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982B1 -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 - Google Patents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982B1
KR101011982B1 KR1020100038661A KR20100038661A KR101011982B1 KR 101011982 B1 KR101011982 B1 KR 101011982B1 KR 1020100038661 A KR1020100038661 A KR 1020100038661A KR 20100038661 A KR20100038661 A KR 20100038661A KR 101011982 B1 KR101011982 B1 KR 101011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bicycle
delete delete
stratum
passa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식
김경애
Original Assignee
(주) 태평양지질
김경애
윤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태평양지질, 김경애, 윤정식 filed Critical (주) 태평양지질
Priority to KR1020100038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19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02Design or lay-out of roads, e.g. street systems, cross-sections ; Design for noise abatement, e.g. sunken roa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1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16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01C2201/167Elements joined together by reinforcement or me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를 따라 도로변의 일측 또는 양측 보도 상으로 지층 통행로를 형성하는 지층통행부와, 지층통행부의 폭 방향 양측으로 상향 돌출되어 지층 벽면을 이루는 지층벽면부와, 지층벽면부의 상단에 연결되며, 지층통행부로부터 수직으로 병렬 배치되어 상층 통행로를 형성하는 상층통행부 및 지층통행부와 상층통행부 사이를 오르내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결통로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협소한 도심 공간을 구조적으로 상향 확장 이용함으로써, 보행자 및 자전거의 안전한 통행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한 접근 가능성을 높여, 친환경적 미래형 도심 구조물로 이용될 수 있는 기대가 크다.

Description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STRUCTURE FOR DOUBLE-DECK TYPE PASSAGEWAY HAVING EXPANDED STRUCTURAL SPACE WHICH IS APPLIED TO WAYSIDE}
본 발명은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잡한 도심 내의 도로 구간에서, 도로변의 양측에 마련된 좁은 보도 상에 상향으로 복층 배치된 복수의 통행로를 제공하여, 도심 통행자 및 자전거의 안전한 통행을 도모함과 동시에, 협소한 도심 공간을 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격한 산업화와 도심 집중 현상에 따라 도심 내 교통 환경은 이미 과포화 상태에 이르렀으며, 이로 인한 도심 내 교통 체증은 이루 말할 수 없을 만큼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만성적인 교통 체증을 해소하기 위하여,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을 더 많이 이용하자는 식의 정책적인 움직임(예: 버스전용차로 등)도 활발히 진행 중인 것이 사실이나, 이 역시 대중에게 교통 이용상의 자구적 노력을 기대함에 그칠 뿐이며, 그 실효성에 대해서는 의문스러운 것이 사실이다.
현재, 승용차는 물론 화물차량, 버스 등의 에너지원이 되는 휘발유, 경유 및 천연가스 등과 같은 화석연료는 급속히 고갈되어 가는 추세이며, 지구상에 잔존하는 화석연료의 양 또한 그 이용 가능 연한이 불과 일백년도 남지 않았음이 자명하다.
이러한 분위기에 따라, 전 세계적인 움직임은 물론 개별 국가에 있어서도 정책적인 방향을 세워 이러한 환경 및 에너지에 관한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실정이며, 점차적으로 대중 의식 및 사회적 분위기 역시 이러한 중요성을 받아들이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분위기에 발맞추어 최근 들어서는 자전거와 같은 자전거를 근거리는 물론 원거리 통행 수단으로서 확대 이용하고 있으며, 바쁜 직장인들조차 출퇴근 시 자가 차량을 이용하기 보다는 버스나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수단을 더 많이 이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도로 상에 자전거용 도로를 별도로 시공하면서도 통행자의 안전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도로 구조를 변경하거나 확장해야 하는 선행 문제가 따르기 마련이었다.
하지만, 기존의 도로 구조를 변경하거나 확장하는 방법은 이용 중인 도로를 일시적으로 막거나 또는 우회로를 제공해야 하는 불편을 초래하므로, 현실적으로 유용한 방안이라 하기에는 다소 부적합한 면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 도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자전거의 원활한 통행과 보행자의 안전 통행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미래 지향적인 도심 구조물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이르렀으며, 이에 최적화된 방안으로서, 도로가 아닌 도로변의 보도 상에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을 설치하자는 움직임이 대두대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이러한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은 미래 지향적인 대중교통수단인 이층버스의 승하차 시 편의성도 함께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협소한 도심 공간에서, 차량의 통행, 자전거의 안전 통행 및 보행자의 안전 통행을 모두 기대할 수 있는 보도 상에 형성된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래 지향적인 대중교통수단, 즉, 각 층마다 개별적으로 출입문이 구비되어 각 층에서 동시에 승객의 승하차가 가능한 이층버스의 이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도로를 따라 도로변의 일측 또는 양측 보도 상으로 지층 통행로를 형성하는 지층통행부; 상기 지층통행부의 폭 방향 양측으로 상향 돌출되어 지층 벽면을 이루는 지층벽면부; 상기 지층벽면부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지층통행부로부터 수직으로 병렬 배치되어 상층 통행로를 형성하는 상층통행부; 및 상기 지층통행부와 상기 상층통행부 사이를 오르내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결통로부;를 포함하는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지층통행부로부터 지하로 병렬 배치되어 지하 통행로를 형성하는 지하통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층통행부, 상기 상층통행부 및 상기 지하통행부에는, 중앙부에서 자전거가 통행 가능하게 형성된 자전거통행부와, 상기 자전거통행부의 양측 변을 따라 구비되어 사람이 보행 가능하게 형성된 인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지층통행부 및 상기 상층통행부 각각에는, 상기 자전거통행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 형성된 상기 인도부 간의 횡단 보행을 가능하게 하는 횡단보행부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상층통행부는, 폭 방향 양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1열로 배치되어 설치 형성되는 난간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사상에 따르면, 도로를 따라 도로변의 일측 또는 양측 보도 상으로 지층 통행로를 형성하는 지층통행부; 상기 지층통행부의 폭 방향 양측으로 상향 돌출되어 지층 벽면을 이루는 지층벽면부; 상기 지층벽면부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지층통행부로부터 수직으로 병렬 배치되어 상층 통행로를 형성하는 상층통행부; 상기 지층통행부와 상기 상층통행부 사이를 오르내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결통로부; 각 층마다 출입문이 마련된 이층버스의 정류장 위치 지점에 대응하여, 상기 지층통행부 및 상기 상층통행부로부터 도로 상에 정차한 상기 이층버스로 출입이 허용되는 버스통로부; 및 상기 버스통로부로부터 도로측으로 돌기단을 이루어, 상기 이층버스 이용 승객의 승하차시 발 디딤을 가능하게 형성되는 플랫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버스통로부와 상기 플랫폼부의 사이에는 승객의 승하차 시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스크린 도어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지층통행부로부터 지하로 병렬 배치되어 지하 통행로를 형성하는 지하통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층통행부, 상기 상층통행부 및 상기 지하통행부에는, 중앙부에서 자전거가 통행 가능하게 형성된 자전거통행부와, 상기 자전거통행부의 양측 변을 따라 구비되어 사람이 보행 가능하게 형성된 인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지층통행부 및 상기 상층통행부 각각에는, 상기 자전거통행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 형성된 상기 인도부 간의 횡단 보행을 가능하게 하는 횡단보행부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상층통행부는, 폭 방향 양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1열로 배치되어 설치 형성되는 난간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에 따르면, 복잡한 도심 내의 도로 구간에서, 도로변의 양측에 마련된 좁은 보도 상에 상향으로 복층 배치된 복수의 통행로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도심 통행자 및 자전거의 안전한 통행을 도모함과 동시에, 협소한 도심 공간을 구조적으로 확장하여 이용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에 따르면, 각 층마다 개별적으로 출입문이 구비되어 각 층에서 동시에 승객의 승하차가 가능한 이층버스의 이용상 편의성을 극대화시켜, 안전하고 편리한 대중교통의 이용 증가를 통해, 심각한 도심 교통난을 해결할 수 있는 친환경적 미래형 도심 구조물의 하나로서 자리 매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을 정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에서 지하통행부가 더 형성된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에서 지하통행부가 더 형성된 모습을 정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에서 인도부에 형성 가능한 바닥 패널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5에서 A 영역을 내부 구조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의 외관을 일측만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을 정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9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의 외관을 일측만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을 정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을 정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을 정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정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은 구성 관계를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시키기 위해서 특징되는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병행 참조하면, 도시된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은 지층통행부(110), 지층벽면부(130) 및 상층통행부(120) 및 연결통로부(1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지층통행부(110)는 도로(R)를 따라 도로변의 일측 또는 양측 보도 상으로 형성되며, 지층의 통행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지층통행부(110)의 중앙에는 자전거가 통행 가능하게 형성된 자전거통행부(112)가 구비되며, 상기 자전거통행부(112)의 양측 변을 따라 보행자나 승객과 같은 사람이 보행 가능하게 형성된 인도부(114)가 구비된다.
자전거통행부(112)에서 이동 가능한 통행 수단은 대표적으로 자전거를 들 수 있으며, 굳이 자전거가 아니라 하여도 레저를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 등도 상기 자전거통행부(112)를 통해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자전거통행부(112)의 양측 변으로 인도부(114)가 형성된다.
인도부(114)는 보행자 또는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려는 승객 등과 같이 사람이 통행 가능한 통행로이다.
이러한 인도부(114)는 상기 자전거통행부(112)의 지면으로부터 약간 상향 단턱을 이루어 상기 자전거통행부(112)에 비해 높은 지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인도부(114)를 이용하는 보행자 또는 승객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에서 지하통행부가 더 형성된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에서 지하통행부가 더 형성된 모습을 정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병행 참조하면, 지층통행부(110)의 지하로 또 하나의 통행로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통행로를 지하통행부(102)라 한다.
이러한 지하통행부(102)는 지층통행부(110)로부터 지하로 병렬 배치되어 동일한 폭의 통행로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지하통행부(102)는 앞서 설명한 지층통행부(110) 및 상층통행부(120)와 같은 형태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하통행부(102)와 지층통행부(110) 사이에서 통행자 및 자전거가 오르내릴 수 있는 별도의 통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도부(114)의 구조 및 형상은 도 5 및 도 6을 병행 참조하여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인도부에 형성 가능한 바닥 패널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서 A 영역을 내부 구조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인도부(114)는 개개의 직사각형 단면의 플레이트 패널(115)이 연장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데, 각각의 인도부(114)에는 두께 방향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체결관(119)이 구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인도부(114)의 외형을 이루는 플레이트 패널(115) 표면에는 홈 또는 돌기와 같은 소정의 무늬 패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무늬 패턴은 보행자 또는 승객의 통행 시 미끄럼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인도부(114)를 외형을 이루는 플레이트 패널(115)은 내구성 및 가공성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예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목재, 우레탄 고무, 실리카 고무 등의 다양한 소재가 이용 가능하다.
통상의 방식에 따르면, 인도부(114)를 형성하는 플레이트 패널(115) 상에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체결관(119)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데, 이러한 경우, 못이나 피스와 같은 강제 체결 수단을 통해 플레이트 패널(115)을 상하로 관통시켜 구속 고정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 패널(115) 상에는 크랙이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써, 내구성 및 시공성이 나빠지는 불편이 따랐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인도부(114)를 이루는 플레이트 패널(115) 상에는 미리 체결관(119)이 구비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도 6을 통해 확인 가능하듯이, 플레이트 패널(115)의 내부에는 구조적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프레임(116)이 내장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패널(115)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목재, 우레탄 고무, 실리카 고무 등의 다양한 소재로 제작 가능하지만, 상기 프레임(116)은 강성이 좋은 철재를 이용하는 것이 구조 강도를 발휘하기에 효과적이다.
프레임(116)은 플레이트 패널(115)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종방향 골조부재(117) 및 이의 횡방향 구조 강도를 보강하는 횡방향 골조부재(118)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종방향 골조부재(117)를 상하 관통하여 체결관(119)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체결관(119)의 양단은 플레이트 패널(115)을 관통하여 플레이트 패널(115)의 외연까지 돌출하여 형성된다.
여기까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본 인도부(114)의 구조 및 형상은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조금씩 그 구조 및 형상이 변형되어도 무방하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인도부(114)와 자전거통행부(112) 사이에는 횡단보행부(150)가 형성된다. 즉, 상기 횡단보행부(150)는 인도부(114)를 통행하던 보행자 또는 승객이 자전거통행부(112)를 지나 건너편 인도부(114)로 안전하게 이동하기 위한 역할을 담당한다.
그리고 지층통행부(110)의 폭 방향 양측으로 상향 돌출되어 지층 벽면을 형성하는 지층벽면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지층벽면부(130)의 상단부의 양측 연결을 통해, 앞서 설명한 지층통행부(1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 및 형태로 이루어지는 상층통행부(120)가 형성된다.
즉, 이러한 상층통행부(120)는 상기 지층통행부(110)로부터 수직으로 병렬 배치되어 상층 통행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상층통행부(120)에도 역시, 상기 지층통행부(110)에서와 마찬가지로, 중아에는 자전거가 통행 가능하게 형성된 자전거통행부(122)가 구비되며, 이의 양측 변을 따라 보행자나 승객과 같은 사람이 통행 가능하게 구비된 인도부(124)가 형성된다.
그리고 지층통행부(110)와 상층통행부(120) 사이를 오르내릴 수 있도록 연결통로부(140)가 형성된다. 도1에는 연결통로부(140)의 일예로서 층계수단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에스컬레이터나 경사진 통로 수단은 물론 노약자나 장애인을 위한 승강수단까지 본 발명에 따른 연결통로부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층통행부(120)의 양측 변을 따라 또 하나의 벽면부가 형성되는데, 이를 상층벽면부(132)라 한다.
이러한 상층벽면부(132)는 전술한 지층벽면부(130)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지층벽면부의 상부에서 또 하나의 벽체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층벽면부(132)의 상단부의 양측 연결을 통해 전면 또는 부분적으로 밀폐되어 천정이 형성될 수 있는데, 우천 시, 상층통행부(120)를 통행하는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도로변 복층 통행로에 대한 개념 이외에도, 또 하나의 발명적 사상을 포함하는데, 그 나머지 하나가 이층버스(B)에 대한 승하차 편의에 대한 개념이다.
본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이층버스(도 2의 B)는 각 층마다 출입문이 구비되어, 일층 및 이층을 통해 승객의 승하차가 가능한 이층버스(도 2의 B)이다. 이러한 이층버스(도 2의 B)에 대한 승하차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는 버스통로부(164)와 플랫폼부(166)를 더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버스통로부(164)는 정류장(162)의 위치 지점에 대응하여, 지층통행부(110) 및 상층통행부(120)로부터 도로(R)에 정차한 이층버스(도2의 B)로 출입 가능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버스통로부(164)는 지층벽면부(130) 및 상층벽면부(132) 상에 절개된 통로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버스통로부(164)에는 각각의 버스통로부(164)로부터 도로측으로 바닥면이 돌출하여 연장 형성되는 플랫폼부(166)가 구비된다.
별도로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플랫폼부(166)의 주변으로는 승객의 승하차 시 안전 확보를 위해 펜스구조물이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버스통로부(164) 및 상기 플랫폼부(166)의 사이에는 승객의 승하차 시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스크린 도어(168)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층버스(도 2의 B)가 해당 정류장(162)에 정차할 경우에만, 상기 스크린 도어(168)가 개방되는 방식으로 승객 승하차 안전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은 그 구조 형상에 따라 내부가 밀폐되어, 자칫 잘못할 경우 터널처럼 어두운 공간이 조성될 수 있는 우려가 따르므로, 지층벽면부(130) 및 상층벽면부(1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창을 내거나, 천정을 투명한 구조용 부재로 형성하여, 내부 조도를 효과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좋다.
제 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를 정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앞서 제 1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부분과 대다수 같은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불필요한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 위하여, 그 차이점만을 부각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및 8을 병행 참조하면, 상층통행부(120)의 폭 방향 양측으로 상층통행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난간부(17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난간부(170)는 상층통행부(120)를 통행하는 이용자의 낙하 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시된 난간부(170)는 1열로 배치되어 있으나, 더 나은 보행자 안전성을 고려하면, 2열 이상의 배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난간부(170)의 높이는 최소한 평균적인 성인의 어깨 높이까지는 형성되는 것이 좋다.
아울러,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난간부(170)를 통해 버스통로부(164) 및 플랫폼부(16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이층버스(도 8의 B)로의 승하차를 위한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층의 플랫폼부(166)에 더 안전하고 견고한 펜스 구조물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제 3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를 정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앞서 제 2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부분과 대다수 같은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불필요한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 위하여, 그 차이점만을 부각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및 10을 병행 참조하면, 본 제 3 실시예는 전술한 제 2 실시예와 비교하여, 한 가지의 차이점만을 가지고 있다.
즉, 도 9를 통해 보다 상세히 확인할 수 있듯이 지층벽면부(130)와, 상층통행부(120) 사이의 연결부위에 아치형 단면(H)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구조 형상의 차이로 인해, 본 제 3 실시예는 전술한 제 2 실시예에 비해 그 시공에는 조금 어려움이 따르나, 상층통행부(120)의 하중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더 많은 사람들이 상층통행부(120)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그 효과는 탁월하다.
제 4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를 정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는 앞서 제 1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부분과 대다수 같은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불필요한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 위하여, 그 차이점만을 부각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 및 12를 병행 참조하면, 본 제 4 실시예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최상층통행부(134)와 상층 연결통로부(140) 및 최상층통행부(134)의 폭 방향 양측으로 형성된 난간부(170)를 더 구비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최상층통행부(134)는 상층벽면부(132)의 상단부의 양측 연결을 통해 하부면은 상층통행부(120)의 천정을 이루며, 상부면은 최상층 통행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동시에 담당한다.
별도로 도시되진 않았으나, 이러한 최상층통행부(134)에도 지층통행부(110) 및 상층통행부(120)와 같이 자전거나 보행자 및 승객의 통행을 구별하여 각각의 통행로 및 인도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최상층통행부(134)의 폭 방향 양측으로는 난간부(170)가 구비되어 상기 최상층통행부(134)를 통행하는 이용자의 안전 확보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층통행부(120)와 최상층통행부(134)의 사이에는 상호 간을 오르내릴 수 있는 또 하나의 상층 연결통로부(140)가 더 구비되는 것이 이용자 편의성 확보를 위해 효과적이다.
제 5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를 정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는 앞서 제 4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부분과 대다수 같은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불필요한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 위하여, 그 차이점만을 부각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 및 14를 병행 참조하면, 본 제 5 실시예는 전술한 제 4 실시예의 모든 구성을 포함하되, 최상층통행부(134) 사이에 교각통행부(180)가 더 포함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교각통행부(180)는 도로(R)를 횡단하여 서로 대향 위치하는 상기 최상층통행부(134)를 연결하는 브릿지 개념의 통행로로서, 최상층통행부(134)를 통행하는 이용자들이 지면까지 내려가지 않고서도, 도로(R)를 횡단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아울러, 이러한 교각통행부(180)를 통해, 대중교통 이용자의 교차 환승이 편리해 질 것이며, 도로 횡단을 통해 발생되는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교각통행부(180)에는 교각통행부(180)의 폭 방향에서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1열씩 배치 형성된 교각난간부(182)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로써, 이용자의 추락으로 인한 안전 확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전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B: 이층버스 R: 도로
110: 지층통행부 120: 상층통행부
130: 지층벽면부 140: 연결통로부
150: 횡단보행부 160: 횡단보행부
170: 난간부 180: 교각통행부

Claims (2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도로를 따라 도로변의 일측 또는 양측 보도 상으로 지층 통행로를 형성하는 지층통행부; 상기 지층통행부의 폭 방향 양측으로 상향 돌출되어 지층 벽면을 이루는 지층벽면부; 상기 지층벽면부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지층통행부로부터 수직으로 병렬 배치되어 상층 통행로를 형성하는 상층통행부; 상기 지층통행부와 상기 상층통행부 사이를 오르내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결통로부; 각 층마다 출입문이 마련된 이층버스의 정류장 위치 지점에 대응하여, 상기 지층통행부 및 상기 상층통행부로부터 도로 상에 정차한 상기 이층버스로 출입이 허용되는 버스통로부; 및 상기 버스통로부로부터 도로측으로 돌출하여 연장 형성되는 플랫폼부;를 포함하되, 상기 버스통로부와 상기 플랫폼부의 사이에는 승객의 승하차 시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스크린 도어가 설치되며,
    상기 상층통행부의 폭 방향 양측으로 상향 돌출되어 상층 벽면을 이루는 상층벽면부; 상기 상층벽면부의 상단에 연결 형성되며, 상기 상층통행부로부터 수직으로 병렬 배치되어 최상층 통행로를 형성하는 최상층통행부; 및 상기 상층통행부와 상기 최상층통행부 사이를 오르내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층 연결통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최상층통행부는, 폭 방향 양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1열로 배치되어 설치 형성되는 난간부를 구비하고, 도로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 형성된 상기 최상층통행부 사이에는 자전거 또는 사람의 횡단 통행을 가능하게 하는 교각통행부가 형성되며, 상기 교각통행부는, 폭 방향 양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1열로 배치되어 설치 형성되는 교각난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층통행부로부터 지하로 병렬 배치되어 지하 통행로를 형성하는 지하통행부를 더 포함하는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층통행부, 상기 상층통행부 및 상기 지하통행부에는,
    중앙부에서 자전거가 통행 가능하게 형성된 자전거통행부와, 상기 자전거통행부의 양측 변을 따라 구비되어 사람이 보행 가능하게 형성된 인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통행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 형성된 상기 인도부 간의 횡단 보행을 가능하게 하는 횡단보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층벽면부에 의해 상기 상층통행부의 하중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지층벽면부와 상기 상층통행부의 연결부위는 아치형 단면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통행부는,
    폭 방향 양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1열로 배치되어 설치 형성되는 난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00038661A 2010-04-26 2010-04-26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 KR101011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661A KR101011982B1 (ko) 2010-04-26 2010-04-26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661A KR101011982B1 (ko) 2010-04-26 2010-04-26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1982B1 true KR101011982B1 (ko) 2011-01-31

Family

ID=43616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661A KR101011982B1 (ko) 2010-04-26 2010-04-26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19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12142A (zh) * 2014-04-28 2014-07-09 陈科 双层公交车站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2604A (ja) * 2001-09-10 2003-03-19 Sumitomo Heavy Ind Ltd 自転車専用道路
JP2004263493A (ja) * 2003-03-04 2004-09-24 Koken Boring Mach Co Ltd 地下高速道路のバーチカル交通システム
KR100791062B1 (ko) * 2006-06-27 2008-01-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다층형 교량시공방법
KR20090017342A (ko) * 2007-08-14 2009-02-18 고려개발 주식회사 복층교량형 고가도로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2604A (ja) * 2001-09-10 2003-03-19 Sumitomo Heavy Ind Ltd 自転車専用道路
JP2004263493A (ja) * 2003-03-04 2004-09-24 Koken Boring Mach Co Ltd 地下高速道路のバーチカル交通システム
KR100791062B1 (ko) * 2006-06-27 2008-01-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다층형 교량시공방법
KR20090017342A (ko) * 2007-08-14 2009-02-18 고려개발 주식회사 복층교량형 고가도로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12142A (zh) * 2014-04-28 2014-07-09 陈科 双层公交车站
CN103912142B (zh) * 2014-04-28 2016-07-06 宁波高新区科卉创意产品设计有限公司 双层公交车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7543B2 (en) Traffic installation
CN106758579B (zh) 立体城市的建筑与交通一体化系统
JP4689575B2 (ja) 都心地域へ増強される交通システム
CN1379839A (zh) 城市公交运输用候车和上下车站
MX2008006718A (es) Interseccion de control de trafico.
CN103485250B (zh) 一种无需红绿灯斑马线的立体城市道路
CN1179093C (zh) 带停车场分行式立体公路
WO2008009190A1 (fr) Système routier pour piétons, véhicules motorisés et véhicules non motorisés doté de voies séparées, et procédé associé
CN205775679U (zh) 一种多功能十字立交桥
CA2800399C (en) Urban transport installation using track ropes
CN105951549A (zh) 一种多功能十字立交桥
CN204826793U (zh) 一种内环双螺旋结构车道的自走式立体停车楼
CN204417943U (zh) 一种十字路口低矮型立交桥
KR101011982B1 (ko) 도로변을 구조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자전거 겸용 복층형 통행로 구조물
CN103485251A (zh) 一种人车分离的城市道路
CN1101503C (zh) 地铁交叉线路分侧式站台
CN104562880A (zh) 人走平地车走上下仅本路车互让立交路口
KR20080112176A (ko) 도시철도나경전철의터널구조
RU108046U1 (ru) Сеть транспортных магистралей для крупных городов и их пригородов
US340561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urban shopper traffic
CN103469707A (zh) 一种多功能城市道路
CN204676382U (zh) 人走平地车走上下仅本路车互让立交路口
CN107119518B (zh) 一种十字路口单层无障碍全互通立交系统
RU77876U1 (ru) Функциональный участок транспортной линии метрополитена, метромост с эстакадой (варианты)
CN101338541A (zh) 缓解交通堵塞的十字路口高架通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