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9934A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등록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등록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9934A
KR20080009934A KR1020060069751A KR20060069751A KR20080009934A KR 20080009934 A KR20080009934 A KR 20080009934A KR 1020060069751 A KR1020060069751 A KR 1020060069751A KR 20060069751 A KR20060069751 A KR 20060069751A KR 20080009934 A KR20080009934 A KR 20080009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terminal
registration
location
t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9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1182B1 (ko
Inventor
김영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9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182B1/ko
Publication of KR20080009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9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등록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단말이 제1 등록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제1 등록영역의 제1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리스트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등록영역으로부터 이탈하여 제2 등록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제2 등록영역의 제2 위치정보를 상기 위치등록 리스트에 포함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1 위치정보에 대한 제1 타이머를 시동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타이머가 만기되면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서 상기 제1 위치정보를 제거하고,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정보가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위치정보가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현재 위치정보에 따라 시스템으로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단말의 위치등록 상태를 정확히 유지하여 착신 호 성공률을 향상시킨다.
셀룰러 시스템, 위치등록, 등록영역, VLR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등록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METHOD FOR REGISTRAT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THERFOR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단말이 등록영역의 경계에서 이동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단말이 등록영역의 경계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의 위치등록에 관련된 시그널링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등록 절차의 일 예를 설명하는 시그널링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착신통화의 성공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말의 위치를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시 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체 서비스영역을 복수의 셀들로 분할하고 상기 셀들 각각을 기지국으로 커버하는 셀 기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셀들 간을 이동하는 단말로의 착신통화를 성공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관리한다. 이를 위하여 단말은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으로 자신의 위치를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보고하는데, 이러한 동작을 위치등록이라 칭한다. 특히 단말은 통상 복수의 셀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등록영역(registration zone: 이하 REG_ZONE이라 칭함)들 간을 이동할 때 위치등록을 수행하거나, 혹은 하나의 등록영역 내에서 미리 정해지는 타이머(이하 ZONE_TIMER라 칭함)가 만기될 때마다 위치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등록 상태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는 시스템과 단말 간에 공유되어 관리된다. 시스템은 단말의 위치정보를 일정한 시간 동안 유지하여 단말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페이징을 통하여 착신통화를 전달하는데 이용하게 된다. 이때 단말이 새로운 위치의 기지국에 접근하게 되면 기지국에 위치등록(zone based Registration)을 수행하여 단말의 상태를 알려 주어야 한다.
한편, 단말이 등록영역들의 경계에서 이동하면서 일정시간 동안 유휴(IDLE) 상태를 유지할 때 단말은 두 등록지역들에 차례로 진입하여 상기 두 등록영역들을 모두 자신의 위치정보 리스트에 저장하게 될 수 있다. 이후 단말이 어느 한 등록영역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스템과 단말에서 단말의 위치정보를 제거하게 된다. 그러면 단말이 어느 한 등록영역에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단말 및 기지국이 이전에 유지했던 위치정보가 제거되기 때문에, 기지국에서는 이후에 상기 단말을 위한 페이징을 처리하는데 있어서 해당 등록영역에 단말이 위치함을 정상적으로 인식하지 못하게 되며, 따라서 단말은 자신에게 걸려오는 착신 호에 대한 페이징을 수신하지 못한다. 이 경우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말에서 시스템 액세스를 통해서 현재 위치의 기지국에 접속하여야 하지만, 종래의 경우에는 단말이 발신 호를 시도하지 않는 한 착신 호를 수신할 수 없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위치등록에 있어서 등록영역의 경계에 위치하는 단말의 위치등록 상태를 정확하게 유지하기 위한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의 위치정보를 시스템에 정확히 등록하여 단말의 착신통화 성공률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등록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제1 등록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제1 등록영역의 제1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리스트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등록영역으로부터 이탈하여 제2 등록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제2 등록영역의 제2 위치정보를 상기 위치등록 리스트에 포함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1 위치정보에 대한 제1 타이머를 시동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타이머가 만기되면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서 상기 제1 위치정보를 제거하고,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정보가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위치정보가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현재 위치정보에 따라 시스템으로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셀들로 각각 이루어진 등록영역들 간을 이동하는 단말과,
상기 단말의 위치등록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미리 정해지는 시간이 지나면 상기 위치정보를 제거하는 방문자 위치등록기(VLR)와,
상기 단말과 상기 VLR 사이를 연결하는 기지국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말은,
상기 등록영역들 중 하나인 상기 제1 등록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제1 등록영역의 제1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리스트에 저장하고, 상기 제1 등록영역으로부터 이탈하여 제2 등록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제2 등록영역의 제2 위치정보를 상기 위치등록 리스트에 포함하여 저장한 후 상기 제1 위치정보에 대한 제1 타이머를 시동하며, 상기 제1 타이머가 만기되면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서 상기 제1 위치정보를 제거하고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정보가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현재 위치정보가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 기 현재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VLR로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후술되는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등록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특히 등록영역들의 경계에 위치하는 단말의 위치등록 상태를 시스템과 일치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단말(Mobile Station: MS)(110), 기지국 송수신기(Base Transceiver Subsystem: BTS)(120, 122)와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130, 132)로 이루어진 기지국(125, 135), 이동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MSC)(140, 142), 방문자 위치등록기(Visiter Location Register: VLR)(150, 152),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160)가 도시되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관련된 중요 노드들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110)은 BTS(120, 122)와 무선으로 접속하며, BSC(130, 132)는 상기 무선 접속을 관리하고 단말(110)을 위한 호 제어를 수행한다. MSC(140, 142)는 해당 하위의 기지국(125, 135)을 통해 접속하는 단말(110)의 호를 해당 하위의 다른 단말 혹은 다른 시스템으로 연결한다. 이때 MSC(140, 142)는 단말(110)의 호를 연결하기 위해 VLR(150, 152)에 저장된 단말(110)의 가입자 정보를 참조한다. HLR(160)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가입된 단말들, 특히 상기 단말(110)의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며, 단말(110)이 위치하는 셀을 커버하는 기지국(125, 135)에 연결된 MSC(140, 142)의 요청에 응답하여 단말(110)의 가입자 정보를 해당 MSC(140, 142)의 VLR(150, 152)에게 제공한다.
상기 가입자 정보에는 단말(110)을 서비스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인증 정보를 비롯하여 특히 단말(110)의 위치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가입자 정보에 포함되는 단말(110)의 위치정보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단말(110)은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으로 위치등록을 수행한다.
단말(110)은 새로운 등록영역에서 위치등록을 수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이전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관리한다. 단말(110)이 이전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1. 일정 개수의 이전 위치정보들을 위치정보 리스트로 저장하여 관리한다. 일 예로서 상기 위치정보는 시스템 식별자(System ID: SID), 네트워크 식별자(Network ID: NID) 및 등록영역(REG_ZONE) 식별자를 포함한다.
2. 각 등록영역의 위치정보에 대해 타이머(ZONE_TIMER)를 두어서 해당 위치정보가 상기 타이머에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도록 한다. 기지국에서는 하기 <표 1>과 같은 ZONE_TIMER 값을 단말에게 시그널링하고, 단말은 이를 이용하여 각 위치정보를 관리한다.
3. 단말이 시스템에 접속(Access)하는 경우, 예를 들어 위치등록, 발신호 등의 경우에 한하여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의 관리 및 상기 ZONE_TIMER의 관리를 수행한다.
4. 위치정보 관리를 위한 ZONE_TIMER는 현재 단말이 접속하고 있지 않고 이전에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등록영역의 위치정보 모두에 대해서 시동된다.
5. ZONE_TIMER가 만기되면 위치정보 리스트에서 해당 위치정보가 제거된다.
ZOME_TIMER Value (binary) Timer Length (Minutes)
000 1
001 2
010 5
011 10
100 20
101 30
110 45
111 60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단말(110)의 위치등록 여부를 관리한다.
1. 단말(110)의 위치등록시 HLR(160)에서는 단말(110)이 정상적으로 인증되었는지를 확인한다.
2. VLR(150, 152)에서는 HLR(160)을 통하여 인증된 정상적인 단말(110)이 셀간을 이동하는 경우, 단말(110)이 어느 기지국에서 관리되고 있는지를 MSC(140, 142)가 확인할 수 있도록 단말(110)의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VLR(150, 152)에 저장된 단말(110)의 위치정보를 관리하기 위해서 단말(110)의 타이머(ZONE_TIMER)와는 별도로 동작하는 타이머(이하 VLR_TIMER라 칭함)가 사용된다. 즉 VLR(150, 152)는 해당 VLR_TIMER가 만기되면 저장되어 있는 단말(110)의 위치정보를 제거한다. 단말(110)로 향하는 착신 호(Incoming Call)가 존재하는 경우, 기지국(125, 135)은 등록영역별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여, 단말(110)에게 상기 착신 호가 존재함을 알려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이 등록영역들의 경계에서 이동하는 경우, 단말이 실제로 시스템 내에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정보가 삭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REG_ZONE#1과 REG_ZONE#2 사이의 경계에 위치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단말이 REG_ZONE#1의 기지국에 접속한 이후에 REG_ZONE#2로 이동한 경우 단말은 REG_ZONE#1, #2에 모두 등록된 상태이고 REG_ZONE#1에 대한 타이머, 즉 ZONE#1_TIMER가 시동된다. 이후에 상기 ZONE#1_TIMER가 만기되기 이전에 단말이 REG_ZONE#1로 다시 이동한 경우, 단말은 REG_ZONE#1의 위치정보를 여전히 가지고 있으므로 위치등록을 수행하지 않으며, 단말이 위치등록이나 발신 호 등을 위해 시스템에 액세스하지 않는 한 REG_ZONE#1의 타이머, 즉 ZONE#1_TIMER는 이전 상태로 유지된다. 즉 계속 동작한다.
이 경우에 단말이 시스템에 엑세스하기 이전에 상기 ZONE#1_TIMER가 만기되면 단말의 위치등록 리스트에서 REG_ZONE#1은 제거되지만, 단말은 여전히 REG_ZONE#1에 속해 있다. 따라서 이후 REG_ZONE#1에 속한 상기 기지국의 VLR에서 VLR_TIMER가 만기됨에 따라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가 제거되면,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ZONE_TIMER의 시간이 VLR_TIMER의 시간보다 길지 않은 경우에도 유사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VLR_TIMER의 시간은 사업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므로 큰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는다.
도 2를 참조하여 단말이 등록영역의 경계에서 이동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단말(210)이 REG_ZONE#1(220)에 속한 BS#1(230)에 위치한 경우(A) BS#1(230)이 접속된 VLR#1(250)에서는 단말(210)의 위치정보와 함께 HLR(260)로부터 제공받은 단말(210)의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고 있다. 이 시점에서부터 VLR#1(250)에서는 단말(210)의 위치정보 관리를 위한 타이머, 즉 VLR#1_TIMER를 시동하고 관리한다.
단말(210)이 REG_ZONE#2(222)에 속한 BS#2(232)로 진입하는 경우(B) 단말은 BS#2(232)를 통해 VLR#2(252)에 자신의 위치정보를 등록한다. 이때 단말(210)은 REG_ZONE#1(220)에 대한 위치정보에 대한 타이머, 즉 ZONE#1_TIMER를 시동한다.
단말(210)이 REG_ZONE#1(220)로 다시 돌아오게 되면(C) 단말(210)은 REG_ZONE#1(220)에 대한 위치정보를 아직 가지고 있으므로 BS#1(230)로 위치등록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때 단말(210)에서 REG_ZONE#1의 ZONE#1_TIMER는 계속 동작하게 되며, 상기 ZONE#1_TIMER가 만기되면 단말(210)은 REG_ZONE#1의 위치정보를 자신의 위치정보 리스트에서 제거한다. 이때 만일 단말(210)이 BS#1(230)에게 다시 위치등록을 수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VLR#1(250)에서 VLR#1_TIMER가 만기됨에 따라 단말(210)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거하게 되면, 단말(210)은 REG_ZONE#1(22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되므로, 실제로는 REG_ZONE#1(220)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BS#1(230)을 통해 착신 호를 요청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다.
즉 도 2와 같은 상황에서는 A 지역이나 B 지역에서는 착신에 성공하나, BS#1(230)에 속한 C 지역에서는 착신에 실패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도 3은 단말이 등록영역의 경계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의 위치등록에 관련된 시그널링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02단계에서 단말(MS)은 REG_ZONE#1에 속하는 BS#1에게 위치등록 메시지를 전송하며, 304단계에서 상기 위치등록 메시지는 BS#1로부터 VLR#1로 전달된다. 306단계에서 VLR#1은 상기 위치등록 메시지에 응답하여 단말의 위치정보를 저장한 후 HLR로 상기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요청한다. 상기 단말의 인증이 완료되어 308단계에서 HLR로부터 상기 단말의 가입자 정보가 수신되면, 단말은 정상적으로 착신 호를 수신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VLR#1에서 상기 단말에 대한 VLR#1_TIMER가 시동된다.
310단계에서 단말은 REG_ZONE#2에 속하는 BS#2의 셀로 이동하게 되어 VLR#2에 접속하고 BS#2로 위치등록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단말은 REG_ZONE#1의 위치정보를 자신의 위치정보 리스트에 추가한 후 REG_ZONE#1에 대한 타이머, 즉 ZONE#1_TIMER를 시동한다. 312단계에서 상기 위치등록 메시지는 BS#2로부터 VLR#2로 전달되고, 314단계와 316단계에서 VLR#2는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저장한 후 HLR로 상기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요청한 후 전달받아 저장함으로써 단말의 위치등록을 완료한다.
단말이 시스템으로의 액세스(발신 호 혹은 위치등록 등)를 시도하지 않는 경우 상기 ZONE#1_TIMER는 업데이트되지 않은 채 지속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단말이 BS#1의 셀로 다시 돌아오면, 318 단계에서 단말은 BS#1이 속한 REG_ZONE#1이 자신의 위치등록 리스트에 이미 존재하므로 BS#1로의 위치등록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때에는 단말이 ZONE#2_TIMER를 개시하지 않는다. 한편 320단계에서 VLR#1에서 관리하고 있는 VLR#1_TIMER가 만기됨에 따라 VLR#1은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제거한다. 따라서 단말은 위치등록이 이루어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후 322단계에서 단말의 REG_ZONE#1에 대한 ZONE#1_TIMER가 만기되면, 단말은 자신의 위치등록 리스트에서 REG_ZONE#1의 위치정보를 삭제하지만, 324단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전히 BS#1로의 위치등록을 수행하지는 않는다. 이는 REG_ZONE#1의 위치정보가 삭제된 이후, 등록영역간의 이동이나 시스템 액세스와 같은 위치등록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경우 326단계에서 BS#1에게 상기 단말로의 착신 호 요청이 수신된다 하더라도, BS#1이 속한 VLR#1은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328단계에서와 같이 BS#1은 상기 단말에게 페이징을 전송하지 않으며, 따라서 330 단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신 호 연결이 실패하게 된다.
이후 332단계에서 단말이 발신 호 혹은 위치등록을 비롯한 시스템 액세스를 시도하게 되면, 334단계에서 단말은 BS#1로 위치등록을 수행하게 되고, 336단계에서 상기 위치등록에 따른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는 BS#1로부터 VLR#1로 전달된다. 이때 단말은 REG_ZONE#1을 자신의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고 ZONE#2에 대한 ZONE#2_TIMER를 재시작한다. 338단계와 340단계에서 VLR#1은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저장한 후 HLR에게 상기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요청하여 전달받아 저장한다. 이로써 342단계에서 단말은 정상적으로 착신 호의 수신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ZONE_TIMER가 만기되기 전에 단말이 해당 REG_ZONE로 돌아오게 되면 단말이 시스템 액세스를 시도하기 이전까지 위치등록되지 않은 상태가 되어 착신 호를 위한 페이징을 수신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자신의 위치정보 리스트에 이전 위치정보 뿐만 아니라 현재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관리한다. 한편 다른 예로서 상기 현재 위치정보는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된 형태가 아니라 별도의 형태, 예를 들어 현재위치 리스트로서 관리될 수 있다. 이 경우 현재위치 리스트는 현재 위치의 SID, NID, REG_ZONE ID를 포함하며, 단말은 ZONE_TIMER가 만기될 시 현재 위치를 상기 현재위치 리스트와 비교하게 된다.
단말이 REG_ZONE들 사이의 경계에서 이동하는 경우, REG_ZONE의 관리를 위한 ZONE_TIMER가 만기되면 항상 자신의 위치정보 리스트와 현재 접속한 REG_ZONE을 비교함으로써, 만일 현재 접속한 REG_ZONE이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에는 현재 위치에서 위치등록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로써 VLR에서 단말의 실제 위치정보가 제거되는 문제를 방지하여, 단말이 이후에 발생되는 페이징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등록 절차의 일 예를 설명하는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2단계에서 단말(MS)은 새로운 등록영역인 REG_ZONE#1에 속하는 BS#1에게 위치등록 메시지를 전송하며, 404단계에서 상기 위치등록 메시지는 BS#1로부터 VLR#1로 전달된다. 이때 단말은 자신의 위치정보 리스트에 REG_ZONE#1의 BS#1에 대한 현재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406단계에서 VLR#1은 상기 위치등록 메시지에 응답하여 단말의 위치정보를 저장한 후 HLR로 상기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요청한다. 상기 단말의 인증이 완료되어 408단계에서 HLR로부터 상기 단말의 가입자 정보가 수신되면, 단말은 정상적으로 착신 호를 수신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VLR#1에서 상기 단말에 대한 VLR#1_TIMER가 시동된다.
410단계에서 단말은 REG_ZONE#1로부터 이탈하여 새로운 등록영역인 REG_ZONE#2에 속하는 BS#2의 셀로 이동하게 되어 VLR#2에 접속하고 BS#2로 위치등록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단말은 REG_ZONE#2의 BS#2에 대한 현재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리스트에 추가하여 저장하고, 자신의 위치정보 리스트에 저장된 REG_ZONE#1의 위치정보에 대한 타이머, 즉 ZONE#1_TIMER를 시동한다. 이때 REG_ZONE#2에 대한 타이머는 시동되지 않는다. 412단계에서 상기 위치등록 메시지는 BS#2로부터 VLR#2로 전달되고, 414단계와 416단계에서 VLR#2는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저장한 후 HLR로 상기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요청한 후 전달받아 저장함으로써 단말의 위치등록을 완료한다.
단말이 시스템으로의 액세스(발신 호 혹은 위치등록 등)를 시도하지 않는 경우 상기 ZONE#1_TIMER는 업데이트되지 않은 채 지속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단말이 BS#1의 셀로 다시 돌아오면, 418 단계에서 단말은 BS#1이 속한 REG_ZONE#1이 자신의 위치등록 리스트에 이미 존재하므로 BS#1로의 위치등록을 수행하지 않으며 ZONE#1_TIMER는 여전히 동작을 계속한다. 한편 420단계에서 VLR#1에서 관리하고 있는 VLR#1_TIMER가 만기됨에 따라 VLR#1은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제거한다. 따라서 단말은 위치등록이 이루어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후 422단계에서 단말의 REG_ZONE#1에 대한 ZONE#1_TIMER가 만기되면, 단말은 자신의 위치등록 리스트에서 REG_ZONE#1의 위치정보를 삭제하고, 424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접속하고 있는 기지국(BS#1)에 관련된 위치정보가 상기 위치등록 리스트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즉 현재 위치에서의 시스템 식별자(SID)와 네트워크 식별자(NID) 및 등록영역 식별자(REG_ZONE ID)가, 상기 위치등록 리스트에 모두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위치등록 리스트에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정보가 존재한다면, 현재 위치에서 위치등록을 수행하지 않고 436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위치등록 리스트에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426단계로 진행하여 단말은 현재 접속하고 있는 BS#1로 위치등록 메시지를 전송한다. 428단계에서 상기 위치등록 메시지는 BS#1로부터 VLR#1로 전달된다. 그러면 430단계와 432단계에서 VLR#1은 상기 위치등록 메시지에 응답하여 단말의 위치정보를 저장한 후 HLR로 상기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요청하여 전달받아 저장한다. 이로써 단말은 정상적으로 착신 호를 수신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후 434단계에서 BS#1에게 상기 단말로의 착신 호 요청이 수신되면, 436단계에서 BS#1은 상기 단말에게 정상적으로 상기 착신 호를 요청하기 위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며, 438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한 후 착신 호 연결에 성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등록 상태가 정확히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착신 호의 수신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등록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제1 등록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제1 등록영역의 제1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리스트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등록영역으로부터 이탈하여 제2 등록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제2 등록영역의 제2 위치정보를 상기 위치등록 리스트에 포함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1 위치정보에 대한 제1 타이머를 시동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타이머가 만기되면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서 상기 제1 위치정보를 제거하고,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정보가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위치정보가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현재 위치정보에 따라 시스템으로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등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위치정보들 각각은,
    시스템 식별자(SID)와 네트워크 식별자(NID) 및 등록영역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등록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이 현재 위치하는 시스템 식별자와 네트워크 식별자 및 등록영역의 식별자가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등록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머의 타이머 값은 기지국으로부터 시그널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등록 방법.
  5.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셀들로 각각 이루어진 등록영역들 간을 이동하는 단말과,
    상기 단말의 위치등록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미리 정해지는 시간이 지나면 상기 위치정보를 제거하는 방문자 위치등록기(VLR)와,
    상기 단말과 상기 VLR 사이를 연결하는 기지국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말은,
    상기 등록영역들 중 하나인 상기 제1 등록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제1 등록영역의 제1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리스트에 저장하고, 상기 제1 등록영역으로부터 이탈하여 제2 등록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제2 등록영역의 제2 위치정보를 상기 위치등 록 리스트에 포함하여 저장한 후 상기 제1 위치정보에 대한 제1 타이머를 시동하며, 상기 제1 타이머가 만기되면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서 상기 제1 위치정보를 제거하고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정보가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현재 위치정보가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현재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VLR로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위치정보들 각각은,
    시스템 식별자(SID)와 네트워크 식별자(NID) 및 등록영역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이 현재 위치하는 시스템 식별자와 네트워크 식별자 및 등록영역의 식별자가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되면, 상기 현재 위치정보가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머의 타이머 값은 기지국으로부터 시그널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KR1020060069751A 2006-07-25 2006-07-25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등록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101251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751A KR101251182B1 (ko) 2006-07-25 2006-07-25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등록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751A KR101251182B1 (ko) 2006-07-25 2006-07-25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등록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934A true KR20080009934A (ko) 2008-01-30
KR101251182B1 KR101251182B1 (ko) 2013-04-08

Family

ID=39222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751A KR101251182B1 (ko) 2006-07-25 2006-07-25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등록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1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313B1 (ko) * 2008-11-28 2011-02-09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 등록 장치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446B1 (ko) * 2001-06-25 2004-03-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홈위치 등록기를 이용한 멀티 페이징 방법
KR100561676B1 (ko) * 2003-07-15 2006-03-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시간 기준 위치 등록 방법 및 이를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JP3911495B2 (ja) 2003-08-28 2007-05-0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端末、位置管理装置、位置登録システム、及び、位置登録方法
KR100629146B1 (ko) * 2004-03-18 2006-09-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위치등록 불일치 갱신처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313B1 (ko) * 2008-11-28 2011-02-09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 등록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1182B1 (ko) 2013-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15291A1 (zh) 一种多卡用户设备及其通讯方法、网络设备
US201403028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ging off-line state terminals
US20190208497A1 (en) Paging Method and Paging Device
US6968196B1 (en) Location area update 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230098825A1 (en) Short message service ability updating method, device and apparatus
US6850760B2 (en) Method and devices for improved location updat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826823B1 (en) Tracing of signalling messages
EP2663102A2 (en) Method, system and short message services center for sending short messages
CN103379450A (zh) 漏话通知方法、装置及系统
US9930719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signaling connection between network and terminal
KR10125118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등록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10100218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 번호 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EP2382825B1 (en) An accidental roaming prevention and correction system
KR20070072991A (ko) 이동통신망에서 단말기의 위치 정보 등록 시스템 및 방법
CA2390637C (en) Method for monitoring authentication performa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KR100369793B1 (ko) 공중 및 사설 무선망 공유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방법
KR20120028705A (ko) 해외로밍 가입자의 위치등록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466834B1 (ko) Cdma 통신 시스템에서 2.5g 시스템에 가입된이동통신 단말기의 2g 시스템으로의 위치 등록의 순차적허용 방법
JP2000224641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CN101472227B (zh) 一种控制用户终端进行集群呼叫的方法和装置
KR10032618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호 방향 전환 방법
KR100491873B1 (ko) 이동 교환시스템에서 홈위치등록기와 방문자위치등록기간의 데이터 불일치 개선방법
CN101577885A (zh) 基于移动交换中心容灾的呼叫处理方法及位置寄存器
KR20000013073A (ko) 셀룰러 시스템에서 기지국 제어기와 이동 교환국 간의 호 처리방법
KR100248088B1 (ko) 보행자용 무선전화 시스템에서의 암시적 위치 등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