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852B1 -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852B1
KR101011852B1 KR20080104862A KR20080104862A KR101011852B1 KR 101011852 B1 KR101011852 B1 KR 101011852B1 KR 20080104862 A KR20080104862 A KR 20080104862A KR 20080104862 A KR20080104862 A KR 20080104862A KR 101011852 B1 KR101011852 B1 KR 101011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w
signal
radio communication
call signal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104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2743A (ko
Inventor
가즈히사 오부찌
요시히로 가와사끼
요시하루 다지마
요시아끼 오오따
요시노리 다나까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42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헐 수신의 주기의 변경이 이루어진 경우에 생길 수 있는 문제를 조금이라도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에 따라서 간헐 수신을 행하는, 임의의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하여, 그 임의의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법칙으로부터 제2 법칙으로의 적용할 법칙의 변경을 검출하는 계기로 되는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서, 상기 임의의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하여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소정의 신호의 송신 후, 호출 신호를 송신할 때에, 상기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 및 상기 제2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의 쌍방에서 상기 호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한다.
Figure R1020080104862
간헐 수신, 무선 통신 장치, 호출 신호, 송신부, 제어부

Description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에서의 간헐 수신을 행하는 타이밍을 특정하기 위한 법칙이 변경 가능한 경우에 이용하면 특히 바람직하다.
간헐적인 수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예로서의 이동 통신 시스템을 들 수 있다.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기지국과 이동국을 포함하고,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에서 무선 통신이 행해진다. 이동국은, 기지국으로부터 어떠한 통지가 이루어질 것을 기대하여 항상 수신 처리를 시도할 수도 있지만, 수신 처리 부하의 저감 등을 목적으로서, 간헐적인 수신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즉, 이동국은, 소정의 법칙에 의해 특정되는 타이밍(예를 들면, 소정의 주기)에서 간헐적인 수신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기지국은, 이동국이 소정의 법칙에 의해 특정 가능한 타이밍(소정의 주기)에서 간헐적인 수신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동국에 대하여 어떠한 통지를 행하는 경우에는, 이동국이 수신 처리를 실행할 타이밍에 서 통지(송신)을 실행한다.
이에 따르면, 이동국은 간헐적인 수신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기지국으로부터의 통지를 수신할 수 있어, 돌발적인 통지를 수신하기 위해 항상 수신 처리를 실행해야만 한다고 하는 부하로부터 개방되게 된다.
또한, 기지국은, 그 소정의 주기를 통지 정보에 의해 이동국에 통지할 수 있다. 주기 자체를 통지할 수도 있지만, 주기를 특정하기 위해 필요하게 되는 1 또는 복수의 파라미터를 통지 정보로서 송신함으로써, 이동국이, 각각 소정의 주기를 특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W-CDMA를 예로 들어, 주기의 특정 방법의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W-CDMA에서는, 무선 프레임에 대하여, 프레임 번호(SFN:system frame number)가 부여되어 있고, 이동국은, 이하의 수학식에 의해 정해지는 프레임 번호가 부여된 무선 프레임에 대하여 간헐적인 수신 처리를 실행한다.
Figure 112008074028148-pat00001
(n=0, 1, 2 …(단, SFN은 최대값 이하로 되는 범위임))
또한, 수학식 중에서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는, 각 단말기 간 고유의 ID이며, 각 단말기는, 단말기 고유의 정보로서 기억하고 있다. 또한, PBP(Paging Block Periodicity)는,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취할 수 있지만, FDD 모드(여기에서는 FDD 모드로 함)의 경우에는 1이다. Np와 DRX cycle length는, 기지국으로부터 BCH를 통하여 통지되는 파라미터이다. Frame 0ffset은,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취할 수 있지만, FDD 모드(여기에서는 FDD 모드로 함)의 경우에는 0이다.
따라서, 이동국은, 상기 수학식에 의해 정해지는 SFN을 갖는 무선 프레임의 수신을 시도한다. 단, W-CDMA의 경우에는, 우선, PICH(Paging Indicator Channel)의 수신을 행하여, 호출 신호의 유, 무를 판정하고, 호출 신호 유를 검출한 경우에, 소정 프레임 지연되어 송신되는 PCH의 수신(착신을 통지하기 위한 호출 신호나 주기 변경의 통지의 수신)을 행한다. 여기에서, PICH는, 무선 프레임 내에 복수 포함되므로, 이동국은, 몇번째의 PICH를 수신할지를 특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프레임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PICH 중, 이하의 수학식에 의해 정해지는 P번째의 PICH를 이동국은 수신한다.
Figure 112008074028148-pat00002
Figure 112008074028148-pat00003
수학식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P는, SFN에 따라서 변화하므로, 무선 프레임 내에서 수신할 PICH는, 수신하는 무선 프레임 번호에 따라서 변화한다.
[비특허 문헌 1] 3GPP TS 25.304
[비특허 문헌 2] 3GPP TS 25.331
[비특허 문헌 3] 3GPP TS 25.211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국은, 소정의 법칙에 의해 특정되는 타이밍(예를 들면, 소정의 주기)에서 간헐 수신을 행할 수 있지만, 기지국측의 형편에 따라 그 법칙(예를 들면, 주기)의 변경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상정된다. 예를 들면, 착신의 트래픽에 따라서 주기의 변경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착신 트래픽이 소정의 기준보다 높은 경우에는, 이동국에의 통지 기회를 증대시키기 위해, 주기를 짧게 하고, 착신 트래픽이 소정의 기준보다 낮은 경우에는, 이동국에의 통지 기회를 저하시켜, 이동국의 수신 처리 부하를 저감시키는 것이다.
도 1에, 법칙(예를 들면, 주기)을 변경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다.
이동국은, 우선, 기지국이 송신하는 동기 신호를 수신하여 동기를 확립하고, 이 기지국이 송신하는 통지 정보(BCH)를 수신함으로써, 간헐적인 수신(여기에서는 PCH의 간헐 수신)을 행하는 타이밍을 특정하기 위해 필요한 법칙을 특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법칙 데이터)를 취득(W-CDMA에서는, Np나 DRX cycle length임)한다.
도면의 예에서는, 주기 T1이 간헐적인 수신을 행하는 주기로서 이들의 파라미터에 의해 특정되고, 무선 프레임의 선두로부터 소정의 오프셋 어긋난 타이밍에서, 주기 T1에서 이동국은 간헐 수신을 행하고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이동국은, 그 주기에 맞춰서 전원을 ON함으로써 소비 전력의 삭감을 행하고 있다.
여기에서, 기지국이, 이동국이 행하는 간헐 수신의 주기를 변경하는 경우에 대하여 검토한다.
기지국은, 법칙(주기)의 변경 전에는, 변경 전의 제1 법칙(주기 T1)을 특정 가능으로 하는 파라미터(제1 법칙 데이터)를 이동국에 송신하고 있지만, 주기의 변경 후에는, 변경 후의 제2 법칙(주기 T2)(여기에서는, T2>T1)을 특정 가능으로 하는 파라미터(제2 법칙 데이터)를 이동국에 송신하므로, 도면과 같이, 주기의 변경 전후에서, 통지 정보의 내용을 바꾸고 있다.
한편, 이동국은, 제1 법칙(주기 T1)에 의해 간헐 수신 동작하고 있으므로, 기지국이 제2 법칙(주기 T2)으로 절환한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법칙(주기)을 변경하기 전에, 이동국이 제1 법칙(주기 T1)에 의해 간헐 수신하고 있는 PCH에 의해, 그 이동국에 대하여 법칙(주기)이 변경되는 취지(BCH를 수신할 취지)를 통지하고, 이동국은, PCH를 수신함으로써, BCH를 수신할 것을 검출한다. 이동국이, 그 통지에 의해, BCH의 수신을 행하면, 새로운 제2 법칙(주기)을 특정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제2 법칙 데이터)를 수신하므로, 이동국은, 새로운 제2 법칙(주기 T2)을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에서의 주기의 절환에 맞추어, 간헐 수신 주기를 T2로 절환하고, 그 후에도 기지국으로부터의 통지를 간헐 수신 기간 내에서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와 같이, 이동국이 법칙(주기)이 변경되는 취지(BCH를 수신할 취지)의 통지의 수신에 실패한 경우에는, 이동국은, 법칙(주기)이 변경된 것을 검출하지 않으므로, 기지국에 의한 법칙(주기) 절환 후에도, 변경 전의 제1 법칙(주기 T1)에 의해 간헐 수신 처리를 속행하기 때문에, 새로운 제2 법칙(주기 T2)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PCH를 수신할 수 없어, 기지국으로부터의 통지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에 빠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헐 수신의 주기의 변경이 이루어진 경우에 생길 수 있는 문제를 조금이라도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에 따라서 간헐 수신을 행하는, 임의의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하여, 그 임의의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법칙으로부터 제2 법칙으로의 적용할 법칙의 변경을 검출하는 계기로 되는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서, 상기 임의의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하여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소정의 신호의 송신 후, 호출 신호를 송신할 때에, 상기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 및 상기 제2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의 쌍방에서 상기 호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신호의 송신 후, 상기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에서, 상기 임의의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하여 상기 소정의 신호를 다시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정의 신호의 송신 후에 행하는 상기 소정의 신호의 재송신은, 상기 호출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경우에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에 따라서 간헐 수신을 행하는, 임의의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하여, 그 임의의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법칙으로부터 제2 법칙으로의 적용할 법칙의 변경을 검출하는 계기로 되는 소정의 신호를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방법에 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소정의 신호의 송신 후, 호출 신호를 송신할 때에, 상기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 및 상기 제2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의 쌍방에서 상기 호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임의의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소정의 신호를 수신 불가능하였던 경우에, 그 후, 상기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에서 상기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을 이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에 따라서 간헐 수신을 행하는, 임의의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하여, 그 임의의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법칙으로부터 제2 법칙으로의 적용할 법칙의 변경을 검출하는 계기로 되는 소정의 신호를 송신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에서, 상기 임의의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하여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에서, 상기 임의의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법칙의 변경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것을 검출 가능으로 하는 신호를 상기 송신부로부터 송신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에서 호출 신호를 송신하는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상기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에 따라서 간헐적으로 수신하는, 제2 무선 통신 장치에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에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장치가 송신하는, 법칙의 변경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것을 검출 가능으로 하는 소정의 신호를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시키고, 그 소정의 신호의 수신 상황에 따라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장치가 호출 신 호의 송신 타이밍으로서 적용하고 있는 법칙을 특정 가능한 정보를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에서 호출 신호를 송신하는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제2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에 따라서 간헐적으로 수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에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장치가 송신하는, 법칙의 변경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것을 검출 가능으로 하는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고, 그 소정의 신호의 수신 상황에 따라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장치가 호출 신호의 송신 타이밍으로서 적용하고 있는 법칙을 특정 가능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을 이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헐 수신의 주기의 변경이 이루어진 경우에 생길 수 있는 문제를 저감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a] 제1 실시 형태의 설명
이 실시예에서는,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에 따라서 간헐 수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면 이동국)에 대하여,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면 이 동국)가, 제1 법칙으로부터 제2 법칙으로의 적용할 법칙의 변경을 검출하는 계기로 되는 소정의 신호를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면 기지국)로부터 송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면 기지국)는, 소정의 신호의 송신 후, 호출 신호를 송신할 때에,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 및 제2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의 쌍방에서 호출 신호를 송신하고,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면 이동국)는, 소정의 신호를 수신 불가능하였던 경우에도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에서 호출 신호를 수신한다.
이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면 이동국)는, 소정의 신호의 수신에 실패한 경우이어도, 변경 전의 법칙에 따름으로써 호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 도 3∼5를 이용하여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ㆍ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면 기지국)
도 3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1)을 무선 통신 장치(제1 무선 통신 장치)로서 이용하는 경우의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기지국(1)은, 카운터(10), 법칙 데이터 버퍼(11), 부호화부(12), 변조부(13), 송신부(14), 타이밍 제어부(15), 구법칙 데이터 버퍼(16), 호출 신호 버퍼(17), 부호화부(18), 변조부(19)를 구비한다.
기지국(1)은, 타이밍의 기준으로서 이용하는 카운터(10)를 구비하고, 카운터(10)로부터 공급되는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법칙 데이터 버퍼(11)에 저장하고 있는 법칙 데이터, 호출 신호 버퍼(17)에 저장하고 있는 호출 신호의 송신을 행한다.
즉, 기지국(1)은, 현재 적용하고 있는 법칙을 특정 가능한 정보인 법칙 데이터를 부호화부(12)에 의해 부호화(예를 들면, 오류 정정 부호화)하고, 변조부(13)에서 QPSK, QAM 등의 변조 처리를 실시하고나서 송신부(14)에서 증폭 등의 무선 신호의 송신에 필요하게 되는 처리를 실시하여 안테나로부터 송신한다.
법칙 데이터는, 기지국(1)이 호출 신호의 송신 타이밍으로서 적용하고 있는 법칙을 특정 가능한 정보이다. 법칙 데이터의 예로서는, 호출 신호의 송신 타이밍을 직접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면, 무선 프레임 번호), 호출 신호의 송신 타이밍을 구하는 연산에 이용하는 1 또는 복수의 파라미터(예를 들면, W-CDMA의 경우에는 Np와 DRX cycle length 등), 호출 신호의 송신 주기ㆍ오프셋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송신부(14)는, 바람직하게는 현재 적용하고 있는 법칙을 특정 가능한 법칙 데이터를 (소정의 주기에서) 반복하여 송신한다. 그리고, 새로운 법칙 데이터로 절환된 경우에는, 새로운 법칙 데이터(제2 법칙 데이터)가 송신 데이터 버퍼(11)에 저장되고, 이후, 새로운 법칙 데이터가 기지국(1)으로부터 송신되게 된다.
한편, 타이밍 제어부(15)는, 적용하고 있는 법칙(송신하고 있는 법칙 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법칙)에 따라서 특정되는, 이동국에 호출 신호를 송신 가능한 타이밍에서, 호출 신호 버퍼부(17)에 저장하고 있는 호출 신호를 송신하도록, 호출 신호 버퍼부(17), 부호화부(18), 변조부(19), 송신부(14) 등을 제어한다.
여기에서, 호출 신호 버퍼부(17)에는, 이동국에 대한 착신이 있었던 것을 이동국에 통지하기 위한 호출 신호가 저장되어 있고, 이 호출 신호는 착신에 따라서 상위망 측으로부터 공급된다.
예를 들면, 임의의 이동국에 대하여 호출 신호를 송신 가능한 타이밍이 제1 법칙에 의해, 짝수 번호의 프레임이었던 경우, 그 이동국에 대한 호출 신호는, 타이밍 제어부(15)의 제어하, 송신부(14)로부터 짝수 번호의 프레임에서 송신된다. 물론, 호출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호출 신호를 송신 가능한 타이밍이었다고 하여도 호출 신호를 송신할 필요는 없다. 또한, 법칙 데이터의 변경을 행하는 경우에는, 법칙 데이터 버퍼(11)로부터 타이밍 제어부(15)에 변경 통지가 부여되고, 타이밍 제어부(15)는, 호출 신호 버퍼에, 소정의 신호(C)를 저장한다.
소정의 신호(C)로서는, 예를 들면, 법칙의 변경이 있었던 것을 이동국에 통지하는 신호, 변경 후의 법칙 데이터, 통지 정보의 수신 지시 등과 같이, 이동국이 법칙의 변경을 검출하는 계기로 되는 신호를 들 수 있다. 또한, 이 소정의 신호(C)는, 통지되는 법칙 데이터가 변경되기 전에, 기지국의 무선 에리어 내의 각 이동국에 대하여, 각각의 간헐 수신 타이밍에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지국(1)은, 신법칙 데이터를 법칙 데이터 버퍼(11)에 설정함으로써, 통지하는 법칙 데이터를 새로운 법칙 데이터로 절환하는데, 그 때, 이전에 적용하고 있었던 법칙 데이터는, 구법칙 데이터 버퍼(16)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법칙 데이터의 변경에 따라서 소정의 신호(C)를 이동국에 대하여 송신하는데, 그 후, 호출 신호를 송신할 때에, 타이밍 제어부(15)는, 신법칙 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송신 타이밍뿐만 아니라, 구송신 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송신 타이밍에서도 호출 신호의 송신을 행하도록, 각 부(호출 신호 버 퍼(17), 송신부(14) 등)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소정의 신호(C)의 송신 후, 이동국에 대하여 착신이 없어, 호출 신호를 송신할 필요가 없는 경우, 구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에서는, 소정의 신호(C)를 다시 송신한다. 또한, 먼저 송신한 소정의 신호(C)와 완전히 동일한 내용의 신호가 아니라도, 이동국이 법칙의 변경이 있었던 것을 검출하는 계기로 되는 신호이면 내용이 서로 달라도 된다.
또한, 소정의 신호(C)의 송신 후, 이동국에 대하여 착신이 없어, 호출 신호를 송신할 필요가 없는 경우, 신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에서는, 이동국(2)에 대하여 특별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ㆍ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면 이동국)
도 4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국(2)을, 임의의 무선 통신 장치(제2 무선 통신 장치)로서 이용하는 경우의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동국(2)은, 카운터(20), 수신 제어부(21), 수신부(22), 복조부(23), 복호화부(24), 법칙 데이터 수신 처리부(25), 호출 신호 수신 처리부(26), 착신 처리부(27)를 구비한다.
이동국(2)은, 타이밍의 규준으로서 이용하는 카운터(20)를 구비하고, 카운터(20)로부터 공급되는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수신 제어부(21)는, 수신부(22)를 제어하여, 간헐적인 수신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수신 타이밍은, 법칙 데이터 수신 처리부(25)에 의해 기지국(1)으로부터 취득한 법칙 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타이밍이다. 또한, 법칙 데이터는, 기지국(1)으로부터 통지 정보로서 송신될 수 있 다.
수신 제어부(21)에 의해 수신 처리를 제어받는 수신부(22)는, 기지국(1)으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를 간헐적으로 수신하고, 수신 결과를 복조부(23)에 공급한다. 복조부(23)는, 공급된 수신 결과에 대하여 복조 처리를 실시하고, 복조 결과를 복호화부(24)에 공급한다. 복호화부(24)에서 복호되고, 오류 정정 등의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는, 데이터종별에 따라서 법칙 데이터 수신 처리부(25), 호출 신호 수신 처리부(26)에 각각 공급된다.
즉, 기지국(1)으로부터 법칙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는, 법칙 데이터 수신 처리부(25)에 공급되고, 적용되어 있는 법칙이 특정된다. 예를 들면, 주기, 오프셋 등의 간헐 수신을 행할 타이밍을 특정하는 연산식에서 사용하는 파라미터가 법칙 데이터로서 법칙 데이터 수신 처리부(25)에 공급된다.
간헐 수신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는, 호출 신호 수신 처리부(26)에 공급되고, 호출 신호인 경우에는, 착신 처리부(27)에 공급되고, 착신 처리에 필요하게 되는 기지국(1)과의 통신을 실행한다.
간헐 수신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가, 소정의 신호(C)인 경우에는, 수신 처리부(21)를 제어하여, 법칙 데이터가 송신되는 채널(예를 들면 BCH)의 수신을 행하도록, 수신 제어부(21)에 지시한다. 예를 들면, 기지국(1)이, 소정의 무선 프레임에서 법칙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그 무선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해 수신부(22) 등을 제어하고, 수신한 새로운 법칙 데이터를 법칙 데이터 수신 처리부(25)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이후, 새로운 법칙 데이터에 기초하여 특정된 새로운 법칙에 의 해 특정되는 타이밍에서, 호출 신호의 수신이 실행된다.
ㆍ법칙 변경에 관한 제어 방법
다음으로, 도 5를 이용하여, 적용되는 법칙이 구법칙(제1 법칙 데이터에 의해 특정)으로부터 신법칙(제2 법칙 데이터에 의해 특정)으로 변경된 경우에서의, 기지국(1)과 이동국(2) 사이의 송수신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기지국(1)의 송신부(14)는, 법칙 데이터 버퍼(11)에 설정된 제1 법칙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기지국(1)이 형성하는 무선 에리어 내의 이동국에 대하여 통지하기 위해, 통지 채널(BCH)을 이용하여, 법칙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임의의 이동국에 대하여 호출 신호를 송신할 가능성이 있는 타이밍은, 제1 법칙에 의해, 주기 T1마다 오며, 도면과 같은 오프셋을 갖는 타이밍인 것으로 한다.
이동국(2)은, 이 기지국(1)과의 사이에서 동기를 확립하고, BCH를 통하여 제1 법칙 데이터를 법칙 데이터 수신 처리부(25)에서 수신하면, 수신 제어부(21)에, 제1 법칙 데이터에 따른 타이밍을 지시한다. 따라서, 수신 제어부(21)는, 도면과 같이, 호출 신호(PCH)의 간헐 송신 타이밍에 맞춰서 수신부(22)를 제어함으로써, 간헐 수신을 실행한다.
이 예에서는, 수신을 행하는 기간에서 수신부(복조부, 복호화부를 포함하여도 됨)에 대한 전력을 공급하고, 그 밖의 기간(BCH의 수신 기간 등 특별한 수신 기간은 제외함)에서는, 전력의 공급을 정지하고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이, 셀룰러 방식에 대응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간헐적인 수신을 행하지 않는 기간에서, 다른 기지국으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수신부(22)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 PCH의 송신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타이밍은, 실제로 호출 신호, 소정의 신호(C)가 송신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도면과 같이,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PCH의 송신 타이밍 중, 제1 타이밍과, 제2 타이밍은, 이동국(2)에 대하여 착신이 없으므로, 호출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기지국(1)에서, 법칙을 변경할 필요가 발생하였다고 하자. 그러면, 법칙 데이터 버퍼(11)에는, 신법칙 데이터(제2 법칙 데이터)가 저장되고, 오래된 법칙 데이터(제1 법칙 데이터)는 구법칙 데이터 버퍼(16)에 저장되게 된다.
그리고, 타이밍 제어부(15)는, 호출 신호 버퍼(17)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C)를 공급하고, 부호화부(18), 변조부(19), 송신부(14)를 통하여, 이 소정의 신호(C)를 송신시킨다. 또한, 소정의 신호(C)의 송신 타이밍은, 제1 법칙에 따른 호출 신호의 송신 타이밍에 대응한다.
통상이라면, 이동국(2)의 수신 제어부(21)에 의해 이루어지는 간헐 수신 제어에 의해, 이 소정의 신호(C)는, 수신부(22)에 의해 수신되고, 호출 신호 수신 처리부(26)에 의해 검출되므로, 수신 제어부(21)는, 법칙 데이터의 수신을 행하기 위해 BCH의 수신 처리를 수신부(22)에 실행시킨다.
그러나, 이 케이스에서는, 수신부(22)는, 무선 환경의 영향 등에 의해, 소정 의 신호(C)의 수신에 실패한 것으로 한다. 즉, PCH의 제3 타이밍에서의 무선 신호의 수신에 실패한 것으로 한다.
그 후, 기지국(1)은, 법칙 데이터 버퍼(11)에 저장된 새로운 법칙 데이터(제2 법칙 데이터)의 송신을 개시함과 함께, 타이밍 제어부(15)는, 호출 신호 버퍼(17)로부터 호출 신호를 제2 법칙 데이터에 따른 타이밍에서 송신하도록 송신부(14) 등을 제어한다. 도 5에서의 제5, 7, 8, 9번째의 PCH가 그 타이밍에 대응한다.
단, 이 실시예에서는,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제4, 제6 PCH에서도 이동국(2)에 대하여 송신이 행해진다.
이 예에서는, 법칙 변경 후, 이동국(2)에 대한 착신이 있었기 때문에, 제4, 제5 PCH의 쌍방에서 호출 신호가 이동국(2)에 대하여 송신된다.
따라서, 이동국(2)은, 소정의 신호(C)의 수신에 실패한 경우에도, 법칙 변경 전의 제1 타이밍에서 송신되는 호출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착신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물론, 소정의 신호(C)의 수신에 성공한 경우에도, 법칙 변경 후의 제2 타이밍에서 송신되는 호출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착신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신구 쌍방의 법칙에 따른 호출 신호의 송신은, 법칙 변경 후, 소정 기간, 소정 횟수(1회 또는 2회 이상) 등에 걸쳐 실행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는, 이동국(2)은, 제4 PCH의 타이밍에서 송신된 호출 신호의 수신에 성공하고 있다.
그리고, 기지국(1)은, 이동국(2)에 대한 착신이 없어, 호출 신호의 송신을 행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도면의 제6 PCH와 같이, 소정의 신호(C)를 다시 송신한다. 이에 의해, 법칙 변경의 검출 계기를 놓친 이동국(2)에 대하여, 또 다른 법칙 변경의 검출 계기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시 송신된 소정의 신호(C)를 수신한 이동국(2)의 호출 신호 수신 처리부(26)는, 법칙 변경이 있었던 것을 인식하고, 법칙 변경 후에서의 3번째의 무선 프레임에서, BCH를 수신하도록, 수신부(22)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신법칙(제2 법칙)의 특정에 필요한 파라미터(제2 법칙 데이터)를 수신하고, 법칙 데이터 수신 처리부(25)에 공급할 수 있다.
그 후, 이동국(2)의 수신 제어부(21)는, 제2 법칙 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호출 신호의 송신 타이밍에 맞춰서 간헐 수신을 실행하고, 제1 법칙 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호출 신호의 송신 타이밍에 맞춰서 간헐 수신은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9번째의 PCH의 타이밍(제2 법칙에 따른 타이밍)에서 호출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르면, 간헐 수신의 주기의 변경이 이루어진 경우에 생길 수 있는 문제(호출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등과 같은 문제)의 저감이 도모된다.
또한, 4번째의 PCH의 타이밍에서 송신하는 호출 신호에 소정의 신호(C)를 포함시킴으로써, 호출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도, 이동국(2)에 법칙의 변경이 있어, BCH를 수신할 필요성이 생긴 것을 통지할 수도 있다.
[b] 제2 실시 형태의 설명
이 실시예에서는,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에서 호출 신호를 송신하는 제1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면 기지국)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제2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면 이동국)가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에 따라서 간헐적으로 수신하는 경우에, 제2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면 이동국)는,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에서, 제1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면 기지국)가 송신하는, 법칙의 변경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것을 검출 가능으로 하는 소정의 신호(M)를 수신하고, 소정의 신호(M)의 수신 상황에 따라서, 제1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면 기지국)가 호출 신호의 송신 타이밍으로서 적용하고 있는 법칙을 특정 가능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이에 따르면, 제1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면 이동국)가, 호출 신호의 송신을 행하는 타이밍을 정하는 법칙을 변경한 경우에, 소정의 신호(M)를 수신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제2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면 기지국)는, 법칙 변경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여, 제1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면 기지국)가 호출 신호의 송신 타이밍으로서 적용하고 있는 법칙을 특정 가능하게 된다.
이하, 도 6∼8을 이용하여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ㆍ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면 기지국)
도 6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3)을 무선 통신 장치(제1 무선 통신 장치)로서 이용하는 경우의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기지국(3)은, 카운터(30), 법칙 데이터 버퍼(31), 부호화부(32), 변조부(33), 송신부(34), 타이밍 제어부(35), 확인 신호 생성부(36), 호출 신호 버 퍼(37), 부호화부(38), 변조부(39)를 구비한다.
기지국(3)은, 타이밍의 기준으로서 이용하는 카운터(30)를 구비하고, 카운터(30)로부터 공급되는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법칙 데이터 버퍼(31)에 저장하고 있는 적용 중인 법칙 데이터, 호출 신호 버퍼(37)에 저장하고 있는 호출 신호의 송신을 행한다.
즉, 기지국(3)은, 현재 적용하고 있는 법칙을 특정 가능한 정보인 법칙 데이터를 부호화부(32)에 의해 부호화(예를 들면, 오류 정정 부호화)하고, 변조부(33)에서 QPSK, QAM 등의 변조 처리를 실시하고나서 송신부(34)에서 증폭 처리 등을 실시하여 안테나로부터 송신한다.
법칙 데이터는, 기지국이 호출 신호의 송신 타이밍으로서 적용하고 있는 법칙을 특정 가능한 정보이다. 법칙 데이터의 예로서는, 호출 신호의 송신 타이밍을 직접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면, 무선 프레임 번호), 호출 신호의 송신 타이밍을 구하는 연산에 갖는 1 또는 복수의 파라미터(예를 들면, W-CDMA의 경우에는 Np와 DRX cycle length 등), 호출 신호의 송신 주기ㆍ오프셋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송신부(34)는, 바람직하게는, 현재 적용하고 있는 법칙을 특정 가능한 법칙 데이터를 (소정의 주기에서) 반복하여 송신한다. 그리고, 새로운 법칙 데이터로 절환된 경우에는, 새로운 법칙 데이터(제2 법칙 데이터)가 송신 데이터 버퍼(31)에 저장되고, 이후, 새로운 법칙 데이터가 기지국(3)으로부터 송신되게 된다.
한편, 타이밍 제어부(35)는, 적용하고 있는 법칙(송신하고 있는 법칙 데이터 에 의해 특정되는 법칙)에 따라서 특정되는, 이동국에 호출 신호를 송신 가능한 타이밍에서, 호출 신호 버퍼부(37)에 저장하고 있는 호출 신호를 송신하도록, 호출 신호 버퍼부(37), 부호화부(38), 변조부(39), 송신부(34) 등을 제어한다.
여기에서, 호출 신호 버퍼부(37)에는, 이동국에 대한 착신이 있었던 것을 이동국에 통지하기 위한 호출 신호가 저장되어 있고, 이 호출 신호는 착신에 따라서 상위망 측으로부터 공급된다.
예를 들면, 임의의 이동국에 대하여 호출 신호를 송신 가능한 타이밍이 제1 법칙에 의해, 짝수 번호의 프레임이었던 경우, 그 이동국에 대한 호출 신호는, 타이밍 제어부(35)의 제어하, 송신부(31)로부터 짝수 번호의 프레임에서 송신된다. 물론, 호출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호출 신호를 송신 가능한 타이밍이었다고 하여도 호출 신호를 송신할 필요는 없다. 또한, 법칙 데이터의 변경을 행하는 경우에는, 법칙 데이터 버퍼(31)로부터 타이밍 제어부(35)에 변경 통지가 부여되고, 타이밍 제어부(35)는, 호출 신호 버퍼에, 소정의 신호(C)를 저장한다.
소정의 신호로서는, 예를 들면, 법칙의 변경이 있었던 것을 이동국에 통지하는 신호, 변경 후의 법칙 데이터, 통지 정보의 수신 지시 등과 같이, 이동국이 법칙의 변경을 검출하는 계기로 되는 신호를 들 수 있다. 또한, 이 소정의 신호(C)는, 통지되는 법칙 데이터가 변경되기 전에, 기지국의 무선 에리어 내의 각 이동국에 대하여, 각각의 간헐 수신 타이밍에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지국(3)은, 신법칙 데이터를 법칙 데이터 버퍼(31)에 설정함으로써, 통지하는 법칙 데이터를 새로운 법칙 데이터로 절환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법칙 데이터의 변경에 따라서 소정의 신호(C)를 이동국에 대하여 송신하고, 그 후, 호출 신호를 송신할 때에, 타이밍 제어부(35)는, 신법칙 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송신 타이밍에서 호출 신호의 송신을 행하도록(구법칙 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송신 타이밍에서는 호출 신호의 송신을 행하지 않도록), 각 부(호출 신호 버퍼(37), 송신부(34) 등)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기지국(3)은, 확인 신호 생성부(36)를 구비하고 있고, 호출 신호를 송신하지 않은 경우에도, 현재 적용하고 있는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에서, 이동국이, 법칙의 변경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것을 검출 가능으로 하는 소정의 신호(M)(확인 신호)를 송신한다.
기지국(3)은, 법칙을 절환한 경우에는, 소정의 신호 M(확인 신호)의 송신 타이밍은, 법칙 절환 후의 호출 신호의 송신 타이밍에서 송신하도록 한다.
또한, 소정의 신호 M은, 소정의 주기 L 또는 M(M은 1 또는 복수)회의 호출 신호의 송신 타이밍 중 1회 송신하면 된다. 여기에서는, 소정의 주기 L을 적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호출 신호와 경합하는 경우에는, 호출 신호를 우선하고, 소정의 신호 M의 송신은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물론, 소정의 신호 M의 송신을 우선하고, 소정의 신호 M을 송신하지 않는 경우에, 호출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ㆍ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면 이동국)
도 7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국(4)을, 임의의 무선 통신 장치(제2 무선 통신 장치)로서 이용하는 경우의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동국(4)은, 카운터(40), 수신 제어부(41), 수신부(42), 복조부(43), 복호화부(44), 법칙 데이터 수신 처리부(45), 호출 신호 수신 처리부(46), 착호 처리부(47), 확인 신호 처리부(48)를 구비한다.
이동국(4)은, 타이밍의 규준으로서 이용하는 카운터(40)를 구비하고, 카운터(40)로부터 공급되는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수신 제어부(41)는, 수신부(42)를 제어하여, 간헐적인 수신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수신 타이밍은, 법칙 데이터 수신 처리부(45)에 의해 취득한 법칙 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타이밍이다.
수신 제어부(41)에 의해 수신 처리를 제어받는 수신부(42)는, 기지국(3)으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를 간헐적으로 수신하고, 수신 결과를 복조부(43)에 공급한다. 복조부(43)는, 공급된 수신 결과에 대하여 복조 처리를 실시하고, 복조 결과를 복호화부(44)에 공급한다. 복호화부(44)에서 복호되고, 오류 정정 등의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는, 데이터종별에 따라서 법칙 데이터 수신 처리부(45), 호출 신호 수신 처리부(46)에 각각 공급된다.
즉, 기지국(3)으로부터 법칙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는, 법칙 데이터가 법칙 데이터 수신 처리부(45)에 공급되고, 적용되어 있는 법칙을 특정한다. 예를 들면, 주기, 오프셋 등의 간헐 수신을 행할 타이밍을 특정하는 연산식에서 사용하는 파라미터가 법칙 데이터로서 법칙 데이터 수신 처리부(25)에 공급된다.
간헐 수신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는, 호출 신호 수신 처리부(46)에 공급되고, 호출 신호인 경우에는, 또한, 착신 처리부(47)에 공급되고, 이동국(4)은, 착신 처리에 필요하게 되는 기지국(3)과의 통신을 실행한다.
간헐 수신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가, 소정의 신호(C)인 경우에는, 수신 처리부(41)를 제어하여, 법칙 데이터가 송신되는 채널의 수신을 행하도록, 수신 제어부(21)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기지국(3)이, 소정의 무선 프레임에서 법칙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그 무선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해 수신부(42) 등을 제어하고, 수신한 새로운 법칙 데이터를 법칙 데이터 수신 처리부(45)에 공급한다.
또한, 호출 신호 수신 처리부(46)는, 호출 신호, 소정의 신호 M을 취득한 경우에는, 확인 신호 처리부(48)에 그들 신호를 공급한다.
확인 신호 처리부(48)는, 소정의 신호 M이 소정의 주기(또는 M(M은 1 또는 복수)회의 호출 신호의 송신 타이밍 중 1회)에서 수신 가능한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주기 L에서 기지국(3)이 송신하는 것을 인식하고 있고, 주기 L에서 소정의 신호 M을 수신할 수 없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수신 제어부(41)를 제어하여 법칙 데이터의 수신을 행하게 한다. 법칙 데이터 수신 처리부(45)는, 적용 중인 법칙 데이터와, 새롭게 수신한 법칙 데이터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새롭게 수신한 법칙 데이터에 따른 타이밍에서 호출 신호를 수신하도록 수신 제어부(41)를 제어한다.
또한, 주기 L에서 소정의 신호 M을 복수회 연속하여 수신할 수 없게 된 것을 법칙 데이터의 수신 조건으로 할 수도 있다.
ㆍ법칙 변경에 관한 제어 방법
도 8을 이용하여 법칙이 변경된 경우의 기지국, 이동국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과 같이, 법칙 변경 전에서는, 기지국(3)은, 제1 법칙에 따라서 주기 T1에서 도래하는 호출 신호의 송신 타이밍을 인식하고, 이동국(4)에 대한 착신이 있으면, 호출 신호를 그 타이밍에서 송신한다. 이 경우에는, 법칙 절환 전에서 호출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동국(4)은, 법칙(1)에 따라서, 간헐 수신을 행하고 있지만, 기지국(3)은, 호출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경우에도, 소정의 주기(이 경우에는 2×T1)에서, 확인 신호 생성부(36)에서 생성한 소정의 신호 M을 송신하고 있다(도면에서의 제1, 제3 PCH의 송신 타이밍 참조).
따라서, 이동국(4)은, 소정의 신호 M을 법칙 1에 따른 간헐 수신에 의해 수신하고, 확인 신호 처리부(48)에서 처리한다. 즉, 소정의 주기(2T1)에서 소정의 신호 M을 수신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예에서는, 제1, 제3 PCH의 송신 타이밍에서 소정의 신호 M을 수신 가능하므로, 확인 신호 처리부(48)는, BCH를 특별히 수신하는 처리는 행하지 않고, 법칙 1에 따른 간헐 수신을 실행한다.
여기에서, 기지국(3)은, 법칙을 변경하기 위해, 제4 PCH의 송신 타이밍에서 소정의 신호(C)를 송신하지만, 이동국(4)의 수신부(42)는, 무선 환경의 영향에 의해 이 소정의 신호(C)를 수신할 수 없었던 것으로 한다.
그러면, 이동국(4)은, 기지국(3)이 호출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절환한 후에도, 제1 법칙에 따라서 간헐 수신 동작을 행하게 된다.
그러나, 소정의 신호 M(또는 호출 신호)을 수신할 타이밍에서 소정의 신호 M 을 수신 불가능한(이 경우, 2회 연속하여 수신 불가능한) 것을, 확인 신호 처리부(48)는 검출한다.
그러면, 확인 신호 처리부(48)는, 법칙 데이터의 확인 조건을 충족한 것으로 판정하고, 수신 제어부(41)에 수신부(42)를 제어시켜, BCH를 수신시킨다.
이동국(4)은, BCH의 수신에 의해, 제2 법칙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법칙 데이터는, 법칙 데이터 수신 처리부(45)에 입력된다.
법칙 데이터 수신 처리부(45)는, 기억하고 있는 현재 적용 중인 법칙과, 수신한 제2 법칙 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제2 법칙이 서로 다른 것을 검출하고, 수신한 제2 법칙 데이터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에서 호출 신호를 수신하도록, 수신 제어부(41)에 지시한다.
따라서, 그 후에는, 제2 법칙에 따라서 호출 신호의 간헐 수신을 행함과 함께, 소정의 주기 L에서 송신되는 소정 신호 M을 이용한, 확인 신호 처리부(48)에 의한 확인 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법칙 변경 후에는, 주기 L은, 서로 다른 주기 L'로 변경할 수도 있다. 새로운 주기 L'는, BCH에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국(4)은, BCH의 수신에 의해, 제2 법칙 데이터 및 주기 L'의 쌍방을 수신하고, 법칙 변경 후에서의 소정의 신호 M의 수신 확인에 적용하는 주기를 L'로 변경한다.
이상의 예에서는, W-CDMA에서의 PICH에 의한 호출 신호의 유, 무 정보의 송신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지 않지만, 호출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PICH에 의해 호출 신호 유를 사전에 통지하고, 호출 신호를 송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PICH에 의 해 호출 신호 무를 사전에 통지하여도 된다.
도 1은 법칙을 변경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이동국이 법칙의 변경의 검출 계기를 놓친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무선 통신 장치의 예로서의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무선 통신 장치의 예로서의 이동국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법칙이 변경된 경우에서의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송수신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무선 통신 장치의 예로서의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무선 통신 장치의 예로서의 이동국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법칙이 변경된 경우에서의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송수신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기지국
2: 이동국
3: 기지국
4: 이동국
10: 카운터
11: 법칙 데이터 버퍼(기억부)
12: 부호화부(부호화 장치)
13: 변조부(변조기)
14: 송신부(트랜스미터)
15: 타이밍 제어부(제어 장치)
16: 구법칙 데이터 버퍼(기억부)
17: 호출 신호 버퍼(기억부)
18: 부호화부(부호화 장치)
19: 변조부(변조기)
20: 카운터
21: 수신 제어부(제어 장치)
22: 수신부(리시버)
23: 복조부(복조기)
24: 복호부(복호화 장치)
25: 법칙 데이터 수신 처리부(제어 장치)
26: 호출 신호 처리부(제어 장치)
27: 착신 처리부
30: 카운터
31: 법칙 데이터 버퍼(기억부)
32: 부호화부(부호화 장치)
33: 변조부(변조기)
34: 송신부(트랜스미터)
35: 타이밍 제어부(제어 장치)
36: 확인 신호 생성부(신호 제너레이터)
37: 호출 신호 버퍼(기억부)
38: 부호화부(부호화 장치)
39: 변조부(변조기)
40: 카운터
41: 수신 제어부(제어 장치)
42: 수신부(리시버)
43: 복조부(복조기)
44: 복호부(복호화 장치)
45: 법칙 데이터 수신 처리부(제어 장치)
46: 호출 신호 처리부(제어 장치)
47: 착신 처리부
48: 확인 신호 처리부(제어 장치)

Claims (7)

  1.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에 따라서 간헐 수신을 행하는, 임의의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하여, 그 임의의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법칙으로부터 제2 법칙으로의 적용할 법칙의 변경을 검출하는 계기로 되는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상기 임의의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하여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소정의 신호의 송신 후, 호출 신호를 송신할 때에, 상기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 및 상기 제2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의 쌍방에서 상기 호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신호의 송신 후, 상기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에서, 상기 임의의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하여 상기 소정의 신호를 다시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신호의 송신 후에 행하는 상기 소정의 신호의 재송신은, 상기 호출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경우에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4.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에 따라서 간헐 수신을 행하는, 임의의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하여, 그 임의의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법칙으로부터 제2 법칙으로의 적용할 법칙의 변경을 검출하는 계기로 되는 소정의 신호를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소정의 신호의 송신 후, 호출 신호를 송신할 때에, 상기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 및 상기 제2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의 쌍방에서 상기 호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임의의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소정의 신호를 수신 불가능하였던 경우에, 그 후, 상기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에서 상기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5.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에 따라서 간헐 수신을 행하는, 임의의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하여, 그 임의의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법칙으로부터 제2 법칙으로의 적용할 법칙의 변경을 검출하는 계기로 되는 소정의 신호를 송신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로서,
    상기 임의의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하여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에서, 상기 임의의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법칙의 변경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것을 검출 가능으로 하는 신호를 상기 송신부로부터 송신시키는 제어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6.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에서 호출 신호를 송신하는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상기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에 따라서 간헐적으로 수신하는 제2 무선 통신 장치로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에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장치가 송신하는, 법칙의 변경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것을 검출 가능으로 하는 소정의 신호를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시키고, 그 소정의 신호의 수신 상황에 따라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장치가 호출 신호의 송신 타이밍으로서 적용하고 있는 법칙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를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시키는 제어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무선 통신 장치.
  7.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에서 호출 신호를 송신하는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제2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에 따라서 간헐적으로 수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타이밍에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장치가 송신하는, 법칙의 변경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것을 검출 가능으로 하는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소정의 신호의 수신 상황에 따라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장치가 호출 신호의 송신 타이밍으로서 적용하고 있는 법칙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20080104862A 2007-10-26 2008-10-24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10118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78887A JP4998206B2 (ja) 2007-10-26 2007-10-26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
JPJP-P-2007-278887 2007-10-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743A KR20090042743A (ko) 2009-04-30
KR101011852B1 true KR101011852B1 (ko) 2011-01-31

Family

ID=40336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104862A KR101011852B1 (ko) 2007-10-26 2008-10-24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111387A1 (ko)
EP (1) EP2053890A3 (ko)
JP (1) JP4998206B2 (ko)
KR (1) KR101011852B1 (ko)
CN (1) CN1014206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39205A (ja) * 2009-12-28 2011-07-14 Fujitsu Ltd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CN102281508B (zh) * 2010-06-11 2016-03-23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车载收件模块以及接收信息的方法
WO2013149666A1 (en) * 2012-04-05 2013-10-1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dvanced wakeup for reception of pa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9660A (ja) 2003-08-28 2005-03-24 Sanyo Electric Co Ltd 移動局
JP2005184335A (ja) 2003-12-18 2005-07-07 Oki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装置における誤同期防止装置
KR20060120271A (ko) * 2004-02-10 2006-11-2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시그널링정보의 송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7629B2 (ja) * 2003-07-01 2008-12-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および移動局
US20050032555A1 (en) * 2003-08-07 2005-02-10 Iqbal Jami Method of intermittent activation of receiving circuitry of a mobile user terminal
JP4569374B2 (ja) * 2005-05-10 2010-10-27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
JP4899555B2 (ja) * 2006-03-17 2012-03-21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JP2007278887A (ja) 2006-04-07 2007-10-25 Olympus Corp 分注装置及び分注プローブユニット
US8213374B2 (en) * 2007-04-24 2012-07-03 Ntt Docomo, Inc. Mobile communication method, radio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processor
US8315214B2 (en) * 2007-05-18 2012-11-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discontinuous reception de-synchronization dete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9660A (ja) 2003-08-28 2005-03-24 Sanyo Electric Co Ltd 移動局
JP2005184335A (ja) 2003-12-18 2005-07-07 Oki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装置における誤同期防止装置
KR20060120271A (ko) * 2004-02-10 2006-11-2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시그널링정보의 송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11387A1 (en) 2009-04-30
JP2009111473A (ja) 2009-05-21
EP2053890A3 (en) 2013-12-04
EP2053890A2 (en) 2009-04-29
JP4998206B2 (ja) 2012-08-15
KR20090042743A (ko) 2009-04-30
CN101420671A (zh) 2009-04-29
CN101420671B (zh) 201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7400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7974643B2 (en) Reducing mobile-terminated call set up by identifying and mitigating overlap between paging and system information broadcast
KR101235574B1 (ko) 이동국,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이동통신시스템, 및간헐수신방법
KR101176357B1 (ko) 무선 액세스 제어장치, 이동국 및 방법
KR100998924B1 (ko)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전력을 제어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US8170029B2 (en) Intermittent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and mobile station apparatus
WO2007148608A1 (ja) 移動局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並びにページング方法
EP26631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system signal
KR101011852B1 (ko)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JPH06141025A (ja) セルラ無線電話システム
JP2009273185A (ja) 移動局、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装置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並びに間欠受信方法
CN109417433B (zh) 控制蜂窝网络中的无线电传输的方法、无线电装置和基站
KR10120932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WO2022243049A1 (en) Sidelink-related event notification for sidelink group via sidelink channel
JP2002238068A (ja) 携帯無線装置
JP2008193445A (ja) 携帯電話端末、端末呼出装置、端末呼出応答システム、端末呼出応答方法、プログラム
KR20060131485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출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