조에 본 발명의 LED 조명등이 설치될 경우에 도 7과 같이 하네스를 이용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시한 커넥터 및 제2실시예에서 제시한 캡은 배치형태에 따라 직선형태, 직각형태, 원형태, 삼각형태 등 다양한 모양으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실시예의 수커넥터 및 제2실시예의 수형캡에는 돌기를 형성시키고, 제1실시예의 암커넥터 및 제2실시예의 암형캡에는 돌기가 삽입되는 홈을 형성시켜 체결을 견고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LED 점등체의 회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LED 점등체 회로는, 외부 교류전원을 공급받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시키는 전원공급부(4)와, 전원공급부(4)로부터 출력된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전압을 상승시킴과 아울러 LED 패키지(124, 224)에서 필요로 하는 전류의 정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5)와, 제어부(5)에서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점등이 이루어지는 점등부(6)로 이루어져 있다.
전원공급부(4)는 SMPS(SWITCHING-MODE POWER SUPPLY)를 이용한다.
제어부(5)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개의 LED 패키지(124, 224)를 하나의 그룹으로 하여 3개의 그룹이 하나의 모듈을 형성할 경우에, 이들 각 그룹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51, 52, 53)를 각각 마련하고 있다.
이 컨트롤러(51, 52, 53) 각각은, 전원공급부(4)로부터 전달된 전압을 승압시키는 전해콘덴서(C1)와, LED 패키지(124, 224)에서 필요로 하는 전류값을 조절하는 3개의 저항(R1, R2, R3)과, 쇼트키 다이오드(D)와, 세라믹 콘덴서(C2)와,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를 통해 출력 전류량을 조절하는 IC칩(IC)과, 코일(L)로 구성되어 있다. 즉, 기존에는 1개의 저항을 이용하여 전류값을 조절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3개의 저항(R1, R2, R3)과 이들 저항값에 대응하여 PWM 제어를 수행하는 IC칩(IC)을 결합시킴으로써 LED 패키지(124, 224)에 안정된 전류값을 공급할 수 있다.
점등부(6)는 LED 패키지(124, 224)의 그룹을 의미한다.
도 9는 2개의 LED 점등체가 하네스를 이용하여 연결될 경우의 회로개념도이다.
이상에서 몇 가지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LED 조명등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LED 조명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LED 조명등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LED 조명등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LED 조명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LED 조명등이 직접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LED 조명등이 간접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LED 점등체의 회로도이다.
도 9는 2개의 LED 점등체가 하네스를 이용하여 연결될 경우의 회로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LED 조명등 11, 21 : 프레임
12, 22 : LED 점등체 13, 23 : 커버
14 : 암커넥터 15 : 수커넥터
24 : 암형캡 25 : 수형캡
4 : 전원공급부 5 : 제어부
6 : 점등부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일측방향으로 긴 길이방향을 가지며 회로가 인쇄된 PCB와, 상기 PCB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LED패키지가 실장되며,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접속단자가 구비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되며, 그 중 양 끝단측에 위치되는 것에는 하측에 접속을 위한 커넥터가 구비되는 LED 점등체;
    상기 LED 점등체가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LED 점등체로부터 발열된 열을 방출하는 방열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LED 점등체의 커넥터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커넥터가 이면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홀이 형성되며, 배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이면에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하네스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LED 점등체로부터 발산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커버;
    상기 프레임이 다른 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도록 암형과 수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프레임의 양단에 구비되는 캡;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중 접속용 커넥터를 갖는 LED 조명등.
  6. 삭제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LED 점등체 각각은,
    전원공급부로부터 전달된 전압을 승압시키는 전해콘덴서;
    상기 LED 패키지에서 필요로 하는 전류값을 조절하는 제1저항 내지 제3저항;
    상기 제1저항 내지 제3저항에 대응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를 통해 출력 전류량을 조절하는 IC칩; 및
    상기 IC칩 출력단과 LED 패키지에 접속된 코일로 이루어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접속용 커넥터를 갖는 LED 조명등.
  9. 제8항에 있어서, 추가되는 LED 점등체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제어부는 전원공급부로부터 하네스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접속용 커넥터를 갖는 LED 조명등.
KR1020080108704A 2008-11-04 2008-11-04 다중접속용 커넥터를 갖는 led 조명등 KR101016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704A KR101016112B1 (ko) 2008-11-04 2008-11-04 다중접속용 커넥터를 갖는 led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704A KR101016112B1 (ko) 2008-11-04 2008-11-04 다중접속용 커넥터를 갖는 led 조명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750A KR20100049750A (ko) 2010-05-13
KR101016112B1 true KR101016112B1 (ko) 2011-02-21

Family

ID=42276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8704A KR101016112B1 (ko) 2008-11-04 2008-11-04 다중접속용 커넥터를 갖는 led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61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82322B2 (en) * 2008-12-08 2013-02-26 Avx Corporation Two part surface mount LED strip connector and LED assembly
KR101246034B1 (ko) * 2011-02-25 2013-03-26 주식회사 우리조명지주 피엔접합 발광소자 조명장치
KR101284908B1 (ko) * 2011-07-06 2013-07-10 김진호 Led 터널 조명
KR101309233B1 (ko) * 2013-02-28 2013-09-16 한국이미지시스템(주) 튜브형 led 램프
KR102476138B1 (ko) 2015-08-19 2022-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광원모듈 및 이를 이용한 광원모듈 어레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900A (ko) * 2001-08-08 2004-03-04 스미토모 긴조쿠 고잔 가부시키가이샤 가시광역에서도 촉매활성을 갖는 광촉매
KR200418900Y1 (ko) * 2006-03-30 2006-06-15 최규연 띠타입의 엘이디 조명장치
KR100759054B1 (ko) * 2006-11-01 2007-09-14 박청용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900A (ko) * 2001-08-08 2004-03-04 스미토모 긴조쿠 고잔 가부시키가이샤 가시광역에서도 촉매활성을 갖는 광촉매
KR200418900Y1 (ko) * 2006-03-30 2006-06-15 최규연 띠타입의 엘이디 조명장치
KR100759054B1 (ko) * 2006-11-01 2007-09-14 박청용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750A (ko) 201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34155B1 (en) Solid state lighting system
US9295113B2 (en) Power system for an LED module including multiple LEDs
CN102428318B (zh) 供电模块和发光带
US20130322082A1 (en) Modular light emitting diode (led) lighting fixtures
KR20120015232A (ko) Led 램프 및 led 램프용 구동 회로
JP5062762B2 (ja) 電源回路一体型led基板ユニットを用いた照明ユニット
JP5968299B2 (ja) 点灯装置及び他の電気装置のためのインタフェイス及び製造方法
KR101016112B1 (ko) 다중접속용 커넥터를 갖는 led 조명등
US20100309652A1 (en) Led light bar with a replaceable power source
US20110169408A1 (en) Circuit structure of light-emitting diode (led) lamp
US9746138B1 (en) Modular lighting and ancillary component apparatus and system
KR20100103267A (ko) 인버터의 수납이 용이한 형광등 타입 led 조명
JP2016131124A (ja) 照明器具
KR101067452B1 (ko) 스위치형 led 드라이버 모듈이 구성된 직류전원(dc)용 무극성 led 램프
KR100914750B1 (ko) 신호등의 전원 연결 구조
KR101718787B1 (ko) 스마트 전구용 커넥터
CN210381618U (zh) 一种调色控制电路
EP1860921A1 (en) Device for PWM regulating the electric power supplied to one or more leds
KR102201346B1 (ko) Led 어레이 자동제어 시스템, led 드라이버 자동제어 시스템 및 led 드라이버 자동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CN220417249U (zh) 具有智能控制组件的电源装置及照明设备
CN209495163U (zh) 一种线性灯条
KR101124740B1 (ko) Led조명등
WO2022004472A1 (ja) 車両用灯具の光源ユニット、車両用灯具
JP2009181950A (ja) 照明装置
KR200364521Y1 (ko) 구동안정화부 기능이 내장된 엘이디 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