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3815B1 - 판스프링이 설치된 보빈 - Google Patents

판스프링이 설치된 보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3815B1
KR101013815B1 KR1020090022073A KR20090022073A KR101013815B1 KR 101013815 B1 KR101013815 B1 KR 101013815B1 KR 1020090022073 A KR1020090022073 A KR 1020090022073A KR 20090022073 A KR20090022073 A KR 20090022073A KR 101013815 B1 KR101013815 B1 KR 101013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flange
latch
bobbin
leaf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3974A (ko
Inventor
상곤 김
신이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샤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샤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샤인
Priority to KR1020090022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3815B1/ko
Publication of KR20100103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 B65H54/44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in which the package, core, or former is engaged with, or secured to, a driven member rotatable about the axis of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4Springs, e.g. helical or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7Ratch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6Wires

Landscapes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스프링이 설치된 보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금속 와이어를 감는 보빈의 양쪽의 플랜지 중 래치형 기어가 체결되는 플랜지의 표면에 다수개의 판스프링을 설치하여 래치형 기어가 판스프링이 설치된 플랜지에 체결된 상태에서 판스프링에 의해 일정한 텐션을 받으면서 지지되는 판스프링이 설치된 보빈에 관한 것이다.
보빈

Description

판스프링이 설치된 보빈{Bobbin for Winding Metal Wire with Spring on}
본 발명은 판스프링이 설치된 보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금속 와이어를 감는 보빈의 양쪽의 플랜지 중 래치형 기어가 체결되는 플랜지의 표면에 다수개의 판스프링을 설치하여, 래치형 기어가 판스프링이 설치된 플랜지에 체결된 상태에서 판스프링에 의해 일정한 텐션을 받으면서 지지되는, 판스프링이 설치된 보빈에 관한 것이다.
금속 와이어용 보빈이란, 금속 와이어를 감아 사용하는 보빈으로 일측부분에 래칫형 기어를 일체로 결합하여 금속 와이어의 회전기에 손쉽게 물려 빠른시간에 작업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다.
종래에 사용하고 있는 보빈은 통상적으로 양측이 평평한 판 형상으로 사용하고 있는 관계로 보빈에 금속와이어를 감고자 할 때는 작업자가 직접 보빈 원통에 와이어를 여러번 회전시켜 감은후에 금속 와이어 회전기를 작동시켜 사용하고 있다. 이렇게 사용함에 있어 보빈이 금속 와이어 회전기에서 회전하기까지는 다소의 결합 작업시간이 소요 되는 것으로 보빈의 원통에 별도로 기어를 결합한 축을 결합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관계로 하나의 보빈을 금속 와이어 회전기에 결합함에 있어서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숙련공이 필요한 상태이다.
그리고, 일측에 래칫형 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보빈의 경우에 보빈이 합사기에 끼워지는 경우 보빈의 래칫형 기어와 합사기의 기어의 물림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특히, 합성수지로 제작된 보빈을 여러번 사용함에 따라 기어부분이 마모되어 합사기의 기어와의 물림상태가 좋지 않아지고, 이로 인하여 보빈에 금속와이어를 감는데 문제점이 발생하곤 했다.
본 발명은 금속 와이어를 감는 보빈의 양쪽의 플랜지 중 래치형 기어가 체결되는 플랜지의 표면에 다수개의 판스프링을 설치하여 래치형 기어가 판스프링이 설치된 플랜지에 체결된 상태에서 판스프링에 의해 일정한 텐션을 받으면서 지지되는 판스프링이 설치된 보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이 설치된 보빈은,
양측에는 원형의 플랜지가 형성되고, 가운데는 금속와이어가 감기는 몸통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일측에는 합사기의 기어와 맞물리는 래치형기어 (15) 가 결착되는 금속와이어를 감는데 사용되는 보빈에 있어서,
상기 래칫형기어 (15) 가 결착되는 쪽의 플랜지 (10) 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판스프링 (20) 이 설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판스프링 (20) 이 설치된 상태에서 래치형기어 (15) 가 상기 플랜지 (10) 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 (10) 의 표면과 상기 래치형기어 (15) 사이에 빈공간이 구성되고, 상기 빈공간은 판스프링 (20) 에 의해 래치형기어 (15) 가 지지되기 때문에 형성되고,
상기 래치형기어 (15) 에 상기 플랜지 (10)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상기 빈공간만큼 래치형기어 (15) 가 상기 플랜지 (10) 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예 등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이 설치된 보빈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금속와이어를 감는데 사용되는 보빈의 한쪽의 플랜지 (10) 에 4 개의 판스프링 (20) 이 설치되어 있고, 판스프링 (20) 이 설치된 상태에서 래치형기어 (15) 가 플랜지 (10) 에 끼워져 결착되게 되는 구성을 가진다.
판스프링 (20) 은 금속재질로 구성되며, 종래의 스프링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금속으로 구성된다.
도 2 는 본 발명의 플랜지 표면에 판스프링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플랜지 (10) 의 표면에는 4 개의 판스프링 (20) 이 설치되어 있고, 판스프링 (20) 이 설치된 플랜지 (10) 표면위로 래치형기어 (15) 가 체결되게 된다.
도 3 은 본 발명의 래치형기어가 판스프링이 설치된 플랜지와 결합된 모습의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래치형기어 (15) 가 플랜지 (10) 에 체결된 상태에서 판스프링 (20) 의 텐션에 의해 래치형기어 (15) 가 플랜지 (10) 사이에는 'A' 만큼의 간격이 유지된다. 'A' 만큼의 간격은 판스프링 (20) 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래치형기어 (15) 가 플랜지 (10) 쪽으로 밀려지게 되면 'A' 만큼의 간격은 좁혀지게 구성된다.
도 4 는 본 발명의 래치형 기어에 플랜지 방향쪽으로 힘이 가해져 래치형기어가 플랜지에 밀착된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래치형기어 (15) 가 플랜지 (10) 쪽으로 힘을 받아 플랜지 (10) 와 밀착된 모습의 구성이다. 일반적으로 보빈에 금속와이어를 감기 위하여 합사기에 보빈이 끼워진다. 이 경우 보빈의 래치형기어 (15) 가 합사기의 기어와 결합하게 된다. 합사기를 오랜기간 사용하다보면 보빈의 래치형기어 (15) 가 합사기의 기어와 견고하게 결합하기 보다는 합사기의 기어와 래치형 기어 (15) 사이에는 틈이 생기게 된다. 이 틈은 합사기에 따라서 약간 더 벌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판스프링 (20) 이 래치형기어 (15) 를 텐션에 의해 밀어내는 구성을 가지므로 보빈의 래치형기어 (15) 가 합사기의 기어에 맞물린 상태에서 완전히 틈이 없이 결합하지 않더라도 플랜지 (10) 의 판스프링홈 (12) 에 각각 끼워지게 설치된 판스프링 (20) 에 의해 플랜지 (10) 의 반대방향쪽으로 밀리기 때문에 보빈의 래치형기어 (15) 와 합사기의 기어 사이의 헐렁해진 틈을 메꾸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판스프링이 플랜지에 끼워진 모습의 확대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플랜지 (10) 표면의 판스프링홈 (12) 에 판스프링 (20) 이 끼워져 설치되어 있고, 판스프링 (20) 의 양끝단은 여유공간을 가지는 끼움홈 (32) 에 각각 끼워져 있는 구성이다.
여유공간을 가지는 끼움홈 (32) 에 끼워진 판스프링 (20) 의 양 끝단은 판스프링 (20) 이 아래방향 (화살표방향) 으로 힘을 받을시에 가운데 부분의 높이가 낮아지고 양쪽 끝단이 양쪽 끼움홈 (32) 으로 더 밀려들어가게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보빈에 금속와이어를 감기 위하여는 합사기에 보빈이 끼워진다. 이 경우 보빈의 래치형기어 (15) 가 합사기의 기어와 결합하게 된다. 합사기를 오랜기간 사용하다보면 보빈의 래치형기어 (15) 가 합사기의 기어와 견고하게 결합하기 보다는 합사기의 기어와 래치형 기어 (15) 사이에는 틈이 생기게 된다. 또한, 합사기에 따라서는 처음부터 합사기의 기어와 래치형기어 (15) 는 견고하게 틈이 거의 없이 결착되기 보다는 합사기의 기어와 래치형기어 (15) 가 일정한 길이의 틈을 가지는 상태로 결착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래치형 기어가 플랜지에 결착된 상태에서 소정의 틈간격 (A) 을 가지도록 설계하고, 플랜지의 표면에 판스프링을 설치하여 판스프링 (20) 이 소 정의 틈간격 (A) 을 차지하여 래치형기어 (15) 를 텐션에 의해 밀어내는 구성을 가지므로, 보빈의 래치형기어 (15) 가 합사기의 기어에 맞물린 상태에서 완전히 틈이 없이 결합하지 않더라도 플랜지 (10) 에 설치된 판스프링 (20) 에 의해 래치형기어가 플랜지 (10) 의 반대방향쪽 (즉, 합사기의 기어쪽) 으로 밀리기 때문에 보빈의 래치형기어 (15) 와 합사기의 기어 사이의 틈을 메꾸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었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이 설치된 보빈의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플랜지 표면에 판스프링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래치형기어가 판스프링이 설치된 플랜지와 결합된 모습의 사시도와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래치형 기어에 플랜지 방향쪽으로 힘이 가해져 래치형기어가 플랜지에 밀착된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와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판스프링이 플랜지에 끼워진 모습의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플랜지 12: 판스프링 홈
15: 래칫형 기어 20: 판스프링
32: 끼움홈

Claims (1)

  1. 양측에는 원형의 플랜지가 형성되고, 가운데는 금속와이어가 감기는 몸통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일측에는 합사기의 기어와 맞물리는 래치형기어 (15) 가 결착되는 금속와이어를 감는데 사용되는 보빈에 있어서,
    상기 래칫형기어 (15) 가 결착되는 쪽의 플랜지 (10) 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판스프링 (20) 이 설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판스프링 (20) 이 설치된 상태에서 래치형기어 (15) 가 상기 플랜지 (10) 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 (10) 의 표면과 상기 래치형기어 (15) 사이에 빈공간이 구성되고, 상기 빈공간은 판스프링 (20) 에 의해 래치형기어 (15) 가 지지되기 때문에 형성되고,
    상기 래치형기어 (15) 에 상기 플랜지 (10)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상기 빈공간만큼 래치형기어 (15) 가 상기 플랜지 (10) 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이 설치된 보빈.
KR1020090022073A 2009-03-16 2009-03-16 판스프링이 설치된 보빈 KR101013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073A KR101013815B1 (ko) 2009-03-16 2009-03-16 판스프링이 설치된 보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073A KR101013815B1 (ko) 2009-03-16 2009-03-16 판스프링이 설치된 보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974A KR20100103974A (ko) 2010-09-29
KR101013815B1 true KR101013815B1 (ko) 2011-02-14

Family

ID=43008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073A KR101013815B1 (ko) 2009-03-16 2009-03-16 판스프링이 설치된 보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38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81651B (zh) * 2021-07-19 2022-12-23 天津工业大学 一种恒定张力送纱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3164A (ko) * 2000-02-21 2001-08-31 기사키 아키라 웨빙 권취장치
KR20070055073A (ko) * 2005-11-25 2007-05-30 송영만 보빈
KR20070113154A (ko) * 2006-05-23 2007-11-28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무소음 판형 스파이럴 스프링 구동부를 구비한 롤러블라인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3164A (ko) * 2000-02-21 2001-08-31 기사키 아키라 웨빙 권취장치
KR20070055073A (ko) * 2005-11-25 2007-05-30 송영만 보빈
KR20070113154A (ko) * 2006-05-23 2007-11-28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무소음 판형 스파이럴 스프링 구동부를 구비한 롤러블라인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974A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6691B1 (ko) 신발끈 권취용 릴
KR101705017B1 (ko) 신발끈 권취장치
CN203865734U (zh) 一种用于纺织工业的绕布装置
NZ599614A (en) Improved level wind arm for a winch assembly
JP4064961B2 (ja) リコイルスタータ
WO2010079656A1 (ja) コードリール
KR20110070770A (ko) 동물들을 이끌기 위해 기계적으로 감기고 풀릴 수 있는 가죽끈의 로프 풀리용 브레이크 메커니즘
KR20110101379A (ko)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을 구비한 낚시릴
KR101013815B1 (ko) 판스프링이 설치된 보빈
KR102008058B1 (ko) 웨빙 권취 장치
KR102126961B1 (ko) 원통형 전선릴의 가이드 장치
JP2005124501A (ja) 刈払機のコード繰出し装置およびコード繰出し装置におけるコード配索方法
US20100147470A1 (en) Blind cord winder fixing structure
US8267615B2 (en) Connecting mechanism
WO2005123567A3 (en) Winch with means to obtain even winding
CN110902503A (zh) 一种具有收放线功能的电力柜体
TWI724255B (zh) 紡車式捲線器的轉子制動裝置
US20160138546A1 (en) Recoil starter
KR101826902B1 (ko) 소화전함용 호스 릴
US8382021B2 (en) Bobbin
WO2007000290A3 (de) Sicherheitsgurt mit einer aufroll- und sperrvorrichtung für einen gurt mit einer verdickung
JP2005102454A5 (ko)
KR101207509B1 (ko) 두 개의 롤러를 이용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테이프 클리너
KR200489919Y1 (ko) 전선권취용 릴
EP3181382A1 (en) Win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