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2049B1 - 범용 보조 배터리팩 - Google Patents

범용 보조 배터리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2049B1
KR101012049B1 KR1020100012175A KR20100012175A KR101012049B1 KR 101012049 B1 KR101012049 B1 KR 101012049B1 KR 1020100012175 A KR1020100012175 A KR 1020100012175A KR 20100012175 A KR20100012175 A KR 20100012175A KR 101012049 B1 KR101012049 B1 KR 101012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battery pack
auxiliary battery
connection termi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재만
Original Assignee
(주)신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평 filed Critical (주)신평
Priority to KR1020100012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20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PDA, ,넷북, 노트북 등과 같은 각종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전원이 부족할 때 전원을 직접적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방전된 배터리의 전원을 충전하는 보조 배터리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위 보조 배터리팩에 직렬 또는 병렬 접속단자를 구비하여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압에 맞게 복수의 보조 배터리팩을 연결하여 각 종 휴대 단말기의 비상전원 공급장치로 활용할 수 있도록 범용 보조 배터리팩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은, 휴대용 단말기에 구동 내지 충전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에 있어서; 낱개의 배터리가 장착될 공간(12)을 구비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공간(12) 내에 배터리(B)의 음극과 양극과 대응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음극 및 양극 접속단자(14a)(14b)와;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구성되어 휴대 단말기로 전원을 출력하거나 또는 전방의 다른 보조 배터리팩(1)과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제1직렬접속부(20)와; 상기 몸체(10)의 다른 일측에 구성되어 후미로 연결되는 다른 보조 배터리팩(1)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직렬접속부(30)를 구성하되; 상기 제1직렬접속부(20)에는 제1연결단자(22)와 제2연결단자(24)를 상기 제2직렬접속부(30)에는 제3연결단자(32)와 제4연결단자(34)를 구성하여, 제1연결단자(22)와 제3연결단자(32)를 제1패턴(41)으로, 제2연결단자(24)와 제4연결단자(34)를 음극 및 양극 접속단자(14a)(14b)를 잊는 제2,제3 패턴(42)(43)으로 전기적 연결을 이루게 하고; 상기 제2직렬접속부(30)의 제3연결단자(32)와 제4연결단자(34)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점퍼(50a)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범용 보조 배터리팩{Battery pack}
본 발명은 휴대폰, PDA, ,넷북, 노트북 등과 같은 각종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전원이 부족할 때 전원을 직접적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방전된 배터리의 전원을 충전하는 보조 배터리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위 보조 배터리팩에 직렬 또는 병렬 접속단자를 구비하여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압에 맞게 복수의 보조 배터리팩을 연결하여 각 종 휴대 단말기의 비상전원 공급장치로 활용할 수 있도록 범용 보조 배터리팩에 관한 것이다.
첨단 IT 기술과 통신장비의 성능이 높아짐에 따라 휴대폰, 스마트폰, PDA, 휴대용 카메라, 넷북, 노트북, MP3플레이어 등과 같은 각종 휴대용 단말기의 보급은 초등학생들도 휴대폰을 소지할 정도로 일반화되어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의 특징을 만족시키기 위해 자체 배터리를 내장하여 전원을 공급받고 있다. 그렇지만 배터리 전원은 충방전 용량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가끔 사용 시간이 길어지게 될 경우에 전원이 소진되어 단말기를 전혀 사용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될 수 있다. 이때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케이블을 연결하여 배터리를 충전해야 하는데, 갑자기 충전할 곳도 마땅히 찾을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비용을 주고 급속충전을 하더라도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사용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이 외부에서 휴대용 단말기가 방전되었을 때, 비상수단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배터리팩을 활용하고 있다.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61245호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컴퓨터본체의 일측면에 대하여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12)에 배열된 상태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배터리셀과,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12)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의하여 자체 충전기능을 갖는 제1차져보드(Charger Goard)와, 상기 컴퓨터본체 내부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주 배터리 및 하우징 내부의 제1차져보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차져보드와, 상기 제1차져보드와 제2차져보드상의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장착동작에 따라 서로 접속되는 커넥터와, 상기 하우징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컴퓨터본체에 대하여 하우징이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하우징 체결부재로 이루어진 휴대용 컴퓨터의 보조 배터리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보조 배터리장치는 컴퓨터본체의 내부에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지 않고 컴퓨터의 외부에서 간단하게 장착 또는 분리됨에 따라서 장착성이 향상되고, 외부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휴대용 컴퓨터의 사용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기 위해 제안된 것이다.
그렇지만 상기 보조 배터리장치는 내장되는 배터리 갯수가 한정되어 있고 정형화되어 있어 특정 단말기 제품에만 적용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즉, 노트북용으로만 설계되었기 때문에 전압을 달리하는 휴대폰과 같은 단말기에는 전혀 사용할 수가 없는 등 범용성이 떨어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08529호에 의하면,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충전 가능한 전지부와, 상기 전지부의 충/방전시 외부단자의 쇼트로부터 상기 전지부를 보호하기 위한 전지보호회로부와,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전지보호회로부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 돌출 배치되며 휴대기기측 보조전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휴대기기 연결커넥터와, 상기 전지보호회로부와 연계되고 상기 본체의 하단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전지부측 충전을 위한 충전용 커넥터와, 상기 본체의 일측 표면상에 형성시킨 조광부와, 상기 본체의 타측 표면상에 형성되며 상기 조광부의 온/오프를 스위칭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와, 상기 휴대기기 연결커넥터 및 충전용 커넥터를 보호하기 위해 각각 구비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 휴대단말기용 보조 배터리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휴대단말기용 보조 배터리 또한 특정 휴대단말기에만 활용할 수 있도록 사이즈가 정형화되어 있어 큰 배터리 용량을 필요로 하는 노트북과 같은 휴대 단말기에는 적용할 수 없고, 승압 또는 감압할 수 있는 확장성을 갖추지 못한 구조이므로 범용성이 없는 단점이 있다.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1999-000479호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1.5V의 배터리를 직렬로 연결하여 노트북 컴퓨터에 전원을 인가시켜 줌으로써 전원이 없는 장소에서 사용자가 노트북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노트북 컴퓨터용 보조 배터리팩을 제공하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 컴퓨터 보조 배터리팩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1.5V 배터리를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하기는 하나,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 배터리팩에 직렬로 구성되는 배터리 결착부(접속단자)를 구성하여 각 결착부에 상기 배터리를 장착하여 특정 전압의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므로, 이 또한 특정 전압을 가진 휴대 단말기에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범용성이 없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263801호에 의하면,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되어 일정 전원을 공급하도록제공되는 배터리팩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은 일정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가 일정한 방식에 의해 배열 구성되어 수납될 수 있는 안착부와, 그 안착부에 구비된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전원회로와, 그 전원회로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전원을 외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일단면에 형성된 전원공급홈이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전원공급홈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부접속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발생된 전원을 이동통신단말기로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잭이 포함되어 구성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공급용 보조 배터리팩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방전시 일정 전원을 외부접속포트를 통해 계속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는 외부접속포트의 포트가 상이하게 구성되었다 하더라도 그 연결잭 만을 교체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렇지만 이 경우에도 배터리팩의 용량은 하나의 몸체로 규격화되어 있고 전압도 규격화되어 하나의 제품에만 적용할 수 있는 구조이다. 즉, 범용성이 떨어져 전압이 다른 제품들에는 전혀 사용할 수가 없으며, 다른 배터리팩을 연속 연결할 수 있는 확장성도 없는 제품인 것이다.
KR20-1998-061245 U KR20-0408529 Y1 KR20-1999-000479 U KR20-0263801 Y1
본 발명은 크기가 규격화 되어 있고, 전압도 규격화되어 특정 제품에만 사용도록 된 종래의 보조 배터리팩이 가진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소형 배터리 하나를 장착하는 단위 보조 배터리팩을 구성하고, 이러한 단위 보조 배터리팩에 또 다른 단위 보조 배터리팩을 연결할 수 있는 접속부를 형성하여, 전원을 공급하고자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압에 맞게 상기 단위 배터리팩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확장성을 갖춤으로써 다양한 휴대 단말기에 적용하여 전원을 직접적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범용 보조 배터리팩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휴대용 단말기에 구동 내지 충전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에 있어서,
낱개의 배터리가 장착될 공간을 구비한 몸체와,
상기 몸체의 공간 내에 배터리의 음극과 양극과 대응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음극 및 양극 접속단자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성되어 휴대 단말기로 전원을 출력하거나 또는 전방의 다른 보조 배터리팩과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제1직렬접속부와,
상기 몸체의 다른 일측에 구성되어 후미로 연결되는 다른 보조 배터리팩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직렬접속부를 구성하되,
상기 제1직렬접속부에는 제1연결단자와 제2연결단자를 상기 제2직렬접속부에는 제3연결단자와 제4연결단자를 구성하여, 제1연결단자와 제3연결단자를 제1패턴으로, 제2연결단자와 제4연결단자를 음극 및 양극 접속단자를 잊는 제2,제3 패턴으로 전기적 연결을 이루게 하고,
상기 제2직렬접속부의 제3연결단자와 제4연결단자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점퍼를 구성하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 제1패턴과 연결되는 제5연결단자와 제2패턴과 연결되는 제6연결단자를 구성하여, 다른 보조 배터리팩의 제1직렬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병렬접속부를 더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병렬접속부를 다른 배터리팩의 제1직렬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병렬접속부를 더 구비 하여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압조절기능이 내장되며, 외부에는 다양한 형태 및 사이즈의 접속잭을 구비하여 상기 선두부에 설치되는 배터리팩의 제1직렬접속부에 연결되어 휴대 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어댑터를 더 구비하여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방의 보조 배터리팩과 밀착되는 면의 상단부에 상하로 회동되는 회동잭을 형성하고,
상기 회동잭에 상기 제1직렬접속부를 형성하고,
상기 회동잭을 하강 회동했을 때 몸체면에 고정하는 부착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회동잭이 상향 회동했을 때 이와 접하는 부위에 병렬접속부를 형성하여 병렬접속이 가능하도록 하여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 배터리간에 직렬 또는 병렬 연결을 위해 대응되는 각 몸체면에 결합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결합수단은 일측 몸체 일면에 측방향의 나사공 및 상기 나사공 결합되는 연결나사를 포함하는 연결돌출보스1과,
상기 연결돌출보스1과 엇물리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나사공과 대응되면서 상기 연결나사가 체결되는 탭공을 포함하는 연결돌출보스2로 구성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 범용 보조 배터리팩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일반적인 소형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는 사이즈이면서 직렬 연결이 가능하도록 잭이 구비되어, 전기적으로 직렬연결을 통해 승압이 가능한 확장성을 확보함에 따라 다른 전압을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에도 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충전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범용성을 구비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 범용 보조 배터리팩에는 병렬연결이 가능하므로 전원을 공급함에 있어서, 전류의 안정적 공급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 범용 보조 배터리팩은, 전압을 조절할 수 있는 전압조절장치를 구비함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회로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성을 갖춘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범용 보조 배터리팩의 구조를 나타낸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 범용 보조 배터리팩을 단말기에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 범용 보조 배터리팩의 직/병렬결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범용 보조 배터리팩의 연결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 범용 보조 배터리팩의 회로도.
도 6는 본 발명 범용 보조 배터리팩의 병렬회로가 부가된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 범용 보조 배터리팩의 연결잭 일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 범용 보조 배터리팩의 병렬잭으로 병렬 연결한 상태의 입체도.
도 9a,9b는 본 발명 범용 보조 배터리팩의 병렬잭을 접거너 폈을때의 요부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 범용 보조 배터리팩의 병렬잭 고정구조 일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11a,11b는 본 발명 번용 보조 배터리팩의 병렬잭을 이용하여 직렬 또는 병렬연결이 이루어진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 범용 보조 배터리팩 간을 결합하는 결합구조 일실시예도.
본 발명 범용 보조 배터리팩(1)은 휴대용 단말기에 구동 내지 충전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몸체(10)의 내부에 낱개의 배터리(B)가 장착될 공간(12)을 형성하며, 상기 공간(12) 내부에 배터리(B)의 음극과 양극과 대응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음극 및 양극 접속단자(14a)(14b)를 형성한다.
상기 몸체(10)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다른 배터리팩(1)과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도록 하기위해 일측면에 제1직렬접속부(20)를 형성한다. 이는 휴대 단말기 또는 충전회로로 전원을 출력하거나 또는 전방의 다른 보조 배터리팩(1)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다른 일측에는 후미로 연결되는 다른 보조 배터리팩(1)의 제1직렬접속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직렬접속부(30)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1직렬접속부(20)에는 제1연결단자(22)와 제2연결단자(24)를 상기 제2직렬접속부(30)에는 제3연결단자(32)와 제4연결단자(34)를 구성하여, 제1연결단자(22)와 제3연결단자(32)를 제1패턴(41)으로, 제2연결단자(22)와 제4연결단자(34)를 음극 및 양극 접속단자(14a)(14b)를 잊는 제2,제3 패턴(42)(43)으로 전기적 연결한다. 상기 제1,제2패턴(41)(42)은 인쇄회로기판에 구리피막을 얇게 입힌 라인을 지칭함은 물론이고 단순히 전선을 지칭하기도 한다. 아울러, 상기 제2직렬접속부(30)의 제3연결단자(32)와 제4연결단자(34)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점퍼(50a)를 구성하여 최종으로 연결되는 보조 배터리팩(1)의 제2직렬접속부(30)의 제3,제4연결단자(32)(34)를 연결해 줌으로써 개방된 회로를 닫아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점퍼(50a)는 단순히 제2접속부의 제3,제4연결단자(32)(34)를 연결하는 구조이면 충분하나, 좀더 간단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온/오프 스위치(50b)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배터리팩(1)에는 전압조절기능이 내장된 어댑터(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어댑터(60)에는 다양한 형태 및 사이즈의 접속잭(62)을 구비하여 어떠한 형태의 잭도 연결할 수 있도록 멀티기능을 구비한다. 특히 상기 어댑터(60)에는 전압을 조절하는 레버(64)가 장치되어 누구나 쉽게 필요한 전압으로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어댑터(60)는 하나만 구입하면 충분하며 이에 여러 개의 보조 배터리팩(1)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범용 본 발명 보조 배터리팩(1)에는 다른 보조 배터리팩(1)과 병렬연결이 가능하도록 병렬접속부(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병렬접속부(70)에는 도 6과 같이 제5,제 6연결단자(72)(74)를 구성하는데, 상기 제5연결단자(72)는 제1패턴(41)(제1직렬접속부(20)의 제1연결단자(22)와 연결되는)에 제4패턴(44)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6연결단자(74)는 제2패턴(42)과 제 5패턴(45)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병렬접속부(70)와 다른 보조 배터리팩(1)의 제1직렬접속부(20)를 연결하기 위해 기본적으로는 별도의 독립된 부품인 연결잭(80)을 구비하여 서로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그렇지만, 별도의 연결잭(80)을 구비하지 않고 제1직렬접속부(20)를 이용하여 병렬연결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도 7내지 도 11b에서와 같이, 제1직렬접속부(20)의 구조를 달리하여, 전방의 보조 배터리팩(1)과 밀착되는 면의 상단부에 상하로 회동되는 회동잭(90)을 회동가능하게 축(S)결합하였다.
회동잭(90)에는 제1연결단자(22) 및 제2연결단자(2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회동잭(90)의 내부를 통해 제1 및 제2패턴(41)(42)과 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때 전선은 회동잭(90)의 회동동작시 단선의 우려가 없으면서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여유길이를 가진 연선으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회동잭(90)의 회동범위는 병렬연결을 위해 다른 보조 배터리팩(1)이 밀착되었을 때 상기 회동잭(90)을 상향 회동시키면 상기 병렬접속부(70)와 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을 정도이면 충분하다.
회로구성상 직렬연결을 위해 좌우측에 제1,제2직렬접속부(20)(30)를 구성하고, 상기 병렬접속부(70)는 제1직렬접속부(20)가 형성되는 면에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회동잭(90)을 하강 회동시키게 되면, 앞쪽에 연결되는 어댑터(60) 또는 다른 보조 배터리팩(1)의 제2직렬접속부(30)와 연결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회동잭(90)은 안정적으로 몸체(1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특히 후측에 연결되는 배터리팩(1)의 제1직렬접속부(20)를 앞쪽에 위치한 제2직렬접속부(30)를 분리할 때 상기 회동잭(90)이 회동되면 제1직렬접속부(20)의 제1,제2연결단자(22)(24)가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제1직렬접속부(20)는 몸체(10)로부터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 병렬접속이 필요할 때에만 몸체(10)로부터 분리가 되면 족하다.
이를 위해, 도 10과 같이 상기 회동잭(90)을 몸체(10)에 나사(91)결합시키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고, 또 도 9a,9b에서와 같이 회동잭(90)과 몸체(10) 사이에 벨크로파스너(92)를 부착하여 이들의 부착력에 의해 회동잭(90)을 몸체(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는 보조 배터리팩(1)간에는 잭의 결합력으로 서로의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으나, 이동시 흔들림이 발생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게 되면 잭의 결합력 부족으로 인해 서로 분리될 수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직렬 또는 병렬 연결을 위해 대응되는 각 보조 배터리팩(1)을 이루고 있는 몸체(10)면에 결합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결합수단은 도 1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일측 몸체(10) 일면에 측방향의 나사공(102) 및 상기 나사공(102) 결합되는 연결나사(104)를 포함하는 연결돌출보스1(100)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돌출보스1(100)과 엇물리는 위치에 배치하여 상기 나사공(102)과 대응되면서 상기 연결나사(104)가 체결되는 탭공(112)을 포함하는 연결돌출보스2(110)를 형성하여 서로를 대응시켜 나사결합에 의해 서로를 결속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나사의 체결력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이동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하거나 또는 외력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잭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보조 배터리팩(1) 간에 직렬연결을 위해 나사결합하는 방식은 견고성이 담보되는 장점은 있지만 그 반대로 서로를 결합하기 위해 나사를 풀고 조이는 번거로운 작업이 수반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되도록 나사체결부를 최대한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 보조 배터리팩(1)은, 일측에 걸림결합부(120)를 구성하여 잭의 결합력과 걸림결합부(120)의 결합력으로 서로간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잭의 결합력은 암수 단자간의 결합력을 말하는 것으로, 이에 더하여 도 12a와 같이 다른 일측에 걸림결합부(120)를 구성하여 서로의 결합력이 융합되어 좀더 견고한 결합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걸림결합부(120)는 일측에 걸림홈(124)을 갖는 결합홈(122)을 구성하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걸림홈(124)에 대응되는 걸림턱(132)을 가진 결합돌기(130)를 형성하여 결합돌기(130)를 상기 걸림홈(124)에 대응결합시키면서 상기 제1,제2직렬접속부(20)(30)를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는 상기 걸림결합부(120)를 먼저 결합한 후 제1,제2직렬접속부(20)(30)를 결합하거나 또는 거의 동시에 결합할 수가 있으며, 결합 후에는 서로의 결합력이 더하여져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가 있다.
물론, 상기 제1,제2직렬접속부(20)(30)와 걸림결합부(120)의 결합력에 더하여 연결돌출보스1(100)을 구성하거나 또는 제1,제2직렬접속부(20)(30)를 단순 접점형식으로 구성한 후 상기 연결돌출보스 1의 나사체결력과 걸림결합부(120)의 결합력으로만 서로의 결합력을 유지할 수도 있다.
또 다른 결합방법으로는 도 12b와 같이 대응되는 각 몸체(10)면에 일측 몸체(10)에는 입구에 턱(152)을 갖는 홈(150)을 형성하고, 다른 몸체(10)에는 상기 턱(152)에 대응 걸림되는 대응턱(142)을 가지면서 중앙에 탄성홈(144)을 가진 스냅핀(140)을 구성하여 상기 스냅핀(140)을 홈(150)에 끼워넣으면서 제1,제2직렬접속부(20)(30)를 대응결합시켜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로 된 본 발명 범용 보조 배터리팩(1)은, 직렬 연결을 위해서는 전술한바 있지만 제1,제2직렬접속부(20)(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물론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 전압에 맞춰 그 개수를 설정해야만 한다. 대부분 시중에서 일방적으로 판매하는 배터리(B)(건전지 등)는 1.5V이므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전압이 1.5V의 배수일 때에는 문제가 없으나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보조 배터리팩(1)과 휴대 단말기 사이에 어댑터(60)를 연결하여 그에 맞는 전압조절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댑터(60)에는 다양한 형태의 잭을 가진 멀티형이므로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에 맞는 잭을 선택하여 연결하면 된다.
만일 전압을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전압에 맞추었으나 전류를 높이거나 또는 안정적으로 전류를 공급하고자 할 경우에는 병렬연결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병렬접속부(70)와 제1직렬접속부(20)를 잭으로 연결하거나 또는 몸체(10)에 고정된 회동잭(90)을 분리하여 축을 중심으로 상향 회동시켜 상부 보조 배터리팩(1)의 병렬접속부(70)에 꽂아 전기적으로 연결하면 병렬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병렬연결은 동일한 방법으로 연속 연결시킬 수가 있다.
10 : 몸체 12 : 공간 14a,14b : 음, 양극 접속단자
20 : 제1직렬접속부 22,24 : 제1,제2연결단자 30 : 제2직렬접속부
32, 34 : 제3,제4연결단자 41,42,43,44,45 : 제1,제2,제3,제4,제5 패턴
50a : 점퍼 50b : 온/오프 스위치 60 : 어댑터
62 : 접속잭 64 : 레버 70 : 병렬접속부
72,74 : 제5,제 6연결단자 80 : 연결잭 90 : 회동잭
91 : 나사 92 : 벨크로파스너 100 : 연결돌출보스1
102 : 나사공 104 : 연결나사 110 : 연결돌출보스2
112 : 탭공 120 : 걸림결합부 122 : 결합홈
124 : 걸림홈 130 : 결합돌기 132 : 걸림턱
134 : 홈 136 : 턱 140 : 스냅핀
142 : 대응턱 144 : 탄성홈 150 : 홈
152 : 턱 B : 배터리

Claims (9)

  1. 휴대용 단말기에 구동 내지 충전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에 있어서,
    낱개의 배터리가 장착될 공간(12)을 구비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공간(12) 내에 배터리(B)의 음극과 양극과 대응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음극 및 양극 접속단자(14a)(14b)와,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구성되어 휴대 단말기로 전원을 출력하거나 또는 전방의 다른 보조 배터리팩(1)과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제1직렬접속부(20)와,
    상기 몸체(10)의 다른 일측에 구성되어 후미로 연결되는 다른 보조 배터리팩(1)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직렬접속부(30)를 구성하되,
    상기 제1직렬접속부(20)에는 제1연결단자(22)와 제2연결단자(24)를 상기 제2직렬접속부(30)에는 제3연결단자(32)와 제4연결단자(34)를 구성하여, 제1연결단자(22)와 제3연결단자(32)를 제1패턴(41)으로, 제2연결단자(24)와 제4연결단자(34)를 음극 및 양극 접속단자(14a)(14b)를 잊는 제2,제3 패턴(42)(43)으로 전기적 연결을 이루게 하고,
    상기 제2직렬접속부(30)의 제3연결단자(32)와 제4연결단자(34)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온/오프 스위치(50b)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보조 배터리팩.
  2. 휴대용 단말기에 구동 내지 충전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에 있어서,
    낱개의 배터리가 장착될 공간(12)을 구비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공간(12) 내에 배터리(B)의 음극과 양극과 대응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음극 및 양극 접속단자(14a)(14b)와,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구성되어 휴대 단말기로 전원을 출력하거나 또는 전방의 다른 보조 배터리팩(1)과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제1직렬접속부(20)와,
    상기 몸체(10)의 다른 일측에 구성되어 후미로 연결되는 다른 보조 배터리팩(1)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직렬접속부(30)를 구성하되,
    상기 제1직렬접속부(20)에는 제1연결단자(22)와 제2연결단자(24)를 상기 제2직렬접속부(30)에는 제3연결단자(32)와 제4연결단자(34)를 구성하여, 제1연결단자(22)와 제3연결단자(32)를 제1패턴(41)으로, 제2연결단자(24)와 제4연결단자(34)를 음극 및 양극 접속단자(14a)(14b)를 잊는 제2,제3 패턴(42)(43)으로 전기적 연결을 이루게 하고,
    상기 제2직렬접속부(30)의 제3연결단자(32)와 제4연결단자(34)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점퍼(50a)를 구성하고,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제4패턴(44)으로 통해 제1패턴(41)과 연결되는 제5연결단자(72)와 제 5패턴(45)을 통해 제2패턴(42)과 연결되는 제6연결단자(74)를 구성하여, 다른 보조 배터리팩(1)의 제1직렬접속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병렬접속부(70)를 더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병렬접속부(70)를 다른 배터리팩(1)의 제1직렬접속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병렬연결구를 더 구비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보조 배터리팩.
  3. 제 2 항에 있어서, 전방의 보조 배터리팩(1)과 밀착되는 면의 상단부에 상하로 회동되는 회동잭(90)을 형성하고,
    상기 회동잭(90)에 상기 제1직렬접속부(20)를 형성하고,
    상기 회동잭(90)을 하강 회동했을 때 몸체(10)면에 고정하는 부착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회동잭(90)이 상향 회동했을 때 이와 접하는 부위에 병렬접속부(70)를 형성하여 병렬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보조 배터리팩.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퍼(50a)는 온/오프 스위치(50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보조 배터리팩.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압조절기능이 내장되며, 외부에는 다양한 형태 및 사이즈의 접속잭(62)을 구비하여,
    제일 앞쪽에 설치되는 배터리팩(1)의 제1직렬접속부(20)에 연결되어 휴대 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어댑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보조 배터리팩.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잭(90)을 하강시켰을 때 접하는 회동잭(90)과 몸체(10) 사이에 벨크로파스너(92)를 부착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보조 배터리팩.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보조 배터리팩(1)간에 직렬연결을 위해 대응되는 각 몸체(10)면에 결합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결합수단은, 일측 몸체(10)에는 입구에 턱(152)을 갖는 홈(150)을 형성하고, 다른 몸체(10)에는 상기 턱(152)에 대응걸림되는 대응턱(142)을 가지면서 중앙에 탄성홈(144)을 가진 스냅핀(1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보조 배터리팩.
  8. 삭제
  9. 삭제
KR1020100012175A 2010-02-10 2010-02-10 범용 보조 배터리팩 KR101012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175A KR101012049B1 (ko) 2010-02-10 2010-02-10 범용 보조 배터리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175A KR101012049B1 (ko) 2010-02-10 2010-02-10 범용 보조 배터리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2049B1 true KR101012049B1 (ko) 2011-02-08

Family

ID=43777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175A KR101012049B1 (ko) 2010-02-10 2010-02-10 범용 보조 배터리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20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1307A1 (ko) * 2015-04-20 2016-10-27 주식회사 인라이튼 전자기기용 휴대형 충전장치
KR20180089723A (ko) * 2017-02-01 2018-08-09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용량 가변형 보조 배터리 모듈
DE102012206693B4 (de) * 2011-04-28 2020-08-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 Ges. d. Staates Delaware) Modulrahmen mit integrierter erfassungsleitu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3699A (ko) * 2004-03-18 2005-09-23 후지 주코교 카부시키카이샤 축전체 장치
KR20070057345A (ko) * 2005-12-02 2007-06-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대형 전지팩용 카트리지
KR20080060815A (ko) * 2006-12-27 2008-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제품용 배터리 패키지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3699A (ko) * 2004-03-18 2005-09-23 후지 주코교 카부시키카이샤 축전체 장치
KR20070057345A (ko) * 2005-12-02 2007-06-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대형 전지팩용 카트리지
KR20080060815A (ko) * 2006-12-27 2008-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제품용 배터리 패키지 어셈블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06693B4 (de) * 2011-04-28 2020-08-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 Ges. d. Staates Delaware) Modulrahmen mit integrierter erfassungsleitung
WO2016171307A1 (ko) * 2015-04-20 2016-10-27 주식회사 인라이튼 전자기기용 휴대형 충전장치
KR20180089723A (ko) * 2017-02-01 2018-08-09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용량 가변형 보조 배터리 모듈
KR101982507B1 (ko) * 2017-02-01 2019-05-27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용량 가변형 보조 배터리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00505B2 (ja) 携帯型電源装置
US8860371B2 (en) Series battery charger with the function of separate detection
US8643325B2 (en) Integrated battery charger
JP3160449U (ja) 二次電池
US8461805B2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with connecting ports for internal and external charging/output operations
US20140117922A1 (en) Portable dc power tool battery adapter and charger with usb interface
US20050280398A1 (en) Mobile charger
JP2002262476A (ja) 携帯機器用の補助バッテリー
JP3143670U (ja) 携帯式電子装置の電池構造
CN110213406B (zh) 一种折叠电子设备
US20110140652A1 (en)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s
JP6113307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その充電制御方法
KR101012049B1 (ko) 범용 보조 배터리팩
JP3127310U (ja) マルチコンセント電気装置
US20160299194A1 (en) Wireless smart battery system
JP4851586B2 (ja) ユニバーサル電源供給装置
TWM516535U (zh) 模組化急救電池
CN102157969B (zh) 一种便携式充电装置
JP3188317U (ja) エリア分け充電及びエリア直列放電を行うポータブル型電源
TW202044719A (zh) 不斷電系統
KR20070032844A (ko) 외부 배터리 기능과 메모리장치 기능을 겸비한 유에스비방식 충전 및 데이터 링크 시스템
US20180090964A1 (en) Apparatus for powering an electrical device from different battery packs
KR101290321B1 (ko) 유에스비 포트와 충전회로를 구비한 배터리
CN200976384Y (zh) 一种充电电池
CA2657770A1 (en) Power converter with integral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