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3313B1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 등록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 등록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3313B1
KR101013313B1 KR1020080119745A KR20080119745A KR101013313B1 KR 101013313 B1 KR101013313 B1 KR 101013313B1 KR 1020080119745 A KR1020080119745 A KR 1020080119745A KR 20080119745 A KR20080119745 A KR 20080119745A KR 101013313 B1 KR101013313 B1 KR 101013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area
location
information
terminal
t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9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0935A (ko
Inventor
이재영
용석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119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3313B1/ko
Publication of KR20100060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6Registration at serving network Location Register, VLR or user mobility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2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by periodical regist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 등록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 등록 장치는 서로 인접한 둘 이상의 위치 영역들 간의 경계 지역에서 단말기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위치했던 위치 영역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영역 정보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단말기가 위치했던 위치 영역별로 타이머를 동작시키고, 상기 동작 중인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제1 위치 영역의 정보와 상기 만료된 타이머에 대응하는 제2 위치 영역의 정보의 일치 여부를 상기 위치 영역 정보 리스트를 참조하여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위치 영역에 대한 위치 등록 재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 단말기, 위치 등록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 등록 장치 및 시스템{Apparatus and system for local area registration of mobile de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 등록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위치 등록은 핸드오프(또는 핸드오버)를 제공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여기서, 핸드오프란 단말기가 특정 무선 통신 구역에서 다른 무선 통신 구역으로 이동할 때, 통화 채널을 자동으로 전환시켜 끊어지지 않게 해주는 기능을 말한다.
현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위치 등록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거나, 단말기의 전원이 켜질 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의 라우팅 영역(Routing Area; RA) 또는 위치 영역(Location Area; LA)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단말기의 위치 등록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위치 영역에 위치한 단말기가 제1 위치 영역과 제2 위치 영역이 중첩되는 지역으로 이동하였다가 중첩 지역으로부터 멀어져 다시 제1 위치 영역 내로 이동한다고 하자. 이 경우, 단말기는 제1 위치 영역, 제1 위치 영역과 제2 위치 영역의 중첩 지역, 다시 제1 위치 영역의 순으로 총 3회의 위치 등록 작업을 수행한다.
이처럼 위치 영역 간의 경계에서 단말기의 위치가 자주 변경될 때, 위치 영역이 변경될 때마다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것은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를 촉진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만약, 셀과 셀의 경계 지역에 다수의 단말기가 분포하는 경우에는 각 단말기들의 위치 등록으로 인하여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자원이 부족해지는데, 이는 결국 이동 통신 서비스의 질을 하락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 등록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등록 장치는 서로 인접한 둘 이상의 위치 영역들 간의 경계 지역에서 단말기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위치했던 위치 영역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영역 정보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단말기가 위치했던 위치 영역별로 타이머를 동작시키고, 상기 동작 중인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제1 위치 영역의 정보와 상기 만료된 타이머에 대응하는 제2 위치 영역의 정보의 일치 여부를 상기 위치 영역 정보 리스트를 참조하여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위치 영역에 대한 위치 등록 재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은 서로 인접한 둘 이상의 위치 영역들 간의 경계 지역에서 이동하는 경우, 이전에 위치했던 위치 영역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영역 정보 리스트를 저장하며, 상기 이전에 위치했던 위치 영역별로 타이머를 동작시키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위치 영역에 대한 위치를 등록하는 기지국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동작 중인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제1 위치 영역의 정보와 상기 만료된 타이머에 대응하는 제2 위치 영역의 정보의 일치 여부를 상기 위치 영역 정보 리스트를 참조하여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위치 영역에 대한 위치 등록 재수행 여부를 결정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 등록 장치 및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단말기의 불필요한 위치 등록 작업을 감소시켜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단말기의 불필요한 위치 등록 작업이 감소된 만큼 기지국의 무선 자원을 확 보할 수 있으며, 무선 자원 부족으로 인한 호 처리 실패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1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시스템(100)은 단말기(800) 및 이동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800)는 위치 영역(Local Area) 별로 위치 등록 사항을 관리할 수 있다. 위치 영역이란 단말기(800)가 위치 등록을 하거나, 착신 단말기(800)를 호출하는 지리적인 한계를 의미한다. 위치 영역은 이동 통신망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최소 단위는 서비스 영역(coverage)이다. 위치 영역은 각각의 기지국 범위일 수도 있고, 인접한 수 개의 기지국들 범위의 조합일 수도 있으며, 넓게는 하나의 이동 교환기가 관장하는 모든 기지국 범위일 수도 있다. 착신 단말기(800)로 호 연결이 시도될 때에는 착신 단말기(800)를 찾는 호출 신호(paging)가 위치 영역 내의 모든 기지국에서 방송된다. 단말기(800)는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기기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개인 휴대 단말기(800)(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800)는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UE(User Equipment), SS(Subscriber Station),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등과 같은 용어로 불릴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말기(80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 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망은 서킷 망(Circuit Service, 10) 및/또는 패킷 망(Packet Service, 20)을 포함할 수 있다. 서킷 망(10)은 회선 교환 방식을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말하는 것으로서, 서킷 망(10)에서는 사용자 간에 통화를 위한 통신 회선이 설정되면 통화가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통화에 관련되는 사람들에게만 회선이 전용으로 할당된다. 이에 비하여, 패킷 망(20)은 패킷 교환 방식을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말하는 것으로,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나누고, 패킷에 포함된 목적지 주소로 해당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말한다.
전술한 서킷 망(10)은 기지국(110), 무선망 제어기(RNC; Radio Network Controller, 120), 이동 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 130),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150), 게이트웨이 이동 교환기(GMSC; Gateway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 140), 및 인증센터(AuC; Authentication Center, 1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패킷 망(20)은 패킷 교환 지원 노드(SGSN; Serving GPRS Support Node, 170), 및 패킷 교환 게이트웨이(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18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기지국(110)이 관리하는 영역(Cell) 내의 단말기(800)와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기지국(110) 안의 무선 채널 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노드-B(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과 같은 용어로 불릴 수도 있다.
RNC(120)는 기지국(110)을 제어하고 무선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보다 구 체적으로, RNC(120)는 단말기(800)에 대한 통신 채널의 할당을 기지국(110)에게 지시하고, 기지국(110)의 송신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무선망 제어기는 기지국 간을 이동하는 단말기(800)에 대한 핸드오프(hand off)를 지원할 수도 있다.
MSC(130)는 하나 이상의 RNC(120)와 연결되어, 단말기(800)와 다른 단말기(800) 간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또한, MSC(130)는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교환기(Service Switching Point; SSP)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외부 망과의 연동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MSC(130)는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Visitor Location Register: VLR)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GMSC(140)는 이동 통신망과 외부 망(예를 들면, PSTN, ISDM)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외부 망으로부터 이동 통신망으로 인입되는 호 및 트래픽, 그리고 이동 통신망에서 외부 망으로 출력되는 호 및 트래픽은 GMSC(140)에 의해 포워딩될 수 있다.
HLR(150)은 가입자의 위치 정보(예를 들어, 단말기(800)가 현재 위치한 곳의 VLR의 주소, MSC(130) 주소, 상태 정보 등)를 저장 및 관리하고, 이 정보를 요구하는 시스템에게 이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HLR(150)은 가입자 부가 서비스 정보 등 가입자가 통신 서비스를 받는데 필요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두고 있다가, 필요한 경우에 MSC(130)나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로 전달하여, 해당 가입자가 부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해 준다.
AuC(160)는 가입자 인증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AuC(160)는 HLR(150) 와 같이 맞물려 있고 이들은 상호간의 정보 교환을 할 수 있다.
SGSN(170)은 GPRS 서비스를 위하여 단말기(800)의 이동성 관리, 발/착신호 처리 절차 및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처리하기 위한 세션(Session) 관리, 인증 및 과금 기능 등을 지원한다. 또한, 패킷 데이터의 라우팅 처리 기능을 가진다.
GGSN(180)은 GPRS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고속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IP(Internet Protocol) 기반 패킷망의 서빙 노드(Serving Node)로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하여 세션을 관리하고 패킷 데이터의 라우팅 처리 기능을 하며 패킷 망과 인터넷 망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8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800)는 사용자 입력부(810), 출력부(820), 무선 통신부(840), 제어부(830), 및 저장부(85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810)는 사용자의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는 하나 이상의 버튼이나 키 패드를 구비할 수 있다. 버튼이나 키 패드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출력부(820)는 명령 처리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820)는 액정 표시 화면(Liquid Cristal Display; LCD)과 같은 영상 표시 수단 및 스피커와 같은 음성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820)는 사용자 입력부(810)와 하드웨어적으로 별도로 구현되거나, 터치 스크린과 같이 사용자 입력부(810)와 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부(840)는 단말기(800)와 이동 통신망(10, 20) 간에 제어 신호 송 수신 또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부(840)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안테나 및 베이스 밴드(base band)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830)는 단말기(800) 내의 구성 요소들을 연결하고 제어할 수 있으며, 위치 등록 이벤트 발생 여부 감지, 핸드오프를 위한 위치 영역의 선택, 선택된 위치 영역에 대한 단말기(800)의 위치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등록 이벤트의 예로는 전원이 켜지는 경우, 단말기(800)의 위치 영역(Local Area: LA)이 변경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단말기(800)가 두 위치 영역의 경계에 존재한다면, 제어부(830)는 우선, 두 위치 영역 중에서 어느 하나의 위치 영역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위치 영역을 대상으로 위치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된 위치 영역을 대상으로 위치 등록을 하기에 앞서, 제어부(830)는 선택된 위치 영역의 식별자가 위치 영역 식별자 리스트(이하 '식별자 리스트'라고 한다)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 위치 영역에 대한 위치 등록을 수행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자 리스트는 단말기(800)가 이전에 위치했었던 위치 영역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말하는 것으로, 위치 영역의 식별자는 단말기의 위치가 변화함에 따라 순서대로 식별자 리스트에 기록될 수 있다. 즉, 식별자 리스트는 단말기의 이동 경로에 대한 히스토리를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판단 결과, 선택된 위치 영역의 식별자가 식별자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제어부(830)는 해당 위치 영역을 대상으로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 해당 위치 영역의 식별자를 식별자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위치 영역에 대한 타이머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 때, 타이머는 단말기의 위치 등록이 시작되는 직후에 동작되거나, 단말기의 위치 등록이 완료된 이후에 동작될 수 있다.
판단 결과, 선택된 위치 영역의 식별자가 식별자 리스트에 존재한다면, 제어부(830)는 해당 위치 영역을 대상으로 위치 영역을 수행하는 대신, 해당 위치 영역의 식별자를 식별자 리스트에 추가한 다음, 해당 위치 영역에 대한 타이머를 동작시킬 수 있다. 만약, 타이머가 만료되면, 제어부(830)는 만료된 타이머에 대응하는 식별자가 식별자 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자들 중에서 가장 최근에 기록된 것인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해당 위치 영역에 대한 위치 등록 재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만료된 타이머에 대응하는 식별자가 가장 최근의 것인지를 판단한다는 것은 만료된 식별자가 식별자 리스트에 기록된 후 단말기의 위치 영역이 더 이상 변경되지 않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만료된 타이머에 대응하는 식별자가 단말기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위치 영역의 식별자와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등록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3은 단말기(800)의 이동 경로를 예시한 것이고, 도 4는 단말기의 이동 경로가 도 3과 같은 경우, 단말기의 위치 등록으로 인한 식별자 리스트(410)의 변화를 예시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말기(800)의 이동 경로가 단시간 내에 도 9와 같이 변하고, 식별자 리스트(410)가 초기화 상태라고 가정하고, 단말기(800)의 위치 등록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단말기(800)가 ①번 지점에 위치해 있을 때, 위치 등록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830)는 제1 위치 영역을 대상으로 위치 등록을 수행하기에 앞서, 식별자 리스트(410)에 제1 위치 영역의 식별자(A)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식별자 리스트(410)에는 제1 위치 영역의 식별자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어부(830)는 제1 위치 영역을 대상으로 위치 등록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 영역의 식별자(A)를 식별자 리스트(410)에 추가한 다음, 추가된 식별자(A)에 대응하는 타이머(이하, '제1 영역의 제1 타이머'라고 한다)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 후, 단말기(800)의 위치가 ②번 지점으로 변경되면, 제어부(830)는 기지국 1 (910) 및 기지국2 (911)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제1 위치 영역과 제2 위치 영역 중 무선 신호의 세기가 더 큰 위치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②번 지점에서 기지국2 (911)의 신호 세기가 더 큰 것으로 가정한다.
제2 위치 영역이 선택되면, 제어부(830)는 제2 위치 영역의 식별자(B)가 식별자 리스트(410)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식별자 리스트(410)에는 제2 위치 영역의 식별자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어부(830)는 제2 위치 영역을 대상으로 위치 등록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위치 영역의 식별자(B)를 식별자 리스트(410)에 추가한 다음 추가된 식별자(B)에 대응하는 타이머(이하, '제2 영역의 제1 타이머'라고 한다)를 동작시 킬 수 있다.
이 후, 제1 위치영역의 제1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 단말기(800)의 위치가 ③번 지점으로 변경되면, 제어부(830)는 제1 위치 영역의 식별자(A)가 식별자 리스트(410)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식별자 리스트(410)에는 제1 위치 영역의 식별자(A)가 이미 존재한다. 따라서, 제어부(830)는 제1 위치 영역을 대상으로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대신, 도 4의 (c)와 같이, 제1 위치 영역의 식별자(A')를 식별자 리스트(410)에 추가한 다음, 추가된 식별자(A')에 대응하는 타이머(이하, '제1 위치 영역의 제2 타이머'라 한다)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도 4의 (c)는 두 번째로 기록되는 제1 위치 영역의 식별자로서 A'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러한 표시는 첫 번째로 기록된 제1 위치 영역의 식별자 A와 구분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실제로 식별자 리스트(410)에 기록될 때에는 A' 대신 A가 기록될 수 있다.
만약, 제1 위치 영역의 제1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 단말기(800)의 위치가 ④번 지점으로 변경되면, 제어부(830)는 제2 위치 영역의 식별자(B)가 식별자 리스트(410)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식별자 리스트(410)에는 제2 위치 영역의 식별자(B)가 이미 존재하므로, 제어부(830)는 제2 위치 영역을 대상으로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대신, 도 4의 (d)와 같이, 제2 위치 영역의 식별자(B')을 식별자 리스트(410)에 추가한 다음, 추가된 식별자(B')에 대응하는 타이머(이하, '제2 위치 영역의 제2 타이머'라 한다)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도 4의 (d)에는 두 번째로 기록되는 제2 위치 영역의 식별자로서 B'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러한 표시는 첫 번째로 기록된 제2 위치 영역의 식별자 B와 구분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실제로 식별자 리스트(410)에 기록될 때에는 B' 대신 B가 기록될 수 있다.
이 후, 제1 위치 영역의 제1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 단말기(800)의 위치가 ⑤번 지점으로 변경되는 경우, 제어부(830)는 제1 위치 영역에 대한 식별자가 식별자 리스트(410)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식별자 리스트(410)에는 제1 위치 영역의 식별자(A 및 A')가 이미 존재하고 있으므로, 제어부(830)는 제1 위치 영역으로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대신, 도 4의 (e)와 같이, 제1 위치 영역의 식별자(A")를 식별자 리스트(410)에 추가한 다음, 추가된 식별자(A")에 대응하는 타이머(이하, '제1 위치 영역의 제3 타이머'라 한다)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 후, 단말기(800)의 위치가 더 이상 변하지 않는다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1 위치 영역의 제1 타이머가 만료된다. 제1 위치 영역의 제1 타이머가 만료되면, 제어부(830)는 만료된 제1 타이머에 대응하는 식별자 A가 식별자 리스트(410)에 기록된 식별자 중에서 가장 최근에 기록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식별자 A가 기록된 이후에도 단말기(800)의 위치 영역 변경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은 식별자 리스트 내에서 식별자 A의 기록 위치를 기준에 근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별자 A가 식별자 리스트(410)에서 마지막에 기록되어 있다면, 식별자 A가 가장 최근에 기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식별자 A가 식별자 리스트에 기록된 이후에 단말기(800)의 위치 영역이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위치 영역의 제1 타이머가 만료된 시점에서의 식별자 리스트(410)는 도 4의 (e)와 같으므로, 식별자 A는 가장 최근에 기록된 식별자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830)는 도 4의 (f)와 같이, 식별자 리스트(410)에서 식별자 A를 삭제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부(830)는 식별자 리스트(410) 내에 있는 나머지 식별자들의 기록 위치를 쉬프트시켜 도 4의 (g)와 같이 정렬할 수 있다.
이 후, 제2 위치 영역의 제1 타이머가 만료되면, 제어부(830)는 만료된 제1 타이머에 대응하는 식별자 B가 식별자 리스트(410)에 기록된 식별자들 중에서 가장 최근에 기록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위치 영역의 제1 타이머가 만료된 시점에서의 식별자 리스트(410)는 도 4의 (g)와 같으므로, 식별자 B는 가장 최근에 기록된 식별자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제어부(830)는 도 4의 (h)와 같이, 식별자 리스트(410)에서 식별자 B를 삭제할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식별자들의 기록 위치를 쉬프트시켜 도 4의 (i)와 같이 정렬할 수 있다.
이 후, 제1 위치 영역의 제2 타이머가 만료되면, 제어부(830)는 만료된 제2 타이머에 대응하는 식별자 A'이 식별자 리스트(410)에 기록된 식별자들 중에서 가장 최근에 기록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위치 영역의 제2 타이머가 만료된 시점에서의 식별자 리스트(410)는 도 4의 (i)와 같으므로, 식별자 A'은 가장 최근에 기록된 식별자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제어부(830)는 도 4의 (j)와 같이, 식별자 리스트(410)에서 식별자 A'을 삭제한 후, 나머지 식별자들의 기록 위치를 쉬프트시켜 도 4의 (k)와 같이 정렬할 수 있다.
이 후, 제2 위치 영역의 제2 타이머가 만료되면, 제어부(830)는 만료된 제2 타이머에 대응하는 식별자 B'이 식별자 리스트(410)에 기록된 식별자들 중 가장 최근에 기록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위치 영역의 제2 타이머가 만료된 시점에서의 식별자 리스트(410)는 도 4의 (k)와 같으므로, 식별자 B'은 가장 최근에 기록된 식별자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제어부(830)는 도 4의 (l)과 같이, 식별자 리스트(410)에서 식별자 B'을 삭제한 후, 나머지 식별자들의 기록 위치를 쉬프트시켜 도 4의 (m)과 같이 정렬할 수 있다.
이 후, 제1 위치 영역의 제3 타이머가 만료되면, 제어부(830)는 만료된 제3 타이머에 대응하는 식별자 A"이 식별자 리스트(410)에 기록되어 있는 식별자들 중 가장 최근에 기록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영역의 제3 타이머가 만료된 시점에서의 식별자 리스트(410)는 도 4의 (m)과 같으므로, 식별자 A"은 가장 최근에 기록된 식별자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제어부(830)는 제1 위치 영역을 대상으로 위치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위치 영역에 대하여 타이머가 동작 중일 경우에는 위치 등록을 실시하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위치 등록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 영역에 대한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 만료된 타이머에 대응하는 식별자가 가장 최근에 기록된 것인 경우에만 제1 위치 영역을 대상으로 위치 등록을 수행함으로써, 기지국(110) 측에서 관리하는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제1 위치 영역에 관한 정보로 갱신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단말기(800)에 대한 착신 호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800)가 ①번 지점에서 제1 위 치 영역을 대상으로 위치 등록을 한 후, ②번 지점에서 제2 위치 영역을 대상으로 위치 등록을 수행하면, 기지국(110)에서는 이전의 위치 정보인 제1 위치 영역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고, 갱신된 위치 정보인 제2 위치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만을 저장하게 된다. 그런데, 도 5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제1 위치 영역의 제1 타이머 또는 제2 타이머가 동작하고 있는 동안에는 제1 위치 영역을 대상으로 위치 등록이 수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③번 또는 ⑤번 지점과 같이 단말기(800)가 실제로는 제1 위치 영역에 존재하고 있더라도, 기지국(110)측에서는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제1 위치 영역에 관한 위치 정보로 갱신되지 않은 채, 제2 위치 영역에 관한 위치 정보가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그런데, 제1 위치 영역의 제3 타이머가 만료된 후에 제1 위치 영역에 대한 위치 등록을 수행하면, 기지국(110) 측에서 관리하는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제1 위치 영역의 위치 정보로 갱신되므로, ③번 및 ⑤번 지점에서의 위치 등록 미수행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보완할 수 있다.
도 5는 단말기(800)의 이동 경로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 단말기(800)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타임라임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①번 지점에서는 제1 위치 영역을 대상으로 위치 등록 및 식별자(A) 추가 작업, 제1 타이머 동작 등의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③번 지점에서는 제1 위치 영역을 대상으로 위치 등록 없이, 식별자(A') 추가 작업 및 제2 타이머의 동작만이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⑤번 지점에서도 식별자(A") 추가 작업 및 제3 타이머의 동작만이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소정 위치 영역의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에는, 만료된 타이머에 대응하는 식별자가 식별자 리 스트(410)에 기록된 식별자들 중 가장 최근에 기록된 식별자인 경우에만(다시 말해, 만료된 타이머에 대응하는 식별자가 식별자 리스트에 기록된 후 단말기(800)의 위치 영역이 더 이상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만) 위치 등록이 수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만료된 타이머에 대응하는 식별자가 식별자 리스트(410)에서 삭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830)는 단말기(800)의 위치 등록 이외에도, 식별자 리스트(410)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830)는 단말기(800)의 위치 영역이 변경된 순서에 따라 각 위치 영역의 식별자를 차례로 식별자 리스트(410)에 추가할 수 있고, 이미 기록되어 있는 식별자들 중 타이머가 완료된 식별자를 식별자 리스트(410)에서 삭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별자 리스트(410)에는 사전 지정된 개수의 위치 영역 식별자가 기록될 수 있는데, 새로운 위치 영역의 식별자를 식별자 리스트(410)에 추가하려고 할 때, 지정된 개수의 식별자가 모두 저장되어 있는 상태라면, 제어부(830)는 가장 먼저 저장되었던 위치 영역의 식별자를 삭제할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위치 영역 식별자들의 기록 위치를 이동시킨 다음, 식별자 리스트(410)의 마지막 위치에 새로운 위치 영역의 식별자를 기록할 수 있다. 이처럼, 새로운 식별자가 저장될 공간을 마련하기 위하여, 이전에 저장된 위치 영역 식별자들을 저장된 순서에 따라 삭제하는 것은 식별자 리스트(410)에 대한 설정 정보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저장부(850)는 위치 등록에 필요한 알고리즘, 식별자 리스트(410), 식별자 리스트(410)에 관한 설정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식별자 리스트(410)에 관한 설정 정보로는 식별자 리스트(410)에 기록 가능한 위치 영역 식별자의 개수, 타이머의 동작 시간, 및 위치 영역 식별자 삭제 기능 사용 여부 등에 관한 정보를 예로 들 수 있다. 예시된 설정 정보들 중에서 식별자 리스트(410)에 기록 가능한 위치 영역 식별자 개수에 관한 정보 및 타이머의 동작 시간에 관한 정보는 기지국(110)에서 단말기(800)로 제공될 수 있다. 식별자 리스트(410)에 기록 가능한 위치 영역 식별자의 개수는 예를 들어, 0 내지 10 사이의 정수로 지정될 수 있다. 타이머의 동작 시간은 초(second) 단위 또는 분(minute) 단위로 설정될 수 있는데, 초 단위를 사용하는 경우, 타이머의 동작 시간은 예를 들어, 1 초 내지 3600 초 사이의 값으로 지정될 수 있으며, 분 단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1분 내지 60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위치 영역 식별자 삭제 기능의 사용 여부는 별도의 메뉴 항목을 통해 결정될 수도 있고, 위치 영역 식별자의 개수 설정 시에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영역 식별자의 개수가 '0'으로 설정되었다면, 이는 위치 영역 식별자 삭제 기능이 '사용 안함' 상태로 설정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위치 영역 식별자의 개수가 '0' 이외의 값으로 설정되었다면, 이는 위치 영역 식별자 삭제 기능이 '사용' 상태로 설정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850)는 롬(ROM; Read Only Memory), 이이피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거나, 비휘발성 메모리와 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단말기(8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또는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등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단말기(800)는 위치 등록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700). 예를 들어, 단말기(800)의 전원이 켜지거나, 단말기(800)의 위치 영역이 변경된 경우, 위치 등록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위치 등록 이벤트가 발생되었다면(S700, 예), 현재 단말기(800)의 위치가 서로 다른 위치 영역들 간의 경계 지역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710). 이 때, 판단 기준으로는 무선 통신부(84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분석한 결과가 사 용될 수 있다. 즉, 신호 분석 결과, 서로 다른 기지국에서 송신된 신호가 무선 통신부(840)를 통해 수신되고 있다면, 단말기(800)가 서로 다른 두 위치 영역 간의 경계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710 단계의 판단 결과, 단말기(800)가 위치 영역들 간의 경계에 존재한다면(S710, 예), 위치 영역에 대한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다(S720). 위치 영역에 대한 선택은 무선 신호의 세기를 기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800)가 도 3의 ②번 또는 ④번 지점에 위치해 있다면, 단말기(800)에는 기지국1 (910)에서 송신된 신호 및 기지국2 (911)에서 송신된 신호가 모두 수신될 수 있는데, 단말기(800)는 수신된 신호의 크기를 비교한 결과, 기지국1 (910)에서 송신된 신호의 세기가 기지국2 (911)에서 송신된 신호의 세기보다 크다면 단말기(800)는 제1 위치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만약 기지국2 (911)에서 송신된 신호의 세기가 기지국1 (910)에서 송신된 신호의 세기보다 크다면 단말기(800)는 제2 위치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이 후, 단말기(800)는 선택된 위치 영역의 식별자가 식별자 리스트(410)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730).
S730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선택된 위치 영역의 식별자가 식별자 리스트(410)에 존재하지 않는다면(S730, 아니오), 단말기(800)는 해당 위치 영역을 대상으로 위치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S780). 그리고, 해당 위치 영역의 식별자를 식별자 리스트(410)에 추가한 다음, 추가된 식별자에 대응하는 타이머를 구동할 수 있다(S740).
S730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선택된 위치 영역의 식별자가 식별자 리스트(410)에 존재한다면(S730, 예), 선택된 위치 영역을 대상으로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대신, 선택된 위치 영역의 식별자를 식별자 리스트(410)에 추가하고, 추가된 식별자에 대응하는 타이머를 동작시킬 수 있다(S740).
이 후, 타이머가 만료되었는지를 판단한 결과(S750),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S750, 예), 만료된 타이머에 대응하는 식별자가 식별자 리스트(410)에 기록된 식별자들 중 가장 최근에 기록된 식별자인지를 판단한다(S760).
판단 결과, 만료된 타이머에 대응하는 식별자가 식별자 리스트(410)에 기록되어 있는 식별자들 중에서 가장 최근에 기록된 식별자가 아니라면(S760, 아니오), 단말기(800)는 만료된 타이머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식별자 리스트(410)에서 삭제할 수 있다(S780). 식별자를 삭제한 이후에는 식별자 리스트(410)에 남아 있는 식별자들의 기록 위치를 이동시키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판단 결과, 만료된 타이머에 대응하는 식별자가 식별자 리스트(410)에 기록되어 있는 식별자들 중에서 가장 최근에 기록된 식별자라면(S760, 예), 단말기(800)는 해당 위치 영역을 대상으로 위치 등록을 수행한 후(S780), S740 단계 내지는 S76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 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이동 경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이동 경로가 도 3과 같은 경우, 단말기의 위치 등록으로 인한 위치 영역 식별자 리스트의 변화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이동 경로가 도 3과 같은 경우,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타임라인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등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동 통신 시스템
410: 위치 영역 식별자 리스트
800: 단말기
810: 사용자 입력부
820: 출력부
830: 제어부
840: 무선 통신부
850: 저장부

Claims (16)

  1. 서로 인접한 둘 이상의 위치 영역들 간의 경계 지역에서 단말기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위치했던 위치 영역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영역 정보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단말기가 이전과 다른 위치 영역에 진입할 때마다, 상기 단말기가 진입한 위치 영역에 대한 타이머를 동작시키고, 상기 동작 중인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제1 위치 영역의 정보와 상기 만료된 타이머에 대응하는 제2 위치 영역의 정보의 일치 여부를 상기 위치 영역 정보 리스트를 참조하여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위치 영역에 대한 위치 등록 재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 등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위치했던 위치 영역의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위치했던 위치 영역의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자는 상기 단말기가 위치 영역에 진입한 순서에 따라 상기 위치 영역 정보 리스트에 차례로 기록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 등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위치 영역의 정보가 상기 위치 영역 정보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위치 영역에 대한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 등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위치 영역의 정보를 상기 위치 영역 정보 리스트에 추가한 다음, 상기 제1 위치 영역에 대한 제1 타이머를 동작시키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 등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위치 영역의 정보가 상기 위치 영역 정보 리스트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위치 영역에 대한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대신, 상기 제1 위치 영역의 정보를 상기 위치 영역 정보 리스트에 추가한 다음, 상기 제1 위치 영역에 대한 제1 타이머를 동작시키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 등록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위치 영역의 정보와 상기 제2 위치 영역의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2 위치 영역에 대한 위치 등록을 재수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 등록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위치 영역의 정보와 상기 제2 위치 영역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위치 영역의 정보를 상기 위치 영역 정보 리스트로부터 삭제하고, 상기 위치 영역 정보 리스트 내에 남아 있는 정보들의 기록 위치를 쉬프트시키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 등록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동작 시간, 및 상기 위치 영역 정보 리스트에 저장 가능한 정보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는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 등록 장치.
  9. 서로 인접한 둘 이상의 위치 영역들 간의 경계 지역에서 이동하는 경우, 이전에 위치했던 위치 영역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영역 정보 리스트를 저장하며, 이전과 다른 위치 영역에 진입할 때마다, 상기 진입한 위치 영역에 대한 타이머를 동작시키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제1 위치 영역에 대한 위치를 등록하는 기지국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동작 중인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 상기 제1 위치 영역의 정보와 상기 만료된 타이머에 대응하는 제2 위치 영역의 정보의 일치 여부를 상기 위치 영역 정보 리스트를 참조하여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위치 영역에 대한 위치 등록 재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위치했던 위치 영역의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위치했던 위치 영역의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자는 상기 단말기가 위치 영역에 진입한 순서에 따라 상기 위치 영역 정보 리스트에 차례로 기록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위치 영역의 정보가 상기 위치 영역 정보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위치 영역에 대한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위치 영역의 정보를 상기 위치 영역 정보 리스트에 추가한 다음, 상기 제1 위치 영역에 대한 제1 타이머를 동작시키는, 이동 통신 시스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위치 영역의 정보가 상기 위치 영역 정보 리스트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위치 영역에 대한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대신, 상기 제1 위치 영역의 정보를 상기 위치 영역 정보 리스트에 추가한 다음, 상기 제1 위치 영역에 대한 제1 타이머를 동작시키는, 이동 통신 시스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위치 영역의 정보와 상기 제2 위치 영역의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2 위치 영역에 대한 위치 등록을 재수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위치 영역의 정보와 상기 제2 위치 영역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위치 영역의 정보를 상기 위치 영역 정보 리스트로부터 삭제하고, 상기 위치 영역 정보 리스트 내에 남아 있는 정보들의 기록 위치를 쉬프트시키는, 이동 통신 시스템.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타이머의 동작 시간, 및 상기 위치 영역 정보 리스트에 저장 가능한 정보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KR1020080119745A 2008-11-28 2008-11-28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 등록 장치 및 시스템 KR101013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745A KR101013313B1 (ko) 2008-11-28 2008-11-28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 등록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745A KR101013313B1 (ko) 2008-11-28 2008-11-28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 등록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935A KR20100060935A (ko) 2010-06-07
KR101013313B1 true KR101013313B1 (ko) 2011-02-09

Family

ID=42361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9745A KR101013313B1 (ko) 2008-11-28 2008-11-28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 등록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33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9934A (ko) * 2006-07-25 2008-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등록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9934A (ko) * 2006-07-25 2008-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등록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935A (ko) 201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56855A1 (en) Cell reselection method,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US8917661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enhancing data rate for packet-switched (PS) data service
JP5890352B2 (ja) ホームノードbでの移動手順および差別化された課金
EP1929828B1 (en) Hard handoff from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to a cellular telephone network
KR100762646B1 (ko) 이기종망에서 동작하기 위한 듀얼 모드 이동국 및 그이동국에서의 동작 방법
CN110463249B (zh) 连接配置的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EP3226620B1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improving the detection of a neighboring cell in a cell reselection process
US20160373984A1 (en)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20130044609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enhancing data rate for packet-switched (ps) data service
JP7377992B2 (ja) 情報伝送方法、装置、通信機器及び記憶媒体
EP1796409A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terworking inform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JP4706919B2 (ja) 移動通信端末及びセルの切り替え制御方法
WO2021226803A1 (zh) 基站切换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0072279B (zh) 一种网络注册模式切换的方法及终端
WO2021135819A1 (en) Cell selection in tracking area
KR101142079B1 (ko) 사설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0795560B1 (ko) 이동통신 시스템과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 간의 연동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5352610B2 (ja) 移動機及びローミング方法
KR101013313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 등록 장치 및 시스템
US10716050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managing packet data network connections
KR20030065232A (ko)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접속망과 무선 랜망간 끊김없는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복합단말기 및 그 방법
EP1959697B1 (en)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about radio access possibilities
KR101817267B1 (ko) 이기종 망에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페이징 장치 및 방법
US20230388955A1 (en) Tracking-area update method and apparatus,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4380771A (zh) 一种移动交换中心池的信息处理方法、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