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5846B1 - 전자 영상 기기 - Google Patents

전자 영상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5846B1
KR101015846B1 KR1020090003837A KR20090003837A KR101015846B1 KR 101015846 B1 KR101015846 B1 KR 101015846B1 KR 1020090003837 A KR1020090003837 A KR 1020090003837A KR 20090003837 A KR20090003837 A KR 20090003837A KR 101015846 B1 KR101015846 B1 KR 101015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s
image
period
barrier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4373A (ko
Inventor
김범식
남희
박찬영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3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5846B1/ko
Priority to JP2009298112A priority patent/JP5783675B2/ja
Priority to US12/656,051 priority patent/US8395572B2/en
Priority to AT10150787T priority patent/ATE507680T1/de
Priority to EP10150787A priority patent/EP2209322B1/en
Priority to DE602010000022T priority patent/DE602010000022D1/de
Priority to CN201010003761.4A priority patent/CN101782695B/zh
Publication of KR20100084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5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5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3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parallax b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H04N13/31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the parallax barriers being time-varia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리어부에서 빛이 새지 않도록 하여 입체 영상의 화질과 화면의 콘트라스트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표시부에 대향 배치되며 표시부의 영상을 2차원 영상 또는 입체 영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베리어부를 포함한다. 베리어부는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과, 제1 기판의 일면에 서로간 거리를 두고 형성되는 제1 전극들과, 제1 전극들 사이에서 제1 전극들과 제1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2 전극들과, 제1 간격에 대응하여 제1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는 보조 전극들과, 제2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공통 전극과,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보조 전극들은 2차원 영상과 입체 영상 중 어느 한 영상에 동기되어 구동한다.
입체영상, 베리어부, 표시부, 제1전극, 제2전극, 보조전극, 공통전극, 액정층

Description

전자 영상 기기 {ELECTRONIC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전자 영상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전자 영상 기기에 관한 것이다.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전자 영상 기기는 관찰자의 좌안과 우안에 서로 다른 영상을 제공하여 관찰자가 보는 영상에 입체감을 느끼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전자 영상 기기 가운데 양안 시차(binocular parallax)를 이용하여 관찰자가 편광 안경과 같은 장비를 착용하지 않고도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오토스테레오스코피(autostereoscopy)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통상의 오토스테레오스코피 장치는, 화소를 좌안용과 우안용으로 나누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표시부의 전방에 위치하며 표시부에서 구현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각각 관찰자의 좌안 방향과 우안 방향으로 분리시키는 베리어부를 포함한다. 베리어부는 투명 전극들과 액정층을 구비하는 액정 패널로 제작될 수 있으며, 투명 전극들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광학적으로 광 차단부와 광 투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표시부에서 화면의 수평 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화소들을 홀수번째 화소들과 짝수번째 화소들로 나누면, 공지의 시분할 방식에서 표시부는 한 프레임을 2개의 기간으로 나누어 제1 기간에서 홀수번째 화소들 및 짝수번째 화소들에서 각각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표시하고, 제2 기간에서 홀수번째 화소들 및 짝수번째 화소들에서 각각 우안 영상과 좌안 영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베리어부는 표시부의 구동에 동기되어 제1 기간과 제2 기간에서 광 차단부와 광 투과부의 위치를 변경시킨다.
공지의 베리어부는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한 쌍의 기판 중 어느 일 기판의 내면에 공통 전극을 형성하고, 다른 일 기판의 내면에 제1 전극들과 제2 전극들을 하나씩 교대로 형성한다. 공통 전극에 공통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제1 기간 중 제1 전극들에 액정 구동 전압을 인가하면 베리어부 가운데 제1 전극들이 위치하는 영역이 광 차단부가 되고, 제2 기간 중 제2 전극들에 액정 구동 전압을 인가하면 베리어부 가운데 제2 전극들이 위치하는 영역이 광 차단부가 된다.
이러한 시분할 구동 방식에서는 관찰자가 표시부의 전체 화소, 즉 홀수번째 화소들과 짝수번째 화소들을 모두 볼 수 있으므로 2차원 영상과 동일한 해상도의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그런데 베리어부에서 제1 전극들과 제2 전극들은 단락 방지를 위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떨어져 위치하므로, 베리어부 동작 과정에서 표시부에서 방출된 빛이 제1 전극들과 제2 전극들 사이의 간격을 통해 새어 나오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전자 영상 기기는 크로스토크가 증가하여 입체 영상의 화질이 떨어지고, 화면의 콘트라스트가 저하되는 문제를 안고 있다.
본 발명은 베리어부에서 빛이 새지 않도록 하여 입체 영상의 화질과 화면의 콘트라스트를 높일 수 있는 전자 영상 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표시부에 대향 배치되며 상기 영상을 2차원 영상 또는 입체 영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베리어부를 포함한다. 베리어부는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과, 제1 기판의 일면에 서로간 거리를 두고 형성되는 제1 전극들과, 제1 전극들 사이에서 제1 전극들과 제1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2 전극들과, 제1 간격에 대응하여 제1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며 2차원 영상과 입체 영상 중 어느 한 영상에 동기되어 구동하는 보조 전극들과, 제2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공통 전극과,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베리어부는 제1 전극들과 제2 전극들을 덮으면서 제1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투명 절연층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보조 전극들은 투명 절연층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베리어부는 보조 전극들을 덮으면서 투명 절연층 위에 형성되는 제1 배향막과, 공통 전극 위에 형성되는 제2 배향막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베리어부는 보조 전극들을 덮으면서 제1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투명 절연층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전극들과 제2 전극들은 투명 절연층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베리어부는 제1 전극들과 제2 전극들을 덮으면서 투명 절연층 위에 형성되는 제1 배향막과, 공통 전극 위에 형성되는 제2 배향막 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전극들 각각은 제1 간격 이상의 폭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베리어부는 제1 전극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 연결부와, 제2 전극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 연결부 및 보조 전극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3 연결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베리어부는 제1 기판의 외면에 위치하는 제1 편광판과, 제2 기판의 외면에 위치하는 제2 편광판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편광판의 편광축과 제2 편광판의 편광축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액정층은 티엔(TN)형 액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부는 2차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들, 제2 전극들, 보조 전극들 및 공통 전극이 공통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표시부는 한 프레임을 제1 기간과 제2 기간으로 나누어 제1 기간에서 제1 영상을 표시하고, 제2 기간에서 제2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간에서 제1 전극들과 보조 전극들이 액정 구동 전압을 인가받고, 제2 기간에서 제2 전극들과 보조 전극들이 액정 구동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제1 영상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좌안-우안의 순서에 따라 합성하여 생성될 수 있고, 제2 영상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우안-좌안의 순서에 따라 합성하여 생성될 수 있다.
표시부는 복수의 선택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주사선과, 복수의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과, 주사선과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베리어부는 표시부의 주사 방향을 따라 분할되는 복수의 영역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전극들과 제2 전극들은 복수의 영역 각각에 제공될 수 있다.
표시부는 한 프레임을 제1 기간과 제2 기간으로 나누어 제1 기간에서 제1 영상을 표시하고, 제2 기간에서 제2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들은 제1 영상에 대응하여 구동하고, 제2 전극들은 제2 영상에 대응하여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상과 제2 영상이 섞여있는 혼재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은 불투과 영역이 될 수 있다.
제1 기간 동안 제1 영상이 주사 방향을 따라 표시되고, 제2 기간 동안 제2 영상이 주사 방향을 따라 표시될 수 있다. 혼재 영역은 제1 영상이 표시된 후 제2 영상이 표시되면서 제1 영상과 제2 영상이 섞이는 영역일 수 있다. 보조 전극들은 제1 기간과 제2 기간에서 액정 구동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영상 기기는 입체 영상을 표시할 때 베리어부에서 빛이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크로스토크를 억제하여 입체 영상의 화질을 높이고, 화면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영상 기기는 2차원 영상을 표시할 때 화면의 휘도 저하를 유발하지 않으므로 고휘도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 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전자 영상 기기(100)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2)와, 표시부(12)의 전방에 위치하는 베리어부(14)를 포함한다. 표시부(12)는 복수의 화소를 구비하며, 각각의 화소는 적색과 녹색 및 청색의 부화소들로 이루어진다.
표시부(12)는 모든 화소들에 2차원 영상 신호가 인가되어 2차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표시부(12)는 화소별 또는 부화소별로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가 따로 인가되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나누어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신호 제어는 도시하지 않은 영상 신호 제어부를 통해 실행된다.
표시부(12)로는 액정 표시장치, 유기발광 표시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음극선관 등 공지된 모든 표시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베리어부(14)는 액정층과 투명 전극들을 구비하는 액정 패널로서, 투명 전극들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광학적으로 광 차단부와 광 투과부를 형성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베리어부의 구성에서 제1 전극들과 제2 전극들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베리어부의 구성에서 보조 전극들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베리어부(14)는 소정의 거리를 두고 대향 배치 되는 제1 기판(16) 및 제2 기판(18)과, 제1 기판(16)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1 전극들(20) 및 제2 전극들(22)과, 투명 절연층(24)을 사이에 두고 제1 전극들(20) 및 제2 전극들(22)과 다른 층에 위치하는 보조 전극들(26)과, 제2 기판(18)의 내면에 형성되는 공통 전극(28)과, 제1 기판(16)과 제2 기판(18)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30)을 포함한다.
제1 전극들(20)과 제2 전극들(22)은 표시부(12)의 수직 방향(도면의 y축 방향)을 따라 장변을 가지는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 전극들(20)이 표시부(12)의 수평 방향(도면의 x축 방향)을 따라 서로간 거리를 두고 나란히 위치하고, 제1 전극들(20) 사이로 제2 전극들(22)이 제1 전극들(20)과 나란히 위치한다. 제1 전극들(20)과 제2 전극들(22)은 전기적 단락이 일어나지 않도록 서로간 제1 간격(G, 도 2 참조)을 두고 떨어져 위치한다.
제1 연결부(32)가 제1 전극들(20)의 일측 단부(도 2를 기준으로 상측 단부)에 위치하여 제1 전극들(2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그리고 제2 연결부(34)가 제2 전극들(22)의 일측 단부(도 2를 기준으로 하측 단부)에 위치하여 제2 전극들(22)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보조 전극들(26)은 투명 절연층(24) 위에서 제1 간격(G)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즉, 각각의 보조 전극(26)은 베리어부(14)의 두께 방향(도면의 z축 방향)을 따라 제1 전극(20)과 제2 전극(22) 사이 부위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보조 전극(26)의 폭(W)(도 3 참조)은 제1 간격(G)과 같거나 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일례로 보조 전극(26)이 제1 간격(G)과 같은 폭(W)으로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보조 전극들(26)은 투명 절연층(24)에 의해 제1 전극들(20) 및 제2 전극들(22)과 절연된다.
보조 전극들(26) 또한 표시부(12)의 수직 방향(도면의 y축 방향)을 따라 장변을 가지는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보조 전극들(26)의 일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에 제3 연결부(36)가 위치하여 보조 전극들(26)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도 3에서는 일례로 보조 전극들(26)의 양측 단부에 제3 연결부(36)가 위치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공통 전극(28)은 제2 기판(18)의 유효 영역 전체에 형성된다. 전술한 제1 전극들(20), 제2 전극들(22), 보조 전극들(26) 및 공통 전극(28)은 모두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한 도전막으로 형성된다.
베리어부(14)는 보조 전극들(26)을 덮으면서 투명 절연층(24) 위에 형성되는 제1 배향막(38)과, 공통 전극(28) 위에 형성되는 제2 배향막(40)과, 제1 기판(16)의 외면에 부착되는 제1 편광판(42)과, 제2 기판(18)의 외면에 부착되는 제2 편광판(44)을 더욱 포함한다.
제1 배향막(38)과 제2 배향막(40)은 액정층(30)을 구성하는 액정 물질들을 특정 상태로 배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액정층(30)은 전압 무인가 상태에서 90도의 비틀림각을 가지는 티엔(TN; twisted nematic)형 액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편광판(42)과 제2 편광판(44)은 선 편광판으로서, 편광축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제1 편광판(42)과 제2 편광판(44)의 사시도이다. 도 4에서 제1 편광판(42)의 편광축을 A1 화살표로, 제2 편광판(44)의 편광축을 A2 화살 표로 나타내었다.
전술한 구조의 베리어부(14)는 제1 전극들(20), 제2 전극들(22), 보조 전극들(26) 및 공통 전극(28)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위치별 광 투과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전자 영상 기기(100)가 2차원 영상과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전자 영상 기기(100)가 2차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표시부(12)에 구비된 모든 화소들에 2차원 영상 신호를 인가하여 표시부(12)에서 2차원 영상을 표시한다. 이때, 베리어부(14)에 구비된 제1 전극들(20), 제2 전극들(22), 보조 전극들(26) 및 공통 전극(28)에 액정 구동 전압을 인가하지 않아 베리어부(14)가 전체 영역에 있어 투과형이 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액정층(30)이 티엔형 액정으로 구성되고, 제1 편광판(42)의 편광축(A1, 도 4 참조)과 제2 편광판(44)의 편광축(A2, 도 4 참조)이 서로 직교함에 따라, 제1 편광판(42)에 의해 A1 방향으로 선 편광된 빛은 액정층(30)을 통과하면서 편광축이 90도 틀어져 제2 편광판(44)을 투과하게 된다. 따라서 베리어부(14)는 전압 무인가 상태에서 전체 투과형이 되며, 이를 노멀리 화이트(normally white) 모드라 한다.
노멀리 화이트 모드로 구성된 베리어부(14)는 전자 영상 기기(100)가 2차원 영상과 입체 영상 중 2차원 영상을 주로 표시할 때 소비 전력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전자 영상 기기(100)가 입체 영상(또는 3차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표시부(12)에 화소별 또는 부화소별로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를 따로 인가하여 표시부(12)에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나누어 표시한다. 그리고 베리어부(14)의 제1 전극들(20) 또는 제2 전극들(22) 및 보조 전극들(26)에 액정 구동 전압을 인가하여 광학적으로 광 차단부와 광 투과부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의 전자 영상 기기(100)는 시분할 방식으로 입체 영상을 구현한다.
도 5는 전자 영상 기기의 시분할 구동 방식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의 (a)는 하나의 프레임을 제1 기간(T1)과 제2 기간(T2)의 2개의 기간으로 나누어 시분할 구동하였을 때, 제1 기간(T1)에서 표시부(12)의 수평 방향을 따라 좌안-우안-좌안-우안의 순서로 합성된 영상(제1 영상)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b)는 제2 기간(T2)에서 표시부(12)의 수평 방향을 따라 우안-좌안-우안-좌안의 순서로 합성된 영상(제2 영상)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고하면, 제1 기간(T1)에서 표시부(12)의 홀수번째 화소(OP)(또는 부화소)는 좌안용 화소(또는 부화소)가 되고, 짝수번째 화소(EP)(또는 부화소)는 우안용 화소(또는 부화소)가 된다. 그리고 베리어부(14)는 표시부(12)의 수평 방향을 따라 광 차단부(46)와 광 투과부(48)를 하나씩 교대로 반복하여 형성한다. 그러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각각 관찰자의 좌안 방향과 우안 방향으로 투사되는 경로가 형성된다.
도 5의 (b)를 참고하면, 제2 기간(T2)에서 표시부(12)의 홀수번째 화소(OP)(또는 부화소)는 우안용 화소(또는 부화소)가 되고, 짝수번째 화소(EP)(또는 부화소)는 좌안용 화소(또는 부화소)가 된다. 그리고 베리어부(14)는 표시부(12)의 수평 방향을 따라 광 투과부(48)와 광 차단부(46)를 하나씩 교대로 반복하여 형성한다. 그러면 우안 영상과 좌안 영상이 각각 관찰자의 우안 방향과 좌안 방향으로 투사되는 경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베리어부(14)에 의해 분리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은 서로에 대해 소정의 편차(disparity)를 가지며, 전자 영상 기기(100)를 관찰하는 관찰자는 실제 입체 대상물을 보는 것과 같은 깊이 정보를 얻게 되어 입체감을 느끼게 된다. 또한, 한 프레임을 제1 기간(T1)과 제2 기간(T2)으로 나누어 표시함에 따라, 관찰자는 표시부(12)의 전체 화소를 보게 되므로 2차원 영상과 같은 해상도의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제1 기간(T1)에서 베리어부(14)가 광학적으로 광 차단부(46)와 광 투과부(48)를 형성하는 원리를 도 6과 도 7에 도시하였다.
도 6과 도 7을 참고하면, 공통 전극(28)에 공통 전압(일례로 0V)을 인가하고, 제1 전극들(20)과 보조 전극들(26)에 액정 구동 전압을 인가한다. 그러면 공통 전극(28)과 제1 전극들(20)의 전압 차 및 공통 전극(28)과 보조 전극들(26)의 전압 차에 의해 제1 전극들(20)과 보조 전극들(26)이 위치하는 영역에서 액정이 베리어부(14)의 두께 방향(도 7의 z축 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정렬한다.
따라서 제1 전극들(20)과 보조 전극들(26)이 위치하는 영역에서, 제1 편광판(42)에 의해 A1 방향(도 4 참조)으로 선 편광된 빛은 액정층(30)을 통과하면서 편광축이 그대로 유지되어 제2 편광판(44)을 투과하지 못하고 차단된다. 그 결과, 베리어부(14) 가운데 제1 전극들(20)과 보조 전극들(26)이 위치하는 영역이 광학적 으로 광 차단부(46)가 되고, 나머지 영역(제2 전극들(22)이 위치하는 영역)이 광 투과부(48)가 된다. 이때, 제2 전극들(22)에는 공통 전압을 인가하거나 플로팅시킨다.
다음으로, 제2 기간(T2)에서 베리어부(14)가 광학적으로 광 차단부(46)와 광 투과부(48)를 형성하는 원리를 도 8과 도 9에 도시하였다.
도 8과 도 9를 참고하면, 공통 전극(28)에 공통 전압을 인가하고, 제2 전극들(22)과 보조 전극들(26)에 액정 구동 전압을 인가한다. 그러면 공통 전극(28)과 제2 전극들(22)의 전압 차 및 공통 전극(28)과 보조 전극들(26)의 전압 차에 의해 제2 전극들(22)과 보조 전극들(26)이 위치하는 영역에서 액정이 베리어부(14)의 두께 방향(도 9의 z축 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정렬한다.
따라서 제2 전극들(22)과 보조 전극들(26)이 위치하는 영역에서, 제1 편광판(42)에 의해 A1 방향(도 4 참조)으로 선 편광된 빛은 액정층(30)을 통과하면서 편광축이 그대로 유지되어 제2 편광판(44)을 투과하지 못하고 차단된다. 그 결과, 베리어부(14) 가운데 제2 전극들(22)과 보조 전극들(26)이 위치하는 영역이 광학적으로 광 차단부(46)가 되고, 나머지 영역(제1 전극들(20)이 위치하는 영역)이 광 투과부(48)가 된다. 이때, 제1 전극들(20)에는 공통 전압을 인가하거나 플로팅시킨다.
전술한 제1 기간(T1)과 제2 기간(T2) 모두에서 보조 전극들(26)은 액정 구동 전압을 인가받아 광학적으로 광 차단부(46)를 형성한다. 즉, 보조 전극들(26)은 입체 영상 구현시 흑색층으로 기능한다. 따라서 입체 영상을 표시할 때 흑색층으로 기능하는 보조 전극들(26)이 제1 전극들(20)과 제2 전극들(22) 사이의 간격에 의한 빛 샘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한편, 2차원 영상 구현시 보조 전극들(26)은 액정 구동 전압을 인가받지 않아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2차원 영상의 휘도를 저하시키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자 영상 기기(100)는 입체 영상을 표시할 때 베리어부(14)에서 빛이 새어 나오지 않으므로, 크로스토크를 억제하여 입체 영상의 화질을 높이고, 화면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2차원 영상을 표시할 때 화면의 휘도 저하를 유발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전자 영상 기기(100)에서 보조 전극들(26)은 50% 이하의 개구율을 나타내며, 이는 입체 영상의 화질 개선으로 이어진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베리어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B1은 제1 전극(20)의 폭을 나타내고, B2는 제2 전극(22)의 폭을 나타낸다. B1과 B2는 동일하다. G는 제1 전극(20)과 제2 전극(22) 사이의 제1 간격(G)을 나타내며, 보조 전극(26)의 폭(W)과 동일하다.
제1 기간(T1)에서 제1 전극(20)과 보조 전극들(26)이 위치하는 영역이 광 차단부로 기능하므로 (B1+2G)로 표시되는 S1을 광 차단부의 폭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극(22)이 위치하는 영역이 광 투과부로 기능하므로 B2와 동일한 S2를 광 투과부의 폭으로 정의할 수 있다. (B1과 B2가 동일하므로 제2 기간(T2)에서 구현되는 광 차단부와 광 투과부의 폭도 각각 S1과 S2로 정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 차단부의 폭(S1)이 광 투과부의 폭(S2)보다 크게 형성되므 로, S2/P(전체 피치에 대한 광 투과부의 폭 비율)로 계산되는 베리어부(14)의 개구율은 50% 이하이다. 한편, 보조 전극(26)이 제1 간격(G)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는 경우 베리어부(14)의 개구율을 더 낮출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전자 영상 기기(101)는 베리어부(141)에서 보조 전극들(26)이 제1 기판(16)과 제1, 2 전극들(20)(22) 사이에 배치되는 구조를 제외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전자 영상 기기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제1 실시예와 같은 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인용부호를 사용한다.
제1 전극들(20)과 제2 전극들(22)은 보조 전극들(26)을 덮는 투명 절연층(24) 위에 형성되면서 제1 배향막(38)으로 덮인다. 보조 전극들(26)은 제1 전극들(20)과 제2 전극들(22) 사이의 제1 간격(G)과 같거나 이보다 큰 폭(W)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일례로 보조 전극들(26)이 제1 간격(G)과 같은 폭(W)을 가지고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 중 베리어부의 제1 전극들과 제2 전극들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전자 영상 기기는 베리어부(142)가 표시부의 주사 방향(도면의 y축 방향)을 따라 복수의 영역(R1-R4)으로 분할되고, 제1 전극들(20)과 제2 전극들(22)이 복수의 영역(R1-R4)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제공되는 구조를 제외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의 전자 영상 기기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제1 실시예와 같은 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인용부호를 사용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1/4 내지 4/4 영역(R1-R4)에 위치하는 제1 전극들(20)의 연결부를 각각 제1 배선부(L1), 제2 배선부(L2), 제3 배선부(L3) 및 제4 배선부(L4)라 명칭한다. 그리고 1/4 내지 4/4 영역(R1-R4)에 위치하는 제2 전극들(22)의 연결부를 각각 제5 배선부(L5), 제6 배선부(L6), 제7 배선부(L7) 및 제8 배선부(L8)라 명칭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의 개략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표시부(121)는 선택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주사선(S1-Sn)과, 복수의 주사선(S1-Sn)과 절연을 유지하면서 교차하도록 형성되며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D1-Dm)을 포함한다. 각각의 부화소(50)는 주사선과 데이터선의 교차 영역에 위치한다. 베리어부(142)는 베리어 구동부(52)와 연결되며, 베리어 구동부(52)는 베리어부(142)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R1-R4)을 제어하기 위해 복수의 베리어 구동 신호(CB)를 생성하여 베리어부(142)에 전달한다.
주사선들(S1-Sn)은 표시부(121)의 수평 방향과 나란하게 위치하며, 데이터선들(D1-Dm)은 표시부(121)의 수직 방향과 나란하게 위치한다. 따라서 주사선들(S1-Sn)에 차례로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주사 방향은 표시부(121)의 수직 방향이 된다. 이 경우, 표시부(121)는 주사 방향을 따라 영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제1 기간(T1)에서 좌우 영상을 표시한 다음 제2 기간(T2)에서 우좌 영상을 표시할 때, 표시부(121)에 좌우 영상과 우좌 영상이 섞여서 보이는 영역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베리어부(142)는 주사 방향을 따라 복수의 영역(R1-R4)으로 분할되고, 주사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바뀌는 영상에 동기되어 각 영역이 동작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전극들(20)과 제2 전극들(22)이 복수의 영역(R1-R4)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제공된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전극들(26)은 영역에 관계없이 베리어부(142) 전체에서 제1 전극들(20)과 제2 전극들(22) 사이의 제1 간격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보조 전극들(26)은 입체 영상 구현시 항상 액정 구동 전압을 인가받는다. 도 12와 도 14에서는 베리어부(142)가 4개의 영역(R1-R4)으로 분할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베리어부(142)의 영역 개수는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 15와 도 1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에서 표시부(121)에 제1 기간(T1) 동안 좌우 영상(1)이 표시되고, 제2 기간(T2) 동안 우좌 영상(2)이 표시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표시부(121)의 각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 및 이에 동기되어 동작하는 베리어부(142)의 상태를 나타내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에서 베리어 구동부(52)로부터 복수의 배선부(L1-L8)에 전달되는 베리어 구동 신호(CB)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 내지 제4 배선부(L1-L4) 각각에는 4개의 베리어 구동 신호(CB11-CB14) 각각이 인가되고, 제5 내지 제8 배선부(L5-L8) 각각에는 4개의 베리어 구동 신 호(CB21-CB24) 각각이 인가된다.
제1 내지 제8 배선부(L1-L8)에 인가되는 베리어 구동 신호(CB11-CB14, CB21-CB24)는 액정 구동 전압(V1) 및 공통 전압(Vcom)을 교대로 가진다. 기입 기간(T11-T14, T21-T24)은 새로운 영상을 표시부(121)에 기입하는 기간으로서, 복수의 선택 신호가 순차적으로 표시부(121)의 주사선들(S1-Sn)에 인가되면, 복수의 데이터 신호가 데이터선들(D1-Dm)을 따라 화소에 기입된다. 유지 기간(T15, T25)은 기입된 데이터 신호에 따라 일정기간 영상을 유지하는 기간이다.
먼저, 좌우 영상(1)이 표시되기 시작하는 시점 직전에는 현재 프레임 직전 프레임의 우좌 영상(2')이 전체 화면에 표시되어 있다. 현재 프레임의 좌우 영상(1)을 표시부(121)에 기입하기 시작하면, 표시부(121)의 주사 방향을 따라 좌우 영상(1)이 표시되기 시작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우좌 영상(2')에서 좌우 영상(1)으로 바뀌는 전체 시간을 1로 가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베리어부(142)는 4개의 영역(R1-R4)으로 구분되고, 표시부(121)도 4개의 영역(R1-R4)으로 구분된다. 표시부(121)의 각 영역에 복수의 선택 신호 중 어느 한 선택 신호가 전달되는 시점에 동기되어 제1 내지 제4 배선부들(L1-L4) 및 제5 내지 제8 배선부들(L5-L8)에 액정 구동 전압(V1)의 레벨을 가지는 베리어 구동 신호(CB11-CB14, CB21-CB24) 각각이 인가된다.
제1 기간(T1) 동안에는 현재 프레임의 좌우 영상(1)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4 배선부들(L1-L4)에 순차적으로 액정 구동 전압(V1)이 인가된다. 제2 기간(T2) 동안에는 현재 프레임의 우좌 영상(2)에 대응하는 제5 내지 제8 배선부들(L5-L8)에 순차적으로 액정 구동 전압(V1)을 인가한다. 다만, 우좌 영상(2)과 좌우 영상(1)이 혼재하는 영역의 제1 내지 제4 배선부들(L1-L4) 및 제5 내지 제8 배선부들(L5-L8)에는 공통 전압(Vcom)이 인가되어 광학적으로 광 차단부를 형성한다.
먼저, 우좌 영상(2')으로부터 좌우 영상(1)으로 바뀌기 시작한지 1/4 시간이 되는 기간(T11) 동안, 주사 방향을 따라 표시부(121)의 1/4 영역(R1)에 좌우 영상(1)이 표시되고, 나머지 영역에 우좌 영상(2')이 남아있다. 이때, 1/4 영역(R1) 전체에 좌우 영상(1)이 표시되기 전까지, 즉 기간(T11) 전체에서 1/4 영역(R1)에는 좌우 영상(1)과 우좌 영상(2')이 섞여있다. 그러면, 현재 프레임의 영상과 직전 프레임의 영상이 혼재되어 있어 화질이 저하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베리어 구동 신호(CB11, CB21)가 액정 구동 전압(V1)이 되어 제1 배선부(L1)와 제5 배선부(L5)에 액정 구동 전압(V1)이 인가된다. 그러면 표시부(121)의 1/4 영역(R1)의 영상이 차단된다. 그리고 베리어 구동 신호(CB22, CB23, CB24)는 액정 구동 전압(V1)이고, 베리어 구동 신호(CB12, CB13, CB14)는 공통 전압(Vcom)이 인가되어, 표시부(121)의 나머지 영역(R2, R3, R4)에서 우좌 영상(2')이 입체 영상으로 표시된다.
우좌 영상(2')으로부터 좌우 영상(1)으로 바뀌기 시작한지 2/4 시간이 되는 기간(T12) 동안, 주사 방향을 따라 표시부(121)의 1/4 영역(R1)과 2/4 영역(R2)에 좌우 영상(1)이 표시되고, 3/4 영역(R3)과 4/4 영역(R4)에 우좌 영상(2')이 남아있다. 이때, 표시부(121)의 2/4 영역(R2)에는 좌우 영상(1)과 우좌 영상(2')이 섞여있으므로, 베리어 구동 신호(CB12, CB22)가 액정 구동 전압(V1)이 되어 제2 배선 부(L2)와 제6 배선부(L6)에 액정 구동 전압(V1)이 인가된다. 그러면 표시부(121)의 2/4 영역(R2)의 영상이 차단된다.
그리고 베리어 구동 신호(CB11, CB23, CB24)는 액정 구동 전압(V1)이고, 베리어 구동 신호(CB21, CB13, CB14)는 공통 전압(Vcom)이 되어, 표시부(121)의 1/4 영역(R1)에서 좌우 영상(1)이 입체 영상으로 표시되고, 3/4 영역(R3)과 4/4 영역(R4)에서 우좌 영상(2')이 입체 영상으로 표시된다.
우좌 영상(2')으로부터 좌우 영상(1)으로 바뀌기 시작한지 3/4 시간이 되는 기간(T13) 동안, 주사 방향을 따라 표시부(121)의 1/4 내지 3/4 영역(R1-R3)에 좌우 영상(1)이 표시되고, 4/4 영역(R4)에 우좌 영상(2')이 남아있다. 이 기간(T13) 동안, 베리어 구동 신호(CB13, CB23)가 액정 구동 전압(V1)이 되어 제3 배선부(L3)와 제7 배선부(L7)에 액정 구동 전압(V1)이 인가된다. 그러면 표시부(121)의 3/4 영역(R3)의 영상이 차단된다. 그리고 베리어 구동 신호(CB11, CB12, CB24)는 액정 구동 전압(V1)이고, 베리어 구동 신호(CB21, CB22, CB14)는 공통 전압(Vcom)이 되어, 표시부(121)의 1/4 영역(R1)과 2/4 영역(R2)에서 좌우 영상(1)이 입체 영상으로 표시되고, 4/4 영역(R4)에서 우좌 영상(2')이 입체 영상으로 표시된다.
우좌 영상(2')으로부터 좌우 영상(1)으로 바뀌기 시작한지 4/4 시간이 되는 기간(T14) 동안, 주사 방향을 따라 표시부(121)의 전체 영역에 좌우 영상(1)이 표시된다. 이 기간(T14) 동안, 베리어 구동 신호(CB14, CB24)가 액정 구동 전압(V1)이 되어 제4 배선부(L4)와 제8 배선부(L8)에 액정 구동 전압(V1)이 인가된다. 그러면 표시부(121)의 4/4 영역(R4)의 영상이 차단된다. 그리고 베리어 구동 신 호(CB11, CB12, CB13)는 액정 구동 전압(V1)이고, 베리어 구동 신호(CB21, CB22, CB23)는 공통 전압(Vcom)이 되어, 표시부(121)의 1/4 내지 3/4 영역(R1-R3)에서 좌우 영상(1)이 입체 영상으로 표시된다.
다음 기간(T15)은 유지 기간으로서, 표시부(121)의 전체 영역에 좌우 영상(1)이 표시된 후 일정 기간 좌우 영상(1)이 유지된다. 이때, 베리어 구동 신호(CB11-CB14)는 액정 구동 전압(V1)이고, 베리어 구동 신호(CB21-CB24)는 공통 전압(Vcom)이다. 그러면 표시부(121)의 전체 영역에서 좌우 영상(1)이 입체 영상으로 표시된다.
다음으로, 제2 기간(T2) 동안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좌우 영상(1)으로부터 우좌 영상(2)으로 바뀌기 시작한지 1/4 시간이 되는 기간(T21) 동안, 주사 방향을 따라 표시부(121)의 1/4 영역(R1)에 우좌 영상(2)이 표시되고, 나머지 영역(R2-R4)에 좌우 영상(1)이 남아있다. 이 기간(T21) 동안, 베리어 구동 신호(CB11, CB21)가 액정 구동 전압(V1)이 되어 제1 배선부(L1)와 제5 배선부(L5)에 액정 구동 전압(V1)이 인가된다. 그러면 표시부(121)의 1/4 영역(R1)의 영상이 차단된다. 그리고 베리어 구동 신호(CB12, CB13, CB14)는 액정 구동 전압(V1)이고, 베리어 구동 신호(CB22, CB23, CB24)는 공통 전압(Vcom)이 되어, 표시부(121)의 나머지 영역(R2-R4)에서 좌우 영상(1)이 입체 영상으로 표시된다.
좌우 영상(1)으로부터 우좌 영상(2)으로 바뀌기 시작한지 2/4 시간이 되는 기간(T22) 동안, 주사 방향을 따라 표시부(121)의 1/4 영역(R1)과 2/4 영역(R2)에 우좌 영상(2)이 표시되고, 3/4 영역(R3)과 4/4 영역(R4)에 좌우 영상(1)이 남아있다. 이 기간(T22) 동안, 베리어 구동 신호(CB12, CB22)가 액정 구동 전압(V1)이 되어 제2 배선부(L2)와 제6 배선부(L6)에 액정 구동 전압(V1)이 인가된다. 그러면 표시부(121)의 2/4 영역(R2)의 영상이 차단된다. 그리고 베리어 구동 신호(CB21, CB13, CB14)는 액정 구동 전압(V1)이고, 베리어 구동 신호(CB11, CB23, CB24)는 공통 전압(Vcom)이 되어, 표시부(121)의 1/4 영역(R1)에서 우좌 영상(2)이 입체 영상으로 표시되고, 3/4 영역(R3)과 4/4 영역(R4)에서 좌우 영상(1)이 입체 영상으로 표시된다.
좌우 영상(1)으로부터 우좌 영상(2)으로 바뀌기 시작한지 3/4 시간이 되는 기간(T23) 동안, 주사 방향을 따라 표시부(121)의 1/4 내지 3/4 영역(R1-R3)에 우좌 영상(2)이 표시되고, 4/4 영역(R4)에 좌우 영상(1)이 남아있다. 이 기간(T23) 동안, 베리어 구동 신호(CB13, CB23)가 액정 구동 전압(V1)이 되어 제3 배선부(L3)와 제7 배선부(L7)에 액정 구동 전압(V1)이 인가된다. 그러면 표시부(121)의 3/4 영역(R3)의 영상이 차단된다. 그리고 베리어 구동 신호(CB21, CB22, CB14)는 액정 구동 전압(V1)이고, 베리어 구동 신호(CB11, CB12, CB24)는 공통 전압(Vcom)이 되어, 표시부(121)의 1/4 영역(R1)과 2/4 영역(R2)에서 우좌 영상(2)이 입체 영상으로 표시되고, 4/4 영역(R4)에서 좌우 영상(1)이 입체 영상으로 표시된다.
좌우 영상(1)으로부터 우좌 영상(2)으로 바뀌기 시작한지 4/4 시간이 되는 기간(T24) 동안, 주사 방향을 따라 표시부(121)의 전체 영역에 우좌 영상(2)이 표시된다. 이 기간 동안, 베리어 구동 신호(CB14, CB24)가 액정 구동 전압(V1)이 되 어 제4 배선부(L4)와 제8 배선부(L8)에 액정 구동 전압(V1)이 인가된다. 그러면 표시부(121)의 4/4 영역(R4)의 영상이 차단된다. 그리고 베리어 구동 신호(CB21, CB22, CB23)는 액정 구동 전압(V1)이고, 베리어 구동 신호(CB11, CB12, CB13)는 공통 전압(Vcom)이 되어, 표시부(121)의 1/4 내지 3/4 영역(R1-R3)에서 우좌 영상(2)이 입체 영상으로 표시된다.
다음 기간(T25)은 유지 기간으로서, 표시부(121)의 전체 영역에서 우좌 영상(2)이 표시된 후 일정 기간 우좌 영상(2)이 유지된다. 이때, 베리어 구동 신호(CB21-CB24)는 액정 구동 전압(V1)이고, 베리어 구동 신호(CB11-CB14)는 공통 전압(Vcom)이다. 그러면 표시부(121)의 전체 영역(R1-R4)에서 우좌 영상(2)이 입체 영상으로 표시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베리어부의 구성에서 제1 전극들과 제2 전극들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베리어부의 구성에서 보조 전극들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베리어부의 구성에서 제1 편광판과 제2 편광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의 시분할 구동 방식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제1 기간에서 베리어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베리어부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제1 기간에서 베리어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베리어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한 제2 기간에서 베리어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베리어부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한 제2 기간에서 베리어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베리어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베리어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 중 베리어부의 제1 전극들과 제2 전극들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 중 베리어부의 보조 전극들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에 제1 기간 동안 좌우 영상이 표시되고, 제2 기간 동안 우좌 영상이 표시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에서 베리어 구동부로부터 복수의 배선부에 전달되는 베리어 구동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6)

  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에 대향 배치되며, 상기 영상을 2차원 영상 또는 입체 영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베리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리어부는,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에 서로간 거리를 두고 형성되는 제1 전극들;
    상기 제1 전극들 사이에서 상기 제1 전극들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2 전극들;
    상기 제1 전극들과 상기 제2 전극들 사이의 매 간격마다 상기 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2차원 영상과 상기 입체 영상 중 어느 한 영상에 동기되어 구동하는 보조 전극들;
    상기 제2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공통 전극;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
    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전극들 각각은 상기 제1 전극들과 상기 제2 전극들 사이 간격 이상의 폭을 가지고 형성되는 전자 영상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부가 상기 제1 전극들과 상기 제2 전극들을 덮으면서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투명 절연층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전극들이 상기 투명 절연층 위에 형성되는 전자 영상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부가 상기 보조 전극들을 덮으면서 상기 투명 절연층 위에 형성되는 제1 배향막과, 상기 공통 전극 위에 형성되는 제2 배향막을 더욱 포함하는 전자 영상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부가 상기 보조 전극들을 덮으면서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투명 절연층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들과 상기 제2 전극들이 상기 투명 절연층 위에 형성되는 전자 영상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부가 상기 제1 전극들과 상기 제2 전극들을 덮으면서 상기 투명 절연층 위에 형성되는 제1 배향막과, 상기 공통 전극 위에 형성되는 제2 배향막을 더욱 포함하는 전자 영상 기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부가 상기 제1 전극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전극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보조 전극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3 연결부를 더욱 포함하는 전자 영상 기기.
  8.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부가 상기 제1 기판의 외면에 위치하는 제1 편광판과, 상기 제2 기판의 외면에 위치하는 제2 편광판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제1 편광판의 편광축과 상기 제2 편광판의 편광축이 서로 직교하며,
    상기 액정층이 티엔(TN)형 액정으로 이루어지는 전자 영상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2차원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1 전극들, 상기 제2 전극들, 상기 보조 전극들 및 상기 공통 전극이 공통 전압을 인가받는 전자 영상 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한 프레임을 제1 기간과 제2 기간으로 나누어 상기 제1 기간에서 제1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기간에서 제2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제1 기간에서 상기 제1 전극들과 상기 보조 전극들이 액정 구동 전압을 인가받고, 상기 제2 기간에서 상기 제2 전극들과 상기 보조 전극들이 액정 구동 전압을 인가받는 전자 영상 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좌안-우안의 순서에 따라 합성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2 영상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우안-좌안의 순서에 따라 합성하여 생성되는 전자 영상 기기.
  12.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복수의 선택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주사선과, 복수의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과, 상기 주사선과 상기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베리어부가 상기 표시부의 주사 방향을 따라 분할되는 복수의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전극들과 상기 제2 전극들이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제공되는 전자 영상 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한 프레임을 제1 기간과 제2 기간으로 나누어 상기 제1 기간 에서 제1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기간에서 제2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제1 전극들이 상기 제1 영상에 대응하여 구동하고, 상기 제2 전극들이 상기 제2 영상에 대응하여 구동하며,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이 섞여있는 혼재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은 불투과 영역이 되는 전자 영상 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간 동안 상기 제1 영상이 상기 주사 방향을 따라 표시되고,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2 영상이 상기 주사 방향을 따라 표시되며,
    상기 혼재 영역은, 상기 제1 영상이 표시된 후 상기 제2 영상이 표시되면서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이 섞이는 영역인 전자 영상 기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좌안-우안의 순서에 따라 합성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2 영상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우안-좌안의 순서에 따라 합성하여 생성되는 전자 영상 기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극들이 상기 제1 기간과 상기 제2 기간에서 액정 구동 전압을 인가받는 전자 영상 기기.
KR1020090003837A 2009-01-16 2009-01-16 전자 영상 기기 KR101015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837A KR101015846B1 (ko) 2009-01-16 2009-01-16 전자 영상 기기
JP2009298112A JP5783675B2 (ja) 2009-01-16 2009-12-28 電子映像機器
US12/656,051 US8395572B2 (en) 2009-01-16 2010-01-14 Electronic display device
AT10150787T ATE507680T1 (de) 2009-01-16 2010-01-14 Elektronische anzeigevorrichtung
EP10150787A EP2209322B1 (en) 2009-01-16 2010-01-14 Electronic display device
DE602010000022T DE602010000022D1 (de) 2009-01-16 2010-01-14 Elektronische Anzeigevorrichtung
CN201010003761.4A CN101782695B (zh) 2009-01-16 2010-01-18 电子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837A KR101015846B1 (ko) 2009-01-16 2009-01-16 전자 영상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373A KR20100084373A (ko) 2010-07-26
KR101015846B1 true KR101015846B1 (ko) 2011-02-23

Family

ID=42062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837A KR101015846B1 (ko) 2009-01-16 2009-01-16 전자 영상 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395572B2 (ko)
EP (1) EP2209322B1 (ko)
JP (1) JP5783675B2 (ko)
KR (1) KR101015846B1 (ko)
CN (1) CN101782695B (ko)
AT (1) ATE507680T1 (ko)
DE (1) DE602010000022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7808A (ja) * 2010-08-10 2012-02-23 Sony Corp 立体表示装置および液晶バリア装置
JP5648361B2 (ja) * 2010-08-10 2015-01-0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3097941A (zh) 2010-11-30 2013-05-08 株式会社东芝 折射率分布型液晶光学元件以及图像显示装置
BR112013017234A2 (pt) * 2011-01-04 2016-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ositivo de exibição 3d, e método de exibição 3d
JP2012212110A (ja) * 2011-02-15 2012-11-01 Fujifilm Corp バリア素子及び3d表示装置
JP5659878B2 (ja) * 2011-03-07 2015-01-2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ならびにバリア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2488979A (en) 2011-03-07 2012-09-19 Sharp Kk Switchable Optics with GRIN lenses formed in liquid crystal layer
US9849657B2 (en) 2011-03-15 2017-12-26 Douglas J. McKnight Liquid crystal devices having reduced electrode-gap visibility
TWI434068B (zh) 2011-05-18 2014-04-11 Au Optronics Corp 可切換式立體顯示器
KR101292249B1 (ko) * 2011-05-18 2013-08-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2289113B (zh) * 2011-07-20 2014-06-04 深圳超多维光电子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液晶显示装置的制造方法及其驱动方法
KR101852121B1 (ko) 2011-11-18 2018-06-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영상 기기
JP2015034834A (ja) 2011-11-30 2015-02-19 シャープ株式会社 立体表示装置
KR20130064325A (ko) * 2011-12-08 2013-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용 패럴랙스 배리어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TWI459080B (zh) * 2012-03-01 2014-11-01 Au Optronics Corp 立體顯示面板以及屏障面板
CN102654970B (zh) * 2012-05-09 2014-12-31 天马微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光栅驱动电路及3d显示器
KR101990490B1 (ko) * 2012-06-18 2019-06-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476884B1 (ko) * 2012-06-22 2014-12-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럴랙스 배리어 타입의 입체영상 표시장치
CN103926751A (zh) * 2013-01-14 2014-07-16 瀚宇彩晶股份有限公司 立体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CN103091930B (zh) * 2013-01-30 2016-05-1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透镜和立体显示装置
CN103278958A (zh) * 2013-05-31 2013-09-04 易志根 一种液晶光栅及具有该液晶光栅的显示系统
CN103995402A (zh) * 2013-07-02 2014-08-20 深圳市亿思达显示科技有限公司 液晶狭缝光栅、立体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CN103995403A (zh) * 2013-07-22 2014-08-20 深圳市亿思达显示科技有限公司 液晶狭缝光栅、立体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CN104102053A (zh) * 2014-06-16 2014-10-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偏光控制面板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WO2016088651A1 (ja) * 2014-12-02 2016-06-09 シャープ株式会社 立体表示装置
CN107301847B (zh) * 2017-06-29 2018-08-28 惠科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的驱动方法、驱动装置及显示装置
KR101930373B1 (ko) * 2018-06-12 2018-12-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10928057B (zh) * 2019-12-12 2020-12-08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面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8051A (ko) * 2004-12-30 2006-07-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입체영상표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9721B2 (ja) * 1995-05-22 2003-10-27 キヤノン株式会社 立体画像表示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立体画像表示装置
JP2966781B2 (ja) * 1995-11-16 1999-10-25 三洋電機株式会社 立体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2003202519A (ja) * 2001-12-28 2003-07-18 Canon Inc 立体画像表示装置
JP2005274905A (ja) * 2004-03-24 2005-10-06 Sanyo Electric Co Ltd 立体映像表示装置
KR100684715B1 (ko) * 2004-10-19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US7411636B2 (en) * 2004-11-23 2008-08-12 Fergason Patent Properties, Llc Stereoscopic liquid crystal display (LCD) with polarization method
KR101087568B1 (ko) * 2004-12-30 2011-11-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표시장치용 패러랙스 베리어 액정패널 및 그제조방법
KR100728113B1 (ko) * 2005-10-20 2007-06-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7359105B2 (en) * 2006-02-07 2008-04-15 Sharp Kabushiki Kaisha Spatial light modulator and a display device
KR100856414B1 (ko) * 2006-12-18 2008-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US7952548B2 (en) * 2007-03-09 2011-05-31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Electronic display device
KR20080114310A (ko) * 2007-06-27 2008-12-3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전자 영상 기기
KR100922355B1 (ko) 2008-03-07 2009-10-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전자 영상 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8051A (ko) * 2004-12-30 2006-07-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입체영상표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83675B2 (ja) 2015-09-24
JP2010164966A (ja) 2010-07-29
ATE507680T1 (de) 2011-05-15
EP2209322A1 (en) 2010-07-21
KR20100084373A (ko) 2010-07-26
CN101782695B (zh) 2014-05-07
US8395572B2 (en) 2013-03-12
DE602010000022D1 (de) 2011-06-09
CN101782695A (zh) 2010-07-21
US20100182291A1 (en) 2010-07-22
EP2209322B1 (en)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5846B1 (ko) 전자 영상 기기
KR100922355B1 (ko) 전자 영상 기기
KR100893618B1 (ko) 전자 영상 기기
US8665324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5160846B2 (ja) 電子映像機器
TWI414846B (zh) 可切換二維顯示模式與三維顯示模式之顯示裝置及其液晶透鏡
EP1793623A1 (en) Autostereoscopic display with parallax barrier formed with a liquid crystal display of a normally black mode of transmission
KR20090020934A (ko) 전자 영상 기기
JPH05122733A (ja) 3次元画像表示装置
KR100889530B1 (ko) 전자 영상 기기
CN102760418A (zh) 立体图像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20110053054A (ko) 입체영상표시장치
KR20110104861A (ko) 영상표시장치
TWI422863B (zh) 立體顯示裝置
US10021375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TWI474048B (zh) 顯示裝置
US9019324B2 (en)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20130021329A1 (en) Display device
US20120086707A1 (en) 3-dimension display device
JP2013088775A (ja) 表示装置、スペーサ、および電子機器
US20130050609A1 (en) Display device, barrier device, retardation film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3235159A (ja) 表示装置、バリア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30102186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779598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843180B1 (ko) 입체영상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