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4662B1 -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설정 및적용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설정 및적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4662B1
KR101014662B1 KR1020040002683A KR20040002683A KR101014662B1 KR 101014662 B1 KR101014662 B1 KR 101014662B1 KR 1020040002683 A KR1020040002683 A KR 1020040002683A KR 20040002683 A KR20040002683 A KR 20040002683A KR 101014662 B1 KR101014662 B1 KR 101014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ite balance
balance data
flash
emission
e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2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4789A (ko
Inventor
김용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2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4662B1/ko
Priority to US11/024,253 priority patent/US7714929B2/en
Publication of KR20050074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4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4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4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scene brightness using illumina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8Ground anchors anchored by using exclusively a bond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1Ground anchors driven by scre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5Ground anchors with deformable anchoring me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4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23/88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lour balance, e.g. white-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시에 플래시가 발광하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최적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적용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설정 및 적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적용하기 위한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설정 방법으로서, (a1)플래시 미발광 시의 미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 및 (a2)플래시 발광 시의 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설정 및 적용 방법{Method for setting and adapting preset white balance of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설정 및 적용시의 신호 흐름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채택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설정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설정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설정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적용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광학계 12: 광전 변환부
13: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20: 디지털 신호 처리기
22: 표시장치 23: 압축/복원부
24: 기록 매체 30: 마이크로 제어기
31: 셔터 32: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조정 키이
34: 플래시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설정 및 적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더 상세하게는 디지털 카메라나 디지털 캠코더 등의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셋 모드에서 적용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설정 및 적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나 디지털 캠코더 등의 디지털 촬영 장치는 오토 화이트 밸런스(AWB, Auto White Balance) 기능을 지원한다. 상기 오토 화이트 밸런스 기능은 디지털 촬영 장치의 출고 시에 이미 광원에 따른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설정하여, 상기출고시의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실제로 촬영시의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와 비교하여 자동적으로 상기 화이트 밸런스를 보정하여 줌으로써, 광원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 색을 맞추어 주는 기능을 한다.
이와 함께, 디지털 촬영 장치에는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PWB, Preset White Balance)기능이 지원된다. 이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기능을 통하여 디지털 촬영 장 치 이용자는 임의로 화이트 밸런스를 설정할 수 있다. 즉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적용하기 위하여 프리셋 모드로 설정한 상태에서 디지털 촬영 장치 앞에 흰색 종이를 갖다 대고 셔터를 누르거나, 설정 버튼으로 흰색으로 표시할 부분을 선택한다. 그러면 디지털 촬영 장치는 그 색상이 흰색으로 표현되도록 빨강(Red), 녹색(Green), 청색(Blue)의 밝기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색이 표현될 수 있다.
종래의 디지털 촬영 장치, 예를 들어 1995년 일본공개공보 제 143496호의 비디오 카메라 장치에서는, 통상 미발광 조건 및 발광 조건 중에 하나의 조건에서만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가 추출된다. 따라서, 만약 미발광 조건에서의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실제 촬영시 플래시가 발광한다면, 상기 미발광 조건과 다른 상기 발광으로 인하여 실제 촬영하는 사물에 대한 정확한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적용이 불가능하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캐논(cannon)사의 디지털 카메라(모델명:S45, S50)와 같이, 현재 주위의 휘도에 따라 플래시가 발광할 조건인지를 판단하여, 플래시가 발광할 조건인 경우에는 발광 조건의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추출하고, 플래시가 발광하지 않을 조건인 경우에는 미발광 조건의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생각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하여, 발광 조건에서 플래시가 발광하고, 미발광 조건에서 플래시가 발광하지 아니한다면 정확하게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휘도를 고려하여 미발광조건으로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가 획득된 경우에 주위조건이 변경되어 플래시가 발광하거나, 발광조건으로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가 획득된 경우에 플래시가 발광하지 않 은 경우가 발생하며, 이 경우에는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로 정한 색과 차이나는 영상이 구현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등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제 촬영시에 플래시가 발광되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최적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를 획득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셋 화이트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적용하기 위한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설정 방법으로서,
(a1)플래시 미발광 시의 미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 및
(a2)상기 플래시 발광 시의 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1) 단계는, 플래시 미발광 시의 미발광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a11)단계, 및 상기 획득된 미발광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미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설정하는 (a12)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2) 단계는, 플래시 발광 시의 발광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a21)단계, 및 상기 획득된 발광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설정하는 (a22)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의하면,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적용하기 위한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설정 방법으로서,
(b1)플래시 미발광 시의 미발광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b2)상기 미발광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미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
(b3)상기 플래시 발광 시의 발광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b4)상기 발광 영상 데이터와 미발광 영상 데이터를 산술연산하여 발광 시의 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b4) 단계는, 상기 미발광 영상 데이터와 발광 영상 데이터의 차이값을 구하는 (b41)단계, 및 상기 차이값에 따라 상기 발광 시의 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설정하는 (b42)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설정 방법은: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적용하기 위한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설정 방법으로서,
(c1)플래시 발광 시의 발광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c2)상기 발광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
(c3)플래시 미발광 시의 미발광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c4)상기 발광 영상 데이터와 미발광 영상 데이터를 산술연산하여 미발광 시의 미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역기서, 상기 (c4) 단계는, 상기 미발광 영상 데이터와 발광 영상 데이터의 차이값을 구하는 (c41)단계, 및 상기 차이값에 따라 상기 미발광 시의 미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설정하는 (c42)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 또는 제3 실시예와 같은 설정 방법으로 설정된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로 적용하는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적용 방법으로서,
(d1)촬영 단계에서 상기 플래시가 미발광되는 경우에는 상기 미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상기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로 적용하는 단계; 및
(d2)촬영 단계에서 상기 플래시가 발광하는 경우에는, 상기 플래시 발광시의 밝기에 따라, 상기 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및 상기 미발광 화이트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적용 방법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d2)단계는, 상기 플래시 자체의 발광으로 인한 밝기영향 비율과 촬영시 주위조명으로 인한 밝기영향 비율을 구하는 (d21)단계, 및 상기 플래시로 인한 밝기영향의 비율을 상기 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와 곱한 값과 상기 주위조명으로 인한 밝기영향 비율을 상기 미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와 곱한 값을 더하는 (d22)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가 예로 들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기록, 또는 재생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디지털 카메라(10)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설정 및 적용하기 위한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피사체로부터 유입되는 빛은 광학계(OPS, 11)에 의하여 광학적으로 처리된다. 상기 OPS(11) 안의 렌즈부에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가 포함된다.
OPS(11)를 통하여 유입되는 빛은 CCD(Charge Coup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등의 광전 변환부(OEC, 12)에 의하여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다.
이 광전 변환부(12)에 의하여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는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인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3)에 의하여 고주파 노이즈가 제거되고 진폭이 조정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3)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20)에 의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영상 신호가 발생된다. 이 경우 DSP(20)는 타이밍 회로(21)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12)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3)의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화이트 밸런스는 마이크로 제어기(30)에 의하여 제어된다. 즉 마이크로 제어기(30)는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조정 키이(32)의 신호에 따라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신호와 피사체를 촬상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디지털 카메라(10)의 전체동작을 제어한다. 이와 함께, 마이크로 제어기(30)는 셔터(31)를 누를 시에 플래시 제어기(33)의 동작을 제어하여 플래시(34)를 구동한다.
DSP(20)는 상기 마이크로 제어기(30)에서 발생되어 입력되는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조정 제어 신호 및 피사체의 촬영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털화되어 입력되는 발광, 또는 미발광 시의 피사체의 영상 신호를 기준 값으로 저장하고, 이후 실제 광원에서 피사체가 촬상되어 입력되는 피사체의 영상신호에 상기 저장된 기준 값을 연산하여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한다.
상기 DSP(20)에서 신호 처리된 피사체의 영상신호 및 재생신호는 표시장치(22)에 의하여 표시된다. 이 경우 DSP(20)에서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가 조정된 피사체의 영상데이터는 데이터 압축/복원부(23)에서 마이크로 제어기(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소정의 비율로 압축되어 기록 매체(24)에 기록되며, 표시장치(22)에 표시된다.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를 조절 및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프로세서를 가지는 디지털 촬영 장치 중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설정 방법에 대한 신호 흐름도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셋 화이트 모드를 선택하면, 플래시 미발광 시의 미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설정하는 (a1)단계와, 상기 플래시 발광 시의 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설정하는 (a2)단계를 거친다.
이 경우, 상기 미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추출하는 (a1)단계는, 플래시 미발광 시의 미발광 영상 데이터를 광학계를 통하여 획득하는 (a11)단계, 및 상기 획득된 미발광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설정하는 (a12)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설정하는 (a2)단계는 플래시 발광 시의 발광 영상 데이터를 광학계를 통하여 획득하는 (a21)단계, 및 상기 획득된 발광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설정하는 (a22)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미발광 및 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설정하는 (a1)단계, 및 (a2)단계는, 도 3에서와 같이 미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먼저 추출한 뒤 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추출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먼저 추출한 뒤 미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설정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설정 시에, 플래시가 발광하는 경우 및 플래시가 미발광하는 경우에 따라 적절한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가 설정됨으로써, 그 후에 촬영시에 플래시의 발광여부에 따라 정확한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가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설정 방법의 신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조정 키이를 입력하면, 플래시 미발광 시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b1)단계, 및 상기 미발광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플래시 미발광 시의 미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추출하여 설정하는 (b2)단계를 거침으로써 미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그 후 플래시의 발광 시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b3)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발광 영상 데이터와 미발광 영상 데이터를 산술연산하여 상기 발광 시의 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추출하는 (b4)단계를 거친다. 이 경우 상기 산술연산은 발광영상 데이터와 미발광영상 데이터간의 차이 값을 획득하여 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b4)단계는, (b1)단계에서 획득한 미발광 영상 데이터와 (b3)단계에서 획득한 발광 시의 영상 데이터를 산술연산하는 (b41)단계, 및 이 산술연산을 이용하여 플래시 발광 시의 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추출하는 (b42)단계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산술연산을 이용하여 상기 플래시 발광 시의 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이 경우, 상기 데이터 값은 통상 R 게인(gain), G 게인, 및 B 게인으로 얻어진다.
상기 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추출하여 설정하는 방법 중 하나의 예로써, 평균 R, G, B 게인을 구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먼저 (b1)단계를 거 치면서 미발광 영상 데이터가 획득된다. 상기 미발광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피사체의 평균 R, G, 및 B 게인을 획득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b2)단계에서 획득된 미발광 영상데이터를 (b3)단계에서 획득한 발광 영상 데이터와의 차이값을 구함으로써, 발광시의 게인 인수(gain factor; a)가 획득된다. [수학식 1]과 같이, 상기 획득된 발광시의 게인 인수(a)를 상기 평균 R, G, B 게인과 연산함으로써 (b42)의 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인 발광 R 게인, 발광 G 게인, 및 발광 B 게인를 설정할 수 있다.
발광 R 게인 = a / 평균 R 게인
발광 G 게인 = a / 평균 G 게인
발광 B 게인 = a / 평균 B 게인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설정 방법의 신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셋 화이트 조정을 선택하면, 플래시 발광 시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c1)단계, 및 상기 플래시 발광 시의 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추출하여 설정하는 (c2)단계를 거침으로써, 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가 설정될 수 있다.
그 후 플래시의 미발광 시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c3)단계, 및 상기 발광 영상과 미발광 영상을 산술연산하여 미발광 시의 미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추출하는 (c4)단계를 거침으로써, 미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가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c4)단계는 상기 미발광 시의 영상 데이터와 발광 시의 영상 데이터를 산술연산하는 (c41)단계, 및 이 산술연산을 이용하여 플래시 미발광 시의 미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추출하여 설정하는 (c42)단계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산술연산은 발광 영상 데이터와 미발광 영상 데이터간의 차를 계산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이를 통하여 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간단히 추출할 수 있다.
상기 (c4)단계에서 상기 산술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미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설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중 하나의 예로서, 상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동일하게, 먼저, (c1) 및 (c2)단계를 통하여 평균 R, G, B 게인을 구한다. 또한 (c41)단계를 거치면서 발광 영상 데이터와 미발광 영상 데이터간의 차이값을 구함으로써 미발광시의 게인 인수(gain factor; a)가 획득된다. 그 후에 상기 게인 인수(a)와 평균 R, G, B 게인을 연산함으로써 미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a3)단계, 또는 (b4)단계, 또는 (c4)단계를 거치면서 미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및 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가 추출되어 설정된 후에, 촬영시 플래시가 발광하였는지 여부에 따른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적용하는 단계를 가진다. 즉 도 6에 도시된 흐름도와 같이, 셔터를 눌렀을 때 플래시가 발광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미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상기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로 적용하는 (d1)단계를 거친다.
이와 달리 촬영 단계에서 셔터를 눌렀을 때 플래시가 발광하는 경우에는, 상기 플래시 발광시의 밝기에 따라, 상기 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및 상기 미발 광 화이트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로 적용하는 (d2)단계를 거친다.
상기 (d2)단계의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설정 단계에서 플래시의 발광량이 먼저 추출된다. 그 후, 촬영 단계에서 플래시가 발광하는 경우, 디지털 촬영장치는 피사체의 밝기 정도를 알 수 있다. 상기 피사체의 밝기 정도는 상기 플래시의 발광량과 차이가 있다. 즉 상기 밝기는 순수하게 플래시 자체의 발광에 의하여 영향을 받음과 동시에 피사체 주위의 주위조명의 영향을 받아서 발생한다. 이 경우, 플래시의 영향에 의한 밝기의 경우는 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플래시의 영향이 없는 밝기의 경우는 미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이용하여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d2)단계는, 플래시 자체의 밝기와 촬영단계에서의 밝기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순수하게 플래시의 발광으로 인하여 발생한 밝기영향의 비율과 상기 주위조명에 의한 밝기영향의 비율을 구하는 (d21)단계를 거친다.
상기 (d21)단계를 거친 후, 상기 플래시로 인한 밝기영향의 비율을 상기 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와 곱한 값 및 상기 주위조명으로 인한 밝기영향 비율을 상기 미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와 곱한 값을 더하는 (d22)단계를 거침으로써,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인 프리셋 R, G, B 게인을 적용하게 된다. 즉, 순수 주위 조명에 의한 밝기영향 비율을 β라 하고, 발광시의 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발광 R, G, B 게인이라 하며, 미발광시의 미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미 발광 R, G, B 게인이라고 할 때, 플래시 발광시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인 프리셋 R, G, B 게인은[수학식 2]와 같이 얻을 수 있다.
프리셋 R 게인 = β×미발광 R 게인 + (1-β)×발광 R 게인
프리셋 G 게인 = β×미발광 G 게인 + (1-β)×발광 G 게인
프리셋 B 게인 = β×미발광 B 게인 + (1-β)×발광 B 게인
즉, 마이크로 제어기(30, 도 1 참조)를 통하여 플래시(34, 도 1 참조)가 발광한다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DSP(20, 도 1 참조)는 플래시 발광시의 밝기에 따라서 상기 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및 상기 미발광 화이트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적용한다. 이와 다르게 마이크로 제어기(30, 도 1 참조)를 통하여 플래시(34, 도 1 참조)가 발광하지 않는다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DSP(20, 도 1 참조)는 미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로 설정한다.
이로 인하여, 실제 촬영시에 플래시 발광여부에 따라서 가장 정확한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종래의 기술에 의할 경우, 실제 셔터를 눌렀을 경우 플래시가 발광하였는가에 관계없이, 임의로 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나 미발광 프리셋 밸런스 데이터를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로 설정함으로써, 실제 촬영시에 셔터를 눌렀을 때의 주위조건이 설정단계에서의 주위조건과 다를 경우, 설정된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와 사용자가 원하는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와는 차이가 있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한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설정 및 적용 방법의 경우, 실제 셔터를 누를 때에 발광 여부에 따라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가 설정됨으로써, 정확한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가진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설정 및 적용 방법에 의하면, 실제 셔터를 눌렀을 때에 플래시가 발광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적용할 수 있음으로써, 플래시 발광 여부에 따라서 가장 정확한 색을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적용하기 위한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설정 방법으로서,
    (a1) 플래시 미발광 시의 미발광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a2) 상기 플래시 발광 시의 발광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a3) 상기 플래시 발광 시의 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및 상기 플래시 미발광시의 미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
    (a4) 상기 발광 영상 데이터와 상기 미발광 영상 데이터의 산술연산한 결과에 대응하는 인수를 도출하는 단계;
    (a5) 설정한 상기 어느 하나의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에 상기 인수를 적용하여 설정하지 않은 상기 플래시 발광 시의 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및 상기 플래시 미발광시의 미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중 다른 하나의 화이트 밸런스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설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3) 단계는, 상기 플래시 발광 시의 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a5) 단계는, 설정한 상기 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에 상기 인수를 적용하여 설정하지 않은 상기 미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설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3) 단계는, 상기 플래시 미발광 시의 미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a5) 단계는, 설정한 상기 미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에 상기 인수를 적용하여 설정하지 않은 상기 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설정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4) 단계는, 상기 미발광 영상 데이터와 상기 발광 영상 데이터의 차이값에 대응하는 인수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설정 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 제2항,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하나의 항의 설정 방법으로 설정된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로 적용하는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적용 방법으로서,
    (d1)촬영 단계에서 상기 플래시가 미발광되는 경우에는 상기 미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를 상기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로 적용하는 단계; 및
    (d2)촬영 단계에서 상기 플래시가 발광하는 경우에는, 상기 플래시 발광시의 밝기에 따라, 상기 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및 상기 미발광 화이트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적용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d2)단계는:
    (d21)상기 플래시 자체의 발광으로 인한 밝기영향 비율과 촬영시 주위조명으로 인한 밝기영향 비율을 구하는 단계; 및
    (d22)상기 플래시로 인한 밝기영향의 비율을 상기 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와 곱한 값 및 상기 주위조명으로 인한 밝기영향 비율을 상기 미발광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와 곱한 값을 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적용 방법.
  10. 제 1 항, 제2항,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하나의 항의 설정 방법을 적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11. 제8항의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적용 방법을 적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KR1020040002683A 2004-01-14 2004-01-14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설정 및적용 방법 KR101014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683A KR101014662B1 (ko) 2004-01-14 2004-01-14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설정 및적용 방법
US11/024,253 US7714929B2 (en) 2004-01-14 2004-12-28 Method for setting and adapting preset white balance of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683A KR101014662B1 (ko) 2004-01-14 2004-01-14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설정 및적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4789A KR20050074789A (ko) 2005-07-19
KR101014662B1 true KR101014662B1 (ko) 2011-02-16

Family

ID=34738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2683A KR101014662B1 (ko) 2004-01-14 2004-01-14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설정 및적용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714929B2 (ko)
KR (1) KR1010146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52717B2 (en) * 2005-01-11 2010-01-26 Eastman Kodak Company White balance correction in digital camera images
US20070052814A1 (en) * 2005-09-07 2007-03-08 Ranganath Tirumala R Method and Apparatus for white-balancing an image
US7570881B2 (en) * 2006-02-21 2009-08-04 Nokia Corporation Color balanced camera with a flash light unit
KR100797417B1 (ko) * 2006-07-11 2008-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커스텀 화이트밸런스 조정장치 및 방법
US8040391B2 (en) * 2007-08-06 2011-10-18 Panasonic Corporation White balance adjustment device, image capture device, white balance adjustment method, storage medium, and integrated circuit
KR100978675B1 (ko) * 2008-07-21 2010-08-30 삼성전기주식회사 플래시를 이용한 촬영에서의 화이트밸런스 조정 방법
KR101589493B1 (ko) * 2009-02-24 2016-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래시를 이용한 화이트 밸런스 조정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US20110187891A1 (en) * 2010-02-04 2011-08-04 Buyue Zhang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 White Balance
JP6049343B2 (ja) * 2012-08-01 2016-12-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78602B2 (ja) 2016-12-14 2020-11-04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撮像装置、画像データ生成方法および画像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
CN110022475B (zh) * 2018-01-10 2021-10-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摄影设备校准方法、摄影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866373B (zh) * 2020-06-19 2021-12-2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显示拍摄预览图像的方法、装置及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632A (ja) * 1994-05-31 1996-02-20 Asahi Optical Co Ltd 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装置
JPH08340542A (ja) * 1995-04-13 1996-12-24 Ricoh Co Ltd 電子スチルカメラ
JP2001285884A (ja) * 2000-03-31 2001-10-12 Konica Corp 電子スチルカメラ
JP2002232907A (ja) * 2001-02-07 2002-08-16 Minolta Co Ltd デジタル撮像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8575A (ja) * 1989-04-28 1990-1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スチルカメラ装置
JPH07143496A (ja) 1993-11-15 1995-06-02 Sony Corp ビデオカメラ装置
US7525697B2 (en) * 2002-07-15 2009-04-28 Olympus Corporation White balance processing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JP2004088243A (ja) * 2002-08-23 2004-03-18 Canon Inc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632A (ja) * 1994-05-31 1996-02-20 Asahi Optical Co Ltd 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装置
JPH08340542A (ja) * 1995-04-13 1996-12-24 Ricoh Co Ltd 電子スチルカメラ
JP2001285884A (ja) * 2000-03-31 2001-10-12 Konica Corp 電子スチルカメラ
JP2002232907A (ja) * 2001-02-07 2002-08-16 Minolta Co Ltd デジタル撮像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14929B2 (en) 2010-05-11
US20050151855A1 (en) 2005-07-14
KR20050074789A (ko) 2005-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3625B2 (en) Image capture device which selects reading method based on sensitivity information
RU250410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изображения,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изображения и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RU249176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изображения,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изображения и программа
US7924343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exposure control method
JP6049343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207148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5425424B2 (ja) フラッシュ発光方法及び装置
KR101014662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설정 및적용 방법
JP2007300541A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0224608A (ja) オートホワイトバランス制御方法
US6650834B2 (en) Camera to which external strobe device is detachably attachable
JPH07298286A (ja) 撮像装置
US881068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100651813B1 (ko) 스트로보 제어장치, 및 스트로보 제어방법
US8559809B2 (en) Image shooting device
JP3967510B2 (ja) ディジタルカメラ
JP2003163944A (ja) ホワイトバランス制御方法及びデジタルカメラ。
JP2000307941A (ja) デジタルカメラ
JP5191251B2 (ja) 撮像装置
JP4589874B2 (ja) 撮影装置
JP2005109999A (ja) 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方法およびカメラ
JP2004242123A (ja) 撮像装置
JP3753520B2 (ja) 撮像装置
JP2004048523A (ja) ホワイトバランス処理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JP2008022474A (ja) 撮像装置及び撮像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