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3183B1 - 달관측판 - Google Patents

달관측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3183B1
KR101013183B1 KR1020060033928A KR20060033928A KR101013183B1 KR 101013183 B1 KR101013183 B1 KR 101013183B1 KR 1020060033928 A KR1020060033928 A KR 1020060033928A KR 20060033928 A KR20060033928 A KR 20060033928A KR 101013183 B1 KR101013183 B1 KR 101013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n
time
plate
display panel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2151A (ko
Inventor
남명숙
Original Assignee
남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명숙 filed Critical 남명숙
Priority to KR1020060033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3183B1/ko
Publication of KR20070102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2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7/00Planetaria; Globes
    • G09B27/06Celestial glo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달관찰판에 관한 것으로 그 주요 구성은 시간표시판; 상기 시간표시판의 상면에 표시되어 있는 시간 중에서 해뜨는 시간을 선택하기 위한 해뜨는 시간선택부재; 상기 시간표시판의 상면에 표시되어 있는 시간 중에서 해지는 시간을 선택하기 위한 해지는 시간선택부재; 상기 시간표시판의 중심과 동축을 이루면서 상기 시간표시판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적층되고, 그 상부 표면에는 달이 지구를 공전하는 동안 변하는 달의 모양이 그 둘레를 따라 순서대로 도시된 달모양판; 및 상기 달모양판의 중심과 동축을 이루면서 상기 달모양판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적층되고, 그 상부 표면에는 상기 달모양판에 도시된 달 모양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달 모양을 선택하기 위한 달 선택창이 구비된 달선택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달의 공전 운동에 따른 달의 위상 변화 및 출몰 등과 관련된 달의 천체 현상을 학습자가 쉽게 이해하도록 할 수가 있다.
시간표시판, 해모양, 달모양판, 달선택판, 해뜨는 시간,

Description

달관측판{Plate for observing moon}
도 1은 한 달 동안에 달의 모양이 변화해나가는 과정을 설명한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달관측판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달관측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달관측판에 의해서 하현달이 뜨고 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달관측판에 의해서 상현달이 뜨고 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시간표시판 113: 핀
120: 해뜨는 시간선택부재 130: 해지는 시간선택부재
140: 달모양판 141: 달 모양
142: 해 모양 143: 끼움돌기
144: 절개홈 150: 달선택판
151: 달 선택창
본 발명은 달관측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달의 공전 운동에 따른 달의 위상 변화 및 출몰 등과 관련된 달의 천체 현상을 학습자가 직접 관찰하는 것처럼 간단한 기자재를 통해 보여 줌으로써 달의 천체 현상에 대한 원리와 개념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학습자의 과학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달관측판에 관한 것이다.
과학을 처음 접하는 초등학교 학생들은 대부분 실험이나 관찰활동을 통해서 그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고학년으로 올라 갈수록 더욱 심화된 과학의 교육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과학 교육과정의 지구 영역 중 달의 천체 운동 부분은 실험이나 관찰을 하기에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많이 받게 된다. 따라서, 실험이나 관찰보다는 주로 설명 위주의 학습 즉, '달은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진다', '달은 매일 조금씩 서쪽에서 남쪽을 지나 동쪽으로 초승달-상현달-보름달 모양으로 변한다'와 같은 주입식 교육으로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므로 학생들은 그 원리와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고, 단순히 지식만을 암기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어 이러한 경우 학생들은 흥미를 잃어버리기가 쉬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등록실용신안 20-0186090에서는 양력날짜에 따른 달 모양의 변화와 함께 그 양력날짜에 대응되는 음력날짜를 간편한 기자재를 통해 알 수 있도록 하는 달나이표를 제안함으로써 학생들의 과학학습에 도움을 주도록 하고는 있으나, 위의 달나이표는 양력날짜에 따른 달 모양의 변화를 단순히 제시하는 정도에 지나지 않는 것이어서 지구에서 보는 달 모양이 왜 변화하는지 전혀 알 수가 없고, 또 하루중에 달이 어느 때, 어느 쪽에서 뜨고 얼마 동안 하늘에서 볼 수 있는지와 같은 사항들에 대해서는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등록실용신안 20-0402704호에서는 달의 움직임에 따른 달의 모양 변화과정을 카메라를 이용하여 지구에서 달을 관찰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관찰하도록 하여 달의 모양 변화의 원인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실제로 관찰하지 못한 학생들도 모니터를 통해 실제로 밤에 달의 모양 변화를 관찰하는 것과 같은 대체관찰효과를 얻을 수 있는 시뮬레이션 달관측기를 제공하고는 있으나, 위의 관측기는 모형달과, 지구의와, 기어장치 및 회전판과, 조명등과, 카메라와, 모니터와 같은 복잡한 장비가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어서 학생들이 간편한 방법으로 달의 모양이 변화되는 과정을 한눈에 쉽게 알 수는 없는 것이어서, 학생들이 교육 기자재로서 기대하는 효과를 얻을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적으로 달의 여러 가지 모양의 변화와 그 원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태양, 지구, 달의 위치변화에 따라 우리가 보는 달의 모양이 변한다. 달은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기 때문에 우리는 실제로 달이 반사한 태양의 빛을 보는 것이다. 지구에서 보았을 때, 밝은 부분은 달이 태양의 빛을 받아 반사하고 있는 부분, 즉, 달의 낮에 해당하는 부분이고 어두운 부분은 달의 태양 빛을 받지 못하고 있는 부분, 즉, 달의 밤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위와 같은 내용을 한 달의 날자와 더불어 달의 모양이 변화해나가는 과정을 도면으로 도시한 것이 도 1이다.
도 1에서 3일(초승달)과 9일(상현달)을 예로 들어 보면, A로 표시된 부분은 햇빛을 받아 밝은 부분이고, B로 표시된 부분은 햇빛을 받지 못해 어두운 부분이며, C로 표시된 부분은 지구에서 볼 수 있는 달의 면을 나타낸 모양이며, D로 표시된 부분은 지구에서 볼 수 있는 달의 면 중에서 햇빛을 받아 실제로 볼 수 있는 달의 면을 나타낸 모양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구에서 볼 수 있는 달의 모양은 1일에서 30일까지 날자가 지나감에 따라 위의 D로 표시된 부분만을 볼 수가 있고, 위의 D로 표시된 부분들은 원의 안쪽에 위치하는 달의 모양들과 같이 초승달-상현달- 보름달-하현달- 그믐달- 삭의 형태로 변화해나가게 되고, 이러한 현상들은 학생들이 그 개념을 쉽게 파악하기에는 쉽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위의 현상들을 알기 쉽게 설명할 수 있는 교육기자재는 전혀 제안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달의 공전 운동에 따른 달의 위상 변화 및 출몰 등과 관련된 달의 천체 현상을 학습자가 직접 관찰하는 것처럼 간단한 기자재를 통해 보여 줌으로써 달의 천체 현상에 대한 원리와 개념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학습자의 과학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달관측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달관측판은 상면에 시간이 표시되어 있는 시간표시판; 상기 시간표시판의 중심과 동축을 이루면서 상기 시간표시판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적층되고, 상기 시간표시판의 상면에 표시되어 있는 시간 중에서 해뜨는 시간을 선택하기 위한 해뜨는 시간선택부재; 상기 시간표 시판의 중심과 동축을 이루면서 상기 시간표시판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적층되고, 상기 시간표시판의 상면에 표시되어 있는 시간 중에서 해지는 시간을 선택하기 위한 해지는 시간선택부재; 상기 시간표시판의 중심과 동축을 이루면서 상기 시간표시판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적층되고, 그 상부 표면에는 달이 지구를 공전하는 동안 변하는 달의 모양이 그 둘레를 따라 순서대로 도시된 달모양판; 및 상기 달모양판의 중심과 동축을 이루면서 상기 달모양판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적층되고, 그 상부 표면에는 상기 달모양판에 도시된 달 모양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달 모양을 선택하기 위한 달 선택창이 구비된 달선택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달모양판은, 그 표면에 그려진 달의 모양 중에서 삭에 해당되는 달 모양이 그려지는 위치에 현재시각을 나타내는 표시가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달모양판은, 그 상부 표면에 도시된 달의 모양들 내측에 달이 지구의 둘레를 따라 공전하는 동안 지구에서 볼 수 있는 달의 면 중에서 태양빛을 받아 실제로 볼 수 있는 달의 면이 표시된 달의 햇빛받는 모양들이 도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달선택판은 상기 달선택창 이외의 부분은 반투명으로 형성되고,
상기 달선택창은 상기 달모양판의 표면에 도시된 달의 모양과 대응되는 달의 햇빛받는 모양을 선택하기 위한 부분이 포함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뜨는 시간선택부재와 해지는 시간선택부재는 각각 1/4원의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달관측판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달관측판은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간표시판(110)과, 해뜨는 시간선택부재(120)와, 해지는 시간선택부재(130)와, 달모양판(140)과, 달선택판(1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시간표시판(110)은 상면의 외측 둘레에 하루를 나타내는 1에서 24까지의 시간 눈금(111)이 표시되어 있다.
상기 해뜨는 시간선택부재(120)는 상기 시간표시판(110)의 상면에 표시되어 있는 시간 중에서 해뜨는 시간을 선택하기 위한 부재로서, 상기 시간표시판(110)의 상면에 이동 가능하도록 적층되어 있고, 그 구체적인 일예로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시간표시판(110)의 중심(112)과 동축을 이루면서 상기 시간표시판(110)의 상부면에서 핀(113)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시간표시판(110)의 상부면 중에서 음영으로 표시된 부분은 후술하는 해지는 시간선택부재(130)의 음영부분과 함께 하루의 낮과 밤 중에서 밤을 나타내는 부분이다.
상기 해지는 시간선택부재(130)는 상기 시간표시판(110)의 상면에 표시되어 있는 시간 중에서 해지는 시간을 선택하기 위한 부재로서, 상기 시간표시판(110)의 상면에 이동 가능하도록 적층되어 있고, 그 구체적인 일예로서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시간표시판(110)의 중심(112)과 동축을 이루면서 상기 시간표시 판(110)의 상부면에서 핀(113)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해뜨는 시간선택부재(120)와 해지는 시간선택부재(130)가 모두 1/4원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하루의 낮과 밤의 길이가 동일하다는 것을 나타내게 되고, 일년 중에 춘분과 추분이 해당되며, 위의 해뜨는 시간선택부재(120)와 해지는 시간선택부재(130)를 일체로 형성하게 되면, 해뜨는 시간선택부재와 해지는 시간선택부재를 각각 별도로 맞추게 될 필요가 없게 되므로 달의 모양과 움직임이 변화하는 과정을 개략적이나마 더 용이하게 신속하게 관찰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달모양판(14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시간표시판(110)의 중심(112)과 동축을 이루면서 상기 시간표시판(110)의 상부에서 핀(113)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적층되고, 그 상부 표면에는 달이 지구를 공전하는 동안 변하는 달의 모양(141)들(예를 들면, 대표적인 것들로서 초승달, 상현달, 차는달, 보름달, 기우는달, 하현달, 그믐달, 삭)이 그 둘레를 따라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달모양판(140)의 상부 표면에 도시된 달의 모양(141)들은 각각 그 내측의 소정 위치에 달 모양의 상태 변화에 대응되는 음력날짜(145)와 달의 명칭(146)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삭(지구에서 바라 보았을 때, 태양과 같은 위치에 있는 달의 명칭)에 해당되는 달 모양이 그려지는 위치에 해 모양(142)이 도시되도록 하면, 달이 뜨고 지는 것이 해와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보다 더 쉽게 이해하도록 할 수가 있고, 위와 같은 삭의 위치는 현재시각을 표시하는 부분이 기도 하다.
또한, 상기 달모양판(140)은, 그 상부 표면에 도시된 달의 모양(141)들 내측에 달이 지구의 둘레를 따라 공전하는 동안 달이 햇빛을 받는 부분과 실제로 지구에서 볼 수 있는 달의 면 중에서 태양빛을 받아 실제로 볼 수 있는 달의 면이 표시된 달의 햇빛받는 모양(147)들이 순서대로 도시된다.
상기 달의 햇빛받는 모양(147)들은 도 3의 부분확대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7일(상현달)과 19일(기우는달)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147a로 표시된 부분은 태양쪽에 위치하게 되어 햇빛이 비추어져 밝은 부분이고, 위의 147a로 표시된 부분 중에서 달의 중심을 따라서 이어지는 원(c)의 내측에 위치하여 지구쪽에서 실제로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면은 음영진 부분이 되며, 위와 같이 음영으로 표시된 부분이 도 1의 D로 표시된 부분과 같은 부분으로서 지구에서 실제로 보여지는 달의 면을 나타낸 모양이 되며, 한 달의 기간 동안 달이 초승달, 상현달, 차는달, 보름달, 기우는달, 하현달, 그믐달, 삭과 변화한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상기 달선택판(150)은 상기 달모양판(140)의 중심과 동축을 이루면서 상기 달모양판(140)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적층되고, 그 상부 표면에는 상기 달모양판(140)에 도시된 달 모양(141)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달 모양을 선택하기 위한 달 선택창(151)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달선택창(151)은 상기 달모양판(150)의 표면에 도시된 달의 모양(141)과 대응되는 달의 햇빛받는 모양(147)을 선택하기 위한 부분(152)이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달선택판(150)은 상기 달선택창(151) 이외의 부분(153)은 반투명으로 형성하게 되면, 선택된 달의 변화하는 모양을 관찰할 수 있으면서도 그 나머지 선택되지 않은 달이 회전하는 모양을 희미하게 볼 수 있으므로 선택된 달과 선택되지 않은 달의 상태를 동시에 관찰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달모양판(140)의 일측 소정위치에는 상기 달선택판(150)을 고정하기 위한 끼움돌기(143)와 절개홈(144)을 형성하게 되면, 상기 끼움돌기(143)와 절개홈(144) 사이에 달선택판(150)을 끼우도록 함으로써 상기 달모양판(140)과 달선택판(150)이 동시에 회전되도록 할 수가 있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달관찰판에 의해서 달의 모양이 변화하는 상태를 관찰하기 위하여 그 일예로서 하현달의 경우를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달선택판(150)을 회전시켜서 달모양판(140)에서 하현달(141)을 선택한다. 이때, 달 모양이 하현달(141)과 같은 모양이 되는 현상은 그 대응되는 달의 모양(14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구에서 바라 보이는 부분은 원(c)의 안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되고, 이러한 원(c)의 안쪽 부분은 태양빛을 받아 밝은 부분과 태양빛을 받지 못해 어두운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지구에서는 태양빛을 받아 밝은 부분(147a)만 실제로 육안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하현달과 같은 모양으로 보이게 된다.
다음에, 해뜨는 시간선택부재(120)와 해지는 시간선택부재(130)를 각각 이용하여 해뜨는 시각과 해지는 시각을 각각 선택한 다음에 달모양판(140)을 회전시켜 달모양판(140)의 달모양들 중에서 삭(142, 해모양이 도시된 것)을 나타내는 달을 해뜨는 시간에 맞춘다(이때, 달모양판(140)의 끼움돌기(143)와 절개홈(144) 사이에 달선택판(150)의 대응되는 위치를 끼우게 되면, 달선택판(150)과 달모양판(140)이 일체로 동시에 회전되도록 할 수가 있다).
위와 같이 조정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해뜨는 시간선택부재(120)와 해지는 시간선택부재(130)의 하부쪽에 음영으로 표시된 부분이 그 날의 밤의 길이를 나타내는 부분이 되고, 이때에 달은 하늘에 떠 있는 상태이기는 하나, 그때의 시각은 해가 뜨는 상태이기 때문에 태양 빛 때문에 하현달(141)을 하늘에서 실제로는 볼 수가 없는 상태이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즉, 달모양판(140)이 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되는 상태임), 현재시각을 표시하는 해 모양(142)이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은 해지는 시간(예, 20시)을 통과하게 되고, 계속하여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즉, 해모양(142)이 계속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다가 하현달(141)이 도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뜨는 시간과 일치되는 지점에 이르게 되면, 이러한 상태에서 비로서 하현달(141)이 동쪽하늘에서 처음으로 떠오르게 되며(이때에는 해모양이 도 4c에서는 23시 30분을 가르킴), 계속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하현달(141)이 동쪽하늘에서 점차로 남쪽하늘 쪽으로 이동하게 되다가 해모양(142)이 다시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뜨는 시간과 일치하게 되면, 태양 빛 때문에 더 이상 하현달(141)을 남쪽 하늘에서 볼 수가 없게 되어 시야에서 사라지게 되므로 하현달(141)은 하늘에 도 4c의 T1시간 정도(즉, 24시에서 오전 6시까지의 T1시간 동안) 하늘에 떠 있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가 있게 되고, 또 달은 동쪽에서 떠올라서 해의 위치가 해뜨는 시각에 위치할 때까지 남쪽으로 서서히 움직인다는 것을 또한 쉽게 이해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현달의 경우를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달선택판(150)을 회전시켜서 달모양판(140)에서 상현달(141)을 선택하고, 다음에 해뜨는 시간선택부재(120)와 해지는 시간선택부재(130)를 각각 이용하여 해뜨는 시각과 해지는 시각을 각각 선택한 다음에 달모양판(140)을 회전시켜 달모양판(140)의 달모양 중에서 삭(142, 해모양이 도시된 것)을 나타내는 달을 해뜨는 시각에 맞춘다(이때, 달모양판(140)의 끼움돌기(143)와 절개홈(144) 사이에 달선택판(150)의 대응되는 위치를 끼우게 되면, 달선택판(150)과 달모양판(140)이 일체로 동시에 회전되도록 할 수가 있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는 해가 뜨는 상태이기 때문에 태양 빛 때문에 상현달(141)을 하늘에서 볼 수가 없는 상태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달모양판(140)을 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시켜서 해 모양(142)이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은 해지는 시간의 지점(도 5b에서는 오후 8시)에 오게 되면 비로소 하늘에서 상현달(141)을 볼 수가 있게 되며, 이때, 상현달(141)을 볼 수 있는 시간은 도 5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현달(141)이 해지는 시간의 지점까지 올 동안(도 5c의 T2 시간 동안)까지이며, 그 후에는 다시 하늘에서 상현달(141)을 볼 수가 없게 되고, 이 때에도 달이 동쪽에서부터 남쪽하늘을 지나 서쪽으로 서서히 움직인다는 것을 쉽게 알 수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달관찰판은 지구에서 바라보는 달의 모양이 어떻게 바뀌는지에 대하여 보다 쉽게 알 수 있고, 또 하루중 어느 때, 어느 쪽에서 얼마 동안 달이 뜨고 지는지와 달이 뜨고 지는 것이 해와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함께 보여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자의 과학 학습에 도움을 줄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 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예 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5)

  1. 상면에 시간이 표시되어 있는 시간표시판;
    상기 시간표시판의 중심과 동축을 이루면서 상기 시간표시판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적층되고, 상기 시간표시판의 상면에 표시되어 있는 시간 중에서 해뜨는 시간을 선택하기 위한 해뜨는 시간선택부재;
    상기 시간표시판의 중심과 동축을 이루면서 상기 시간표시판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적층되고, 상기 시간표시판의 상면에 표시되어 있는 시간 중에서 해지는 시간을 선택하기 위한 해지는 시간선택부재;
    상기 시간표시판의 중심과 동축을 이루면서 상기 시간표시판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적층되고, 그 상부 표면에는 달이 지구를 공전하는 동안 변하는 달의 모양이 그 둘레를 따라 순서대로 도시된 달모양판; 및
    상기 달모양판의 중심과 동축을 이루면서 상기 달모양판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적층되고, 그 상부 표면에는 상기 달모양판에 도시된 달 모양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달 모양을 선택하기 위한 달 선택창이 구비된 달선택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관측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달모양판은,
    그 표면에 그려진 달의 모양 중에서 삭에 해당되는 달 모양이 그려지는 위치 에 현재시각을 나타내는 표시가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관측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달모양판은, 그 상부 표면에 도시된 달의 모양들 내측에 달이 지구의 둘레를 따라 공전하는 동안 지구에서 볼 수 있는 달의 면 중에서 태양빛을 받아 실제로 볼 수 있는 달의 면이 표시된 달의 햇빛받는 모양들이 도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관측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달선택판은 상기 달선택창 이외의 부분은 반투명으로 형성되고,
    상기 달선택창은 상기 달모양판의 표면에 도시된 달의 모양과 대응되는 달의 햇빛받는 모양을 선택하기 위한 부분이 포함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관측판.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뜨는 시간선택부재와 해지는 시간선택부재는 각각 1/4원의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관측판.
KR1020060033928A 2006-04-14 2006-04-14 달관측판 KR101013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928A KR101013183B1 (ko) 2006-04-14 2006-04-14 달관측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928A KR101013183B1 (ko) 2006-04-14 2006-04-14 달관측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2151A KR20070102151A (ko) 2007-10-18
KR101013183B1 true KR101013183B1 (ko) 2011-02-10

Family

ID=38817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928A KR101013183B1 (ko) 2006-04-14 2006-04-14 달관측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318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1276U (ko) * 1989-09-26 1991-05-17
JPH0379447U (ko) * 1989-12-05 1991-08-13
KR200186090Y1 (ko) 2000-01-08 2000-06-15 신희택 달나이표
KR20010086090A (ko) * 1998-12-09 2001-09-07 이곤 이 버그 헤르페스 바이러스의 티오우레아 억제제
KR100681277B1 (ko) * 2006-04-14 2007-02-09 남명숙 달관측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1276U (ko) * 1989-09-26 1991-05-17
JPH0379447U (ko) * 1989-12-05 1991-08-13
KR20010086090A (ko) * 1998-12-09 2001-09-07 이곤 이 버그 헤르페스 바이러스의 티오우레아 억제제
KR200186090Y1 (ko) 2000-01-08 2000-06-15 신희택 달나이표
KR100681277B1 (ko) * 2006-04-14 2007-02-09 남명숙 달관측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2151A (ko) 200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1277B1 (ko) 달관측판
US20080227061A1 (en) Automatic Revolution Apparatus of a Globe and Lelestial Globe
RU2600090C2 (ru) Часы с функцией отображения восхода или заката в любом месте мира
US5132943A (en) World globe and drive arrangement
US6507536B1 (en) Moon-phase dial mechanism
KR101450473B1 (ko) 달 운동 관측용 학습도구
KR100950839B1 (ko) 천체 모형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013183B1 (ko) 달관측판
RU146127U1 (ru) Часы с механическим устройством отображения движения луны вокруг земли относительно солнца
KR20120006204U (ko) 달 위상 변화 관찰교구
JPS6296987A (ja) 地球儀地図及び派生製品における改良
US4142306A (en) Time-space clock
KR101482884B1 (ko) 달 일주 관측용 학습도구
KR101709912B1 (ko) 세차운동 확인이 가능한 삼구의조립체
KR100631334B1 (ko) 시뮬레이션 달 관측기
EP0869411A2 (en) Moon phase dial mechanism
KR20100034114A (ko) 달관측판
KR20160074102A (ko) 일식과 월식의 사실적인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삼구의조립체
KR200349984Y1 (ko) 관측 및 학습의 정확성을 부여한 사계절 별자리 학습기
US20060291333A1 (en) Real time earth clock
KR20100093649A (ko) 달관측판
KR101150998B1 (ko) 달 일주운동판
KR200402704Y1 (ko) 시뮬레이션 달 관측기
CN209199465U (zh) 一种壁挂式动态地图
KR100855454B1 (ko) 입체 월령 조견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