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3649A - 달관측판 - Google Patents

달관측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3649A
KR20100093649A KR1020090012693A KR20090012693A KR20100093649A KR 20100093649 A KR20100093649 A KR 20100093649A KR 1020090012693 A KR1020090012693 A KR 1020090012693A KR 20090012693 A KR20090012693 A KR 20090012693A KR 20100093649 A KR20100093649 A KR 20100093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n
plate
time display
shaped plate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명숙
Original Assignee
남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명숙 filed Critical 남명숙
Priority to KR1020090012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3649A/ko
Publication of KR20100093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6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7/00Planetaria; Glo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lgebra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달관찰판에 관한 것으로, 그 주요 구성은 상면의 둘레를 따라 시간표시가 되어 있는 시간표시판; 상기 시간표시판의 중심과 동축을 이루면서 상기 시간표시판의 상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적층되고, 그 표면에는 달이 지구를 공전하는 동안 변하는 달의 모양이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고, 상기 달의 모양 중에서 삭에 해당되는 달모양이 그려지는 위치의 대응되는 지점에 시각지시부가 도시되어 있는 달모양판; 상기 달모양판의 중심과 동축을 이루면서 상기 달모양판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적층되고, 그 표면에는 상기 달모양판에 도시된 달 모양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달 모양을 선택하기 위한 달 선택창이 구비된 달선택판; 및 상기 달선택판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시간표시판에 고정되는 반원형상의 부재로서, 그 표면에는 동쪽지평선 표시부와 서쪽지평선 표시부가 표시되어 있는 지표면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달이 하늘에 뜨고 지는 것과 같은 달의 천체 현상을 학습자가 쉽게 이해하도록 할 수가 있다.
달관측판, 달모양판, 달선택판, 지표면판, 해뜨는 시간, 지평선

Description

달관측판{Plate for observing moon}
본 발명은 달관측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달이 하늘에 뜨고 지는 것과 같은 달의 천체 현상을 학습자가 직접 관찰하는 것처럼 간단한 기자재를 통해 보여 줌으로써 달의 천체 현상에 대한 원리와 개념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학습자의 과학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달관측판에 관한 것이다.
과학을 처음 접하는 초등학교 학생들은 대부분 실험이나 관찰활동을 통해서 그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고학년으로 올라 갈수록 더욱 심화된 과학 교육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과학 교육과정의 지구 영역 중 달의 천체 운동 부분은 실험이나 관찰을 하기에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많이 받게 된다. 따라서, 실험이나 관찰보다는 주로 설명 위주의 학습 즉, '달은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진다', '달은 매일 조금씩 서쪽에서 남쪽을 지나 동쪽으로 초승달-상현달-보름달 모양으로 변한다'와 같은 주입식 교육으로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므로 학생들은 그 원리와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고, 단순히 지식만을 암기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어 이러 한 경우 학생들은 흥미를 잃어버리기가 쉬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는 공개출원 제10-2007-0102151호에서 달의 공전 운동에 따른 달의 위상 변화 및 출몰 등과 관련된 달의 천체 현상을 학습자가 직접 관찰하는 것처럼 간단한 기자재를 통해 보여 줌으로써 달의 천체 현상에 대한 원리와 개념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달관측판을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위의 달관측판은 시간표시판과, 달모양판과, 동쪽 지평선 표시판과, 서쪽 지평선 표시판과, 달선택판이 동축으로 회전되도록 하면서 달의 움직임을 관찰하도록 하는 구성이므로 달의 움직임을 나타내기 위한 주요 구성부재가 여러 개로 되어 있어 달의 움직임을 처음 접하는 초등학생들에게는 어려움이 있어 달이 하루 중에 어느 때에 뜨고 하늘에서 얼마 동안 볼 수 있는지에 대하여 다소 어려운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달이 하늘에 뜨고 지는 것과 같은 달의 천체 현상을 학습자가 직접 관찰하는 것처럼 간단한 기자재를 통해 보여 줌으로써 달의 천체 현상에 대한 원리와 개념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학습자의 과학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달관측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달관측판은, 상면의 둘레를 따라 하루의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표시가 되어 있는 시간표시판; 상기 시간표시판의 중심과 동축을 이루면서 상기 시간표시판의 상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적층되고, 그 표면에는 달이 지구를 공전하는 동안 변하는 달의 모양이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고, 상기 달의 모양 중에서 삭에 해당되는 달모양이 그려지는 위치의 대응되는 지점에 시각지시부가 도시되어 있는 달모양판; 상기 달모양판의 중심과 동축을 이루면서 상기 달모양판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적층되고, 그 표면에는 상기 달모양판에 도시된 달 모양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달 모양을 선택하기 위한 달 선택창이 구비된 달선택판; 및 상기 달선택판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시간표시판에 고정되는 부재로서, 그 표면에는 동쪽지평선 표시부와 서쪽지평선 표시부가 표시되어 있는 지표면판;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달모양판은 그 상부 표면에 도시된 달의 모양들 내측에 달이 지구 둘레를 따라 공전하는 동안 지구에서 볼 수 있는 달의 면 중에서 실제로 볼 수 있는 달의 면이 표시된 달의 햇빛받는 모양들이 도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달관측판은, 상면의 둘레를 따라 하루의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표시와, 상기 시간표시 중에서 6시가 위치하는 부분에 표시된 해뜨는 동쪽지평선 표시와, 상기 시간표시 중에서 18시가 위치하는 부분에 표시된 해지는 서쪽지평선 표시가 되어 있는 시간표시판; 상기 시간표시판의 중심과 동축을 이루면서 상기 시간표시판의 상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적층되고, 그 표면에는 달이 지구를 공전하는 동안 변하는 달의 모양이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고, 상기 달의 모양 중 에서 삭에 해당되는 달모양이 그려지는 위치의 대응되는 지점에 시각지시부가 도시되어 있는 달모양판; 상기 달모양판의 중심과 동축을 이루면서 상기 달모양판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적층되고, 그 표면에는 상기 달모양판에 도시된 달 모양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달 모양을 선택하기 위한 달 선택창이 구비된 달선택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달관측판은, 상면의 둘레를 따라 하루의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표시가 되어 있는 시간표시판; 상기 시간표시판의 중심과 동축을 이루면서 상기 시간표시판의 상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적층되고, 그 표면에는 달이 지구를 공전하는 동안 변하는 달의 모양이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고, 상기 달의 모양 중에서 삭에 해당되는 달모양이 그려지는 위치의 대응되는 지점에 시각지시부가 도시되어 있는 달모양판; 상기 달모양판의 중심과 동축을 이루면서 상기 달모양판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적층되고, 그 표면에는 상기 달모양판에 도시된 달 모양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달 모양을 선택하기 위한 달 선택창이 구비된 달선택판; 상기 달선택판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시간표시판에 고정되어 있고, 그 표면에는 계절별 해뜨는 동쪽지평선 표시부와, 상기 계절별 해뜨는 동쪽지평선 표시부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계절별 해지는 서쪽지평선 표시부가 구비된 계절별 지표면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계절별 해뜨는 동쪽지평선 표시부는, 상기 시간표시판의 좌측으로 형성되는 봄과 가을의 해뜨는 표시; 상기 봄과 가을의 해뜨는 표시의 하측으로 이격져서 형성되는 여름의 해뜨는 표시; 및 상기 봄과 가을의 해뜨는 표시의 상 측으로 이격져서 형성되는 겨울의 해뜨는 표시;로 이루어지고, 상기 계절별 해지는 서쪽지평선 표시부는, 상기 시간표시판의 우측으로 형성되는 봄과 가을의 해지는 표시; 상기 봄과 가을의 해지는 표시의 하측으로 이격져서 형성되는 여름의 해지는 표시; 및 상기 봄과 가을의 해지는 표시의 상측으로 이격져서 형성되는 겨울의 해지는 표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달관측판은 지구에서 바라보는 달의 모양이 어떻게 바뀌는지에 대하여 보다 쉽게 알 수 있고, 또 하루중 어느 때 얼마 동안 달이 뜨고 지는지와 달이 뜨고 지는 것이 해와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함께 보여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자의 과학 학습에 도움을 줄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달관측판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달관측판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간표시판(110)과, 달모양판(120)과, 달선택판(130)과 지표면판(1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시간표시판(11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면의 둘레에 하루의 시간을 나타낼 수 있도록 1에서 24까지의 시간 눈금이 표시되어 있는 시간표시(111)와, 상기 시간표시(111)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방위(06시 표시의 내측 또는 외측은 동쪽, 12시 표시의 내측 또는 외측은 남쪽, 18시 표시의 내측 또는 외측은 서쪽)를 나타내는 방위 표시(112)가 되어 있다. 상기 시간표시(111) 중에서 06시에서 18시 까지는 하늘 내지 낮을, 18시에서 06시까지는 땅 내지 밤을 나타낼 수도 있고, 계절별 밤낮의 길이가 다르므로 계절에 따라 밤낮의 길이를 달리 표현한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시간표시판(110)에 도시된 06시는 해뜨는 시간과 해가 떠오르는 동쪽지평선을 동시에 수행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시간표시판(110)에 도시된 18시는 해지는 시간과 해가 지는 서쪽지평선을 동시에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달모양판(120)은 상기 시간표시판(110)의 중심(113)과 동축을 이루면서 상기 시간표시판(110)의 상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적층되고, 그 표면에는 달이 지구를 공전하는 동안 변하는 달의 모양들(예를 들면, 초승달, 상현달, 차는 달, 보름달, 기우는 달, 하현달, 그믐달, 삭)이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는 달모양 표시(121)와, 상기 달의 모양의 삭(지구에서 바라 보았을 때, 태양과 같은 위치에 있는 달의 명칭으로서, 지구에서는 태양의 반대편에 있는 달의 표면만을 보기 때문에 태양의 빛을 받지 못해서 달을 전혀 볼 수가 없는 상태의 달임)에 해당되는 달 모양이 그려지는 위치의 대응되는 지점에 현재시각을 알 수 있는 시각지시부(122)가 도시되도록 한다. 이때 시각지시부(122)를 태양표시가 함께 표시되도록 도시할 경우 시간의 흐름에 따른 태양의 운동을 동시에 확인할 수가 있다. 미설명부호 125는 달모양의 명칭이다.
한편, 상기 달의 모양(121)들의 내측에는 달이 지구의 둘레를 따라 공전하는 동안 달이 햇빛을 받는 부분과 실제로 지구에서 볼 수 있는 달의 면 중에서 태양빛을 받아 실제로 볼 수 있는 달의 면이 표시된 달의 햇빛받는 모양(123)들이 순서대 로 도시된다.
상기 달의 햇빛받는 모양(123)들은 도 2의 부분확대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27일(그믐달)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A로 표시된 부분은 태양쪽에 위치하게 되어 햇빛이 비추어져 밝은 부분이고, B로 표시된 부분(빗금친 부분)은 햇빛을 받지 못해 어두운 부분이며, C로 표시된 부분(굵은 선 안의 부분)은 지구에서 볼 수 있는 달의 면을 나타낸 모양이며, D로 표시된 부분(굵은 선 안의 부분 중에서 빗금치지 않은 부분)은 지구에서 볼 수 있는 달의 면 중에서 햇빛을 받아 실제로 볼 수 있는 달의 면을 나타낸 모양이다.
또한, 상기 달의 모양(121)들의 외측 또는 내측 소정 위치에는 달 모양의 상태 변화에 대응되는 음력날짜(124)가 표시되도록 할 수가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음력날짜(124)에 대응되는 달의 모양을 쉽게 확인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달선택판(130)은 상기 달모양판(120)의 중심(126)과 동축을 이루면서 상기 달모양판(120)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적층되고, 그 표면에는 상기 달모양의 날짜표시를 확인할 수 있는 날짜표시창(131)과, 상기 달모양판(120)에 도시된 달 모양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달 모양(121)을 선택하기 위한 달 선택창(132)이 구비된다.
상기 달선택창(132)은 상기 달의 모양(121)과 대응되는 달의 햇빛받는 모양(123)을 선택하기 위한 부분(133)이 포함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달이 지구의 둘레를 따라 공전하는 동안 지구에서 볼 수 있는 달의 면 중에서 태양빛을 받아 실제로 볼 수 있는 달의 면을 확인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달선택판(130)은 상기 날짜표시창(131)과 달선택창(131) 이외의 부분(134)은 불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형성할 수 있고 반투명으로 형성하게 되면, 상기 달선택창(131)에 의해서 선택된 달이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하늘에서 어떻게 보여지는지에 대하여 관찰할 수 있으면서도, 그 나머지 선택되지 않은 달이 회전하는 모양을 희미하게 볼 수 있으므로 선택된 달과 선택되지 않은 달의 상태를 동시에 관찰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달선택판(130) 또는 달모양판(120)의 일측 소정위치에는 상기 달모양판(120)과 달선택판(130)을 동시에 이동시키도록 하기 위한 한쌍의 끼움돌기(미도시)와 절개홈(미도시)을 형성하게 되면, 상기 끼움돌기()와 절개홈 사이에 달모양판(120) 또는 달선택판(130)을 끼우도록 함으로써 상기 달모양판(120)과 달선택판(130)이 동시에 회전되도록 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지표면판(140)은 상기 달선택판(130)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시간표시판(110)에 고정 부착되는 반원형이나 직사각형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시간표시판(110)의 상면에 표시된 시간표시(111)를 덮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불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달선택판(130) 상면의 절반을 덮음으로써 하늘과 땅이 확연하게 구별 될 수 있도록 해줌과 동시에, 상기 시간표시판(110)에 도시된 06시 상면의 지표면판(140) 상측을 해뜨는 동쪽지평선 표시부(141)로, 상기 시간표시판(110)에 도시된 18시 상면의 지표면판(140) 상측을 해지는 서쪽지평선 표시부(142)로 나타나게 된다(각 도시마다 태양이 남중하는 시각은 다를 수 있으며 남중시각을 남쪽으로 정한 바 밤낮의 길이를 같다고 할 때, 해뜨는 시각은 남중시 각에서 6시간 전을, 해지는 시각은 남중시각에서 6시간 후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서울의 남중시각은 약 12시 40분으로 12시 40분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남쪽을, 6시간 전인 약 06시 40분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동쪽을 도시하고 해뜨는 동쪽지평선을 나타내며, 6시간 후인 약 18시 40분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서쪽을 도시하고 해지는 서쪽지평선을 나타내며, 또한 계절별 밤낮의 길이가 다를 수 있으므로 계절별 해지는 시각과 해뜨는 시각을 도시할 경우 각 도시의 계절별 해뜨고 지는 시각에 맞추어 지평선표시부()를 달리 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달관찰판에 의해서 달의 모양이 변화하는 상태를 관찰하기 위하여 그 일예로서 하현달의 경우를 도 2a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달선택판(130)을 회전시켜서 달모양판(120)에서 하현달(121a)을 선택한다.(끼움돌기와 절개홈을 이용하여 끼우면 달모양판(120)과 달선택판(130)이 일체로 동시에 회전되도록 할 수가 있다). 이때, 달 모양이 하현달(121a)과 같은 모양이 되는 현상은 그 대응되는 달의 모양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구에서 바라 보이는 부분은 원의 안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되고, 이러한 원의 안쪽 부분은 태양빛을 받아 밝은 부분과 태양빛을 받지 못해 어두운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지구에서는 태양빛을 받아 밝은 부분만 실제로 육안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하현달(121a)과 같은 모양으로 보이게 된다.
다음에, 시간표시판(110)에 고정된 지표면판(140)의 동쪽지평선부(141)에 선택한 하현달(121a)을 놓으면 해모양(122)은 지표면판(140) 아래에 놓여 밤임을 알 수 있고 시각은 약 24시가 되며, 하늘의 동쪽지점에서 하현달(121a)을 관측할 수가 있게 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즉, 달모양판(120)과 달선택판(130)이 일체로 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되는 상태임), 현재시각을 표시하는 해모양(122)이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뜨는 시각(약 06시)에 오게 되면 남쪽하늘까지 와 있던 하현달(121a)이 비록 하늘에는 떠 있지만 태양 빛으로 인해 더 이상 관측이 불가능하게 되고, 계속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하현달(121a)이 서쪽으로 이동하여 서쪽지평선부(142)에 다달으면 해모양(122)은 약 12시를 가르키며 하현달(121a)은 한낮에 서쪽지평선으로 사라져 더 이상 하늘에는 하현달(121a)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하현달(121a)은 24시에서 06시 까지 6시간 정도 관측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해가 떠오른 뒤에도 하늘에서 서쪽으로 이동하고 있지만 태양빛 때문에 관측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달관측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과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달관측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와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달관측판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서 하현달이 뜨고 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달관측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1 내지 도 2에 도시된 달관측판과 비교하여 볼 때,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달관측판의 다른 실시예는 지표면판과 시간표시판이 일체로 형성된 점에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달관측판과 차이가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시간표시판(110)은 그 표면에 시간표시(111)와, 방위표시(112)와, 해뜨는 동쪽지평선표시부(115) 와, 해지는 서쪽지평선표시부(116)가 모두 함께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달관측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달관측판과 비교하여 볼 때, 도5 내지 도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달관측판의 다른 실시예는 계절별 지표면판(150)이 설치되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지표면판과 차이점이 있으며, 상기 계절별 지표면판(150)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지표면판(140)의 상측에 해뜨는 동쪽지평선표시부(152)와 해지는 서쪽지평선표시부(153)가 계절별로 서로 이격져서 함께 도시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계절별 해뜨는 동쪽지평선 표시부(152)는, 상기 시간표시판(110)의 좌측으로 형성되는 봄과 가을의 해뜨는 표시(152a)와, 상기 봄과 가을의 해뜨는 표시(152a)의 상측으로 이격져서 형성되는 겨울의 해뜨는 표시(152b)와, 상기 봄과 가을의 해뜨는 표시(152a)의 하측으로 이격져서 형성되는 여름의 해뜨는 표시(152c)로 이루어진다.
상기 계절별 해지는 서쪽지평선 표시부(153)는, 상기 시간표시판(110)의 우측으로 형성되는 봄과 가을의 해지는 표시(153a)와, 상기 봄과 가을의 해지는 표시(153a)의 상측으로 이격져서 형성되는 겨울의 해지는 표시(153b)와, 상기 봄과 가을의 해지는 표시(153a)의 하측으로 이격져서 형성되는 여름의 해지는 표시(153c)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계절별 해뜨는 표시부(152)와 계절별 해지는 표시부(153)는 계절과 도시에 따라 해뜨고 지는 시각이 다르므로 각 도시의 해뜨고 지는 시각에 맞 추어 해뜨는 지평선 표시부, 해지는 지평선 표시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도시에 따라 계절에 따라 해뜨고 지는 지평선부를 달리 표시할 때는 남중시각을 각각의 도시에 맞추어 도시할 수 있다.(예를 들어 서울의 춘분, 하지, 추분, 동지의 해뜨고 지는 시각을 참조하여 나타내면 춘,추분은 06시30분경에 해가 떠서 18시 30분경에 해가 지고, 하지는 05시10분경에 해가 뜨고 20시경에 해가 지며, 동지는 07시 40분경에 해가 뜨고, 17시 40분경에 해가 지며, 해의 남중시각은 12시 30분경에 도시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달관측판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서 달의 모양과 움직임이 변화되는 상태를 관찰하기 위해서 그 일예로서, 앞에서 관찰한 바와 같은 하현달의 경우를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택한 하현달(121a)을 시간표시판(110)의 06시(동쪽지평선을 나타냄)에 위치하게 하면, 해모양(122)이 24시를 지시하고 시간표시판(110)에 도시된 밤과 땅을 나타내는 지표면부에 놓이게 되어 동쪽에서 하현달(121a)을 관측할 수 있게 되고,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하현달(121a)이 남쪽에 위치하면 해모양(122)이 06시에 오고 해가 동쪽에서 떠올라 남쪽하늘에 하현달(121a)이 떠있지만 그동안 관측되던 하현달(121a)이 태양빛에 가리어 더 이상 관측이 불가능하게 된다. 계속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하현달(121a)이 서쪽으로 이동하여 서쪽지평선부(116)에 다달으면 해모양(122)은 약 12시를 가리키며 하현달(121a)은 한낮에 서쪽지평선(116)으로 사라져 더 이상 하늘에는 하현달(121a)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하현달(121a)은 24시에서 06시 까지 6시간 정도 관측된다는 것을 알 수 있 으며, 해가 떠오른 뒤에도 하늘에서 서쪽으로 이동하고 있지만 태양빛 때문에 관측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달관측판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서 겨울철의 하현달의 모양과 움직임이 변화되는 상태를 해와 연관지어 관찰하기 위해서 그 일예로서, 앞에서 관찰한 바와 같은 하현달의 경우를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택한 하현달(121a)을 계절별 지표면판(150)의 겨울철 동쪽지평선 표시부(152)에 위치하게 하면, 해모양(122)이 계절별 지표면판(150)의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어 동쪽에서 하현달(121a)을 관측할 수 있게 되고,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06시 30분경 하현달(121a)은 남중하며, 해모양(122)이 겨울철 해뜨는 표시부(152b)가 있는 동쪽에서 떠오르면 남쪽하늘까지 와 있던 하현달(121a)이 태양빛에 가리어 더 이상 관측이 불가능하게 된다. 계속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하현달(121a)이 서쪽으로 이동하여 겨울철 해지는 서쪽지평선부(153b)에 다달으면 해모양(122)은 12시경을 가리키며 하현달(121a)은 한낮에 서쪽지평선으로 사라져 더 이상 하늘에는 하현달(121a)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겨울철 하현달(121a)은 01시 40분경에 동쪽에서 떠올라 해가 뜨는 07시 40분경에 남쪽하늘에서 사라져 약 6시간 정도 관측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해가 떠오른 뒤에도 하늘에서 서쪽으로 이동하고 있지만 태양빛 때문에 관측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달관측판의 분해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달관측판에 의해서 달의 모양과 움직임이 변화되는 상태를 관찰하기 위한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달관측판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달관측판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서 달의 모양과 움직임이 변화되는 상태를 관찰하기 위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달관측판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달관측판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해서 달의 모양과 움직임이 변화되는 상태를 관찰하기 위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시간표시판 111: 시간표시
112: 방위 표시 120: 달모양판
122: 시각지시부 130: 달선택판
140: 지표면판

Claims (7)

  1. 상면의 둘레를 따라 하루의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표시가 되어 있는 시간표시판;
    상기 시간표시판의 중심과 동축을 이루면서 상기 시간표시판의 상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적층되고, 그 표면에는 달이 지구를 공전하는 동안 변하는 달의 모양이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고, 상기 달의 모양 중에서 삭에 해당되는 달모양이 그려지는 위치의 대응되는 지점에 시각지시부가 도시되어 있는 달모양판;
    상기 달모양판의 중심과 동축을 이루면서 상기 달모양판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적층되고, 그 표면에는 상기 달모양판에 도시된 달 모양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달 모양을 선택하기 위한 달 선택창이 구비된 달선택판; 및
    상기 달선택판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시간표시판에 고정되는 부재로서, 그 표면에는 동쪽지평선 표시부와 서쪽지평선 표시부가 표시되어 있는 지표면판;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관측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지시부는 태양표시가 함께 도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관측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표시판은, 상기 시간표시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방위를 나타내는 방위표시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관측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달모양판은 그 상부 표면에 도시된 달의 모양들 내측에 달이 지구 둘레를 따라 공전하는 동안 지구에서 볼 수 있는 달의 면 중에서 실제로 볼 수 있는 달의 면이 표시된 달의 햇빛받는 모양들이 도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관측판.
  5. 상면의 둘레를 따라 하루의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표시와, 상기 시간표시 중에서 6시가 위치하는 부분에 표시된 해뜨는 동쪽지평선 표시와, 상기 시간표시 중에서 18시가 위치하는 부분에 표시된 해지는 서쪽지평선 표시가 되어 있는 시간표시판;
    상기 시간표시판의 중심과 동축을 이루면서 상기 시간표시판의 상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적층되고, 그 표면에는 달이 지구를 공전하는 동안 변하는 달의 모양이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고, 상기 달의 모양 중에서 삭에 해당되는 달모양이 그려지는 위치의 대응되는 지점에 시각지시부가 도시되어 있는 달모양판;
    상기 달모양판의 중심과 동축을 이루면서 상기 달모양판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적층되고, 그 표면에는 상기 달모양판에 도시된 달 모양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달 모양을 선택하기 위한 달 선택창이 구비된 달선택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관측판.
  6. 상면의 둘레를 따라 하루의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표시가 되어 있는 시간표시판;
    상기 시간표시판의 중심과 동축을 이루면서 상기 시간표시판의 상측에서 회 전 가능하도록 적층되고, 그 표면에는 달이 지구를 공전하는 동안 변하는 달의 모양이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고, 상기 달의 모양 중에서 삭에 해당되는 달모양이 그려지는 위치의 대응되는 지점에 시각지시부가 도시되어 있는 달모양판;
    상기 달모양판의 중심과 동축을 이루면서 상기 달모양판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적층되고, 그 표면에는 상기 달모양판에 도시된 달 모양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달 모양을 선택하기 위한 달 선택창이 구비된 달선택판;
    상기 달선택판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시간표시판에 고정되어 있고, 그 표면에는 계절별 해뜨는 동쪽지평선 표시부와, 상기 계절별 해뜨는 동쪽지평선 표시부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계절별 해지는 서쪽지평선 표시부가 구비된 계절별 지표면판;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관측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계절별 해뜨는 동쪽지평선 표시부는,
    상기 시간표시판의 좌측으로 형성되는 봄과 가을의 해뜨는 표시;
    상기 봄과 가을의 해뜨는 표시의 하측으로 이격져서 형성되는 여름의 해뜨는 표시; 및
    상기 봄과 가을의 해뜨는 표시의 상측으로 이격져서 형성되는 겨울의 해뜨는 표시;로 이루어지고,
    상기 계절별 해지는 서쪽지평선 표시부는,
    상기 시간표시판의 우측으로 형성되는 봄과 가을의 해지는 표시;
    상기 봄과 가을의 해지는 표시의 하측으로 이격져서 형성되는 여름의 해지는 표시; 및
    상기 봄과 가을의 해지는 표시의 상측으로 이격져서 형성되는 겨울의 해지는 표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관측판.
KR1020090012693A 2009-02-17 2009-02-17 달관측판 KR201000936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693A KR20100093649A (ko) 2009-02-17 2009-02-17 달관측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693A KR20100093649A (ko) 2009-02-17 2009-02-17 달관측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649A true KR20100093649A (ko) 2010-08-26

Family

ID=42757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693A KR20100093649A (ko) 2009-02-17 2009-02-17 달관측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36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501B1 (ko) 천구의 및 지구본 자동 구동장치
KR100681277B1 (ko) 달관측판
RU2600090C2 (ru) Часы с функцией отображения восхода или заката в любом месте мира
KR100950839B1 (ko) 천체 모형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450473B1 (ko) 달 운동 관측용 학습도구
KR101252804B1 (ko) 달의 위상변화와 운동 입체 학습기구
KR20160074103A (ko) 관찰자의 위경도 위치에 따른 시간과 계절 변화 설명이 가능한 삼구의조립체
KR100704702B1 (ko) 다기능 학습용 천구의
KR200463580Y1 (ko) 달 위상 변화 관찰교구
KR20100093649A (ko) 달관측판
KR101482884B1 (ko) 달 일주 관측용 학습도구
KR101709912B1 (ko) 세차운동 확인이 가능한 삼구의조립체
KR20100034114A (ko) 달관측판
KR20160074102A (ko) 일식과 월식의 사실적인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삼구의조립체
KR101013183B1 (ko) 달관측판
CN204288690U (zh) 一种演示地球运动时空关系的地球仪
US5529500A (en) Two-dimensional earth-moon-sun instructional model
CN202102636U (zh) 地球运动教学演示用具
CN201251884Y (zh) 星象转动盘
KR101150998B1 (ko) 달 일주운동판
KR200412786Y1 (ko) 다기능 학습용 천구의
KR100461693B1 (ko) 표면에 개구부를 가진 천구의
US20230267855A1 (en) Educational celestial globe
Gangui Whither does the Sun rove?
Irás et al. Wheels of Geography: Interactive renewal of antique educational instru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